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4Y1 - 엘리베이터도어용가이드레일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도어용가이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4Y1
KR200200894Y1 KR2019980002680U KR19980002680U KR200200894Y1 KR 200200894 Y1 KR200200894 Y1 KR 200200894Y1 KR 2019980002680 U KR2019980002680 U KR 2019980002680U KR 19980002680 U KR19980002680 U KR 19980002680U KR 200200894 Y1 KR200200894 Y1 KR 200200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door
rail
elevato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715U (ko
Inventor
김홍걸
Original Assignee
김홍걸
주식회사미륭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걸, 주식회사미륭산업 filed Critical 김홍걸
Priority to KR2019980002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9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7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여용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식성과 내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단가를 저하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도어(20) 하단의 롤러(20a)가 끼워저 슬라이드되도록 일측 길이방향으로 레일홈(70a)이 굴곡 형성되고 상면에 미끄럼방지홈(70b)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스틸재의 상측가이드레일(70)과,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70)의 하부에서 이중압출되어 각각의 양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적정간격으로 천공된 정면과 저면 내측에 너트(90)가 고정된 강재의 하츨가이드레일(80)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을 제공함으로써,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상측가이드레일의 부식을 방지하여 가이드레일의 외관을 향상시키고 도어의 슬라이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단가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여용 가이드레일
본 고안은 엘리베이트 도어용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용 도어 하단의 롤러가 슬라이드되는 가이드레일의 설계를 개선하여 쉽게 부식되지 않는 내식성과 내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제작하기 용이하고 그 제작단가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재질의 상측가이드레일과 스탤재질의 하측가이드레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승객이 원하는 층으로 승, 하강될 경우 출입구에 장착된 도어는 좌, 우 방향으로 자동 개폐되어 승객이 편리하게 승, 하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도어의 슬라이드 부위인 도어개폐부의 저면에는 도어 하단의 롤러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이 도어의 개폐방향으로 고정 설치 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의 통상적인 구조를 첨부된 도1에 의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이드레일(R)은 상면 일측에 레일홈(R-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소정 형상의 단일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상기 가이드레일(R)은 엘리베이터용 도어(미도시)의 개폐시 도어 하단부에 설치된 롤러(미도시)가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도어가 개폐되는 부위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R)의 구성은 대부분 알루미늄합금(alumium alloy)으로 압출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일부품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R)은 압출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가이드레일(R)을 구성하는 알루미늄합금은 가격이 매우 높아 제품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쉽게 부식되지 않는 내식성과 내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단가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설계가 개선된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엘리베이터용 도어 하단의 슬라이드 부위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사단에 구비된 롤러가 끼워져 슬라이드 되도록 일측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굴곡 형성되고 상면에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스틸재의 상측가이드레일과, 상기 상측가이드레일의 하부에서 이중압출 되어 각각의 양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적정간격으로 천공된 정면과 저면 내측에 너트가 고정된 강재의 하측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을 제공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제1도는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도어 20a : 롤러
50a : 정면브라켓 50b : 저면브라켓
70 : 상측가이드레일 70a : 레일홈
70b : 미끄럼방지홈 70c : 하향굴곡단
80 :하측가이드레일 80a : 상향굴곡단
90 : 너트 100 : 가이드레일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2, 도3,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도어(20) 하단의 슬라이드 부위에 설치되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은 상기 도어(20)의 하단에 구비된 롤러(20a)가 끼워겨 슬라이드되도록 일측 길이방향으로 레일홈(70a)이 굴곡 형성되고 상면에 미끄럼방지홈(70b)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재의 상측가이드레일(70)과, 상기 상측가이드레일(70)의 하부에서 이중압출되어 각각의 양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적정간격으로 천공된 정면과 저면 내측에 너트(90)가 고정된 강재의 하측가이드레일(8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100)을 이루는 상측가이드레일(70)과 하측가이드레일(80)의 결합은 다양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는데, 그 일례를 들면 첨부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가이드레일(70)과 하측가이드레일(80)은 이중압출되어 각각의 양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이때 상기 상측가이드레일(70)의 양단부에는 하향으로 굴곡 형성된 하향굴곡단(70c)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가이드레일(80)의 양단부에는 상기 하향굴곡단(70c)과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상향으로 굴곡 형성된 상향굴곡단(80a)이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홈(70b)은 도어(20)가 개폐되어 엘리베이터에 승, 하차하는 승객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측가이드레일(70)의 상면에 적정간격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요입 형성된다.
