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455B1 - 배낭식 유아 운반구 - Google Patents
배낭식 유아 운반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2455B1 KR101142455B1 KR1020110094004A KR20110094004A KR101142455B1 KR 101142455 B1 KR101142455 B1 KR 101142455B1 KR 1020110094004 A KR1020110094004 A KR 1020110094004A KR 20110094004 A KR20110094004 A KR 20110094004A KR 101142455 B1 KR101142455 B1 KR 1011424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ddle
- frame
- backpack
- infant
- wais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8 babys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26 work up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아기를 업을 수 있음과 동시에 아기를 태워서 유모차의 기능을 하며 이동시킬 수도 있도록 하는 배낭식 유아운반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t상세하게는 안장을 원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하여 롤링수단 또는 롤링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등받이가 안장 위에서 회동하거나, 안장이 허리고정구 외주에서 회전하도록 하고, 이로써 아기를 앞으로 안거나 뒤로 업는 것을 자유자재로 가능하게 하는배낭식 유아운반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아의 몸을 덮는 직물몸체; 사용자가 유아를 업을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 프레임 및 쿠션부로 형성된 안장; 상기 안장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안장을 고정하는 허리고정구; 상기 안장의 상측에 연장되어 유아의 등을 받히는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에 연장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히는 머리받이;를 포함하는 유아 운반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원형 또는 호형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원형프레임의 상면에는 원형레일을 구비하여 등받이의 롤링수단에 의해 원형레일 상에서 회동하도록 하거나, 호형프레임의 측면 호형라인에 안장이 롤링 결합되어 상기 허리고정구의 허리프레임 외주면에서 평면상 회동하도록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아의 몸을 덮는 직물몸체; 사용자가 유아를 업을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 프레임 및 쿠션부로 형성된 안장; 상기 안장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안장을 고정하는 허리고정구; 상기 안장의 상측에 연장되어 유아의 등을 받히는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에 연장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히는 머리받이;를 포함하는 유아 운반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원형 또는 호형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원형프레임의 상면에는 원형레일을 구비하여 등받이의 롤링수단에 의해 원형레일 상에서 회동하도록 하거나, 호형프레임의 측면 호형라인에 안장이 롤링 결합되어 상기 허리고정구의 허리프레임 외주면에서 평면상 회동하도록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아기를 업을 수 있음과 동시에 아기를 태워서 유모차의 기능을 하며 이동시킬 수도 있도록 하는 배낭식 유아운반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안장을 원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하여 롤링수단 또는 롤링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등받이가 안장 위에서 회동하거나, 안장이 허리고정구 외주에서 회전하여 아기를 앞으로 안거나 뒤로 업는 것을 자유자재로 가능하게 하는 배낭식 유아운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태우고 이동하는 기구로써, 아기 배낭이나 보행기 등과 함께 5세 미만의 영아 또는 유아 보육에 필수용품으로 대다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아를 데리고 옥외로 여행하거나 외출하는 경우에 성인의 몸에 둘러메어 유아를 이동시키는 아기 배낭과 주로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탑승부에 바퀴를 장착하여 유아가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기와는 달리 동행자가 유아가 탑승한 유모차에 외력을 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동행자의 수고를 경감시키는 유용한 이동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모차(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가 앉거나 누워 탑승할 수 있는 안장시트(20)와, 동행자가 파지하여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손잡이부(60)와, 유아가 팔을 걸을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30)와, 유아의 등을 바치는 등받이(50), 및 동행자가 유모차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회전하는 앞바퀴 및 뒷바퀴(9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90)가 설치되는 다리(8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안장시트에 유아가 탑승한 상태에서 동행자가 손잡이부(60)를 손잡이 조절부(61)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고, 파지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유모차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바퀴(90)가 회전하여 유모차(1)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모차는, 단순히 유모차 유아를 태워 이동하는 수단으로만 사용되고 있고, 사용자가 아기를 유모차에 태워 이동을 하거나 업고 가는 경우 다시 아기를 내려놓아야 하고, 유모차가 갈 수 없는 장소에서는 아기를 업고 가야 하는데, 아기와 별도로 유모차를 들고 가야 하는 수고를 감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1690호(공개일 : 2000년 11월 01일)에서는 아기를 안기도 하고 동시에 내려놓을 때 유모차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가 고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 또한 아기를 뒤로 업거나 앞으로 안는 한 경우에만 가능하며 아기의 등받이를 돌리거나 안장을 돌려 자유자재로 아기를 안거나 업도록 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아기를 업을 수 있음과 동시에 아기를 태워서 유모차의 기능을 하며 이동시킬 수도 있도록 하는 배낭식 유아운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장을 원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하여 롤링수단 또는 