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706A -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706A
KR20020088706A KR1020010027557A KR20010027557A KR20020088706A KR 20020088706 A KR20020088706 A KR 20020088706A KR 1020010027557 A KR1020010027557 A KR 1020010027557A KR 20010027557 A KR20010027557 A KR 20010027557A KR 20020088706 A KR20020088706 A KR 20020088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mbling code
channel
code
mobile st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9698B1 (ko
Inventor
하상욱
김덕경
이동학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6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djustment in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방식 이동 통신 무선망에 있어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동기 방식이 적용될 경우 역방향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지국에서의 기준 시점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을 P-CCPCH 프레임의 경계(31)로부터 'n×256칩+Tref, (n=0∼149)'(Tref는 USTS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시간 지연을 보상해 주기 위한 파라미터 값) 만큼 뒤의 시점으로 설정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제공되는 해당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 정보량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스크램블링 코드의 경계와 채널 코드의 경계를 상호 일치 할 수 있도록 해주어 최적의 역방향 동기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A method for determining reference time of scrambling code to support USTS in W-CDMA system}
본 발명은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동기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방식 이동 통신 무선망에 있어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동기 방식이 적용될 경우 역방향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지국에서의 기준 시점 및 이에 따른 각 이동국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이동 통신 망에서 이동국과 기지국간에 생성되는 통화 로(路)는 순방향 채널과 역방향 채널이 있다.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전송되는 순방향 채널의 경우, 한 기지국 내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채널들은 서로 동기화가 되어있어 각 채널간 직교(orthogonality) 특성의 직교 코드를 이용하여 복조(Decoding)시 채널간 간섭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역방향 채널의 경우 이동국의 위치와 전송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비동기 형태로 동작되며 직교 특성을 이용할 수 없어 이동국의 채널이 증가함에 따라 역방향의 간섭이 증가하고 용량이 제한된다.
역방향의 경우도 이동국에서의 송신 시점을 조정하여 역방향의 채널들 사이에 동기화가 되도록 하고, 여러 개의 이동국이 같은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고채널의 구분은 직교 코드로 하여 채널들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 방법을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Uplink Synchronous Transmission Scheme : 이하 USTS)이라 한다.
USTS 기술에서는 역방향 채널에서 여러 이동국들이 같은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할 때 채널 코드간의 직교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이 기지국에서 약속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기준으로 이동국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와 전송 프레임과의 옵셋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USTS 라 함은, 한 기지국 셀 내의 다수의 이동국(UE)의 송신 시점을 해당 기지국(Node B)이 관리하는 기준 시간에 맞춰서 역방향 채널간 직교성(orthogonality)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 셀 내의 이동국은 역방향 채널을 이용하여 호 접속을 시도하고 기지국은 신호의 왕복 전파 지연(round trip propagation delay)을 측정하여 기준 시간과 호 접속을 시도한 이동국의 프레임 시작 시간 사이의 시간 차이를 구한다. 이는 이동국에 착신되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기지국이 계산에 의해서 기준 시간과의 시간 차이를 알려준다. 이 시간 옵셋 정보를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알려줌으로써 이동국은 기지국이 보유한 기준 시간에 기지국에 수신되도록 송신 채널 내의 프레임 송신 시점을 맞추게 된다. 통화 중에도 지속적인 시간 옵셋의 측정과 이동국으로의 전달 및 이동국에서의 송신 시점의 조정을 통해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신호 도착 시점은 기준 시간에 맞춰진다. 동일 기지국 내에서 통화를 시도한 다른 이동국들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기지국이 보유한 고유한 기준 시간에 비교한 시간 차이를 통보받아서 기지국의 기준 시간에 프레임 기준 시간을 맞춘다.
이와 같은 USTS는 현재 비동기 방식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즉, 비동기 W-CDMA 시스템에 대한 표준화 작업에서 검토되고 있는 방식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링크에 대해 기지국 수신기에서의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이동국에서의 신호 전송 시점을 조정하는 기술이다. 즉, 단일 셀내에 불규칙하게 위치하는 이동국은 해당 기지국에 대하여 각기 다른 거리를 가지게 되므로 신호의 전파지연도 다르게 되고,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에서 코드의 직교 특성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으면 전송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바, 이를 고려하여 역방향 링크에 대해 적용한 기술이 USTS이다. 역방향 링크에 대해 각 이동국에서의 데이터 전송시간을 전파지연 만큼을 추가로 조정하면, 기지국 수신기에 신호가 수신되는 타이밍에 대한 동기화가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코드의 직교 특성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비동기 W-CDMA 시스템에서 USTS가 적용되는 경우 이동국과 기지국은 스크램블링 코드와 채널 코드의 두 가지 코드를 사용하는 바, 스크램블링 코드는 이웃하는 기지국 간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고 채널 코드는 이동국 간의 채널을 구분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동일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하는 이동국들은 채널 코드의 직교성에 의해서 간섭이 제거된다.
