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024A -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024A
KR20020090024A KR1020010029146A KR20010029146A KR20020090024A KR 20020090024 A KR20020090024 A KR 20020090024A KR 1020010029146 A KR1020010029146 A KR 1020010029146A KR 20010029146 A KR20010029146 A KR 20010029146A KR 20020090024 A KR20020090024 A KR 20020090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content
unit
downloa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9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0024A/ko
Publication of KR2002009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0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에 각각의 외부장치에 대한 다운로드경로를 저장하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장치에 접속한 후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제어부는 외부장치의 연결여부 및 연결된 외부장치에 해당하는 다운로드경로를 확인하여 다운로드경로가 외부장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를 직접 외부장치로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컨텐츠를 외부장치에 저장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하지 않고 직접 외부장치로 다운로드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입력과정이 필요없게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가 스위치로 기능하므로 다운로드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된다.

Description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Downloading method of contents via communication network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장치로부터 착탈가능한 외부장치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데이터의 압축 및 전송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을 통하여 컨텐츠의송수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MP3 파일, MPEG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량은 날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MP3 플레이어, 전자도서 등과 같이 특정한 형식의 파일을 재생하거나 출력하는 장치의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MP3 플레이어의 경우 초기에는 착탈가능한 메모리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MP3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비해 현재의 MP3 플레이어는 자체에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어 통신케이블을 통해 컴퓨터 등으로부터 MP3 파일을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전송받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한다(S100).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을 컨텐츠를 선택하여 전송을 요청하면 해당 컨텐츠가 사용자의 컴퓨터로 다운로드된다(S110). 컨텐츠는 랜카드, 모뎀 등의 통신수단을 통해 컴퓨터로 수신되며,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은 수신된 컨텐츠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도록 한다(S120).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외부장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포트에 연결된 MP3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장치로 전송된다(S130). 외부장치는 직렬 또는 병렬포트(USB, IEEE1394 포함)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며, 수신된 컨텐츠는 외부장치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다(S140).
이상의 과정에서 사용자는 각 단계마다 여러번의 입력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다운로드 과정에서 컨텐츠가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되므로 전체적인 다운로드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S110 단계에서 서버로부터 사용자 컴퓨터로의 다운로드 시간을 T1이라 하고 상기 S130 단계에서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외부장치로의 다운로드 시간을 T2라 하면, 전체적인 다운로드 시간을 T라 할 때 T = T1 +T2가 된다. 여기서, T1 및 T2에는 컨텐츠의 수신으로부터 각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저장장치로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포함된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해 MP3 플레이어와 같은 장치에 필요한 컨텐츠를 다운받는 현재의 방식은 사용자의 편의성, 다운로드 시간 등에 있어서 많음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다운로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에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전송받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서버장치20 : 사용자 단말기
30 : 외부장치40 : 통신망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다운로드경로를 설정받는 단계; (b)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및 (c) 전송받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다운로드경로를 확인하여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 및 상기 단말기에 연결가능한 외부장치로 선택적으로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텐츠의 다운로드 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다운로드경로에 따라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는 상기 서버장치와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통로의 역할만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며 다운로드 시간이 절약된다.
상기 (a)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대해 각각의 다운로드경로를 설정받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연결되는 외부장치의 종류에 해당되는 다운로드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각기 다른 컨텐츠를 필요로 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 각각에 필요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통신부;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외부장치가 연결되며 상기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외부장치연결부; 다운로드된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다운로드경로의 설정상태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외부장치로 선택적으로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부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다운로드환경에 따라 수신한 컨텐츠의 저장경로를 절환함으로써 다운로드시 사용자의 입력과정이 필요없으며 다운로드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는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출부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가 능동적으로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20)는 통신부(21), 스위칭부(22), 저장부(23), 제어부(24), 외부장치연결부(25), 검출부(26) 및 중계부(27)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20)는 컴퓨터, PDA, 핸드폰 등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20)는 컴퓨터이고 외부장치(30)는 MP3 플레이어인 경우를 예로들어 기술한다.
통신부(21)는 통신망(40)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장치(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통신부(21)는 랜카드, 모뎀 등의 통신수단이 될 수 있으며, 통신망(40)은 인터넷뿐만아니라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 및 무선데이터 통신망 등의 유무선 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다.