롤링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등받이가 안장 위에서 회동하거나, 안장이 허리고정구 외주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배낭식 유아운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용 캐리어의 안장에 접철식의 다리를 구비하여 아이를 업고 이동할 때에는 다리를 접어서 배낭 형식으로 메고 다닐 수 있도록 하며, 아이를 내려 놓는 경우에는 접철식 다리를 펼쳐 테이블이나 침대 등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배낭식 유아운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안장에 설치되는 접철식 다리에 바퀴를 장착하여 아이를 내려놓는 경우 다리를 펼쳐서 유모차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낭식 유아운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용 운반구의 허리고정구 둘레로 안장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앞으로도 뒤로도 아이를 업을 수 있도록 하는 배낭식 유아운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의 몸을 덮는 직물몸체; 사용자가 유아를 업을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 프레임 및 쿠션부로 형성된 안장; 상기 안장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안장을 고정하는 허리고정구; 상기 안장의 상측에 연장되어 유아의 등을 받히는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에 연장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히는 머리받이;를 포함하는 유아 운반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원형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원형프레임의 상면에는 원형레일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원형레일 상에서 회동하는 롤링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롤링수단은, 상기 원형프레임 상에서 구름 회동하도록 하는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장은, 하면에 접철식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가 접혀서 안장에 내입되는 십자형 함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리는, 일단에는 상기 안장의 하면에 결합되어 접히도록 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바퀴;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장은, 상기 다리가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다리 펼침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고정구는 허리띠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등받이는 수납부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등받이는 접철식 손잡이 장착부 및 접철식 손잡이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머리받이는 보조손잡이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접철식 차양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의 몸을 덮는 직물몸체; 사용자가 유아를 업을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 프레임 및 쿠션부로 형성된 안장; 상기 안장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안장을 고정하는 허리고정구; 상기 안장의 상측에 연장되어 유아의 등을 받히는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에 연장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히는 머리받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호형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형프레임의 측면 호형라인에 안장이 롤링 결합되며, 상기 허리고정구는 허리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형프레임의 호형라인이 상기 허리프레임의 외주면에서 평면상 회동하도록 하는 롤링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장은 상기 호형라인에 상기 롤링레일을 따라 허리프레임의 외주로 회동하도록 하는 롤링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롤링수단은 상기 롤링라인에 닿아 구름 회동하도록 하는 베어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허리프레임은 사용자의 허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허리프레임을 개방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허리에 착용한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속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축은 상기 결속수단을 사이에 두고 사용자의 허리가 내입될 수 있도록 양쪽에서 개방하는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을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장은 하면에 접철식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는 일단에는 상기 안장의 하면에 결합되어 접히도록 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바퀴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리는 상기 안장의 호형라인 측 하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1다리;와 상기 안장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2다리;로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 안장은 상기 다리가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다리펼침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구성 및 수단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아기를 업을 수 있음과 동시에 아기를 태워서 유모차의 기능을 하며 이동시킬 수도 있도록 하고, 아기를 업거나 안은 상태에서 앞으로 안거나 뒤로 업는 기능을 자유자재로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아운반구의 안장이 원형프레임으로 등받이가 안장 위에서 자유위지로 회동하므로 유아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하여 아기를 업거나 안을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아기를 안으면서 아기가 전방을 주시하도록 할 수도 있고, 업으면서 아기가 후방을 주시하도록 할 수도 있어 아기의 시선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안장을 원형 또는 호형으로 형성하여 롤링수단 또는 롤링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등받이가 안장 위에서 회동하거나, 안장이 허리고정구 외주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아용 캐리어의 안장에 접철식의 다리를 구비하여 아이를 업고 이동할 때에는 다리를 접어서 배낭 형식으로 메고 