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573A - Carriag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power supply line of a mobile element comprising two contact wires and a body for being mounted on a support - Google Patents

Carriag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power supply line of a mobile element comprising two contact wires and a body for being mounted on a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573A
KR20020086573A KR1020027011064A KR20027011064A KR20020086573A KR 20020086573 A KR20020086573 A KR 20020086573A KR 1020027011064 A KR1020027011064 A KR 1020027011064A KR 20027011064 A KR20027011064 A KR 20027011064A KR 20020086573 A KR20020086573 A KR 20020086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longitudinal
axis
chassis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0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36153B1 (en
Inventor
이브 펠레띠에르
Original Assignee
레일테크 인터내쇼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002277A external-priority patent/FR2806358A1/en
Application filed by 레일테크 인터내쇼날 filed Critical 레일테크 인터내쇼날
Publication of KR20020086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5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1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요소의 전력공급선을 장착 및 탈착하는 캐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13)을 포함하는 장착체(4)와, 공통측면에, 구동 이동 요소와 함께 두 접속 와이어(7)를 탄성 편향 프리스트레싱을 통해 쌍으로 유지하는 세 개의 플랜지(81, 19)를 구비한다. 장착 및 탈착 캐리지는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에 맞물리는 중앙 부재(70)와, 중앙 플랜지에서 일시적으로 이격되고 와이어(7)가 장착 또는 탈착되도록, 장착체(4)에 대해 함께 또는 바람직하게는 별개로,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과 맞물리는 두 측면부재(71)와, 장착체를 향해 와이어(7)를 받치는 부재를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age for mounting and detaching a power supply line of a moving element, wherein the mounting body (4) comprising a base (13) and the common connecting side, together with a drive moving element, both connection wires 7 are deflected elastically It has three flanges 81, 19 that hold in pairs through prestressing. Mounting and detaching carriages are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member 4 with the central member 70 engaging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18 and with a temporary separation from the central flange and with which the wire 7 is mounted or detached. Together or preferably separately, two side members 71 are engaged with the free end 21 of the side flange 19 and a member supporting the wire 7 towards the mounting body.

Description

지지부에 장착되는 두 개의 접속 와이어 및 장착체를 구비하는 이동요소의 전력공급선 장착 및 탈착 캐리지{CARRIAG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POWER SUPPLY LINE OF A MOBILE ELEMENT COMPRISING TWO CONTACT WIRES AND A BODY FOR BEING MOUNTED ON A SUPPORT}CARRIAG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POWER SUPPLY LINE OF A MOBILE ELEMENT COMPRISING TWO CONTACT WIRES AND A BODY FOR BEING MOUNTED ON A SUPPORT }

본 발명은, 거의 일정한 단면을 갖고, 서로 고정된 세 개의 전도성 종방향소자를 구비하는 형태의 이동부재의 종방향 전력공급선 장착 및 탈착 캐리지로서, 즉,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itudinal power supply line mounting and detaching carriage of a moving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cross section and having three conductive longitudinal elements fixed to each other, that is,

- 종방향 중앙 평면을 갖고, 상기 평면에 수직하는 견고한 평탄 베이스와, 상기 평면을 따라 놓이는 평탄 중앙 플랜지와 두 개의 탄성적으로 가요성 평탄한 측면 플랜지가, 베이스와 동일 측면에 놓이고, 각각 그 측면에서, 상기 평면에 대략 평행하게 놓이는 세 개의 플랜지를 구비하고, 이들 세 개의 플랜지는 각각 베이스에 연결되어, 그 대향 측면에, 자유단을 각기 갖고, 립이 상기 평면에 수직 방향에서 쌍으로 서로를 향하도록, 이웃하는 플랜지를 향해 선회된 립의 단면 형상을 갖는 지지부의 장착체와,A solid flat base having a longitudinal centr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a flat central flange lying along the plane and two elastically flexible flat side flanges, on the same side as the base, each of which side face In which there are three flanges lying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plane, each of these three flanges being connected to the base, each having its free end on its opposite side, and the ribs connecting each other in pair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 mounting body of the support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ip pivoted toward the neighboring flange,

- 상기 평면에 대해 상호 대칭을 이루고, 각각이 상기 평면에서 이격하는 방향에서, 그 자유단을 가압하여, 상기 평면을 향해, 각 접속 와이어의 각 홈으로, 자체 가압되어, 상기 평면을 향해, 중앙 플랜지의 자유단의 다른 홈에 의해, 두 측면 플랜지의 탄성 편향 프리스트레싱의 조건하에서 상기 자유단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두 개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대응하는 자유단 사이, 장착체에 고정하는 클램핑 효과를 각 와이어에 인가하도록, 이동요소와 접속하는 두 와이어를 구비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에 관한 것이다.-Mutu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each of which presses its free 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ane, self-presses towards the plane, into each groove of each connection wire, towards the plane The clamping effect of having two grooves fixed to any one of the free ends under conditions of elastic deflection prestressing of the two side flanges, by means of the other grooves of the free ends of the flange, between the corresponding free ends It relates to a mounting and a detachable carriage having two wires for connecting with the moving element, so as to apply to each wire.

종래 현가된 현수선의 위치에서, 특히 차에 관해서는 터널에서 일반적으로 레일 상에 구동하는 차량용으로 설계되는 보수 차량 또는 전기 차량이 어려움 또는 위험을 나타내는 이런 라인은, 단일 접속 와이어를 갖는 라인보다 보다 큰 세기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osition of a conventional suspended suspension line, this line represents a difficulty or danger for a maintenance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designed especially for vehicles that are generally driven on rails in a tunnel, which is larger than the line with a single connection wir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century.

유럽 특허 출원 제0 593 350호의 도 8을 참조하면, 장착체의 세 개의 플랜지가 그 베이스에 단일편을 형성하는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8 of EP 0 593 350, an embodiment is disclosed in which three flanges of the mounting body form a single piece at its base.

또한, 전술한 유럽 특허 출원은 이런 라인과 관련하여, 또한, 중앙 플랜지를 갖지 않고 탄성 파지에 의해, 측면 플랜지가 유지하도록 규격되어, 접속 와이어가 놓여지는 점을 제외하곤 전술한 장착체와 유사한 장착체의 종방향 중앙 평면을 따라 놓이는 단일 접속 와이어를 구비하는 라인과 관련하여 개시된 장착 및 탈착 캐리지의 이용 가능성을 언급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relates to such a line, and also with a mounting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connecting flange is laid down, by means of an elastic gripping, without a central flange, to hold the side flanges. Reference is made to the availability of the mounted and detachable carriage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a line with a single connecting wire lying along the longitudinal central plane of the sieve.

이런 캐리지는, 본 출원인에 의해 참조번호 552 411 으로 제조 및 시판되고,Such carriages are manufactured and marketed by Applicant with reference 552 411,

- 종방향 중앙 대칭 평면을 갖는 견고한 새시와,A solid chassis with a longitudinal central symmetry plane,

- 상기 종방향 중앙 대칭 평면이 장착체의 종방향 중앙 대칭 평면과 일치하는 방향에서 새시와 장착체 사이에, 한편으론 장착체에 의한 새시의 지지와, 다른 한편으론 장착체에 관해 종방향 병진 이동에서 새시의 가이드를 제공하는 분리형기계적 접속수단과,Support of the chassis by the mounting body on the one hand and longitudinal transl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ody between the chassis and the mounting body in a direction coincident with the longitudinal central symmetry plane of the mounting body; Detachable mechanical connecting means for providing a chassis guide in

- 상기 종방향 평면의 각 측면에 각각 놓이는 새시에 의해 유지되고, 새시에 관해서 각각의 특정 정지 위치에서 종방향 평면에 관해서 서로 대칭이고, 각기 정지 위치에서 시작해서, 적어도 종방향 평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에서, 상기 종방향 평면에서, 상기 종방향 평면에서 이격되는 측면에 대응하는 각 립의 자유단(21)과 맞물릴 수 있는 두 개의 측면 맞물림 부재와,A direction held by the chassis, each lying on each side of the longitudinal plane, symmetric with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plane at each particular stop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hassis, starting at respective stop positions, and spaced apart at least in the longitudinal plane In the longitudinal plane, two side engaging members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free end 21 of each lip corresponding to the sid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plane,

- 제어된 방식으로, 상기 종방향 평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는 방향에서, 그리고 각 정지 위치로 복귀시, 종방향 평면에 수직하게 접근하는 방향에서, 새시에서 측면 맞물림 부재를 강제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과,Means for forcing the side engagement member in the chassis in a controlled manner, in a direction spaced vertically from the longitudinal plane and upon return to each stop position,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longitudinal plane perpendicularly; and,

- 새시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종방향 평면에 관해서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접속 와이어를 가압하는 부재와,A member for urging a connecting wire held by the chassis and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plane,

- 제어된 방식으로, 상기 종방향 평면의 일 방향과 횡방향으로 새시에 관해서 스러스트부재를 강제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In a controlled manner, with means for forcing the thrust member in relation to the chassis in one direction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plane.

이러한 캐리지는 상기 언급한 유럽 특허 출원이 보수 작동의 범위 내에서 파손 또는 복구하는 경우, 이를 보수하기 위해 이 선을 어떻게 제작하는지를 기술하는 것과 관련하여, 선의 단접점 와이어를 끝과 끝을 세로로 이어서 상호 조립한 장착체의 배치 또는 장착체에 관하여 장착 또는 탈착하기에 완전히 충분하다.These carriages should be followed by the end-to-end longitudinal contact of the wire, in connection with describing how the above-mentione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breaks or recovers within the scope of the repair operation, how to make this line to repair it. It is fully sufficient to mount or detach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or arrangement of the mutually assembled mountings.

특히, 해제가능 기계적 연결 수단을 통해 안내되며, 그 길이방향 병진과정과 같이 장착체 또는 장착체들을 따라 서로 뒤따르는 국부적인 영역에서, 상기 측면 맞물림 부재에 의해 그 탄성 휨에 의해 측면 플랜지의 자유 단부를 상호적 및 임시적으로 분리하고,In particular, in the local area which is guided through the releasable mechanical connecting means and follows each other along the mounting body or mounting bodies, such as in the longitudinal translation thereof, the free end of the side flange by its elastic deflection by said side engaging member. Separate mutually and temporarily,

- 선을 장착하기 위하여 캐리지가 이동되어 측면 플랜지가 자유롭게되자마자 자유 단부에 의해 이 접속 와이어가 걸리는 위치에 스러스트 부재에 의해 접속 와이어가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된 이들 자유 단부 사이에 삽입되거나,The connecting wire is inserted between these free ends separated in this way by a thrust member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wire is caught by the free end as soon as the carriage is moved to free the side flange and the side flange is freed;

- 또는 선을 탈착하기 위하여 후자 사이 걸림에 의해 이미 유지되는 접속 와이어를 이러한 식으로 이들 자유 단부로부터 해제하고, 스러스트 부재에 의해 이들 해제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Or release the connection wires already held by the latter interlocks in order to detach the wires from these free ends in this way and enable the control of these releases by the thrust member.

반대로, 앞서 지시한 형태의 선을 장착 또는 탈착하기 위한 이용방법은 만족스러운 편이 아니며, 특히 이는 측면 맞물림 부재가 단지 측면 플랜지의 자유 단부의 상호 분리에 의한 이유로만 작용할 수 있는 한, 2개의 접속 와이어를 장착 및 탈착할 필요가 있는, 중앙 플랜지의 자유 단부에 관하여 측면 플랜지의 자유 단부의 분리를 제어하는 것이 다소 어렵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선의 특정 영역에서 상응하는 측면 플랜지 및 장착체의 중앙 플랜지 또는 각각의 장착체에 관하여 접속 와이어중의 어느 하나의 맞물림 또는 해제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Conversely, the method of use for mounting or detaching the wire of the type indicated above is not satisfactory, in particular, this is because the two connecting wires can act only for reasons of mutual separation of the free ends of the side flanges. This is because it is rather difficult to control the separation of the free end of the side flange with respect to the free end of the center flange, which needs to be mounted and detached. As a result,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either of the connecting wires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side flange and the central flange of the mounting body or each mounting body in a particular area of the line can be very difficult.

도 1은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철로 터널에서, 장착시, 동일 장착체의 두 접속 와이어를 갖는 전력공급선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1 show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power supply line having two connecting wires of the same mounting body when mounted, in a railway tunnel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n electric vehicle.

도 2는 동작 단면에서 도 1의 기준 평면 Ⅱ-Ⅱ 에 따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reference plane II-II of FIG. 1 in an operational cross section.

도 3은 두 개의 이웃하는 종방향 장착체 사이의 이음매 판에서 횡방향 평면을 관통하는 단면에서 도 1의 기준 평면 Ⅲ-Ⅲ 에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reference plane III-III of FIG. 1 in a cross section through the transverse plane in the joint plate between two neighboring longitudinal mountings.

도 4 및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라인의 하나의 접속 와이어 또는 양쪽의 접속 와이어를 장착 및 탈착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를 도시하는 것으로, 캐리지가 동작 위치이지만 정지 상태에서 도시되고, 중앙 플랜지의 자유단에서 이격하는 방향에서 측면 플랜지의 자유단에 견인력이 인가되지 않고, 도 6의 기준 평면 Ⅳ-Ⅳ 또는 Ⅴ-Ⅴ 에 따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4 and 5 illustrate a carri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igned for mounting and detaching one or both connecting wires of the lines shown in FIGS. 1-3, wherein the carriage is in the operating position but in a stationary state. And a traction force is not applied to the free end of the side flang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ree end of the center flange, and is a cross section that passes through the reference plane IV-IV or V-V of FIG. 6.

도 6은 도 4의 기준 평면 Ⅵ-Ⅵ 에 따른 라인과 캐리지의 종방향 중앙 평면, 즉 공통 평면에 평행한 종방향 평면을 관통하는 캐리지를 도시한다.FIG. 6 shows a carriage through the longitudinal center plane of the line and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reference plane VI-VI of FIG. 4, ie a longitudinal plane parallel to the common plane.

도 7은 도 6의 종방향 기준 평면 Ⅶ-Ⅶ 에 따른 단면에서 캐리지의 상세도이다.FIG. 7 is a detail view of the carriage in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reference plane VIII-VIII of FIG. 6.

도 8 및 도 9는 캐리지가 동작 위치이지만 정지 상태에서 도시되고, 중앙 플랜지의 자유단에서 이격하는 방향에서 두 측면 플랜지의 자유단 또는 그중 하나의 자유단에에 견인력이 인가되는 도 4와 동일 단면의 캐리지를 도시한다.8 and 9 are the same cross-section as in FIG. 4 where the carriage is in the operating position but shown in a stationary state and traction is applied to the free end or one free end of the two side flang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ree end of the central flange; Shows the carriage.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는 것이며,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단지 상기 언급한 캐리지에 관한 장착 및 탈착용 캐리지를 제안하며, 또한, 적어도 각각의 측면상에 상기 길이방향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응하는 립 사이에 중앙 플랜지의 자유 단부와 맞물림 가능하며 상기 길이방향 평면을 따라 배치되는 새시에 의해 만들어지는 중앙 맞물림 부재를 구비하며, 스러스트 부재는 상기길이방향 평면에 평행한 장착체의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2개의 접속 와이어에 대한 지지체로서의 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se drawbacks, and for this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merely proposes mounting and detaching carriages relating to the carriages mentioned above, and also at least on each si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ongitudinal plane. Between a corresponding lip and a central engagement member that is engageable with the free end of the central flange and is made by a chass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plane, the thrust member being remote from the base of the mounting bod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plane. It can act as a support body with respect to two connection wires in the direction.

당 분야 당업자는 이미 고정된 선상에 후자를 탈착하거나, 후자가 장착체상에 장착되는 상응하는 각각의 접속 와이어의 삽입 또는 장착체의 정렬을 허용하고, 각기 립에 의해 자유로워진 접속 와이어의 해제를 허용하기 위하여 장착체로부터 충분히 분리되거나, 상응하는 각각의 홈에 후자가 맞물려지는 것을 허용하기에 적절한 위치로 립 사이에 와이어를 배치시기기 위해 접속 와이어를 밀도록 각각의 스러스트 부재를 위치시키는 작동의 경우에, 상응하는 각각의 접속 와이어를 자유롭게 하기 적절한 조건하에서 중앙 플랜지의 상응하는 각각의 립으로부터 측면 플랜지의 립을 국부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그 새시에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장착체에 이러한 종류의 캐리지가 체결된 후, 중앙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는 중앙 플랜지의 자유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트랙션, 측면 맞물림 부재에 의해, 장착체 또는 각각의 장착체의 측면 플랜지의 자유 단부의 연속 영역에 적용함으로써, 이 공정이 발생함에 따라, 적절한 곳에 정렬된 다른 장착체가 장착체를 따라 이 캐리지 공정을 만들수 있는 것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ither remove the latter on an already fixed line, or allow the insertion of the corresponding respective connecting wires or the alignment of the mounting bodies, which are mounted on the mountings, and the release of the connecting wires freed by the respective lip. In the case of an operation in which each thrust member is positioned to push the connecting wire to place the wire between the ribs sufficiently in order to allow the latter to engage the respective respective grooves in order to be su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ody in order to This kind of attachment to the mounting body using mechanical means for connecting to the chassis, to locally separate the lip of the side flange from the corresponding respective lip of the central flange under suitable conditions to free the corresponding respective connecting wire. Center flange chair engaged with center engagement member after carriage of By applying traction, lateral engagement member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end, to the contiguous region of the free end of the side flange of the mounting body or of the respective mounting body, as this process occurs, another mounting body aligned in the proper position is used to It will therefore be readily understood that this carriage process can be made.

