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249Y1 - 이온수 생성기의 세정을 위한 배관기구 - Google Patents
이온수 생성기의 세정을 위한 배관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3249Y1 KR200203249Y1 KR2020000018028U KR20000018028U KR200203249Y1 KR 200203249 Y1 KR200203249 Y1 KR 200203249Y1 KR 2020000018028 U KR2020000018028 U KR 2020000018028U KR 20000018028 U KR20000018028 U KR 20000018028U KR 200203249 Y1 KR200203249 Y1 KR 2002032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water pipe
- shaped
- flow path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Fluid flow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격막에 의해 구분되는 양측의 극판에 전원이 인가되면 입수관에서 유입되는 물이 이온화되어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 배출되는 이온수 생성기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기에서 일측 극판이 수용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유로상에 직렬로 2개의 T형관을 구비하는 산성수관; 상기 이온화기에서 타측 극판이 수용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유로상에 직렬로 2개의 T형관을 구비하는 알칼리수관; 상기 산성수관의 상류측 T형관과 상기 알칼리수관의 하류측 T형관 사이에 연결하는 제 1 바이패스관; 상기 산성수관의 하류측 T형관과 상기 알칼리수관의 상류측 T형관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바이패스관; 및 상기 극판의 극성이 변경되어도 산성수관 및 알칼리수관의 배출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극판의 극성을 변경하여 격막을 강제 세정하는 과정에서 이온수의 배출이 폐기 또는 중단되지 않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온수 생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온수 생성기 내의 극판의 극성을 변경하여 격막을 강제 세정하는 과정에서 이온수의 배출이 폐기 또는 중단되지 않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하는 이온수 생성기의 세정을 위한 배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온수 생성기는 생수에서 인체에 유해한 염소, 납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인체에 이로운 미네랄을 이온형태로 활성화시킨 이온수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이온화 처리기 외에 전처리필터, 활성탄층, 삼투막 등의 여과수단이 부가되어 정수 기능도 수행한다.
도 1에서는 종래의 이온수 생성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는 바, 이온화기(10)의 외부에 산성수관(11), 알칼리수관(12), 입수관(13) 연결되고 이온화기(10)의 내부에 극판(14)(15)과 격막(16)이 설치되는 구성을 지닌다. 입수관(13)의 상류측으로는 전처리필터, 활성탄층, 삼투막 등의 여과수단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극판(14)(15)에 직류전원이 인가되면 +극에서는 Cl-, SO2 --등의 음이온 성분이 함유된 산성수가 생성되는 반면, -극에서는 Na+, Ca++, Mg++, K+등의 양이온 미네랄 성분이 함유된 알칼리수가 생성된다. 이러한 산성수는 산성수관(11)으로 배출되어 피부미용, 주방 설거지, 꽃꽂이, 무좀치료, 양치질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알칼리수는 알칼리수관(12)으로 배출되어 요리나 음료 등의 음용수 용도로 사용된다.
그런데 극판(14)(15)의 극성이 일정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면 Ca++등의 미네랄 성분이 서서히 석출되어 격막(16)을 막게 되므로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정의 사용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극판(14)(15)의 극성을 강제로 변화시켜 스케일을 제거하는 이른바 강제 세정을 수행하여 왔다.
