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069A -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 Google Patents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069A
KR20020097069A KR1020020057478A KR20020057478A KR20020097069A KR 20020097069 A KR20020097069 A KR 20020097069A KR 1020020057478 A KR1020020057478 A KR 1020020057478A KR 20020057478 A KR20020057478 A KR 20020057478A KR 20020097069 A KR20020097069 A KR 20020097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tainer
main body
stopp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2005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7069A/ko
Publication of KR2002009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06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2)발명의 목적
종래 병형태의 용기는 적층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가 벌어지게 하여 적층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용기의 본체는 마개를 씌울 수 있는 구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구부의 하방으로는 몸체부가 형성되데, 상기한 몸체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넓은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한 본체는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는 적층이 가능하여 물류비용이 절감되고, 그리고 상기한 본체에는 마개 또는 마개와 배출대가 조립된후, 본체의 하방을 통하여 내용물을 충진하는 바, 그 충진속도가 현저하게 증가된 장점도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omitted}
본 발명은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에 관한 것이며,종래의 선행으로는 컵 형태의 것이 다단으로 적층하게 된 것과, 병 형태의 것이 다단으로 적층되는 기술이 특출2000-3327호로 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는 기능에 따라 원터치 또는 스크류방식의 뚜껑(마개)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상기한 개폐장치가 있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브로우 방식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용기가 사출성형된후 그 하부가 별도의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용기는 다단으로 적층이 난이하여 물류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며,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자 컵형태의 용기가 근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컵형태의 용기는 그 디자인상 일반적으로 병형태의 것을 많이 벗어난 바, 병형태의 디자인에 익숙한 소비자의 인식을 바꾸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이상에 근거하여, 컵형태의 용기 저부에 뚜껑을 결합할 수 있는 구부를 일체로한 용기가 일본에서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한 용기의 저부 중앙부에 구부가 형성된 바, 용기를 치켜 들고 음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즉. 병 형태이지 않고, 컵 형태인 바, 코너가 형성되어 용기를 완전 거꾸로 숙이지 않으면 컵형태의 용기에 든 내용물이 전량 배출되지 못하였던 바, 상기한 용기는 일반적으로 샴푸 등을 배출하는 펌프디스펜서를 결합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것으로서, 용기가 사출성형된후 그 하부가 별도의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방식의 경우, 상기한 용기는 그 형태가 병의 형상을 하고 있어 미려하기는 하지만 적층성이 없어 물류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의 것으로서, 특출2000-3327호로 제안된 것이 있으나, 이는 그 제작기법이 금속재질로 된 것을 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인은 컵형태의 용기에 병뚜껑을 조립할 수 있는 구부를 일체로 하되, 그 구부는 컵형태의 용기 저부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벗어나게 하여 음용시 용기를 조금만 기울여도 되도록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술적으로 2000-1316호로 특허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본 발명인의 특출2000-1316호 역시 일반적인 병형태에서 많이 벗어나, 그 디자인성이 현저하게 차이가 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용기의 본체는 구부를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유선형으로 벌어진 전형적인 병형태의 형상을 유지하여 디자인성을 존속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용기는 병형태를 유지하면서도 빈 용기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끼리 다단으로 적층이 될 수 있는 기술을 극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적층식 용기가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용기의 조립종단면도.
도 2는 본체의 저부뚜껑이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4는 사용상태의 응용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저부뚜껑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도 12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핵심으로서, 도 12는 적층식 용기 본체를 보인 요부절개된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체가 다단으로 적층된 일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체충전용기 10 :본체
11 : 구부 12, 43 : 나사산
13 : 배출공 14 : 환테
15 : 몸체 16 : 환턱
17 : 저부뚜껑결합부 18 : 내벽부
19 : 지지대 20 : 저부뚜껑
21 : 보강부 22 : 배출대지지부
23 : 측면공 30 : 배출대
31 : 유출구 32 : 측면유출공
33, 34 : 환돌기 35 : 공기유입로
40 : 마개 41 : 상면부
42 : 측면부 44 : 위조방지테
45 : 밀폐벽 46 : 걸림환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의 본체가 하방으로 갈수록 넓은 즉, 테이퍼 형상이 되게 하였다.
상기한 본체의 하방은 별도의 부속물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였다.
그 결합은 열접착이나, 초음파 또는 고주파 등 여러 결합의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결합은 일예로 스크류방식이나, 또는 원터치 방식등의 뚜껑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용기 본체의 몸체는 원형이거나 또는 사각 또는 그 형태가 타원형 등 다양한 구조의 것이 가능하나, 원칙은 적층이 가능하면 족하다.
상기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취지를 보인 본체의 형태 및 사용상태(적층상태)를 보인 것이다.
