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080A -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 Google Patents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080A
KR20020090080A KR1020010030629A KR20010030629A KR20020090080A KR 20020090080 A KR20020090080 A KR 20020090080A KR 1020010030629 A KR1020010030629 A KR 1020010030629A KR 20010030629 A KR20010030629 A KR 20010030629A KR 20020090080 A KR20020090080 A KR 20020090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armrest
frame
chair
simple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강섭
Original Assignee
장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강섭 filed Critical 장강섭
Priority to KR1020010030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0080A/ko
Publication of KR2002009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0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된 종래의 접의자에 간편하게 간이책상을 구성할 수가 있는 어뎁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접의자는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이 되며, 이들 파이프 프레임들은 연결편과 힌지결합을 하는 핀들에 의하여 회동되어져서 의자를 간편하게 접거나 펴거나 할 수가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본 발명의 간이책상 어뎁터는 본체부와 팔걸이부로 구성이 되어 지며, 이들은 접의자의 프레임 좌,우의 기둥부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진다. 본체부는 접의자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와 간이책상과 상기 회동부재와 간이책상을 연결하는 책상연결부재로 구성이 된다. 팔걸이부는 접의자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팔걸이와 상기 고정부재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팔걸이연결부재로 구성이 된다. 본체부는 간이책상의 한 측면을 통하여 팔걸이위에 놓여지게 되며, 간이책상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간이책상이 받는 실제 하중의 절반을 팔걸이부가 분담하여 지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chair adapter}
본 발명을 실시함에 의하여 좁은 공간속에서도 간단하게 책상을 설치할 수가 있다. 집안에서나 야외에서나 공공장소 등의 책상이 설치되어 지지 않은 장소에서도 필기를 하거나 강의를 듣거나 독서를 하고자 할 때에는 간단히 책을 펼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도 하므로 간단한 형태의 책상의 구성은 항상 소망이 되어져 왔다. 본격적으로 큰 책상에 앉아서 업무를 보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주위의 여건상 그러하지 못한 상황이 실생활에서 종종 연출이 되어진다. 따라서 이때 간편하게 설치가능한 책상이 있다면 하는 바람은 언제나 있어왔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쉽게 설치하며, 쉽게 이동이 가능한 책상을 설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미 보편적으로 널리 보급이 되어져 있는 접의자는 이동이 간편하며, 접었을 때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각 공공장소에서 널리 사용이 되기도 하며, 가정에 또한 널리 보급이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미 널리 보급이 되어진 이러한 접의자에 간단한 어뎁터를 설치함에 의하여 간이책상을 손쉽게 설치할 수가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을 간단히 할 수가 있도록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을 하였다. 각 가정에서 방마다 책상을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만아니라 책상이 차지하는 공간이 상당하므로 부담스럽기까지 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가 있으며 이동이 가능한 책상의 필요성은 항상 제기가 되어져 왔다. 이러한 용도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탁상용 테이블을 가정에 두기도 하였으나, 이경우에 장시간 작업을 하다보면 쉬 피곤하여지므로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고자 하는 바람이 생기게 된다. 이와같은 필요성에 부응하여, 의자에 않은 상태로 독서나 필기를 할 수 있게하는 간편한 간이책상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미 널리 보급이 되어진 파이프 프레임으로 기둥이 구성되어진 종래의 접의자에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간이책상 어뎁터에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파이프로 기둥이 구성이 되는 기존의 접의자에 부착을 할 수가 있는 간이책상 어뎁터이다. 본 발명에서 주로 사용되어 지는 의자는 간단히 펴고 접을 수 있게 구성이 되어져 있는 접의자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간이책상 어뎁터를 사용하여, 간단히 간이책상을 의자에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하는 파이프 기둥을 가지는 의자라 할 수 있겠다. 종래기술로서는 휠체어 의자에 형성이 되어진 팔걸이의 한 측면에 힌지결합을 통하여 간이책상을 펴거나 접거나 하는 정도의 기술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기존에 널리 보급이 되어진 파이프 기둥을 갖는 접의자에 간이책상을 간단하게 설치를 할 수가 있고, 또 간단하게 제거를 할 수가 있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좁은 장소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이동이 자유롭고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접의자용 어뎁터를 구성함으로서 보다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가 있는 기술이다.