이러한 강제 세정과정에서 이온화기(10)의 내부에 잔류하는 이온수는 극판(14)(15)의 극성이 바뀜에 따라 그 배출방향이 바뀌게 되는 것으로서, 산성수관(11)에서는 알칼리수가 알칼리수관(12)에서는 산성수가 각기 배출되는 것이므로, 세정시간 동안에는 비정상적으로 배출되는 이들 이온수를 모두 흘려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온화기(10)의 정상적인 동작여부를 사용자가 직접 진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원활한 기능유지를 위해 사용시기 등을 임의로 판단하여 강제 세정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데, 사용자의 불편을 감안하여 이러한 세정작업이 자동으로 행하여지도록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자가진단에 의한 자동수행시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외부 램프등의 경보수단을 통해 인지시켜야 하는 것이지만, 주의를 게을리하는 경우 원치 않는 이온수로 인해 불쾌감과 함께 상품의 신뢰도를 크게 떨어트리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극판의 극성을 변경하여 격막을 강제 세정하는 과정에서 이온수의 배출이 폐기 또는 중단되지 않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하는 이온수 생성기의 세정을 위한 배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온수 생성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기구의 설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이온화기 11, 21: 산성수관
12, 22: 알칼리수관 13: 입수관
14,15: 극판 16: 격막
23, 24: 바이패스관 25∼28: T형관
31∼34: 개폐밸브 41, 42: 유로전환밸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격막에 의해 구분되는 양측의 극판에 전원이 인가되면 입수관에서 유입되는 물이 이온화되어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 배출되는 이온수 생성기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기에서 일측 극판이 수용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유로상에 직렬로 2개의 T형관을 구비하는 산성수관; 상기 이온화기에서 타측 극판이 수용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유로상에 직렬로 2개의 T형관을 구비하는 알칼리수관; 상기 산성수관의 상류측 T형관과 상기 알칼리수관의 하류측 T형관 사이에 연결하는 제 1 바이패스관; 상기 산성수관의 하류측 T형관과 상기 알칼리수관의 상류측 T형관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바이패스관; 및 상기 극판의 극성이 변경되어도 산성수관 및 알칼리수관의 배출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산성수관의 T형관 사이에 설치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알칼리수관의 T형관 사이에 설치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제 1 바이패스관 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제 2 바이패스관 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산성수관의 상류측 T형관 대신에 설치되는 제 1 유로전환밸브와, 상기 알칼리수관의 상류측 T형관 대신에 설치되는 제 2 유로전환밸브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기구의 설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고안은 격막(16)에 의해 구분되는 양측의 극판(14)(15)에 전원이 인가되면 입수관(13)에서 유입되는 물이 이온화되어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 배출되는 이온수 생성기에 관련된다. 정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처리필터, 활성탄층, 삼투막 등의 여과수단이 입수관(13)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구성은 종래와 구조와 다르지 않다. 그러나, 산성수관(21) 및 알칼리수관(22)을 종래와 같이 독립적인 배관으로 하지 않고 제 1 바이패스관(23) 및 제 2 바이패스관(24)을 부가하여 상호 연결하고 밸브를 이용하여 유로가 적절히 개폐되도록 한다.
산성수관(21)은 상기 이온화기(10)에서 일측 극판(14)이 수용되는 부분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유로상에 직렬로 2개의 T형관(25)(26)을 구비한다. 알칼리수관(22)은 상기 이온화기(10)에서 타측 극판(15)이 수용되는 부분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산성수관(21)과 마찬가지로 유로상에 직렬로 2개의 T형관(27)(28)을 구비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산성수관(21)의 상류측 T형관(25)과 상기 알칼리수관(22)의 하류측 T형관(28) 사이는 제 1 바이패스관(23)으로 연결되고, 상기 산성수관(21)의 하류측 T형관(26)과 상기 알칼리수관(22)의 상류측 T형관(27) 사이는 제 2 바이패스관(24)으로 연결된다.
산성수관(21), 알칼리수관(22), 제 1 바이패스관(23), 제 2 바이패스관(24)의 규격은 동일하게 한다. 복수의 T형관(25)(26)(27)(28)은 표준규격의 관이음 부재를 사용하여 배관의 구성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극판(14)(15)의 극성이 변경되어도 산성수관(21) 및 알칼리수관(22)의 배출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패스관(23)(24)을 통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이 구비된다. 즉, 극판(14)(15)의 극성이 변경되어 산성수가 생성되던 부분에서 알칼리수가 생성되어도 이러한 알칼리수는 알칼리수관(22)으로 배출되고, 같은 이치로 산성수는 산성수관(21)으로만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밸브수단은 상기 산성수관(21)의 T형관(25)(26) 사이에 설치되는 개폐밸브(31)와, 상기 알칼리수관(22)의 T형관(27)(28) 사이에 설치되는 개폐밸브(32)와, 상기 제 1 바이패스관(23) 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33)와, 상기 제 2 바이패스관(24) 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34)를 구비한다. 개폐밸브(31∼34)는 수동조작 방식이나 솔레노이드에 의한 자동조작 방식이 모두 적용 가능하나 동시에 작동시켜 순간적으로 유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후자가 바람직하다.
