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152B1 -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152B1
KR100382152B1 KR10-2001-0036411A KR20010036411A KR100382152B1 KR 100382152 B1 KR100382152 B1 KR 100382152B1 KR 20010036411 A KR20010036411 A KR 20010036411A KR 100382152 B1 KR100382152 B1 KR 100382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usts
channel signal
revers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634A (ko
Inventor
하상욱
김덕경
이동학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15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시스템에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USTS)을 적용하고서, USTS 적용 셀 또는 USTS 비적용 일반 셀 등의 주변 셀로부터 USTS가 적용된 목표 셀로의 핸드오프 시, 해당 단말기가 해당 목표 셀에서 정상적인 USTS 모드로 동작토록 하기 위한 필수 조건인 시간 동기를 획득토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120)에서는 순방향 채널 신호의 전송 시점(121)으로부터 역방향 채널 신호의 수신 시점(122)시 까지의 시간인 왕복시간(RTT)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왕복시간(RTT), 이동 단말기(110)에서의 순방향 채널 신호 수신 시간(111)에 대한 역방향 채널 신호 송신 시간 사이의 값으로 기 설정된 시간 정보(T0) 및 역방향 채널 신호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기 설정된 동기 기준 시간(Tref)을 근거로,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역방향 채널 신호의 전송 시점에 대한 조정 시간 정보 Tc 를 "Tc = T0 + Tref - RTT"의 수식에 근거하여 계산한 후, "T0 + Tref"의 시점(123)을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해당 역방향 채널 신호(UL Frame 2)의 수신 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계산된 Tc 시간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기(110)에 제공하며; 이에 대응하여 단말기(110)에서는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전 역방향 채널 신호의 최종 전송 시점(112)에서 상기 제공된 Tc 시간 만큼 지연된 시점(113)을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상기 해당 역방향 채널 신호(UL Frame2)의 전송 시점으로 조정한다.

Description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Timing adjustment method for mode change of USTS in W-CDMA system}
본 발명은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의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시스템에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USTS)을 적용하고서, USTS 적용 셀 또는 USTS 비적용 일반 셀 등의 주변 셀로부터 USTS가 적용된 목표 셀로의 핸드오프 시, 해당 단말기가 해당 목표 셀에서 정상적인 USTS 모드로 동작토록 하기 위한 필수 조건인 시간 동기를 획득토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Uplink Synchronous Transmission Scheme : 이하 USTS)이라 함은, 한 기지국 내의 다수의 이동 단말기의 송신 시점을 기지국이 관리하는 기준 시간에 맞춰서 역방향 채널간 직교성(orthogonality)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 셀 내의 이동 단말기는 역방향 채널을 이용하여 호 접속을 시도하고 기지국은 신호의 왕복 지연(round trip propagation delay)을 측정하여 기준 시간과 호 접속을 시도한 이동 단말기의 프레임 시작 시간 사이의 시간 차이를 구한다. 이는 이동 단말기에 착신되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기지국이 계산에 의해서 기준 시간과의 시간 차이를 알려준다. 이 시간 옵셋 정보를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기로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알려줌으로써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이 보유한 기준 시간에 송신 채널 내의 프레임 송신 시점을 맞추게 된다. 통화 중에도 지속적인 시간 옵셋의 측정과 이동 단말기로의 전달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송신 시점의 조정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신호 도착 시점은 기준 시간에 맞춰진다. 동일 기지국 내에서 통화를 시도한 다른 이동 단말기들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기지국이 보유한 고유한 기준 시간에 비교한 시간 차이를 통보받아서 기지국의 기준 시간에 프레임 기준 시간을 맞춘다. 이때,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스크램블링 코드와 채널 코드의 두 가지 코드를 사용하게 된다. 채널 코드는 이동 단말기 간의 채널을 구분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동일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들은 채널 코드의 직교성에 의해서 간섭이 제거된다.
