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985A -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프레임 의자 - Google Patents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프레임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985A
KR20020094985A KR1020010033691A KR20010033691A KR20020094985A KR 20020094985 A KR20020094985 A KR 20020094985A KR 1020010033691 A KR1020010033691 A KR 1020010033691A KR 20010033691 A KR20010033691 A KR 20010033691A KR 20020094985 A KR20020094985 A KR 20020094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chair
simple desk
folding
arm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권하
Original Assignee
정권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권하 filed Critical 정권하
Priority to KR102001003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4985A/ko
Publication of KR2002009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9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1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3Supports for the arms movable to in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된 종래의 접의자의 형태에 간편하게 간이책상을 구성할 수가 있는 절첩이 가능한 프레임 의자에 대한 것이다. 프레임 의자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는 접을 수 있도록 고안된 접의자 이다. 종래의 접의자는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이 되며, 이들 파이프 프레임들은 연결편과 힌지결합을 하는 핀들에 의하여 회동되어져서 의자를 간편하게 접거나 펴거나 할 수가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절첩가능한 간이책상 시스템은 본체부와 팔걸이부로 구성이 되어 지며, 이들은 프레임 의자의 프레임 좌,우의 기둥부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진다. 본체부는 접의자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와 간이책상과 상기 회동부재와 간이책상을 연결하는 책상연결부재로 구성이 되며, 상기 책상연결부재에는 간이책상 지지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간이책상 지지부재의 가장 대표적인 실시예는 관절부로 형성이 되는 지지부재이다. 팔걸이부는 접의자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회동부재와 팔걸이와 상기 회동부재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팔걸이연결부재로 구성이 된다. 본체부의 간이책상은 팔걸이 위에 놓여지게 되며, 간이책상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간이책상이 받는 실제 하중의 절반을 팔걸이부가 분담하여 지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프레임 의자{frame chair}
본 발명을 실시함에 의하여 좁은 공간 속에서도 간단하게 책상을 설치할 수가 있다. 집안에서나 야외에서나 공공장소 등의 책상이 설치되어지지 않은 장소에서도 필기를 하거나 강의를 듣거나 독서를 하고자 할 때에는 간단히 책을 펼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도 하므로 간단한 형태의 책상의 구성은 항상 소망이 되어져 왔다. 본격적으로 큰 책상에 앉아서 업무를 보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주위의 여건상 그러하지 못한 상황이 실생활에서 종종 연출이 되어진다. 따라서 이때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책상이 있다면 하는 바람은 언제나 있어왔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쉽게설치하며, 쉽게 이동이 가능한 책상을 설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미 보편적으로 널리 보급이 되어져 있는 접의자는 이동이 간편하며, 접었을 때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각 공공장소에서 널리 사용이 되기도 하며, 가정에 또한 널리 보급이 되어 있다. 각 가정에서 방마다 책상을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책상이 차지하는 공간이 상당하므로 부담스럽기까지 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이동이 가능한 책상의 필요성은 항상 제기가 되어져 왔다. 이러한 용도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탁상용 테이블을 가정에 두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에 장시간 작업을 하다보면 쉬 피곤하여 지므로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고자 하는 바람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여, 의자에 않은 상태로 독서나 필기를 할 수 있게 하는 간편한 간이책상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간단히 접고 펼 수가 있는 이동용 접의자에 간이책상을 절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였다.
본 발명은 파이프로 기둥이 구성이 되는 기존의 접의자에 절첩 가능하게 부착이 되는 간이책상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의자는 간단히 펴고 접을 수 있게 구성이 되어져 있는 접의자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간단히 간이책상을 의자에 형성하여 접첩 가능하게 구성한 의자라 할 수 있겠다. 종래 기술로서는 휠체어 의자에 형성이 되어진 팔걸이의 한 측면에 힌지 결합을 통하여 간이책상을 펴거나 접거나 하는 정도의 기술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기존에 널리 보급이 되어진 파이프 기둥을 갖는 접의자에 간이책상을 설치를 할 수가 있고, 또 간단하게 절첩 가능 할 수가 있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좁은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이동이 자유롭고 간편한 간이책상을 형성하며, 절첩하여 이동시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하는 보다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가 있는 기술이다.
