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176A -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176A
KR20020093176A KR1020010031582A KR20010031582A KR20020093176A KR 20020093176 A KR20020093176 A KR 20020093176A KR 1020010031582 A KR1020010031582 A KR 1020010031582A KR 20010031582 A KR20010031582 A KR 20010031582A KR 20020093176 A KR20020093176 A KR 20020093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board
production line
information
server network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석
이현욱
예진해
조광부
이경호
이춘만
문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31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3176A/ko
Publication of KR2002009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1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7Forms or constructions including a machine-readable marking, e.g. a bar cod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각 생산 라인에서 특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부품의 조달이 네트워크 망을 통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시간에 필요로하는 부품의 반송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특정 제품에 대한 생산의 포기 혹은, 변경이 발생되더라도 전공정 작업자와 후공정 작업자 간의 원활한 정보 교류를 제공하여 그 대처가 신속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생산 계획 정보 및 요구 부품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작업 이력이 데이터로 기록되어 이루어진 간판(부품 인식표); 상기 간판을 발행하는 간판 발행부; 상기 간판에 기록된 각종 정보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정보를 전송하는 간판 정보 확인부; 각종 생산 계획 내역을 확인하고, 간판 정보 확인부로부터 각 간판에 기록된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공정의 현 작업 진행 상태를 분석하고, 각 공정별 생산 라인에 추가 공급 부품의 반송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네트워크; 상기 서버 네트워크의 제어에 의해 전공정(前工程)으로부터 각종 부품을 공급받아 후공정(後工程)으로 반송(搬送)하는 부품 반송부; 각 일정별 생산 계획 정보, 특정 공정별 생산 계획 정보, 각 부품의 정보 및 이 부품의 물동량에 대한 정보 등이 각각 저장된 정보 저장부:가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공정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생산 계획 정보를 토대로 각 공정별 생산 라인의 작업 이력이 기재된 간판을 각각 생성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1운영 단계; 상기 생성된 각 간판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해당 생산 라인의 간판 발행부로 각각 전달하여 발행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2운영 단계; 각 생산 라인의 간판 정보 확인부 중 특정 생산 라인의 간판 정보 확인부를 통해 특정 간판의 정보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있을 경우 해당 생산 라인에 대한 생산 계획 정보를 확인함과 더불어 상기 전송받은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공정의 현재 진행 상태를 확인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3운영 단계; 상기 확인된 정보를 토대로 현재 공정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 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4운영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및 해당 생산 라인의 생산 계획 정보를 취득하여 차기 생산 계획에 따른 새로운 간판을 발행함과 더불어 이를 해당 생산 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생산 라인의 전공정(前工程) 생산 라인으로 상기 후공정(後工程)의 생산 라인에서 소요될 부품의 반송을 지시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5운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운영되도록 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process contro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this system}
본 발명은 공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각 생산 라인에서 특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부품의 조달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네트워크를 이용한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은 업무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적인 생활 방식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생산 현장에 구축된 각종 관리 시스템은 생산 현장 내에 구축한 각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각종 생산 제품의 전체적인 공정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생산 제품의 수율을 상승시켰을 뿐 아니라 근로자의 각종 잔업무를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그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는 상태이다.
일 예로써, 현재 각 생산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인 JIT(Just In Time:간판 시스템, 도요다 시스템) 시스템이 그 대표적이라 볼 수 있다.
이 때, 상기 JIT는 필요한 물건을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으로써 기존의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자재 소요량 계획 시스템) 및 DRP(Distribution Requirement Planning:물류 필요량 계획 시스템)를 보완한 방식의 시스템이다.
즉, JIT 시스템은 특정 작업의 계획이 수립될 경우 이 작업에 대한 각 공정시간 및 각 공정에 대한 소유 물품의 양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 예측된 시간마다 선행 공정으로부터 필요 부품을 요청하여 생산이 진행되도록 한 것이다.
도시한 도 1은 기존의 도요다 간판 시스템 방식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상기 도요다 간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각 공정별 생산 라인의 사이에 구축된 부품 저장부에는 각 종류별 부품이 항상 소정량을 이루도록 보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생산 계획이 설정될 경우 이 생산 계획에 따라 후공정(後工程)의 생산 라인에서는 필요 부품을 상기 부품 저장부로 요청하고, 상기 부품 저장부는 상기 후공정의 생산 라인으로부터 요청된 내역에 응하여 해당 부품을 상기 후공정의 생산 라인으로 반송한다.
이와 함께 상기 부품 저장부는 상기 반송된 부품 및 이 부품의 반송량 만큼 전공정(前工程)으로부터 요청하여 항상 기 설정된 부품 종류별 부품량 만큼이 유지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 때, 상기에서 후공정 생산 라인이 부품 저장부로 부품의 반송을 요청하거나, 상기 부품 저장부에서 전공정으로 부품의 반송을 요청하는 과정은 각 작업자가 간판에 필요 부품을 기재하여 상기 부품 저장부 혹은, 전공정으로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수행되었다.