당분야 당업자는 또한 캐리지의 통과 직후, 측면 플랜지의 탄성이 립 사이에 이와 같이 배치된 접속 와이어가 상응하는 각각의 홈에 후자를 고정시켜 유지되는 형태로 플랜지가 복귀될 수 있게 한다.One skilled in the art will also be able to return the flange in such a way that immediately after passage of the carriage, the elasticity of the side flanges is maintained in such a way that the connecting wires thus arranged between the ribs are held in their respective grooves.

따라서, 상기 언급한 유럽 특허 출원에 기술된 캐리지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는 중앙 플랜지의 자유 단부에 대해 각각의 측면 플랜지의 자유 단부의위치를 제어하고, 그 결과, 선의 어떠한 영역에서도 상응하는 각각의 측면 플랜지 및 장착체 또는 각각의 장착체의 중앙 플랜지로부터의 접속 와이어의 맞물림 및 해제를 일정하고 용이하게 허용할 수 있다.Thus, in contrast to the carriage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free end of each side flange relative to the free end of the central flange and, as a result, corresponds in any area of the line.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connecting wire from each side flange and the mounting body or the central flange of each mounting body can be constantly and easily permitted.

새시의 대칭의 길이방향 중앙 평면의 어느 측면에 각기 배치된 측면 맞물림 부재를 옮기기 위한 수단은 상기 언급한 유럽 특허 출원의 기술에 따른 캐리지가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해 부여된 제어를 제외하고 사용된다면, 중앙 플랜지의 자유 단부로부터 2개의 측면 플랜지의 자유 단부로부터 동시에 분리시키고, 2개의 접속 와이어를 동시 맞물림 또는 해제를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길이방향 평면, 즉, 중앙 맞물림 부재로부터 이들 측면 부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특히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Means for moving the side engaging members respectively disposed on either side of the symmetrical longitudinal center plane of the chassis are used if carriages according to the techniques of the above-mentione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are used, except for the control imparted by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longitudinal plane, ie from the center engagement member, in order to simultaneously separate from the free end of the two side flanges from the free end of the central flange and to permit simultaneous engagement or release of the two connecting wires. Can work at the same time.

그러나, 이 경우에, 2개의 접속 와이어와 선에 관하여 사용될 때, 공지된 캐리지는 다른 결점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교체를 목적으로 단접점 와이어를 탈착하는 것, 예컨대, 다른 접속 와이어는 그대로 두고 유지하는 동안 이 다른 접속 와이어를 탈착하고, 따라서 이 다른 접속 와이어와 접속 와이어를 대체되는 접속 와이어가 재장착될 때까지 동시에, 결점이 수반되는 것은 당연하다.However, in this case, when used with respect to two connecting wires and wir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known carriage has a different drawback, which is to detach the single contact wire for replacement purposes, for example leaving the other connecting wire intact. It is natural that this other connection wire is detached during the holding, and therefore, at the same time, a defect is accompanied until the other connection wire and the connection wire replacing the connection wire are remounted.

이제, 2개의 접속 와이어와 선의 경우에, 하나의 각각의 측면 플랜지의 자유 단부와 중앙 플랜지의 자유 단부 사이의 장착체의 단단한 클램핑은 측면 플랜지의 탄성 휨의 압축응력에 기인한 것이며, 접속 와이어의 부재는 다른 접속 와이어를 유지하기 위한 장착체의 능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 분명해졌다.Now, in the case of two connecting wires and wires, the rigid clamping of the mounting body between the free end of each respective side flange and the free end of the central flange is due to the compressive stress of the elastic deflection of the side flange, It was evident that the member would have little effect on the ability of the mounting body to hold other connection wires.

이러한 관찰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언급한 유럽 특허출원에 기술된 캐리지가 2개의 접속 와이어와 선에 관하여 사용될 때 다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앙 플랜지의 자유 단부에 관하여 각각의 측면 플랜지의 자유 단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에 부여되는 가능성으로부터 이득을 얻는 것이다.Starting from this observation,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each side flange with respect to the free end of the center flange is overcome in order to overcome the other disadvantages when the carriage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is used with respect to two connecting wires and lines. It is to benefit from the possibility given to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free end of the.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 평면의 일측면상에 배치된 측면 맞물림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기 길이방향 평면의 다른 측면에 배치된 측면 맞물림 부재를 옮기기 위한 수단과 별개이다.For this reas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means for moving the side engagement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plane is for moving the side engagement memb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plane. It is separate from the means.

이러한 독립성은 필요하다면, 이미 설비된 선의 접속 와이어의 단지 하나를 탈착하는데 특히 유리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 와이어가 파손되었다면, 와이어를 대체하는, 그러므로 탈착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통해 이용되는 전력 공급선을 연속적으로 허용하는데 적절한 조건하에서 적소에 다른 접속 와이어를 남겨둔채, 이후, 적소에 남겨진 접속 와이어를 교란하지 않고 대체 와이어를 재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지의 이러한 디자인은 장착체에 의해 접속 와이어를 유지하는 방법으로부터 충분한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This independence can be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detaching only one of the connecting wires of already installed lines, if necessary, for example, if the wire is broken, it can be used to replace the wires, thus continuing the power supply line used over the time required to detach. The replacement wire can then be refitted without disturbing the connection wire left in place, under conditions suitable to permit it. Thus, this design of the carriage can fully benefit from the method of holding the connection wire by the mounting body.

이 점에서, 장착체의 측면 플랜지가 그들의 자유 단부에 의해 중앙 플랜지의 자유 단부 상에 접속 와이어를 클램핑하기 위한 상기 응력부가를 허용할 정도로 탄성적으로 가요적이지만, 후자는 구조, 즉 장착체의 중심의 길이방향 평면에 가로의 치수이기 때문에, 비교적 강성이 있을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어느 정도 비록 디자인에 의해 측면 플랜지와 같이 탄성적으로 가요적일지라도, 측면 플랜지의 압축응력 때문에 그 자유 단부로 후자에 2개의 접속 와이어를 적용하는 힘이 적어도 접속 와이어가 존재하는 동안 이 중앙 플랜지는 탄성 휨을 이행하지 않은 정도로 대칭의 효과에 의해 보상된다. 이들 접속 와이어중의 어느 하나의 일시적인 부재의 경우에, 이후, 중앙 플랜지는 잔류 접속 와이어에 적용하는 힘이 상응하는 측면 플랜지에 의해 후자에 적용되는 힘과 균형을 이룰 때까지 그러한 탄성 휨을 아마 수행할 것이지만, 중앙 플랜지의 이 탄성 휨은 본 발명에 다른 선의 작동 수명에 일시적인 짧은 주기에서만 상응하며, 휨이 거의 눈에 띄지 않도록 장착체의 대칭의 길이방향 중앙 평면에 수직하는 중앙 플랜지에 치수가 용이하다.In this respect, the side flanges of the mounting body are elastically flexible enough to allow the stress portion for clamping the connecting wire on the free end of the central flange by their free end, but the latter Because of the transverse dimension in the central longitudinal plane, there may be relatively stiffness, or otherwise the latter to its free end due to the compressive stress of the side flanges, although somewhat elastically flexible as the side flanges by design This central flange is compensated for by the effect of symmetry to the extent that the force of applying the two connecting wires to the at least this while the connecting wire is present does not perform elastic bending. In the case of a temporary member of any of these connecting wires, the central flange will then probably perform such elastic bending until the force applied to the residual connecting wire is balanced with the force applied to the latter by the corresponding side flange. However, this elastic deflection of the center flange corresponds only to a short period which is temporary to the working life of the li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is easy to dimension to the central flang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center plane of the symmetry of the mounting such that the deflection is hardly noticeable. .

상기 언급한 유럽 특허 출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체의 각각의 측면 플랜지의 자유 단부가 상기 면에 대체로 수직하고, 베이스를 향해 접히고 상기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의 측면 플랜지로부터 돌출배치되는 각각의 평면의 길이방향 면을 가질 때, 그러한 장착체의 정렬 또는 장착체를 따라 캐리지의 전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언급한 유럽 특허 출원에 기술된 캐리지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의 새시와 상기 평면의 면들의 양자위를 회전하기 위한 수단으로되는 장착체와 사이에 해제가능한 기계적 연결 수단으로 설비가 유리하게 만들어진다.As shown in the above-mentione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each free end of each side flange of the mounting body is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face and is protruded from each side flange in a direction that is folded toward the base and away from the plane. Of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in the case of the carriage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to facilitate the alignment of such a mounting body or the advancement of the carriage along the mounting body when The installation is advantageously made with a releasable mechanical connection means between the chassis and the mounting body which is a means for rotating both of the plane faces.

또한, 중앙 맞물림 부재, 측면 맞물림 부재 및 상호관계인 장착체는 캐리지의 전진을 용이하게 호환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 설계된다.Further, the center engaging member, the side engaging member and the interlocking mounting body are preferably designed to be easily compatible with the advancement of the carriage.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또한, 상기 언급한 유럽 특허 출원을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장착체의 중앙 플랜지의 자유 단부가 베이스로부터 떨어져 접히고 상기 평면을 따라 상응하는 립 사이에 위치된 길이방향 홈을 가지고, 이와 같은 장착체의 각각의 측면 플랜지의 자유 단부가 베이스로부터 떨어져 접히고 상기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응하는 각각의 립에 관하여 옵셋되는 각각의 길이방향 홈을 가질 때,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에 관한 설비가 만들어지며,Th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lso showing the aforementione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the free end of the central flange of the mounting body is folded away from the base and positioned between the corresponding ribs along the plane. When the free end of each side flange of such a mounting body has a longitudinal groove and each longitudinal groove is folded away from the base and offset with respect to each corresponding lip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ane, the present invention The equipment for carriage is made according to

- 중앙 맞물림 부재는 상기 길이방향 평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길이방향 평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새시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중앙 플랜지의 홈에 주위에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따라 병진에 대향하여 새시에 관하여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 롤러를 구비하며,A center engaging member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plane, mounted to be able to rotate about the chassis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plane, and can be engaged about a groove in the central flange and along the axis of rotation At least one central roller fixed relative to the chassis against the translation,

- 측면 맞물림 부재는 각각의 휴지 위치에서 후자에 관하여 상호 대칭이며 상기 길이방향 평면의 각각의 측면에 각기 배치되고, 측면 플랜지의 각각의 상기 홈에 주위에 맞물릴 수 있고 상기 길이방향 평면에 수직한 동일 축을 중심으로 새시에 관하여 회전하 수 있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롤러를 구비하며,The side engagement members are mutu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atter in their respective resting positions and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longitudinal plane, and can engage around each of the grooves of the side flanges and ar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plane At least one side roller mounted to rotate about the chassis about the same axis,

측면 맞물림 부재를 옮기기 위한 수단으로 그 상기 회전축을 따라 측면 롤러의 조정가능한 배치 수단을 구비한다.Means for displacing the side engagement member, comprising adjustable positioning means of the side rollers along the axis of rotation thereof.

따라서, 캐리지의 대칭의 길이방향 중앙 평면의 각각의 측면에 각기 배치되는 측면 맞물림 부재를 옮기기 위한 수단 사이의 상기 언급한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비는Thus, in order to ensure the above mentioned independence between the means for moving the side engagement members respectively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symmetrical longitudinal center plane of the carriage,

- 그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새시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장착되며, 후자를 따라 병진의 가능성 없이 그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측면 롤러를 지탱하며 그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에 대항하여 새시에 관해 고정된 각각의 슬라이더, 및-Mounted so as to slide about the chassis along the axis of rotation, supporting each side roller so that it can rotate about the axis of rotation without the possibility of translation along the latter and the chassis against rotation about the axis of rotation; Each slider fixed relative to, and

- 그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새시에 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그 상기 회전축을 따라 병진에 대항하여 새시에 대해 고정되고, 스레드(thread)에 의해 각각의 슬라이더가 맞물리며, 그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새시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운동 수단에 고정된 각각의 스크류를 구비하는 측면 롤러의 조정가능한 배치수단을 만든다.Moun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bout the chassis about the axis of rotation, fixed against the chassis against the translation along the axis of rotation, each slider being engaged by a thread, about the axis of rotation; An adjustable arrangement of the side rollers is provided with each screw secured to the movement means so as to be able to rotate about the chassis.

바람직하게, 가장 유리한 기계적 조건하에서 동작하는 중앙 롤러 및 측면 롤러를 허용하기 위해, 중앙 롤러의 회전축은 중앙 롤러가 배치되는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측면 롤러와 일치한다.Preferably, in order to allow the center roller and the side rollers to operate under the most advantageous mechanical conditions, the axis of rotation of the center roller coincides with the pair of side rollers between them.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캐리어의 바람직한 실시예:For this reas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ounting carr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 중앙 맞물림 부재는 새시의 특정한 가로평면에 대해 상호 대칭이고, 스러스트 부재에 대칭인 평면을 구성하는 상기 중앙 롤러의 2개의 예시를 구비하며,The central engagement member has two examples of said central roller constituting a plan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particular transverse plane of the chassis and symmetrical with the thrust member,

- 측면 맞물림 부재는 상기 가로 평면에 대해 상호 대칭인 상기 한 쌍의 2개의 예시를 구비하며,The side engagement member has two examples of the pair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plane,

- 측면 맞물림 부재를 옮기기 위한 수단은 2개의 상호 독립적이며 각기 상응하는 예시를 제공하는 것에 따라, 또한, 장착체에 대해 안정되는 캐리지의 배향이 바람직하다.The means for moving the side engagement members provide two mutually independent and respective corresponding illustrations, in addition, the orientation of the carriage which is stable relative to the mounting body is preferred.

물론, 중앙 플랜지의 자유 단부의 홈에서 중심롤러 또는 각각의 중심롤러의 맞물림 및 상응하는 각각의 측면 플랜지의 자유 단부의 홈에서 각각의 중심롤러의 맞물림은 접속 와이어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압축응력 상태와 비교하여, 그들의탄성 휨 응력을 증가시키기에 적절한 힘을 그들의 자유 단부에서 중앙 플랜지로부터 분리의 방향으로 측면 플랜지에 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할 것이다.Of course, the engagement of the center roller or each center roller in the groove of the free end of the center flange and the engagement of each center roller in the groove of the free end of the corresponding respective side flange is dependent on the compressive stress state arranged to hold the connecting wire. In comparison, it will be sufficient to transfer a force suitable for increasing their elastic bending stress to the side flanges in the direction of separation from the central flange at their free ends.

이 때문에, 상기 언급한 유럽 특허 출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홈이 V-자형 단면을 가질 때, 적어도 하나의 중앙 롤러 및 적어도 한 쌍의 측면 롤러 쌍은 각각의 회전축을 경사지게 한 평면을 통해 단면으로 보여질 때 V자형상을 갖는 볼록한 외주를 갖는다.For this reason, as shown in the above-mentione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when each groove has a V-shaped cross section, at least one central roller and at least one pair of side roller pairs pass through a plane inclined each axis of rotation.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it has a convex outer circumference with a V-shape.

중앙 맞물림 부재와 측면 맞물림 부재 및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의 새시 사이의 기계적 연결 수단과 장착체와 같이, 스러스트 부재는 캐리지의 상기 언급한 전진이 용이하도록 바람직하게 설계되어 있다.The thrust member is preferably designed to facilitate the aforementioned advancement of the carriage, as is the mechanical connection means and the mounting body between the center engagement member and the side engagement member and the chassis of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트 부재는 상기 길이방향 평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새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2개의 접속 와이어의 각각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길이방향 평면에 대해 상호 대칭인 2개의 외주 홈을 구비하는 베어링이며, 스러스트 부재를 옮기기 위한 수단은 새시에 대해 상기 가로 방향으로 베어링의 회전축의 조정 가능한 배치 수단을 구비한다.To this en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ust member is mounted to be rotatable about a chassis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plane, and the longitudinal plane for receiving each one of the two connecting wires. Bearings having two outer circumferential grooves which are mutu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means for moving the thrust member with adjustable positioning means of the axis of rotation of the bear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lative to the chassis.

따라서, 유리하게, 베어링의 회전축의 조정 가능한 배치 수단은,Thus, advantageously the adjustable positioning means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bearing,

- 상대적인 이동의 어떠한 가능성 없이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새시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장착되며, 베어링의 회전축이 고정되는 슬라이더, 및A slider mounted so as to slide with respect to the chassi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out any possibility of relative movement, the rotation axis of the bearing being fixed;

- 상기 길이방향 평면에 가로축을 중심으로 슬라이더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가로 회전축을 따라 병진에 대향하여 슬라이더에 대해 고정되며, 스레드에 의해 새시와 맞물리며, 상기 가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새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운동 수단에 고정되는 스크류를 구비한다.Mounted to the longitudinal plane so as to rotate on a slider about a transverse axis, fixed relative to the slider against translation along the transverse axis, engaged with the chassis by a thread, with respect to the chassis about the transverse axis of rotation; It is provided with a screw fixed to the movement means to rotate.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제한되지 않은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것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carri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non-limiting embodiments.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이하의 라인은 직선과 수평으로 간주되며, 절곡 및/또는 경사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연 이해될 것이며, 당분야 당업자는 이런 경우에 이루어지는 설명을 용이하게 채택할 것이고, 라인의 중앙 종방향 평면의 개념을 대체하기 위해 곡선으로 놓이는 라인, 특히 그 장착체의 경우, 라인 또는 장착체의 각 단면에 대한 중앙 대칭 라인으로 구획 형성되는 원통면이 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라인 또는 장착체의 중앙 섬유는 종방향 기준으로 고려될 것이다.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following lines are considered straight and horizontal, and can be bent and / or inclin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dopt the description made in this case, and the center of the lin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curved line is intended to replace the concept of the longitudinal plan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mount, a cylindrical surface partitioned by a line or a central symmetry line for each cross section of the mount. The central fiber of the line or mounting body will be considered on a longitudinal basis.

