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323Y1 - 다목적 아기 캐리어 - Google Patents

다목적 아기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323Y1
KR200201323Y1 KR2020000016909U KR20000016909U KR200201323Y1 KR 200201323 Y1 KR200201323 Y1 KR 200201323Y1 KR 2020000016909 U KR2020000016909 U KR 2020000016909U KR 20000016909 U KR20000016909 U KR 20000016909U KR 200201323 Y1 KR200201323 Y1 KR 200201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baby
baby carrier
frame
back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링컨통상
곽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링컨통상, 곽주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링컨통상
Priority to KR2020000016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아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절곡형성된 바디프레임과, 바디프레임에 탈거·부착되는 배낭으로 이루어진 아기 캐리어에 있어서;
바디프레임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회동바퀴와;
바디프레임 몸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구 및
일단은 고정구에 절첩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회동가능하게 회동바퀴가 체결된 절첩프레임을 구비하여 보통 때에는 아기 백캐리어로 사용하여 어깨에 메고 다니다가 평지에서는 유모차로서 별도의 도구사용 없이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고 실내에서는 보행기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필요한 용도에 따라 여러 기구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없이 아기 캐리어 하나만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아기 캐리어{multipurpose baby carrier}
본 고안은 다목적 아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아기 캐리어의 하단에 회동바퀴를 부착하고 절첩되는 다단의 손잡이를 형성하며 하단에 발받이부를 형성함으로써 보통 때에는 아기 백캐리어로 사용하다가 평지에서는 유모차로서 별도의 도구사용 없이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고 실내에서는 보행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조작이 간편한 다목적 아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 캐리어로는 아기 백캐리어(back carrier)나 유모차 등이 이용되는데, 아기 백캐리어(이하, 아기 배낭이라 함)는 비교적 저가로, 아기를 알루미늄 재질의 뼈대로 된 배낭으로 메고 다니다가 목적지에 이르러서는 알루미늄 프레임을 한 곳에 고정시켜 세워 두는 것으로, 이때, 아기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배낭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있게 되면 아기는 사타구니에 아픔을 호소하며 울게 되고 이에 따라 아기 엄마는 아기를 아기 배낭에서 빼어 내 안고 있어야 되는 불편이 있었다.
유모차는 고가로, 차양이나 바람막이, 비막이, 모기장 등의 시설이 되어 있어 아기가 안락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어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평지나 약간의 경사로에서나 사용이 가능하지, 계단이나 전철 또는 버스를 승차할 때에는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아기 배낭이나 유모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행기로의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서, 보통 때에는 아기 배낭으로 사용하다가 평지에서는 유모차로서 별도의 도구사용 없이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고 실내에서는 보행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조작이 간편한 다목적 아기 캐리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절곡형성된 바디프레임과, 바디프레임에 탈거·부착되는 배낭으로 이루어진 아기 캐리어에 있어서;
바디프레임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회동바퀴와;
바디프레임 몸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구 및
일단은 고정구에 절첩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회동가능하게 회동바퀴가 체결된 절첩프레임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고정구에는 고정구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볼 스프링에 의해 다단으로 절첩되는 손잡이프레임을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의 하단에는 바디프레임 하측 양단에 형성된 요추지지대와; 통공을 갖고 바디프레임 하단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돌기와; 판체로 형성되어 양단에 내측으로 가이드요홈이 길게 형성된 발받침대 및 지지돌기의 통공을 통해 발받침대의 가이드요홈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서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예로, 배낭으로 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예로, 보행기 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예로, 유모차로 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유모차로 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발받침대의 보관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발받침대의 사용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기 캐리어 10 ; 바디프레임
12, 12' ; 회동바퀴 14 ; 요추지지대
16 ; 고정구 20 ; 배낭
22 ; 몸체 23 ; 어깨띠
24 ; 허리띠 25 ; 머리받이
26 ; 높이조절수단 27 ; 가동받침대
28 ; 고정끈 29 ; 체결구
30 ; 고정구 32 ; 축
34 ; 덧살 40 ; 절첩프레임
42, 42' ; 회동바퀴 44 ; 절첩부재
50 ; 손잡이프레임 52 ; 볼 스프링
54 ; 보조체결수단 55 ; 체결공
56 ; 체결핀 60 ; 발받침대
62 ; 가이드요홈 64 ; 지지돌기
66 ; 통공 68 ; 멈춤돌기
70 ; 고정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예로, 배낭으로 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예로, 보행기 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예로, 유모차로 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바디프레임(10)은 배낭(20)을 완강하게 지지하는 뼈대로, 중간부위가 배낭(20)이 체결되어 안착되도록 굴곡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접촉하는 양끝단에는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회동하는 회동바퀴(12, 12')가 체결된다.
