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921A - 소프트 렌즈 - Google Patents

소프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921A
KR20020087921A KR1020020066310A KR20020066310A KR20020087921A KR 20020087921 A KR20020087921 A KR 20020087921A KR 1020020066310 A KR1020020066310 A KR 1020020066310A KR 20020066310 A KR20020066310 A KR 20020066310A KR 20020087921 A KR20020087921 A KR 20020087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r
lens
optical
eye
sof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시리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시리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시리스케이
Publication of KR2002008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92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부의 내측면이 눈의 공막에 대응되어 착용시 각막 또는 공막에 압박이 없으며, 렌즈의 주변부 및 광학부에 형성된 눈물응집부와 눈물순환로를 통하여 눈물의 순환이 원활한 소프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내측면이 눈의 각막에 대응되는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내측면이 눈의 공막에 대응되는 주변부와, 상기 주변부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눈물응집부와, 상기 눈물응집부에서부터 상기 광학부의 중앙부로 향하여, 상기 주변부와 광학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눈물순환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렌즈의 주변부(30)가 공막(300)의 곡률반경과 동일/유사하여 렌즈(1)의 주변부(30)에 의한 공막(300)에의 압박이 없으므로, 이물감이 없으며, 각막염 또는 공막염이 현저히 감소하고, 눈물순환로(12)가 있어도 렌즈(1)의 중앙부가 구조적으로 왜곡되지 않으며, 눈물응집부(32)와 눈물순환로(12)에 의한 눈물순환이 원활하여 눈물에 포함된 산소가 각막에 충분히 공급되며, 눈물의 원활한 순환으로 단백질등의 침전물이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프트렌즈{SOFT LENS}
본 발명은 소프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부의 내측면이 눈의 공막에 대응되어 착용시 각막 또는 공막에 압박이 없으며, 렌즈의 주변부 및 광학부에 형성된 눈물응집부와 눈물순환로를 통하여 눈물의 순환이 원활한 소프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시력교정 또는 미용을 위해 소프트렌즈를 착용할 때, 렌즈의 주변부가 공막을 압박하거나, 눈물 순환이 되지 않으면 눈이 건조해지고 피로를 느끼며, 각막염 또는 공막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눈물 순환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23558호(출원번호2000-35707호, 산소 투과성 하드렌즈의 눈물순환장치, 인용고안1)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3-69125호(1991.7.9, 인용고안2)와, 일본국 공개특허 평1-314222호(1989.12.19, 인용발명)가 개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인용고안1은 콘택트렌즈 중 하드렌즈에 적용되는 것으로 산소투과성이 높은 RPG렌즈에는 적용할 필요가 없었으며, 이를 소프트렌즈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홀(인용고안1의 도면부호 4)의 기능이 확보되지 않으며, 요입부(인용고안1의 도면부호 2)가 너무 커서 렌즈의 중앙부가 왜곡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인용고안2는 원형의 소프트렌즈의 외주의 일부를 탈락(탈락부분:인용고안2의 도면부호 2)시켜 안구에 소프트렌즈가 흡착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였으나, 소프트렌즈의 특성상 렌즈의 흡착이 완전히 해소되지도 않고, 눈물의 순환은 극히 미약하였다.
인용발명은 눈물의 원활한 순환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눈물의 원활한 순환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는 용이하게 되어 있으나, 그 형태상 렌즈의 내측면에 돌기(인용발명의 도면부호 3)가 많이 형성되어 착용시 이물감이 심하고, 중앙부(인용발명의 도면부호 6)의 크기가 너무 커서 렌즈의 중앙부가 왜곡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에 의한 공막 또는 각막의 압박으로 각막염 또는 공막염의 발생을 방지하고, 착용시에이물감이 없으며, 렌즈의 중앙부가 구조적으로 왜곡되지 않으며, 눈물 순환이 원할한 소프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렌즈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렌즈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1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렌즈의 A-A' 단면도.
도1d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렌즈의 B-B' 단면도.
도1e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렌즈의 C-C'단면도.
도2a는 반타원형의 눈물응집부.
도2b는 반경이 큰 반원형 눈물응집부.
도2c는 주변부가 활꼴형태로 제거되어 형성된 직선형 눈물응집부(전체적인 형상:오각형).