결국, 각 공정을 진행하는 작업자 중 선행 공정의 작업자는 후행 공정의 작업자가 작성한 간판(생산물품카드 혹은, 부품 인식표)에 표기된 각 공정의 자재 흐름, 부품의 수와 로트의 사이즈, 이동과정 등의 내용을 토대로 상기 후행 공정으로 해당 부품을 반송함으로써 생산이 진행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JIT 시스템(혹은, 간판 시스템)은 기존의 각 작업자간 원활한 정보 교류에 의해 전체적인 작업 효율을 향상시켰을 뿐 아니라 공정 진행 과정시 발생될 수 있는 시간상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JIT 시스템은 전체 과정이 네트워크 망을 통해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히 각종 내역을 해당 부품을 필요로 하는 작업자가 직접 기재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불편을 유발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제품에 대한 생산의 포기가 발생되었을 경우 전공정 작업자와 후공정 작업자 간의 정보 교류가 어려워 그 대처가 미흡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 역시 있다.
그리고, 특정 공정의 작업자가 간판을 기재하였을 경우 이 기재된 간판을 전공정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이 직접 전달하거나 혹은, 별도의 작업자가 중개하여 줌에 따라 각 간판의 전달 과정에서 발생되는 시간의 손실로 인해 적시에 필요 부품의 반송이 이루어질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공정 작업자는 후공정 작업자가 필요로하는 부품 양을 미연에 예측하여 충분히 확보해 두어야 하였기 때문에 과잉 공급에 따른 재고량이 증가될 수 밖에 없었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간판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 생산 라인에서 특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부품의 조달이 네트워크 망을 통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시간에 필요로 하는 부품의 반송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특정 제품에 대한 생산의 포기와 같은 돌발적인 생산 계획의 변경이 발생되더라도 전공정 작업자와 후공정 작업자 간의 원활한 정보 교류를 제공하여 그 대처가 신속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 은 기존의 도요다식 간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공정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 도 4 는 본 발명 공정 관리 시스템에 따른 운영 과정의 개념을 간략히 나타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 공정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7 은 각 공정의 생산 라인을 통해 발행되는 간판의 상태를 일예로써 나타낸 상태도
도 8 은 각 부품의 반송을 위해 발행되는 간판의 상태를 일예로써 나타낸 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 공정 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 공정 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영 과정 중 후공정 생산라인으로부터 간판 확인이 수행될 경우 운영되는 서버 네트워크의 운영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 11 은 도 9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2 는 도 11의 구성에 의거하여 서버네트워크가 운영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3 은 본 발명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생산 계획의 변경 혹은, 생산 계획의 포기 발생시 서버 네트워크의 운영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간판 발행부120. 간판 정보 확인부
130. 서버 네트워크140. 정보 저장부
150. 간판160. 반송부
180. 부품 저장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생산 계획 정보 및 요구 부품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작업 이력이 데이터로 기록되어 이루어진 간판(부품 인식표); 상기 간판을 발행하는 간판 발행부; 상기 간판에 기록된 각종 정보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정보를 전송하는 간판 정보 확인부; 각종 생산 계획 내역을 확인하고, 간판 정보 확인부로부터 각 간판에 기록된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공정의 현 작업 진행 상태를 분석하고, 각 공정별 생산 라인에 추가 공급 부품의 반송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네트워크; 상기 서버 네트워크의 제어에 의해 전공정(前工程)으로부터 각종 부품을 공급받아 후공정(後工程)으로 반송(搬送)하는 부품 반송부; 각 일정별 생산 계획 정보, 특정 공정별 생산 계획 정보, 각 부품의 정보 및 이 부품의 물동량에 대한 정보 등이 각각 저장된 정보 저장부:가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공정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은 생산 계획 정보를 토대로 각 공정별 생산 라인의 작업 이력이 기재된 간판을 각각 생성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1운영 단계; 상기 생성된 각 간판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해당 생산 라인의 간판 발행부로 각각 전달하여 발행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2운영 단계; 각 생산 라인의 간판 정보 확인부 중 특정 생산 라인의 간판 정보 확인부를 통해 특정 간판의 정보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있을 경우 해당 생산 라인에 대한 생산 계획 정보를 확인함과 더불어 상기 전송받은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공정의 현재 진행 상태를 확인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3운영 단계; 상기확인된 정보를 토대로 현재 공정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 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4운영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및 해당 생산 라인의 생산 계획 정보를 취득하여 차기 생산 계획에 따른 새로운 간판을 발행함과 더불어 이를 해당 생산 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생산 라인의 전공정(前工程) 생산 라인으로 상기 후공정(後工程)의 생산 라인에서 소요될 부품의 반송을 지시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5운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운영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관리 시스템은 크게 간판 발행부(110)와, 간판 정보 확인부(120)와, 서버 네트워크(130)와, 정보 저장부(140) 등이 포함하여 구축한 것을 제시한다.