이와 같은 USTS는 현재 비동기 방식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한 표준화 작업에서 검토되고 있는 방식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링크에 대해 기지국 수신기에서의 수신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이동 단말기에서의 신호 전송 시점을 조정하는 기술이다. 즉, 단일 셀내에 불규칙하게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는 해당 기지국에 대하여 각기 다른 거리를 가지게 되므로 신호의 전파지연도 다르게 되고,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에서 코드의 직교 특성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으면 전송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바, 이를 고려하여 역방향 링크에 대해 적용한 기술이 USTS이다. 역방향 링크에 대해 각 이동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시간을 전파지연 만큼을 추가로 조정하면, 기지국 수신기에 신호가 수신되는 타이밍에 대한 동기화가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코드의직교 특성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USTS 모드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기지국에 대해서만 채널 및 시간에 대하여 동기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셀로의 핸드오프 시에는 그 목표 셀의 해당 기지국과의 타이밍 획득과 USTS로의 동작에 있어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W-CDMA 및/또는 IMT-2000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일반 모드(normal mode)(이는 USTS가 사용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의 모드를 지칭함)와 USTS 모드의 중간 개념으로 비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Non-USTS) 모드를 도입하여 핸드오프하는 방안들이 논의된 바 있다.
상기 논의된 Non-USTS 모드는 핸드오프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해 다이버시티 특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셀 A에 대해 USTS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가 인접한 셀 B와 중첩되는 핸드오프 영역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역방향 링크에 대해서는 상기 셀 B에서도 상기 셀 A에서와 동일한 스크램블링 코드와 채널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는 모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가 셀 A로 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직교 특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셀 B에 대해서는 직교 특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반면 이동 단말기의 수신기가 핸드오프 영역내에서 다이버시티 특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드오프 영역내의 해당 이동 단말기가 셀 A와는 USTS 모드로 동작하고 셀 B와는 Non-USTS모드로 동작토록 하며, 그 이동 단말기가 핸드오프 영역을 지나 상기 셀 B의 영역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셀 A와의 링크는 삭제하고 셀 B와의 링크에 대해서 USTS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즉, 핸드오프 시 USTS가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각 모드로의 상태 변경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USTS가 적용되지 않는 셀에서 일반 모드로 동작하고 있던 이동 단말기가 USTS가 적용된 셀로의 이동 시에도, 해당 단말기가 USTS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상태 변경 과정(즉, 일반 모드에서 USTS 모드로의 상태 변경)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USTS 적용 셀 또는 USTS가 비적용된 일반 셀 등의 주변 셀로부터 USTS가 적용된 목표 셀로의 핸드오프 시, 해당 단말기가 해당 목표 셀에서 정상적인 USTS 모드로 상태 변경하여 동작토록 하기 위해서는, 해당 목표 셀에서 할당하는 스크램블링 코드와 채널 코드를 해당 이동 단말기가 역방향 채널에서 사용하도록 하여 채널 동기를 획득토록 해야 하는 조건 및 역방향 채널의 전송 시점을 조정하여 시간 동기를 획득토록 하는 조건을 반드시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의 W-CDMA 및/또는 IMT-2000에 USTS를 적용키 위해서는 상기 조건을 최적화하여 만족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USTS 적용 셀 또는 USTS 비적용 일반 셀 등의 주변 셀로부터 USTS가 적용된 목표 셀로의 핸드오프 시, 해당 단말기가 해당 목표 셀에서 정상적인 USTS 모드로 동작토록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건인 시간 동기를 최적화하여 획득하기 위한,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전송 시간 조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USTS가 적용된 W-CDMA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는 타이밍도로서, USTS 모드로의 모드 변경시 역방향 채널의 전송 시점을 지연시키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STS가 적용된 W-CDMA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는 타이밍도로서, USTS 모드로의 모드 변경시 역방향 채널의 전송 시점을 앞당기는 