용기(1)의 본체(10)는 상방에 나사산(12)이나 걸림턱 등이 형성된 통상의 구부(11) 형태이고, 상기한 구부(11)의 내부는 내용물 배출용 배출공(13)이 형성되며, 상기한 구부(11)의 나사산(12) 하방으로는 마개가 쓰워져 위조방지테가 걸리도록 된 환테(14)가 형성되나, 이는 그 구성상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구조를 갖고 있는 구부(11)의 하방으로는 몸체(15)가 형성되데, 상기한 몸체(15)는 상방의 크기 「D」보다도 하방의 크기 「D'」가 더 넓은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한 본체(10)는 도 1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10) 끼리 다 수가 적층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은 상태에서 구부(11)에 마개가 씌워져 식음료 공장으로 이동된후 본체(10)의 하방을 저부뚜껑(20) 등으로 밀폐시킨 것이다.
상기한 저부뚜껑(20)은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접착, 또는 열접착이나 고주파접착 등이 사용되는데, 도 6은 그 중의 한 방법으로 접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상기한 저부뚜껑(20)은 보강을 위하여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보강부(2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저부뚜껑(20)이 압력이나 기타 변형을 예방하기 위하여 준비된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도 8과 도 9 역시 저부뚜껑(20)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저부뚜껑(20)은 본체(10)의 하방에 스크류방식이나 원터치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밀폐를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응용의 일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 다.
도 1은 본체(10)의 구부(11)를 중심으로 하여 그 내부 배출공(13)부에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대(30)를 조립한 일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한 배출대(30)는 매우 다양한 것이 가능하다. 일예로, 스트로 타입의 것과 또는 본체(10)가 수축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면 일반 스틱 형태의 배출대 등이 그 예이며, 또 다른 일예로, 스트로 타입의 경우 그 배출대에 입을 대고 빨게될 때 본체(10) 내부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할 것이다.
그 예외도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나, 우선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배출대(30)는 내측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목적으로 된 유출구(31)가 형성되고, 그 유출구(31)의 임의 위치에는 측벽으로 뚫린 적어도 1개 이상의 측면유출공(32)을 두며, 상기 측면유출공(32)의 인접된 하외환으로는 환돌기(33)를 둠과, 상기 배출대(30)의 상측에는 마개의 환돌기에 걸려 상향되어질 목적의 환돌기(34)를, 상기 환돌기(34)로 부터 하방의 환돌기(33) 사이에는 공기유입로(35)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출대(30)가 본체(10)에 조립된 것의 본체(10) 구부(11)를 중심으로 하여는 마개(40)를 조립시킨다.
상기한 마개(40)는 상면부(41)와 측면부(4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42) 내측벽부에는 나사산(43)을 중심으로 하여 하측에는 환형의 위조방지테(44)를 상측에는 본체(10)의 구부(11) 상외벽에 닿아 밀폐력을 유지할 목적의 밀폐벽(45)을 또한 그 상측으로는 배출대(30)의 환돌기(34)에 걸려지게 걸림환돌기(46)를 형성한 것 이 다.
이상 도 1과 같은 구조의 용기(1)의 구성이 작용하기 위하여는 본체(10)의 배출공(13)이 넓어지기 직전인 부위의 환턱(1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도 1은 일예이며, 그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는 도 2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 저부뚜껑(2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한 용기(1)를 거꾸로 하여 내용물을 충진한후 저부뚜껑(20)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이유는, 구부(11)의 배출대(30)를 통하여 내용물을 충진하게 되면 충진속도가 느리게 되나,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하방부를 통하여 충진하면 그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이상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내용물 충진후 본체(10)의 하방부에 저부뚜껑(20)이 결합된 상태가 도 1과 같은 것이며, 상기한 상태에서 마개(40)를 열게 되면 마개(40)의 나사산(43)이 본체(10)의 구부(11)에 형성된 나사산(12)을 타고 상향되는 과정에 걸림환돌기(46)가 배출대(30)의 환돌기(34)에 걸려져 있는 바, 이로 말미암아 배출대(30)는 마개(40)에 의해 일체로 상향되어지는 것이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마개(40)를 좀더 회전시키게 되면 배출대(30)의 환돌기 (33)가 본체(10)의 환턱(16)에 걸려 더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일시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개(40)를 연이어 돌리게 되면 걸림환돌기(46)가 배출대(30)의 환돌기(34)를 탄력적으로 벗어나면서 마개(40)는 본체(10)와 배출대(30)로 부터 완전 분리되게 되는데, 이를 예시한 것이 도 3과 같다.
상기한 상태에서, 배출대(30)의 상방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유출구(31)를 통하여 용기(1)내의 내용물이 빨려 나오게 되며, 동과정에 공기유입로(35)를 통하여는 용기(1)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바, 내용물이 잘 빨려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용기(1) 내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기고자 할때는 배출대(30)를 눌러 하향시킨후 용기(1)를 치켜 들고 가압하게 되면 용기(1)내의 내용물이 측면유출공(32)을 경유 유출구(31)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 도 4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대(30)는 그 배출대(30)를 마개(40)를 통하여 올리고 내리는 것이 다양한 방법으로 극복될 수 있는데, 일예로, 스크류방식외에 본체(10)의 구부(1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향되어 마개(40)가 올라가게 하거나 또는 마개를 들어 올려 배출대(30)가 따라 올라가게 하는 등의 방법이 그 예이다.