제 1 도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접의자의 구성도이다.
제 2 도는 본체부의 구성도이다
제 3 도는 팔걸이부의 구성도이다
제 4 도는 팔걸이부를 절첩한 상태도이다
제 5 도는 회전수단이 구비된 간이책상연결부재의 구성도이다
제 6 도는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회동범위 제한수단의 실시예이다
제 7 도는 간이책상 슬라이더가 구비된 간이책상연결부재의 구성도이다
제 8 도는 간이책상 회전대가 구비된 간이책상 연결부재의 구성도이다
제 9 도는 회동부재와 지지부재의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수단의 설명도이다
제 10 도는 제 9 도의 복합수단의 실시예이다
제 11 도는 본체부를 로테이션 수단 위에 형성한 구성도이다
제 12 도는 분할 간이책상의 구성도이다
제 13 도는 회동부재와 지지부재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수단의 실시예이다.
제 14 도는 회동부재와 지지부재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수단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프레임 의자 기둥 2:본체부 3:팔걸이부 5:간이책상 6:책상연결부재 7:간이책상지지부재 8:회동부재 12:회동부재 13:팔걸이지지부재 14:간이책상 15:간이책상 회전수단 16:책상연결부재 17:회동범위부 18:회전체 19:정지체 20:스토퍼 21:간이책상 22:간이책상슬라이더 23:간이책상연결부재 24:슬라이더 스토퍼 25:홈 26:간이책상 27:간이책상연결부재 28:간이책상회전대 30:간이책상연결부재 31:회동과 지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수단 32:간이책상연결부재 33:체결로드 34:프레임의자의 기둥부에 형성된 부재 35:체결홈 36:로테이션수단 37:이등분 간이책상 38:경첩
본 발명은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된 종래의 접의자의 형태에 간편하게 간이책상을 구성할 수가 있는 절첩이 가능한 프레임 의자에 대한 것이다. 프레임 의자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는 접을 수 있도록 고안된 접의자 이다. 종래의 접의자는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이 되며, 이들 파이프 프레임들은 연결편과 힌지결합을 하는 핀들에 의하여 회동되어져서 의자를 간편하게 접거나 펴거나 할 수가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절첩가능한 간이책상 시스템은 본체부와 팔걸이부로 구성이 되어 지며, 이들은 프레임 의자의 프레임 좌,우의 기둥부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진다. 본체부는 접의자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와 간이책상과 상기 회동부재와 간이책상을 연결하는 책상연결부재로 구성이 되며, 상기 책상연결부재에는 절첩이 가능한 간이책상 지지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간이책상 지지부재의 가장 대표적인 실시예는 관절부로 형성이 되는 지지부재이다. 팔걸이부는 접의자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회동부재와 팔걸이와 상기 회동부재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팔걸이연결부재로 구성이 된다. 본체부의 간이책상은 팔걸이 위에 놓여지게 되며, 간이책상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간이책상이 받는 실제 하중의 절반을 팔걸이부가 분담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상세히 설명을 하겠다.
제 1 도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접의자의 구성도이다. 파이프 기둥으로 구성이 되는 종래의 접의자에 본 발명 간이책상을 형성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접의자는 연결편과 힌지결합을 하는 핀들에 의하여 간편하게 접거나 펴거나 할 수가 있는 의자이다.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이 되어지는 접의자의 좌,우의 기둥(1)에 본체부(2)와 팔걸이부(3)로 구성이 되어지는 본 발명의 간이책상 시스템을 설치한 것이다.