가장 일반적인 경우에 대응하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종방향, 이 경우 수평방향(2)과, 종방향 대칭 평면, 이 경우 수직방향(3)의 전력공급선(1)은 서로에 대해 종방향 정렬로 위치되는 다수의 종방향 장착체(4)를 구비하여 평면(3)에 대해서 각각 대칭을 이루며, 이들 장착체(4)는 이음새 판(5)에 의해, 단부가 안전 방식으로 상호 조립되고, 이에 관해서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 예컨대, 각 몸체(4)는 참조는 아니지만 12 미터의 종방향 치수를 갖고 두 종방향으로 인접한 몸체(4)는 이들 사이에 수십 밀리미터의 종방향 틈새(6)를 유지하지만, 이들 값은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에 의해 지시되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값이 선택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corresponding to the most common case, the power supply lines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horizontal direction 2 and in the longitudinal symmetry plane, in this case in the vertical direction 3, are in longitudinal alignme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A plurality of longitudinal mounts 4 are positioned, each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3, which are mounted together by means of a seam plate 5, the ends being mutually assembled in a secure manner. This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For example, each body 4, although not a reference, has a longitudinal dimension of 12 meters and two longitudinally adjacent bodies 4 maintain a longitudinal clearance 6 of tens of millimeters between them, but these values are not limited. And other values may be selec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지금까지 알려진 방법에서, 몸체(4)는 별개 지지요소, 실제로, 소정 거리로 종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절연재(도시 생략)를 통해 터널(도시 생략)의지붕에서 걸려져 있다.In a method known up to now, the body 4 is hung from the roof of a tunnel (not shown) via a separate support element, in fact an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which i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distance.

또한, 라인(1)은 전동차에 의해 유지된 팬터그래프(pantograph)의 콜렉터 바우(collector bow)와 접속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두 개의 전도성 종방향 와이어(7)를 구비한다. 이들 와이어(7)는 평면(3)의 각 측면에 각각 놓여고 평면에 대해서 상호 대칭이고, 대부분의 종방향 치수에 걸쳐 장착체(4) 아래를 각 틈새(6)에 장착체(4)의 일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연장한다. 각 와이어(7)는 수백 미터의 종방향 치수를 갖고 터널의 길이에필요한 몸체(4)의 수의 종방향 정렬 아래를 연장할 수 있고, 종래 현가된 현수선의 형태의 터널 외부로 계속된다. 이처럼, 두 개의 몸체(4)가 도 1에 도시하지만, 단부에 놓여지는 몸체(4)의 수는 일반적으로 둘 이상이다. 일부 특정 경우에서, 적절한 종방향 치수의 단일 몸체(4)가 또한 충분할 수도 있다.The line 1 also has two conductive longitudinal wires 7 for supplying electricity in connection with a collector bow of a pantograph held by an electric vehicle. These wires 7 each lie on each side of the plane 3 and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and under each of the clearances 6 in each clearance 6 over most of the longitudinal dimensions. Extend from one point to another. Each wire 7 has a longitudinal dimension of several hundred meters and can extend below the longitudinal alignment of the number of bodies 4 required for the length of the tunnel and continues out of the tunnel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suspended suspension line. As such, two bodies 4 are shown in FIG. 1, but the number of bodies 4 placed at the ends is generally two or more. In some specific cases, a single body 4 of appropriate longitudinal dimension may also be sufficient.

바람직한 방법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와이어(7)는, 단면에서 현수선의 공지된 표준 형상, 즉 와이어(7)의 종방향 중앙 평면(8)에 관해서 상호 대칭인 두 V형상 노치의 원형 중공 형상을 갖고, 평면(8)은 평면(3)에 평행하고, 각 와이어(7)의 각 단면을 구획 형성하는 원의 중심을 통과하는 종방향 라인(10)을 다라 수직한 평면(8)을 절단하는 다른 종방향 평면(9) 바로 위에 놓여져 있다.As shown in the preferred method, each wire 7 is a circular hollow of two known V-shaped notches that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known standard shape of the suspension line in cross section, i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plane 8 of the wire 7. It has a shape, the plane 8 is parallel to the plane 3, the plane 8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line 10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ircle defining each cross section of each wire (7) It lies just above the other longitudinal plane 9 to cut.

이처럼 각각의 와이어(7) 전체는 원통형상을 갖고 이 형상은 라인(10)을 중심으로 축 대칭이고 전술한 노치에 대응하여, 평면(8)에 관해서 상호 대칭이고 평면(9) 바로 위에 놓이는 두 개의 종방향 홈(11)을 포함한다.As such, each wire 7 as a whole has a cylindrical shape, the shape being axially symmetric about line 10 and corresponding to the notches described above, two symmetrical with respect to plane 8 and directly above plane 9. Two longitudinal grooves 11.

두 와이어(7)의 단면은 이들 와이어(7)의 전체 종방향 치수에 걸쳐 일정하고동일하게 두 횡방향 양 단부 평면(12) 사이를 두 종방향 인접한 장착체(4) 사이 틈새(6)가 측정되는 전체 종방향 치수에 걸쳐 각 몸체(4)의 단면에 적용한다.The cross-sections of the two wires 7 are uniformly and equally spaced between two longitudinally adjacent end faces 12 between the two longitudinally adjacent mounting bodies 4 over the entire longitudinal dimension of these wires 7. This applies to the cross section of each body 4 over the entire longitudinal dimension to be measured.

이제 기술하는 각각의 장착체(4)는, 예컨대, 압출에 의한 단일 부품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지금까지 공지된 방법으로, 이음새 판(5)에 대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고, 또 공지된 방법에서, 와이어(7)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재료는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로서만 지시되는 것을 당연 이해할 것이다.Each mounting body 4 now described consists of a single part, for example by extrusion, and preferably can be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with respect to the seam plate 5 in a manner known so far, In another known method, the wire 7 is preferably made of copper or a copper alloy. However, it will of course be understood that these materials are indicated only as non-limiting examples.

상부를 향해, 각각의 장착체(4)의 방향이 주어지면, 와이어(7)를 현가하기 위해서 터널의 지붕 아래 매달릴 때, 장착체(4)는 평면(3)에 수직하고 이에 관해서 대칭인 견고한 평탄 베이스(1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베이스(13)는 평면(3)에 수직하고 대칭의 종방향 평면 표면(14, 15)에 의해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구획 형성되고, 각 측면에 평면(3)에서 이격하는 방향에서 구획 형성되면서, 평면(3)에 평행한 동시에 상호 대칭의 종방향 엣지방향 표면(16)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방법에서, 장착체(4)는 상면(14), 면(16) 및 각 엣지방향 면(16)에 바로 인접한 하면(15)의 한계 영역(17)과 맞물리는 클립에 의해 지지 절연체에서 베이스(13)에 의해 매달려져 있다.Towards the top, given the direction of each mounting body 4, when suspended under the roof of the tunnel to suspend the wire 7, the mounting body 4 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and symmetrical in this respect. And a flat base 13. More specifically, this base 13 is partitioned upwards and downwards, respectively, by longitudinal symmetrical longitudinal plane surfaces 14, 15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and spaced apart in the plane 3 on each side. It is partitioned by the longitudinal edge surfaces 16 which are parallel to the plane 3 and are mutually symmetrical while being partitioned in the direction. In a method known up to now, the mounting body 4 is supported by an upper surface 14, a face 16 and a clip in engagement with the limit area 17 of the lower face 15 immediately adjacent to each of the edge face 16. Is suspended by the base 13.

하면(15)에서 돌출하고, 베이스와 단일 부품으로 제조됨으로써 베이스(13)에 고정되는 장착체(4)는 평면(3)에 놓여진 중앙 플랜지(18)와, 이 평면(3)에 관해서 상호 대칭인 동시에 대략 평행한 평면(3)의 각 측면에 각각 놓이는 두 개의 측면 플랜지(19)를 갖는 세 개의 종방향 플랜지를 구비한다. 베이스(13)와의 각 접속에서 대향 측면에, 즉 하방으로, 중앙 플랜지(18)와 두 측면 플랜지(19)는 각각 자유단(20, 21)을 갖는다. 각 플랜지(18, 19)와 베이스(13)의 연결과 같이, 각 플랜지(18, 19)의 자유단(20, 21), 적어도 측면 플랜지(19)는 견고하지만, 적절한 중앙 플랜지(18)는 베이스(13)와 연결과 그 자유단(20) 사이에 탄성적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The mounting body 4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15 and fixed to the base 13 by being made of a base and a single component is mutu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flange 18 placed on the plane 3 and the plane 3. At the same time with three longitudinal flanges with two side flanges 19 each lying on each side of a substantially parallel plane 3. On opposite sides, ie downwards, in each connection with the base 13, the central flange 18 and the two side flanges 19 have free ends 20, 21, respectively. Like the connection of each flange 18, 19 and the base 13, the free ends 20, 21, at least the side flanges 19 of each flange 18, 19 are firm, but a suitable central flange 18 It may be elastically bent between the base 13 and the connection and its free end 20.

이 때문에, 각 측면 플랜지(19)는 평면(3)을 향해 평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에서, 대략 평면이고 대략 평면(3)에 평행한 각 종방향 면(22, 23)에 의해 각각 구획 형성된다. 각 플랜지(19)의 면(22, 23)은 하부면(15)의 경계 영역(17) 사이의 절단면(24, 25) 각각에 의해 베이스(13)의 하부면(15)에 연결되며, 플랜지(19)의 전술한 탄성 편향을 허용하기 위해 하부를 향해, 그 자유단(21)에 관해서, 특히 평면(3)에서 이격되는 방향에서, 서로 접근한다.For this reason, each side flange 19 is partitioned by respective longitudinal faces 22, 23 that are approximately planar and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plane 3,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plane toward the plane 3. The faces 22, 23 of each flange 19 are connected to the bottom face 15 of the base 13 by respective cutting faces 24, 25 between the boundary regions 17 of the bottom face 15, the flanges To allow the aforementioned elastic deflection of (19), they approach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ir free ends 21, in particular in the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plane 3.

동일하게, 중앙 플랜지(18)가 평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에서, 두 종방향 평면(26)에 의해, 평면(3)의 측면에 각각 구획 형성되고, 종방향 평면은 각 절단면(27)에 의해 베이스(13)의 하부면(15)에 연결되고 바닥을 향해 서로 접근한다. 이는 또한 평면(3)에 수직한 중앙 플랜지(18)의 특정한 탄성 가요성을 발생하지만, 중앙 플랜지(18)는 장착체(4)의 정상 동작 조건에서, 즉 장착체 아래 두 와이어(7)의 면전에서, 베이스에 완전히 견고한 것으로 거동하고, 대칭이기 때문에, 당분야 당업자는 나머지의 설명을 읽음으로서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Equal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ral flange 18 is spaced apart from the plane, the two longitudinal planes 26 are respectively defined on the sides of the plane 3, the longitudinal plane being defined by the respective cutting planes 27. It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5 of 13 and approaches each other towards the bottom. This also results in a particular elastic flexibility of the central flange 18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but the central flange 18 is in norma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mounting body 4, ie of the two wires 7 below the mounting body. In the presence, because it behaves completely solid to the base and is symmetrical, on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by reading the rest of the description.

바닥을 향해,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에서, 각각의 면(26)은 평면(3)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종방향 평면(28)에 연결된다. 바닥을 향해, 평면(3)에서이격하는 방향에서, 각각의 이들 평면(28)은 절단면(참조번호 없음)에 의해, 종방향 평면(29)에 연결되고, 평면(28)과 평면(29)의 접속에서 바닥을 향해 평면(3)으로 접근한다. 평면(28, 29)의 단면은 평면(3)에서 이격하는 방향에서 선회된 립 또는 버클(32)을 나타내고 각 와이어(7)의 각 홈(11)에 끼워지는 표준 형상과 치수를 갖는다.Towards the bottom, at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18, each face 26 is connected to a longitudinal plane 28 which moves downward in the plane 3. Towards the floor, in the direction spaced from the plane 3, each of these planes 28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plane 29 by a cut plane (no reference number), and the plane 28 and the plane 29 Approach the plane 3 towards the floor at the connection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planes 28, 29 represent the ribs or buckles 32 pivo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plane 3 and have standard shapes and dimensions fitted to the respective grooves 11 of each wire 7.

바닥을 향해, 즉 베이스(13)에서 가장 멀리, 평면(29)은 플랜지(18)의 자유단(20)의 종방향 평면(30)에 연결되고, 두 평면(30)이 상부를 향해 서로 수렴하고 평면(3)에 평행하게 서로 연결되도록 평면(29)과의 접속에서 평면(30)이 상승하므로, 두 립(32) 사이를 구획 형성하여 종방향 홈(31)이 바닥을 향해 개방되고, 평면(3)에 관해서 대칭인 V형 단면을 갖는다.Towards the floor, ie farthest from the base 13, the plane 29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plane 30 of the free end 20 of the flange 18, with the two planes 30 converging towards each other upwards. And the plane 30 rises in connection with the plane 29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plane 3, so that the longitudinal grooves 31 are opened toward the floor by partitioning between the two ribs 32, It has a V-shaped cross section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plane 3.

각 측면 플랜지(19)의 평면(22) 자체는 각 자유단(21)에서, 바닥을 향해 종방향 평면(33)에 연결되고, 평면(33)은 바닥을 향해 근접하도록 평면(3)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된다.The plane 22 itself of each side flange 19 is connected at each free end 21 to the longitudinal plane 33 towards the bottom and the plane 33 is in relation to the plane 3 so as to approach towards the floor. It is formed at an angle.

이 평면(33) 자체는 평면(3)에 관해서 경사진 바닥을 향해 근접하는 종방향 평면(34)에 바닥을 향해 연결되고 하부를 향해 절단면에 의해, 평면(3)의 동일 측면에 위치된 평면(29)의 반대방향에서 경사진 평면(3)에서 이격하는 종방향 평면(35)에 자체가 연결되기 위해서 평면(3)의 동일 측면에 위치된 평면(28)에 반대방향이다. 바닥을 향해, 평면(35)은, 해당 측면 플랜지(19)의 평면(23)에서 이격되는 것보다 큰 거리로, 동일 측면에 놓이는 평면(30)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평면(3)에서 이격방향으로 상승하는 종방향 평면(36)에 연결된다.This plane 33 itself is connected to the bottom to a longitudinal plane 34 proximate towards the bottom which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lane 3 and is located on the same side of the plane 3 by the cutting plane towards the bottom. It is opposite to the plane 28 located on the same side of the plane 3 in order to connect itself to the longitudinal plane 35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plane 3 which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29. Towards the floor, the plane 35 is spaced apart from the plane 3 which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lane 30 lying on the same side at a distance greater than that spaced from the plane 23 of the corresponding side flange 19. It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plane 36 which rises in the direction.

평면(34, 35)은 이 플랜지(19)의 자유단(21)에서 평면(3)에 수직방향으로 각 립(32)에 수직 방향에서 직접적으로 향하는 각 립(32)에 립 또는 버클(37)을 형성하고 와이어(7)의 홈(11)에 끼워지는 표준 형상과 치수를 갖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와이어(7)와 장착체(3)의 상호 조립 위치에서 다른 홈(11)은 이 립(32)에 끼워진다. 이 위치에서, 두 개의 립(32)(37)은 와이어(7)의 평면(8)에 관해서 상호 대칭이고 립 사이에 유지하고 그 평면(9) 위에 거의 완전히 놓이고 대응하는 측면 플랜지(19)는 립(37)을 평면(3)을 행해, 와이어(7)에 대해 가압하고, 해당 립(37)으로 평면(3)의 동일 측면에 놓이는 립(32)에 대해 이 평면(3)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평면(3)에서 이격하는 방향에서 탄성 편향 프리스트레싱으로 놓이게 된다. 이 탄성 편향 프리스트레싱은 립(32)(37)에서, 장착체(3) 제조시 와이어(7)를 적소에 놓기 이전에, 평면(8)에 수직한 와이어(7)의 홈(11)의 상호 간격에 대한 사전 설정치보다 작은 상호 간격을 부여함으로써 각 측면 플랜지(19)의 적절한 치수로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이는 두 대응 립(32)(37) 사이에 각 와이어(7)의 사전 설정 클램핑 효과와, 각 와이어(7)를 장착체(4),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종방향으로 상호 병렬로 위치되는 각각의 장착체(4)에 고정하는 결과로, 전체 종방향 치수에 걸쳐 각 장착체(4)의 통전에 대한 친밀한 접속을 발생한다. 지금까지 공지된 방법에서, 이 수준으로 통전은 각 립(320(37)과 대응 각 홈(11) 사이의 접속 윤활유를 개재함으로써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nes 34, 35 are lip or buckle 37 at each free end 21 of the flange 19 which is directed directly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lip 32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 And has a standard shape and dimensions fitted to the groove 11 of the wire 7, and the other groove 11 at the mutual assembly position of the wire 7 and the mounting body 3 shown in FIGS. 2 and 3. ) Fits into this lip 32. In this position, the two ribs 32 and 37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8 of the wire 7 and remain between the ribs and lie almost completely over the plane 9 and corresponding side flanges 19. Presses the lip 37 against the plane 3, against the wire 7, towards the plane 3 with respect to the lip 32 lying on the same side of the plane 3 with the lip 37. By pressing, it is placed in the elastic deflection prestressing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plane 3. This resilient deflection prestressing is performed at the ribs 32 and 37 by the mutual interaction of the grooves 11 of the wires 7 perpendicular to the plane 8, before placing the wires 7 in place in the manufacture of the mounting body 3. By giving a mutual spacing less than a preset value for the spacing, it can be predetermined with the appropriate dimensions of each side flange 19,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t clamping effect of each wire 7 between the two corresponding lips 32, 37. , As a result of securing each wire 7 to the mounting body 4 or, more particularly, to each mounting body 4 located in parallel to one an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mounting body 4 over the entire longitudinal dimension. Intimate connection to the power supply. In the methods known so far, the energization at this level is preferably improved by interposing a connecting lubricant between each lip 320 (37) and the corresponding respective groove 11.

