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483A - 음향 수신 수단용 가동암이 없는 듣기/말하기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수신 수단용 가동암이 없는 듣기/말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483A
KR20020097483A KR1020027015540A KR20027015540A KR20020097483A KR 20020097483 A KR20020097483 A KR 20020097483A KR 1020027015540 A KR1020027015540 A KR 1020027015540A KR 20027015540 A KR20027015540 A KR 20027015540A KR 20020097483 A KR20020097483 A KR 20020097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ousing
receiving means
passage opening
li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인즈 렌너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9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듣기/말하기 장치(1)는 하우징(2)과, 하우징(2)에 수용되는 음향 재생 수단(20)과 가동암이 없이 설계된 음향 수신 수단(19)을 갖는데, 여기서, 음향 수신 수단(19)은 음향 재생 수단(20)과 같이 하우징(2)에 수용되고,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와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25)는 하우징(2)에 제공되며 음향 수신 수단(19)은 주 방향(28)과 소멸 방향(30)이 있는 지향성 특성을 가지며, 소멸 방향(30)은 음향 수신 수단(19)에서 음향 재생 수단(20)으로 뻗는다.

Description

음향 수신 수단용 가동암이 없는 듣기/말하기 장치{BOOMLESS HEARING/SPEAKING CONFIGURATION FOR SOUND RECEIVING MEANS}
이러한 듣기/말하기 장치는 예를 들어, 모델명 HBH-10으로 에릭슨(Ericsson)에 의해 판매되었고 그러므로 알려져 있다. 알려진 듣기/말하기 장치에서는, 소위 가동암이 제공되는데, 상기 가동암은 음향 수신 수단으로 마이크로폰을 가동암의 자유 단부 영역에 구비하기 때문에, 음향 재생 수단으로 제공되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마이크로폰을 위한 소음원(noise source)을 구성하는 스피커(loudspeaker)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위치되며, 마이크로폰은 알려진 듣기/말하기 장치가 사람의 귀에 위치될 때 이 사람의 입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되는데, 이는 우수한 음향 수신을 위해 유리하다. 그러나, 가동암의 존재로 인하여 알려진 듣기/말하기 장치에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는 듣기/말하기 장치의 중력 중심이 귀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위치되기 때문에 어떤 사용 상황 - 예를 들어, 사람이 걸으면서 알려진 듣기/말하기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언제나 - 에서, 알려진 듣기/말하기 장치는 귀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고, 심지어 사람이 걸을 때 듣기/말하기 장치에 작용하는 충격력 때문에 사람의 귀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더욱이, 알려진 듣기/말하기 장치의 마이크로폰은 사람의 입 또는 코에 비교적 가깝게 위치되기 때문에 입 또는 귀에서 일어나는 공기 흐름에 비교적 매우 민감하다.
본 발명은 사람의 머리에 쓰도록 설계된 듣기/말하기 장치(configuration)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하며 음향 수신 수단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듣기/말하기 장치의 횡단면도.
본 발명은 위에서 나타낸 문제를 방지하고 개선된 듣기/말하기 장치를 제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말하기/듣기 장치에는 독창적인 특성이 제공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듣기/말하기 장치는 다음과 같이 규정될 수 있다.
듣기/말하기 장치는 사람의 머리에 쓰도록 설계되고, 하우징을 가지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음향 재생 수단을 가지고, 음향 수신 수단을 가지는데, 여기서, 상기 듣기/말하기 장치는 음향 수신 수단용 가동암이 없이 설계되고, 상기 음향 수신 수단은 음향 재생 수단과 같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를 가지고, 음향 수신 수단과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에서 떨어져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음향 수신 수단은 주 방향(main direction)과 소멸 방향(extinction direction)이 있는 지향성 특성을 가지며, 상기 음향 수신 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는 음향 수신 수단의 지향성 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의 소멸방향(extinction direction)이 실질적으로 음향 재생 수단 쪽으로 향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를 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은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가격적으로도 적당한 방법으로 달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듣기/말하기 장치는 특히 콤팩트한 설계일 수 있고 음향 수신 수단용 가동암이 없는 설계는 본 발명에 따른 듣기/말하기 장치의 중력점이 사람의 머리에 연결되는 영역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하여, 듣기/말하기 장치를 사용하는 실제적으로 모든 상황, 즉, 위에서 언급한 걷는 도중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듣기/말하기 장치는 사람의 머리와 특히, 사람의 귀에 항상 만족스럽게 위치된다. 또 다른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듣기/말하기 장치가 사람의 입 또는 코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흐름에 비교적으로 민감하지 않도록 음향 수신 수단이 사람의 입 및 코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위치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듣기/말하기 장치에서, 컴팩트한 구조 설계로 인하여 음향 수신 수단에 대한 교란(disturbance)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음향 재생 수단으로부터의 음향 출력은 지향성 특성이 있는 음향 수신 수단이 음향 재생 수단에 관하여 소멸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음향 수신 수단의 영역에서 어떠한 교란 효과도 발생시킬 수 없다는 것이 보장된다는 유리한 점이 있다.