스위칭부(2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다운로드경로에 따라 수신한 컨텐츠의 저장경로를 절환한다. 스위칭부(22)의 동작은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칭부(22)는 논리소자 등을 이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위칭부(22)는 통신부(21)의 수신단과 외부장치연결부(25)의 송신단을 정합시키는 중계부(27)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중계부(27)는 스위칭부(22)와 외부장치연결부(25) 사이에 위치하는 등 스위칭부(22)의 후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중계부(27)를 구비함으로써 통신부(21)의 수신단 및 외부장치연결부(25)의 송신단의 데이터 전송방식이 다른 경우(예를 들면, 통신부의 수신단은 직렬포트이고 외부장치연결부의 송신단은 병렬포트인 경우)에도 컨텐츠의 전송이 가능하다.
저장부(23)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자기테이프, 광디스크 등의 전기적, 자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이다. 저장부(23)에는 수신된 컨텐츠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3)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대한 다운로드경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다운로드경로는 컴퓨터(20)에 별도로 구비된 메모리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외부장치연결부(25)는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 USB), 병렬포트 등 컴퓨터에 구비되어 외부장치가 연결되는 장치이다. 서버장치(10)로부터 다운로드된 컨텐츠는 외부장치연결부(25)을 통해 MP3 플레이어(30)로 전송된다.
제어부(24)는 상기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경로에 따라 스위칭부(22)의 절환을 제어하여 다운로드된 파일을 저장부(23)에 저장하거나 통신부(21)와 외부장치연결부(25)을 직접 연결하여 다운로드된 파일을 MP3 플레이어(30)로 직접 다운로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4)는 저장부(23)로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MP3 플레이어(30)로 전송하는 경우에 MP3 플레이어(3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제어부(24)는 MP3 플레이어(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만, 제어부(24)의 기능 중에서 MP3 플레이어(30)의 동작제어 및 MP3 플레이어(30)와의 데이터 송수신제어는 별도로 구비된 장치제어부(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제어부는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20)는 외부장치(30)의 연결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2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부(26)는 외부장치(30)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4)로 외부장치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외부장치(30)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외부장치(30)는 전자도서 등 일정한 형식의 파일을 재생, 편집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20)에 착탈가능한 장치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20)에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30)에 대한 다운로드경로를 설정한다(S300). 상기 다운로드경로는 외부장치(30)의 명칭,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저장위치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다운로드경로는 컴퓨터(20)의 저장부(23) 또는 컴퓨터(20)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장치(10)에 접속하여 외부장치(30)에 저장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다운로드여부를 결정한다(S310).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으면, 제어부(24)는 외부장치(30)가 연결되어 있는가를 확인한다(S320). 외부장치(30)의 연결여부는 외부장치(30)로부터 제어부(24)로전송되는 확인신호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검출부(26)로부터 제어부(24)로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의해 확인될 수도 있다.
외부장치(3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전송받은 컨텐츠를 저장부(23)에 저장하고 다운로드 과정을 종료한다(S380). 이와 달리, 외부장치(30)가 외부장치연결부(25)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4)는 연결된 외부장치(30)의 종류에 따른 상기 다운로드경로를 확인하여(S330) 상기 다운로드경로에 따라 스위칭부(23)를 제어한다.
상기 다운로드경로가 서버장치(10)로부터 외부장치(30)로 직접 다운로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스위칭부(23)는 제어부(24)의 제어신호에 따라 랜카드 등 통신부(21)의 데이터수신단을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 USB) 등 외부장치연결부(25)의 데이터송신단에 연결한다. 이에 의해 컨텐츠는 외부장치(30)로 직접 다운로드된다(S340).
