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724Y1 - 헬멧용후부정류구 - Google Patents

헬멧용후부정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724Y1
KR200201724Y1 KR2019980005548U KR19980005548U KR200201724Y1 KR 200201724 Y1 KR200201724 Y1 KR 200201724Y1 KR 2019980005548 U KR2019980005548 U KR 2019980005548U KR 19980005548 U KR19980005548 U KR 19980005548U KR 200201724 Y1 KR200201724 Y1 KR 200201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rectifier
respect
wind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361U (ko
Inventor
게이슈 야나기하라
Original Assignee
박수안
주식회사한국 오.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안, 주식회사한국 오.지.케이 filed Critical 박수안
Priority to KR2019980005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724Y1/ko
Priority to TW087220320U priority patent/TW362380U/zh
Publication of KR199900393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3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7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헬멧을 써서 오토바이를 운전하면 풍압에 의해서 헬멧이 후방으로 끌어 당겨지는 듯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헬멧에 대하여 후부로 돌출하는 후부정류구를 취부한 것이 있으나, 이 취부는 리벳트나 나사 등에 의하여 행해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후부정류구의 교환이나 위치변경을 할수 없고, 후부정류구의 종류나 헬멧의 범용성도 제한되어 있었다.
본 고안의 헬멧용 후부정류구는 헬멧(2)의 후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서, 헬멧(2)의 후부에 발생하는 부압을 억제하는 상면부(15)를 가지되, 상면부(15)에는 그 좌우방향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전후로 향하여 돌출한 직진안정부(25)와, 좌우방향 양측에 요철을 이루는 박리유도부(26)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헬멧용 후부정류구 {REAR SPOILER FOR HELMET}
본 고안은 헬멧용의 후부정류구(後部整流具)에 관한 것이다.
오토바이용 등으로 사용되는 헬멧은 고속주행 등에 있어서 전방에서 강한 풍압이 작용하면 헬멧주위를 통과한 바람에 의해 헬멧본체의 후하부에 부압(난류)이 발생하여, 헬멧이 후방으로 끌어당겨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고, 이것은 운전자의 목근육에 큰 부담을 가하게 된다.
종래, 이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헬멧의 후부에 대하여 후부정류구(역방향바이저)를 취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미국 특허 제4,586,197호 참조).
이 후부정류구는 헬멧에 대하여 리벳트나 나사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완전히 고정되도록 취부하는 것이었다.
즉, 헬멧의 후방하단가장자리에 고정되어 그곳에서 후방상향으로 연장하여 헬멧의 후하부를 덮어서, 사용자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그 머리를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서 오토바이운전스피드에 맞춰서 각 스피드에 있어서 목근육이 가장 리랙스(relax)(목근육의 부담경감)하게 될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 종래의 후부정류구는 헬멧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취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후에 후부정류구를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여 분리할 수 없는 것이었다.
여기서 후부정류구를 분리할 수 없다는 것은 후부정류구의 파손시에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거나, 사용자(운전자)가 좋아하는 색상, 형태, 크기 등이 다른 후부정류구로의 교환, 또는 후부정류구를 분리한 상태, 즉 후부정류구를 갖지 않는 일반적인 헬멧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고정구조이면, 헬멧의 모자본체가 완전(파손되어 있지 않은) 하여도 후부정류구(역방향바이저)만이 파손되면 전체를 폐기하게 되고, 또한 헬멧에 대한 후부정류구의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운전자세나 주행속도의 평균영역, 풍향, 풍압 등의 각각의 조건에 따라 후부정류구의 위치를 미소하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후부정류구를 헬멧에 고정할 때에 리벳트나 나사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헬멧의 모자본체에 구멍을 뚫게 된다. 