제 1 도는 접의자에 본 발명 간이책상 어뎁터를 장착시킨 구성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 간이책상 어뎁터의 본체부를 팔걸이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3 도는 본체부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회동스톱퍼의 기술 구성도이다.
제 4 도는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의 본체부의 구성도이다.
제 5 도는 본체부의 회동부재의 또 다른 구성예이다.
제 6 도는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의 팔걸이부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접의자 2:연결편 3:간이책상 4:책상연결부재 5:팔걸이 6:회동부재 7:고정부재 8:팔걸이연결부재 9:간이책상 10:회동부재 11:회전체 12:회전체스토퍼 13:회전범위부 14:고정체 15:간이책상 16:접근방지스토퍼 17:오목부 18:책상연결부재 19,20,21,22:체결나사 23:후퇴방지스토퍼 24:회동부재 25:체결공간부 26:덮개 27:체결공간부 28:체결나사 29:후퇴방지스토퍼 30:회동부재 32:팔걸이연결부재 33:고정부재 34,37:체결나사 35:제2 체결부 36:제 1 체결부 38:체결공간부 39:팔걸이
제 1 도는 파이프 기둥으로 구성이 되는 종래의 접의자에 본 발명 간이책상어뎁터를 장착시킨 구성도이다. 종래의 접의자(1)는 연결편(2)와 힌지결합을 하는 핀들에 의하여 간편하게 접거나 펴거나 할 수가 있는 의자이다.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이 되어지는 접의자의 좌,우의 기둥에 본체부와 팔걸이부로 구성이 되어지는 본 발명의 간이책상 어뎁터를 설치한 것이다. 본체부는 접의자의 프레임에 설치가 되며, 상기 프레임을 따라서 상하로의 이동은 가능치 않게 구성이 되지만, 상기 프레임의 축을 중심으로하여 회동은 가능하도록 고정이 되어지는 회동부재(6)와 간이책상(3)과 상기 회동부재와 간이책상을 연결하는 책상연결부재(4)로 본체부가 구성이 되어진다. 팔걸이부는 접의자의 다른 기둥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기둥에 따라 상하운동이 가능치 않을 뿐만아니라 상기 기둥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운동도 없도록 상기 기둥에 고정이 되어지는 고정부재(7)와 팔걸이(5)와 상기 고정부재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팔걸이연결부재(8)로 팔걸이부가 구성이 되어진다. 본체부의 간이책상(3)의 일 부분은 팔걸이(5)위에 놓여지게 된다.
제 2 도는 본체부를 팔걸이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간이책상을 사용하고 있는 중에서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본체부의 간이책상(3)이 팔걸이(5)위에 얹히어 있게 되나, 사람이 의자에 앉기 위해서나 또는 의자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간이책상을 이동시켜야만 된다. 이를 위하여서 본 발명에서는 간이책상(9)을 사용자가 측면으로 살짝 밀어주게 하며, 이때 간이책상은 본체부의 회동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회동축 S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간이책상의 이러한 회전에 의하여 통로가 형성되게 되며, 그 통로를 따라서 사람이 의자에 들어가고 나오고 할 수가 있게 된다. 간이책상은 책상연결부재와 함께 회동부재에 고정되어결합이 되어있으므로 프레임 축(S)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동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간이책상이 회전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제 2 도에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은 경우에는 간이책상의 왼쪽 모서리를 오른쪽으로 밀게 되면 간이책상은 팔걸이로부터 이탈이 되어 회전하면서 우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제 3 도는 본체부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회동스톱퍼의 기술 구성도이다. 제 2 도의 경우와 같이 간이책상을 팔걸이로부터 이탈시키고자 간이책상을 회전 시킬 경우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회전에서 회전을 멈추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회동부재는 회전체(11)와 고정체(14)로 구성이 되어진다. 고정체는 의자의 기둥에 고정적으로 결합이 되어지며, 회전체는 고정체 위에서 회동운동을 할 수가 있게 되어있다. 회전체에는 회전체스토퍼(12)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스토퍼는 고정체의 회동범위부(13)안에서 회전운동을 하도록 한 것이다.
