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597Y1 - 필름광고장치 - Google Patents

필름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597Y1
KR200202597Y1 KR2020000017952U KR20000017952U KR200202597Y1 KR 200202597 Y1 KR200202597 Y1 KR 200202597Y1 KR 2020000017952 U KR2020000017952 U KR 2020000017952U KR 20000017952 U KR20000017952 U KR 20000017952U KR 200202597 Y1 KR200202597 Y1 KR 200202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motor
film
reverse
advertis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영
Original Assignee
유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4376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36662A/ko
Application filed by 유선영 filed Critical 유선영
Priority to KR2020000017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5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chains, or the like
    • G09F11/1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chains, or the like the elements being flexible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필름의 정지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필름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방향 권취모터(M11)와, 역방향 권취모터(M12)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회전축상에 설치되고 등각도로 배열된 다수의 구멍(42)을 갖는 차광판(40); 차광판(40)의 양쪽에 위치되어 구멍(42)을 통해서 빛을 투과시키는 포토인터럽트 (50); 포토인터럽트(5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파를 카운트하여 광고필름 (30)의 위치를 연산처리한 다음 정방향 권취모터(M11) 또는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정지키거나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 광고필름(30)의 정지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SW1); 광고필름(30)을 광고모드 또는 설정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설정스위치(SW2); 역방향 권취모터(M12)에 의해 권취되는 광고필름(30)의 끝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근접스위치(LS1); 상기 광고필름(30)의 역전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역전스위치(SW3); 정지위치 설정용 스위치(SW1) 또는 역방향 권취모터 (M12)에 의해 설정된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부(8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필름광고장치 { film advertisement apparatus }
본 고안은 필름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필름의 정지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필름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필름광고장치는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필름(20)에 인식부(22)를 형성하고 반사식 또는 투과식의 광센서 또는 근접센서와 같은 위치검출수단(24)을 통해 광고필름(20)의 정지위치를 검출한 후 양쪽의 모터(M1)(M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간헐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필름광고장치는 단순히 광고필름을 간헐적으로 정지시킨 후 광고필름(20)의 다음번 광고면(26)을 다시 광고창(32)(33)으로 이송시켜서 광고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광고필름(20)에 빈광고면 또는 광고하지 말아야 될 광고면(26)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광고창(32)(33)을 통해 보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인식부(22)가 광고필름(20)에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여백(29)을 광고필름(20)의 적어도 한쪽부분에 할당하여야 되기 때문에 본체(30)의 크기가 그 만큼 커지게 되어 유효공간을 점유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인식부(22)가 광고필름(20)에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무더운 여름철이나 추운 겨울철과 같이 온도변화폭이 큰 경우 광고필름(20)이 신장되거나 수축되어 위치결정이 부정확하게 되어 광고필름(20)의 연결부(20a) 또는 블랭크부(28)가 광고창(32)(33)을 통해 보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광고필름(20)의 위치가 부정확한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광고필름(20)을 재제작하여야 되는 폐단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광고필름에 빈광고면 또는 광고하지 말아야 될 광고면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통과시킬 수 있으며, 광고필름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인식부를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유효공간의 점유율을 줄임으로써 공간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광고필름의 정지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필름광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고필름의 양쪽 끝에 설치되어 이 광고필름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정방향 권취모터와, 역방향 권취모터를 갖는 필름광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와, 역방향 권취모터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회전축상에 설치되고 등각도로 배열된 다수의 구멍을 갖는 차광판과, 상기 차광판의 양쪽에 위치되어 상기 구멍을 통해서 빛을 투과시키는 포토인터럽트와, 상기 포토인터럽트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파를 카운트하여 상기 광고필름의 위치를 연산처리한 다음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 또는 역방향 권취모터를 정지키거나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광고필름의 정지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와, 상기 광고필름을 광고모드 또는 설정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설정스위치와, 상기 역방향 권취모터에 의해 권취되는 광고필름의 끝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근접스위치와, 상기 광고필름의 역전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역전스위치와, 상기 정지위치 설정용 스위치 또는 역전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부로 구성하여 필름광고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필름광고장치는 메모리번지를 지정하기 위한 값을 초기화시키는 단계; 모드설정스위치가 'ON'인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모드설정스위치가 'OFF'인 경우 정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단계와, 근접스위치가 'ON'인가의 여부를 검출하여 'OFF'인 