이 때, 상기 간판 발행부(110)는 생산 계획 정보 및 요구 부품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작업 이력이 데이터로 기록되어 이루어진 간판(150)을 발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간판 정보 확인부(120)는 상기 간판(150)에 기록된 각종 정보 데이터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간판 정보 확인부(120)는 상호 연관된 공정이 진행되는 생산라인에 각각 구비하고, 서버 네트워크(130)와는 인터넷 혹은, 인트라넷과 같은 네트워크 망을 통해 온라인으로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써 각 간판(150)이 해당 생산 라인에 투입될 경우 상기 간판 정보 확인부(120)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 확인 내역을 온라인 연결된 서버 네트워크(1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간판 발행부(110) 역시 각 공정의 진행을 위한 생산 라인에 각각 구축함으로써 온라인 상의 데이터 전달과 같은 간단한 과정을 통해 각 생산 라인에 해당 간판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함을 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각 간판(150)에 기록되는 각종 작업 이력은 각종 정보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바코드(151)로써 구성하고, 상기 간판 정보 확인부(120)는 상기 간판에 형성된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로 구성하며, 간판 발행부(110)는 서버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온라인 연결된 프린터기로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구성에 의한 공정의 진행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간판 발행부(110)는 반드시 프린터기와 같이 특정 출력물을 실제 출력하는 기기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종 정보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모니터 등과 같은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간판 발행부(110)는 반드시 각 공정의 생산 라인에 설치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공정의 생산 라인과는 별도의 위치에서 작업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 한 후 오프라인을 통해 해당 간판(150)을 발행하고, 이 발행된 간판(150)을 해당 생산 라인으로 반송되는 부품과 함께 전달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간판 정보 확인부(120)인 바코드 리더기는 작업자가 직접 조작할 수도 있지만 자동적으로 해당 생산 라인에 투입되는 간판(150)의 바코드(151)를 스캐닝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서버 네트워크(130)는 각종 생산 계획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간판 정보 확인부(120)로부터 각 간판(150)에 기록된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공정의 현 작업진행 상태를 분석하고, 각 공정별 생산 라인에 추가 공급 부품의 반송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저장부(140)는 각 일정별 생산 계획 정보, 특정 공정별 생산 계획 정보, 각 생산 라인별 작업 진행 현황 정보, 각 부품의 정보 및 이 부품의 물동량에 대한 정보 등을 각각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각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서버 네트워크(130)의 제어에 의해 전공정(前工程)으로부터 각종 부품을 공급받아 후공정(後工程)으로 반송(搬送)하는 반송부(160)가 더 포함되어 구축됨을 제시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정 관리 시스템에 따른 구성은 각종 작업 이력이 기록된 간판(150)을 해당 생산 라인에서 자동 발행될 수 있도록 하고, 이 간판에 기록되는 각종 작업 이력을 바코드(151)로 구현하여, 해당 생산 라인에서 바코드 리더기(120)를 이용하여 해당 간판(150)의 각종 정보가 온라인 상을 통해 공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공정의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통한 해당 공정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시한 도 3 및 도 4의 구성도는 본 발명 공정 관리 시스템에 따른 운영 과정의 개념을 간략히 나타내고 있으며, 도 5의 순서도는 본 발명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간판 시스템과는 달리 각 생산 라인 사이에 다수의 종류별 부품이 미리 보관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 후공정(後工程) 생산 라인에서 작업의 진행이 확인될 경우 이 내역이 인터넷 혹은, 인트라넷과 같은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버 네트워크(130)로 통보되고, 상기 서버 네트워크(130)는 상기 후공정 생산 라인에서 사용될 부품을 생산 계획에 의거하여 확인한 후 필요 부품을 상기 후공정 생산 라인으로 반송하도록 전공정(前工程) 생산 라인으로 통보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 때, 상기 후공정 생산 라인이라 함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각종 부품을 상호 조립하는 조립 라인이 될 수 있고, 전공정이라 함은 상기 각종 부품을 생산하는 생산 라인 혹은, 해당 부품을 납품하는 납품업체가 될 수 있다.
이를 도시한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서버 네트워크(130)는 생산 계획 정보를 토대로 특정 공정별 생산 라인의 작업 이력이 기재된 간판(150)을 생성한다.(S110)
이 때, 상기 서버 네트워크(150)는 해당 생산 계획을 토대로 해당 생산 라인에서 생산하여야 할 물품의 수량을 확인함과 더불어 상기 확인된 생산 물품의 수량에 따른 간판(150)의 총 발행 매수를 설정하고, 이 설정된 발행 매수의 범위 내에서 해당 간판(150)의 생성을 수행하고, 이 때의 작업 내역은 바코드로 상기 간판에 형성한다.
