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345A - 계란 내 수용성 필수 비타민의 함유량을 증가시킨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계란 내 수용성 필수 비타민의 함유량을 증가시킨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345A
KR20020096345A KR1020010034746A KR20010034746A KR20020096345A KR 20020096345 A KR20020096345 A KR 20020096345A KR 1020010034746 A KR1020010034746 A KR 1020010034746A KR 20010034746 A KR20010034746 A KR 20010034746A KR 20020096345 A KR20020096345 A KR 20020096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choline
weight
vitamin
eg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환
유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01003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345A/ko
Publication of KR2002009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3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30Addition of substance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A23L15/20 – A23L15/2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필수 비타민의 함유량을 증가시킨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필수 비타민 바람직하게는 콜린의 함유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산란계용 사료에 염화콜린,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E, 복합생균제(유산균, 이스트컬춰), 식물성 지방, 몬나이트(Monnite) 등을 첨가함으로써 일반란에 비해 콜린 함유량이 높은 특수 계란을 생산할 수 있는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란 내 수용성 필수 비타민의 함유량을 증가시킨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Special Feed Formula for Laying Hen To Increase Choline Content of Egg}
본 발명은 수용성 필수 비타민의 함유량을 증가시킨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필수 비타민 바람직하게는 콜린의 함유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산란계용 사료에 염화콜린,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E, 복합생균제, 식물성 지방, 몬나이트(Monnite) 등을 첨가함으로써 일반란에 비해 콜린 함유량이 높은 특수 계란을 생산할 수 있는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계란 내 식품적 유효성분 함량을 증가시킨 특수란을 제조하는 종래 기술로는 비타민 A, D, E 등의 지용성 비타민, DHA, EPA 등의 ω3 계열의 지방산, 그리고 Se(셀레늄), I(요오드) 등의 필수 광물질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특히, 지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A, D, E, K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계란의 난황에 다량의 지방과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어 이들을 통해 주로 지용성비타민이 계란으로 전이된다는데 착안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B군의 함량 증가에 관련된 발명은 아직 없었고, 계란의 식품적 가치 증진을 지용성 비타민과 일부 광물질에만 국한시킨다면 그 식품적 가치 또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한편, 수용성 비타민 중의 하나인 콜린(choline)은 빌리노이린, 신칼린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결합(포스파티딜콜린, 아세틸콜린) 상태로 여러 가지 동식물 조직, 특히 뇌, 신경, 담즙, 달걀노른자, 종자에 들어있다. 또한, 세포막 삼투압 조절에 관여하며,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로서 항지방간인자 작용과 아세틸콜린으로서 혈압 조절 및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등 여러 가지 중요한 생리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콜린의 결핍으로 간장에 있어서의 많은 굳기름 축적이나 신장의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적당량의 콜린을 섭취하는 것은 건강에 유효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용성 비타민, 필수 광물질 및 수용성 비타민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기술을 확립시키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산란계용 사료에 염화콜린을 첨가하여 계란 내 수용성 비타민(비타민 B군)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계란 내 콜린 함량을 증가시켜 성분이 차별화된 특수 계란을 생산할 수 있는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수용성 비타민(비타민 B군)이 함유된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용성 비타민(비타민 B군) 바람직하게는, 콜린 수준을 일정수준 증가시킨 특수 계란을 생산하기 위하여 식물성지방, 생리활성물질인 몬나이트와 복합생균제, 간기능 개선제인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E 등이 함유된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에 염화콜린을 첨가시킨 것이다.
상기 염화콜린 0.1 ∼ 0.5 중량%를 첨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콜린이 난황으로 이행되는 양이 적으며, 0.5 중량%를 초과하면 첨가된 염화콜린이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여 역가가 감소하므로 첨가 효율상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지방의 소화흡수시 콜린의 동반흡수가 용이하도록 사료내 지방산 조성을 3.5 ∼ 6.0 중량%로 유지하여야 하고 식물성지방(팜유 제외) 조성을 1.0 ∼ 3.0중량%로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장에서 콜린의 흡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장의 건강을 최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생리활성물질을 사용하는데, 생리활성물질로는 몬나이트와 복합생균제 등이 사용된다.