경우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를 계속해서 구동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근접스위치가 'ON'인 경우 정방향 권취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역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단계와, 포토인터럽트로부터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메모리번지의 값을 읽어서 제어부의 임시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카운트된 회전수와 메모리값이 같은 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다른 경우 상기 역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회전수와 메모리값이 같은 경우 카운트 메모리의 내용을 클리어하는 단계와, 역방향 권취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메모리번지를 일정폭으로 가산하는 단계와,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고필름이 역전위치인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역전위치인 경우 상기 역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와, 상기 역전스위치가 'ON'인 경우 역방향 권취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정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단계와, 포토인터럽트로부터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메모리번지의 값을 읽어서 제어부의 임시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카운트된 회전수와 메모리값이 같은 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다른 경우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와, 회전수와 메모리값이 같은 경우 카운트 메모리의 내용을 클리어하는 단계와, 정방향 권취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메모리번지를 일정폭 감산하는 단계와,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계와, 메모리번지가 최저값인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최저값이 아닌 경우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로 리턴하고, 메모리번지가 최저값인 경우 역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로 점프하는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모드설정스위치가 'ON'인 경우 정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단계와, 근접스위치가 'ON'인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OFF'인 경우 정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상기의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와, 근접스위치가 'ON'인 경우 정방향 권취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역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단계와, 포토인터럽트로부터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가 'ON'인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OFF'인 경우 역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상기의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와,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가 'ON'인 경우 회전수를 제어부의 임시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카운트 메모리의 내용을 클리어하는 단계와, 메모리번지를 일정폭 가산하는 단계와, 역전스위치가 'ON'인가의 여부를 검출하여 'OFF'인 경우 역방향 권취모터를 구동하는 상기의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와, 메모리번지를 플래시 메모리부상의 역전위치저장용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메모리번지를 초기화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로 구성된 제어방법 등으로 작동된다.
도 1 은 종래 광고필름을 보이는 전개도
도 2 는 종래 필름광고장치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3 은 종래 필름광고장치를 보이는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필름광고장치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필름광고장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필름광고장치에서 광고필름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포토인터럽트와 차광판의 구조를 보이는 정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필름광고장치에서 광고필름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포토인터럽트와 차광판의 구조를 보이는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필름광고장치를 보이는 블록구성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필름광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필름광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9로부터 이어지는 플로우차트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필름을 펼쳐서 보이는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광고필름 M11 : 정방향 권취모터
M12 : 역방향 권취모터 42 : 구멍
40 : 차광판 50 : 포토인터럽트
60 : 제어부 SW1 :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
SW2 : 모드설정스위치 LS1 : 근접스위치
SW3 : 역전스위치 80 : 플래시 메모리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필름(30)의 양쪽 끝에 설치되어 이 광고필름(30)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정방향 권취모터(M11)와,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갖는 필름광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M11)와, 역방향 권취모터(M12)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회전축상에 설치되고 등각도로 배열된 다수의 구멍(42)을 갖는 차광판(40)과, 상기 차광판(40)의 양쪽에 위치되어 상기 구멍(42)을 통해서 빛을 투과시키는 포토인터럽트(50)와, 상기 포토인터럽트(5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파를 카운트하여 상기 광고필름(30)의 위치를 연산처리한 다음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M11) 또는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정지키거나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상기 광고필름(30)의 정지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SW1)와, 상기 광고필름(30)을 광고모드 또는 설정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설정스위치(SW2)와, 상기 역방향 권취모터(M12)에 의해 권취되는 광고필름(30)의 끝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근접스위치(LS1)와, 상기 광고필름(30)의 역전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역전스위치(SW3)와, 상기 정지위치 설정용 스위치(SW1) 또는 역전스위치(SW3)에 의해 설정된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부(80)로 구성하였다.