또는 배출대(30)는 마개(40)에 의하지 않고 손으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등의 행위를 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5), 구부(11)의 내벽부(18)에 복수개의 지지대(19)를 두어, 그 지지대(19)에 배출대(30)를 조립 결합시킨 것이다.
상기한 것의 사용시는 마개(40)를 통하여 배출대(30)를 승하강 시키는 것과 그리고 손으로 배출대(30)를 승하강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된 배출대(30)의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한 것의 특이점은 공간(S)을 통하여 공기가 용기(1)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용기(1)를 거꾸로 숙였을 경우, 공간(S)을 통하여 용기(1)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특징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0, 도 11), 저부뚜껑(20)의 저면부에 측면공(23)이 있는 배출대지지부(22)를 두고, 상기한 배출대지지부(22)에는 배출대(30)의 하방부가 조립되게 하는 것이며, 그 사용시는 배출대(30)가 승하강 되더라도 상기한 배출대(30)의 하단은 저부뚜껑(20)의 저면부 까지 연결된 효과를 보게 되는 것인데, 그 예가 도 11에서 표시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는 적층이 가능하여 물류비용이 절감되고, 그리고 상기한 본체에는 마개 또는 마개와 배출대가 조립된후, 본체의 하방을 통하여 내용물을 충진하는 바, 그 충진속도가 현저하게 증가된 장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용기의 본체는 마개를 씌울 수 있는 구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구부의 하방으로는 몸체부가 형성되데, 상기한 몸체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넓은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한 본체는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고 있는 적층식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부와 몸체부로 된 본체는 그 형태가 병형태인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고 있는 적층식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부의 내부에는 유출공이 있고, 그 유출공의 하부몸체와 연결되기 직전인 부위에는 환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고 있는 적층식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몸체)의 하방에는 저부뚜껑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구부 배출공을 중심으로 하여는 배출대를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대가 있는 구부에는 마개를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개는 배출대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배출대의 상방 환돌기에 마개의 걸림환돌기가 탄력적으로 걸려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대는 마개에 의해 일정 높이로 만 올라갈 수 있도록 배출대의 일정 부위에 환돌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의 하방 환돌기의 상방향에는 측면유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의 측면유출공 옆으로는 공기유입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는 일정 상향된후, 하부 환돌기에 의해, 그 환돌돌기가 본체의 유출공 환턱에 걸려 일정 이상은 상향되지 못하고 멈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의 환돌기가 본체의 환턱에 걸려 올라가지 못하고 멈추게 될 때, 배출대의 측면유출공이 본체의 내벽부에 접촉되어 밀폐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의 내부에는 유출공이 형성되데, 상기한 유출공의 내벽부에는 공간이 있는 지지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배출대를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는 다단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뚜껑의 상부 바닥에는 측면공이 있는 배출대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KR1020020057478A 2002-09-16 2002-09-16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KR20020097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478A KR20020097069A (ko) 2002-09-16 2002-09-16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478A KR20020097069A (ko) 2002-09-16 2002-09-16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069A true KR20020097069A (ko) 2002-12-31

Family

ID=2772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478A KR20020097069A (ko) 2002-09-16 2002-09-16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70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8006A (en) Nestable self-venting spout
CN101910008B (zh) 罐盖
EP1532051A2 (en) Beverage closure with open/close spout
JP6385259B2 (ja) 二重容器
CN105473463A (zh) 容器以及密封棒
US7506784B2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JP3021647B2 (ja) 栓付き樽
WO2005049434A1 (en) A preform of a plastic container particularly for packaging foodstuffs
JP4597537B2 (ja) 容器のキャップ
KR20020097069A (ko) 병형태의 구부를 갖는 적층식 용기
KR900000494B1 (ko) 포개지는 형태의 자동 통기식 스파우트
MXPA06006228A (es) Metodo y estructura para mezclar diferentes materiales.
KR20030031549A (ko) 받침대형마개를 갖고 있는 액체배출용 용기
KR20020079698A (ko) 액체배출용 배출대를 갖고 있는 용기의 구조
CN2280669Y (zh) 防伪瓶盖及配套的防伪瓶
KR102106608B1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KR200475141Y1 (ko) 파우치 용기의 주입구 개폐장치
KR200491157Y1 (ko) 포장용 캔 용기
KR200354366Y1 (ko) 공기 유입이 원활한 음료용 팩
KR200430258Y1 (ko) 어깨커버를 가지는 용기
CN2382682Y (zh) 新型防伪瓶盖
JP6887731B2 (ja) 注出容器
WO2004067398A1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KR100432235B1 (ko) 합성수지 병뚜껑의 밸브식 내용물 유출장치 구조
KR20020097097A (ko) 다단 적층이 가능한 형태의 용기 제작 방법 및 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