몬나이트는 0.5∼ 1.0 중량% 사용하며, 0.5 중량% 미만 사용하면 생리활성을가져오는 원적외선 방사 기능과 장내의 곰팡이 독소 흡착 기능이 부족하고, 1.0 중량% 초과 사용하면 사료 내 회분 함량이 증가하여 사료의 대사 에너지 수준이 감소하여 산란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복합생균제는 유산균과 이스트컬춰의 합제로서 0.1 ∼ 0.3 중량%를 사용한다. 복합생균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장에 도달하는 생균제의 수가 적어 장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정장 작용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0.3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더 이상의 장내 미생물 증식 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등 정장 작용 효과가 더 이상 증대되지 않는 반면 복합 생균제 첨가량 증대에 따른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
콜린이 흡수된 후 난황으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간기능을 극대화하여 전이율이 높아지도록 간기능 개선제를 0.02 ∼ 0.1 중량% 사용한다. 간기능 개선제로는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E 등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수용성 비타민의 하나인 콜린의 함유량을 증가시킨 특수 계란의 제조
식물성 지방으로 대두유 3.0 중량%, 생리활성물질로 몬나이트 0.6 중량%, 복합생균제 0.2 중량%, 간기능 개선제로 비타민 C제 0.02 중량%, 비타민 E제 0.001 중량% 등이 함유된 산란계용 사료에 염화콜린 0.1 중량% 또는 0.125 중량%를 첨가시켰다. 이 사료를 닭에게 30일간 1일 115 g씩 급여한 후 생산된 계란의 콜린함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1
1. 분석시료 (파주 성훈농장)
1) 염화콜린 0.1 중량% 첨가한 사료를 급여 후 생산된 계란 [시료명 : 1 ∼ 12]
* 시료명 1 ∼ 6은 정상상태의 계란
* 시료명 7 ∼ 12는 I.B(Infectious Bronchitis, 전염성 기관지염)에 감염된 닭의 계란[참조: I.B 질병에 걸리면 간기능이 저하되고 계란으로의 콜린 전이(carry over)도 부진하다.]
2) 염화콜린 0.025 중량% 첨가한 사료를 급여 후 생산된 계란 [시료명 : 13 ∼ 18]:비교예로 사용되었으며 통상의 산란계 사료에는 염화콜린이 0.025 중량% 이하 수준으로 첨가된다.
2. 분석결과
시료명 난황 내의콜린함량(ppm) 전란무게(g) 난황 난백
무게(g) 비율(%) 무게(g) 비율(%)
1 9,075 39.94 14.57 36.48 25.37 63.52
2 8,266 54.66 15.45 28.27 39.21 71.73
3 8,224 42.84 15.78 36.83 27.06 63.17
4 9,022 41.12 15.36 37.35 25.76 62.65
5 8,610 46.64 18.04 38.68 28.60 61.32
6 8,925 58.34 17.89 30.67 40.45 69.33
평균 8,685 47.26 16.18 34.24 31.08 65.76
7 8,200 61.72 15.12 24.5 46.6 75.50
8 8,695 53.45 16.22 30.35 37.23 69.65
9 8,228 55.41 18.54 33.46 36.87 66.54
10 8,523 48.86 14.32 29.31 34.54 70.69
11 8,211 60.18 15.77 26.20 44.41 73.80
12 8,173 54.02 17.15 31.75 36.87 68.25
평균 8,338 55.61 16.19 29.11 39.42 70.89
13 7,998 55.93 13.47 24.08 42.46 75.92
14 7,672 55.64 20.51 36.86 35.13 63.14
15 8,116 59.62 18.72 61.40 40.90 68.60
16 7,097 42.07 17.86 42.45 24.21 57.55
17 7,504 64.20 21.81 33.97 42.39 66.03
18 7,926 62.26 21.11 33.91 41.15 66.09
평균 7,719 56.62 18.91 33.40 37.71 66.6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정상 상태 계란의 난황에서 콜린 평균 함량은 염화콜린 0.1 중량% 첨가구가 염화콜린 0.025 중량% 첨가구에 비해 966 ppm 높게 나타났고, I.B에 감염된 닭의 계란은 정상란에 비해 347 ppm 낮게 나타났다.