도2d는 주변부가 활꼴형태로 제거되어 형성된 직선형 눈물응집부(전체적인 형상:육각형).
도3a는 각각의 눈물순환로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형태의 눈물순환로.
도3b는 회전을 하며 중심으로 향하여 중앙에서 연결된 형태의 눈물순환로.
도3c는 각각의 눈물순환로가 중앙에서 연결되며 소정의 위치에서 가교가 형성된 형태의 눈물순환로.
도3d는 각각의 눈물순환로가 중앙에서 연결되지는 않으나 소정의 위치에 가교가 형성된 형태의 눈물순환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소프트렌즈10. 광학부
12. 눈물순환로20. 경계부
30. 주변부32. 눈물응집부
100. 각막300. 공막
본 발명에 의한 소프트렌즈는, 내측면이 눈의 각막에 대응되는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내측면이 눈의 공막에 대응되는 주변부와, 상기 주변부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눈물응집부와, 상기 눈물응집부에서부터 상기 광학부의 중앙부로 향하여, 상기 주변부와 광학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눈물순환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눈물응집부는 눈물의 응집력에 의하여 눈물이 응집되도록 하는 부위로서,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눈물응집부는 상기 주변부가 활꼴 형태로 제거되므로서, 렌즈의 전체적인 형상이 다각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눈물의 응집력에 의한 응집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눈물응집부는 렌즈의 주변부가 제거되어 반원형, 반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눈물응집부는 상기 광학부의 가장자리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눈물응집부에 응집된 눈물은 상기 눈물순환로를 통하여 각막과 렌즈사이의 공극을 통과하여 아래로 흐르므로, 눈물의 흐름이 원활히 되기 위해서는 상기 눈물순환로가 상호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프트렌즈"는 HEMA(Hydroxt Ehtyl Methacrylate) 또는 PVP(Polyvinyl pyrrolidone) 등의 재료로 제조된 친수성 렌즈이며, 재질 자체가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며, 하드렌즈보다 함수율이 월등히 높아 함수율 10%이상인 렌즈를 가리킨다. "광학부"란 렌즈 중 눈의 각막에 접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내측면"이란, 렌즈를 착용할 때 눈의 각막 또는 공막에 접하는 면을 가리킨다. "대응"이란, 서로 곡률반경이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을 지칭하며, 렌즈의 광학부의 내측면은 각막의 곡률반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렌즈의 주변부의 내측면은 공막의 곡률반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또한, "주변부의 일부가 제거되었다"는 표현은, 이는 본 명세서를 이해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렌즈의 제작시에 주변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눈물응집부를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금형에서 바로 사출되어 나올때 이미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게 사용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렌즈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a는 렌즈(1)를 착용시 안구의 반대쪽(외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렌즈(1)는 광학부(10)와 주변부(30)로 나뉜다. 광학부(10)는 안구의 각막(도1b의 도면부호 100)을 덮는 부분이며, 주변부(30)는 안구의 공막(도1b의 도면부호 300)을 덮는 부분이다. 광학부(10)의 착용자의 각막의 크기에 맞도록 맞춤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나, 대략 직경 10mm정도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만들 수 있다. 전체 렌즈의 크기는 주변부(3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나, 전체적으로 직경 13mm정도가 적당하다. 전체 렌즈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광학부(10)와 주변부(30)의 경계인 경계부(20)는 도1a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나, 광학부(10)와 주변부(30)의 구분을 위하여 표시하였다. 주변부(30)는 일부가 절개되어 6부분에 눈물응집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눈물응집부(32)는 움푹 패인 구조로 되어 있어 다른 주변부(30)보다 눈물이 더 많이 응집되도록 되어 있다.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렌즈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b는 렌즈(1)를 착용시 안구의 안쪽(내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눈물순환로(12)를 제외한 나머지 도면부호는 도1a의 설명과 동일하다. 눈물순환로(12)는 렌즈(1)의 내측면에 각각의 눈물응집부(32)로부터 시작하여 렌즈(1)의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1)의 중앙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눈물순환로(12)의 폭이 렌즈(1)의 직경의 1/26정도로 렌즈(1)의 직경을 13mm로 하였을 때 대략 0.5mm정도이다. 눈물순환로(12)의 폭은 0.1mm ~ 2mm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나, 눈물순환로(12)가 서로 연결되는 중앙부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0.5mm정도가 적당하다.