제 2 도는 본체부의 구성도이다. 본체부는 접의자의 프레임에 설치가 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동은 가능하도록 핀에 의하여 고정이 되어지는 회동부재(8)와 간이책상(5)과 상기 회동부재와 간이책상을 연결하는 책상연결부재(6)로 본체부가 구성이 되어진다. 또한 상기 책상연결부재에는 간이책상지지부재(7)가 설치되며, 간이책상지지부재는 간이책상이 받는 수직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간이책상지지부재는 절첩시 절첩이 되어지는 구조로 형성되며, 그의 대표적인 실시예가 관절기구이다. 상기 관절기구는 상기 책상연결부재와 접의자의 프레임 기둥을 관절식으로 연결한다. 간이책상연결부재(6)는 회동부재(8)에 회동이 가능하게 고정적으로 결합이 되어져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는 접의자의 기둥에 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이 되어진다. 또한 상기 간이책상연결부재와 접의자의 기둥을 제 1 관절부재와 제 2 관절부재를 통하여 절첩이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 1 관절부재와 제 2 관절부재들은 핀 결합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을 할 수가 있도록 구성을 한다. 그러나 상기 관절부재들의 운동이 일정각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관절운동제한 스토퍼가 관절에 붙어서 구성이 되어진다. 제 1 관절부재와 제 2 관절부재를 연결하는 핀을 외부에서 손으로 눌러주게 되면, 간이책상연결부재와 간이책상이 의자 프레임의 기둥 쪽으로 접근을 하게 되면서, 본체부가 접의자의 프레임부와 붙게 되는 형식으로 절첩이 되어지게 된다. 이때 본체부의 절첩에 있어서, 접의자의 좌판이 회전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을 할 경우에는 먼저, 접의자를 접게 되면 접의자의 좌판에 의하여 본체부의 절첩이 방해받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게된다. 또한 절첩이 되어진 상태에서 본체부를 펴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본체부를 접의자에서 펼치게 되면, 제 1 관절부와 제 2 관절부가 일정각도를 이루게 되면서, 본체부가 펼쳐지게 되어진다. 이때 제 1 관절부재와 제 2 관절부재는 정하여진 일정 각도 이상의 각도로 더 회전이 전개되어지지 않도록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스토퍼가 구성이 된다.
제 3 도는 팔걸이부의 구성도이다. 팔걸이부는 접의자의 다른 기둥의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기둥에 따라 절첩하는 회전은 가능케 한다. 팔걸이부는 회동부재(10)와 팔걸이(11)와 상기 회동부재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팔걸이연결부재로 구성이 되어진다. 팔걸이연결부재와 프레임의 기둥은 팔걸이지지부재(13)에 연하여 연결이 되어진다. 팔걸이지지부재 역시 본체부의 간이책상지지부재와 같이 관절로 구성이 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실시예이다.
제 4 도는 팔걸이부를 절첩한 상태도이다. 팔걸이부의 관절의 중간을 힘을 가하여 눌러주게 되면 팔걸이부가 절첩이 되어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체부도 철첩이 되어지게 된다.
제 5 도는 회전수단이 구비된 간이책상연결부재의 구성도이다. 간이책상연결부재(16)에 대하여 간이책상(14)를 회전시켜서 사용자가 의자로의 출입을 할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간이책상과 책상연결부재를 회전수단(15)를 통하여 회전운동을 할 수가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자내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에 간이책상을 들어 줄 수가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회전수단은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제 6 도는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회동범위 제한수단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을 어느정도의 각도에서 제한코자 할 때 사용하는 회전범위 제한수단으로서는 다양한 구성을 할 수가 있으나 대표적인 것으로서 회동범위부(17)가 형성된 정치체(19)에 스토퍼(20)가 형성되어진 회전체(18)를 결합한 구조가 있다.
제 7 도는 간이책상 슬라이더가 구비된 간이책상연결부재의 구성도이다. 간이책상(21)을 간이책상연결부재(23)에 대하여 슬라이드를 시켜서 절첩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이때 간이책상은 간이책상슬라이더(22)에 의하여 고정이 되어지며,상기 간이책상스라이더 내부로 간이책상연결부재(23)가 형성이 되어, 간이책상연결부재의 활용되는 길이가 조절이 될 수가 있게 된다. 간이책상슬라이더에는 홈(25)을 형성하여, 상기 홈속에 간이책상연결부재에 형성된 슬라이더스토퍼(24)에 의하여 적당한 위치에서 그 길이가 멈추어 지도록 구성한다.