따라서 그 구멍만큼 헬멧의 강도를 높이는 것을 고려할 필요성이 생기고 헬멧자체의 코스트가 높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후부정류구를 당초부터 헬멧과 일체화하여 형성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헬멧의 종류가 많게 되고 제조코스트나 유통면에서 불리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측에서도 후부정류기능을 갖는 헬멧과, 일반형의 헬멧 2종류를 이것을 각각 사용하여야 필요가 생겨서 사용면 또는 경제면에서도 큰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제1목적은 헬멧에 대한 후부정류구의 분리를 간단, 신속 그리고 확실하게 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헬멧에 대한 후부정류구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헬멧을 사용조건에 따른 최적의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3목적은 후부정류구를 취부하는 것으로 할 때에 헬멧에 대하여 특별하게 강도를 높이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4목적은 후부정류기능을 갖는 헬멧과 그 기능을 갖지 않는 헬멧을 별도로 제조할 필요성이 없도록 하여, 그 제조코스트나 유통면에서의 문제를 해소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5목적은 사용자측에 있어서 헬멧에 후부정류기능을 갖게 하거나 갖지 않게 하는 것이 귀찮거나 경제적 부담을 거의 주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6목적은 헬멧을 주행방향에 대하여 똑 바르게 안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후부정류구에 의한 최종적인 바람박리를 양호하게 하여 전체적인 공기저항을 저하시킬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구비하였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헬멧용 후부정류구에서는 헬멧의 후부에 발생하는 부압(난류)을 억제하는 상면부(天面部)를 갖는 후부정류구(역방향바이저)를 모자본체후부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헬멧으로부터의 분리를 간단,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당초부터 헬멧으로부터 후부정류구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분리는 후부정류구 그리고 헬멧에 모두 손상을 입히지 않고 확실하게 행할수 있고, 기존의 헬멧에 대하여도 후부정류구의 장착이 가능하게 되고 운전자의 머리근육에 부담을 주는 것을 적게 한다.
후부정류구를 헬멧후부에 장착하는 구조는 접착제나 점착제 등의 점착부재를 이용하여 행하면 헬멧에 후부정류구의 위치가 특정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후부정류구의 위치를 헬멧의 사용조건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세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점착부재로서는 양면점착테이프를 이용할수도 있고 이것을 후부정류구측에 점착하여 놓으면 후부정류구를 헬멧에 취부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이 후부정류구에 채용하는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헬멧의 후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상면부와, 그 상면부의 하부에 하방으로 뻗은 배면부를 갖게 한 것으로 한다. 또한 상면부 및 배면부의 외주부에 대하여 헬멧후부의 곡면에 따라 밀착하는 당접가장자리부를 설치하여 그 가장자리부를 헬멧후부에 대하여 착탈부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헬멧에 대한 후부정류구의 취부상태를 밀착되게 할 수가 있고, 이 경우 당접가장자리부를 선형상으로 하고, 또한 상면부 및 배면부주위에서 무한으로 되고, 취부면적이 크게 되는 점에서 그 취부강도를 강하게 할수 있으며 동시에 외관적으로도 헬멧과의 일체감을 느낄수 있게 된다.
더구나 당접가장자리부가 무한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후부정류구와 헬멧의 사이(후부정류구의 내측)에 바람이 들어가지 않게 되고, 본체의 후부에 장착한 후부정류부가 운전중(사용중)에 헬멧에서 이탈하는 것도 없게 된다.
상면부나 배면부를 얇은 수지제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외주의 당접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가소성 및/또는 탄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헬멧에 대하여 후부정류구의 장착개소를 변경할 필요성이 생긴 경우에도 본체의 후부곡면을 따라 상기 당접가장자리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후부정류구로서 헬멧에 대한 장착위치의 위치변경등이 소정범위내에서 가능하게 된다.
이 것은 예를 들면 헬멧의 사용목적(예를 들면 오토바이승차시에 사용하거나 4륜차 승차시에 사용하느냐의 운전자세가 다른 경우 등)이 다름에 따라서 후부정류구의 장착위치를 변경하는 것이나, 장착대상으로 하는 헬멧자체를 변경하는 것 등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후부정류구로서는 원래 운전자의 목근육에 대한 부담이 적은 헬멧으로서의 범용성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면부와 배면부를 후방상방으로 경사한 연결판부를 설치하도록 하면, 상면부의 후단부를 예각으로 형성할수 있게 되고, 그 만큼 바람박리를 양호하게 할수 있고, 공기저항의 감소화에 유익하게 되며, 바람의 흐름에 따른 부압화(負壓化)를 억제할수 있다.
또한 상면부는 헬멧상부를 통과하는 바람을 노면과 대략 평행하게 하는(바람의 흐름을 수평면으로 하는) 각도로 헬멧에 장착가능하게 해 두는 것도, 바람박리를 양호하게 할수 있게 되고, 공기저항 및 본체후부에서의 부압화의 감소에 유익하게 된다.