제 4 도는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의 본체부의 구성도이다. 책을 놓을 수 있는 간이책상(15)은 오목부(17)를 형성하여서 책상의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을 할 수가 있게하며, 또한 간이책상의 가장자리부에는 낮은 단을 형성하거나 홈을 형성하여 연필 등이 쉽게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간이책상은 책상연결부재(18)에 의하여 회동부재(24)에 결합이 되어진다. 간이책상에는 접근방지스토퍼(16)이 간이책상의 아랫면에 돌출되어 형성이 되어져 있다. 간이책상이 팔걸이 위로 얹히도록 회전을 시키게 될 때, 간이책상의 아랫면에 돌출되어진 접근방지스토퍼는 팔걸이의 선단면과 부딪치게 되어 어느정도 이상으로는 간이책상이 팔걸이 안쪽으로 접근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체부를 의자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체결시키는 것이 회동부재(24)이다. 회동부재는 프레임에서 회전은 가능하게 하나 상하로 미끄러내리거나 올라가지 않도록 구성을 하여야 한다. 기둥을 따라 상하로의 미끄럼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제 3 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회전체와 고정체를 구성하여서 고정체를 프레임에 고정함으로 의하여 상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를 할 수도 있으며, 또는 회동부재를 접의자의 특정한 부분, 예를 들면 접의자의 다리가 교차하는 곳 등에 위치시킴으로 인하여 미끄러 내려오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회동부재에는 의자의 파이프 등의 프레임을 위치하게 하는 체결공간부(25)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체결공간부에 의자의 프레임을 위치시킨 후 체결나사(19,20,21,22)를 조아서 본체부가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게 된다. 또한 본체부의 회동부재(24)의 회동범위를 제한시키기 위하여 회동부재의 적당한 곳에 후퇴방지스토퍼(23)을 형성한다. 즉 간이책상을 팔걸이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회전을 시킬 때 적당한 위치에서 회동부재의 회전을 멈출 수가 있도록 리미트를 설치한 것이 후퇴방지스토퍼인 것이다. 후퇴방지스토퍼는 회동부재에 고정이 되어 있으며, 회동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을 하다가, 회전이 진행되어 질 때, 의자 프레임의 특정부분에 부딪치게 되어 더 이상 회전이 불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물론 이와같이 후퇴방지스토퍼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 3 도에서 설명한 회전체스토퍼의 구성은 필요가 없게 된다.
제 5 도는 본체부의 회동부재의 또 다른 구성예이다. 회동부재는 상하로 미끄러지지 않고, 의자의 기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범위에서 회전이 되는 기술로 구성을 하면 되므로 본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변형예를 간단히 구성을 할 수가 있다. 회동부재는 의자의 프레임으로부터 신속히 탈착을 시킬 수가 있도록 볼트,너트 또는 나사 등을 사용하여 체결을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회동부재(30)는 프레임이 들어가는 체결공간부(27)을 경계로 하여, 체결부(31)에 덮개(26)를 체결나사(28)을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제 6 도는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의 팔걸이부의 구성도이다. 팔걸이(39)는 팔걸이연결부재(32)에 의하여 고정부재(33)에 연결되어진다.
팔걸이부는 간이책상의 한쪽 단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이 되어진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간이책상이 형성된 본체부를 설치하지 않고, 의자의 프레임 좌우에 모두 팔걸이부를 형성하거나, 한 곳에만 팔걸이부를 형성하여 팔걸이를 위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을 할 수가 있다. 팔걸이부의 고정부재(33)은 의자의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하지 않고, 미끄러지지 아니하도록 고정적으로 체결이 되어진다. 고정부재 역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의자의 프레임이 위치되어지는 체결공간부(38)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공간부를 중심으로 제1,2 체결부 (36,35)가 형성이 되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나사(34)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팔걸이부를 한쌍으로 결합하여 간이책상 어뎁터로의 기능을 수행하나, 경우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부의 강도를 증가시켜서 팔걸이부를 생략하여 본체부만으로도 간이책상을 구성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칭에서나 기술의 설명에 있어서, 접의자를 위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 기술하였다. 그러나 접의자가 아닐지라도 본 발명의 적용가능한 다른 형태의 의자에 적용이 용이하게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한 형태로서 도면에 도시를 하지는 않았지만 본체부에 있어서, 회동부재를 기둥에 대하여 회동시키지 아니하고 그 대신에 간이책상을 책상연결부재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것을 들수가 있다. 이때의 책상연결부재는 간이책상이 회동을 할 수가 있도록 원형의 형태를 취하든지 아니면 간이책상과 책상연결부재사이에 힌지를 형성하여 간이책상이 책상연결부재에 대하여 회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을 하면 된다. 이러한 실시예와 이에 준하는 응용례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하겠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의하여 좁은 공간에서 간단하게 책상을 설치할 수가 있데 된다. 본 발명의 간이책상 어뎁터는 접의자 등에 분리 결합이 극히 용이하므로 접의자가 있는 곳이라면 용이하게 책상을 설치를 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설치한 후에 사용상에 있어서도 간이의자를 옆으로 밀어주게 되면, 사람이 출입을 할 수가 있는 통로가 형성이 되어지므로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여 주며, 본 발명을 설치함으로서 의자에 안정감과 미적 감각을 더하여 준다. 또한 기존에 보급이 되어져 있는 접의자 등을 그대로 이용하여 책상을 구성하는 것이므로 새로운 물품을 제작하지 않아서 경제적이며, 기존의 의자의 활용성을 더욱 증가시키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Claims (5)

