KR200203779Y1 - 배수관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배수관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779Y1
KR200203779Y1 KR2020000015853U KR20000015853U KR200203779Y1 KR 200203779 Y1 KR200203779 Y1 KR 200203779Y1 KR 2020000015853 U KR2020000015853 U KR 2020000015853U KR 20000015853 U KR20000015853 U KR 20000015853U KR 200203779 Y1 KR200203779 Y1 KR 200203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hole
socket
manhole
main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일산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일산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일산금속
Priority to KR2020000015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7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7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배수관에 맨홀로부터 가지배수관을 연결시킬 때 그 연결부가 수밀성을 유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배수관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주배수관(15)의 구멍(16)에 맨홀몸체(10)로부터의 오수 및 우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가지배수관(17)을 연결시키는 연결소켓(20)에 있어서,
내부몸체(21)의 외부 둘레에 탄성재 외피(22)를 입히고, 상기 주배수관 구멍(16)에 삽입되는 단부의 외주면과 유입관 또는 배수관이 삽입되는 면은 개구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3a)(23b)을 구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은 다공체나 메쉬로 내부몸체 고무재의 외피가 입혀지므로 그 코팅 상태가 양호해지고, 주배수관의 구멍에 삽입되는 쪽의 단부 외주면 및 배수관이 삽입되는 쪽 단부의 내주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주배수관의 구멍에 연결소켓을 삽입시키거나 또는 연결소켓에 가지배수관을 삽입시킬 때 경사면의 안내를 받아 삽입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고, 또 그 경사면에는 주름돌기들이 다수개 형성되어 수밀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쿠션기능이 향상되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패킹이 없어도 외부의 충격에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수관 연결소켓{Socket for connecting drainpipes}
본 고안은 주배수관에 맨홀로부터 가지배수관을 연결시킬 때 그 연결부가 수밀성을 유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배수관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가장자리와 같은 곳에는 우수를 받기 위해 맨홀몸체(10)가 설되어 있다.
이러한 맨홀몸체(10)의 상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저면이 호퍼형상으로 이루어진 뚜껑받침(1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우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유입구멍(13)이 형성된 뚜껑(12)이 안착된다. 또 맨홀몸체(10)의 상부와 받침의 사이에는 맨홀시공시 시공오차에 의해 맨홀받침의 위치가 가변될 때 그 가변량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링(14)이 설치되어 위치보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시공된 맨홀은 유입된 우수 또는 오수를 주배수관(15)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가지배수관(17)이 연결된다.
가지배수관(17)은 일단이 맨홀몸체(10)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주배수관(15)에 구멍(16)을 뚫어 이에 삽입시켜 연결하게 된다.
이때 가지배수관(17)이 단부가 너무 과도하게 주배수관(15)의 내부로 삽입되어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고 또 배수관의 내부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투입되는 원격 탐사장비가 걸려 더 이상 탐사 작업을 실시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배수관 연결소켓(18)을 설치하여 적당한 깊이로만 삽입되도록 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일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소켓(18)의 구조는 일측단이 가지배수관(17)이 삽입될 정도의 지름을 가지고 있고, 다른 타측단은 가지배수관(17)과 같은 지름을 가진 짧은 관구조로 되어 있고, 지름이 작은 쪽의 단부는 주배수관(15)의 반경과 같은 지름으로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양측에는 불필요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방지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연결소켓(18)을 설치할 때에는 지름이 작은 단부를 주배수관(15)의 구멍(16)에 삽입시키고, 지름이 큰 단부에 가지배수관(17)을 삽입시켜 연결시킨 후 연결소켓(18)과 맨홀몸체(10)의 구멍(16)사이를 몰탈이나 접착재를 이용하여 땜질하여 수밀성을 확보한 후 매립하여 시공한다. 이때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각 연결부에 패킹(181)을 개재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구조는 연결소켓(18)이 주철로 이루어져 있고, 또 주배수관 및 가지배수관(17)들이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조립후 그 연결부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패킹이 끼워져야만 하므로 부품이 증가되고 또 그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 정밀시공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밀성을 잃어버리게 되므로 시공시 많은 주의를 요하게 되며, 또 정밀시공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외부의 조건 즉, 계절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 의해 지반의 융기 및 침하작용이 발생하게 되면 땜질부가 손상되어 수밀성이 떨어지게 되어 오수 또는 우수의 유출문제가 야기되고, 심할 경우에는 주배수관 구멍 또는 연결소켓(18)의 파손으로까지 발전하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채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연결소켓을 자체 쿠션을 갖도록 하여 결합시 별도의 패킹이나 땜질 없이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부분파손이 없도록 한 배수관 연결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수관 연결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에 따른 맨홀로부터 가지배수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수관 연결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소켓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맨홀몸체 11 - 뚜껑받침
12 - 뚜껑 13 - 유입구멍
14 - 조절링 15 - 주배수관
16 - 구멍 17 - 가지배수관
20 - 연결소켓 21 - 내부몸체
22 - 외피 23a,23b - 경사면
24 - 주름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주배수관의 구멍에 맨홀몸체로부터의 오수 및 우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가지배수관을 연결시키는 연결소켓에 있어서, 내부몸체의 외부 둘레에 탄성재 외피를 입히고, 상기 주배수관 구멍에 삽입되는 단부의 외주면과 유입관 또는 배수관이 삽입되는 면은 개구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성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에 따른 맨홀몸체로부터 가지배수관(17)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배수관 연결소켓(2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소켓(20)의 사용상태도이다.