이 때, 헬멧에 대한 후부정류구의 취부자세는, 헬멧단일체에 대한 각도를 문제로 하는 것이 아니고, 헬멧의 사용자가 실제의 운전자세로 된 때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레이싱용 오토바이를 운전하는 경우이면 운전자는 약간 하향의 자세로 되기 때문에 그 상황에 있어서 후부정류구의 상면부가 노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헬멧에 대한 후부정류구의 취부자세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상면부에 대하여, 적어도 그 좌우방향중앙부에 길이방향을 전후로 향해 돌출하는 직진안정부를 설치하여 두면, 그 직진안정부의 양측을 통하는 바람에 의해서 헬멧을 주행방향에 대하여 똑 바르게 안정시킬수가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그 상면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양측에 그 전후방향에 요철을 이루는 박리유도부를 설치하여 두면 작은 바람박리를 각 박리유도부에서 생기게 할수 있고, 그 만큼 상면부의 후단부에서 생기는 최종적인 바람박리를 양호하게 하여 전체적인 공기저항을 저하시킬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작용을 하는 후부정류구를 본체에 장착하는 것으로써 기존의 헬멧 및 새로운 헬멧에 관계없이 운전자의 목근육에 부담을 가하지 않는 헬멧을 제공할수 있다.
또한 전술한 작용을 갖는 후부정류구를 본체의 후부에 일체화하여 장착한 헬멧으로 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고안의 후부정류구를 헬멧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헬멧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부정류구의 제1실시형태를 벤츄레타기능이 있는 헬멧에 장착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2에 대응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제1실시형태의 후부정류구에 있어서 헬멧에의 장착구조(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한 것)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제1실시형태의 후부정류구를 그 이면(裏面)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2와는 다른 일반형 헬멧을 오토바이승차시에 이용할 때에 그 헬멧의 가장 적절한 위치에 제1실시형태의 후부정류구를 장착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7에 도시한 일반형 헬멧을 4륜차승차시에 이용할 때에 그 헬멧의 가장 적절한 위치에 제1실시형태의 후부정류구를 장착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형태의 후부정류구를 도2에 도시한 벤츄레타기능이 있는 헬멧에 장착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형태의 후부정류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후부정류구 2: 헬멧
15: 상면부(天面部) 16: 배면부
17: 연결판부 22: 당접가장자리부
23: 점착부재 25: 직진안정부
26: 박리유도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후부정류구(1)의 제1실시형태를 헬멧(2)에 장착하여 각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그 후부정류구(1)를 그 이면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 후면정류구(1)는 적용가능한 헬멧(2)의 형체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1실시형태에서는 벤츄레타기능 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후부정류구(1)의 취부공간이 제한되어 있는 헬멧(2)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면들의 헬멧(2)은 풀 훼이스(full face)형이고, 또한 오토바이용으로 된 것으로 본체(2a)의 정면영역에서 꼭대기영역에 걸친 복수개소에 슬라이드조작용의 손잡이(3a)(4a)(5a)를 갖는 셔터장치(3)(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꼭대기측의 셔터장치(5)의 후부와, 본체(2a)의 하부후방의 양측부 등에 공기배출공(6)(7)이 설치되어 있다. 그 외, 실드(8)의 힌지부(9)의 가까운 부분에는 그 실드(8)를 힌지부(9)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거나 고정하는 조작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헬멧(2)에 있어서, 상기 후부정류구(1)는 꼭대기측의 셔터장치(5)의 후부측, 즉 본체(2a)의 후하부에 장착된다.
이 후부정류부(1)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후부정류구(1)는 상기 장착위치에서 헬멧(2)의 후방으로 뻗도록 설치되는 본체(2a)의 후하부에 발생하는 부압(난류)를 억제하기 위한 상면부(15)와, 이 상면부(15)의 하부에 하방으로 뻗는 배면부(16)와, 이들 상면부(15)와 배면부(16)의 상하사이를 접속하는 연결판부(17)와, 상면부(15)와 연결판부(17)의 좌우양측부사이를 접속하는 측면부(18)를 갖고 있다.