현재, 일반적인 비동기 W-CDMA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순방향 링크(downlink)전용 채널의 구조는 도 1 과 같은 바,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W-CDMA 시스템의 전용 채널에서는 각 라디오 프레임에 대한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 이하 SFN)(Frame n-1, Frame n, Frame n+1, Frame n+2)가 0∼4096칩 단위로 반복되어지고 또한 이에 대응하여 커넥션 프레임 번호(Connection Frame Nember : 이하 CFN)가 256칩 단위로 반복되어지며, 각 SFN(또는 CFN) 간의 간격 즉,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의 길이는 10ms 로서, 이와 같은 SFN에 근거하여 망과 단말기 사이에서 동기를 맞추고 있다.
즉, 순방향(또는 다운링크라 함) 전용 채널(Downlink DPCH)에서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One Radio Frame) 길이는 10ms이고 15개의 서브 슬롯(slot#0 ∼ slot#14)들로 구성되므로, 이러한 비동기 W-CDMA 시스템의 전용 채널 구조에서 USTS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20ms 주기(즉, 두 개의 라디오 프레임 당 하나)로 USTS의 타이밍 적응을 위한 시간 옵셋 정보로서의 타임 얼라인먼트 비트(Time Alignment Bit : 이하 TAB) 정보를, 해당 라디오 프레임에 실리는 전송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 TPC) 비트 대신에 펀처링하여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TAB 정보를 수신한 이동국은 그 수신된 TAB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타이밍 적응을 수행함으로서 역방향에 대한 동기를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TAB 비트가 “0”일 경우, 이동국에서의 역방향 링크(Uplink) 전송을 1/4 칩 만큼 지연하여 전송하도록 하며, TAB 비트가 “1”일 경우에는 역방향 링크 전송을 1/4 칩 만큼 앞당겨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를 타이밍 트래킹이라 한다.
한편, USTS가 적용된 비동기 W-CDMA 시스템에서 채널 코드의 직교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256 칩(chip) 주기로 반복되는 채널 코드 뿐만 아니라 38400 칩(≒ 10ms) 주기로 반복되는 스크램블링 코드의 동기도 일치하여야 한다. 즉, 역방향 링크 신호가 기지국 수신기에 도달하는 순간에 동일 셀 내의 모든 이동국의 역방향 링크 신호의 스크램블링 코드는 동일하여야 하며 시간 축 상에서 정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전파지연 뿐만 아니라 순방향 채널의 전송시점을 고려하여, 이동국이 전송할 신호가 기지국 수신기에 도달하는 시간에 대한 예측과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을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도 2는 USTS 기술이 적용된 경우에 대해 기지국 수신기에서 2 개의 이동국(UE1,UE2)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신호의 수신 타이밍도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동 도면에서, 제 1 이동국(UE1)의 전용 채널(DPCH1)과 제 2 이동국(UE2)의 전용 채널(DPCH 2) 간에, 256 칩 주기로 반복되는 제 1 채널 코드(a0∼a255)와 제 2 채널 코드(b0∼b255)는 초기 타이밍 설정 과정 및 TAB에 의한 타이밍 트래킹을 수행하여 a0 와 b0 시점에서 동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나, 38400 칩 단위로 반복되는 스크램블링 코드(S0∼S38399)는 256×20 칩 만큼 어긋나 옵셋이 발생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TAB에 의한 타이밍 조정을 수행한다 하더라도 역방향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은 존재하게 되므로, 코드의 직교 특성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의 완전한 동기를 위해서는 기지국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을 셀내의 모든 이동국에 대해 동일하게 조정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을 계산할 수 있어야 하며,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을 계산하기위해서는 스크램블링 코드에 대한 임의의 기준 시점에 대한 설정이 필요하다.