도1c는 도1a의 A-A' 단면도이다. 도1c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각막(100)과 공막(300)을 모식화하여 함께 도시하였다. 도1c의 단면도는 이해의편의를 위하여 A-A'를 절단하여 절단된 면만을 표시하였으며, 이하 다른 단면도에서도 절단된 면만을 표시하였다. 광학부(10)와 주변부(30)의 설명은 도1c의 설명과 동일하며, 경계부(20)는 광학부(10)와 주변부(30)가 변곡되는 지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단면도의 중앙에는 눈물순환로(12)가 표시되어 있다. 눈물순환로(12)의 깊이는 광학부(10) 중앙부의 폭의 1/2정도이다.
도1d는 도1a의 B-B' 단면도이다. B-B'단면은 A-A'단면보다 폭이 작다. 또한, B-B'단면은 눈물순환로(12)가 형성된 부분의 단면이므로 A-A'단면보다 두께가 얇다.
도1e는 도1b에서 C-C'의 단면도이다. 눈물순환로(12)의 깊이는 대략 0.05mm정도이며, 렌즈의 두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눈물순환로(12)의 깊이는, 광학부(10)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또는 주변부(30)에서 서로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며, 다르게 할 수도 있다. 통상 광학부(10)의 중앙부의 두께는 얇고, 광학부(10)의 가장자리 또는 주변부(30)의 두께는 두꺼우므로, 눈물순환로(12)의 깊이는 광학부(10)의 중앙부는 얕게 하고, 광학부(10)의 가장자리 또는 주변부(30)에서는 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a 내지 도2d는 눈물응집부(32)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2a는 반타원형상의 눈물응집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2b는 반경이 큰 반원형 눈물응집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2c는 주변부가 활꼴형태로 제거되어 형성된 직선형 눈물응집부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오각형인 렌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2d는 전체적인 형상이 육각형인 렌즈가 도시되어 있다. 도2a 내지 도2d는 렌즈(1)의 평면도(렌즈착용시 외측에서 본 도면)를 도시한 것으로서, 렌즈(1)의 저면(렌즈착용시 각막과 접하는 부분으로 내측면)에는 도1b, 도3a 내지 도3d의 다양한 눈물순환로(12)가 각각의 눈물응집부(32)에서 시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눈물순환로(12)는 눈물응집부(32)가 아닌 다른 주변부(30)에서 시작될 수도 있으나, 눈물응집부(32)에 눈물이 가장 많이 모이므로, 눈물응집부(32)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a 내지 도3d는 렌즈(1)의 저면도로서, 렌즈(1) 착용시 안구와 접하는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눈물순환로(12)의 다양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3a는 각각의 눈물순환로(12)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형태의 눈물순환로(12)이며, 도3b는 회전을 하며 중심으로 향하여 중앙에서 연결된 형태의 눈물순환로(12)이며, 도3c는 각각의 눈물순환로(12)가 중앙에서 연결되며 소정의 위치에서 가교가 형성된 형태의 눈물순환로(12)이며, 도3d는 각각의 눈물순환로(12)가 중앙에서 연결되지는 않으나 소정의 위치에 가교가 형성된 형태의 눈물순환로(12)이다. 도3a 내지 도3d에서 도시한 눈물순환로(12)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눈물순환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1a 내지 도3d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곡면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으나, 콘택트렌즈는 사람의 신경이 가장 예민한 눈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눈에서 이물감이 느껴지면 안되므로 가능한 한 라운딩처리하여 이물감이 느껴지지않도록 하여야 한다. 즉, 광학부(10)와 주변부(30)의 경계인 경계부(20)에서 변곡될 때, 또는 주변부(30)의 가장자리의 처리, 눈물응집부(32)와 눈물순환로(12)를 형성할 때, 면과 면이 연접되는 곳은 라운딩 처리되어 렌즈 착용시에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의 주변부(30)가 공막(300)의 곡률반경과 동일/유사하여 렌즈(1)의 주변부(30)에 의한 공막(300)에의 압박이 없으므로, 이물감이 없으며, 각막염 또는 공막염이 현저히 감소하고, 눈물순환로(12)가 있어도 렌즈(1)의 중앙부가 구조적으로 왜곡되지 않으며, 눈물응집부(32)와 눈물순환로(12)에 의한 눈물순환이 원활하여 눈물에 포함된 산소가 각막에 충분히 공급되며, 눈물의 원활한 순환으로 단백질 등의 침전물이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눈에 착용하는 소프트렌즈에 있어서,
    내측면이 눈의 각막에 대응되는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내측면이 눈의 공막에 대응되는 주변부와;
    상기 주변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눈물응집부와;
    상기 눈물응집부에서부터 상기 광학부의 중앙부로 향하여, 상기 주변부와 광학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눈물순환로;를 갖는 소프트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물응집부는,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물응집부는, 상기 주변부가 활꼴 형태로 제거되어 형성되므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렌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눈물응집부는, 상기 광학부의 가장자리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렌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눈물순환로는, 방사상으로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렌즈.