또한, I.B에 감염된 닭의 계란은 정상란에 비해 난백비율이 5.1% 높게 나타나 전란 중의 난황비율이 낮아지며, 콜린 함량은 염화콜린 0.025 중량% 첨가구보다 104 ppm 낮은 수준으로 질병에 의한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신계(젊은 닭)의 간기능이 우수하므로, 신계와 노계(늙은 닭)의 계란 내 콜린 함량을 비교하였다. 신계사는 젊은 닭들이 수용된 닭장을, 노계사는 늙은 닭이 수용된 닭장을 의미한다.
1. 분석시료 (파주 성훈농장)
1) 염화콜린 0.125중량% 첨가한 사료를 급여 후 생산된 계란 (신계사 5점, 노계사 5점)[시료명: 1 ∼ 10]
* 1 ∼ 5는 신계사, 6 ∼ 10은 노계사
2) 염화콜린 무첨가한 사료를 급여 후 생산된 계란 (시중 판매 일반란 5점)[시료명: 11 ∼ 15]
2. 분석결과
구분 시료명 시료수 난황 내의 콜린 함량(ppm) 평균치 전란 내의 콜린 함량(ppm) 평균치
1 신계사 계란 5 8710 3101
2 노계사 계란 5 8804 2807
3 일반란 5 9096 2860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난황 내의 콜린 함량은 신계사가 노계사보다 94 ppm 낮게 나타났으며, 일반란 보다는 386 ppm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나, 전란 내의 콜린 함량을 대비하면, 신계사의 콜린 함량이 노계사보다 306 ppm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란은 노계사보다 53 ppm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시료 난황 난백
무게(g) 비율(%) 무게(g) 비율(%)
신계 1 18.75 38.1 30.50 61.9
2 17.40 31.7 37.54 68.3
3 17.16 34.5 32.64 65.5
4 20.36 36.2 35.91 63.8
5 20.63 38.1 33.45 61.9
평균 18.86 35.7 34.01 64.3
노계 6 16.85 27.3 44.83 72.7
7 17.28 31.7 37.17 68.3
8 14.92 29.2 36.12 70.8
9 19.47 37.4 32.65 62.6
10 19.09 35.0 35.39 65.0
평균 17.52 32.1 37.23 67.9
일반란 11 16.04 35.9 28.66 64.1
12 12.55 28.3 31.77 71.7
13 14.72 30.3 33.94 69.7
14 13.41 29.5 32.11 70.5
15 20.02 34.1 38.66 65.9
평균 15.35 31.6 33.03 68.4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난황비율을 살펴보면 신계사 계란이 35.7%, 노계사가 32.1%, 일반란이 31.6%로서 신계사 계란이 노계사 계란보다는 난황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염화콜린 0.1 중량% 첨가한 계란이 일반란보다 난황비율이 다소 높았다.
또한, 전란(난백과 난황)의 평균중량은 신계사 계란이 52.87 g, 노계사 계란이 54.75 g, 일반란이 48.38 g으로 염화콜린 0.125 중량% 첨가한 계란이 일반란보다 더 높은 중량을 나타내었다.
전란의 개당 평균 콜린 함량을 대비하면 신계사가 0.1639 g/Ea(개당), 노계사가 0.1537 g/Ea, 일반란이 0.1383 g/Ea 으로 신계사 계란이 노계사 계란보다 개당 콜린 함량이 0.0102 g/Ea 높게 나타나며, 일반란보다는 0.0256 g/Ea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콜린의 첨가 효과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난황비율과 계란의 무게가 동시에 만족되면 계란 중의 콜린 함량은향상된다.
