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413A - 일체화 프레임을 사용한 간이책상이 절첩가능한 프레임접의자 - Google Patents

일체화 프레임을 사용한 간이책상이 절첩가능한 프레임접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413A
KR20020095413A KR1020010035590A KR20010035590A KR20020095413A KR 20020095413 A KR20020095413 A KR 20020095413A KR 1020010035590 A KR1020010035590 A KR 1020010035590A KR 20010035590 A KR20010035590 A KR 20010035590A KR 20020095413 A KR20020095413 A KR 20020095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rame
desk
integrated fram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권하
Original Assignee
정권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권하 filed Critical 정권하
Priority to KR1020010035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5413A/ko
Publication of KR2002009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4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47B2003/145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with folding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된 종래의 접의자의 형태에 간편하게 간이책상을 구성할 수가 있는 절첩이 가능한 프레임 의자에 대한것이다. 프레임 의자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는 접을 수 있도록 고안된 접의자 이다. 종래의 접의자는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이 되며, 이들 파이프 프레임들은 연결편과 힌지결합을 하는 핀들에 의하여 회동되어 져서 의자를 간편하게 접거나 펴거나 할 수가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절첩가능한 간이책상 시스템은 절첩가능한 의자의 프레임 기둥에 일체화프레임을 절첩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일체화프레임에 간이책상을 형성한 것이다. 일체화프레임에는 전방일체화프레임과 후방일체화 프레임이 있다. 일체화프레임은 프레임 의자의 프레임 좌,우의 기둥부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진다.