다닐 수 있도록 하며, 아이를 내려 놓는 경우에는 접철식 다리를 펼쳐 테이블이나 침대 등의 기능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안장에 설치되는 접철식 다리에 바퀴를 장착하여 아이를 내려놓는 경우 다리를 펼쳐서 유모차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아용 운반구의 허리고정구 둘레로 안장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앞으로도 뒤로도 아이를 업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 및 등받이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에서 안장의 하면에 장착되는 접철식 다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에서 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 및 허리고정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의 하면에 장착되는 접철식 다리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에서 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 및 등받이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에서 안장의 하면에 장착되는 접철식 다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에서 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 및 허리고정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의 하면에 장착되는 접철식 다리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에서 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것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것이므로 이를 구분하여 하도록 한다. 이에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 및 등받이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에서 안장의 하면에 장착되는 접철식 다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의 안장에서 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낭식 유아 운반구(10)는, 유아의 몸을 덮는 직물몸체(600); 사용자가 유아를 업을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400); 프레임(110) 및 쿠션부(120)로 형성된 안장(100); 상기 안장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안장을 고정하는 허리고정구(300); 상기 안장의 상측에 연장되어 유아의 등을 받히는 등받이(500); 및 상기 등받이에 연장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히는 머리받이(7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10)은 원형프레임(111)으로 형성되고, 원형프레임의 상면에는 원형레일(1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등받이(500)는 상기 원형레일(111) 상에서 회동하는 롤링수단(550);을 구비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낭식 유아 운반구(10)를 살펴보면, 사용자(A)는 본 발명의 유아 운반구(10)를 배낭식으로 착용하게 되는데, 아기를 안장(100) 및 등받이(500)에 내입시키고 어깨끈(400)으로 메는 방식으로 착용한다.
여기서 상기 직물몸체(600)는, 통상적으로 아기를 감싸고 보온의 효과를 가질 수 있음과 동시에 어깨끈(400)이 부착되므로 강하고 질긴 직물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직물몸체(600)는 통상적으로 등받이(50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등받이(500)의 측부에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직물몸체(600)는 통상적인 포대기로써 기존에 사용되는 천 조직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등받이(500)와 별개의 작동을 하는 경우 상기 직물몸체(600)는 별도의 분리된 부재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등받이(500)가 상기 안장(100) 상에서 회동하여 움직이는 경우, 상기 직물몸체(600)는 등받이(500)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식으로 등받이(500)와는 독립적으로 별개의 부재로써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깨끈(40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상단)은 직물몸체(600)에 견고히 고정 부착되고, 타단(하단)은 안장(100)에 견고히 고정 결합된다. 상기 어깨끈(400)은 사용자가 배낭식으로 본 발명을 착용하기 편하도록 다양한 위치에 고정 부착될 수 있는데, 상단이 등받이(500) 또는 머리받이(700) 등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하단은 허리띠(300) 또는 안장(100)의 측부에 고정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허리고정구(3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통상적인 허리띠(310)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허리띠(310)은 길이가 조절되면서 사용자(A)가 본 발명을 견고히 착용할 수 있도록 도모한다.
본 발명의 안장(100)은, 프레임(110)과 쿠션부(120)를 포함하는데, 프레임(110)은 안장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구조로써 아기가 앉는 부위를 지탱해 주는 기능을 하므로 강성이 큰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쿠션부(120)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는 쿠션부위로써 아기의 엉덩이가 맞닿아 안착되는 부위이므로 쿠션이 있는 직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은, 안장(100)의 테두리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쿠션부(120)은 안장에서 상기 프레임(110)에 의해 둘러진 중앙부위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110)은 원형프레임(111)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등받이(500)는, 유아(B)가 안장(100)에 안착된 후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통상적으로 강성이 큰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안장의 원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부재로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받이(500)가 상기 원형프레임(111)의 원주 상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등받이(500)의 하단에는 상기 원형프레임(111)과 롤링할 수 있도록 하는 롤링수단(550)이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머리받이(700)는, 상기 등받이(50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아기의 머리가 기대어 지지될 수 있는 부위로써 아기의 경우 특히 머리를 스스로 지탱할 수 있는 힘이 부족하므로 이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된다.