이들 상면부(15), 배면부(16), 연결판부(17), 및 좌우의 측면부(18)는 모두 두께가 1mm 정도로 얇게 되어 있고, 또한 각각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서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후부정류구(1) 전체로서는 얇은 셀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a)의 후하부에 장착한 때에 내부에 공동부(1A)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때문에 후부정류구(1)를 분리할 때 공동부(1A)에 의해서 분리가 경쾌하게 된다.
상면부(15)는 평면상에서 본 형상(도3참조)이 야구모자의 차양과 비슷한 형상을 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15)는 후부정류구(15)가 헬멧(2)에 장착된 때에 있어서, 그리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멧(2)의 사용자가 실제로 오토바이를 운전하는 자세에 있을 때에, 그 상면부(15)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바람의 방향을 노면과 대략 평행(즉, 수평면)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고려하여, 그 장착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상면부(15)의 바람의 박리점이 가급적으로 후방측으로 되고, 본체(2a) 후부에 발생하는 부담이나 난류를 억제하고, 헬멧(2)에 대한 공기저항을 작게 할수 있음과 동시에, 바람속에서의 헬멧(2)의 안정성을 높일수 있고, 그와 같은 이유로 운전자의 목근육에 대한 부담이 경감된다.
연결판부(17)는 배면부(16)의 상부가장자리부에서 상면부(15)의 후방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후부정류구(1)를 측면에서 본 때에 상면부(15)의 후단부가 예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면부(15)로부터의 바람의 박리를 양호하게 한다.
또한 상기 배면부(16)는 이것을 후측에서 전방측으로 본 형상(도4참조)이 역마름모형상을 한 것으로 되고, 측면부(18)는 이 것을 측면에서 본 형상(도2참조)이 삼각형형상을 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15)에 있어서 헬멧(2)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길이나, 상면부(15)와 연결판부(17)의 교차각, 측면부(18)의 상하방향치수등은 고속주행중에 있어서 운전자가 횡방향을 향할 때(커브주행중을 포함한다) 또는 직진시에 강한 횡방향 바람을 받을 때 등에 큰 공기저항이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면부(15)나 배면부(16)등은 모두 헬멧(2)의 후부곡면을 따라 접선적인 연결이 얻어지도록 입체적인 커브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면부(15), 배면부(16) 및 좌우의 측면부(18)의 각 외부가장자리부의 연결로서 형성되는 후부정류구(1)의 외주부에는 그 내면측에 헬멧(2)의 후부곡면을 따라 선접촉(밀착하는)이 가능하게 되는(즉, 간극이 생기지 않는 당접상태로 되는) 당접가장자리부(22)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당접가장자리부(22)는 후부정류구(1)의 전체에 걸쳐서 무한(endless)으로, 즉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당접가장자리부(22)에는 헬멧(2)에의 장착에 이용되는 점착부재(23)가 설치되고, 이것이 헬멧(2)에 대한 탈착부가 된다. 이 점착부재(23)로서는 가는 테이프형상으로 형성된 양면 점착테이프를 미리 당접가장자리부(22)에 점착하여 놓고, 후부정류구(1)를 헬멧(1)에 장착할 때까지 표면의 보호시트(도시생략)를 붙여 놓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점착부재(23)는 후부정류구(1)를 헬멧(1)에 장착할 때에 이들 양자사이에 점착시켜도 좋다. 그리고 점착부재(23)로서는 양면접착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나 점착제 등을 직접 당접가장자리(22) 등에 도포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상면부(15)에는 적어도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전후로 향하게 돌출하는 직진안정부(25)와, 이 직진안정부(25)의 좌우양측에 전후방향으로 계단형상의 요철을 이루는 복수의 박리유도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직진안정부(25)에 의해 바람의 흐름방향으로 직진적으로 안내하고, 바람중의 헬멧(2)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얻어지고, 그 때문에 직진안정부(25)는 중앙부뿐만 아니라 좌우양측에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박리유도부(26)에 의해 미리 작은 바람박리를 유발시켜 놓으면 상면부(15)의 후단에서의 최종적인 바람박리를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면부(15), 배면부(16), 연결판부(17) 및 좌우의 측면부(18)의 각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나 강도적으로 필요정도로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얇게 하여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후부정류구(1)를 제조하기 위하여 채용할 수 있는 성형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나, 진공성형법 또는 압축공기성형법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성형법이면 두께를 1mm 정도로 하거나 또는 그 이하로 하는 것도 간단하고 복잡한 입체형상의 성형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고정밀도로 제조비용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각종 이점이 얻어진다.