Description

일체화 프레임을 사용한 간이책상이 절첩가능한 프레임 접의자{frame chair}
본 발명을 실시함에 의하여 좁은 공간 속에서도 간단하게 책상을 설치할 수가 있다. 집안에서나 야외에서나 공공장소 등의 책상이 설치되어 지지 않은 장소에서도 필기를 하거나 강의를 듣거나 독서를 하고자 할 때에는 간단히 책을 펼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도 하므로 간단한 형태의 책상의 구성은 항상 소망이 되어져 왔다. 종래에는 탁상용 테이블을 가정에 두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에 장시간 작업을 하다보면 쉬 피곤하여 지므로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고자 하는 바람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여, 의자에 않은 상태로 독서나 필기를 할 수 있게 하는 간편한 간이책상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간단히 접고 펼 수가 있는 이동용 접의자에 간이책상을 절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였다.
본 발명은 파이프로 기둥이 구성이 되는 기존의 접의자에 절첩 가능하게 부착이 되는 간이책상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의자는 간단히 펴고 접을 수 있게 구성이 되어져 있는 접의자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간단히 간이책상을 의자에 형성하여 접첩가능하게 구성한 의자라 할 수 있겠다. 종래 기술로서는 휠체어 의자에 형성이 되어진 팔걸이의 한 측면에 힌지 결합을 통하여 간이책상을 펴거나 접거나 하는 정도의 기술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기존에 널리 보급이 되어진 파이프 기둥을 갖는 접의자에 간이책상을 설치를 할 수가 있고, 또 간단하게 절첩 가능 할 수가 있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좁은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이동이 자유롭고 간편한 간이책상을 형성하며, 절첩하여 이동시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하는 보다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가 있는 기술이다.
제 1 도는 일체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간이책상이 장착된 절첩가능의자의 구성도이다.
제 2 도는 일체화 프레임의 실시예이다.
제 3 도는 전면부재가 없는 일체화프레임에 의한 간이책상이 장착된 절첩가능 의자의 구성도이다.
제 4 도는 전면부재가 있는 일체화 프레임에 의한 간이책상이 장착된 절첩가능 의자의 구성도이다.
제 5 도는 일체화프레임의 절첩작용과 하중지지작용과 회전작용을 동시에 가능케하는 복합수단의 실시예이다.
제 6 도는 일체화프레임에 회전대가 구성된 구성도이다
제 7 도는 간이책상과 의자를 절첩한 상태도이다.
제 8 도는 의자기능만을 사용하는 상태도이다.
제 9 도는 간이책상과 의자기능을 동시에 사용하는 상태도이다.
제 10 도는 일체화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제 11 도는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수단과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의 구성도이다.
제 12 도는 길이조절 수단의 구성도이다.
제 13 도는 전방일체화 프레임의 구성도이다
제 14 도는 전방일체화 프레임으로 구성한 간이책상이 장착된 절첩가능 의자의 구성도이다.
제 15 도는 제 14 도의 간이책상의 절첩도이다.
제 16 도는 길이조절 장치의 구성도이다.
제 17 도는 간이책상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각도한정 회전수단의 구성도이다.
제 18 도는 간이책상을 결착하는 결착수단의 실시예이다.
제 19 도는 회전과 하중지지 및 절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복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제 20 도는 분할 간이책상의 구성도이다.
제 21 도는 간이책상의 사용시에 측면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프레임 의자 2:간이책상 3:일체화프레임 4:제 1 측면부재 5:전면부재 6:일체화프레임 7:후면부재 8:제 2 측면부재 9:핀홀 10,11:전면부재가 없는 일체화프레임 12:간이책상 13:제 1 측면부재 14:회전수단 15:전면부재가 없는 일체화프레임 16:간이책상 17:전면부재 18:회전수단 19,20:일체화프레임 21,22:회전핀 23:의자 프레임 기둥 24:가이드 홀 25:지지핀 26:정지홀 27:지지부재28:일체화프레임 29:전면부재 30:회전대 31:간이책상 32:기둥부 33:좌판 34:일체화프레임 35:간이책상 36:기둥부 37:좌판 38,39:간이책상 40:좌판 41,42:전면부재 43:등받이 44:정지체 45:각도제한 회전체 46:길이조절수단 47:대경관 48:소경관 49:체결볼 50:체결홈 51,52:전방일체화프레임 53:간이책상 54:복합수단 55:간이책상 56:길이조절수단 57:간이책상 58:각도조절수단 59:전방일체화프레임 60:간이책상 61:간이책상 고정수단 62:전방일체화프레임 63:일체화프레임 64:핀 65:의자 프레임기둥 66:체결로드 67:스토퍼 68:핀 69:복합수단 70:분할 간이책상 71:경첩 72:분할간이책상
본 발명은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된 종래의 접의자의 형태에 간편하게 간이책상을 구성할 수가 있는 절첩이 가능한 프레임 의자에 대한 것이다. 프레임 의자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는 접을 수 있도록 고안된 접의자 이다. 종래의 접의자는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이 되며, 이들파이프 프레임들은 연결편과 힌지결합을 하는 핀들에 의하여 회동되어져서 의자를 간편하게 접거나 펴거나 할 수가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절첩가능한 간이책상 시스템은 절첩가능한 의자의 프레임 기둥에 일체화프레임을 절첩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일체화프레임에 간이책상을 형성한 것이다. 일체화프레임에는 전방일체화프레임과 후방일체화 프레임이 있다. 일체화프레임은 프레임 의자의 프레임 좌,우의 기둥부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1 도는 일체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간이책상이 장착된 절첩가능의자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절첩식 의자(1)의 기둥에 일체화 프레임(3)을 회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절첩가능하며 또한 간이책상(2)이 받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복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을 시킨다.
제 2 도는 일체화 프레임의 실시예이다. 일체화 프레임(6)은 복합수단을 통하여 간이책상을 지지하며, 절첩하며, 회동시키는 프레임으로서, 절첩의자의 뒷면에 위치하는 후면부재(7)와 양 측면에 위치하는 제 1 측면부재(4)와 제 2 측면부재(8)와 의자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부재(5)로 구성이 된다. 특히 전면부재가 없는 것은 전면부재가 없는 일체화프레임(10)으로 명명한다.
제 3 도는 전면부재가 없는 일체화프레임에 의한 간이책상이 장착된 절첩가능 의자의 구성도이다. 전면부재가 없는 일체화프레임(11)의 제 1 측면부재에 간이책상(12)이 회동가능하게 결합이 되어진다. 이때 회동가능하게 결합을 하는 수단을 회전수단(14)이라 명명하며, 다양한 형태의 회전수단이 존재한다.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범위를 한정하는 수단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도는 전면부재가 있는 일체화 프레임에 의한 간이책상이 장착된 절첩가능 의자의 구성도이다. 일체화프레임(19)의 전면부재(17)에 간이책상(16)을 회전수단(18)에 의하여 체결한다. 전면부재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면 간이책상의 절첩시좌판이 장애를 극복하기가 쉬워진다. 즉, 간이책상이 전면부재를 축으로 하여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회전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제 11도의 회전범위 제한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간이책상이 좌판에 의하여 절첩이 방해되어 절첩이 어려울경우에 간이책상을 전면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을 시킨 다음 일체화프레임을 절첩하고 그 뒤에 다시 전면부재를 중심으로 간이책상을 회전시켜 원위치를 시키면 된다.