이에 상기 머리받이(700)는 본 발명의 유아 운반구의 상측에 형성되므로 본 발명을 운반하거나, 본 발명이 유모차로 기능하는 경우 사용자(B)의 편의를 위해 구비되는 보조손잡이(53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110)이 원형프레임(111)으로 형성되되 상면에는 원형레일(112)이 구비되는데, 상기 등받이(500)가 상기 원형레일(111) 상에서 원형프레임(111)의 가장자리 원주 상에서 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는 롤링수단(55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형프레임(1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원형레일(112)을 살펴보고, 또한 상기 등받이(500)의 레일을 따른 회전 이동을 살펴본다.
상기 안장(100)의 레일(112)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등받이(500)의 하단부는 원형레일(112)을 따라 회전하여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상기 안장의 원형프레임(111)에 형성된 원형레일(112)의 원주와 동일한 곡률의 호형라인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호형 라인으로 형성됨으로써 원형프레임(111)의 원주 상에서 자유롭고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어깨끈(400) 및 어깨끈이 설치되는 직물몸체(600)는 등받이(500)와 별개로 제작되어 등받이(500)의 회전 이동과는 별도로 고정된 위치에서 배낭식 착용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원형프레임(111)으로 형성된 안장(100)의 원주 상에서 등받이(500)가 회전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아기를 뒤로 업거나 앞으로 안는 경우에 아기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아기(B)를 앞으로 안게 되는 경우에 아기가 사용자(A)를 볼 수 있도록 하면서 안을 수도 있고, 반대로 등받이(500)를 안장(100)에서 180도 돌려 아기(B)가 전방을 주시하도록 하면서 착용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아기(B)를 업는 경우 아기(B)가 사용자(A)의 등을 향해 있도록 하면서 업을 수도 있지만, 등받이(500)를 안장(100)에서 180도 돌려 아기(B)가 후방을 주시하도록 하면서 업을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등받이(500)의 하단부에는 등받이(500)가 상기 원형레일(112) 상에서 자연스러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롤링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롤링수단(550)은, 상기 원형프레임(111) 상에서 구름 회동하도록 하는 베어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등받이(500)가 원형레일(112) 상에서 움직이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롤링수단(550)은 등받이(500)의 하단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장(100)의 상면 테두리 원주 상에 형성된 레일(1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이면 족하고 바퀴 등의 다양한 구름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반드시 베어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안장(100)은, 하면에 접철식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다리(130)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4개의 다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개수는 본 발명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는 안정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이면 족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유아 운반구(10)를 배낭으로 뒤로 또는 앞으로 메는 경우 안장(100)의 하면에 접혀져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유아 운반구(10)를 지면에 내려놓아 유아용 의자 또는 테이블이나 침대 등으로 활용되는 경우 다리들(130)이 하향으로 펼쳐져 안장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유아 운반구(10)가 유모차로써 기능하는 경우 밀면서 작동시켜야 하는데, 상기 하향으로 펼쳐지는 다리의 하단부에는 바퀴(133)가 형성되어 유모차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다리(130)는, 일단에는 상기 안장(100)의 하면에 결합되어 접히도록 하는 힌지부(1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유모차로 기능하기 위한 바퀴(13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 운반구(10)를 지면에 내려놓으면서 다리들(130)을 펼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유아용 의자 또는 유모차의 기능을 하게 되는데, 다리 하단부의 바퀴에 의해 유모차의 기능도 