예컨대, 특정 물품에 대한 총 생산 계획 및 각 생산 라인으로의 허용 반송 부품 수량을 고려하여 간판의 총 발행 매수를 설정하며, 이 설정된 매수별 순번을 각각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하게 된다.
하지만, 반드시 상기 과정을 통해서만 간판 발행 계획이 설정되고 발행되는 것은 아니며, 각 생산 라인의 작업 특성에 따른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각 생산 라인에 맞게 각각의 발행 매수를 설정하며, 이 설정된 매수별 순번을 각각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행할 수도 있다.
이후, 서버 네트워크(130)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해당 간판의 생성을 위한 각종 정보를 데이터로써 온라인을 통해 해당 공정의 생산 라인에 구축된 간판 발행부(110)로 전송하고, 상기 간판 발행부(110)에서는 상기 전송 받은 각종 정보 데이터를 프린팅하여 해당 간판을 발행한다.(S120)
이 때, 상기 간판(150)에는 도시한 도 7의 도면과 같이 시각적인 확인이 가능한 문자 데이터와, 각종 작업 이력이 데이터로 기록된 바코드(151)가 동시에 게재된다.
또한, 간판 발행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 네트워크(130)를 통해 제작된 간판(150)을 해당 생산 라인의 작업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온라인 연결된 프린터기로 구현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서버 네트워크(130)는 단순히 해당 생산라인에 구축된 프린터기의 IP(Internet Protocol)를 통해 발행하고자 하는 간판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간판(150)이 해당 생산 라인에서 발행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간판 발행부(110)가 해당 생산 라인에 구축하여야만 본원 발명의 공정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서버 네트워크(130)가 구축된 위치 혹은, 반송부(160)가 위치된 곳에 상기 간판 발행부(110)를 설치하고, 이 간판 발행부(110)를 통해 간판(150)을 발행한 후 오프라인을 통해 해당 생산 라인의 작업자에게 전달되도록 구축할 수도 있다.
전술한 각 과정을 통해 특정 생산 라인에 간판(150)의 발행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간판 정보 확인부(120)를 이용하여 해당 간판의 확인 여부를 서버 네트워크(130)에 통보함과 더불어 상기 발행된 간판(150)에 기재된 각종 작업 내역을 확인한 후 해당 작업 내역에 따른 작업을 착수한다.
이 때, 상기 간판(150)의 확인 여부를 서버 네트워크(130)로 통보할 수 있음은 상기 간판 정보 확인부(120)가 통상적인 바코드 리더기로 구성되어 있고, 이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스캐닝되는 정보가 온라인을 통해 서버 네트워크(130)로 전송되도록 구현되어 있음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통해 서버 네트워크(130)로 전송되는 스캐닝된 정보 데이터에는 해당 간판(150)의 발행 번호, 총 조립 수량, 전공정 및 후공정 해당 부품의 장입수량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이에 상기 서버 네트워크(130)는 해당 생산 라인으로의 총 발행 예정 간판의 매수와 상기 확인된 간판의 발행 순번을 상호 비교하여 전공정(前工程) 및 후공정(後工程)의 각 부품 및 물품에 대한 재고 물량을 확인함과 더불어 해당 생산 라인의 생산 계획 정보를 토대로 현재 해당 작업의 진행 상태를 실시간적으로 업데이트 한다.(S130)
이 때, 상기 공정 진행 상태의 업데이트 정보에는 해당 생산 라인으로 발행된 간판(150)의 총 발행 매수에 대한 정보와, 해당 생산 라인으로 발행하여야 할 간판(150)의 발행 순번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정보는 현재 해당 생산 라인의 작업 진행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생산 계획에 대한 수립이 용이함과 더불어 각 물품 혹은 부품의 재고 및 물동량 확인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과정에 의해 특정 생산 라인의 현재 공정 진행 상태에 대한 정보 확인(S140)이 완료되면 서버 네트워크(130)는 해당 공정에 발행된 간판의 총 발행 매수를 확인한 후 기 예정된 총 발행 매수를 초과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생산 라인에 추가적인 간판을 생성한다.(S150)
그리고, 상기 서버 네트워크(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생산 라인으로의 추가적인 간판 발행을 수행한다.(S120)
이와 함께, 상기 서버 네트워크(130)는 해당 생산 라인의 전공정(前工程)으로 상기 생산 라인의 간판 발행 여부를 통보하여 추가적인 부품의 반송이 진행될 수 있도록 반송부(160)를 제어한다.(S160)
이는, 상기 생산 라인의 전공정(前工程)에 구축된 간판 발행부(110)로 후공정(後工程)으로의 부품 반송을 위한 간판(170)을 발행함으로써 진행된다.