제 5 도는 일체화프레임의 절첩작용과 하중지지작용과 회전작용을 동시에 가능케하는 복합수단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서 간이책상을 기둥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간이책상의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가 있으며, 간이책상이 부착되어진 일체화프레임이 절첩되도록 하는 세 가지의 기능을 달성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수단을 복합수단이라 명명하며, 이러한 복합수단은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가능한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이상적이라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화프레임(20)은 의자 기둥에 대하여 회전핀(21)에 의하여 의자 프레임 기둥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이 되어지고, 의자 프레임기둥부에는 기둥을 따라서 길게 가이드홀(24)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의 최상부에는 정지홀(26)이 형성된다. 일체화프레임(20)에는 회전핀(22)에 의하여 지지부재(27)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다른 단에는 지지핀(25)이 형성이 된다. 상기 지지핀은 상기 가이드홀에 의하여 안내되어 움직이게 된다. 일체화프레임을 움직이게 되면 지지부재 역시 가이드 홀을 따라서 움직이게 되며, 지지핀이 정지홀에 위치하게 되면 간이책상연결부재는 운동을 정지하게 되며, 일체화프레임과 지지부재와 프레임기둥의 모든 운동은 고정시키어 지게 된다. 이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일체화프레임을 상방으로 조금 들어주면서 정지홀로부터 지지핀을 해제시키게 되면 간이책상을 절첩할 수가 있게 된다.
제 6 도는 일체화프레임에 회전대가 구성된 구성도이다. 일체화프레임(28)의 전면부재(29) 또는 측면부재에 원판의 형상을 가진 회전대(30)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대의 중심에 간이책상과 핀결합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체결을 시키게 된다. 사용상의 필요에 따라 간이책상을 회전을 시킬 수가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 7 도는 간이책상과 의자를 절첩한 상태도이다.제 기둥부(32,36)와 좌판(33)의 절첩은 종래의 절첩의자의 절첩과 동일하게 행하여지며, 일체화프레임(34)와 이에 결합된 간이책상(35)이 상기의 종래의 절첩의자에 결합되어서 절첩이 되어지는 상태이다.
제 8 도는 의자기능만을 사용하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의자만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간이책상(38)이 형성된 일체화프레임은 그대로 두고, 좌판(37)만을 회전시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제 9 도는 간이책상과 의자기능을 동시에 활용하는 사용예이다. 간이책상(39)과 좌판(40)을 동시에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양자를 동시에 회전시켜 고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제 10 도는 일체화프레임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A)도는 전면부재(41)가 측면부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형상이며, (B)도는 전면부재(42)가 측면부재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를 형성한 것이다. (C)도는 상기 후면부재에 등받이(43)를 형성한 것이다.
제 11 도는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수단과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을 어느 정도의 각도에서 제한코자 할 때 사용하는 회전범위 제한수단으로서는 다양한 구성을 할 수가 있으나 대표적인 것으로서 회동범위부가 형성된 정치체(44)에 스토퍼가 형성되어진 각도제한 회전체(45)를 결합한 구조가 있다. 또한 길이조절 수단도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길이조절수단은 제 1, 2 측면부재에 공통적으로 형성을 할 수가 있다.
제 12 도는 길이조절장치의 구성도이다. 대경관(47)내부에 소경관(48)을 삽입하며, 상기 대경관에는 다수의 체결홈(50)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홈에 소경관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체결볼(49)이 걸리도록 구성을 한다.
제 13 도는 전방일체화 프레임의 구성도이다. 전방일체화 프레임(51)이란 후면부재가 없으며, 전면부재의 양측에 측면부재들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제 14 도는 전방일체화 프레임으로 구성한 간이책상이 장착된 절첩가능 의자의 구성도이다. 전방일체화프레임(52)상에 간이책상(53)이 결합되며, 상기 전방일체화프레임은 의자의 기둥에 복합수단에 의하여 결합이 되어진다.
제 15 도는 제 14 도의 간이책상의 절첩도이다. 좌판에 의하여 간이책상(55)이 걸리지 않고 전방일체프레임이 절첩이 가능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제 16 도는 길이조절 장치의 구성도이다. 제 15 도에서 좌판에 의하여 간이책상이 걸릴 경우에는 측면부재에 형성된 길이조절수단(56)을 조절하여 절첩을 행 할 수가 있게 구성을 한다.
제 17 도는 간이책상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각도한정 회전수단의 구성도이다. 전방일체화프레임(59)의 전면부재에 간이책상(57)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을 하며, 상기의 회전의 범위를 각도조절수단(58)에 의하여 제한한다. 이와 같이 전면부재에 간이책상이 회동가능하게 결합이 되면 좌판에 의하여 간이책상(57)이 걸리지 않고 전방일체프레임이 절첩이 가능하다.
제 18 도는 간이책상을 프레임에 결착하는 결착수단의 실시예이다.
간이책상을 회동시킬 경우에 의자의 프레임에 고정을 할 필요성이 제기가 되어진다. 이를 위하여 간이책상(60)에 형성된 간이책상고정수단(61)을 사용하여 프레임의 기둥에 간이책상의 착탈이 가능하게 체결을 할 수가 있다. 간이책상고정수단은 탄성체로서 제작이 되어 프레임과의 착탈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진다.
제 19 도는 회전과 하중지지 및 절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하는 복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기둥(65)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복합수단(69)은 일체화프레임(63)에 대하여 핀(64)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이 된다. 또한 복합부재에는 체결로드(66)이 핀(68)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이 되며, 상기 체결로드의 다른 단부에는 스토퍼(67)가 형성이 되어져 있다. 체결로드는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회동의 범위가 제한이 되어져 있으며, 왼쪽의 한계범위에 있을 때에는 연결부재를 지지하게 되며, 오른쪽 한계범위에 있을 때에는 연결부재를 절첩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제 20 도는 분할 간이책상의 구성도이다. 간이책상의 절첩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또는 간이책상을 대형화시키기 위하여 간이책상(70)을 이등분하여 경첩(71)에 의하여 절첩을 시킨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등분 뿐만 아니라 다수로 분할을 행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간이책상은 일직선으로 분할을 할 수도 있지만, 특정부위만을 선택하여 분할하며 이를 경첩에 의하여 절첩시키게 하며, 이를 통하여 좌판에 의하여 간이책상의 절첩이 방해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제 21 도는 간이책상의 사용시에 측면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소경부재(73)를 장공(75)이 형성된 대경부재(74)내에 삽입을 하고, 상기 소경부재에는 슬라이더 제어돌기부(76)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더 제어돌기부의 밖에는 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나사에 의하여 너트(77)가 형성되어 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의하여 좁은 공간에서 간단하게 책상을 설치할 수가 있데 된다. 본 발명의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이 형성된 접의자는 절첩이 가능하므로 편리하게 이동을 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을 설치함으로서 의자에 안정감과 미적 감각을 더하여 준다.

