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525Y1 -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 - Google Patents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525Y1
KR200201525Y1 KR2020000015263U KR20000015263U KR200201525Y1 KR 200201525 Y1 KR200201525 Y1 KR 200201525Y1 KR 2020000015263 U KR2020000015263 U KR 2020000015263U KR 20000015263 U KR20000015263 U KR 20000015263U KR 200201525 Y1 KR200201525 Y1 KR 200201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bracket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광
Original Assignee
강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광 filed Critical 강영광
Priority to KR2020000015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5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1) 상부에 결합지지되고 중앙에 초(24)가 위치되는 브라켓(6)과, 연장부(11) 일단에 힌지구멍(12)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6)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초(24)의 일측에 밀착지지되는 소화부(13)가 형성된 소화부재(10)와, 브라켓(6) 상에 고정지지되는 결합부(18)와 결합부(18)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소화부(13)에 대응되는 초(24)의 타측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0)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7)와, 일단이 소화부재(10)의 연장부(11)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이 브라켓(6) 일측에 지지되어 소화부재(10)의 소화부(13)를 초(24) 일측으로 탄성밀착시키는 비틀림스프링(16)으로 이루어진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초(24)가 연소되어서 그 길이가 초(24)의 일측에 탄성지지된 소화부재(10)의 소화부(13)까지 줄어들면 소화부(13)에 의해 탄성지지된 고체의 백랍 부분이 용융되면서 연약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비틀림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소화부재(10)의 소화부(13)가 회동되면서 용융상태의 백랍 및 심지를 훑고 지나가게 되어 촛불이 소화되므로, 점화된 상태의 초(24)가 일정 길이 이하로 줄어들면 소화부재(10)에 의해 자동으로 소화되어 화재의 위험을 차단시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candle-light fire extinguishing structure of hanging hantern}
본 고안은 등롱(燈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가 적정길이 이하로 타들어가면 촛불을 자동으로 소화시킬 수 있는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롱은 갓과, 갓 내부에 위치되는 초와, 갓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초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등롱은 전기가 공급되기 어려운 장소에 주로 구비되며, 무속인들이 제사를 지낼때 주위를 밝히는데 주로 사용된다.
초는 고형의 백랍(白蠟)과 백랍 중앙의 심지로 이루어지는데, 초가 점화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백랍 및 심지가 타들어가면서 초의 길이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초가 적정길이 이하로 줄어들면 이를 신속히 소화시켜야 하는데, 촛불에 의해 백랍이 거의 다 녹으면 심지가 백랍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쓰러지게 되고, 이에 따라 촛불이 주변의 인화물질에 옮겨 붙게 되어 화재의 위험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초가 적정길이 이하로 타들어가면 촛불을 자동으로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는, 하부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구비된 갓과, 상기 갓 내부에 위치된 초로 이루어진 등롱에 있어서, 받침대 상부에 결합지지되고 중앙에 초가 위치되는 브라켓과, 연장부 일단에 힌지구멍이 형성되어 브라켓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초의 일측에 밀착지지되는 소화부가 형성된 소화부재와, 브라켓 상에 고정지지되는 결합부와 결합부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소화부에 대응되는 초의 타측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일단이 소화부재의 연장부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이 브라켓 일측에 지지되어 소화부재의 소화부를 초 일측으로 탄성밀착시키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초가 연소되어서 그 길이가 초의 일측에 탄성지지된 소화부재의 소화부까지 줄어들면 소화부에 의해 탄성지지된 고체의 백랍 부분이 용융되면서 연약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비틀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소화부재의 소화부가 회동되면서 용융상태의 백랍 및 심지를 훑고 지나가게 되어 촛불이 소화되므로, 점화된 상태의 초가 일정 길이 이하로 줄어들면 소화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소화되어 화재의 위험을 차단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 등롱을 보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부분 측단면도
도4는 촛불이 소화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 3 ; 갓
6 ; 브라켓 10 ; 소화부재
11 ; 연장부 13 ; 소화부
14 ; 힌지볼트 17 ; 지지부재
18 ; 결합부 20 ; 지지부
21 ; 조절볼트 24 ; 초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 및 도2에서, 등롱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반구형 공간이 형성된 받침대(1)가 구비된다. 받침대(1) 양측에는 수나사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볼트(8)가 매입되어 있고, 받침대(1) 상에는 양측이 두 고정볼트(8)에 끼워지도록 브라켓(6)이 위치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볼트(8)의 수나사부에 고정너트(9)가 체결되므로 받침대(1) 상에 브라켓(6)이 고정지지된다.
이러한 브라켓(6) 중앙에는 초(24)가 위치되고, 초(24) 일측의 브라켓(6) 사에는 소화부재(10)가 결합되어 있으며, 초(24) 타측의 브라켓(6) 상에는 지지부재(17)가 결합되어 초(24)의 타측면을 지지하고, 소화부재(10)와 브라켓(6) 사이에는 비틀림스프링(16)이 구비되어서 소화부재(10)의 일측을 초(24) 측면에 밀착지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소화부재(10)는 단부에 힌지구멍(12)이 형성된 연장부(11)와 연장부(11) 타단에 형성되고 초(24)의 외주면 일측에 탄성지지되는 원판 형상의 소화부(13)로 이루어진다. 소화부재(10)의 힌지구멍(12)은 받침대(1) 일측에 고정지지된 힌지볼트(14)에 끼워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힌지볼트(14)에 결합너트(15)가 체결되어서 힌지볼트(14)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된다.
한편 힌지볼트(14)에는 비틀림스프링(16)이 결합되며, 비틀림스프링(16)의 일단은 소화부재(10)의 연장부(11)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은 브라켓(6) 일측에 지지되어 소화부(13)를 초(24)의 측면측으로 탄성지지시키게 된다.