이와 달리, 상기 다운로드경로가 서버장치(10)로부터 검퓨터(20)의 저장부(23)로 다운로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제어부(24)는 스위칭부(22)를 제어하여 다운로드된 컨텐츠가 저장부(23)에 저장되도록 한다(S350). 이때, 통신부(21)를 통해 다운로드된 컨텐츠는 스위칭부(22)를 거쳐 제어부(2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23)에 저장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저장부(23)에 저장된 컨텐츠를 외부장치(30)로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가 입력되면(S360), 제어부(24)는 외부장치(30)를 제어하여 저장부(23)에 저장된 컨텐츠를 외부장치(30)에 저장하도록 한다(S370).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미리 컨텐츠의 다운로드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컴퓨터에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지 않고 곧바로 외부장치에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장치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 사용자에 의한 입력과정이 필요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또한 사용자의 컴퓨터는 스위치의 역할만 수행하게 되므로 컨텐츠의 다운로드 속도가 서버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율 및 사용자 단말기와 외부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율 중 느린 것에만 종속되어 전체적인 다운로드 시간이 짧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a)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다운로드경로를 설정받는 단계;
    (b)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및
    (c) 전송받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다운로드경로를 확인하여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 및 상기 단말기에 연결가능한 외부장치로 선택적으로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상기 외부장치 각각에 대한 다운로드경로를 설정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장치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다운로드경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4.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통신부;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외부장치가 연결되며 상기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외부장치연결부;
    다운로드된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다운로드경로의 설정상태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수신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외부장치로 선택적으로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의 수신단과 상기 외부장치연결부의 송신단을 정합시키는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장치.
KR1020010029146A 2001-05-25 2001-05-25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KR20020090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146A KR20020090024A (ko) 2001-05-25 2001-05-25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146A KR20020090024A (ko) 2001-05-25 2001-05-25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024A true KR20020090024A (ko) 2002-11-30

Family

ID=2770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146A KR20020090024A (ko) 2001-05-25 2001-05-25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00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946B1 (ko) * 2006-04-06 2008-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서버 및 그의 컨텐츠 관리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585A (ko) * 1998-12-01 2000-07-05 김영환 피씨엠씨아이에이 카드
JP2000222160A (ja) * 1999-01-29 2000-08-11 Ricoh Co Ltd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システム、画像出力方法およびその方法の各工程としてコンピュータ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10016060A (ko) * 2000-10-20 2001-03-05 김용환 착용형, 휴대용, 고정형 출력장치를 위한 다이내믹인터페이스기술 및 활용방법
KR20010039297A (ko) * 1999-10-29 2001-05-15 이계철 그룹핑을 이용한 파일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
KR20020033895A (ko) * 2000-10-30 2002-05-08 구자홍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악파일 하향 기록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585A (ko) * 1998-12-01 2000-07-05 김영환 피씨엠씨아이에이 카드
JP2000222160A (ja) * 1999-01-29 2000-08-11 Ricoh Co Ltd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システム、画像出力方法およびその方法の各工程としてコンピュータ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10039297A (ko) * 1999-10-29 2001-05-15 이계철 그룹핑을 이용한 파일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
KR20010016060A (ko) * 2000-10-20 2001-03-05 김용환 착용형, 휴대용, 고정형 출력장치를 위한 다이내믹인터페이스기술 및 활용방법
KR20020033895A (ko) * 2000-10-30 2002-05-08 구자홍 인터넷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악파일 하향 기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946B1 (ko) * 2006-04-06 2008-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서버 및 그의 컨텐츠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0569A1 (en) Cellular phone and portable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19990073234A (ko) 엠피3데이터의송수신장치
JP2005526407A (ja) 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装置
CN1378682A (zh) 组合无线电话和带有话音命令的远程控制器
KR1007849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020090024A (ko)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JP4497587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メッセージ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2002176456A (ja) 電子機器および情報更新方法
KR2001000872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문자 폰트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KR10114713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컴퓨터 연결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679629B1 (ko) 휴대용 저장장치,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데이터변환방법 및 전송방법
KR100574459B1 (ko) 무선 개인 영역 망 기술이 적용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US8781406B2 (en) Receiving apparatus
JP2001313690A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0391099B1 (ko) 휴대단말기의 외장 키보드 제어방법
JP4907900B2 (ja) 接続装置及び接続方法
JP2003091502A (ja) データ通信装置
KR1004521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JP2002055887A (ja) 伝送制御装置及び伝送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3365288B2 (ja) バッファ装置
KR100365343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데이터 송수신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343192B1 (ko) 휴대용 플레이어의 외부 인터페이스방법 및 장치
KR100588361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저장장치
JP4227949B2 (ja) 電話機および電話機の制御プログラム書き換え方法
JP2002366264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