이 때, 상기 전공정 생산 라인으로 발행되는 간판은 생산 정보 간판으로써 해당 부품이 어떠한 것인지 식별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현재 해당 부품의 총 반송량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어 작업 진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공정 생산 라인으로 발행되는 간판(170)에는 도시한 도 8과 같이 해당 부품의 품명, 모델명, 수량, 규격, 생산일 등과 같은 각종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서버 네트워크(130)는 해당 공정의 진행을 위해 발행하는 간판(150)의 발행 매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컨대, 생산 계획에 따라 해당 간판의 총 발행 예정 수량이 1000매이고, 해당 공정의 진행을 위해 간판의 현재 발행 유지 매수를 20매라 설정하였을 경우 서버 네트워크는 현재 해당 공정의 진행을 위해 발행된 간판의 매수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해당 공정 상에서는 해당 공정의 간판이 20매를 초과하여 발행되거나 부족한 범위 내로 발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는, 간판 정보 확인부(120)를 통해 특정 간판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 서버 네트워크(130)는 상기 전송 받은 해당 간판의 각종 정보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간판의 발행 순번을 확인하고, 이 확인된 간판의 발행 순번에 따라 해당 간판의 총 발행 예정 매수를 확인함으로써 그 제어가 가능하다.
만일, 전술한 각 과정에서 현재 총 발행된 간판의 매수가 기 예정되어 있던총 발행 예정 매수에 도달하였을 경우 추가적인 간판의 발행을 수행하지 않고, 차기 생산 계획의 공정에 의거하여 설정된 간판을 발행함으로써 연속적인 생산 라인의 작업 진행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170)
한편, 본 발명에서는 부품을 제조하는 전공정과 상기 제조된 부품을 사용하여 특정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조립하는 후공정 생산 라인만이 구축된 상태로 기 전술한 각 과정을 거치면서 본 발명의 공정 관리 시스템이 운영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도시한 도 9와 같이 각 생산라인의 전공정(前工程)과 후공정(後工程) 사이에 각 공정(工程)간의 부품 반송 작업을 적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해당 부품을 임시 보관하는 부품 저장부(180)를 더 구비하고, 이 부품 저장부(180)에는 해당 생산 라인에 구비된 간판(150), 간판 발행부(110) 및 간판 정보 확인부(120)와는 별도의 간판(170), 간판 발행부(110), 간판 정보 확인부(120)를 더 구비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는, 각 생산 라인을 통해 작업 완료된 물품을 차기 공정으로 반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차기 공정에서 해당 작업을 완료하여야만 하였기에 상호간의 작업 진행 시간에 따른 차이가 있었음에 따라 각 생산 라인 혹은, 각 공정과 공정 사이에 전공정에서 작업 완료된 부품의 일시 보관을 위한 부품 저장부(180)를 구축함으로써 후공정과의 작업 진행에 따른 시간 차이를 보상해 줌과 더불어 해당 부품에 대한 반송이 적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경우 서버 네트워크(130)는 도시한 도 10의 순서도와 같이 후공정 생산라인의 간판 정보 확인부(120)를 통해 확인된 간판에 대한 부품의 반송 요청에 따라 해당 부품 저장부(180)의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부품 저장부(180)에 해당 부품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부품 저장부(180)에 해당 부품이 요청 수량을 초과하여 저장되어 있을 경우 후공정 생산 라인으로부터 요청된 부품에 대한 반송을 상기 부품 저장부(180)로 지시하기 위한 간판(170)을 발행하고, 상기 전공정 생산 라인으로는 상기 반송된 부품에 대한 부품 저장부(180)로의 추가적인 반송을 지시하기 위한 간판(150)을 발행한다.
이의 과정 역시 해당 부품 저장부(180)에 구비된 간판 정보 확인부(120)를 통해 물품의 반송을 요구하는 간판을 스캐닝하여 해당 부품 요청 내역을 서버 네트워크(130)로 온라인 통보함으로써 가능하다.
물론, 이 때에도 상기 부품 저장부(180)로 발행되는 간판(170)은 생산 계획에 의거한다.
즉, 서버 네트워크(130)가 상기 부품 저장부(180)로부터 전송된 간판(170)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해당 간판(170)이 기 예정된 총 발행 예정 매수의 마지막 발행 순번에 해당하는 간판일 경우 차기 생산 계획에 따라 설정된 간판을 생성하여 상기 부품 저장부(180)로 발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부품 저장부(180)는 전공정 생산 라인과 후공정 생산 라인 사이에만 구축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도시한 도 11과 같이 각 공정의 생산 라인에 상기 부품 저장부(180)가 각각 포함되도록 구축할 수도 있다.