음향 수신 수단의 지향성 특성은 카디오이드(cardioid) 특성 또는 수퍼 카디오이드(supercardioid) 특성 또는 하이퍼 카디오이드(hypercardioid) 특성 또는 그 밖에 숫자 8 특성이라고 불리우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 시점에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듣기/말하기 장치에서, 청구항 2에 따른 특성이 더해질 때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된 바 있다. 이러한 설계는 사람의 귀와 함께 사용하는 효과적인 상호작용에 대해 그리고 가능한 한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 설계에 대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양상 및 그 밖의 양상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장치(1)로서 아래에 표시되는 듣기/말하기 장치(1)를 도시한다. 장치(1)는 사람의 머리에 쓰도록 설계된다. 장치(1)는 대체로 입방형을 갖는 하우징(2)을 갖는다. 하우징(2)은 제 1 입방형 주벽(3) 및 제 2 입방형 주벽(4) 뿐 아니라 제 1 단측벽(5) 및 제 2 단측벽(6)과 제 1 장측벽(7) 및 제 2 장측벽(도 1에서는 보이지 않음)을 구비한다. 하우징(2)에는 제 1 입방형 주벽(3) 영역에 타워형 하우징부(tower-like housing portion)(8)가 제공된다. 고정 부분(9)이 타워형 하우징부(8)에 제공된다. 고정 부분(9)은 타워형 하우징부(8)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지탱되어있는 고리 모양의 베이스부(10)를 갖는다. 베이스부(10)에는 보우(bow)(11)가 연결되는데, 이 보우로 인하여 고정물(1)이 사람의 귀에 고정될수 있다. 제 2 입방형 주벽(4)의 영역에는 통로(12)가 제공되는데, 이 통로를 통하여 키(key)(13)가 돌출되며, 상기 키(13)는 장치(1)를 온/오프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우징(2)의 내부에는 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붙잡기 위해 제공되고 설계되는 대체로 플레이트 모양의 보유 디바이스(14)가 있다. 개략적으로 도시된 소켓(socket)(15)은 보유 디바이스(14)에 연결되는데, 장치(1)에 공급 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측벽(5)에서 통로 개구부(16)를 통해 플러그(도 1에 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소켓(15)과 맞물릴 수 있다. 재충전가능 배터리(17)가 보유 디바이스(14)에 더 연결된다. 더욱이, 마이크로폰(19)과 상호 작동하도록 제공되는 전자 회로(18)와 스피커(20)는 보유 디바이스(14)에 연결된다. 보유 디바이스(14)에는 마이크로폰(19)도 연결되는데, 이 마이크로폰(19)은 장치(1)에서 음향 수신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스피커(20)는 타워형 하우징부(8)에 수용되어, 하우징(2) 내에 수용되는 음향 재생 수단을 형성하고 하우징부(8)의 단부벽(21)에 제공되는 통로 개구부(22)를 통하여 상기 음향 재생 수단에 의해 생성된 음향을 방출하는데, 통로(22)를 통과한 음향 출력은 추가적으로 출력 음향이 장치(1)를 쓴 사람의 귓바퀴로 가기 전에 커버 캡(23)에 제공되는 통로(24)를 통해 지나간다.
도 1로부터 보여지듯이, 장치(1)는 마이크로폰(19)용 가동암 없이 설계된다. 상세히 말하면, 마이크로폰(19)은 장치(1)의 하우징(2) 내에서 스피커(20)와 같이 수용된다.
마이크로폰(19)과 함께 작동하기 위하여, 하우징(2)은 이미 앞에서 언급한 통로 개구부(16)에 의해 형성되고 플러그(도시되지 않음)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를 가진다. 더욱이, 하우징(2)은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에서 떨어져 제공되는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25)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25)는 제 2 입방형 주벽(4)에 제공되는데, 상기 제 2 입방형 주벽(4)은 타워형 하우징부(8)가 제공되는 제 1 입방형 주벽(3) 반대편에 위치된다.