장착체(4) 또는 각 장착체(4)로 각각의 접속 와이어(7)를 고정하는 이 클램핑 효과와, 상호 통전 접속 때문에 측면 플랜지(19)의 탄성 편향 프리스트레싱을발생하는 것을 주목할 것이다.It will be noted that this clamping effect of securing each connecting wire 7 to the mounting body 4 or to each mounting body 4 and to the elastic deflection prestressing of the side flange 19 due to the mutual energizing connection.

당연히, 대칭에 의해, 두 와이어(7)가 존재할 때 측면 플랜지(19)의 편향 프리스트레싱의 효과는 중앙 플랜지(18)의 임의 편향을 유도하지 않는데, 대응하는 와이어(7)를 통해 두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에서, 플랜지(18)의 자유단(20)에 의해 받는 힘이 서로 상쇄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접속 와이어(7)가 일시적으로 없는 경우, 플랜지(18)는 대응하는 측면 플랜지(19)의 나머지 와이어(7)를 통해 받는 스러스트의 효과하에서 탄성적으로 절곡될 수 있지만, 나머지 접속 와이어(7)가 중앙 플랜지(18)와 대응하는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0(37) 사이에 충분히 유지되는 한편, 일시적으로 분리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장착체(4) 아래 두 와이어(7)의 연속 장착을 보다 용이하고, 다른 한편 각 몸체(4)와 친밀한 통적을 유지하기 위해, 탈착되는 다른 와이어(7)가 필요한 경우, 단일 와이어(7)로 전력공급선(1)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Naturally, by symmetry, the effect of deflection prestressing of the side flanges 19 in the presence of the two wires 7 does not lead to any deflection of the central flange 18, through which the two side flanges ( This is because the forces received by the free end 20 of the flange 18 cancel each other at the free end 21 of 19. If one connecting wire 7 is temporarily absent, the flange 18 may be elastically bent under the effect of thrust received through the remaining wire 7 of the corresponding side flange 19, but the remaining connecting wire (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of temporary disconnection, the two wires under each mounting body 4 are retained sufficiently between the center flange 18 and the free end 20 (37) of the corresponding side flange 19. In order to facilitate continuous mounting of the (7) and on the other hand to maintain intimate integration with each body (4), if another wire (7) to be detached is needed, using the power supply line (1) with a single wire (7) It is possible.

평면(3)에서 이격 방향으로, 각 평면(36)은 평면(3)에 대략 평행하고 대응하는 측면 플랜지(19)의 평면(23)보다 더 이격되는 종방향 평면(38)에 연결되고, 이 평면(38)은 평면(23)에 평면(3)에 대략 수직한 종방향 평면(39)에 의해 연결되어, 이 평면(3)에서 상방으로 선회되고 이격 방향으로 측면 플랜지(19)에서 돌출하도록 위치된다. 평면(38)에 가장 인접한 영역에서 평면(36), 평면(38), 대응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에 형성하는 평면(39), 측면 플랜지(19)의 평면(23)에서 돌출하는 견고한 턱(40), 평면(3)에서 이격방향으로, 베이스(13)의 상부면(14), 엣지방향 표면(16)을 덮고, 턱(40)에 체결하여 측면 플랜지(19)의 표면(23)을 덮지만 바닥과평면(9) 아래 위치된 각 접속 와이어(7)의 절반을, 옆길을 향해 자유 공간을 남기는 분리형 절연 커버(도시 생략), 터널의 지붕에서 매달리기 위해 두 연속 종방향 절연재 사이에, 장착체(4)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응 평면(38)에 가장 인접한 각 평면(36)의 영역에서, 대응 턱(40)에서, 바닥을 향해 개방된 종방향 홈(41)을 중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V형 단면을 갖고, 평면(3)에 대략 평행한 각 평면(42)에 관해서 대칭이고, 홈(41)이 턱(40)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각 립(37)에 관해서 오프세트 위치에서, 평면(3)에서 이격 방향으로, 커버의 고정을 강화하기 위해 턱(40)에 탄성에 의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rection away from plane 3, each plane 36 is connected to a longitudinal plane 38 which is approximately parallel to plane 3 and further apart than plane 23 of the corresponding side flange 19. The plane 38 is connected to the plane 23 by a longitudinal plane 39 which 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so as to pivot upward in this plane 3 and to project from the side flange 19 in the spacing direction. Is located. In the area closest to plane 38, plane 36, plane 38, a plane 39 forming at the free end of the corresponding side flange 19, a solid protruding from plane 23 of the side flange 19 Covering the upper surface 14, the edge surface 16 of the base 13,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jaw 40, the plane 3, and fastening to the jaw 40, the surface 23 of the side flange 19. ), A detachable insulation cover (not shown) that leaves half of each connecting wire 7 located below the floor and plane 9, leaving free space towards the sideways, between two successive longitudinal insulations to hang from the roof of the tunne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asten to the mounting body 4. In the region of each plane 36 closest to the corresponding plane 38, in the corresponding jaw 40, it is preferable to hollow out the longitudinal grooves 41 that open toward the bottom, and have a V-shaped cross section, In plane 3,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plane 42 approximately parallel to plane 3, grooves 41 are formed in jaw 40, and in offset positions with respect to corresponding respective ribs 37. In the spacing direction, it is preferred to be used elastically in the jaw 40 to reinforce the fixing of the cover.

당연히, 종방향으로 인접한 두 몸체(4)의 단부를 조립하는 이음매 판은 측면 플랜지(19)의 탄성의 효과에 의해 장착체(4)에 와이어(7)를 고정하는데 불리하지 않고, 이 때문에, 이음새 판은 평면(3)의 동일 측면에 위치되고 측면 플랜지(19)의 각각에 고정되어 평면(3)의 동일 측면에 놓이는 인접한 장착체(4)의 각 측면 플랜지(19)와 인접한 장착체(4)의 측면 플랜지 사이에 틈새(6)를 횡단하는 각 이음새 판(5)에 의해 유지된다.Naturally, the joint plate, which assembles the ends of the two longitudinally adjacent bodies 4, is not disadvantageous for fixing the wires 7 to the mounting body 4 by the effect of the elasticity of the side flanges 19, The seam plate is located on the same side of the plane 3 and is fixed to each of the side flanges 19 and adjacent to each side flange 19 of the adjacent mounting body 4 lying on the same side of the plane 3. It is held by each seam plate 5 traversing the gap 6 between the side flanges of 4).

이 때문에, 도 1 및 도 3의 고찰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체(4)의 단부면(12) 각각에 종방향으로 인접 위치된 영역에서, 두 측면 플랜지(19)가 천공되고, 이 경우 네 개의 상호 평행한 축(43)을 따라, 평면(3)에 대략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종방향 높이로 동시에 횡방향 높이로 쌍으로 놓이고, 각 구멍(44)을 갖고 명료하기 위해 도 1이 아닌 도 3에 도시하는 각 볼트(45)의 동축 통로를 허용하기 위해 이를 통해 측면에서 측면을 관통한다.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by the considerations of FIGS. 1 and 3, in the region located longitudinally adjacent to each of the end faces 12 of the mounting body 4, the two side flanges 19 are perforated. In this case along the four mutually parallel axes 43, in pairs at the same transverse height at the same longitudinal height,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with each hole 44 for clarity It penetrates from side to side through this to allow a coaxial passage of each bolt 45 shown in FIG.

각각의 이음새 판(5)은 대응하는 장착체(4)의 측면 플랜지(19)와 플랜지(18) 사이에 상호 연결되는 두 측면 플랜지(19)의 평면(22)에 부착되는 종방향 바아 형태를 갖고, 각 볼트(45)와 함께 동축으로 각 구멍(44)에 대향하는 탭 홀(46)에서, 서로 나사 체결에 의해 이들 평면(22)에 대해 가압 유지되고, 이 볼트(45)의 헤드가 대응하는 측면 플랜지(19)의 평면(23)에 유지하는 스프링 와셔(4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seam plate 5 has a longitudinal bar shape that is attached to the plane 22 of the two side flanges 19 interconnected between the side flanges 19 and the flanges 18 of the corresponding mounting body 4. In the tab hole 46 opposed to each hole 44 coaxially with each of the bolts 45, pressed against these planes 22 by screwing together, and the head of the bolt 45 It is preferred to have a spring washer 47 held in the plane 23 of the corresponding side flange 19.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에 의해, 각 이음새 판(5)은 약 40 cm의 종방향 치수를 갖고, 각 몸체(4)의 해당 평면(12)에 가장 근접한 구멍(43)은 약 5 cm의 거리로 이 평면(12)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이 평면(12)에서 더 이격된 구멍(44)은 약 15 cm의 거리로 종방향으로 이격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에 의해 주어지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수치가 선택될 수 있다.By way of non-limiting embodiment, each seam plate 5 has a longitudinal dimension of about 40 cm and the holes 43 closest to the corresponding plane 12 of each body 4 are at a distance of about 5 cm. Holes 44 spaced longitudinally with respect to this plane 12 and further spaced from this plane 12 are spaced longitudinally with a distance of about 15 cm. However, these figures are given by way of example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other values may be selec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중앙 플랜지(18)와 접속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음새 판(5)은 평면(3)에 수직한 대응하는 평면(26)에서 각 평면(22)의 분리보다 작은 평면(3)에 수직한 두께를 가지며, 볼트 생크(45)는 중앙 플랜지(18)와 접속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규격된다.Also, in order not to contact the central flange 18, the seam plate 5 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smaller than the separation of each plane 22 in the corresponding plane 26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Having a thickness, the bolt shank 45 is sized so as not to contact the center flange 18.

그러나, 이음새 판(5)은 적어도 각 장착체(4)의 단면 절반에 상당하는 단면을 가지므로, 전체를 고려해, 종방향으로 인접한 두 장착체(4)를 조립하는 두 이음새 판(5)은 장착체(4)에 의해 제공되는 것에 상당하는 전류의 통로에 대한 단면을 제공한다.However, since the seam plate 5 has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half of the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mounting bodies 4, in view of the whole, the two seam plates 5 for assembling two longitudinally adjacent mounting bodies 4 are provided. A cross section is provided for the passage of current corresponding to that provided by the mounting body 4.

이처럼, 이음새 판(5)에 의해 서로 조립된 장착체(4)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는 본 관점에서 무시될 수 있는 틈새(6)를 제외하곤, 전체 길이에 걸쳐 두 와이어(7)의 효율적인 유지 뿐만 아니라, 라인(1)의 전체 종방향 치수에 걸쳐 전류의 통과에 대한 필요한 단면 보장할 수 있다.As such, the assembly formed by the mounting body 4 assembled to each other by the seam plate 5 is not only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two wires 7 over the entire length, except for the gaps 6, which can be ignored in this respec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required cross section for the passage of current over the entire longitudinal dimension of the line (1).

따라서,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에 의해, 각 이음새 판(5) 단면을 1600 mm2, 각 장착체(4)의 단면을 3120 mm2, 각 전도체(7)의 단면을 107, 120 또는 150 mm2으로 주어짐으로써 시도 동안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당연히, 다른 값이 선택될 수 있고, 이들 값은 본 발명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Thus, by way of non-limiting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each seam plate 5 is 1600 mm 2 , the cross section of each mounting body 4 is 3120 mm 2 , and the cross section of each conductor 7 is 107, 120 or 150 mm 2. Good results are obtained during the trial, of course, other values may be chosen, and these value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vention.

게다가, 장착체(4)는 전도성 와이어(7)가 종방향 연속한 두 지지 절연체 사이의 라인(1)의 편향에 의한 파형 구성을 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지 절연체의 상호 소정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정지시, 즉 절연체에 의해 지붕에서 매달리기 이전과 와이어(7) 장착 이전에, 절연체를 통한 현가 후 와이어(7)의 고정후, 굴곡이 장착체(4)와 와이어(7)의 무게의 효과로 상쇄되는 소정의 굴곡을 갖도록 각 장착체(4)는 제조된다. 제조 동안 각 장착체(4)에 주어지는 굴곡 결정은 당분야 당업자의 통상 능력을 포함하며, 이런 종류의 장착체(4)의 설계는 현가 절연체의 수를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현가 절연체는 통상적으로 이들 사이 과도한 굴곡을 제공한다.Furthermore, it may be desirable for the mounting body 4 to be able to prevent the conductive wire 7 from taking a wave configuration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line 1 between two longitudinally continuous support insulators. For this reason, by setting mutually predetermined intervals of the support insulators, the bends are fixed after the fixing of the wires 7 after suspension through the insulators, during suspension, i.e. before the suspension is suspended from the roof by the insulators and before the wires 7 are mounted. Each mounting body 4 is manufactur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which is offset by the effect of the weight of the wire 4 and the wire 7. The bending crystals given to each mounting body 4 during manufacture include the usual capabilitie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design of this type of mounting body 4 is possible to prevent increasing the number of suspension insulators, Typically provides excessive bending between them.

가장 일반적인 경우에서, 라인(1) 조립시, 지붕 아래 지지 절연체를 고정함으로써 프로세스가 시작하고, 초기에 접속 와이어(7) 없이, 각각의 장착체(4)가, 이음새 판(5)에 의해 종방향으로 인접한 장착체(4)를 조립함으로써 적절하게 고정하며, 접속 와이어(7)가 이후에 적소에 놓여진다.In the most common case, when assembling the line 1, the process begins by fixing the support insulator under the roof, and initially without the connecting wires 7, each mounting body 4 is closed by a seam plate 5. By assembling the adjacent mounting bodies 4 in the direction, the connection wires 7 are subsequently placed in place.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48)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로 기술하는 한정하지 않는 예시적 실시 형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캐리지(48)를 미리 상호 종방향으로 정렬된 장착체(4) 또는 장착체들(4)을 따라 전진시킴으로써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40)을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에서 분리하여, 각 접속 와이어(7)가 각 립(32, 37)의 쌍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이 삽입을 유지하고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40)을 해제하여, 탄성을 통해, 각 립(37)이 각 와이어(7)의 홈(11)에 맞물리고 연속된 종방향 영역에서,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2)의 각 립(32)에서 다른 홈(11)에 강제로 맞물리며, 캐리지(48)가 종방향으로 진행한다.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limiting exampl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9 is used for the carriage 48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this carriage 48 mounts mutually longitudinally aligned previously. By advancing along the sieve 4 or the mounting bodies 4, the free end 40 of the side flange 19 is separated from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18, so that each connecting wire 7 is angled. It can be inserted between a pair of lip 32, 37, retaining this insertion and releasing the free end 40 of the side flange 19, through elasticity, so that each lip 37 is connected to each wire 7. In the continuous longitudinal region of the groove 11 of the center flange 18, forcing each other into the other groove 11 at each lip 32 of the free end 22 of the central flange 18, the carriage 48 be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ceed to

라인(1)의 동작 위치가 주어지고, 캐리지(48)가 주로 라인 아래에 위치되며, 장착체(4)에서 또는, 적절하게, 종방향으로 인접한 두 장착체(4)에서 이들 사이 상호 접속에 위치되면 국부적으로 매달리고, 수단을 통해 도한 종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바람직하게는 롤링에 의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특정 동작 위치에서 캐리지(48)의 나머지 설명을 참조로 기능한다. 편의상, 캐리지(48)가 단일 장착체(4)에서 현가되는 것을 이하에 고려하고, 두 연속한 장착체(4)에서의 현가는 동일 조건하에서 발생하고 라인(1)을 따라 그 진행은 어려움 없이 일 장착체(4)에서 종방향으로 인접한 장착체(4)까지 통과하는 것이 이해되고, 나머지의 설명을 읽고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이 설명을 위해, 다른 진술이 없는 한, 또한 라인(1)이 완전하고, 즉 예컨대, 두 접속 와이어(7) 또는 그 중 하나를 변화하여 수리 이전에 라인(1)의 조건에 대응하는 두 현가 와이어(7)가 장착체(4)에 고정되거나 장착체(4)와 정렬되는 것이라 가정한다.Given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line 1, the carriage 48 is mainly located below the line, and in the mounting body 4 or in the two longitudinally adjacent mountings 4, suitably for interconnection between them. When positioned, it is suspended locally, allowing longitudinal movement through the means, and preferably by rolling, functions by reference to the remaining description of the carriage 48 in the particular operating position shown in FIGS. For convenience, the carriage 48 is suspended below in a single mounting body 4 and the suspension in two consecutive mounting bodies 4 takes place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its progression along the line 1 is without difficulty. It is understood that the passage from one mounting body 4 to the longitudinally adjacent mounting body 4 is understood, and the rest of the descrip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In addition, for the purposes of this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tated, also the line 1 is complete, i.e. changing the two connection wires 7 or one of them to correspond to the conditions of the line 1 prior to repair. It is assumed that the two suspension wires 7 are fixed to or aligned with the mounting body 4.