Claims (10)

  1. 절첩가능한 의자의 프레임 기둥에 일체화프레임을 절첩작용과 하중지지작용과 회전작용을 동시에 가능케하는 복합수단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체화 프레임이 전면부재가 없는 일체화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일체화 프레임이 전면부재가 있으며, 상기 전면부제에 회전수단에 의한 간이책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일체화 프레임이 전방일체화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의자.
  5. 절첩가능한 의자의 프레임 기둥에 일체화프레임을 절첩작용과 하중지지작용과 회전작용을 동시에 가능케하는 복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일체화프레임에 회전대가 형성되어 간이책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의자.
  6. 제 1 항에서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체화프레임의 측면부재에 길이조절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의자.
  7. 간이책상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책상이 구성된 의자.
  8. 제 1 항에서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합수단이 정지홀이 형성된 가이드 홀내에서 지지부재를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의자.
  9. 제 1 항에서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합수단이 체결로더와 상기 체결로드에 결합된 스토퍼에 의하여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의자.
  10. 제 1 항에서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간이책상이 다수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의자.
KR1020010035590A 2001-06-14 2001-06-14 일체화 프레임을 사용한 간이책상이 절첩가능한 프레임접의자 KR20020095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590A KR20020095413A (ko) 2001-06-14 2001-06-14 일체화 프레임을 사용한 간이책상이 절첩가능한 프레임접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590A KR20020095413A (ko) 2001-06-14 2001-06-14 일체화 프레임을 사용한 간이책상이 절첩가능한 프레임접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413A true KR20020095413A (ko) 2002-12-26

Family

ID=2771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590A KR20020095413A (ko) 2001-06-14 2001-06-14 일체화 프레임을 사용한 간이책상이 절첩가능한 프레임접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54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1781A1 (en) Canopy Assembly for a Chair and a Chair with a Canopy Assembly
WO2006111742A1 (en) Improvements to a table
CN100399963C (zh) 腿结构体及带桌面家具
US7823518B2 (en) Computer desk
KR20020095413A (ko) 일체화 프레임을 사용한 간이책상이 절첩가능한 프레임접의자
KR100545799B1 (ko) 배받이 겸용 등받이 의자
CN213849267U (zh) 一种无内框书桌桌架
JP2006232226A (ja) 車両用テーブル構造
JP2006297033A (ja) 書見台
KR20030006767A (ko) 슬라이더 고정위치를 형성한 책상이 형성된 강의용 의자
KR20030006852A (ko) 의자기능을 겸한 책상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20020094985A (ko)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프레임 의자
KR20020094859A (ko) 절첩 간이책상 프레임 의자
JP2002153354A (ja) キーボードテーブルを備えた事務用回転椅子
KR20100018206A (ko) 접이식 의자
KR20020096756A (ko) 소책상이 형성된 절첩 간이책상 프레임 의자
JP2530347Y2 (ja) 折り畳みいす付テーブル
CN212480710U (zh) 一种笔记本电脑支架
KR20020090080A (ko)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KR200253126Y1 (ko) 절첩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의자
KR20020090824A (ko)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US11622630B2 (en) Mobile barber chair
KR20020094852A (ko)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이 접의자
KR200429886Y1 (ko) 휴대용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