바디프레임(10)의 하단부에는 아기 캐리어(1)의 배낭(20) 사용시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받혀주는 요추지지대(14)가 고정결합된다.
바디프레임(10)의 중간부위에는 고정구(30)가 체결되어 손잡이프레임(50) 일측을 완강하게 고정시켜 주고 또한, 절첩프레임(40)의 일단을 축(3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체결시킨다. 절첩프레임(40)의 타측 양끝단에는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회동하는 회동바퀴(42, 42')가 체결된다.
고정구(30)의 내측에는 덧살(34)이 형성되어 절첩프레임(40)이 바디프레임(10)에서 분리될 때 바디프레임(10)을 지지하도록 절첩프레임(40)의 적정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절첩프레임(40)은 몸체 일측이 바디프레임(10)에 절첩부재(44)로서 고정되어 바디프레임(10)을 완강하게 지지하고, 절첩시 절첩프레임(40)의 유동을 방지한다.
고정구(30)에 축(32)으로 결합되어 바디프레임(10)과 결합된 절첩프레임(40)은 사용자가 아기 캐리어(1)를 배낭(20)으로 사용할 때에 바디프레임(10) 방향으로 절첩된다.
이때, 절첩프레임(40)은 절첩부재(44)에 의해 바디프레임(10)과 체결되어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배낭(20) 내측에 아기를 위치시킨 후 배낭(10)의 어깨띠(23)를 어깨에 매어 다시 허리띠(24)를 사용자에게 적당하게 고정시키고 이동하면 된다.
바디프레임(10)에 고정되는 배낭(20)은 사용자의 어깨부위에 거는 어깨띠(23)가 있고 허리에 매는 허리띠(24)가 있으며 아기가 얹혀지는 배낭몸체(22)의 후방부에는 머리받이(25)가 형성되어 이동시 아기의 머리부가 뒤로 크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며 적당히 받혀주게 된다.
또한, 배낭(20)의 몸체(22) 내부에는 아기의 신체 크기에 따라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26)이 장착되는데, 이는 아기가 얹혀지는 가동받침대(27)와 가동받침대(27)의 양단에 고정된 고정끈(28)과 고정끈(28)을 일정한 길이로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체결구(29)로 이루어진다.
도1과 같이 아기 캐리어(1)를 아기 배낭(20)용도로 사용하여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등을 이용해 이동하다가 전철이나 버스 등의 좌석에 착석하면 배낭(20)을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빼어내고 도 2와 같이 체결구(44)에 의해 바디프레임(10)에 고정된 절첩프레임(40)을 바디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하여 적정각도로 벌리어 평지에 내려 놓으면 아기 캐리어(1)는 보행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아기 캐리어(1)는 차량의 이동에 따라 회동바퀴(12, 12')(42, 42')가 회동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아기 캐리어(1)의 일측을 잡아 고정시키면 된다.