제 8 도는 간이책상 회전대가 구비된 간이책상 연결부재의 구성도이다. 간이책상을 간이책상연결부재(27)에 대하여 회전을 시키는 구조이며, 간이책상연결부재의 끝단부에 면적을 넓게 형성한 간이책상회전대(28)를 구성하며, 상기 간이책상회전대와 간이책상(26)을 핀 연결에 의하여 체결하여, 필요에 따라 간이책상을 회전을 시킬 수가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 9 도는 회동부재와 지지부재의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수단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 본체부와 팔걸이부에 있어서 동일하게 기둥에 대하여 회동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가 있도록 회동부재와 지지부재의 두가지 기능을 하나의 복합수단으로 동시에 수행을 할 수가 있다. 이는 구조를 간단히 할 수가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간이책상(29)은 간이책상연결부재(30)으로 연결되며, 간이책상연결부재는 기둥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며,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복합수단(31)으로 연결이 되어진다. 이러한 복합수단은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제 10 도는 제 9 도의 복합수단의 실시예이다. 프레임의자의 기둥부에 연결되어지는 부재(34)에 체결홈(35)을 형성하며, 간이책상연결부재(32)에 체결로드(33)이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형성이 되어진다. 체결로드를 당기어서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를 하게 되면 간이책상연결부재는 프레임의자의 기둥부에 연결된 부재에 대하여 회전을 하게 되며 일정한 각도에서 다시 고정을 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1 도는 본체부를 로테이션 수단 위에 형성한 구성도이다. 제 2 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본체부를 기등에 형성된 로테이션수단(36) 위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로테이션 수단은 의자의 기둥부에 형성이 되어지며,기둥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은 하지 않고 기둥의 축에 따라서 회전은 가능하게 구성이 되어진다. 이때 회전을 일정범위에서 제한 할려고 할 때에는 제 6 도에서 설명한 회전범위 제한 수단을 구성할 수가 있다. 로테이션 수단위에 본체부를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제 5 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간이책상을 간이책상연결부재에 대하여 회전을 시키는 구성을 생략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즉 로테이션 수단에 의하여 간이책상이 회전을 할 수가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출입을 가능케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 12 도는 분할 간이책상의 구성도이다. 책상의 절첩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간이책상을 이등분하여(37) 경첩(38)에 의하여 절첩을 시킨 것이다. 간이책상을 일직선으로 분할을 할 수도 있지만, 특정부위만을 선택하여 분할하며 이를 경첩에 의하여 절첩시키게 하며, 이를 통하여 본체부를 절첩하고자 할 때 간이책상에 의하여 회전이 방해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제 13 도는 제 9 도에서의 회동부재와 지지부재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수단의 실시예이다. 기둥에 체결홈(42)이 형성된 지지가이드(40)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가이드에 형성된 체결홈에 간이책상연결부재에 형성된 체결로드(43)가 체결이 된다. 간이책상을 절첩하고자 하거나, 팔걸이부를 절첩하고자 할 때에는 체결로드 해제버턴(44)를 누르게 되면 체결로드가 체결홈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절첩을 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제 14 도는 회동부재와 지지부재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수단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기둥(47)에 용접등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복합수단(51)은 책상연결부재 또는 팔걸이연결부재(45)에 대하여 핀(46)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이 된다. 또한 복합부재에는 체결로드(46)이 핀(5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결합이 되며, 상기 체결로드의 다른 단부에는 스토퍼(49)가 형성이 되어져 있다. 체결로드는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회동의 범위가 제한이 되어져 있으며, 왼쪽의 한계범위에 있을 때에는 연결부재를 지지하게 되며, 오른쪽 한계범위에 있을 때에는 연결부재를 절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팔걸이부는 간이책상의 한쪽 단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이 되어진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간이책상이 형성된 본체부를 설치하지 않고, 의자의 프레임 좌우에 모두 팔걸이부를 형성하거나, 한 곳에만 팔걸이부를 형성하여 팔걸이를 위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을 할 수가 있다. 이 역시 본 발명의 한 형태라 하겠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팔걸이부를 한쌍으로 결합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나, 경우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부의 강도를 증가시켜서 팔걸이부를 생략하여 본체부만으로도 간이책상을 구성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칭에서나 기술의 설명에 있어서, 접의자를 위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 기술하였다. 그러나 접의자가 아닐지라도 본 발명의 적용 가능한 다른 형태의 의자에 적용이 용이하게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의하여 좁은 공간에서 간단하게 책상을 설치할 수가 있데 된다. 본 발명의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이 형성된 접의자는 절첩이 가능하므로 편리하게 이동을 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을 설치함으로서 의자에 안정감과 미적 감각을 더하여 준다.