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장(100)과 다리들(130)의 결합부는 힌지결합되어 접혔다가 90도로 펼쳐지도록 하는 작동을 하는데, 수동식으로 손으로 펼치도록 할 수도 있고, 탄성수단에 의해 접혀진 상태에서 간단한 작동을 통해 자동으로 펼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안장(100)은, 상기 다리들(130)이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다리 펼침부(1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자동 다리펼침부(150)은 힌지부에서 탄성수단에 의해 펼쳐지도록 하는 복원력을 가진 상태에서 다리(130)들이 고정되고, 간단한 버튼 등에 의해 당해 고정을 해제하면 일시에 다리가 펼쳐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당해 탄성수단에 의해 다리가 접힘 고정된 상태에서 간단한 버튼 등의 수단으로 접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다리를 펼치는 구성 및 작동은 이미 기구적인 분야에서 다양하게 채용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장(100)의 하면에는 상기 다리(130)가 접혀서 안장에 내입되는 십자형 함몰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형성된 십자 함몰부(140)에는 다리(130)이 내입되어 본 발명의 유아 운반구(10)의 구성이 간략해 지고, 다리(13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돌출되지 않으므로 고장 등의 문제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등받이(500)는, 수납부(5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당해 수납부(510)에 아기용품 등 수납이 필요한 물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500)는, 바깥부분에 접철식 손잡이 장착부(530) 및 접철식 손잡이(53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 운반구(10)가 유모차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접철식 손잡이(535)를 장착부(530)로부터 인출하여 사용자가 잡고 이동시킬 수 있는 편의수단으로 기능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도 2 내지 도 9에서 보는 것처럼, 추가적으로 아기(B)의 머리 상부에 형성되어 그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철식 차양(9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철식 차양(900)은 주름 천막과 동일한 작동을 하면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통상적인 유모차나 천막 등에서 활용되는 장치로써 이하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유아의 몸을 덮는 직물몸체(600); 사용자가 유아를 업을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400); 프레임(110) 및 쿠션부(120)로 형성된 안장(100); 상기 안장(100)의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안장을 고정하는 허리고정구(300); 상기 안장의 상측에 연장되어 유아의 등을 받히는 등받이(500); 및 상기 등받이에 연장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히는 머리받이(700);를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은 호형프레임(113)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형프레임의 측면 호형라인(114)에 안장이 롤링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허리고정구(300)는 허리프레임(330)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형프레임(113)의 호형라인(114)이 상기 허리프레임(330)의 외주면에서 평면상 회동하도록 하는 롤링레일(333)을 포함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장(100)은, 상기 호형라인(114)에 상기 롤링레일(333)을 따라 허리프레임(330)의 외주로 회동하도록 하는 롤링수단(173)을 포함하며, 상기 롤링수단(173)은 상기 롤링레일(333)에 닿아 구름 회동하도록 하는 베어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구(1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어깨끈(400), 등받이(500), 직물몸체(600), 머리받이(700) 및 접철식 차양(900)은 앞선 실시예에 동일한 구성으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먼저 상기 안장(100)은 원형이 아닌 초승달형으로 형성된 호형프레임(113)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초승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허리프레임(330)의 측 외주상에 결합되어 롤링레일(333)을 따라 평면상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초승달형 안장(100)은 허리프레임(330)에 결합되는 호형라인(114)에서 롤링부(170)를 형성하는데, 롤링레일(333)과 맞물려 구름 회동할 수 있도록 롤링수단(173)을 구비한다.