이 후부정류구(1)는 상기와 같이 양면 점착테이프 등의 점착부재(23)를 이용하여 헬멧(2)에 장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헬멧(2)에 대하여 후부정류구(1)를 취부한 후에도 후부정류구(1)를 헬멧(2)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면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후부정류구(1)의 파손시에 있어서 신품으로의 교환이나,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색상, 형태, 크기 등이 다른 별도의 후부정류구(1)와의 교환, 또는 후부정류구(1)를 분리한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 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헬멧(2)에 대하여 후부정류구(1)의 위치를 임의로 선택,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세나 주행속도의 평균영역, 풍향, 풍압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 최적의 위치로 후부정류구(1)를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후부정류구(1)를 투명수지(반투명을 포함)로 함으로써 후부정류구(1)의 표면에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점착되는 스티커 등을 눈의 띄게 할 수 있다.
도7 및 도8은 상기 제1실시형태의 후부정류구(1)를 벤츄레타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일반형의 풀 훼이스(full face)형 헬멧(2)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헬멧(2)의 후부에 있어서 후부정류구(1)의 취부스페이스에 어떤 제한도 없는 경우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바이용에 바람직한 장착상태로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사용상태(예를 들어 4륜차용)로 하여, 후부정류구(1)의 장착위치를 헬멧(2)의 꼭대기부근에 가깝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후부정류구(1)가 수지제이고 그 두께가 얇은 것이기 때문에 소정범위에서의 가소성 및 탄성을 갖고 있어서 헬멧(2)에 대한 형상적 변형이 가능하여 그 위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후부정류구(1)의 제2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실시형태의 후부정류구(1)는 상면부(15)를 주체로 하여 형성된 것으로 배면부(16), 연결판부(17), 측면부(18)는 거의 없는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트형 헬멧 등(도시생략)에 있어서 그 정면부에 취부할 수 있는 바이저(도시생략)와 매우 비슷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 후부정류구(1)를 헬멧(2)에 장착하는 구조에는 점착부재(23)를 채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트형 헬멧 등의 정면부에 바이저를 취부할 때에 이용되는 것과 같은 호크(30)에 의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물론 이 호크(30)에 의한 장착구조에서도 헬멧(2)에 대한 착탈이 간단하게 행해질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부재(양면 점착테이프를 포함한다)를 이용하여도 좋다.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후부정류구(1)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3실시형태는 상면부(15)에 대하여 좌우 양측에 다수의 구형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를 박리유도부(26)로 하고 있다는 점이 제1실시형태와 다른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직진안정부(25)나 박리유도부(26)의 세부구조 및 그들 유무자체를 포함하여, 후부정류구(1)로서의 세부외부형상이나 재질, 헬멧(2)에 대한 장착구조 등은 전기 각 실시형태이외로도 변경, 치환 등이 가능하다.
후부정류구(1)를 헬멧(2)에 장착하는 구조로서 면후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점착부재(23)로서 한쪽면 점착테이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헬멧(2)에 대하여 후부정류구(1)를 소정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후부정류구(1)의 외주부모서리의 외면과 헬멧(2)의 외면사이에 한쪽면 점착테이프를 점착하여도 된다.
후부정류구(1)가 장착대상으로 하는 헬멧으로서, 그 형식(제트형 등), 사용목적, 및 기존의 것 또는 신품 등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전술한 구성의 후부정류구(1)를 본체(2a)의 후하부에 일체로 장착한 헬멧이어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헬멧용 후부정류구는 헬멧에 대한 후부정류구의 분리가 간단, 신속 그리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상면부(15)에 그 좌우방향중앙부에 길이방향을 전후로 하여 돌출한 직진안정부(2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직진안정부(25)의 양측을 통하는 바람에 의해서 헬멧을 주행방향에 대하여 똑 바르게 안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면부(15)에 좌우방향양측에 요철을 이루는 박리유도부(2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바람박리를 각 박리유도부(26)에서 생기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상면부(15)의 후단부에서 생기는 최종적인 바람박리를 양호하게 하여 전체적인 공기저항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헬멧에 대한 후부정류구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되고, 헬멧의사용조건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세팅할 수 있다.