이의 구성은 각 생산 라인에서 작업 완료된 부품을 해당 생산 라인에 구축된 부품 저장부(180)에 일시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품 저장부(180)에 별도의 간판(170)을 발행하거나, 이 간판(170)의 발행을 위한 별도의 간판 발행부(110)를 구비하거나, 상기 간판의 확인을 위한 별도의 간판 정보 확인부(120)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해당 생산 라인에 구비된 간판(150), 간판 발행부(110), 간판 정보 확인부(120)를 공용으로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운영 과정을 도시한 도 12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서버 네트워크는 각 생산 라인으로 발행된 간판(150)의 정보가 해당 생산 라인의 간판 정보 확인부(120)를 통해 전송되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특정 생산 라인으로부터의 간판 정보를 전송받을 경우 상기 서버 네트워크(130)는 상기 전송받은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해당 생산 라인에서 수행하던 작업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함과 더불어 이 작업 완료된 소정 수량의 부품이 부품 저장부(180)에 임시 보관되어 있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내용을 정보 저장부(140)에 등록한다.
이후, 서버 네트워크(130)는 후공정의 간판(150) 확인을 통한 해당 부품의 요청시 상기 정보 저장부(140)에 등록된 해당 부품 저장부(180)의 각 부품 저장 내역을 확인한 후 상기 저장되어 있는 부품이 요청 부품을 초과하여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만 해당 부품을 후공정 생산 라인으로 반송하도록 제어한다.
만일, 부품 저장부(180)에 보관 중인 부품이 후공정 생산 라인으로부터 요청된 부품량에 비해 적을 경우 전공정 생산 라인으로부터 해당 부품이 반송될 때까지 일시 대기한 후 해당 공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각 생산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해당 생산 제품에 대한 제조 포기 혹은, 여타의 긴급한 제품 생산에 따른 돌발적인 생산 계획의 변경이 수행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이의 경우에도 신속한 대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전술한 바와 같이 돌발적인 생산 계획의 변경 혹은, 생산 계획의 포기가 발생될 경우 서버 네트워크(130)의 운영 과정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도시한 도 13의 순서도와 같이 생산 계획에 따른 각 공정별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생산 계획의 변경 혹은, 생산 계획의 포기가 발생되면 이에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면서 운영되는 것이다.
예컨대, 생산 계획의 변경이 이루어질 경우 서버 네트워크(130)는 상기 변경된 생산 계획을 토대로 각 공정별 생산 라인의 작업 공정을 수립하고, 상기 수립된 작업 공정을 토대로 각 작업 이력이 기재된 간판을 발행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간판의 발행을 위한 작업은 기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간판 발행을 위한 일련의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을 통해 간판의 발행이 이루어지면, 상기 새로운 간판의 발행 전까지 제조되었던 물품의 회수를 수행한다.
이는, 반송부(160)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물품의 회수가 완료되면 해당 생산 라인의 작업자는 새로이 발행된 간판에 따라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생산 계획의 포기가 발생될 경우 서버 네트워크(130)는 차기 생산 계획에 따른 각 공정별 생산 라인의 작업 공정을 수립하고, 상기 수립된 작업 공정을 토대로 각 작업 이력이 기재된 간판을 발행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의 과정 역시 기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판 발행을 위한 일련의 과정과 동일함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을 통해 간판의 발행이 이루어지면, 이전의 포기된 간판에 따른 생산 계획에 의해 제조되었던 물품의 회수를 수행한다.
이 역시, 반송부(160)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물품의 회수가 완료되면 해당 생산 라인의 작업자는 새로이 발행된 간판에 따라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은 현재까지 제조 완료된 물품은 회수함으로써 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공정 작업자와 후공정 작업자 간의 원활한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의하면, 각 생산 라인에서 특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부품의 조달이 네트워크 망을 통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시간에 필요로 하는 부품의 반송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특정 제품에 대한 생산의 포기와 같은 돌발적인 생산 계획의 변경이 발생되더라도 전공정 작업자와 후공정 작업자 간의 원활한 정보 교류를 제공하여 그 대처가 신속히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18)

  1. 생산 계획 정보 및 요구 부품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작업 이력이 데이터로 기록되어 이루어진 간판(부품 인식표);
    상기 간판을 발행하는 간판 발행부;
    상기 간판에 기록된 각종 정보 데이터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정보를 전송하는 간판 정보 확인부;
    각종 생산 계획 내역을 확인하고, 간판 정보 확인부로부터 각 간판에 기록된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공정의 현 작업 진행 상태를 분석하고, 각 공정별 생산 라인에 추가 공급 부품의 반송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네트워크;
    상기 서버 네트워크의 제어에 의해 전공정(前工程)으로부터 각종 부품을 공급받아 후공정(後工程)으로 반송(搬送)하는 부품 반송부;
    각 일정별 생산 계획 정보, 특정 공정별 생산 계획 정보, 각 부품의 정보 및 이 부품의 물동량에 대한 정보 등이 각각 저장된 정보 저장부:가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간판에 기록되는 각종 정보 데이터는 바코드로써 구현하고,
    간판 정보 확인부는 상기 간판에 형성된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로 구성하며,
    간판 발행부는 각 생산 라인에 설치된 상태로써 서버 네트워크와는 온라인 연결된 프린터기로 구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간판 정보 확인부는