Claims (7)

  1. 접의자의 프레임 기둥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와 간이책상과 상기 회동부재와 간이책상을 연결하는 책상연결부재로 구성이 되는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책상연결부재에는 절첩 가능한 지지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접의자.
  2. 접의자의 프레임 기둥에 형성이 되어지며, 회동가능하며 간이책상이 받는 수직하중을 지지하며 또한 일정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한 복합수단과, 간이책상과, 상기 간이책상과 상기 복합수단을 연결하는 간이책상연결부재로 구성이 되는 본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접의자.
  3.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 되어지는 의자의 좌,우 양측의 프레임 기둥의 일측 기둥에는 간이책상이 구성되어진 본체부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 기둥에는 상기 간이책상을 지지할 뿐만아니라 상기 간이책상이 받는 하중을 분담토록 하는 팔걸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팔걸이부를 절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접의자.
  4. 의자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간이책상을 지지하는 책상연결부재에 간이책상회전대가 형성되어 간이책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의자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간이책상을 지지하는 책상연결부재에 간이책상슬라이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의자의 프레임 기둥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와 팔걸이와 상기 회동부재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팔걸이연결부재로 구성이 되는 팔걸이부를 가지며, 상기 팔걸이연결부재에는 절첩 가능한 지지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 1 항에서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책상연결부재와 간이책상이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010033691A 2001-06-11 2001-06-11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프레임 의자 KR20020094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691A KR20020094985A (ko) 2001-06-11 2001-06-11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프레임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691A KR20020094985A (ko) 2001-06-11 2001-06-11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프레임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985A true KR20020094985A (ko) 2002-12-20

Family

ID=2770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691A KR20020094985A (ko) 2001-06-11 2001-06-11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프레임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49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9150A1 (zh) * 2018-08-09 2020-02-13 福建傲维健康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可折叠扶手及座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9150A1 (zh) * 2018-08-09 2020-02-13 福建傲维健康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可折叠扶手及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0057A (en) Combined folding table and seat assembly
RU2008128181A (ru) Предмет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й мебели
CA3179945A1 (en) Canopy assembly for a chair and a chair with a canopy assembly
EP4285777A3 (en) Foldable chair
KR101987001B1 (ko) 가구
US9606365B2 (en) Mirror-based reading device
KR20020094985A (ko)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프레임 의자
KR20020094859A (ko) 절첩 간이책상 프레임 의자
JPH1094449A (ja) 折り畳み式支持面付き着座器具
CN207821378U (zh) 一种简易折叠桌
CN114568875B (zh) 一种搁脚可折叠的功能沙发机械伸展装置
KR20020094852A (ko)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이 접의자
KR20020096756A (ko) 소책상이 형성된 절첩 간이책상 프레임 의자
KR20020090824A (ko)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KR20020090080A (ko)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CN207477252U (zh) 腿托线性伸缩机构
KR20020095413A (ko) 일체화 프레임을 사용한 간이책상이 절첩가능한 프레임접의자
KR200157026Y1 (ko)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KR200425221Y1 (ko) 강의용 책상
KR20030006767A (ko) 슬라이더 고정위치를 형성한 책상이 형성된 강의용 의자
KR20020090826A (ko) 파이프 프레임 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와 상기 간이책상어뎁터를 부착한 파이프 프레임 의자
GB2391167A (en) Portable fold-up work surface and seat combination
TWI784838B (zh) 可收折鞦韆架
KR20030006665A (ko) 좌판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책상을 형성한 의자.
CN218304119U (zh) 一种扶手可折叠的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