상기 포토인터럽트(50)는 발광다이오드(LED)와 포토트랜지스터(PT)로 구성된 일반적인 것을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부(80)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기록된 내용을 잃어버리지 않고 읽거/쓰기가 가능한 메모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근접스위치(LS1)는 예컨대, 광전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름광고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은 첨부도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번지를 지정하기 위한 값을 초기화시키는 단계(N1)와, 모드설정스위치(SW2)가 'ON'인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N2)와, 상기의 단계에서 모드설정스위치(SW2)가 'OFF'인 경우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구동하는 단계(N3)와, 근접스위치(LS1)가 'ON'인가의 여부를 검출하여 'OFF'인 경우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계속해서 구동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N4)와, 상기의 단계에서 근접스위치(LS1)가 'ON'인 경우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정지시키는 단계(N5)와,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구동하는 단계(N6)와, 포토인터럽트(50)로부터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N7)와, 메모리번지의 값을 읽어서 제어부(60)의 임시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N8)와, 카운트된 회전수와 메모리값이 같은 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다른 경우 상기 역방향 권취모터(N6)를 구동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N9)와, 상기의 단계에서 회전수와 메모리값이 같은 경우 카운트 메모리의 내용을 클리어하는 단계(N10)와,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정지시키는 단계(N11)와, 메모리번지를 일정폭으로 가산하는 단계(N12)와,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계(N13)와, 상기 광고필름(30)이 역전위치인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역전위치인 경우 상기 역방향 권취모터 (N6)를 구동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N14)와, 상기 역전스위치(SW3)가 'ON'인 경우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정지시키는 단계(N15)와, 정방향 권취모터 (M11)를 구동하는 단계(N16)와, 포토인터럽트(50)로부터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N17)와, 메모리번지의 값을 읽어서 제어부(60)의 임시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N18)와, 카운트된 회전수와 메모리값이 같은 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다른 경우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구동하는 단계(N16)로 리턴하는 단계(N19)와, 회전수와 메모리값이 같은 경우 카운트 메모리의 내용을 클리어하는 단계(N20)와,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정지시키는 단계(N21)와, 메모리번지를 일정폭 감산하는 단계 (N22)와,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계(N23)와, 메모리번지가 최저값인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최저값이 아닌 경우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구동하는 단계 (N16)리턴하고, 최저값인 경우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구동하는 단계로 점프하는 단계 (N24)와, 상기의 단계에서 모드설정스위치(SW2)가 'ON'인 경우 정방향 권취모터 (M11)를 구동하는 단계(N26)와, 근접스위치(LS1)가 'ON'인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OFF'인 경우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구동하는 상기의 단계(N26)로 리턴하는 단계(N27)와, 근접스위치(LS1)가 'ON'인 경우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정지시키는 단계(N28)와,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구동하는 단계(N29)와, 포토인터럽트 (50)로부터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N30)와,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SW1)가 'ON'인가의 여부를 비교판단하여 'OFF'인 경우 역방향 권취모터 (M12)를 구동하는 상기의 단계(N29)로 리턴하는 단계(N31)와,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SW1)가 'ON'인 경우 회전수를 제어부(60)의 임시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N32)와, 카운트 메모리의 내용을 클리어하는 단계(N33)와, 메모리번지를 일정폭 가산하는 단계(N34)와, 역전스위치 (SW3)가 'ON'인가의 여부를 검출하여 'OFF'인 경우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구동하는 상기의 단계(N29)로 리턴하고, 'ON'인 경우 메모리번지를 초기화하는 단계(N1)로 리턴하는 단계(N35)와, 메모리번지를 플래시 메모리부(80)상의 역전위치저장용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메모리번지를 초기화하는 단계(N1)로 리턴하는 단계(N36)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리셋되면, 첨부도면 도9의 단계 N1에서 플래시 메모리부(80)의 메모리 번지를 예컨대, '0'번지로 초기화 한 후 모드설정스위치(SW2)의 상태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모드설정스위치(SW2)를 누르게 되면, 이 모드설정스위치(SW2)의 한쪽 단자로 제어부(60)의 입력포트를 통해 로우레벨의 전위인 'ON'상태의 신호가 입력된다.
즉, 제어부(60)는 사용자로부터 광고필름(30)의 정지위치를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10의 단계 N26에서 모터구동부(65)를 통해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도면중 시계방향(CW)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광고필름(30)이 정방향 권취모터(M11)측에 위치한 권취롤러(80)에 감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드설정스위치(SW2)는 상기 제어부(60)의 외부인터럽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부(60)에 광고모드로 진행되는 도중에도 도9의 단계 N2를 실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정중에 제어부(60)는 도10의 단계 N27에서 근접스위치(LS1)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근접스위치(LS1)가 'OFF'이면, 광고필름 (30)이 끝부분까지 감기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하여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계속해서 시계방향(CW)으로 구동하면서 근접스위치(LS1)의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광고필름(30)이 정방향 권취모터(M11)에 위치된 귄취롤러(80)에 끝까지 감기면서 광고필름(30)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부(90)가 근접스위치(LS1)에 위치되면, 근접스위치(LS1)로부터 'ON'신호가 출력되는데, 이후 제어부(60)는 도10의 단계 N28에서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정지시킨 다음 도10의 단계 N29에서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반시계방향(CCW)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때 역방향 권취모터(M12)가 구동되면, 이 역방향 권취모터(M12)에 설치되어 있는 차광판(40)이 함께 회전되면서 포토인터럽트(50)에 내장되어 있는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간이 'ON' 또는 'OFF' 상태로 전환되면서 제어부(60)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위' 또는 '하이레벨의 전위'가 출력된다.