캐리지(48)는 주로 라인(1)보다 작은 위치에 놓이는 견고한 새시(49)를 구비하고 라인(1)의 대칭인 종방향 중앙 평면(3)과 일치하는 결과적으로 참조번호(3)로 할당되는 종방향 평면에 관해서 대칭인 대략 직사각 평행 6면체의 전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새시(49)는 라인(1)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종방향과 횡방향의 개념인 횡방향 대칭 평면(50)을 갖는다.The carriage 48 has a rigid chassis 49, which is located primarily at a position smaller than the line 1, and is consequently assigned a reference number 3 as a result of coinciding with the symmetric longitudinal central plane 3 of the line 1. It has the overall shap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plane. The chassis 49 also has a transverse symmetry plane 50 which is a concept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 1.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한 실시예에서, 새시(49)가 견고하고, 평탄한, 대략 직사각형, 평면(3)에 관해서 상호 대칭이고 평면(50)에 관해서 평행하고 각각 대칭인 두 단부 플레이트(51)의 안전한 조립체에 의해 형성되고, 네 개의 스페이서가 견고하고, 평면(3)에 수직한 직선이고, 두 단부 플레이트(51)를 상호 연결하고, 평면(50)에 관해서 상호 대칭인 두 종방향 단부 스페이서(52)에 의해, 평면(50)에 관해서 상호 대칭인 종방향으로 두 개의 중앙 스페이서(53)를 구비한다. 이들 스페이서(52)(53)는 평면(3)에 수직한 단부 플레이트(51) 사이에, 이 평면(3)에 수직한 상호 분리하는 것보다 큰 상호 간격을 유지하고, 홈(11)과 와이어(7)에서 립(32)(37)을 완전히 해제하기 위해서 평면(3)에 수직한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에서 충분히 이격될 때 측면 플랜지(19)의 굴곡이 탄성 영역 내에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이들 자유단(21)이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의 턱(40)의 평면(38)을 유지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52)(53)는 접속 와이어(7) 아래 높이에 위치되므로 라인(1)을 따른 캐리지(48)의 변위, 또는 와이어(7)의 탈착과 재장착의 작업이 방해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hassis 49 is a rigid, flat, approximately rectangular, two end plate 51 which is mutu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3 and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plane 50 and respectively symmetrical. Two longitudinal end spacers formed by a safe assembly of the four spacers, which are rigid, are straight lines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interconnect the two end plates 51, and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50. 52 provides two central spacers 5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50. These spacers 52 and 53 maintain a greater mutual gap between the end plates 51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than the mutual separa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and the grooves 11 and the wires. The curvature of the side flanges 19 in the elastic region when (7) is sufficiently spaced at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18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to completely release the lips 32, 37. Within the retaining range, these free ends 21 hold the plane 38 of the jaw 40 of the free ends 21 of the side flanges 19. In addition, as described below, the spacers 52 and 53 are located at a height below the connecting wire 7 so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carriage 48 along the line 1 or the removal and remounting of the wire 7 can be achieved. Work is not disturbed.

상부를 향해, 각각의 단부 플레이트(51)는 예컨대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의 평면(36)의 중간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되는 직선형 종방향 상부 엣지(153)를 갖는다. 이 상부 엣지(153)를 따라, 각 단부 플레이트(51)는 각 종방향 로드(54)를 단단하게 고정하고 이 로드는 평면(50)에 관해서 대칭이고 상부 엣지(153)를 따라 진행하므로 각 단부 플레이트(51)를 동일 평면에서 상방으로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의 턱(40)의 평면(39)보다 큰 높이까지 연장하지만, 베이스(13)의 높이로 도달하지 않고 평면(38)을 각각 따라 진행하는 동시에 평면에 관해서 틈새를 유지하고, 평면(3)에 수직 방향으로, 라인(1)에 관해서 캐리지(48)의 종방향 이동, 또는 와이어(7)의 탈착 및 재장착을 허용할 수 있는 조건하에서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에서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의 분리를 방해하지 않는다.Towards the top, each end plate 51 has, for example, a straight longitudinal upper edge 153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middle height of the plane 36 of the free end 21 of the side flange 19. Along this upper edge 153, each end plate 51 holds each longitudinal rod 54 firmly and this rod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50 and runs along the upper edge 153 so that each end The plate 51 extends from the same plane upwards to a height greater than the plane 39 of the tuck 40 of the free end 21 of the side flange 19, but does not reach the height of the base 13 but is flat ( 38, each along its path, while maintaining a clearance with respect to the plan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arriage 48 with respect to the line 1, or withdrawal and remounting of the wire 7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paration of the free end 21 of the side flange 19 from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18 under conditions that allow it.

턱(40)의 평면(21) 위에서 베이스(13) 아래 높이에서, 각각의 로드(54)는 각각의 회전고리(55)가 선회를 향해서 평면(3)에 수직한 각 축(56)에 두 개의 회전고리(55)를 지지한다. 이 평면에 수직하게, 각각의 회전고리(55)는 치수를 갖고, 평면(3)과 동일 측면에 각기 위치되는 측면 플랜지(19)에서, 평면(3)에 수직한 충분한 틈새를 가져,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과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의 전술한 분리를 허용한다. 동일 로드(54)의 두 회전고리(55)는 평면(50)에 관해서 상호 대칭이고, 동일하게, 로드(54)의 각 회전고리(55)는 평면(3)에 관해서 다른 로드(54)의 각 회전 고리(55)와 대칭, 또한 이 회전고리에 동축으로 평면(3)에 관해서 대칭이다.At a height below the base 13 above the plane 21 of the jaw 40, each rod 54 is placed on each axis 56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with each swivel 55 facing the pivot. Supports two rotary rings (55). Perpendicular to this plane, each swivel 55 has a dimension and, in the side flange 19, each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plane 3, with a sufficient clearance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the center flange Allows for the aforementioned separation of the free end 20 of 18 and the free end 21 of the side flange 19. The two rotation rings 55 of the same rod 54 are mutu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plane 50, and likewise, each rotation ring 55 of the rod 54 has a different rotation 54 with respect to the plane 3. I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rotary ring 55, and symmetric about the plane 3 coaxially with this rotation ring.

각각의 회전고리(55)는 각 축(56)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으로 장착을 제공하고, 각 롤러(57)의 각 로드(54)에서 아무런 변위 없이, 평면(3)의 동일 측면에 놓이는 플랜지(19)의 자유단(21)의 턱(40)의 평면(39) 바닥을 향해 지지한다. 회전고리(55)와 유사하게, 와이어(7)의 탈착 및 재장착을 허용하기 위해 이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이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에서 충분히 이격될 때 이 평면의 동일 측면에 각각 놓이는 측면 플랜지(19)에서, 롤러(57)는 평면(3)에 수직한 틈새에 적합하기 위해 치수된다.Each swivel 55 provides a free rotation about each axis 56 and a flange lying on the same side of the plane 3 without any displacement on each rod 54 of each roller 57. (19) is supported toward the bottom of the plane (39) of the jaw (40) of the free end (21). Similar to the swivel ring 55, the free end 21 of this side flange 19 may be sufficiently spaced apart from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18 to allow the wire 7 to be detached and refitted. In the side flanges 19, which respectively lie on the same side of this plane, the rollers 57 are dimensioned to fit a gap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네 개의 상호 동일한 롤러(57)는 새시(49)에 의해, 측면 플랜지(19)의 두 자유단(21)의 턱(40)에 캐리지(48)를 고정하고 턱(40)의 평면(39)에 대해 롤링함으로써, 장착체(4)에 관해서 캐리지(48)의 종방향 안내를 제공한다.Four mutually identical rollers 57 are secured by the chassis 49 to the carriage 48 at the jaws 40 of the two free ends 21 of the side flange 19 and to the plane 39 of the jaws 40. By rolling against, the longitudinal guidance of the carriage 48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ody 4 is provided.

도시하지 않은 방법에서, 각 로드(54)는 대응하는 각 단부 플레이트(51)에 로드(54)와 롤러(57)가,장착체(4)에 캐리지(48)의 체결과 해제 동작을 허용하는 전술한 그 동작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오프세트하는 것이 가능한 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이런 수단이 캐리지(48)와 유사한 캐리지의 경우에 알려져 있지만, 보다 상세하게는 데라쇼 에스아, 119 애비뉴 루이스 로체, 에프92231 겐네빌리에르의 참조번호 552 020 으로 판매되는 캐지리를 장착하는 제1 실시 형태에서, 그리고 본 출원인에 의한 참조번호 552 411 으로 판매되는 캐리지를 장착하는 제2 실시 형태에서, 단일 와이어 견고한 현수선의 접속 와이어만을 장착 및 탈착하도록 의도된다. 이들 수단은 참조번호(58)로 전체 지시되고, 결과적으로 개시하지 않지만 동일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연 이해될 것이다.In a method not shown, each rod 54 has a rod 54 and a roller 57 at each corresponding end plate 51 to allow fastening and disengaging of the carriage 48 to the mounting body 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at operating position described above, it is fixed by means which can be offset. Such means are known in the case of carriages similar to carriage 48, but in more detail the first to mount the carriage sold under reference number 552 020 to Terrassho Essau, 119 Avenue Louise Roche, F. 92231 Gennevilleier. In the embodiment 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mounting the carriage sold by the applicant at 552 411, it is intended to mount and detach only the connecting wire of a single wire rigid suspension lin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se means are ful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8 and can be replaced by other means that do not disclose as a result but provide the same functionality.

게다가, 각 단부 플레이트(51)는 직선이고 평면(50)에 관해서 상호 대칭이고 그 인접부가 각 단부 스페이서(52)에 위치되는 두 개의 정면 엣지(59)와, 종방향이지만 바닥을 향해 볼록한 하부 엣지(60)을 갖고, 하나의 정면 엣지(59)에 연결되며, 대략 종방향이지만, 이 각 정면 엣지(52)와 연결하여 하방으로 경사를 갖는 두 단부 종방향 직선면(61)과, 이 직선면(61) 각각 보다 거의 작은 종방향 치수를 갖는 직선형과 종방향의 중앙 종방향 평면(62)을 구비한다.In addition, each end plate 51 is straight, mutu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50, and two front edges 59 whose adjacencies are located at each end spacer 52, and a lower edge that is longitudinal but convex toward the bottom. A two end longitudinal straight surface 61 having a 60 and connected to one front edge 59 and having a substantially longitudinal direction, but having an inclination downward in connection with each front edge 52, and this straight line; Each of the faces 61 has a straight and longitudinal central longitudinal plane 62 having a longitudinal dimension substantially smaller than each.

대응하는 각 정면 엣지(59)와 각 평면(61)의 연결 인접부에서, 각 단부 플레이트(51)가 평면(3)에 수직하게 작업 열차에 의해 라인(1)을 따라 캐리지가 구동되도록 연환(shackle)을 체결하는 각 구멍(63)이 수직하게 천공된다.At the connecting adjacencies of each corresponding front edge 59 and each plane 61, each end plate 51 is connected so that the carriage is driven along the line 1 by the working train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 Each hole 63 that fastens the shackle is drilled vertically.

평면(3)에 상호 대칭으로 대응하는 각 롤러(57) 쌍의 축(56)은 동일한 횡방향 평면(64)에 놓여지며, 이와 같이 형성된 횡방향 두 평면(64)은 평면(50)에 관해서 서로 대칭이고, 하나의 단부 스페이서(52)와 하나의 중앙 스페이서(53) 사이를 통과하는 이들 각각은 이들 두 스페이서(52)(53)에서 대략 동일한 종방향 거리로 가장 근접한다.The axes 56 of each pair of rollers 57 which symmetrically correspond to the plane 3 lie in the same transverse plane 64, with the two transverse planes 64 thus formed in relation to the plane 50. Each of them symmetric with each other and passing between one end spacer 52 and one central spacer 53 is closest at approximately the same longitudinal distance at these two spacers 52, 53.

평면(3)에 수직하고 평면(3)에 수직한 종방향 평면(65)과 평면(64)의 교차로 형성되는고 단부 플레이트(51)의 상부 엣지(53)와 하부 엣지(60)의 평면(61)의 중간 높이 사이의 중간 높이에 위치되는 두 축(66)을 따라, 두 단부 플레이트(51)는 축(66)을 중심으로 축대칭인 원통형 내주면(68)으로 한정된 구멍(67)이 일 측면에서 다른 측면까지 천공되고, 각종 구멍(67)의 면(68)은 동일 직경을 갖는다.The plane of the upper edge 53 and the lower edge 60 of the end plate 51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plane 64 and the longitudinal plane 65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and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Along the two axes 66 located at intermediate heights between the intermediate heights of 61, the two end plates 51 have a hole 67 defined by a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68 which is axisymmetric about the axis 66. Perforated from side to side, the faces 68 of the various holes 67 have the same diameter.

동일 축(66)의 구멍(67)의 각 쌍에 의해, 단부 플레이트(51)는, 축(66)을 중심으로 상대적 자유 회전의 가능성으로, 오버랩으로 대칭인 평면(3)을 따라 놓이고 중앙 롤러(70)와 함께 세 개의 롤러의 시리즈(69)를 유지하고, 평면(3)에 평행하고 평면에 관해 서로 대칭인 두 측면 롤러(71)를 구비한다.With each pair of holes 67 of the same axis 66, the end plate 51 lies along the plane 3 symmetrically overlapping and centered, with the possibility of relative free rotation about the axis 66. It holds two series rollers 69 together with the roller 70 and is provided with two side rollers 71 parallel to the plane 3 and symmetric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plane.

롤러(70, 71)의 두 시리즈(69)는 상호 동일하며, 이들 중 하나는 도 7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 시리즈(69)의 세 개의 롤러(70, 71)가, 축(66)의 동일한 베어링 샤프트(72)를 통해 두 단부 플레이트(51)에 의해 유지되고, 단부 플레이트(51) 사이의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연장하고, 각 구멍(67)을 통과한다.The two series 69 of rollers 70, 71 are identical to one another, one of which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wherein the three rollers 70, 71 of the same series 69 have a shaft 66. It is held by two end plates 51 through the same bearing shaft 72, and extends from one point between the end plates 51 to the other, and passes through each hole 67.

두개의 종판(51)사이에 베어링 샤프트(72)는 예를 들어, 구멍(67)의 내부 주변면(68)의 것과 동일한 지름을 가진 축(66)에 대해 축대칭인 표준방식으로 실린더 모양을 가진 외부 주변면(74)에 의해 축(6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계가 정해지는 중앙부(73)를 가진다. 축(66)을 따라 평면(3)의 각각 한면에 평면(3)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평면(3)과 수직이 되도록 종판(51)을 서로 분리하는 체적보다 약간 작은 체적을 가지고, 면(74)는 수직인 축(66)에 대해서 축대칭인 환모양 평면 쇼울더(shoulder)(75)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두개의 쇼울더(75)는 평면(3)에 대해서 상호 대칭이고 동일한 면에 위치하는 종판(51)에 대해 평면(3)쪽으로 각각 약간 뒤쪽으로 위치하고 후자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Between the two end plates 51 the bearing shaft 72 is shaped like a cylinder in a standard manner which is axisymmetric with respect to an axis 66 having the same diameter as, for exampl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68 of the hole 67. It has a central portion 73 which is delimi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axis 66 by the excitation outer peripheral surface 74. Each side of the plane 3 along the axis 66 has a volume slightly smaller than the volume separating the end plates 51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y are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ane 3. ) Is connected to an annular planar shoulder 75 which is axi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66. The two shoulders 75 are thus located slightly rearward towards the plane 3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plates 51 which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3 and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rot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atter.

평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종판(51)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 축(66)을 따르는 중앙부(75)의 어느 한 쪽면에 각각 및 상기 중앙부(73)에 단단히 묶인 베어링 샤프트(72)는 축(6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면(74)의 것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축(66)에 대해서 축대칭인 실린더 형태의 외부 주변면(77)에 의해 한계가 정해지고, 면(77)이 쇼울더(75)들의 각각에 그리고 말단부(76)가 대응되는 각각의 종판(51)을 통하여 통과하는 구멍(67)의 각각의 내부 주변면에 연결되는 말단부(76)을 가진다.Bearing shafts firmly tied to the central portion 73 and to either side of each of the central portions 75 along the axis 66 to be positioned to partially protrude from the end plate 5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ane 3. 72 is limited by an outer peripheral surface 77 in the form of a cylinder which is axisymmetric about an axis 66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plane 74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s 66. 77 has distal ends 76 connected to each of the shoulders 75 and to respectiv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holes 67 through which distal ends 76 pass through respective corresponding end plates 51.

상기 목적을 위해, 축(66)을 따라 각 말단부(76)의 면(77)이 축(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말단면(78)에 축(66)에 수직인 디스크 모양으로 연결되고, 면(3)에 대해서 상호 대칭인 두개의 말단면(78)은 축(66)을 따라 스페이서(52) 및 (53)에 의해 상호 조립된 두개의 종판(51)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의 전체 치수 보다 큰 거리로 상호 배치된다.For this purpose, the face 77 of each distal end 76 along the axis 66 is connected in the shape of a disc perpendicular to the axis 66 on the distal end 78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s 3, and the face The two end faces 78 which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3) are larger than the overall dimensions of the assembly formed by the two end plates 51 assembled together by the spacers 52 and 53 along the axis 66. Mutually arranged by distance.

