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079A - 선박의 Fore peak tank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의 Fore peak tank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079A
KR20020092079A KR1020010030959A KR20010030959A KR20020092079A KR 20020092079 A KR20020092079 A KR 20020092079A KR 1020010030959 A KR1020010030959 A KR 1020010030959A KR 20010030959 A KR20010030959 A KR 20010030959A KR 20020092079 A KR20020092079 A KR 20020092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ore peak
peak tank
ship
voi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원
류대형
문용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2079A/ko
Publication of KR2002009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07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Fore peak tank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선종의 크기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항해중 선수부의 충돌시 전부의 Fore peak tank의 Void space로 선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황천시(비상항해시)에는 Ballast(해수)용 Cargo tank와 함께 Ballast Space로 이용하여 보다 깊은 드래프트를 유지함으로써 선박의 안전성을 유지시키고, 검사 및 보수면에서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Fore peak tank구역에 수직 벌크헤드를 설치하여 전,후부로 나누고 필요한량의 Ballast를 고려하여 일반항해시 사용되는 Fore peak tank를 후부에 만들고, 나머지 전부의 복잡한구조 부분을 Void space로 설치한 선체의 선수부의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한 발명으로 인해 일반항해중 선수부분의 충돌사고시 후부의 Fore peak를 보호할 수 있으며, Fore peak tank의 전부를 Void space로 구성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정밀조사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Void space를 황천시(비상항해 조건시) Ballast tank로 사용할 수 있어 선박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Fore peak tank 구조{Structure of Fore peak tank for vessel}
본 발명은 선박의 Fore peak tank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수부분의 구조에 있어 종래에 상기 선수부분이 Fore peak tank로 구성되어 있던 구조를 다섯가지의 구조로 재구성내지 변경한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유조선의 경우 크고 작은 해난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재산 및 인명손실은 물론 생태계의 파괴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고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선수부의 충돌사고시 Fore peak tank의 전체가 피해를 받게되며 충돌후 복구가 상당히 어려워 선박의 안전에도 악영향을 미쳤으며, 상기 Fore peak tank는 상시 Ballast구역이며 또한 복잡한 구역이므로 정밀검사 및 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또한 부식의 문제점이 항시 발생할 수 있는 구역으로서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선박의 Fore peak tank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선종의 크기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항해중 선수부의 충돌시 전부의 Fore peak tank의 Void space로 선체를 보호할 수 있고, 황천시(비상항해시)에는 Ballast(해수)용 Cargo tank와 함께 Ballast Space로 이용하여 보다 깊은 드래프트를 유지함으로써 선박의 안전성을 유지시키고, 검사 및 보수면에서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이 목적이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Fore peak tank구역에 수직 벌크헤드를 설치하여 전,후부로 나누고 필요한량의 Ballast를 고려하여 일반항해시 사용되는 Fore peak tank를 후부에 만들고, 나머지 전부의 복잡한구조 부분을 Void space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Fore peak tank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에 있어 선수부의 Fore peak tank의 구조.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 첫번째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두번째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세번째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네번째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다섯번째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Fore peak tank 20 : Upper Fore peak tank
30 : Lower Fore peak tank 50 : 보이드(Void space)
60 : 후부 Fore peak tank 70 : 전부 Fore peak tank
본 발멸은 선박의 Fore peak tank 배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수부분의 구조에 있어 종래에 상기 선수부분이 Fore peak tank로 구성되어 있던 구조를 다섯가지의 구조로 재구성내지 변경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Fore peak tank(10)를 Upper Fore peak tank(20)와 Lower Fore peak tank(30)로 나누어서 제작한 타입으로 Fore peak tank를 Ballasting시 과도한 Hogging moment 증가없이 적절한 Forward Draft의 유지가 가능하며, 작업자의 오작동으로 인한 Over filling등 선박의 무리한 Stress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랭킹 데미지(Ranking demage)경우 과도한 침하를 방지하기에 유리한 구조이다.