이에 상기 롤링수단(173)은 롤링레일(333)에 맞닿아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구를 수 있도록 베어링으로 구성하고, 복수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리프레임(330)은, 사용자(A)의 허리에 결합되는데, 측면 외주상에 롤링레일(333)이 형성되므로 안장(100)이 롤링 회동될 수 있도록 강성이 큰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리프레임(330)의 롤링레일(333)에 접촉한 안장(100)의 롤링부(170)에 의해 안장이 사용자(A)의 허리 외주로 회전 이동할 수 있으므로, 아기를 업은 상태에서 다시 내려놓지 않고도 앞으로 안는 형식으로 쉽게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허리프레임(330)은, 사용자(A)의 허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허리프레임(330)을 개방하는 힌지축(331)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A)는 강성이 큰 재질의 허리프레임(330)을 힌지축(331)을 통해 열게 되고, 사용자(A)가 허리를 프레임(300) 내부로 삽입한 후 다시 힌지축(331)으로 닫아 허리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허리프레임(33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A)가 허리에 착용한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속수단(335)을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힌지축(331)은, 상기 결속수단(335)을 사이에 두고 사용자의 허리가 내입될 수 있도록 양쪽에서 개방하는 제1힌지축(331a) 및 제2힌지축(33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양쪽에서 복수의 힌지축을 통해 허리프레임(330) 개방을 좀더 쉽게 할 수 있고, 힌지축이 형성되는 부위에서 롤링레일(333)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수단(335) 또한 통상적인 허리 버클 등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 힌지축과 마찬가지로 외주면에서 롤링레일(333)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안장(100)은, 하면에 접철식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다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130)는 일단에는 상기 안장의 하면에 결합되어 접히도록 하는 힌지부(1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바퀴(133)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리(130)는 상기 안장의 호형라인(114) 측 하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1다리(130a);와 상기 안장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2다리(130b);로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130a) 및 제2다리(130b)에는 각각 안장으로부터 접히고 펼쳐지는 제1힌지수단(131a) 및 제2힌지수단(131b)을 구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또한 상기 안장(100)은, 상기 다리(130)가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다리 펼침부(9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배낭식 유아 운반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 : 유모차 20 : 안장시트
30 : 팔걸이 50 : 등받이
60 : 손잡이 61 : 손잡이 조절부
80 : 다리 90 : 바퀴
A : 사용자 B : 아기
10 : 본 발명의 배낭식 유아 운반구
100 : 안장 110 : 프레임
111 : 원형 프레임 112 : 원형레일
113 : 호형프레임 114 : 호형라인
120 : 쿠션부 130 : 다리
131 : 힌지부 133 : 바퀴
130a : 제1다리 130b : 제2다리
131a : 제1힌지수단 131b : 제2힌지수단
140 : 십자형 함몰부 150 : 자동 다리펼침부
170 : 롤링부 173 : 롤링수단 (베어링)
300 : 허리고정구 310 : 허리띠
330 : 허리프레임 333 : 롤링레일
331 : 힌지축 331a : 제1힌지축
331b : 제2힌지축 335 : 결속수단 (버클)
400 : 어깨끈 500 : 등받이
510 : 수납부 530 : 접철식손잡이 장착부
535 : 접철식 손잡이 550 : 롤링수단
600 : 직물몸체 700 : 머리받이
710 : 보조손잡이 900 : 접철식 차양
30 : 팔걸이 50 : 등받이
60 : 손잡이 61 : 손잡이 조절부
80 : 다리 90 : 바퀴
A : 사용자 B : 아기
10 : 본 발명의 배낭식 유아 운반구
100 : 안장 110 : 프레임
111 : 원형 프레임 112 : 원형레일
113 : 호형프레임 114 : 호형라인
120 : 쿠션부 130 : 다리
131 : 힌지부 133 : 바퀴
130a : 제1다리 130b : 제2다리
131a : 제1힌지수단 131b : 제2힌지수단
140 : 십자형 함몰부 150 : 자동 다리펼침부
170 : 롤링부 173 : 롤링수단 (베어링)
300 : 허리고정구 310 : 허리띠
330 : 허리프레임 333 : 롤링레일
331 : 힌지축 331a : 제1힌지축
331b : 제2힌지축 335 : 결속수단 (버클)
400 : 어깨끈 500 : 등받이
510 : 수납부 530 : 접철식손잡이 장착부
535 : 접철식 손잡이 550 : 롤링수단
600 : 직물몸체 700 : 머리받이
710 : 보조손잡이 900 : 접철식 차양
Claims (20)
- 유아의 몸을 덮는 직물몸체; 사용자가 유아를 업을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 프레임 및 쿠션부로 형성된 안장; 상기 안장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안장을 고정하는 허리고정구; 상기 안장의 상측에 연장되어 유아의 등을 받히는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에 연장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히는 머리받이;를 포함하는 유아 운반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원형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원형프레임의 상면에는 원형레일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원형레일 상에서 회동하는 롤링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수단은,
상기 원형프레임 상에서 구름 회동하도록 하는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은,
하면에 접철식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은,
상기 다리가 접혀서 안장에 내입되는 십자형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일단에는 상기 안장의 하면에 결합되어 접히도록 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은,
상기 다리가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다리 펼침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고정구는,
허리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수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접철식 손잡이 장착부 및 접철식 손잡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이는,
보조손잡이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철식 차양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낭식 유아 운반구.