대응되는 각각의 구멍(67)에 대하여 베어링 샤프트(72)의 각 말단부(76)의 공축성(coaxiality)은 각 공축 덮개(coaxial sheath, 79)를 통하여 구비되고, 부가하여, 베어링 샤프트(72)를 종판(51)에 대해서 판(3)에 대해서 대칭되게 유지한다.The coaxiality of each distal end 76 of the bearing shaft 72 with respect to each corresponding hole 67 is provided through each coaxial sheath 79, and in addition, the bearing shaft 72. Is maintai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late 3 with respect to the end plate 51.

동일한 베어링 샤프트(72)와 연결된 덮개(79)는 동일하고 판(3)에 대하여 상호 대칭적인 방식으로 놓여진다.The lids 79 connected with the same bearing shaft 72 are laid in the same and mutually symmetrical manner with respect to the plate 3.

축(66)에 대하여, 각각은 두개의 원통형 내부 주변면(80, 81)에 의하여 한계가 정해지고 베어링 샤프트(72)의 각 말단부(76)의 외부 주변면(77)의 것 및 상기 베어링 샤프트(72)의 중앙부(73)의 외부 주변면(74)의 것과 각각 동일한 직경을 가진 축(66)에 대해서 축대칭성이다.With respect to the shaft 66, each of which is delimited by two cylindrical inner peripheral surfaces 80, 81 a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7 of each distal end 76 of the bearing shaft 72 and the bearing shaft Axisymmetric is about axis 66 each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at of outer peripheral surface 74 of center portion 73 of 72.

내부 주변면(80),(81)을 통해서, 각 덮개(79)는 각각 축(66)주위의 상대적인 회전을 위한 각 말단부(76)의 외부 주변면(77)의 일부 및 베어링 샤프트(72)의 중앙부(73)의 외부 주변면(74)의 일부로서 안내 접속(guiding contact)을 하게된다. 각 덮개(79)의 상기 두개의 내부 주변면(80) (81)은 수직인 축(66)에 대해 축대칭인 환모양의 판 쇼울더(62)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쇼울더(62)는 판(3) 및 베어링에 대해 편평한 방식으로 그러나 후자의 각각의 쇼울더(75)에 대하여 덮개(79)가 베어링 샤프트(72)에 대해 축(66)주위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회전한다.Throug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80, 81, each cover 79 is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7 of each distal end 76 and the bearing shaft 72 for relative rotation around the axis 66, respectively. Guiding contact is made as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4 of the central portion 73 of the. The two inner peripheral surfaces 80, 81 of each cover 79 are interconnected by annular plate shoulders 62 axi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a vertical axis 66, the shoulders 62 being It rotates in a flat manner with respect to the plate 3 and the bearings but with respect to the latter respective shoulder 75 in a manner in which the cover 79 rotates about the axis 66 about the bearing shaft 72.

축(66)을 따라, 쇼울더(8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 덮개(79)의 내부 주변면(80)은 수직인 축(66)주위의 축대칭성 환 모양의 각 말단면(83)에 연결되고 면(83)은 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축(66)을 따라 면(83)과 쇼울더(82)를 상호 분리하는 길이는 축을 따라 대응되는 말단부(76)의 말단면(78) 및 상기 말단부(76)를 중앙부(73)에 연결하는 쇼울더(75)를 상호 분리하는 길이 보다 작아서 말단부(76)가 축(66)을 따라 대응하는 덮개(79)의 말단면(83)에 대해서 판(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을 형성한다.Along the axis 66,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houlder 82,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80 of each cover 79 connects to each end surface 83 of an axisymmetric annular shape around a vertical axis 66. And the face 83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ace 3. The length separating the face 83 and the shoulder 82 from each other along the shaft 66 is a shoulder connecting the distal end 78 of the corresponding distal end 76 and the distal end 76 to the central portion 73 along the axis. The length 76 is smaller than the length separating each other so that the distal end 76 forms a protrusion away from the plate 3 with respect to the distal end 83 of the corresponding cover 79 along the axis 66.

내부 주변면(81)에 대해서는, 축(66)을 따라, 상기축을 따라 베어링 샤프트(72)의 쇼울더(75)를 상호 분리하는 치수의 절반보다 작은 치수를 가져서 상기 면(81)이 판(3)에 도달하지 않고, 편평하고, 환모양이고 수직인 축(66)에 대하여 축대칭이고 따라서 판(3)에 대하여 회전하는 덮개(79)의 또 다른 말단면(84)에 연결된다. 따라서 두개의 덮개(79)의 면(84)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고, 축(66)을 따라 그들 사이를 떠나게 하기 위해 판(3)과 겹치는 공간과 판(3)에 대해서 상호 대칭이고, 후자의 각면에 동등하게 분배된다.With respect to the inner periphery 81, the face 81 has a dimension smaller than half of the dimension that separates the shoulders 75 of the bearing shaft 72 along the axis 66 along the axis 66. ) Is connected to another end face 84 of the cover 79 which is axisymmetric about a flat, annular and vertical axis 66 and thus rotates about the plate 3. The faces 84 of the two lids 79 thus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re mutu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te 3 and the space overlapping with the plate 3 in order to leave them along the axis 66. Equally distributed on each side of the.

축(66)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 덮개(79)의 각 말단면(83)(84) 후자의 각각의 외부 주변면(86)(87)에 연결되고 축(6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haft 66, each end face 83, 84 of each cover 79 i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er peripheral surfaces 86, 87 of the latter and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haft 66. do.

상기 외부 주변면(86) 및 (87)의 각각은 축(66)을 따라 상세하게 될 방식으로 상호 근접하게 위치하는 두 부위를 가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부분(87)은 축(66)에 수직인 부분(86)의 것보다 큰 치수를 갖고, 상기 두 부분(86) 및 (87)은 수직인 축(66)에 대해서 축대칭인 환모양 평면 쇼울더(89)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쇼울더(89)는 판(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덮개(79)의 쇼울더(82)에 대해서 상기방향으로 한쪽으로 치우친다. 축(66)을 따라 상기 치우침은 각각 분리되는 길이 사이의 차이의 절반과 동일하고, 상기 축을 따라 쇼울더(89)의 각각 뿐만 아니라 베어링 샤프트(72)의 두개의 쇼울더(75)및 두개의 종판(51)은 축(3)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의 종판(51)에 대해서 각각의 덮개(79)가 상기 종판(61)에 대해서 및 베어링 샤프트(72)에 대해서 축(66) 주위를 회전하게 하고, 이는 베어링 샤프트(72)의 조정을 보장하고 대응하는 덮개(79)의 각각이 두개의 종판(51)에 대해서 베어링 샤프트(72)가 면(3)에 대해서 대칭이 되고, 서로 연결된 두개의 덮개(79)가 상기 동일한 면(3)에 대해서 상호 대칭이 된다.Eac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86 and 87 has two sites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in a manner that will be detailed along the axis 66. In general, however, the portion 87 has a larger dimension than that of the portion 86 perpendicular to the axis 66, and the two portions 86 and 87 are axi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axis 66 perpendicular to the portion 66. Interconnected by an annular planar shoulder (89), the shoulder (89)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ate (3) and is biased in one direction in the direction relative to the shoulder (82) of the cover (79). Along the axis 66 the bias is equal to half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parate lengths, and along each of the shoulders 89 as well as two shoulders 75 and two end plates of the bearing shaft 72. 51 causes each cover 79 to rotate about the end plate 61 about the end plate 61 and about the bearing shaft 72 about the end plate 5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s 3. This ensures the adjustment of the bearing shaft 72 and that each of the corresponding lids 79 is symmetrical about the face 3 of the bearing shaft 72 with respect to the two end plates 51, The lid 79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ame face 3.

쇼울더(89)에 직접 인접한 최초 각 부분(90)(91)에서, 외부 주변면(86)(87)의 각각은 축(66)에 대하여 축 대칭인 원통형 모양을 가지고, 면(87) 부분(91)의 직경은 면(86) 부분(90)의 것보다 크고, 이는 종판(51)의 구멍(67)의 내부 주변면(68)의 직경과 동일하므로 각 부분(90)은 축(66)에 대해서 상대적 회전을 안내하기 위하는 방식으로 각 구멍(67)의 내부 외부면(68)과 접속하여 위치한다. 이는 동시에 각각의 덮개(79)의 공축성과 동일한 축(66)을 가지는 두개의 구멍(67)의 각각에 대해서 베어링 샤프트(72)의 공축성을 보장한다. 축(66)을 따라 외부 주변면(68)의 부분(90)은 축(66)을 따라 측정되는 경우 종판(51)의 두께와 적어도 동일한 치수를 갖지만 상기 축을 따라 말단면(83) 및 덮개(79)의 쇼울더(89)를 상호 분리하는 치수 보다는 아주 작고, 후자는 대응되는 종판(51)로부터 돌출되어, 판(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66)과 수직이고 제거가능한 렌치(88)에 맞물림을 제공하고,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 덮개(79)가 상기 축(66)주위를 상대적 이동 없이 종판(51) 및 베어링 샤프트(72) 대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원하는 대로 회전하게 하는 정사각형 모양을 가지는 외부 주변면(86)의 두번째 부분(92)를 가진다.In the first angular portions 90, 91 directly adjacent to the shoulder 89, eac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86, 87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is axially symmetric about the axis 66, and the face 87 portion ( The diameter of 91 is larger than that of face 86 portion 90, which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68 of hole 67 of end plate 51, so that each portion 90 has a shaft 66. It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inner outer surface 68 of each hole 67 in a manner to guide relative rotation relative to it. This at the same time ensures the coaxiality of the bearing shaft 72 for each of the two holes 67 having the same axis 66 as the coaxiality of each cover 79. The portion 90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8 along the axis 66 has at least the same dimensions as the thickness of the end plate 51 when measured along the axis 66 but along the axis the end face 83 and the lid ( It is much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separating the shoulders 89 of 79 from each other, the latter protruding from the corresponding end plate 51 and with a removable wrench 88 perpendicular to the axis 66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ate 3. 5, each cover 79 has a square shape that provides for engagement and rotates as desired independently of the end plate 51 and the bearing shaft 72, respectively, without relative movement around the axis 66. It has a second portion 92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86.

각 덮개(79)의 외부 주변면(87)에 대해서, 최초 부분(91)을 면(84)에 연결하는 두번째 나사산 부분(93)을 가지고, 축(66)주위로 슬리브(sleeve, 79)의 상기 언급한 회전운동을 축을 따라 덮개(79)에 제공되고 축(66)을 따라 후자에 대해 활주(slide)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덮개(79)에 대응하는 종판(51)에 대해서 상기 축(66)주위로의 회전에 대해서 고정되는 각각의 슬라이드부(slider, 94)의 문제의 덮개(79), 베어링 샤프트(72) 및 종판(51)에 대해서 병진운동(translational movement)으로 변형시키도록 하는 부분(91)의 것보다 큰 직경을 갖는 나사산의 형태를 가진다.With respec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87 of each cover 79, it has a second threaded portion 93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91 to the surface 84, and the sleeve 79 around the axis 66. The axis (with respect to the end plate 51 provided on the cover 79 along the axis and slidable about the latter along the axis 66 and corresponding to the cover 79) is provided. 66. Translating movements are made for the cover 79, bearing shaft 72 and end plate 51 of the respective slide portion 94, which are fixed against rotation around it. It has the form of a threa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ortion 91.

상기 목적을 위해 각 슬라이드부(94)는 축(66)주위로 축대칭인 환모양의 슬리브의 일반적 형태를 가지고 상기 축에 대해서 슬라이드부(94)는 면(3)으로부터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순서로 연속되는 두개의 부분(96)(97)을 포함하는 내부 주변면(95)에 의해 한계지어진다. 부분(96)은 탭핑(tapping)과 덮개(79)의 외부 주변면(87) 의 나사산 부분(93)의 나사산 형태의 한쪽을 가지고, 슬라이더(94)가 스크류를 가진 볼트와 같은 상기방식으로 작용하고, 면(3)에 수직이고 부분(93)의 것과 동일한 치수를 가진다. 부분(97)에 대해서는, 덮개(79)의 외부 주변면(87)의 부분(91)의 것과 동일한 지름을 가진 축(66)에 대해 축대칭인 원통 모양을 가진다. 그러나, 와이어(7)를 대응하는 립(32)(37)로부터 해제시키거나 상기 와이어(7)을 상기 립(32)(37)사이로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 면(3)에 수직이고 적어도 몸체(4)의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을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와 분리하는데 필요한 정도와 동일한 길이로 부분(91)의 것보다 작은 치수를 가진다.For this purpose each slide 94 has the general form of an annular sleeve axially symmetric about the axis 66 with respect to the axis the slide 94 in this ord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ace 3. It is bounded by an inner periphery 95 that includes two consecutive portions 96 and 97. The part 96 has one of the tapping and threaded sides of the threaded part 93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87 of the cover 79, and the slider 94 acts in the same manner as a bolt with a screw. And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and have the same dimensions as that of the part 93. The portion 97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is axisymmetric about an axis 66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at of the portion 91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87 of the cover 79. However, it is perpendicular to the face 3 and at least the body 4 to release the wire 7 from the corresponding lip 32, 37 or to engage the wire 7 between the lip 32, 37. Has a dimension smaller than that of the portion 91 with the same length as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free end 21 of the side flange 19 from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18.

면(3)에 대하여, 슬라이드부(94)의 내부 주변면(95)의 탭부분(tapped portion)(96)은 평면이고 면(3)쪽으로 회전하고 환모양이고 수직인 축(66)에 대해 축대칭인 후자의 말단면(98)과 연결된다. 도 4, 도 5, 도 7, 도 9에 도시되고, 슬라이드부(94)가 면(3)에 가장 근접한 위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드부(94)의 나머지 위치에서, 탭 부분(96)은 면(98)은 공동면의 방식으로 덮개(79)의 면(84)가 축(6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사산 부분(93)에 나사로 고정된다.With respect to face 3, the tapped portion 96 of the inner periphery 95 of the slide 94 is planar, rotates towards face 3, about an axis 66 that is annular and vertical. It is connected to the latter end face 98 which is axisymmetric. 4, 5, 7, and 9, in the remaining positions of the slide portion 94 where the slide portion 94 constitutes the position closest to the surface 3, the tab portion 96 is a surface ( 98 is screwed to the threaded portion 9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haft 66 where the face 84 of the cover 79 is in the manner of a cavity surface.

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부(94)는 또한 수직인 축(66)에 대해 축대칭인 환모양 면 표면(99)에 의해 한계가 지어진다. 상기 표면(99)는 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즉 상기면(3)과 동일한 쪽에 위치한 종판(51)을 향하게 배치되고, 접속 와이어(7)를 해제하기 위해서 또는 적합한 위치에 놓기 위해서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으로부터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으로 이동해야 하는 상기 언급한 길이와 동일한 축(66)을 따르는 치수인 틈새(100)를 상기 종판(51)에 대하여 상기 언급한 나머지 위치에서 유지한다.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ace 3, the slide 94 is also defined by an annular face surface 99 which is axi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axis 66 perpendicular to it. The surface 99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ace 3, ie faces towards the end plate 51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face 3, to release the connecting wire 7 or to place it in a suitable position. The end plate (100) is dimensioned along the same axis 66 as the above-mentioned length in order to move from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18 to the free end 21 of the side flange 19. And in the remaining positions mentioned above for 51).

부분(93) 및 (96)의 상호 나사를 풀게 하는데 적합한 회전이 덮개(79)에 적용된다면, 상기 틈새(100)의 값은 축(66)에 따르는 부분(93)및(96)의 치수보다 작고 덮개(79)에 대해서, 즉 베어링 샤프트(72) 및 종판(51)에 대해서 슬라이드부(94)의 가능한 운동의 최대값이다. 상기 운동 동안에, 슬라이드부(94)의 내부 주변면(95)의 부분(97)은 덮개(79)의 외부 주변면(87)의 부분(91)위로 미끄러지고 따라서 덮개(79), 베어링 샤프트(72) 및 종판(51)의 구멍(67)에 대해서 슬라이드부(94)의 공축성의 안정성을 제공한다.If a rotation suitable for loosening the mutually unscrewing of the parts 93 and 96 is applied to the cover 79, the value of the gap 100 is great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parts 93 and 96 along the axis 66. It is small and is the maximum possible movement of the slide 94 with respect to the lid 79, ie with respect to the bearing shaft 72 and the end plate 51. During this movement, the portion 97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95 of the slide 94 slides over the portion 91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87 of the lid 79 and thus the lid 79, the bearing shaft ( 72 and the hole 67 of the end plate 51 provides stability of the coaxiality of the slide 94.