도 1에서 1점 쇄선 화살표(26)로 개략적으로 표시되는 음향 경로는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와 마이크로폰(19) 사이에서 장치(1)에 제공된다. 더욱이, 또 다른 점-선 화살표(27)로 도 1에 표시된 음향 경로가 마이크로폰(19)과 제 2 음향 경로 개구부(25) 사이에 제공된다. 단일의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 및 단일의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25) 만이 아니라 복수의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 및 복수의 제 2 음량 통로 개구부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 이 시점에 언급될 수 있다.
도 1의 장치(1)에서, 마이크로폰(19)은 마이크로폰(19) 설계의 적절한 선택의 결과 및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의 존재의 결과 및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25)의 존재의 결과로, 예를 들어, 점-선 라인(28)에 의해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지향성 특성, 보다 자세하게는 수퍼 카디오이드 특성을 갖는다. 수퍼 카디오이드 특성(28)은 주 방향(29) 및 본 경우에 사용될 소멸 방향(30)을 갖는다. 수퍼 카디오이드 특성(28)은 또한 제 2 소멸 방향을 갖는데,이것은 본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2개의 소멸 방향보다 많은 소멸 방향들이 있는 지향성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것이 선택적으로 가능한데, 상기 소멸 방향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된다.
도 1의 장치(1)에서, 마이크로폰(19)의 수퍼 카디오이드 특성(28)의 소멸 방향(30)이 도 1로부터 볼 수 있듯이 대체로 스피커(20) 쪽으로 향하도록 마이크로폰(19)과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와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25)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 위치를 채택하도록, 마이크로폰(19)과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와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25)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서, 마이크로폰(19)은 하우징(2)의 제 1 측벽(5)과 타워형 하우징부(8) 사이에 위치된 영역에 배치되고,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는 제 1 측벽(5)에 제공되며,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25)는 제 2 입방형 주벽(4)에 제공된다.
위에서 상술한 배열을 기초로 하여, 매우 컴팩트한 구조 설계가 본 장치(1)에서 달성된다. 본 장치(1)에서 모든 구성 요소가 하우징(2)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장치(1)의 중력 중심이, 장치(1)가 사람의 귀에 연결되도록 하는 타워형 하우징부(8) 옆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도록 하우징 내에 수용된 장치(1)의 구성 요소가 배열되고 고정되는 것이 간단한 방법으로 달성되어서, 장치(1)에 충격이 하중된 경우 사람의 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는 어떠한 레버 비율도 사실상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장치(1)가 사람의 귀 또는 머리에 효과적으로 그리고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항상 보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람의 머리에 쓰도록 설계된 듣기/말하기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

  1. 듣기/말하기 장치(1)로서,
    상기 듣기/말하기 장치는 사람의 머리에 쓰도록 설계되고, 하우징(2)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2) 내에 수용된 음향 재생 수단(20)을 가지고, 음향 수신 수단(19)을 가지는데, 여기서, 상기 듣기/말하기 장치(1)는 상기 음향 수신 수단(19)용 가동암(boom)이 없이 설계되고, 상기 음향 수신 수단(19)은 상기 음향 재생 수단(20)과 같이 상기 하우징(2) 내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2)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를 가지고, 상기 음향 수신 수단(19)과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에서 떨어져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25)를 가지며, 상기 음향 수신 수단(19)은 주 방향(29)과 소멸 방향(extinction direction)(30)이 있는 지향성 특성(directional characteristic)(28)을 가지며, 상기 음향 수신 수단(19)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25)는 상기 음향 수신 수단(19)의 상기 지향성 특성(28)의 소멸 방향(extinction direction)(30)이 실질적으로 상기 음향 재생 수단(20) 쪽으로 향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를 가지는, 듣기/말하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실질적으로 입방형(cuboid shape)이고 상기 하우징(2)에는 제 1 입방 주벽(cuboid main wall)(3)의 영역에서 타워형 하우징부(8)가 제공되는데, 상기 타워형 하우징부(8)에는 음향 재생 수단이 수용되며, 여기서, 상기 음향 수신 수단(19)은 상기 타워형 하우징부(8)와 상기 하우징(2)의 제 1 측벽(5) 사이에 위치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음향 통로 개구부(16)는 상기 하우징(2)의 상기 제 1 측벽(5)에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음향 통로 개구부(25)는 상기 제 2 입방형 주벽(4)에 제공되는데, 상기 입방형 주벽은 상기 타워형 하우징부(8)가 제공되는 상기 제 1 입방형 주벽(3)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듣기/말하기 장치.