  1.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 되어지는 의자의 좌,우 양측의 프레임 기둥의 일측 기둥에는 간이책상이 구성되어진 본체부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 기둥에는 상기 간이책상을 지지할 뿐만아니라 상기 간이책상이 받는 하중을 분담토록 하는 팔걸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는 본체부가 결합이 되어지는 프레임 기둥 축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부재와 간이책상과 상기 회동부재와 간이책상을 연결하는 책상연결부재로 구성이 되며, 상기 팔걸이부는 팔걸이부가 결합이 되어지는 프레임 기둥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팔걸이와 상기 고정부재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팔걸이연결부재로 구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책상 어뎁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간이책상의 아랫면에는 돌출되어 형성이 된 접근방지스토퍼가 구성되며, 회동부재에는 후퇴방지스토퍼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책상 어뎁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회동부재가 회전체와 고정체로 구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책상 어뎁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회동부재를 기둥에 대하여 회동이 되지 아니하도록 고정을 시키고 그 대신에 간이책상을 책상연결부재에 대하여 회동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책상 어뎁터.
  5. 파이프 프레임으로 구성 되어지는 의자의 프레임 기둥의 기둥에 의자의 프레임을 위치시키는 체결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공간부내에 프레임을 넣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프레임에 체결을 행할 수 있게 하는 고정부재와, 팔걸이와, 상기 고정부재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팔걸이연결부재로 구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부재.
KR1020010030629A 2001-05-25 2001-05-25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KR20020090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629A KR20020090080A (ko) 2001-05-25 2001-05-25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629A KR20020090080A (ko) 2001-05-25 2001-05-25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080A true KR20020090080A (ko) 2002-11-30

Family

ID=2770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629A KR20020090080A (ko) 2001-05-25 2001-05-25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00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8829B2 (ja) コンピュータ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と調節式ディスプレイ画面取付台およびそのディスプレイ画面システム用旋回式ディスプレイ画面
US6382802B1 (en) Portable floor mirror
CN104605635A (zh) 多功能床头柜
US7823518B2 (en) Computer desk
KR20020090080A (ko)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KR20020090824A (ko) 접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
KR100893387B1 (ko) 테이블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KR200157026Y1 (ko)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KR100545799B1 (ko) 배받이 겸용 등받이 의자
KR20020090826A (ko) 파이프 프레임 의자용 간이책상 어뎁터와 상기 간이책상어뎁터를 부착한 파이프 프레임 의자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200340478Y1 (ko) 의자의 메모대 절첩장치
KR20020094985A (ko)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을 구성한 프레임 의자
KR20020094852A (ko) 절첩 가능한 간이책상이 접의자
KR20020094859A (ko) 절첩 간이책상 프레임 의자
KR20030006767A (ko) 슬라이더 고정위치를 형성한 책상이 형성된 강의용 의자
KR20020095413A (ko) 일체화 프레임을 사용한 간이책상이 절첩가능한 프레임접의자
CN212480710U (zh) 一种笔记本电脑支架
KR20020096756A (ko) 소책상이 형성된 절첩 간이책상 프레임 의자
KR20030006852A (ko) 의자기능을 겸한 책상
KR20020092761A (ko) 회전식 간이책상이 구성된 의자
CN114521757B (zh) 折叠脚撑及柜子
CN209185927U (zh) 折叠式多功能宣传桌
JP2967467B2 (ja) 卓上三面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