참조번호 10은 우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설치되거나 또는 각 가정의 하수와 같은 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맨홀몸체이고, 참조번호 11은 저면이 호퍼형상으로 이루어진 뚜껑받침이고, 참조번호 12는 뚜껑받침(11)의 상부에 안착되어 우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유입구멍(13)이 형성된 뚜껑이고, 참조번호 14는 맨홀몸체(10)의 상부와 받침 사이에 설치되어 맨홀시공시 시공오차에 의한 맨홀받침의 위치의 가변량을 보정하기 위한 조절링(14)이다.
주배수관(15)에는 가지배수관(17)의 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구멍(16)이 뚫려있고, 이 구멍(16)에 연결소켓(20)이 개재되어 가지배수관(17)의 원활한 접속을 확보한다.
연결소켓(20)은 일단이 주배수관(15)의 구멍(16)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 타측에는 가지배수관(17)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확장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소켓(20)은 내부몸체(21)와 외피(22)로 이루어지는데, 내부몸체(21)는 판체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외피(22)와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해 메쉬나, 다공체로 구성되며, 재질은 주철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22)는 탄성력을 가진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몸체(21)의 내외부에 피복시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외피(22)는 내부몸체(21)에 피복된 후 메쉬 또는 다공체의 구멍을 통해 내외부가 연결되어 일체가 되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외피(22)에는 주배수관(15)의 구멍(16)에 삽입되는 쪽 단부의 외측면 및 배수관이 삽입되는 쪽 단부의 내측면은 개구부쪽으로 경사진 경사면(23a)(23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배수관 구멍(16)에 연결소켓(20))을 삽입시키거나 연결소켓(20)에 배수관을 삽입시킬 때에는 경사면(23a)(23b)이 삽입을 안내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일단 삽입된 후에는 도 4에서와 같이 경사면(23a)(23b)에 의해 쐐기박힘되는 것처럼 밀착되어 수밀성을 갖게 된다.
특히 각 경사면(23a)(23b)에는 다수개의 주름돌기(24)들이 형성되어 있고, 또 주름돌기(24)들은 개구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이 용이하다. 그리고 일단 삽입된 후에는 빠지지 않으며, 주름돌기(24)들의 단부가 주배수관(15) 구멍(16) 또는 가지배수관(17)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더욱더 수밀성이 향상된다. 또 연결소켓(20)의 일측 상하부에는 연결시 주배수관(15)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방지 스토퍼(26a)(26b)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공체나 메쉬로 내부몸체 고무재의 외피가 입혀지므로 그 코팅 상태가 양호해지고, 주배수관의 구멍에 삽입되는 쪽의 단부 외주면 및 배수관이 삽입되는 쪽 단부의 내주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주배수관의 구멍에 연결소켓을 삽입시키거나 또는 연결소켓에 가지배수관을 삽입시킬 때 경사면의 안내를 받아 삽입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고, 또 그 경사면에는 주름돌기들이 다수개 형성되어 수밀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쿠션기능이 향상되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패킹이 없어도 외부의 충격에도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주배수관(15)의 구멍(16)에 맨홀몸체(10)로부터의 오수 및 우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가지배수관(17)을 연결시키는 연결소켓(20)에 있어서,
    내부몸체(21)의 외부 둘레에 탄성재 외피(22)를 입히고, 상기 주배수관 구멍(16)에 삽입되는 단부의 외주면과 유입관 또는 배수관이 삽입되는 면은 개구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3a)(23b)을 구성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21)는 내외부로 관통된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다공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23a)(23b)에는 주름돌기(24)들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소켓.
KR2020000015853U 2000-06-03 2000-06-03 배수관 연결소켓 KR200203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853U KR200203779Y1 (ko) 2000-06-03 2000-06-03 배수관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853U KR200203779Y1 (ko) 2000-06-03 2000-06-03 배수관 연결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779Y1 true KR200203779Y1 (ko) 2000-11-15

Family

ID=1965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853U KR200203779Y1 (ko) 2000-06-03 2000-06-03 배수관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7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3779Y1 (ko) 배수관 연결소켓
KR100732475B1 (ko) 관로의 방향변경이 가능한 맨홀의 관 결합구조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0242733Y1 (ko) 배수관 연결소켓
KR200345860Y1 (ko) 흄관 연결 구조물
KR200424466Y1 (ko)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KR100477145B1 (ko) 배수관 연결소켓 조립방법
KR100240206B1 (ko)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KR200401473Y1 (ko) 맨홀의 관 결합구조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KR101445717B1 (ko) 보강장치를 구비한 맨홀
KR200300524Y1 (ko)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KR200464364Y1 (ko) 하수관과 맨홀의 연결부
KR100570920B1 (ko) 조립식 맨홀
KR100626836B1 (ko) 맨홀의 관 결합구조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200352987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실링패킹
KR101900453B1 (ko) 면진기능과 채움패드로 형성된 맨홀
JP3708539B1 (ja) マンホール用底塊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
KR100988335B1 (ko) 콘크리트관의 체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맨홀
KR20050075193A (ko) 배수용 집수구
KR100444623B1 (ko) 배수관 연결소켓
KR101836935B1 (ko)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KR200163392Y1 (ko) 주하수관에분기하수관을연결시키기위한체결구
JP2507185Y2 (ja) 排水マ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