즉,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이란 스크램블링 코드의 시작 경계와 역방향 채널 프레임 시작점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은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에 따라 차이가 나게되고, 이와 같은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은 적절한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비동기 W-CDMA 시스템에 USTS 기술을 적용할 시 스크램블링 코드의 동기를 위한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 계산을 위하여 가장 최적의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에 대한 결정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USUS가 적용된 비동기 W-CDMA 시스템에 있어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에 대한 최적의 결정 방법을 제공하토록 하되,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제공되는 해당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 정보량을 최소화도록 하는,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비동기 W-CDMA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순방향 링크 전용 채널의 구조도이고,
도 2는 기지국 수신기에서 2 개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신호의 수신 타이밍도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타이밍도로서, USTS로 동작할 때의 기지국에서의 채널들 사이의 시간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과 스크램블링 코드가 재시작되는 시점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프라이머리 공통 제어 물리 채널 프레임의 경계
32 : 순방향 전용 채널 프레
33 : 역방향 전용 채널 프레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결정 방법은,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 기지국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순방향 공통 채널의 프레임 경계를 제 1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 1 기준점으로부터, 채널코드의 반복주기 값에 정수배를 취하고 여기에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시간 지연을 보상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칩 값을 합한 만큼의 뒤를 제 2 기준점으로 하되, 그 제 2 기준점을 해당 이동국에 대한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시점으로 결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방향 공통 채널은 프라이머리 공통 제어 물리 채널(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 P-CCPCH)이고, 상기 채널 코드의 반복주기는 256 칩이며,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의 반복주기는 38400 칩이며, 상기 정수는 0 이상 149 이하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배경 설명에서 전술되었지만 USTS 기술에 대해 다시 한번 설명하면, USTS란 한 기지국 내의 다수의 이동국의 송신을 기지국이 관리하는 기준 시간에 맞추서 역방향 각 채널간 직교성(orthogonality)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기지국 셀 내의 첫 이동국은 역방향 채널을 이용하여 호 접속을 시도하고 기지국의 노드 B는 신호의 왕복 지연(round trip propagation delay)를 측정하여 기준 시간과 호 접속을 시도한 이동국의 프레임 시작시간사이의 시간 차이를 구한다. 이 시간 차이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알려줌으로써 이동국은 기지국이 보유한 기준시간에 송신채널내의 프레임 기준시간을 맞추게 된다. 통화 중에도 지속적으로 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이동국으로의 전달해 주고, 이동국은 이에 따라 송신 시점을 조정함으로써 이동국의 기지국도착 시점이 기준시간에 맞춰진다. 이때 이동국과 기지국은 스크램블링 코드와 채널 코드의 두 가지 코드를 사용하게 된다. 채널 코드는 이동국과 채널을 구분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같은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하는 이동국들은 채널 코드의 직교성에 의해서 간섭이 제거된다. 단 이 경우에도 역방향 스크램블링 코드는 기지국에 동기가 이루어져야 직교성이 보장되는데, USTS의 경우 역방향 채널 프레임의 경계는 이동국들 사이에서 256 칩(chip)의 배수가 되므로, 결국 각 이동국에는 역방향 채널 프레임과 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 경계 사이에서 옵셋이 생기게 된다. 이 옵셋은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을 기지국에서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달려 있으며, 이를 효과적을 정의해 줌으로써 좀 더 효율적으로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USTS가 적용되지 않은 일반적인 비동기식 W-CDMA에서는 각 이동국마다 자신의 고유 스크램블링 코드를 가지고 있고, 이 스크램블링 코드는 각 10ms의 프레임 경계와 일치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로서, USTS로 동작할 때의 기지국에서의 채널들 사이의 시간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동 도면을 보면, 기지국에는 순방향 공통 채널 중의 하나인 프라이머리 공통 제어 물리 채널(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 이하 P-CCPCH))을 가지고 있으며, 이 채널이 그 기지국의 기준 시간을 정의하게 된다.
순방향 전용 채널 프레임(DL DPCH frame)(32)의 경우, P-CCPCH 프레임의 경계(31)를 기준으로 τDPCH,n(n은 각 이동국에 대한 채널을 나타냄) 후에 그 프레임(32)이 시작되며, τDPCH,n값은 256 칩 단위로 각각의 이동국마다 다르게 설정된다. 즉, τDPCH,n값은 P-CCPCH 프레임의 경계(31) 시점과 순방향 전용 채널 프레임(32)의 송신 시점 간의 차이 값을 나타낸다.