면(3)에 수직한 슬라이드부(94)의 병진운동을 초래하는 정사각형 교차 절단을 가지는 부분(92)와 맞물리는 렌치(88)에 의해 발생되는 덮개(79)의 회전에서, 면(3)의 동일한 쪽에 위치하는 종판(51)에 대해서, 축(102)을 따라 면(3)에 수직이고 후자가 완전하게 가지고 있는 못(101)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축(66)에 대한 회전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러나, 축(66)에 대하여 치우치고, 면(3)을 향해 덮개(79)의 말단면(84)으로부터 분리하는 길이와 적어도 동일한 후자로부터의 거리까지 돌출되고, 면에서 면으로 즉 말단면(98) 및 (99)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상기축(102)을 따라 슬라이드부(94)를 통하여 통과하는 구멍(103)에서 바람직하게는 후자의 길이와 가능한한 가깝다. 예를 들어, 상기 대응하는 종판(51)과 축(102)에 수직한 편평한 종면(105)사이에서 못(101)은 축(102)에 대해 축대칭인 원통형의외부 주변면(104)을 가지고, 면(3)쪽으로 회전하고, 구멍(103)은 축(102)을 향하여 축(102)에 대해 축대칭인 원통형 내부 주변면(106)에 의해 한계가 지어지고 외부 주변면(104)의 것과 동일한 지름을 가진다. 유익하게도, 도 6으로부터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몇개의 상호 동일한 구멍(103) 이들의 축(102)은 축(66)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고, 후자에 대해 각으로 동일하게 분포되고, 왕복대(48)를 장착하여 상기 구멍(103)의 하나에 선택적인 방식으로 못(101)을 맞물리게 함으로서 나머지 위치(94)가 후자의 외부 말단(98)이 덮개(79)의 말단면(84)과 효과적으로 공동평면을 이루는 위치가 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슬라이드부(94)에 구비된다.In the rotation of the cover 79 caused by the wrench 88 engaged with the portion 92 having a square crosscut which causes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slide 94 perpendicular to the face 3, the face 3 With respect to the end plate 51 located on the same side of, it is fixed against rotation about the axis 66 by engaging the nail 101 perpendicular to the face 3 along the axis 102 and having the latter completely. However, it is biased with respect to the axis 66 and protrudes towards the face 3 to a distance from the latter at least equal to the length separating from the distal face 84 of the cover 79, from face to face, i.e., to the end face 98. In the hole 103 passing through the slide portion 94 along the axis 102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99), it is preferably as close as possible to the latter length. For example, between the corresponding end plate 51 and the flat longitudinal surface 105 perpendicular to the axis 102, the nail 101 has a cylindrical outer peripheral surface 104 that is axi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axis 102. , Rotating towards face 3, hole 103 is defined by a cylindrical inner peripheral surface 106 that is axially symmetrical about axis 102 towards axis 102 and that of outer peripheral surface 104. Have the same diameter. Advantageously, as shown from FIG. 6, several mutually identical holes 103 and their axes 102 ar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axis 66, are equally distributed in angle with respect to the latter, and the carriage 48 By engaging the nail 101 in an optional manner in one of the holes 103 so that the remaining position 94 is effectively coplanar with the distal end 84 of the lid 79. It is provided in the slide part 94 in order to ensure that it becomes a position which makes a position.

축(6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부(94)는 외부 주변면(107)에 의해 한계가 지어지고, 축(66)에 대해 축대칭이고 모양은 슬라이드부(94)에 조정을 하게 하는 넓은 범위의 가능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축(66)에 대해 평행인 어떠한 상대 치환 및 내부 케이지(cage)의 후자에 대해 수직이고 또한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며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스러스트 베어링(108)의 외부 케이지는 상대 대체의 또 다른 가능성 없이 슬라이드부(94)에 대해서 축(66)에 대해 자유 회전의 가능성을 가진 측면 롤러(71) 각각을 가진다. 상기 목적을 위한 슬라이드부(94)의 외부 주변면(107)위의 베어링(108)을 통한 측면 롤러(71)의 장착, 상기 목적을 위한 상기 면(94)의 모양 및 스러스트 베어링(108) 장착 방향은 당업자의 일반적 능력의 범위내이다. 스러스트 베어링(108)은 후자로부터 측면 롤러(71)으로 힘의 전달이 판(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부(94)에 장착되어야만 한다.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haft 66, the slide 94 is bounded by an outer peripheral surface 107, axi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shaft 66, and the shape is wide to allow adjustment to the slide 94. The outer cage of the thrust bearing 108,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latter and not shown in detail and not shown in detail, which can be selected from the possibility of the range and which is parallel to the axis 66 and perpendicular to the latter of the inner cage. Has each of the side rollers 71 with the possibility of free rotation about the axis 66 with respect to the slide 94 without another possibility of relative substitution. Mounting of the side roller 71 through the bearing 108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07 of the slide 94 for the purpose, the shape of the face 94 and thrust bearing 108 for the purpose Direction is within the general capabilitie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thrust bearing 108 must be mounted to the slide 94 to allow the transfer of force from the latter to the side roller 7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ate 3.

축(66)을 따라, 슬라이드부(94)에 장착되어 구비된 롤러(71) 및 베어링(108)은 슬라이드부(94)의 것보다 작은 치수를 가지고, 롤러(71)는 상기 슬라이드부(94)에 대해서 축(66)을 따라 슬라이드부(94)가 그 나머지 위치를 차지하는 때에 상기 플랜지(19)가 두개의 측면 롤러(71)에 대해서 도 4에, 그리고 상기 도면의 나머지에 위치한 측면 롤러(71)에 대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32)및(37)사이에서 와이어(7)을 보유하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롤러(71)가 판(3)과 동일한 쪽에 위치한 장착체(4)의 플랜지(19)의 자유단(21)의 홈(41)에서 주변으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위치한다.Along the shaft 66, the roller 71 and bearing 108 mounted to the slide portion 94 have a smaller dimension than that of the slide portion 94, and the roller 71 has the slide portion 94. Side rollers located in FIG. 4 with respect to the two side rollers 71 and in the remainder of the figure when the slide portion 94 occupies the remaining position along the axis 66 with respect to 9, the mounting body 4, which is formed on the same side as the plate 3, while the roller 71 is formed to hold the wire 7 between the ribs 32 and 37 as shown in FIG. 9. It is positioned in such a way that it is engaged in the periphery of the groove 41 of the free end 21 of the flange (19).

상기 목적을 위해, 각 측면 롤러(71)는 축(6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66)에 대해서 축대칭인 환모양의 외연(periphery)(109)을 가지고 상기 외연(109)은 대응하는 축(66)을 포함하여 어떠한 면을 통한 단면에서 보여질때, 볼록면 모양 축(6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좀더 자세하게는, V-모양은 축(66)에 대해 수직인 면(110)에 대해서 대칭이고 홈(41)의 횡단면의 것과 상보적이다. 슬라이드부(94)의 상기 언급한 나머지 위치에서 상기 모양은 판(3)의 동일한 쪽에 위치한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의 홈(41)의 것과 적어도 대략 대응된다. 반면, 상기 플랜지(19)는 중앙 플랜지(18)에 대해서, 그들의 립(32), (37), 면(110) (42)들간의 와이어(7)을 유지하고 따라서 적어도 대략 일치하는 위치를 차지한다.For this purpose, each side roller 71 has an annular peripheral 109 which is axi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axis 66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s 66 and the outer edge 109 has a corresponding axis. More specifically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onvex-shaped axis 66,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rough any plane, including 66, the V-shape is symmetric about the plane 110 perpendicular to the axis 66. Complementary with tha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roove 41. In the above-mentioned remaining positions of the slide portion 94 the shape corresponds at least approximately to that of the groove 41 of the free end 21 of the side flange 19 located on the same side of the plate 3. On the other hand, the flanges 19 hold the wires 7 between their lips 32, 37, faces 110, 42 relative to the central flange 18 and thus occupy at least approximately coincident positions. do.

자연히, 각 측면 롤러(71)의 외연(109)은 축(66)에 대해서 상기 기능에 맞는 직경을 가져야만 한다. 당업자는 상기 직경은 동일한 면(64)에 위치한 축(66) 및 (56)에 수직한 측면 롤러(71)의 외연(109)과 그 위에 포개진 롤러(57)의 참조되지않은 외연을 분리하는 거리는 판(3)과 평행한 횡단방향에서 홈(41)의 바닥과 동일한 턱의 세로평면(39)을 서로 분리하는 거리와 대략 일치한다.Naturally, the outer edge 109 of each side roller 71 should have a diameter that fits the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shaft 66.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diameter separates the outer edge 109 of the side rollers 71 perpendicular to the shafts 66 and 56 located on the same side 64 and the unreferenced edges of the roller 57 superimposed thereon. The distance approximately coincides with the distance separating the longitudinal planes 39 of the same jaws from the bottom of the grooves 4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te 3.

중앙 롤러(70)에 대해서는,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의 홈(31)이 제공된다.For the center roller 70, the groove 31 of the free end 20 of the center flange 18 is provided.

상기 목적을 위해, 이는 또한 축(6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연(111)은 모양을 가지고, 상기 모양은 축(66)에 대해서 축대칭성이고, 후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늘어진다. 상기 외연(111)이 축(66)을 포함하는 어떤 면을 통하여 단면으로 볼때 굴곡 형상을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V-형상은 홈(31)의 절단면의 것과 상보적이다. 중앙 롤러(70)의 외연(111)의 직경은 당업자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상기 외연(111)은 홈(31)과 맞물리고, 후자와 협력하여 캐리지(48)의 대칭 중앙 세로면이 라인(1)의 대칭의 특히 캐리지(48)가 두개의 실(40)의 면(39)를 가진 상기 롤러(57)에의해 후자로부터 매달릴때면 언제나 장치몸체(4)의 중앙 세로 면(3)과 부합한다.For this purpose, it is also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s 66, the outer edge 111 having a shape, which is axi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axis 66, and taper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atter. The outer edge 111 has a curved shap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rough any surface including the shaft 66. More specifically, the V-shape is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cut surface of the groove 31. The diameter of the outer edge 111 of the central roller 70 is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outer edge 111 is engaged with the groove 31, in cooperation with the latter is the symmetrical central longitudinal surface of the carriage 48 is line 1 The carriage 48 always coincides with the central longitudinal face 3 of the device body 4 whenever the carriage 48 is suspended from the latter by the roller 57 with the face 39 of the two seals 40. .

캐리지(48)가 실(40)을 따라 구르는 동안 캐리지(48)와 라인(1)간 또는 장치 몸체(4)간의 상기 관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롤러(70)은 그들간의 공축성을 가진 두개의 측면 롤러(71)의 상대적이고 독립적인 치환의 어떠한 가능성 없이 베어링 샤프트(72)에 대해서 축(66)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베어링 샤프트(72)는 스페이서(spacer)(85)안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배열로 안전하게 위치한다. 그 결과 , 상세히 기술되지는 않겠지만, 축의 양방향에 있는 스러스트 베어링(113)을 가진 내부 케이지(112)를 형성한다. 상기 베어링(113)은 겹쳐지는 면(3)에 대해 대칭적으로 놓여지고, 나아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설명하지 않는 적합한 방법에 의해 외부 케이지(114)를 안전하게 한다. 축(66)에 대해 축대칭이고 적합한 모양을 가진 환모양의 내부 외부면(115) 상기 목적을 가진 중앙롤러(70)에 대해 축(66)을 향한다.In order to maintain this relationship between the carriage 48 and the line 1 or between the device body 4 while the carriage 48 rolls along the seal 40, the roller 70 has two coaxial properties between them. It is moun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freely about the axis 66 about the bearing shaft 72 without any possibility of relative and independent substitution of the side rollers 71. For this purpose, the bearing shaft 72 is safely placed in a spacer 85 in an arrangemen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result is an inner cage 112 with thrust bearing 113 in both directions of the shaft, which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The bearing 113 is plac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verlapping surface 3 and further secures the outer cage 114 by a suitable method which is not known and describ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 annular inner outer surface 115 axi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axis 66 and facing axis 66 with respect to the central roller 70 for this purpose.

라인(1)의 장치체(4)에 대해서 캐리지(48)를 위치시키는 역할이외에, 중앙 롤러(70)는 두개의 측면 롤러(71)와 연결된,이들과 공축성인 슬라이드부(94)가 판(3)으로 근접하는 방향에서 나머지 위치를 넘어 진행하는 것을 억제하는 유리하게 정지의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o positioning the carriage 48 with respect to the device body 4 of the line 1, the central roller 70 has a sliding portion 94, which is coaxial with these, connected to two side rollers 71. 3) serves as a stop, which advantageously inhibits progression beyond the remaining position in the direction of approach.

상기 목적을 위해, 후자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앙 롤러(70)의 내부 주변면(115)은 수직인 축(66)에 대해 축대칭인 환모양 종면 표면(116)에 연결된다. 면(3)에 대해 상호 대칭이고, 후자에 대해 수직이고, 중앙 롤러(70)로 동일 축(66)을 가지는 두개의 덮개(79)의 면(84)를 상호 분리하는 것과 동일한 거리로 상호 분리된 두개의 면(116)은 대응하는 슬라이드부(94)의 각각의 하나의 반대면(98)에 각각 위치한다. 따라서 대응하는 덮개(79)를 통해, 렌치(88)에 의해 나머지 위치가 얻어졌던 축(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부(94)에 힘을 가한다면 상기 슬라이드부(94)가 축(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면(116)에 대하여 상기면(98)에 의해 접합(abutment)을 가져온다.For this purpos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latte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5 of the central roller 70 is connected to an annular longitudinal surface 116 which is axi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a vertical axis 66. Mutu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face 3, perpendicular to the latter, with mutual separation at the same distance as the face 84 of two covers 79 having the same axis 66 with a central roller 70 Two faces 116 are respectively located on one opposing face 98 of each corresponding slide 94. Thus, if a force is applied to the slide 94 in a direction proximate to the axis 3 from which the remaining position has been obtained by the wrench 88, through the corresponding lid 79, the slide 94 is the shaft ( An abutment is brought about by the surface 98 with respect to the surface 116 in a direction approaching 3).

축(66)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중앙 롤러(70)의 말단면(116)은 후자의 외부 주변면(117)에 연결되고, 이는 원통형이고 예를 들어, 직접 근접한 슬라이드부(94)의 외부 주변면(107)의 부위의 것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축(66)에 대하여 축대칭이다. 그리고 롤러(70)의 외연(111)은 수직인 축(66)에 대해서 축대칭인 두개의 환모양 면 쇼울더(118)에 의해 상기 면(117)에 연결되어 있다. 면(3)에 대해 상호 대칭인 상기 두개의 쇼울더(118)는 후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축(66)에 대해 평행인 면(116)을 분리하는 것 보다 작은 길이에 의해 상호 공간지어진다.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s 66, the distal face 116 of the central roller 70 is connected to the latter outer peripheral surface 117, which is cylindrical and, for example, outside of the directly adjacent slide 94. It is axisymmetric about an axis 66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at of the portion of the peripheral surface 107. The outer edge 111 of the roller 70 is connected to the face 117 by two annular face shoulders 118 which are axi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66. The two shoulders 118 which are mutu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face 3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length less than separating the face 116 parallel to the axis 66 and rotat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atter.

종판(51)에 대하여 각각의 축(66)에 대한 회전에 관계된 덮개(79)사이의 독립성 때문에, 각 측면 롤러(71)의 위치는 나머지 위치로부터 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른것들과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나머지 위치를 포함하여 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측면 롤러(71)의 어떠한 위치도 안정한 위치를 형성하고, 어떠한 수단도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덮개(79)의 외부 주변면(86)의 부분(92)에 정사각형 절단을 가진 렌치(88)를 사용한 고의적 활동에 의하지 않는다면, 제공도 부분(96)의 탭핑과 부분(93)의 나사산의 표면 조건 및 피치가 대응되는 슬라이드부(94)에서 각 덮개(79)의 나사 작용의 작동을 역행시키지 않게 하도록 특히 만들수 있다.Because of the independence between the lids 79 relative to the rotation about each axis 66 with respect to the end plate 51, the position of each side roller 71 is independent of the other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ace 3 from the remaining positions. Can be adjusted. Any position of the side roller 71 away from the face 3, including the remaining position, forms a stable position, and any means can be provided, and the portion 92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86 of the lid 79 Unless deliberately using a wrench 88 with a square cut at), each cover (at the slide 94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conditions and pitch of the threading of the portion 93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not to reverse the operation of the screw action of 79).