KR1020027015540A 2001-03-21 2002-03-05 음향 수신 수단용 가동암이 없는 듣기/말하기 장치 KR20020097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890091.0 2001-03-21
EP01890091 2001-03-21
PCT/IB2002/000700 WO2002076145A1 (en) 2001-03-21 2002-03-05 Boomless hearing/speaking configuration for sound receiving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83A true KR20020097483A (ko) 2002-12-31

Family

ID=818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540A KR20020097483A (ko) 2001-03-21 2002-03-05 음향 수신 수단용 가동암이 없는 듣기/말하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42614B2 (ko)
EP (1) EP1279314A1 (ko)
JP (1) JP2004519938A (ko)
KR (1) KR20020097483A (ko)
CN (1) CN1459211A (ko)
WO (1) WO2002076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1219B2 (en) 2007-01-05 2013-03-19 Apple Inc. Headset connector
US9118990B2 (en) 2007-01-06 2015-08-25 Apple Inc. Connectors designed for ease of use
CN104202689B (zh) 2007-01-06 2018-07-20 苹果公司 依照确定的啮合连接器的方向选择性路由信号的耳机连接器
EP2421101B1 (en) 2007-01-06 2013-09-11 Apple Inc. Headset connector for selectively routing signals depending on determined orientation of engaging connector
EP2210425B1 (en) * 2007-10-31 2013-09-25 GN Netcom A/S A communication device with combined electrical socket and microphone opening
CN104681004B (zh) 2013-11-28 2017-09-29 华为终端有限公司 头戴式设备控制方法、装置和头戴式设备
US10582284B2 (en) 2015-09-30 2020-03-03 Apple Inc. In-ear headphone
CN105430584A (zh) * 2015-11-10 2016-03-23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Usb连接模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8502A (en) * 1975-03-19 1977-07-26 Motorola, Inc. Acoustic coupling structure for microphone
US5373555A (en) * 1992-05-11 1994-12-13 Jabra Corporation Unidirectional ear microphone and gasket
US5343523A (en) * 1992-08-03 1994-08-30 At&T Bell Laboratories Telephone headset structure for reducing ambient noise
WO1994023520A1 (en) * 1993-04-02 1994-10-13 Jabra Corporation Unidirectional ear microphone with multiple open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36422A1 (en) 2002-09-26
EP1279314A1 (en) 2003-01-29
CN1459211A (zh) 2003-11-26
JP2004519938A (ja) 2004-07-02
WO2002076145A1 (en) 2002-09-26
US6542614B2 (en) 200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462B1 (ko) 이어폰
US11234066B2 (en) Earphone
CN1953619A (zh) 包含传声器的音频设备
JP2010157787A (ja) ヘッドホン
WO2020206775A1 (zh) 一种近耳的定向出音结构及其音频眼镜
KR102287938B1 (ko) 헤드셋의 마이크 장착 구조
JP7264155B2 (ja) 音響出力装置
KR20020097483A (ko) 음향 수신 수단용 가동암이 없는 듣기/말하기 장치
KR20110010033A (ko) 골전도(骨傳導) 이어폰
KR101122126B1 (ko) 커널형 이어폰
JP2002369295A (ja) 集音器とイヤホン用カバー
EE200000570A (et) Telefon vahenditega madalas sagedusalas sageduskarakteristiku tõstmiseks
WO2022100111A1 (zh) 一种蓝牙音频装置及悬挂式蓝牙耳机
JP2023512104A (ja) 向上した風ノイズ抵抗性を有する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
CN217388954U (zh) 无线听音设备
CN216600003U (zh) 低风噪耳机组件及耳机
JP2008125008A (ja) イヤーセット
JP3239620U (ja) イヤホン
JPH04172794A (ja) 外耳道で骨伝導音声をピックアップする装置及び通話装置
JPH0970087A (ja) 骨伝導音声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通話装置
KR102128298B1 (ko) 넥밴드형 이어폰
WO2018113252A1 (zh) 音箱前置的移动通讯终端
WO2020116253A1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機器
JP2015033000A (ja) イヤホンマイ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集音装置
JPH11136331A (ja) イヤーセット型送受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