    연관된 공정이 진행되는 생산 라인에 각각 구비하고, 서버 네트워크와는 온라인으로써 연결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간판(부품 인식표)과, 간판 발행부 및 간판 정보 확인부는
    각 공정의 진행을 위한 생산 라인에 각각 구비하여 구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전공정과 후공정에 따른 각 생산 라인 사이에
    상기 각 공정간의 부품 반송 작업을 적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이 부품 저장부에는 별도의 간판 및 이 간판의 정보 확인을 위한 간판 정보 확인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전공정과 후공정에 따른 각 생산 라인에
    각 공정을 통해 작업 완료된 부품을 후공정 생산 라인으로 반송하기 전에 임시 보관하기 위한 부품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
  7. 바코드가 게재된 간판의 바코드 확인을 통해 후공정(後工程) 생산 라인으로부터 해당 생산 라인의 작업 진행 내역을 온라인 전송받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1운영 단계;
    기 설정된 생산 계획에 의거하여 상기 후공정 생산 라인에서 사용될 부품을 확인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2운영 단계;
    상기 확인된 부품을 상기 후공정 생산 라인으로 반송하도록 전공정(前工程) 생산 라인으로 바코드가 게재된 간판을 자동 발행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3운영 단계:가 포함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8. 생산 계획 정보를 토대로 각 공정별 생산 라인의 작업 이력이 기재된 간판을 각각 생성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1운영 단계;
    상기 생성된 각 간판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해당 생산 라인의 간판 발행부로 각각 전달하여 발행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2운영 단계;
    각 생산 라인의 간판 정보 확인부 중 특정 생산 라인의 간판 정보 확인부를 통해 특정 간판의 정보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있을 경우 해당 생산 라인에 대한 생산 계획 정보를 확인함과 더불어 상기 전송받은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공정의 현재 진행 상태를 확인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3운영 단계;
    상기 확인된 정보를 토대로 현재 공정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 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4운영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및 해당 생산 라인의 생산 계획 정보를 취득하여 차기 생산 계획에 따른 새로운 간판을 발행함과 더불어 이를 해당 생산 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생산 라인의 전공정(前工程) 생산 라인으로 상기 후공정(後工程)의 생산 라인에서 소요될 부품의 반송을 지시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5운영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간판은 총 생산 계획과, 각 생산 라인으로의 허용 반송 부품 수량을 고려하여 그 매수를 설정하고, 이 설정된 매수별 순번을 각각 지정하며, 상기 지정한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간판은 각 생산 라인의 작업 특성에 따른 작업 시간을 고려하여 각 생산 라인에 맞게 각각의 매수을 설정하고, 이 설정된 매수별 순번을 각각 지정하며, 상기 지정한 순번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매수의 간판을 발행하고, 이 발행된 간판에 대한 작업 진행 정보를 취득할 경우 상기 설정된 매수를 초과하거나 상기 설정된 매수에 부족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추가적인 해당 간판의 발행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서버 네트워크의 제3운영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특정 간판의 정보 데이터를 전송 받을 경우 이 전송 받은 각종 정보 데이터 중 해당 간판의 발행 순번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간판의 발행 순번에 따른 해당 간판의 총 발행 매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총 발행 매수와 상기 확인된 간판의 발행 순번을 상호 비교하여 전공정 및 후공정 생산 라인의 각 부품 및 불품에 대한 재고 물량을 확인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전공정 생산 라인과 후공정 생산 라인의 사이에 상기 전공정 생산 라인으로부터 후공정 생산 라인으로 반송되는 부품의 임시 보관을 위한 부품 저장부가 구축되어 있을 경우 서버 네트워크는
    후공정 생산 라인의 간판 정보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간판에 대한 요청 부품의 반송을 상기 부품 저장부로 지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서버 네트워크로부터 후공정 생산 라인으로 특정 부품에 대한 반송을 지시받을 경우 부품 저장부는
    상기 반송 지시 받은 부품을 해당 후공정 생산 라인으로 반송함과 동시에 간판 정보 확인부를 통해 상기 반송 지시 받은 부품에 대응하는 간판의 각종 정보 데이터를 서버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상기 반송 지시 받은 부품을 전공정 생산 라인으로부터 반송 요청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각 공정이 진행되는 도중 생산 계획의 변경이 발생될 경우 서버 네트워크는
    상기 변경된 생산 계획을 토대로 각 공정별 생산 라인의 작업 공정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수립된 작업 공정을 토대로 각 작업 이력이 기재된 간판을 발행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간판의 발행 전까지 제조되었던 물품의 회수를 수행하도록 반송부를 제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각 공정이 진행되는 도중 생산 계획의 포기가 발생될 경우 서버 네트워크는
    차기 생산 계획에 따른 각 공정별 생산 라인의 작업 공정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수립된 작업 공정을 토대로 각 작업 이력이 기재된 간판을 발행하는 단계;
    생산 계획이 포기된 간판에 따른 생산 계획에 의해 제조되었던 물품의 회수를 수행하도록 반송부를 제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최초 공정으로 발행되는 간판의 발행 매수가 기 설정되었던 최후 발행 매수에 도달하였을 경우 서버 네트워크는
    차기 생산 계획에 따라 설정된 간판을 발행하여 상기 최초 공정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18. 생산 계획 정보를 토대로 각 공정별 생산 라인의 작업 이력이 기재된 간판을 각각 발행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1운영 단계;