그리고 후부정류구를 취부할 때에 헬멧에 대하여 특별하게 강도를 높이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헬멧으로서, 후부정류기능을 갖게 한 종류와 갖게 하지 않은 종류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제조코스트나 유통면에서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측에서 헬멧에 후부정류기능을 갖게 하든지 갖게 하지 않든지를 선택할 수 있고 귀찮음과 경제적 부담을 거의 수반하지 않는다.
그리고 후부정류구를 본체의 후부에 장착(본체와 일체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한 헬멧은 운전자의 목근육에 큰 부담을 가하지도 않는다.

Claims (4)

  1. 헬멧(2)의 후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는 헬멧용 후부정류구에 있어서,
    헬멧(2)의 후부에 발생하는 부압을 억제하는 상면부(15)를 가지되, 상면부(15)에는 그 좌우방향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전후로 향하여 돌출한 직진안정부(25)와, 좌우방향 양측에 요철을 이루는 박리유도부(2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후부정류구.
  2. 제1항에 있어서, 헬멧(2) 후부에의 장착이 점착부재(23)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후부정류구.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상면부(15)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된 배면부(16)를 갖고 있고, 이들 상면부(15)와 배면부(16)의 외주부에는 헬멧(2)의 후부곡면을 따라 밀착하는 당접가장자리부(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당접가장자리부(22)가 헬멧(2)의 후부에 대한 착탈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15) 및 배면부(16)가 얇은 수지제에 의해 형성되어 당접가장자리부(22)가 헬멧(2)에 대하여 장착개소의 변경이 가능한 정도의 가소성 및 탄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후부정류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5)와 배면부(16)가 후방상향으로 경사진 연결판부(17)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상면부(15)의 후단부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부(15)가 헬멧(2)의 상부를 통과하는 바람을 대략 수평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각도로 헬멧(2)에 장착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후부정류구.
KR2019980005548U 1998-04-09 1998-04-09 헬멧용후부정류구 KR200201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548U KR200201724Y1 (ko) 1998-04-09 1998-04-09 헬멧용후부정류구
TW087220320U TW362380U (en) 1998-04-09 1998-12-07 Air flow adjusting rear member of the helm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548U KR200201724Y1 (ko) 1998-04-09 1998-04-09 헬멧용후부정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361U KR19990039361U (ko) 1999-11-05
KR200201724Y1 true KR200201724Y1 (ko) 2000-11-01

Family

ID=1953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548U KR200201724Y1 (ko) 1998-04-09 1998-04-09 헬멧용후부정류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1724Y1 (ko)
TW (1) TW36238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169B1 (ko) 2007-10-04 2013-12-26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헬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169B1 (ko) 2007-10-04 2013-12-26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361U (ko) 1999-11-05
TW362380U (en) 199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6128A (en) Air flow adjusting rear member of the helmet
JP4311691B2 (ja) ヘルメット用ウエイクスタビライザ及びヘルメット
JPH10229998A (ja) ゴーグル
JP3756257B2 (ja) 自動二輪車の風防装置
US4354285A (en) Face shield and helmet
US20070250994A1 (en) Goggle having flexible headband attachment arms fixedly attached to a goggle frame
KR200201724Y1 (ko) 헬멧용후부정류구
JP4006717B2 (ja) 眼鏡
JP3050720U (ja) ヘルメット用後部整流具及び後部整流具を備えたヘルメット
WO1991017468A1 (en) Eyewear
JP2006327281A (ja) タイヤのフェアリング装置
US6889391B1 (en) Safety visor
CN215270846U (zh) 一种摩托车头盔
JP3838706B2 (ja) ゴーグル
JP3704896B2 (ja) 自動二輪車のバックミラー装置
US6217100B1 (en) Windshield unit for a motor vehicle
JPH0123905Y2 (ko)
JPS6324083B2 (ko)
CN210630707U (zh) 一种高弹塑头盔尾翼
CN218790795U (zh) 一种吸盘式双镜片
WO2010140172A1 (en) Accessory kit for helmet
JP3903946B2 (ja) バックミラー装置
CN211166681U (zh) 一种改变气流或者雨水分流的后视镜连接结构
CN212828117U (zh) 一种可拆卸的车辆碳纤维镜罩
US20070083966A1 (en) Helmet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