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167Y1 -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 - Google Patents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167Y1
KR200202167Y1 KR2020000013490U KR20000013490U KR200202167Y1 KR 200202167 Y1 KR200202167 Y1 KR 200202167Y1 KR 2020000013490 U KR2020000013490 U KR 2020000013490U KR 20000013490 U KR20000013490 U KR 20000013490U KR 200202167 Y1 KR200202167 Y1 KR 200202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eration tank
sewage
increasing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성
이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우대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우대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우대기술단
Priority to KR2020000013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1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과정에 사용되는 산기식 폭기조의 중간에 그물모양의 스크린을 설치하여 폭기조 하부의 분사노즐에서 부상하는 공기방울의 하수내 체류시간을 늘려 산소전달을 높임으로써 하수처리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기공급장치에 연결된 분사노즐(10)에 의해 폭기조(20) 바닥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이 공기가 부상되면서 하수층을 통과하는 동안 산소전달이 이루어져 하수를 처리하도록 된 산기식 폭기조(20)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0) 상부에 그물형태의 스크린(30)을 수평설치하여, 부상되는 공기의 속도를 이 스크린(30)에 의해 일시정지시켜 공기가 하수를 통과하는 시간을 늘려 산소전달을 높임으로써 하수처리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air rising restraint device of air blow type aeration tank}
본 고안은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과정에 사용되는 산기식 폭기조의 중간에 그물모양의 스크린을 설치하여 폭기조 하부의 분사노즐에서 부상하는 공기방울의 하수내 체류시간을 늘려 산소전달을 높임으로써 하수처리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성슬러지 공법에 사용되는 폭기장치는 유입하수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산소를 용해시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기능과 폭기조의 하수를 혼합시켜 폭기조 내부의 침전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다. 이에 사용되는 설비의 종류에는 크게 폭기조의 저면에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슬러지의 침전을 방지하도록 된 산기식 폭기장치와, 폭기조의 상부에서 하수를 나무막대 등으로 휘저어서 슬러지의 침전을 방지하는 기계식 폭기장치가 있다.
종래의 산기식 폭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장치에 연결된 분사노즐(10)에 의해 폭기조(20) 저면에서 공기를 방출하여 이 공기가 상향으로 하수층을 통과하는 동안 산소전달이 이루어져 하수가 처리되도록 한다.
산소전달 효율은 산기수단(6)의 유공성, 발생기포의 크기, 폭기조(20)의 깊이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폭기조(20)의 깊이를 깊게 하는 경우(심층식 폭기조)에는 산소전달효율은 좋으나 용존산소가 증가하여 침강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침강성의 저하를 막기 위해 폭기조(20)의 깊이가 커지지 않고 기포의 크기가 같은 상황에서 산소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공기의 하수내 체류시간(하수와 접촉시간)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수처리과정에 사용되는 산기식 폭기조의 중간에 그물모양의 스크린을 설치하여 폭기조 하부의 분사노즐에서 부상하는 공기방울의 하수내 체류시간을 늘려 산소전달을 높임으로써 하수처리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산기식 폭기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부상 억제장치를 구성하는 망사체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부상 억제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분사노즐 20. 폭기조
30. 스크린 32. 망사체
34. 연결재 36. 고정재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기공급장치에 연결된 분사노즐(10)에 의해 폭기조(20) 바닥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이 공기가 부상되면서 하수층을 통과하는 동안 산소전달이 이루어져 하수를 처리하도록 된 산기식 폭기조(20)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0) 상부에 그물형태의 스크린(30)을 수평설치하여, 부상되는 공기의 속도를 이 스크린(30)에 의해 일시정지시켜 공기가 하수를 통과하는 시간을 늘려 산소전달을 높임으로써 하수처리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를 구성하는 망사체의 평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공기부상 억제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는 그물모양의 스크린(30)을 폭기조(20) 내부에 설치하여 그 저면의 분사노즐(10)에서 부상하는 공기가 일시지연되어 그 하수내 체류시간이 늘어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모양의 다수개의 망사체(32)가 연결재(34)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며 고정재(36)에 의해 폭기조(20) 내부에 설치되는데, 폭기조(20)의 저면에 설치된 분사노즐(10)에서 부상하는 공기가 이 스크린(30)의 그물구조에 걸려서 일시정지함으로써 공기의 하수내 체류시간이 증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30)에 사용되는 소재는 철사보다는 나일론끈이 바람직하며, 그 소재의 굵기나 크기 등은 공기방울이 폭기조(20) 내부에서 잠시 정지되었다가 상승하는 부력이 증가함에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체류시간이 너무 길지 않도록 적당한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수평으로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망사체(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장자리가 약간의 경사를 가지고 아래쪽으로 굽도록 설계하여 상승하는 공기방울이 스크린(30)과 폭기조(20) 내부의 벽면 틈새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30)의 망사구조는 폭기조(20) 하부의 분사노즐(10)에서 발생하는 공기방울의 크기에 따라 그 간격을 보다 촘촘하게 형성하거나 다소 벌어지게 형성하도록 하며, 연결되는 망사체(32)의 갯수는 설치되는 폭기조(20)의 면적에 따라 각각 달라진다.