    상기 발행된 각 간판을 해당 생산 라인으로 각각 전달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2운영 단계;
    각 생산 라인의 간판 정보 확인부 중 특정 생산 라인의 간판 정보 확인부를 통해 특정 간판의 정보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있을 경우 해당 생산 라인에 대한 생산 계획 정보를 확인함과 더불어 상기 전송받은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공정의 현재 진행 상태를 확인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3운영 단계;
    상기 확인된 정보를 토대로 현재 공정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 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4운영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공정 진행 상태 및 해당 생산 라인의 생산 계획 정보를 취득하여 차기 생산 계획에 따른 새로운 간판을 발행함과 더불어 이를 해당 생산 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생산 라인의 전공정(前工程) 생산 라인으로 상기 후공정(後工程)의 생산 라인에서 소요될 부품의 반송을 지시하는 서버 네트워크의 제5운영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0010031582A 2001-06-07 2001-06-07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020093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582A KR20020093176A (ko) 2001-06-07 2001-06-07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582A KR20020093176A (ko) 2001-06-07 2001-06-07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176A true KR20020093176A (ko) 2002-12-16

Family

ID=2770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582A KR20020093176A (ko) 2001-06-07 2001-06-07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31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699B1 (ko) * 2001-08-14 2004-10-20 (주)쓰리뷰 생산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관리 시스템제공방법 및 장치
KR20190123024A (ko) * 2018-04-23 2019-10-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연 생산 라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592049A (zh) * 2021-07-29 2021-11-02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精确匹配自动生产线工艺采集数据的方法及系统
CN114428485A (zh) * 2021-12-21 2022-05-03 贝隆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smt智能生产线及其控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699B1 (ko) * 2001-08-14 2004-10-20 (주)쓰리뷰 생산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관리 시스템제공방법 및 장치
KR20190123024A (ko) * 2018-04-23 2019-10-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연 생산 라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592049A (zh) * 2021-07-29 2021-11-02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精确匹配自动生产线工艺采集数据的方法及系统
CN114428485A (zh) * 2021-12-21 2022-05-03 贝隆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smt智能生产线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ng et al. RFID-enabled real-time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for mass-customization production
Arbulu et al. Kanban in construction
CN102722785A (zh) 一种车间作业管理方法、系统及服务器
Chen et al. A case study in the design of BTO/CTO shop floor control system
CN101751030A (zh) 制造协作中枢数据交换接口
CN101770605A (zh) 一种研发项目计划管理方法与系统
AU2009321503A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ufacturing estimation production assembly and inventory management
CN101546393A (zh) 看板管理系统及方法
JP2001212939A (ja) 製造進行を計画および制御する装置
CN202332056U (zh) 制造业企业信息化系统的模拟培训平台
CN210742970U (zh) 一种用于pcb板的mes监控系统
Houti et al. E-Kanban the new generation of traditional Kanban system, and the impact of its implementation in the enterprise
CN101192054B (zh) 零件补充系统以及零件补充方法
KR20020093176A (ko) 공정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CN103870903A (zh) 一种精益拉动的生产数据处理系统
JP2006331071A (ja) 部品請求システムと部品請求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部品請求方法
JP2002312022A (ja) 部品納入進度管理システム、部品納入進度管理方法、部品納入進度管理プログラム、部品納入進度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部品管理システム
CN115587771A (zh) 一种基于pda识别的智能仓库管理方法及系统
JP5489574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
US20030110054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and managing purchases on behalf of an entity
US200401227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riorities of manufacturing orders
Bertolini et al. A scrumban board-based approach to improve material flow in engineering to order (ETO) companies: an industrial application based on action research
JP3390663B2 (ja) 生産管理方法
US20050065833A1 (en) Production scheduling management method and production scheduling management program
JP2004326298A (ja) プリント基板実装工程における生産管理方法とそ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