KR1020020066310A 2002-10-14 2002-10-30 소프트 렌즈 KR200200879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575 2002-10-14
KR1020020062575 2002-10-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937A Division KR20050052442A (ko) 2005-05-13 2005-05-13 함수성 소프트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921A true KR20020087921A (ko) 2002-11-23

Family

ID=27728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310A KR20020087921A (ko) 2002-10-14 2002-10-30 소프트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79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680A (ko) * 2014-04-08 2015-10-16 박계능 복수의 홈을 가지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형성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852A (ko) * 1973-06-05 1975-02-25
JPH0369125A (ja) * 1989-08-08 1991-03-25 Nec Corp 半導体装置
JPH0534644A (ja) * 1990-01-24 1993-02-12 Ciba Geigy Ag 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23558Y1 (ko) * 2000-12-20 2001-05-15 주식회사인터로조 산소 투과성 하드렌즈의 눈물 순환장치
KR200300066Y1 (ko) * 2002-10-14 2003-01-06 주식회사시리스케이 소프트 렌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852A (ko) * 1973-06-05 1975-02-25
JPH0369125A (ja) * 1989-08-08 1991-03-25 Nec Corp 半導体装置
JPH0534644A (ja) * 1990-01-24 1993-02-12 Ciba Geigy Ag 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23558Y1 (ko) * 2000-12-20 2001-05-15 주식회사인터로조 산소 투과성 하드렌즈의 눈물 순환장치
KR200300066Y1 (ko) * 2002-10-14 2003-01-06 주식회사시리스케이 소프트 렌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680A (ko) * 2014-04-08 2015-10-16 박계능 복수의 홈을 가지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399B1 (ko) 수영 고글
US7441892B2 (en) Contact lenses
US3973838A (en) Contact lenses
KR20050052442A (ko) 함수성 소프트렌즈
KR200477407Y1 (ko) 콘택트렌즈
KR20030029792A (ko) 마이크로채널을 구비한 콘택트 렌즈
US11567348B2 (en) Tear shaping for refractive correction
JP2007195818A (ja) オルソケラトロジー用コンタクトレンズ
US11281023B2 (en) Tear shaping for refractive correction
JP6101633B2 (ja) 色付コンタクトレンズ
JPH11151263A (ja) 眼手術後用バンデージ
EP2778750B1 (en) Hydrogel lens having raised portions for improved oxygen transmission and tear flow
WO2006078089A1 (en)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with penetration hole
JP2014178685A5 (ko)
KR100485763B1 (ko) 렌즈
KR20020087921A (ko) 소프트 렌즈
KR102061813B1 (ko) 석션 기능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
JP3184023U (ja) 角膜修復機能を備えたコンタクトレンズ
JP3587456B2 (ja) 角膜補正レンズ
KR200300066Y1 (ko) 소프트 렌즈
JP6216214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
KR102469239B1 (ko) 누액 댐핑 홀을 가지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100411542B1 (ko) 산소 투과성 하드렌즈의 눈물 순환장치
KR200493960Y1 (ko) 각막굴절교정용 렌즈
KR101954069B1 (ko) 컬러 토릭 콘택트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414

Effective date: 2005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