다시, 계단 등의 오르내리는 통로는 아기 배낭(20)으로 어깨에 메고 이동하였다가 평지로 나오게 되면 도 3과 같이 절첩프레임(40)을 바디프레임(10)과 분리하고 발받침대(60)를 아기의 발위치로 이동시키며, 다단절첩된 손잡이프레임(50)을 잡아 당겨 볼 스프링(52)을 밀치고 내부의 절첩된 손잡이프레임(50)을 빼내면 된다.
도 4는 본 고안이 유모차로 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 아기 캐리어(1)는 유모차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사용자는 빼낸 손잡이프레임(50)의 상측을 잡고 말면서 이동하면 된다.
손잡이프레임(50)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볼 스프링(52)에 의해 절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하였으나, 큰 힘이 가해질 경우 사용 도중 절첩될 우려가 있어 이를 위해 부가적으로 체결공(55)에 체결핀(56)으로 핀결합시키는 것과 같은 보조체결수단(54)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런 손잡이프레임(50)의 양단은 바디프레임(10)의 양단에 고정구(16)에 의해 체결되어 다단의 손잡이프레임(50)을 빼낼 때 손잡이프레임(50)의 유동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고안 발받침대의 보관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로, 바디프레임(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요추지지대(14)의 양측단에는 지지돌기(64)가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지지돌기(64)는 일측에 통공(66)이 형성되어 고정핀(70)이 체결된다.
지지돌기(64)에 체결된 고정핀(70)은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발받침대(60)의 가이드요홈(62)에 위치되는데, 가이드요홈(62)은 발받침대(60)의 측단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를 갖고 발받침대(60) 길이방향으로 길게 요부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 발받침대의 사용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로, 양측단이 고정핀(70)에 의해 핀고정된 발받침대(60)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가이드요홈(62)내에서 슬라이딩시킨 후, 발받침대(60) 선단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요추지지대(14)의 상단에 얹혀 놓는다.
이때, 발받침대(60)는 일측이 고정핀(70)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요추지지대(14)에 얹혀져 완강하게 지지된다.
발받침대(60)의 저면에는 발받침대(60)가 전방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향으로 돌출된 멈춤돌기(68)를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발받침대(60)는 요추지지대(14)에 고정핀(70)으로 축지지하여 형성하였지만, 고정핀(70)을 바디프레임(10)의 하단부에서 핀결합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절첩부재(44)를 접어 절첩프레임(40)을 바디프레임(10)의 일측에 고정시키고, 배낭몸체(22)의 높이조절수단(26)의 가동받침대(27)를 적당한 위치로 하여 고정끈(28)을 고안(29)에 체결시키고 배낭몸체(22) 내측에 아기를 위치시키고 사용자는 아기 캐리어(1)의 어깨띠(23)를 어깨에 두르고 다시 허리띠(24)를 허리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아기 캐리어(1)를 배낭(20)으로 사용하여 이동하다가 일정위치에 일정시간동안 머물게 되면 사용자는 어깨띠(23)와 허리띠(24)를 탈거한 후, 철첩부재(44)를 확장시켜 바디프레임(10)에서 절첩프레임(40)을 이탈시키고 아기 캐리어(1)를 평지에 내려놓음으로서 보행기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배낭몸체(22)의 높이조절수단(26)의 가동받침대(27) 위치를 올리고 또는 내려서 그 위치를 적당히 조절하여 아이의 발이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지표면과 닿게 할 수도 있고, 지표면과 일정높이를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다시, 용무로 인해 평지로 이동해야 할 때는 발받침대(60)를 요추지지대(14) 상단에 올려서 그 상단에 아기의 발을 위치시키고 다단으로 절첩된 손잡이프레임(50)을 외부로 빼내어 보조체결수단(54)으로 고정한 후, 손잡이프레임(50)을 밀어 유모차로 사용하면서 이동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아기 캐리어는 보통 때에는 아기 백캐리어로 사용하여 어깨에 메고 다니다가 평지에서는 평지에서는 유모차로서 별도의 도구사용 없이 간편한 조작만으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고 실내에서는 보행기로도 사용할 수 있어 용도에 따라 여러 기구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없이 아기 캐리어 하나만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절곡형성된 바디프레임(10)과, 바디프레임(10)에 탈거·부착되는 배낭(20)으로 이루어진 아기 캐리어에 있어서;
    바디프레임(10)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회동바퀴(12, 12')와;
    바디프레임(10) 몸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구(30) 및
    일단은 고정구(30)에 절첩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회동가능하게 회동바퀴(42, 42')가 체결된 절첩프레임(4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아기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구(30)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볼 스프링(52)에 의해 다단으로 절첩되는 손잡이프레임(50)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아기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바디프레임(10) 하측 양단에 형성된 요추지지대(14)와;
    통공(66)을 갖고 바디프레임(10) 하단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돌기(64)와;
    판체로 형성되어 양단에 내측으로 가이드요홈(62)이 길게 형성된 발받침대(60) 및
    지지돌기(64)의 통공(66)을 통해 발받침대(60)의 가이드요홈(62)에 결합되는 고정핀(7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아기 캐리어.