시험예 3:
1. 분석시료(영주 상록수 농장)
1) 염화콜린 무첨가 사료를 급여 후 생산된 계란(A1 ∼ A10:10점)
2) 염화콜린 0.125 중량% 첨가 사료를 급여 후 생산된 계란(B1 ∼ B10:10점)
2. 분석결과
시료 계란무게(g) 난피(g)/비율(%) 난황(g)/비율(%) 시료 계란무게(g) 난피(g)/비율(%) 난황(g)/비율(%)
A1 71.85 7.42/10.3 17.95/25.0 B1 68.31 7.95/11.6 18.09/26.5
A2 60.74 7.33/12.1 15.37/25.3 B2 66.64 7.58/11.4 17.51/26.3
A3 68.93 8.36/12.1 17.10/24.8 B3 66.21 9.26/14.0 19.83/30.0
A4 62.24 7.00/11.2 14.69/23.6 B4 66.48 7.47/11.2 19.28/29.0
A5 56.50 7.16/12.7 16.15/28.6 B5 68.55 6.28/9.2 18.60/27.1
A6 70.00 8.31/11.9 16.57/23.7 B6 67.09 7.45/11.1 15.85/23.6
A7 50.41 6.13/12.2 16.79/33.3 B7 71.90 8.81/12.3 20.20/28.1
A8 57.36 6.47/11.3 16.26/28.3 B8 74.19 7.93/10.7 19.70/26.6
A9 74.13 8.24/11.1 16.84/22.7 B9 67.65 6.88/10.2 18.37/27.2
A10 74.52 6.83/9.2 17.26/23.2 B10 77.44 7.44/9.6 17.61/22.7
평균 64.67 7.32/11.4 16.50/24.8 평균 69.45 7.70/11.1 18.50/26.7
상기 표 4와 같이, 계란의 무게는 염화콜린 0.125 중량%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평균적으로 개당 4.78 g 높게 나타났으며, 계란 중의 난피의 비율은 염화콜린 0.125 중량% 첨가구가 11.1%, 무첨가구가 11.4%의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계란 중의 난황비율은 염화콜린 0.125 중량% 첨가구가 26.7%, 무첨가구가 24.8%로 첨가구가 1.9% 높았다.
시료 난황 중 콜린함량(ppm) 시료 난황 중 콜린함량(ppm)
A1 8739(2183) B1 8950(2370)
A2 7885(1995) B2 8727(2293)
A3 8013(1988) B3 8379(2510)
A4 8253(1948) B4 8412(2440)
A5 8376(2394) B5 8750(2374)
A6 8505(2013) B6 9050(2138)
A7 9130(3051) B7 9068(2548)
A8 8326(2360) B8 8740(2321)
A9 8231(1870) B9 8960(2433)
A10 8771(2032) B10 9228(2098)
평균 8426(2183) 평균 8826(2352)
주) ( )안의 수치는 난백의 콜린함량을 무시한 계란(난피 포함)중의 콜린 함량임.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난황 중의 콜린 함량은 염화콜린 0.125중량% 첨가구가 무첨가구가 보다 400 ppm 높게 나타났으며, 계란 중의 콜린 함량으로 대비하면 염화콜린 0.125중량% 첨가구가 2352 ppm, 무첨가구가 2183 ppm으로 첨가구가 169 ppm 높게 나타났다.