경우를 보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동 단말기 120 : 기지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USTS)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은,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USTS) 적용 셀 또는 USTS 비적용 일반 셀 등의 주변 셀로부터 USTS가 적용된 목표 셀로 이동하여 USTS 모드로의 상태 변경 시, 해당 이동 단말기의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점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순방향 채널 신호의 전송 시점으로부터 역방향 채널 신호의 수신 시 까지의 시간인 왕복시간(RTT)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왕복시간(RTT), 이동 단말기에서의 순방향 채널 신호 수신과 역방향 채널 신호 송신 시간 사이의 값으로 기 설정된 시간 정보(T0) 및 역방향 채널 신호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기 설정된 동기 기준 시간(Tref)을 근거로,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역방향 채널 신호의 전송 시점에 대한 조정 시간 정보 Tc 를 "Tc = T0 + Tref - RTT"의 수식에 근거하여 계산한 후, "T0 + Tref"의 시점을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해당 역방향 채널 신호의 수신 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계산된 Tc 시간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 1 단계; 및 단말기에서,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전 역방향 채널 신호의 최종 전송 시점에서 상기 제공된 Tc 시간 만큼 가감변경된 시점을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상기 해당 역방향 채널 신호의 전송 시점으로 조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USTS 적용 셀 또는 USTS가 비적용된 일반 셀 등의 주변 셀로부터 USTS가 적용된 목표 셀로의 핸드오프 시, 해당 단말기가 해당 목표 셀에서 정상적인 USTS 모드 상태로 변경하여 동작토록 하기 위한 시간 동기를 최적화 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STS가 적용된 W-CDMA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토록 하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공지사항을 포함한 전반적인 기술적 사항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의 비동기 W-CDMA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들의 역방향 채널들은 비동기로 동작을 하고, 각 이동 단말기들은 자신의 고유한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구분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USTS 기술은 서로 다른 이동 단말기가 공통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는 대신, 서로 다른 채널 코드로 이동 단말기간의 채널을 구분하도록 하고, 이동 단말기의 역방향 채널 전송시점을 각 이동 단말기별로 조정하여 기지국에서 기준 시점에 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어, 서로 다른 이동 단말기들의 채널들 사이에서도 직교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USTS 에서는 역방향 채널의 동기를 얻기 위하여 셀마다 하나의 기준 값(Tref)을 정의하고, 이 기준 값에 맞추어 이동 단말기의 역방향 채널 전송시점이 조정된다. 상기 Tref 는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기까지 전파 지연 시간을 보상해 주기 위한 값으로, 기지국에서 순방향 채널 프레임을 전송하여 역방향 채널 프레임을 수신할 때까지 시간은 T0+Tref가 되며, 여기서, T0 값은 비동기식 W-CDMA에서 이동 단말기의 순방향 채널 수신과 역방향 채널 송신 시간 사이의 명목상 값으로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프로세싱 시간을 위해 설정되며 1024 칩(chip)으로 기 설정된 값이다.
단, 각 이동 단말기의 순방향 채널 전송 시점(τDPCH,n)은 기지국의 공통채널인 P-CCPCH 프레임을 기준으로 256 칩 간격으로 150개의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즉, τDPCH,n= 256 x n, n=0,1, , 149), 역방향 채널이 도달하는 시점 또한 τDPCH,n값에 따라 P-CCPCH 프레임으로부터 T0+Tref+τDPCH,n으로 150 개의 값을 가지게 된다.
역방향 채널의 채널코드는 최대 256칩의 길이를 가지므로 역방향 채널은 256칩 간격으로 정렬이 되면 직교성을 만족하는데는 아무 문제가 없다.
Non-USTS 모드나 일반(normal)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가 USTS 모드로 변경하려고 할 때에는, 해당하는 목표 기지국에 대해서는 시간 동기가 이루어져 있지 않으므로 모드 변경 시점에서 시간 동기를 맞추기 위한 역방향 채널의 전송 시간 변경이 필요하다. 