KR2020000016909U 2000-06-14 2000-06-14 다목적 아기 캐리어 KR200201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909U KR200201323Y1 (ko) 2000-06-14 2000-06-14 다목적 아기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909U KR200201323Y1 (ko) 2000-06-14 2000-06-14 다목적 아기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323Y1 true KR200201323Y1 (ko) 2000-11-01

Family

ID=1966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909U KR200201323Y1 (ko) 2000-06-14 2000-06-14 다목적 아기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3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609A (ko) * 2002-03-20 2003-09-26 주식회사 아이씨엠텍 접철식 캐리어
KR101142455B1 (ko) 2011-09-19 2012-05-08 지수일 배낭식 유아 운반구
CN102805912A (zh) * 2011-06-02 2012-12-05 任树华 多功能育婴健身器晾衣架
CN110422224A (zh) * 2019-07-29 2019-11-08 盛力 一种背包式婴幼儿手推车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609A (ko) * 2002-03-20 2003-09-26 주식회사 아이씨엠텍 접철식 캐리어
CN102805912A (zh) * 2011-06-02 2012-12-05 任树华 多功能育婴健身器晾衣架
CN102805912B (zh) * 2011-06-02 2015-04-08 任树华 多功能育婴健身器晾衣架
KR101142455B1 (ko) 2011-09-19 2012-05-08 지수일 배낭식 유아 운반구
CN110422224A (zh) * 2019-07-29 2019-11-08 盛力 一种背包式婴幼儿手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3211A (en) Collapsible walking frame having pivotal seat
EP1438222B1 (en) Trolley
US6676140B1 (en) Expandable stroller
US4886289A (en) Tandem baby carriage with facing seats
US6155579A (en) Folding child stroller and frame carrier
US5224731A (en) Combination wheel chair and walker
AU2002335593A1 (en) Trolley
US20080179848A1 (en) Adjustable carrying device for a people carrier, such as a perambulator or stroller
KR20120030621A (ko) 유모차
US20080150247A1 (en) Detachable connecting device for a child carrier
GB2431381A (en) Collapsible pushchair
US20140097598A1 (en) Compactible stroller
WO2017044984A1 (en) Convertible stroller
US20080100014A1 (en) Combination jogging apparatus and stroller
KR200201323Y1 (ko) 다목적 아기 캐리어
US20210221421A1 (en) Single pushchair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tandem pushchair that is practical to use
KR20170049182A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TWI740062B (zh) 嬰兒車
ES2582372T3 (es) Chasis plegable de carrito para niño, y carrito para niño correspondiente
CN2935994Y (zh) 一种多功能折叠旅行椅
CN208149419U (zh) 多功能儿童推车
KR20020073684A (ko) 유아용 이동기구
CN216394670U (zh) 一种单腿坐姿滑行助行器
KR200206910Y1 (ko) 다목적 유모차
CN210971241U (zh) 一种遛娃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