극판(14)(15)의 극성과 무관하게 산성수관(21) 및 알칼리수관(22)의 배출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개폐밸브(31∼34)의 작동상태는 표 1과 같다.
전원인가 상태 | 개폐밸브(31) | 개폐밸브(32) | 개폐밸브(33) | 개폐밸브(34) |
극판(14)에 + 극극판(15)에 - 극 | 개방 | 개방 | 폐쇄 | 폐쇄 |
극판(14)에 - 극극판(15)에 + 극 | 폐쇄 | 폐쇄 | 개방 | 개방 |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측 극판(14)에서 생성되는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는 T형관(25)에 인접하는 양측의 개폐밸브(31)(33)에 의해 유로가 변경되고, 타측 극판(15)에서 생성되는 알칼리수 또는 산성수는 T형관(27)에 인접하는 양측의 개폐밸브(32)(34)에 의해 유로가 변경된다. 즉, 일측의 개폐밸브(31)(33)도 항상 상반되는 작동 상태를 수행하고, 타측의 개폐밸브(32)(34)도 항상 상반되는 작동 상태를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극판(14)(15)의 극성이 반전되어 격막(16)의 강제 세정이 진행되고 극판(14)(15) 주변의 산성수 및 알칼리수가 상호 교체되므로 일정시간 경과 후 개폐밸브(31∼34)의 상태를 반전시키면 산성수관(21)에서는 계속하여 산성수가 배출되고 알칼리수관(22)에서는 계속하여 알칼리수가 배출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산성수관(21)의 상류측 T형관(25) 대신에 설치되는 제 1 유로전환밸브(41)와, 상기 알칼리수관(22)의 상류측 T형관(27) 대신에 설치되는 제 2 유로전환밸브(42)를 구비한다. 이 경우 도 2와 비교할 때 산성수관(21), 알칼리수관(22), 제 1 바이패스관(23), 제 2 바이패스관(24)의 구성은 동일하나 개폐밸브(31∼34)는 생략되고 2개의 T형관(26)(28)만 사용된다.
제 1 유로전환밸브(41) 및 제 2 유로전환밸브(42)는 3방향 밸브로서 전술한 개폐밸브(31∼34)와 마찬가지로 수동조작 방식이나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자동조작 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제 1 유로전환밸브(41) 및 제 2 유로전환밸브(42)는 일측의 유로를 개방하는 순간 타측의 유로를 자연적으로 폐쇄하므로 개폐밸브(31∼34)에 비하여 적은 수량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수동조작도 큰 불편을 초래하지 않고 오작동의 우려도 적다.