상기 너트(90)는 첨부된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정면브라켓(50a)과 저면브라켓(50b)에 각각 볼팅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면브라켓(50a)과 저면브라켓(50b)은 상측가이드레일(70)과 하측가이드레일(80)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100)이 엘리베이터용 도어(20) 하단의 슬라이드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보조한다. 한편, 상기 너트(90)는 웰드너트(weld-nut) 또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압입방식의 팝너트(Pop-nut)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가이드레일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설치 및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테인레스 스틸재의 상측가이드레일(70)과 강재의 하측가이드레일(80)을 이중압출하게 되면 상측가이드레일(70)의 양단부에 하향으로 굴곡진 하향굴곡단(70c)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가이드레일(80)의 양단부에 상향으로 굴곡진 상향굴곡단(80a)이 형성되면서 상기 하향굴곡단(70c)과 상향굴곡단(80a)은 서로 맞물리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상측가이드레일(70)과 하측가이드레일(80)의 양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레일(70)의 하부에 하측가이드레일(80)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측가이드레일(70)은 엘리베이터용 도어(20) 하단에 구비된 롤러(20a)가 끼워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일측 길이방향으로 레일홈(70a)이 굴곡 형성되고 상면에 미끄럼방지홈(70b)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하측가이드레일(80)은 그 정면과 저면에 적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천공된 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측가이드레일(80)의 정면과 저면에 형성된 천공부위를 통하여 너트(90)를 적정외력으로 압입하여, 상기 하측가이드레일(80)의 정면과 저면 내부에 복수개의 너트(90)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첨부된 도면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의 구성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의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을 도어(20) 하단의 슬라이드 부위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하측가이드레일(80)의 정면 내부에 고정된 너트(90)를 통하여 복수개의 정면브라켓(50a)을 하측가이드레일(80)의 정면에 이격되게 볼팅 결합하고, 그리고 상기 하측가이드레일(80)의 저면 내부에 고정된 너트(90)를 통하여 복수개의 저면브라켓(50b)을 하측가이드레일(80)의 저면에 이격되게 볼팅 결합시킴으로써 첨부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시킨 후, 상기 가이드레일(100)에 엘리베이터용 도어(20) 하단의 슬라이드 부위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가이드레일(100)에 견고하게 볼팅 결합된 정면브라켓(50a)과 저면브라켓(50b)을 주위의 접면부위에 볼팅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도어(20)의 하단에 구비된 롤러(20a)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도어(20)의 하단이 슬라이드되는 가이드레일(100)을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재의 상측가이드레일(70)과 그 하부에서 이중압출되어 양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강재의 하측가이드레일(80)로 구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측가이드레일과 하측가이드레일로 이중 구성하되,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도어의 하단부가 슬라이드되는 상측가이드레일은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함에 따라 부식이 방지되어 가이드레일의 외관을 향상시키고 도어의 원활한 슬라이드를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측가이드레일의 하부에는 강재로 구성된 하측가이드레일이 결합되어 있어 가이드레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강재로 이루어진 상측가이드레일과 하측가이드레일은 그 제작이 용이하고 자재비용이 낮아 가이드레일의 제작단가를 저하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용 도어(20) 하단의 슬라이드 부위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20) 하단의 롤러(20a)가 끼워저 슬라이드 되도록 일측 길이방향으로 레일홈(70a)이 굴곡 형성되고 상면에 미끄럼방지홈(70b)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스틸재의 상측가이드레일(70)과, 상기 상측가이드레일(70)의 하부에서 이중압축되어 각각의 양단부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적정간격으로 천공된 정면과 저면 내측에 너트(90)가 고정된 강재의 하측가이드레일(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용 가이드레일.
KR2019980002680U 1998-02-27 1998-02-27 엘리베이터도어용가이드레일 KR200200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680U KR200200894Y1 (ko) 1998-02-27 1998-02-27 엘리베이터도어용가이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680U KR200200894Y1 (ko) 1998-02-27 1998-02-27 엘리베이터도어용가이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715U KR19990036715U (ko) 1999-09-27
KR200200894Y1 true KR200200894Y1 (ko) 2000-11-01

Family

ID=1953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680U KR200200894Y1 (ko) 1998-02-27 1998-02-27 엘리베이터도어용가이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62Y1 (ko) * 2009-02-27 2012-05-04 신양건 엘리베이터 스크린 도어 슬라이딩 안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62Y1 (ko) * 2009-02-27 2012-05-04 신양건 엘리베이터 스크린 도어 슬라이딩 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715U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4808B1 (en) Anti-derailment device for lift or elevator door leaves
WO1997027377A1 (en) Flexible glass run with rigid molded support
DE102016001243A1 (de) Fahrzeugtür
KR200200894Y1 (ko) 엘리베이터도어용가이드레일
DE29920358U1 (de) Stoßfugenelement für Fassadenplatten
JP7201593B2 (ja) 窓ステー
KR20100106084A (ko) 롤 성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 가이드레일의 제조방법 및 그 가이드레일
US20050072053A1 (en) Seal and molding assembly
US6263948B1 (en) Bottom bracket for upward acting door
JP3925972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ー装置
US20140190085A1 (en) Vertically Sliding Door Assembly
DE10064100B4 (de) Abweiser für Fahrtreppe oder Fahrsteig
KR200454487Y1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발판부재
DE20208883U1 (de) Fahrtreppe oder Fahrsteig
JP4828900B2 (ja) シャッタ装置
EP1076149A3 (de) Torblatt eines Decken- oder Seitensektionaltors
EP0953709A3 (de) Türschwelle und Sockelprofil zum Zusammenwirken mit der Türschwelle
JPS5831956Y2 (ja) パイプシヤツタの施錠装置
CN212559049U (zh) 一种电梯层门地坎
KR200384719Y1 (ko) 미닫이 도어용 프레임장치
KR10181040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JPS60226991A (ja) 上梯子の固定装置
US20060070707A1 (en) Longitudinal frame member and spline
CN115703614A (zh) 一种层门及升降设备
KR200255875Y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스테빌라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