즉, 차광판(40)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와 포토트랜지스터(PT) 사이를 통과하는 빛이 차단되면, 포토트랜지스터(PT)가 'OFF' 상태로 되면서 이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로부터 하이레벨의 전위가 검출되는 한편, 발광다이오드 (LED)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차광판(40)의 구멍(42)을 통해 포토트랜지스터(PT)의 베이스단자로 입사되면, 이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간이 도통상태로 되면서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의 전위가 로우레벨의 전위로 전환되면서 차광판(40)의 회전수에 따라 펄스파가 출력되면서 도10의 단계 N30에서 포토인터럽트(50)로부터 검출되는 펄스파를 카운트하여 제어부(60)에 내장되어 있는 할당되어 있는 카운트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SW1)를 누르지 않게 되면, 도10의 단계 N31에서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SW1)가 'OFF'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60)는 단계 N29와 단계 N30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카운트 메모리에 회전수를 누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광고필름(30)이 정지위치에 위치되는가를 지켜보다가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SW1)를 누르게 되면, 광고필름(30)을 정지할 위치에서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SW1)가 눌려졌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10의 단계 N32에서 제어부(60)에 할당되어 있는 카운트 메모리에 저장된 회전수를 예컨대, '0'번지로 초기화된 플래시 메모리부(80)의 메모리번지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도10의 단계 N33에서 임시로 저장되는 카운트 메모리를 클리어한 다음 플래시 메모리부(80)의 메모리번지를 +1 가산하여 다음번 정지위치 데이터인 회전수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부(80)의 메모리번지를 예컨대, '1'번지로 지정하게 된다.
즉, 역방향 권취모터(M12)가 회전되면, 차광판(40)을 비롯하여 이 역방향 권취모터(M12)측에 위치된 권취롤러(82), 광고필름(30), 정방향 권취모터(M11)가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차광판(40)에 의해 간섭을 받는 포토인터럽트(50)로부터는 차광판(40)의 구멍(42)수인 차광판(40)의 회전각에 따라 펄스파가 출력되어 제어부(60)의 카운트 메모리에 저장되며, 이러한 회전수를 이용하여 광고필름(30)의 정지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10의 단계 N35에서 역전스위치(SW3)의 접점이 개방된 경우 위와 같은 과정이 여러번 반복되면서 포토인터럽트(50)에 의해 출력되는 회전수가 플래시 메모리부(80)에 지정된 메모리번지가 예컨대, +1씩 가산되면서 광고필름(30)의 정지위치가 순차적으로 저장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역전스위치(SW3)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60)는 광고필름(30)이 역전하여야 될 위치인 것으로 판단하여 도10의 단계 N36에서 메모리번지를 플래시 메모리부(80)상에 할당된 역전위치저장용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메모리번지를 초기화하는 단계(N1)로 리턴한 후 도9의 단계 N1으로 점프하여 플래시 메모리부(80)의 메모리번지를 예컨대, '0'번지로 초기화한 다음 도9의 단계 N2에서 모드설정스위치(SW2)가 눌려졌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전스위치(SW3)의 조작은 광고필름(30)이 끝까지 풀린 경우에 하여야 된다.
이때 모드설정스위치(SW2)의 접점이 개방되면, 제어부(60)는 도9의 단계 N3에서 모터구동부(65)를 통해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도면중 시계방향(CW)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광고필름(30)이 정방향 권취모터(M11)측에 위치한 권취롤러 (80)에 감기게 된다.
즉, 제어부(60)는 사용자로부터 광고모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하여 도9의 단계 N4에서 근접스위치(LS1)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근접스위치(LS1)가 'OFF'이면, 광고필름(30)이 끝부분까지 감기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하여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계속해서 시계방향(CW)으로 구동하면서 근접스위치(LS1)의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광고필름(30)이 정방향 권취모터(M11)에 위치된 귄취롤러(80)에 끝까지 감기면서 광고필름(30)에 형성되어 있는 감지부(90)가 근접스위치(LS1)에 위치되면, 근접스위치(LS1)로부터 'ON'신호가 출력되는데, 이후 제어부(60)는 도9의 단계 N5에서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정지시킨 다음 도9의 단계 N6에서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반시계방향(CCW)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때 역방향 권취모터(M12)가 구동되면, 이 역방향 권취모터(M12)에 설치되어 있는 차광판(40)이 함께 회전되면서 포토인터럽트(50)에 내장되어 있는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간이 'ON' 또는 'OFF' 상태로 전환되면서 제어부(60)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위' 또는 '하이레벨의 전위'가 출력된다.