- 유아의 몸을 덮는 직물몸체; 사용자가 유아를 업을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 프레임 및 쿠션부로 형성된 안장; 상기 안장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안장을 고정하는 허리고정구; 상기 안장의 상측에 연장되어 유아의 등을 받히는 등받이; 및 상기 등받이에 연장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히는 머리받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호형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형프레임의 측면 호형라인에 안장이 롤링 결합되며,
상기 허리고정구는 허리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호형프레임의 호형라인이 상기 허리프레임의 외주면에서 평면상 회동하도록 하는 롤링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은,
상기 호형라인에 상기 롤링레일을 따라 허리프레임의 외주로 회동하도록 하는 롤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수단은 상기 롤링레일에 닿아 구름 회동하도록 하는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프레임은,
사용자의 허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허리프레임을 개방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프레임은,
사용자가 허리에 착용한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속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결속수단을 사이에 두고 사용자의 허리가 내입될 수 있도록 양쪽에서 개방하는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은,
하면에 접철식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는 일단에는 상기 안장의 하면에 결합되어 접히도록 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안장의 호형라인 측 하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1다리;와 상기 안장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제2다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은,
상기 다리가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다리 펼침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식 유아 운반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4004A KR101142455B1 (ko) | 2011-09-19 | 2011-09-19 | 배낭식 유아 운반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4004A KR101142455B1 (ko) | 2011-09-19 | 2011-09-19 | 배낭식 유아 운반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2455B1 true KR101142455B1 (ko) | 2012-05-08 |
Family
ID=4627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4004A KR101142455B1 (ko) | 2011-09-19 | 2011-09-19 | 배낭식 유아 운반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245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7785A (ko) * | 1999-01-20 | 1999-05-25 | 윤여철 | 다기능유모차 |
KR200201323Y1 (ko) | 2000-06-14 | 2000-11-01 | 주식회사링컨통상 | 다목적 아기 캐리어 |
KR20090007629U (ko) * | 2009-07-03 | 2009-07-28 | 이재훈 | 앞뒤 전환 아기띠 |
-
2011
- 2011-09-19 KR KR1020110094004A patent/KR10114245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7785A (ko) * | 1999-01-20 | 1999-05-25 | 윤여철 | 다기능유모차 |
KR200201323Y1 (ko) | 2000-06-14 | 2000-11-01 | 주식회사링컨통상 | 다목적 아기 캐리어 |
KR20090007629U (ko) * | 2009-07-03 | 2009-07-28 | 이재훈 | 앞뒤 전환 아기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14111B2 (en) | Convertible child carrier | |
US7178877B2 (en) | Diaper changing restraint system | |
US9265357B2 (en) | Nursing and infant support pillow | |
US20100072236A1 (en) | Multifunctional child carrier | |
US8770663B2 (en) | Combination shopping cart and high chair cover with plush character | |
US11510466B2 (en) | Multi-functional luggage | |
CN109527878A (zh) | 带有3d空间的婴儿背带 | |
US9700151B2 (en) | Method of using a multifunction childcare device | |
US20160128491A1 (en) | A combination of child carrier and stroller | |
US20100155446A1 (en) | Device for Carrying a Child | |
US20110049951A1 (en) | Portable chair cover for stackable chairs | |
EP3145368B1 (en) | Travel support device | |
FI125154B (en) | Arrangements that can be converted into baby care items | |
KR20170003426U (ko) | 폭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 | |
EP3866646A1 (en) | Multi-use cover | |
KR101453460B1 (ko) |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 |
JP5121604B2 (ja) | 折畳式ベビーカー | |
KR101142455B1 (ko) | 배낭식 유아 운반구 | |
KR102128616B1 (ko) |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 |
KR20150004498U (ko) | 폭 가변형 다기능 포대기 | |
KR20120058076A (ko) | 의자 겸용 배낭 | |
WO2018171308A1 (zh) | 一种母婴背包 | |
CA2867757C (en) | Nursing and infant support pillow | |
CN212465538U (zh) | 学步裙 | |
US11370470B1 (en) | Swivel seat stroller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