시험예 4:
1. 분석시료 (아산 염치 농장)
1) 염화콜린 무첨가 사료를 급여 후 생산된 계란(A1 ∼ A14 : 14점)
2) 염화콜린 0.1중량% 첨가사료를 급여 후 생산된 계란(B1 ∼ B10 : 10점)
2. 분석결과
시료명 계란무게(g) 난황 난피
무게(g) 비율(%) 콜린함량(ppm) 무게(g) 비율(%)
A1 70.85 19.36 27.3 6840 8.91 12.6
A2 65.89 18.02 27.3 6190 7.87 11.9
A3 69.92 17.21 24.6 5869 8.00 11.4
A4 71.55 16.58 23.2 6522 7.21 10.1
A5 71.09 16.68 23.5 7377 6.83 9.6
A6 67.01 17.00 25.4 6654 6.87 10.3
A7 70.09 15.69 22.4 7054 7.63 10.9
A8 68.59 17.60 25.7 7563 6.59 9.6
A9 71.72 16.69 23.3 6984 7.91 11.0
A10 74.71 17.76 23.8 7932 7.42 9.9
A11 74.89 16.28 21.7 6640 7.92 10.6
A12 75.68 17.73 23.4 7154 7.67 10.1
A13 75.16 16.80 22.4 6996 8.03 10.7
A14 70.49 17.74 25.2 7391 7.11 10.1
평균 71.26 17.22 24.2 6940 7.57 10.6
시료명 계란무게(g) 난황 난피
무게(g) 비율(%) 콜린함량(ppm) 무게(g) 비율(%)
B1 67.52 16.51 24.5 8005 7.41 11.0
B2 68.37 16.71 24.4 7756 7.13 10.4
B3 71.06 15.95 22.4 6277 6.95 9.8
B4 68.27 17.53 25.7 6288 6.79 9.9
B5 69.39 17.56 25.3 6513 6.85 9.9
B6 66.11 17.83 27.0 8375 7.44 11.3
B7 72.23 18.62 25.8 7318 7.79 10.8
B8 70.18 16.68 23.8 7485 7.27 10.4
B9 70.95 17.90 25.2 8197 7.37 10.4
B10 70.88 20.19 28.5 8426 6.33 8.9
평균 69.50 17.55 25.3 7464 7.13 10.3
상기 표 6과 7에서와 같이, 염화콜린 무첨가구의 평균 콜린 함량이 6940 ppm이며, 염화콜린 0.1 중량% 첨가구의 평균 콜린 함량은 7464 ppm으로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서 524 ppm 높게 나타났다. 난황의 비율은 염화콜린 무첨가구가 24.2%, 염화콜린 0.1 중량% 첨가구가 25.3%이고 난피의 비율은 각각 10.6%와 10.3중량%이었다. 염화콜린을 0.1중량% 첨가한 계란이 첨가하지 않은 계란보다 난황의 비율은 높아지고 난피의 비율은 낮아졌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은 계란 내 수용성 필수 비타민(비타민 B군)의 함량과 계란의 무게 특히 난황의 무게를 증가시키며, 닭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인해 지용성 비타민, 필수 광물질 및 수용성 비타민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기술을 확립함으로써 계란의 식품적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수용성 필수 비타민(비타민 B군)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필수 비타민(비타민 B군)이 염화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콜린이 0.1 ∼ 0.5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4. 청구항 1의 사료 조성물을 산란계에게 급여하여 생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필수 비타민(비타민 B군)의 함유량이 증가된 계란.
KR1020010034746A 2001-06-19 2001-06-19 계란 내 수용성 필수 비타민의 함유량을 증가시킨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KR20020096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746A KR20020096345A (ko) 2001-06-19 2001-06-19 계란 내 수용성 필수 비타민의 함유량을 증가시킨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746A KR20020096345A (ko) 2001-06-19 2001-06-19 계란 내 수용성 필수 비타민의 함유량을 증가시킨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345A true KR20020096345A (ko) 2002-12-31

Family

ID=2770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746A KR20020096345A (ko) 2001-06-19 2001-06-19 계란 내 수용성 필수 비타민의 함유량을 증가시킨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3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9101A (zh) * 2010-09-29 2012-05-02 徐鑫 一种蛋鸡育雏期饲料
KR101160730B1 (ko) * 2009-08-18 2012-06-28 김영일 셀레늄, 아스타산친 및 디에이치에이를 함유하는 계란 및 이의 생산방법
KR20170101791A (ko) * 2016-02-29 2017-09-06 백우현 기능성 계란과 그것의 생산을 위한 사료 첨가제
CN110463824A (zh) * 2019-08-19 2019-11-19 四川农业大学 奥氏乳杆菌菌株bslo 1801及其在蛋鸡产蛋中的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827A (ko) * 1959-08-22 1986-03-22 이또우 에쓰오 다당체 rin 물질, 그 제조법과 용도
JPH05192090A (ja) * 1991-12-04 1993-08-03 Norin Suisansyo Kyushu Nogyo Shikenjo 単胃動物に対するビタミンb群の給与方法