두번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수전부에 Void space(50)를 설치하고, 상기 Void space(50)의 후방에 Fore peak tank(10)를 배치한 구조로서, 상기 타입은 전부의 Void space(50)부분은 평상시에는 Ballast space로 사용치 않으며, Ballast tank에 필요한 부품을 설치하여 비상항해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선수부의 Void space(50)가 선체 전부의 충돌 데미지(Demage)시 선박을 보호할 수 있는 Damper역할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세번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수부의 상부는 Void space를 설치하고, 하단부는 Fore peak tank를 설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타입은 랭킹 데미지경우 과도한 침하를 방지하기에 유리한 구조이다.
네번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Fore peak tank를 전방부(70)와 후방부(60)로 나누어 설치하는 구조로 상기 두번째 실시예의 장점과 아울러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해수를 확보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다섯번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네번째 실시예에서 후방의 Fore peak tank(60)의 용량을 줄인 구조로서, Heavy ballast condition이 요구될때 Fore peak tank에 ballast(해수)를 채울시 이로인한 Hogging moment가 기존 설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Heavy ballast condition이 필요할때 별도의 구조보강이 필요하지 않는 기능이 있다.
상기 기술한 발명으로 인해 일반항해중 선수부분의 충돌사고시 후부의 Fore peak tank 를 보호할 수 있으며, Fore peak tank 전부를 Void space로 구성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정밀조사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Void space를 황천시(비상항해 조건시) Ballast tank로 사용할 수 있어 선박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반적인 선박의 Fore peak tank구역에 수직 벌크헤드(Bulkhead)를 설치하여 전,후부로 나누고 필요한량의 Ballast(해수)를 고려하여 일반항해시 사용되는 Fore peak tank를 후부에 만들고, 나머지 전부의 복잡한구조 부분을 Void space의 구조로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Fore peak tank 구조.
KR1020010030959A 2001-06-02 2001-06-02 선박의 Fore peak tank 구조 KR20020092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959A KR20020092079A (ko) 2001-06-02 2001-06-02 선박의 Fore peak tank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959A KR20020092079A (ko) 2001-06-02 2001-06-02 선박의 Fore peak tank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079A true KR20020092079A (ko) 2002-12-11

Family

ID=2770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959A KR20020092079A (ko) 2001-06-02 2001-06-02 선박의 Fore peak tank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20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9679A (zh) * 2020-08-26 2020-11-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用首尖舱布局结构及船舶
CN113443074A (zh) * 2021-07-21 2021-09-2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减少双燃料船面向罐体的通道绝缘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9679A (zh) * 2020-08-26 2020-11-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用首尖舱布局结构及船舶
CN111959679B (zh) * 2020-08-26 2021-10-29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用首尖舱布局结构及船舶
CN113443074A (zh) * 2021-07-21 2021-09-2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减少双燃料船面向罐体的通道绝缘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93198A1 (ja) 船形構造物
JP7193250B2 (ja) 船舶
US5899162A (en) Tanker reconstruction
JP2007153242A (ja) 自動車運搬船
JP2008018812A (ja) 大型輸送船
US5320056A (en) Recessed bottom tanker
KR20020092079A (ko) 선박의 Fore peak tank 구조
CN109803882B (zh) 具有水密壁的船舶
JP4401346B2 (ja) 船舶機関室のダブルハル構造
WO2014013584A1 (ja) 船舶
Michel et al. Cargo ship bunker tanks: Designing to mitigate oil spillage
CN108327847B (zh) 一种半潜船浮箱改造方法
JP6774087B1 (ja) 海洋浮体構造物の船体
KR100999250B1 (ko) 선박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선수 탱크가 구비된 선박
KR100460728B1 (ko) Lpg와 컨덴세이트를 동시 저장하는 fso선박
RU87405U1 (ru) Наливное судно
Bačkalov et al. Damage stability of river cruisers: a case for harmonization of international regulations
Russell Introduction to the Concept of the German Navy Stability Standard DMS 1030-1
KR200340531Y1 (ko)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의 저장탱크 구조
JP2006123814A (ja) 船舶
JP2005219559A (ja) 貨物船
RU2604253C1 (ru) Кормовая часть ледокола
KR20180127235A (ko) 선박
US1335278A (en) Marine transportation vessel
RU2286907C1 (ru) Корпус танкера ледового класс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