특히, 상기 스크린(30)은 소정의 사이즈를 갖는 그물모양의 망사체(32)가 연결재(34)에 의해 상호 수평으로 다수개 연결되어 모듈형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유지보수 및 공기방울의 부력 등에 의해 그 중앙부분이 위로 볼록해지는 등 원래의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는 하수처리과정에 이용되는 폭기조(20)의 내부에 설치된 그물모양의 스크린(30)에 의해, 폭기조(20) 하부의 분사노즐(10)에서 부상하는 공기가 일시정지하여 그 하수내 체류시간이 늘어나 산소전달을 높임으로써, 하수처리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는 폭기조 하부의 분사노즐에서 부상하는 공기가 폭기조 내부에 설치된 그물모양의 스크린에 의해 일시정지하여 그 하수내 체류시간을 늘려 산소전달을 높임으로써, 하수처리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공기공급장치에 연결된 분사노즐(10)에 의해 폭기조(20) 바닥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이 공기가 부상되면서 하수층을 통과하는 동안 산소전달이 이루어져 하수를 처리하도록 된 산기식 폭기조(20)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0) 상부에 그물형태의 스크린(30)을 수평설치하여, 부상되는 공기의 속도를 이 스크린(30)에 의해 일시정지시켜 공기가 하수를 통과하는 시간을 늘려 산소전달을 높임으로써 하수처리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
KR2020000013490U 2000-05-12 2000-05-12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 KR200202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90U KR200202167Y1 (ko) 2000-05-12 2000-05-12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90U KR200202167Y1 (ko) 2000-05-12 2000-05-12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167Y1 true KR200202167Y1 (ko) 2000-11-15

Family

ID=1965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490U KR200202167Y1 (ko) 2000-05-12 2000-05-12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1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08B1 (ko) 2011-01-25 2013-02-19 (주)으뜸산업 오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08B1 (ko) 2011-01-25 2013-02-19 (주)으뜸산업 오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6671A (en) Submersible aeration train and aeration apparatus f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sewage
KR100409056B1 (ko) 오수의호기성처리방법및처리조
JP5665307B2 (ja) 有機性排水処理装置および有機性排水処理方法
KR101921655B1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부유식 배출구와 선회접촉조를 이용한 원형 가압부상장치
KR200202167Y1 (ko) 산기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
US5811011A (en)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EP0112095A1 (en) Aqueous liquid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US6344147B1 (en) Flotation plant
JP2013505819A (ja) 汚水の生物学的浄化方法及び生物学的浄化装置
JP2004305916A (ja) 膜分離装置
ES2223076T3 (es) Sistema integral de tratamiento de aguas residuales con velocidad inducida de los fangos.
JPS6223596Y2 (ko)
KR200201224Y1 (ko) 순환식 폭기조의 공기부상 억제장치
KR102337714B1 (ko) 다중 수평채널을 이용한 기체용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체용해 방법
JP2007209908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JP4342687B2 (ja) 排水処理装置
JP4066455B2 (ja) 膜分離式活性汚泥処理装置
JP6448177B2 (ja) 好気嫌気兼用反応槽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3685236B2 (ja) 曝気槽
JPH02102792A (ja) 廃水処理装置
KR0127669Y1 (ko) 오폐수처리를 위한 산소공급장치
JP6562592B2 (ja) 好気嫌気兼用反応槽およびその運転方法
WO2007089080A1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JPH06343993A (ja) 海水における間欠空気揚水方法及び装置
AU618454B2 (en) Waste water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