즉, 해당 기지국의 Tref 에 따라 기지국에서의 순방향 채널의 전송시점으로부터 역방향 채널의 수신시간이 T0 + Tref 가 될 수 있도록 시간을 조정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USTS가 적용된 W-CDMA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는 타이밍도로서, USTS 모드로의 모드 변경시 역방향 채널의 전송 시점을 지연시키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도 1의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서, USTS 모드로 모드 변경을 수행할 때 역방향 채널의 초기 전송 시간 조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목표 셀에서의 USTS 모드 변경시는 초기의 호 설정시와는 달리 이미 일반 모드 또는 Non-USTS 모드 상태로 순방향과 역방향 채널(UL Frame 1)이 전송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목표 셀내의 이동 단말기(110)에서의 순방향 채널의 수신 시점(111)과 역방향 채널 송신 시점(112)사이의 시간 간격이 T0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모드 변경을 위한 초기 동기 시간 조정값(또는, 초기 조정 시간 정보라 함)(이하 Tc)를 목표 셀의 해당 기지국(120)에서 정해 주어야 하는 데, 그 Tc 값의 계산은 모드 변경의 경우 이미 호가 진행 중이므로 기지국(120)에서 순방향 채널을 전송한 후에 역방향 채널을 수신할 때까지의 왕복시간(Round Trip Time : 이하 RTT)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기지국(120)에서는 상기 초기 동기 시간 조정값 Tc 를 "Tc = T0 + Tref - RTT" 의 수식에 따라 결정하도록 하며, 이 Tc 값을 상기 이동 단말기(110)에 알려 해당 이동 단말기(110)에서의 역방향 채널 전송 시간 조정과 상기 기지국(120)에서의 역방향 채널 수신 시간 변경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이동 단말기(110)와 기지국(120)이 역방향 전송시점(113)과 수신 시점(123)에 대한 조정을 상기 결정된 Tc 값에 의해 조정하되, 기지국(120)에서는 순방향 채널 신호의 전송 시점(121)으로부터 역방향 채널 신호의 수신 시점(122)시 까지의 시간인 왕복시간(RTT)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왕복시간(RTT), 이동 단말기(110)에서의 순방향 채널 신호 수신 시간(111)에 대한 역방향 채널 신호 송신 시간 사이의 값으로 기 설정된 시간 정보(T0) 및 역방향 채널 신호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기 설정된 동기 기준 시간(Tref)을 근거로,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역방향 채널 신호의 전송 시점에 대한 조정 시간 정보 Tc 를 "Tc = T0 + Tref - RTT"의 수식에 근거하여 계산한 후, "T0 + Tref"의 시점(123)을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해당 역방향 채널 신호(UL Frame 2)의 수신 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계산된 Tc 시간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기(110)에 제공하며; 이에 대응하여 단말기(110)에서는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전 역방향 채널 신호의 최종 전송 시점(112)에서 상기 제공된 Tc 시간 만큼 지연된 시점(113)을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상기 해당 역방향 채널 신호(UL Frame2)의 전송 시점으로 조정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후 그 USTS 모드에 따라 역방향 채널 신호의 시간 동기에 대한 오차 보정을 위한 타이밍 트래킹(Timing Tracking) 과정 및 채널 동기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정리하면, 모드 변경시 역방향 채널의 전송 시점 조정 방법은, 먼저 기지국에서 RTT 값을 측정하고, T0와 Tref 값을 참조 하여 Tc 값을 계산한다. 그 계산된 Tc 값을 이동 단말기에 알려주고, 약속된 시점에서 이동 단말기는 Tc 값만큼 전송시점을 조정해 주고, 기지국에서는 수신 시점을 조정해 준다. 모드 변경이 끝나고 난 후에는 타이밍 트래킹 과정을 수행하여 오차를 보정해 주고 계속 역방향 채널들 사이에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STS가 적용된 W-CDMA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는 타이밍도로서, USTS 모드로의 모드 변경시 역방향 채널의 전송 시점을 앞당기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즉, RTT 가 T0 + Tref 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로 USTS 모드에서 역방향 채널의 직교성을 얻기 위해서는 역방향 채널의 전송시점을 당겨 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 모드 변경 직전의 프레임(UL Frame 1)이 다 전송되기도 전에 모드 변경 후의 새 프레임(UL Frame 2)의 전송이 시작되어야 하므로 서로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모드 변경전 마지막 프레임(UL Frame 1)의 끝부분이나 모드 변경 후의 첫 프레임(UL Frame 2)의 앞부분에 손실이 생기게 되나, 이렇게 겹치는 부분은 대부분의 경우 256 칩 이내로 단위 프레임인 38400 칩의 150 분의 1 보다 작으므로 데이터 복조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의하면 역방향 채널의 시간을 조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시스템의 복잡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Tc 값이 작아서 기 설정된 값 예컨대, 20chip 이하 이하가 될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에 Tc 값을 0으로 설정하여 역방향 채널의 전송 시점 조정은 수행하지 않고 코드 동기 과정만을 수행한 뒤, 시간 동기는 타이밍 트래킹 과정에 의존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없이 부드럽게 모드 변경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역방향 채널의 직교성을 만족할 때까지 시간이 좀 더 걸리게 되지만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의 모뎀에서 시간을 갑자기 변경해 주지 않아도 되므로 좀 더 안정적인 모드 변경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에 의하면, USTS 적용 셀 또는 USTS가 비적용된 일반 셀 등의 주변 셀로부터 USTS가 적용된 목표 셀로의 핸드오프 시, 해당 단말기가 해당 목표 셀에서 정상적인 USTS 모드 상태로 변경하여 동작토록 하기 위한 시간 동기를 최적화 하여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된다.