JPH0856585A (ja) * 1995-06-14 1996-03-05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卵質改善剤
KR20000024835A (ko) * 1998-10-02 2000-05-06 민경우 키토산 올리고당이 함유된 사료첨가용 영양제조성물
KR20010027079A (ko) * 1999-09-10 2001-04-06 유향자 수용성 키토산을 함유하는 산란계 및 육계용 영양제 및 이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827A (ko) * 1959-08-22 1986-03-22 이또우 에쓰오 다당체 rin 물질, 그 제조법과 용도
JPH05192090A (ja) * 1991-12-04 1993-08-03 Norin Suisansyo Kyushu Nogyo Shikenjo 単胃動物に対するビタミンb群の給与方法
JPH0856585A (ja) * 1995-06-14 1996-03-05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卵質改善剤
KR20000024835A (ko) * 1998-10-02 2000-05-06 민경우 키토산 올리고당이 함유된 사료첨가용 영양제조성물
KR20010027079A (ko) * 1999-09-10 2001-04-06 유향자 수용성 키토산을 함유하는 산란계 및 육계용 영양제 및 이의 사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730B1 (ko) * 2009-08-18 2012-06-28 김영일 셀레늄, 아스타산친 및 디에이치에이를 함유하는 계란 및 이의 생산방법
CN102429101A (zh) * 2010-09-29 2012-05-02 徐鑫 一种蛋鸡育雏期饲料
KR20170101791A (ko) * 2016-02-29 2017-09-06 백우현 기능성 계란과 그것의 생산을 위한 사료 첨가제
CN110463824A (zh) * 2019-08-19 2019-11-19 四川农业大学 奥氏乳杆菌菌株bslo 1801及其在蛋鸡产蛋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wfeek et al.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ome antioxidants on performance, oxidative stress, and blood parameters in broilers under natural summer conditions
Lim et al. Effects of dietary garlic powder and copper on cholesterol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eggs
JP4995893B2 (ja) 飼料転換率を減少させるため又は腹水症の発生率を低下させるための家禽の処置
AU771921B2 (en) Method for selectively altering body fat level, feed efficiency, or weight gain
US20050255147A1 (en) Composition for dietary enrichment
CN105475636A (zh) 一种水溶性大蒜素混合物、制备方法及用途
KR100872457B1 (ko)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칼슘 함량을 증가시킨 기능성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계란
KR20160143488A (ko) 사료용 유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성장 촉진용 사료 첨가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 사육 방법
RU2541404C2 (ru) Комплексна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кур-несушек
KR20020000848A (ko) 귀뚜라미가 함유된 사료조성물
KR20020096345A (ko) 계란 내 수용성 필수 비타민의 함유량을 증가시킨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KR20120001088A (ko) 동물성 플랑크톤용 영양 강화제 및 이를 이용한 동물성 플랑크톤의 배양방법
KR20040069487A (ko) 마늘성분을 포함하는 가금용 사료 및 가금용사료첨가조성물
JP7191102B2 (ja) シゾキトリウムリマシナム及びその製剤の動物製品の品質及び生産量の向上における使用
DE602005003320T2 (de) Einen geruchsstoff enthaltender futterzusatz für tiere
CN102845360A (zh) 一种富硒黑天鹅养殖方法
WO2022012326A1 (zh) E-10-羟基-2-癸烯酸在家禽养殖领域中的应用
RU2506084C1 (ru)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гипоавитаминозов и нормализации обмена веществ у птиц
RU2374898C1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RU2505069C1 (ru)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активной угольной кормовой добавки для повышения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кур-несушек
JPH07107920A (ja) 鶏用飼料
JPS63237745A (ja) α−リノレン酸系脂肪酸の含有率が高められた動物性食品の生産方法
KR20080010519A (ko)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춘 기능성 계란을 생산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계란
KR20040051096A (ko) 동충하초 포함 돼지사료용 조성물
CN108740498A (zh) 一种蛋鸡抗应激提升蛋品质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