작동에 있어서, 제 1 유로전환밸브(41)와 제 2 유로전환밸브(42)는 상기한 표 1의 개폐밸브(31∼34)와는 달리 상호 일치되는 작동 상태를 구현한다. 제 1 유로전환밸브(41)가 산성수관(21) 측으로 유로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제 2 유로전환밸브(42)도 알칼리수관(22) 측으로 유로를 개방한다. 제 1 유로전환밸브(41)가 제 1 바이패스관(23) 측으로 유로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제 2 유로전환밸브(42)도 제 2 바이패스관(24) 측으로 유로를 개방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극판의 극성을 변경하여 격막을 강제 세정하는 과정에서 이온수의 배출이 폐기 또는 중단되지 않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 격막(16)에 의해 구분되는 양측의 극판(14)(15)에 전원이 인가되면 입수관(13)에서 유입되는 물이 이온화되어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 배출되는 이온수 생성기에 있어서:상기 이온화기(10)에서 일측 극판(14)이 수용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유로상에 직렬로 2개의 T형관(25)(26)을 구비하는 산성수관(21);상기 이온화기(10)에서 타측 극판(15)이 수용되는 부분에 연결되고, 유로상에 직렬로 2개의 T형관(27)(28)을 구비하는 알칼리수관(22);상기 산성수관(21)의 상류측 T형관(25)과 상기 알칼리수관(22)의 하류측 T형관(28) 사이에 연결하는 제 1 바이패스관(23);상기 산성수관(21)의 하류측 T형관(26)과 상기 알칼리수관(22)의 상류측 T형관(27)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바이패스관(24); 및상기 극판(14)(15)의 극성이 변경되어도 산성수관(21) 및 알칼리수관(22)의 배출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상기 바이패스관(23)(24)을 통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 생성기의 세정을 위한 배관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산성수관(21)의 T형관(25)(26) 사이에 설치되는 개폐밸브(31)와, 상기 알칼리수관(22)의 T형관(27)(28) 사이에 설치되는 개폐밸브(32)와, 상기 제 1 바이패스관(23) 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33)와, 상기 제 2 바이패스관(24) 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 생성기의 세정을 위한 배관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산성수관(21)의 상류측 T형관(25) 대신에 설치되는 제 1 유로전환밸브(41)와, 상기 알칼리수관(22)의 상류측 T형관(27) 대신에 설치되는 제 2 유로전환밸브(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 생성기의 세정을 위한 배관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8028U KR200203249Y1 (ko) | 2000-06-24 | 2000-06-24 | 이온수 생성기의 세정을 위한 배관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8028U KR200203249Y1 (ko) | 2000-06-24 | 2000-06-24 | 이온수 생성기의 세정을 위한 배관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3249Y1 true KR200203249Y1 (ko) | 2000-11-15 |
Family
ID=1966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8028U KR200203249Y1 (ko) | 2000-06-24 | 2000-06-24 | 이온수 생성기의 세정을 위한 배관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3249Y1 (ko) |
-
2000
- 2000-06-24 KR KR2020000018028U patent/KR2002032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44978A (en) | Cleaning method of an electrolyzed water forming apparatus and an electrolyzed water forming apparatus having mechanism for conducting the method | |
CN108793524A (zh) | 净水系统 | |
CN205419862U (zh) | 净水系统 | |
CN106315899A (zh) | 一种反冲洗超滤净水器 | |
KR101446127B1 (ko) | 수처리장치 | |
KR200203249Y1 (ko) | 이온수 생성기의 세정을 위한 배관기구 | |
JP2004230233A (ja) |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 |
CN111974218A (zh) | 净水系统控制方法及净水系统 | |
JPH10174973A (ja) | 連続通水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殺菌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並びにこれに使用される流路切換弁装置 | |
CN211813880U (zh) | 一种制备纯水、净水、消毒水的净水系统 | |
KR100575385B1 (ko) | 전기분해 정수기 | |
KR101709995B1 (ko) | 전기분해장치 및 전기분해를 적용한 가정용정수기 세척방법 | |
CN209307010U (zh) | 一种用于纯水系统自动臭氧消毒装置 | |
CN103373780B (zh) | 一种饮用水净化装置及方法 | |
CN109437449A (zh) | 富氢水机整机系统 | |
CN212269746U (zh) | 一种管路自动反清洗净水器 | |
CN217265242U (zh) | 家用电器的净水组件及家用电器 | |
JP2593605B2 (ja) | 電気分解整水器 | |
JPH10156364A (ja) | 非耐圧型の先止め式電解水生成装置 | |
CN216106293U (zh) | 水处理设备 | |
JP3772282B2 (ja) | 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 | |
KR200286657Y1 (ko) | 비데기내에 장착되는 살균장치 | |
CN215855250U (zh) | 一种可回收的水路系统及净水器 | |
CN212269648U (zh) | 一种压力罐自动反清洗净水器 | |
CN218665523U (zh) | 水处理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