Claims (3)

  1. 임의의 이동 단말기가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USTS) 적용 셀 또는 USTS 비적용 일반 셀 등의 주변 셀로부터 USTS가 적용된 목표 셀로 이동하여 USTS 모드로의 상태 변경 시, 해당 이동 단말기의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점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순방향 채널 신호의 전송 시점으로부터 역방향 채널 신호의 수신 시 까지의 시간인 왕복시간(RTT)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왕복시간(RTT), 이동 단말기에서의 순방향 채널 신호 수신과 역방향 채널 신호 송신 시간 사이의 기본 값으로 기 설정된 시간 정보(T0) 및 역방향 채널 신호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기 설정된 동기 기준 시간(Tref)을 근거로,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역방향 채널 신호의 전송 시점에 대한 조정 시간 정보 Tc 를 "Tc = T0 + Tref - RTT"의 수식에 근거하여 계산한 후, "T0 + Tref"의 시점을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해당 역방향 채널 신호의 수신 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계산된 Tc 시간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 1 단계; 및
    단말기에서,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전 역방향 채널 신호의 최종 전송 시점에서 상기 제공된 Tc 시간 만큼 가감변경된 시점을 상기 USTS 모드로의 변경 시 상기 해당 역방향 채널 신호의 전송 시점으로 조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Tc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가 될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에서 Tc 값을 0으로 설정하여 역방향 채널의 전송 시점 조정은 수행하지 않도록 하고 코드 동기 과정만을 수행한 뒤, 시간 동기는 타이밍 트래킹 과정 따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20 칩(chi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 조정 방법.
KR10-2001-0036411A 2001-06-25 2001-06-25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조정 방법 KR10038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411A KR100382152B1 (ko) 2001-06-25 2001-06-25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411A KR100382152B1 (ko) 2001-06-25 2001-06-25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634A KR20030001634A (ko) 2003-01-08
KR100382152B1 true KR100382152B1 (ko) 2003-05-09

Family

ID=2771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411A KR100382152B1 (ko) 2001-06-25 2001-06-25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027B1 (ko) * 2002-03-11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동형 광 가입자망을 통한 이더넷 프레임 전송시 왕복시간지연을 보상하는 방법 및 그 수동형 광 가입자망 시스템
KR100770862B1 (ko) * 2004-05-04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703441B1 (ko) * 2005-04-21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환경에 적응적인 라운드 트립 타임을 결정하는 데이터통신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634A (ko)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850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方法
US6657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adjustment for uplink synchronous transmission in 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S7647060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ing transmission timing control
US2002016074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int of a dedicated channel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n uplink synchronous transmission scheme
US8774126B2 (en) Time-alignment at handover
JP2000069526A (ja) Cdma移動通信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並びにその基地局及び移動局
EP1410531A2 (en) Base station oscillator regulation independent of transport network clocks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H0622364A (ja) 無線接続のハンドオーバー手順
JP200450476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同期伝送方式ハンドオーバ及びアップリンク同期伝送方式の転換を遂行する方法
KR100446498B1 (ko)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동기 방법
US6516007B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reverse link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synchronous reverse link
WO1999021298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s
AU2035301A (en) Synchronization of diversity handover destination base station
US20040057396A1 (en) CDMA type mobile station having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for rounding off a chip offset temporally early and late
EP1170881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mobile stations and base stations in the system
KR100382152B1 (ko)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모드 변경을 위한 역방향 신호의 전송 시간조정 방법
KR100735398B1 (ko) 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역방향 동기 전송방식에 대한 동기화를 위한 방법
KR100392645B1 (ko) 역방향 동기 전송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송 타이밍제어 방법
KR100379698B1 (ko)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기준 시점 결정 방법
KR100619359B1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KR100394038B1 (ko)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을 위한 역방향 동기전송 방식의 광역 셀 적용 방법
KR100378888B1 (ko)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이 적용된 차세대 비동기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역방향 스크램블링 코드 동기 방법
JP2006129134A (ja) 無線通信装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送信電力制御プログラム
KR100619358B1 (ko)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 오프 방법
US7171232B2 (en) Method of selecting a cell to connect by radio with a mobile st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