지지부재(17)는 브라켓(6)에 밀착지지되는 결합부(18)가 구비되고, 이 결합부(18)에는 브라켓(6)의 관통구멍(7)이 위치되도록 긴 길이의 고정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18) 일측에는 초(24)의 일측 외주면에 지지도도록 지지부(20)가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라켓(6)의 관통구멍(7)과 지지부재(17)의 고정홈(19) 사이에는 조절볼트(21) 및 조절너트(22)가 체결되어서 지지부재(17)를 브라켓(6) 상에 고정시키기도 하며, 초(24)의 굵기에 따라 지지부재(17)의 세팅 위치를 조절하기도 한다.
한편 받침대(1) 상부에 결합지지되는 갓(3)은 받침대(1) 둘레의 결합홈(2)에 결합되도록 하단 둘레에 결합턱(5)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둘레에는 벨로우즈부(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는,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틀림스프링(16)이 탄성변형되도록 소화부재(10)의 소화부(13)를 회전시키고 소화부재(10)의 소화부(13)와 지지부재(17)의 지지부(20) 사이, 즉 브라켓(6) 중앙에 초(24)를 위치시키고, 당기고 있던 소화부재(10)를 놓으면 비틀림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소화부(13)가 초(24)의 일측을 밀게 되며, 이때 초(24)는 소화부(13)와 지지부(20) 사이에 밀착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초(24)가 계속 점화되어 소화부(13) 위치까지 타들어가면 고형의 백랍이 용융되면서 소화부(13)에 의해 눌린 부분이 연약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틀림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소화부(13)가 회동된다.
따라서 소화부(13)가 회동되면서 액상의 백랍 및 점화상태의 심지를 훑고 지나가게 되는바, 회전되는 소화부(13)는 심지를 누르면서 액상의 백랍을 긁어 내므로 심지로 흡수되는 것을 차단시키므로 촛불이 소화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24)가 연소되어서 적정길이 이하로 줄어 들게 되면 소화부재(10)가 회전되어서 촛불을 소화시키게 되므로 초(24)가 끝까지 타들어가면서 주변의 인화물질에 불꽃이 옮겨 붙는 종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에 의하면, 초(24)가 연소되어서 그 길이가 초(24)의 일측에 탄성지지된 소화부재(10)의 소화부(13)까지 줄어들면 소화부(13)에 의해 탄성지지된 고체의 백랍 부분이 용융되면서 연약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비틀림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소화부재(10)의 소화부(13)가 회동되면서 용융상태의 백랍 및 심지를 훑고 지나가게 되어 촛불이 소화되므로, 점화된 상태의 초(24)가 일정 길이 이하로 줄어들면 소화부재(10)에 의해 자동으로 소화되어 화재의 위험을 차단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부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구비된 갓과, 상기 갓 내부에 위치된 초로 이루어진 등롱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 상부에 결합지지되고 중앙에 초(24)가 위치되는 브라켓(6)과,
    연장부(11) 일단에 힌지구멍(12)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6)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초(24)의 일측에 밀착지지되는 소화부(13)가 형성된 소화부재(10)와,
    상기 브라켓(6) 상에 고정지지되는 결합부(18)와 상기 결합부(18)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소화부(13)에 대응되는 초(24)의 타측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0)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7)와,
    일단이 상기 소화부재(10)의 연장부(11)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브라켓(6)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소화부재(10)의 소화부(13)를 초(24) 일측으로 탄성밀착시키는 비틀림스프링(1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
KR2020000015263U 2000-05-30 2000-05-30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 KR200201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263U KR200201525Y1 (ko) 2000-05-30 2000-05-30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263U KR200201525Y1 (ko) 2000-05-30 2000-05-30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525Y1 true KR200201525Y1 (ko) 2000-11-01

Family

ID=1965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263U KR200201525Y1 (ko) 2000-05-30 2000-05-30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5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144A (ko) 2020-05-04 2021-11-12 박유빈 스크류 형태의 브라켓을 활용한 2중 촛불 자동 소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144A (ko) 2020-05-04 2021-11-12 박유빈 스크류 형태의 브라켓을 활용한 2중 촛불 자동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1914A (en) Candlewick
US5193994A (en) Candle with a floating wick support
MXPA01005339A (es) Soporte de pabilo anti flamazo.
CN1278319A (zh) 低位燃烧蜡烛
JPS59211906A (ja) 液体燃料燃焼式ランプ用芯保持具
US4818214A (en) Device for extinguishing the flame of a candle
US59613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uel flow to a candle wick
US3885905A (en) Candle with automatic snuffer
KR19990054796A (ko) 안전양초
US20030064340A1 (en) Flame-resistant sheet with candle wick support
KR200201525Y1 (ko) 등롱의 촛불 소화구조
KR102173270B1 (ko) 친환경 양초의 구조체
KR200436958Y1 (ko) 유리보호관을 구비한 양초
KR200436959Y1 (ko) 유리보호관을 구비한 양초
KR200450973Y1 (ko) 초 타입 램프
KR910000029Y1 (ko) 장식 촛대용 양초 절약 장치
KR200352943Y1 (ko) 안전구조를 갖춘 양초
JP2009212001A (ja) 燭台
KR100360002B1 (ko) 향꽂이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양초꽂이대
KR200382417Y1 (ko) 부탄가스를 이용한 초
JPH0520914A (ja) スポツトライト
JPH10255502A (ja) 中径ロウソクの着火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燃焼補助蝋塊
KR200375629Y1 (ko) 초를 이용한 조명기구
KR200222557Y1 (ko) 자동 점화 양초
JP2005034586A (ja) 灯明付渦巻状線香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