즉, 차광판(40)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와 포토트랜지스터(PT) 사이를 통과하는 빛이 차단되면, 포토트랜지스터(PT)가 'OFF' 상태로 되면서 이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로부터 하이레벨의 전위가 검출되는 한편, 발광다이오드LED)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차광판(40)의 구멍(42)을 통해 포토트랜지스터(PT)의 베이스단자로 입사되면, 이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간이 도통상태로 되면서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의 전위가 로우레벨의 전위로 전환되면서 차광판(40)의 회전수에 따라 펄스파가 출력되면서 도9의 단계 N7에서 포토인터럽트(50)로부터 검출되는 펄스파를 카운트하여 제어부(60)에 내장되어 있는 할당되어 있는 카운트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60)는 도9의 단계 N8에서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부(80)의 '0'번지의 메모리번지로부터 값을 읽어서 도9의 단계 N9에서 회전수와 메모리값을 서로 비교하여 서로 다른 경우에는 광고필름(30)이 정지위치에 위치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반시계방향(CCW)으로 연속해서 구동하면서 포토인터럽트(50)로부터 검출되는 회전수를 카운트 메모리에 가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가산되는 회전수가 플래시 메모리부(80)에 지정된 '0'번지의 메모리번지에 저장되어 있던 값과 같아지게 되면, 도9의 단계 N10과 N11, N12에서 카운트 메모리를 클리어한 다음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정지시킨 후 메모리번지를 예컨대, +1 가산처리하여 '1'번지로 지정한 다음 도9의 단계 N13에서 소정시간동안 시간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때 역방향 권취모터(M12)와 정방향 권취모터(M11)가 모두 정지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광고필름(30)도 정지되어 투명한 광고창(92)(94)을 통해 광고필름(30)이 투시되어 보이게 된다.
이후 지연시간이 경과되면, 도9의 단계 N14에서 광고필름(30)이 역전위치에 위치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플래시 메모리부(80)상에 할당되어 있는 역전위치저장용 메모리번지에 기록된 값을 읽어서 이 값이 현재 지정된 메모리번지와 같은 가를 비교하게 되는데, 같지 않은 경우에는 역전위치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도9의 단계 N9로 점프하여 앞의 과정을 반복수행하게 되고, 같은 경우에는 역전위치인 것으로 판단하여 첨부도면 도9의 단계 N15에서 역방향 권취모터 (M12)를 정지시킨 다음 도9의 단계 N16에서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시계방향(CW)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때 정방향 권취모터(M11)가 구동되면, 이 정방향 권취모터(M11)에 설치되어 있는 차광판(40)이 함께 회전되면서 포토인터럽트(50)에 내장되어 있는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간이 'ON' 또는 'OFF' 상태로 전환되면서 제어부(60)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위' 또는 '하이레벨의 전위'가 출력된다.