역방향 전용 채널 프레임(UL DPCH frame)(33)의 경우, USTS로 동작하기 위해서 정해진 기준 시점에 맞추어 이동국에서 전송이 되며, 이 역방향 전용 채널 프레임(33)의 시작 시점은 기지국 관점에서 상기 P-CCPCH 프레임의 경계(31)로부터 'T0+Tref+τDPCH,n' 후가 된다. 여기서 T0는 기존의 방식에서 이동국의 순방향 채널 수신과 역방향 채널 송신 사이의 명목상의 시간 차이로 1024 칩으로 기설정되어 있고, Tref는 USTS에서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시간 지연을 보상해 주기 위한 파라미터 값으로 기지국마다 하나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역방향 전용 채널 프레임(33)의 시작 시점은 T0와 Tref 값은고정값이므로 변수값인 τDPCH,n값에 따라 각각의 이동국마다 다르게 되며, 각 이동국 즉, 각 채널마다 256 칩 간격을 가지게 된다. 이는 역방향 채널에서 사용되는 채널 코드의 최대 길이는 256 칩(채널 코드는 256칩 주기로 반복됨)이므로 각 역방향 전용 채널 프레임간의 채널 직교성을 만족시키는데 아무 문제가 없음을 의미한다.
역방향 스크램블링 코드는 10ms(=38400 칩)의 주기를 가지고 반복된다. 역방향에서 직교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각 이동국이 같은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해야 하고, 기지국 관점에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역방향 전용 채널 프레임의 스크램블링 코드는 동일 시점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술된 바와 같이 각 이동국의 전용채널 즉, 순방향 전용 채널 프레임(32)은 P-CCPCH 경계(31)로부터 전송 시점이 τDPCH,n만큼 지연이 되므로, 기지국에 수신된 역방향 전용 채널 프레임(33) 경계도 각 이동국들 간에 256 칩의 배수만큼 차이가 나게 된다.
기존의 W-CDMA 방식에서는 역방향 채널이 비동기로 동작을 하였기 때문에 역방향 채널의 프레임과 스크램블링 코드의 주기가 일치되어 있었지만, USTS에서는 그 둘 사이에 이동국 고유의 옵셋이 생기게 그 옵셋을 계산할 수 있어야 스크램블링 코드의 동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 옵셋은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을 어떻게 정해 주느냐에 따라 결정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을 P-CCPCH 프레임의 경계(31)로 정하거나 또는 그 P-CCPCH 프레임의 경계(31)로부터 'n×256칩+Tref, (n=0∼149)' 만큼 뒤의 시점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도 3에서, D1은 기지국에서의 어느 한 단말기에 대한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을 'T0+Tref' 으로 정해준 경우(즉, n=4의 경우)의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이다. 이 경우 해당 이동국의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은 τDPCH,n(=D1)이 되고, 이 값은 호 설정 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알려주게되어 이동국에서 알게되는 값이므로 USTS 적용 시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을 계산을 위한 정보로 별도로 알려줄 필요가 없다.
단, 소프트 핸드오프의 경우 새로운 기지국에게 이 값을 알려 줄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8 비트(bit)의 정보만으로 해당 이동국의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τDPCH,n이 256 칩의 배수값이므로, 역방향 전용 채널 프레임의 경계와 스크램블링 코드의 경계가 모두 256 칩의 배수만큼 차이가 나게 되고, 따라서 스크램블링 코드의 경계와 채널 코드의 경계가 상호 일치하게 된다.
한편, 상술된 일 예와 같이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이 n=4가 아닌 다른 경우에도,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은 τDPCH,n에 의해서만 결정이 되므로 위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이 된다.
도 3에서, D2는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의 결정 시 상술된 본 발명의 일예에서와 같이 Tref 값을 고려하지 않고( 즉, P-CCPCH 프레임의 경계로부터 'n×256칩+Tref, (n=0∼149)' 만큼 뒤의 시점으로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을결정치 않고) P-CCPCH의 프레임 경계(31)로만 정해준 경우의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인데, 이 경우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은 Tref와 τDPCH,n두 개의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이 되므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 정보를 알려 주기 위해서 더 많은 양의 비트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두 가지의 방안 중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전달 정보량을 줄이기 위해 전자의 방안 즉, P-CCPCH 프레임의 경계로부터 'n×256칩+Tref, (n=0∼149)' 만큼 뒤의 시점으로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을 결정토록 한다.