즉, 차광판(40)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와 포토트랜지스터(PT) 사이를 통과하는 빛이 차단되면, 포토트랜지스터(PT)가 'OFF' 상태로 되면서 이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로부터 하이레벨의 전위가 검출되는 한편, 발광다이오드 (LED)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차광판(40)의 구멍(42)을 통해 포토트랜지스터(PT)의 베이스단자로 입사되면, 이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와 이미터단자 간이 도통상태로 되면서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단자의 전위가 로우레벨의 전위로 전환되면서 차광판(40)의 회전수에 따라 펄스파가 출력되면서 도9의 단계 N17에서 포토인터럽트(50)로부터 검출되는 펄스파를 카운트하여 제어부(60)에 내장되어 있는 카운트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60)는 도9의 단계 N18에서 도9의 단계 N12에서 카운트 되었던 메모리번지로부터 값을 읽어서 도9의 단계 N19에서 회전수와 메모리값을 서로 비교하여 서로 다른 경우에는 광고필름(30)이 정지위치에 위치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시계방향(CW)으로 연속해서 구동하면서 포토인터럽트(50)로부터 검출되는 회전수를 카운트 메모리에 가산하게 되는데, 회전수와 메모리값이 같아지게 되면, 도9의 단계 N20과 N21, N22에서 카운트 메모리를 클리어한 다음 정방향 권취모터(M11)를 정지시킨 후 메모리번지를 예컨대, -1 감산처리하여 메모리번지를 지정한 다음 도9의 단계 N23에서 소정시간동안 시간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때 광고필름(30)이 정지하여 있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광고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시간이 경과되면, 도9의 단계 N24에서 메모리번지가 예컨대, '0'번지인가를 비교판단하게 되는데, '0'번지가 아닌 경우 앞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되고, '0'번지인 경우 도9의 단계 N6으로 점프하여 광고필름(30)을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광고필름의 정지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고필름에 빈광고면 또는 광고하지 말아야 될 광고면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기존 광고필름의 측단에 형성되던 인식부를 배제시킬 수 있으므로, 유효공간의 점유율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공간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광고필름의 정지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광고필름(30)의 양쪽 끝에 설치되어 이 광고필름(30)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권취하는 정방향 권취모터(M11)와, 역방향 권취모터(M12)를 갖는 필름광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M11)와, 역방향 권취모터(M12)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회전축상에 설치되고 등각도로 배열된 다수의 구멍(42)을 갖는 차광판(40);
    상기 차광판(40)의 양쪽에 위치되어 상기 구멍(42)을 통해서 빛을 투과시키는 포토인터럽트(50);
    상기 포토인터럽트(5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파를 카운트하여 상기 광고필름 (30)의 위치를 연산처리한 다음 상기 정방향 권취모터(M11) 또는 역방향 권취모터 (M12)를 정지키거나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
    상기 광고필름(30)의 정지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지위치설정용 스위치 (SW1);
    상기 광고필름(30)을 광고모드 또는 설정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설정스위치(SW2);
    상기 역방향 권취모터(M12)에 의해 권취되는 광고필름(30)의 끝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근접스위치(LS1);
    상기 광고필름(30)의 역전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역전스위치(SW3);
    상기 정지위치 설정용 스위치(SW1) 또는 역전스위치(SW3)에 의해 설정된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광고장치.
KR2020000017952U 1999-10-11 2000-06-23 필름광고장치 KR200202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952U KR200202597Y1 (ko) 1999-10-11 2000-06-23 필름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768A KR20010036662A (ko) 1999-10-11 1999-10-11 필름광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017952U KR200202597Y1 (ko) 1999-10-11 2000-06-23 필름광고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768A Division KR20010036662A (ko) 1999-10-11 1999-10-11 필름광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597Y1 true KR200202597Y1 (ko) 2000-11-15

Family

ID=2663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952U KR200202597Y1 (ko) 1999-10-11 2000-06-23 필름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5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233B1 (ko) 2018-09-06 2019-08-01 오창훈 가변형 현수막 게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233B1 (ko) 2018-09-06 2019-08-01 오창훈 가변형 현수막 게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7949A (en) Hand-held instant bar code reader system with automated focus based on distance measurements
US4760428A (en) Image data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ape position of the same
JP3880564B2 (ja) モータ及びセンサによるカメラ回転駆動モジュール
KR200202597Y1 (ko) 필름광고장치
US4665318A (en) Recording medium mark detector
JPH0727450Y2 (ja) ズームレンズカメラの開放f値検出装置
KR20010036662A (ko) 필름광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4607950A (en) Mark detection apparatus for a micro-roll film
US5073790A (en) Position sensing device
US473622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rame position
US5732299A (en) Film transport device for a camera
US4644426A (en) Floppy disk drive apparatus
US4547820A (en) Floppy disk drive apparatus
JPS60233504A (ja) 紙サイズ検出装置
US5812894A (en) Photographic camera and method of and device for distinguishing condition of use of photographic film in film magazine
US4665445A (en) Floppy disk drive apparatus
KR102521129B1 (ko)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 시스템을 위한 유선통신 영상 인식 카메라의 역광차단장치
US5914745A (en) Electronic white board apparatus
JPH10254037A (ja) カメラのデータ読出し装置
JPH0445037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サイズ検知装置
JP3199920B2 (ja) カメラ
JPH06230449A (ja) バーコード読み取り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2601778Y2 (ja) テープ終端検出装置
KR0162117B1 (ko) 무접점방식의 칼라 플랩장치
JPH1090806A (ja) 原稿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