도 4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을 P-CCPCH 프레임의 경계로부터 'n×256칩+Tref(n=4) 만큼 뒤의 시점 즉, 'T0+Tref' 로 할 때,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과 스크램블링 코드가 재시작되는 시점과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동 도면에서, 역방향 채널 프레임(UL DPCH frame)(42)이 스크램블링 코드(41)의 경계(41a)로부터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 τDPCH,n만큼 지연되어 시작되고, 한 프레임에는 38400개의 칩들이 있으므로, 스크램블링 코드를 재시작하는 시점(reset point)(43)은 '38400 칩 - 스크램블링 코드 옵셋' 즉, '38400 칩 - τDPCH,n' 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국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의 재시작 시점 또한 τDPCH,n에 의해서만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에 의하면, USTS가 적용된 비동기 W-CDMA 시스템에 있어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에 대한 최적의 결정 방법을 제공하되,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제공되는 해당 스크램블링 코드의 옵셋 정보량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스크램블링 코드의 경계와 채널 코드의 경계를 상호 일치 할 수 있도록 해주어 최적의 역방향 동기를 구현하는 효과가 창출된다.

Claims (3)

  1.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 기지국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 시점 결정 방법에 있어서,
    순방향 공통 채널의 프레임 경계를 제 1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 1 기준점으로부터, 채널코드의 반복주기 값에 정수배를 취하고 여기에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시간 지연을 보상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칩 값을 합한 만큼의 뒤를 제 2 기준점으로 하되, 그 제 2 기준점을 해당 이동국에 대한 스크램블링 코드의 기준시점으로 결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공통 채널은 프라이머리 공통 제어 물리 채널(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 P-CCP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코드의 반복주기는 256 칩이고,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의 반복주기는 38400 칩이며, 상기 정수는 0 이상 149 이하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
KR10-2001-0027557A 2001-05-21 2001-05-21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 KR100379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557A KR100379698B1 (ko) 2001-05-21 2001-05-21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557A KR100379698B1 (ko) 2001-05-21 2001-05-21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706A true KR20020088706A (ko) 2002-11-29
KR100379698B1 KR100379698B1 (ko) 2003-04-10

Family

ID=2770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557A KR100379698B1 (ko) 2001-05-21 2001-05-21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503B1 (ko) * 2003-02-18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리전송채널 구조 및 그 물리전송채널의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1771B (zh) * 2018-01-05 2020-07-1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信息传输方法、基站及网络管理单元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503B1 (ko) * 2003-02-18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리전송채널 구조 및 그 물리전송채널의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9698B1 (ko) 200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7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adjustment for uplink synchronous transmission in 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JP3730217B2 (ja) 符号分割多重接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同期伝送方式の同期化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7647060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ing transmission timing control
EP1458126B1 (en) Methods for synchronizing in a wide 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012948B2 (en) Method for assigning codes in uplink of synchronous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US6516007B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reverse link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synchronous reverse link
WO2006110774A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uplink synchronization
WO2001067620A2 (en) Uplink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in tdd systems
KR100379698B1 (ko)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
EP1211907A1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channel assignment method
JP2000286784A (ja) 無線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392645B1 (ko) 역방향 동기 전송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송 타이밍제어 방법
KR100382152B1 (ko)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조정 방법
KR100735398B1 (ko) 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역방향 동기 전송방식에 대한 동기화를 위한 방법
KR2000006135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반경 확장 장치 및 방법
KR100378888B1 (ko)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비동기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역방향 스크램블링 코드 동기 방법
KR20020069317A (ko) 차세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동기 전송을위한 타이밍 적응 방법
JP2002165263A (ja) 時分割多重(tdd)タイプの移動体システムによる通信システムの同期化タイムスロット間に同期化信号を送信する方法
KR100394038B1 (ko)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을 위한 역방향 동기전송 방식의 광역 셀 적용 방법
KR100465297B1 (ko)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의 신호 수신 방법
GB2375692A (en) Synchronising base stations in 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619358B1 (ko)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 오프 방법
KR20020043799A (ko) 비동기 방식의 업링크 동기식 전송방식 시스템의 tab전송 방법
KR20030045929A (ko) Ds-cdma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타이밍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