또한, 면(3) 및 (50)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횡단축(119)을 따라 , 즉 면(64) 및 면(51)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고, 중앙스페이서(spacer)(53)은 공간(53)아래에 렌치(88)와 유사한 렌치에 의해 작동되기 위한 정사각형단(124)을 가지는 공축 나사(113) 및 나사산(112)에 의해 맞물린 볼트(120)을 불가결하게 가진다. 스페이서(53)위에 종판(51)의 상부 수평모서리(153)의 것보다 낮은 위치에서 나사(123)은 축(119)를 따라 병진에 의해 보호되는 상부단을 가지고, 상기 축(119)주위를 상대 자유 회전하는 가능성을 가지고, 축(119)에 대하여 상호 대칭인 위치를 점하는 두개의 평행한 칙(cheek)을 포함하는 요크(yoke)(120)모양을 가지 슬라이드부를 가진다. 상기 칙(121)의 각각은 후자에 수직인 동일한 축(124)를 따라 상기 축(11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한다. 각각의 일직선 슬롯(127)에서, 각각의 공축성 말단 손잡이(lug)(126)에 의해 맞물리는 단단한 핑거(finger)(125)가 판(50)을 따라 종판(51)의 각각에 만들어지고, 축(119)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슬롯(127)에서 손잡이(126)의 맞물림은 두개의 칙(121)을 면(3)에 대해 상호 대칭인 위치에 유지시킨다. 따라서 섀시(49)에 대한 축(119) 주위에서, 특히 나사(123)이 섀시(49)에 대하여 축(119)주위를 회전하는 동안 요크(120)의 어떠한 회전 및 그것과 함께, 축(124)의 회전은 억제된다. 상기 회전은 섀시(49)의 스페이서(53) 및 라인(1)에 대해 축(124)에 근접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방향을 따라 요크(120) 및 축(124)의 움직임의 결과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123)의 나사산(122)의 피치와 볼트(120)의 피치는 역행시킬수 없고, 아래에 기술되는 정상적인 사용하에서 요크(120)은 캐리지(48)의 섀시(49)에 대해서 및 라인(1)에 대해서 볼트(120)에 대해서 축(119)주위로 나사(123)의 회전에 의해 의도적으로 주어지는 위치를 보존한다.It is also located along the transverse axis 119 defined by the intersection of faces 3 and 50, ie centered with respect to faces 64 and 51, and the center spacer 53 is spaced. (53) inevitably has a bolt 120 engaged by a coaxial screw 113 and a thread 112 having a square end 124 for actuating by a wrench similar to wrench 88. At a position lower than that of the upper horizontal edge 153 of the end plate 51 over the spacer 53, the screw 123 has an upper end protected by a translation along the axis 119, and the periphery of the axis 119. It has a slide with the shape of a yoke 120 that includes two parallel cheeks with positions of mutual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axis 119 with the possibility of relative free rotation. Each of the chimes 121 is directed away from the axis 119 along the same axis 124 perpendicular to the latter. In each straight slot 127, a rigid finger 125, which is engaged by each coaxial end lug 126, is made in each of the end plates 51 along the plate 50, Extends parallel to the axis 119. Thus the engagement of the handle 126 in the slot 127 keeps the two chicks 121 in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ace 3. Thus around the axis 119 relative to the chassis 49, in particular with the rotation of the yoke 120 an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yoke 120 while the screw 123 rotates around the axis 119 about the chassis 49. Rotation is suppressed. The rotation results in the movement of the yoke 120 and the shaft 124 along the direction in a direction proximate or away from the axis 124 relative to the spacer 53 and the line 1 of the chassis 49. . Preferably, the pitch of the thread 122 of the screw 123 and the pitch of the bolt 120 cannot be reversed, and under normal use described below, the yoke 120 has no bearing on the chassis 49 of the carriage 48. And the position intentionally given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123 about the axis 119 about the bolt 120 with respect to the line 1.

다른 상대 치환의 가능성없이 요크(120)에 대해서 축(124)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대해 축(124) 주위로 회전고리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 베어링(128)이 요크(120)의 두개의 칙(121)사이에 위치한다. 롤러(70) 및 (71)의 축(66)에 대해 중앙에 위치한 상기 베어링(128)은축(1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129)에 대해 축대칭성인 외부 주변면(129)을 가지고, 상기면(129)은 면(3)에 수직이고 이들의 각쪽에 동등하게 분포되는 방식으로 면(3)에 수직인 라인(1)의 와이어(7)의 중앙 세로면(8)의 상호분리보다 큰 치수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면(3)에 수직인 홈(41)의 상호분리보다는 작을 수 있다.Bearing 128 mounted to rotate in rotation about axis 124 about one or the other to allow free rotation about axis 124 about yoke 120 without the possibility of other relative substitution. The yoke 120 is located between the two chucks 121. The bearing 128 located centrally with respect to the shaft 66 of the rollers 70 and 71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129 which is axisymmetric to the shaft 129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haft 124, and The face 129 is larger than the mutual separation of the central longitudinal face 8 of the wire 7 of the line 1 perpendicular to the face 3 in a manner perpendicular to the face 3 and equally distributed on each side thereof. Has dimensions. However, it may be smaller than the mutual separation of the grooves 41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3.

상기면(129)은 면(3)에 대해서 상호 대칭인 축(126)에 대하여 두개의 말단부(130)를 가지고, 중앙부(131)는 축(126)에 대하여 후자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면(3)과 겹치고, 상기 세 개의 부분(130) (131)은 원통형이고 동일한 직경을 가진 축(124)에 대해 축대칭이다. 말단부(130) 각각은 각 면(8)과 일치하고 면(3)에 평행한 면에 대해 대칭이고 축(124)에 대해 축대칭인 환모양 홈(132)의 모양을 가진 각 중간 부위에 의해 중앙부(131)에 연결된다. 또한, 숫자 참조(8)에 의해 지시된다. 면(8)처럼 중간부위(132)는 면(3)에 대해서 상호 대칭이다.The face 129 has two distal ends 130 with respect to the axis 126 which are mutu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ace 3, and the central part 131 has a face 3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atter with respect to the axis 126. ), The three portions 130, 131 are cylindrical and axisymmetric about an axis 124 having the same diameter. Each of the distal ends 130 is each intermediate region having the shape of an annular groove 132 which is coincident with each face 8 and is symmetrical about the plane parallel to face 3 and axially symmetric about axis 124. I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131). It is also indicated by the numeric reference 8. Like the face 8, the intermediate portions 132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ace 3.

더욱 상세하게는, 홈(132)각각은 축(124)에 대해서 축대칭인 두개의 프러스토코니칼 플랭크(frustoconical flank)(133) 과 부분(130)(131)의 것 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축(134)에 대해 축대칭인 원통형 바닥(134) 가진다. 두개의 플랭크(133)는 상기 각각의 면(8)에 대해 상호 대칭이고 각 바닥(134)은 대칭적으로 포개진다.More specifically, the grooves 132 each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at of the two prustoconical flanks 133 and portions 130 and 131 which are axi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axis 124. It has a cylindrical bottom 134 which is axisymmetric about 134. The two flanks 133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face 8 above and each bottom 134 is symmetrically superimposed.

두개의 플랭크(133) 및 각 홈(132)의 바닥(134)는 당업자에 용이하게 결정되는 방식으로 위치되고 치수된다. 도 4, 5,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48)가 라인(1)의 장착체(4)에 고정될때, 섀시(49)의 스페이서(53)에 대한 요크(120)의 수준을 조정함으로서 베어링(128)을 두개의 플랭크(133)위에 있는 점 및 각 홈의 바닥(134)에, 각각의 상부 모선(generatrix)에 위치하는, 스스로 면(3)에 위치하는, 장착체(3)의 두개의 각각의 립(32)(37)에 의해 보유되는 각각의 와이어(7)에 대해서,라인(1)을 따라 또는 장착체(4)의 캐리지(48)의 세로 롤링에 반대하지 않고, 요크(120)의 플랜지(121)의 후자와의 접속없는 점에 의해 눌려지는 위치로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The two flanks 133 and the bottom 134 of each groove 132 are positioned and dimensioned in a manner that is readily determined by one skilled in the art. 4, 5, 8 and 9, when the carriage 48 is secured to the mounting body 4 of the line 1, the level of the yoke 120 relative to the spacer 53 of the chassis 49 By mounting the bearing 128, which is located on its own face 3, located on its respective top generatrix, at the point on the two flanks 133 and at the bottom 134 of each groove, 3. For each wire 7 held by two respective lips 32, 37 of), along the line 1 or without opposing the longitudinal rolling of the carriage 48 of the mounting body 4. It is possible to bring it to the position pressed by the point of no connection with the latter of the flange 121 of the yoke 120.

그러나, 섀시(49)의 스페이서(53)에 대해 축(119)를 따르는 베어링(128)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서, 요크(120), 나사(122) 및 베어링의 적합한 치수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53)에 충분히 근접한 베어링(128)을 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랭크(133) 및 베어링(128)의 각 홈의 바닥(134)의 상부 모선(upper generatrix)이 아래로 향하고, 적어도 와이어(7)의 각각의 반경과 동등한 길이로부터, 당업자에게 용이하여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대응되는 와이어(7)로부터 각각 제거된다.However,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earing 128 along the axis 119 with respect to the spacer 53 of the chassis 49, the spacer 53 is adjusted by the appropriate dimensions of the yoke 120, the screw 122 and the bearing.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 bearing 128 that is close enough to. The upper generatrix of the bottom 134 of the flank 133 and the bottom 134 of each groove of the bearing 128 is directed downward and at least from a length equal to the respective radius of the wire 7, which is not readily sh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Respectively removed from the corresponding wire 7.

자연적으로, 상술된 베어링(128)의 장착은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일뿐이고, 상이한 방법은 도시된 실시예서 슬롯(127)로 구성된 상기 미끄러짐 길 및 섀시(49)에 의하여 불가결하게 가지고 있는 축(119)에 평행하게 배치된 미끄러짐길의 어떠한 형태에 대해서 슬라이드부의 방식으로 운반하고 있는 요크(120)을 안내하도록 특별히 선택될 수 있다.Naturally, the mounting of the bearing 128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emplary embodiment, and the different method is the shaft 119 which is indispensably possessed by the sliding path and the chassis 49 constituted by the slot 127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may be specially selected to guide the yoke 120 carrying in the manner of the slide part with respect to any form of slip road arranged parallel to it.

상기 조건에서, 다음과 같이 앞쪽에 상기 라인(1)을 탈착하지 않은 접속 와이어(7)를 변경함으로써 라인(1)의 혁신을 수행하는 캐리지(48)을 더욱 상세하게는 그것이 운반하는 절연체로부터 장착체(4) 사용할 수 있다.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carriage 48 which performs innovation of the line 1 by changing the connecting wire 7 without detaching the line 1 on the front side as follows is more particularly mounted from the insulator it carries. Sieve 4 can be used.

최초로, 라인(1)은 도 1 에서 도3까지를 참조로 하여 기술된 상태에 있다. 즉, 장착체(3)는 중앙 플랜지(8)의 자유단에 대한 그들의 자유단(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측면 플랜지(19)의 탄력적 편향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두개의 립(32) (37)에 의해 두개의 접속 와이어(7)를 보유한다. 상기 상태의 라인(1)과 상기 장착제 구조(3)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나있다.Initially, line 1 is in the stat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at is, the mounting body 3 is formed by two ribs 32, 37 by elastic deflection prestressing of the side flange 19 in a direction away from their free end 2 relative to the free end of the central flange 8. It holds two connection wires 7. The line 1 and the mounting structure 3 in this state are shown in FIGS. 4 and 5.

최초 작동은 잘라서 만들어진 와이어(7)의 바로 아래에, 라인(1)을 따르는 캐리지(48)의 진행의 미리 정해진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각 나머지 위치에서 각 열차(69)의 측면 롤러(71) 및 각각의 중앙 롤러(70)가 각 홈(41) 및 홈(31)에서 각각 맞물리도록 캐리지(48)를 라인(1)에 맞추는 것으로 구성되고, 롤러(57)는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의 턱(41)의 면(39)에 기초를 둔다.The initial actuation is carried out by the side rollers 71 of each train 69 at each remaining posi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riage 48 along the line 1, just below the cut wire 7. Of the carriage 48 to the line 1 so that the central roller 70 of each of the grooves 41 and 31 is engaged, respectively, and the roller 57 is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side flange 19. 21 is based on the face 39 of the jaw 41.

상기 목적을 위하여, 각 틈새(clearance)의 두개의 측면 롤러(71)에 대응하는 덮개(79) 초기에 가능한한 근접하게 하고, 베어링(128)은 섀시(49)의 스페이서(53)쪽으로 가능한한 많이 내려오고, 상기 방식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eginning of the cover 79 corresponding to the two side rollers 71 of each clearance, the bearing 128 is as far as possible towards the spacer 53 of the chassis 49. It comes down a lot and the scheme is not shown bu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중앙 롤러(70)은 섀시(49)의 중앙 세로 대칭면이 라인(1)의 것과 일치하도록 하고, 동일한 수 참조(3)를 가지는 상기 두 면과 각 홈(132)의 중앙면은 각각의 면(8)과 일치하고 각 열차(69)의 각각의 측면 롤러(71)의 중앙면은 각각의 홈(41)의 중앙면(42)과 일치한다.The central roller 70 ensures that the central longitudinal symmetry plane of the chassis 49 coincides with that of the line 1, and the two planes having the same numerical reference 3 and the center plane of each groove 132 are each plane ( 8) and the central plane of each side roller 71 of each train 69 coincides with the central plane 42 of each groove 41.

초기 위치가 주어지면, 베어링(128)은 와이어(7)와 분리되고, 바닥을 향하고, 와이어(7)의 반경과 적어도 일치하는 거리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경보다 크게 된다.Given an initial position, the bearing 128 is separated from the wire 7 and faces the bottom and is preferably made larger than the radius by a distance at least coincident with the radius of the wire 7.

따라서, 렌치(88)에 의한 동시에 또는 대체수단으로 섀시(49)에 대해서 각각의 축(66)에 대해 적합한 방향에서 상기 두개의 덮개(79)의 회전으로 동일한 세트(61)의 두개의 측면 롤러(71)은 각각의 중앙 롤러(70)으로부터 점점 분리되고, 홈(31)및(41)에서 롤러(70)및(71)의 주변 맞물림이 주어진다면 따라서 각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은 점점 분리되고, 양 와이어(7)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립(32)(37)으로부터 자유로운 최대 탄성 편향의 미리 정해진 구조안으로 측면 플랜지(19)를 가져갈때까지 대칭의 이유로 휘어지지 않는 중앙 플랜지(20)의 자유단(20)으로부터 그들의 탄성 편향에 의해 면(3)에 대하여 대칭이다. 덮개(79)의 회전은 중지되고, 한편으로는, 접속 윤활제의 존재로 발생할 수 있는 접착 효과와 다른 한편으로는, 일반적으로 일직선 모양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착체(4)에 의해 여전히 유지되는 상기 와이어(7)에 대한 경향을 극복하기 위하여 와이어(7)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약간의 마찰을 적용시키는 것은 충분하다. 베어링(128)에 의해 차지되는 위치 때문에 와이어(7)을 구부림으로써 적어도 캐리지(48)의 상기 기술한 진행방향에 대해 캐리지(48) 바로 뒤의 장착체(4)로부터 완전히 해체시키기에 충분하게 부분적으로 낮추는 것도 가능하다.Thus, two side rollers of the same set 61 with the rotation of the two lids 79 in a suitable direction about each axis 66 with respect to the chassis 49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by means of a wrench 88. The 71 is gradually separated from each central roller 70 and thus given the peripheral engagement of the rollers 70 and 71 in the grooves 31 and 41, thus the free end of each side flange 19 21 is gradually separated and bent for symmetry until both wires 7 take the side flange 19 into a predetermined structure of maximum elastic deflection free from the lip 32, 37 as shown in FIG. No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face 3 by their elastic deflection from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20. The rotation of the cover 79 is stopped, on the one hand, the adhesive effect that can occur in the presence of the connecting lubricant and on the other hand, the wire, which is still held by the mounting body 4, which generally keeps the straight shape. It is sufficient to apply some friction downward against the wire 7 to overcome the tendency for (7). Due to the position occupied by the bearing 128, the bending of the wire 7 is at least partially sufficient to completely disengage it from the mounting body 4 directly behind the carriage 48, at least for the above described direction of travel of the carriage 48. It is also possible to lower it.

다음, 연속적으로 연속적인 장착체의 또는 장착체(4)의 측면 플랜지(19)의 세로로 국한된 부분을 최대 탄성 편향 구조를 가져오기 위해 라인(1)의 원하는 전체 세로 치수에 대해 상기 방향에서 캐리지(48)에 대한 마찰에 의해 점차 대체되고, 접속와이어(7)를 방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대응하는 세로로 국한된 부위를 연속적으로 방출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Next, the longitudinally confined portion of the continuously continuous mounting body or of the side flange 19 of the mounting body 4 is carried in th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esired overall longitudinal dimension of the line 1 in order to obtain the maximum elastic deflection structure. It is gradually replaced by friction against 48, making it possible to release the connecting wire 7, and also to release the corresponding longitudinally localized portions continuously.

자연적으로, 장착체(4)는 그들의 진행방향에 대해 캐리지(48)뒤의 나머지 구조로 점점 돌아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기 경향은 억제되고, 다시 후자를 적용시키는 것을 유지함에 의해 와이어(7)를 보호하는 결과를 낳고, 예를 들어, 그들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캐리지(48)의 뒤에 충분한 아래쪽 마찰 장착체의 것보다 낮은 수준으로 남아있게 한다.Naturally, the mounting bodies 4 tend to gradually return to the rest of the structure behind the carriage 48 with respect to their direction of travel. However, this tendency is suppressed, resulting in the protection of the wires 7 by maintaining the application of the latter again, for example, than that of a sufficient lower frictional mounting body behind the carriage 48 with respect to their direction of travel. Keep it low.

따라서, 캐리지(48)는 점차로 와이어(7)를 자유롭게 하면서, 상기 와이어(7)에 만들어진 다른 하나의 절단까지 상기 와이어를 대체하도록 요구되는 전체 세로 치수를 운행하게 된다.Thus, the carriage 48 travels the full longitudinal dimension required to replace the wire until another cut made in the wire 7 gradually frees the wire 7.

상기 운행의 마지막에, 라인(1)을 운행한 부분의 각각의 장착체(4)는 완전히 와이어(7)가 없고, 캐리지(48)는 문제의 부분에 대한 초기 위치에 대하여 상기 언급한 진행방향에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예를 들어, 주어진 상기 언급한 진행방향의 라인(1)의 상기 부분의 상부 말단에서 최대 탄성 편향의 그들의 구조안에서 장착체(4)의 측면 플랜지(19)를 대체하는 장착체(4), 장착체들(4)에 대해 롤링하는 것에 의해 되돌아 온다.At the end of the run, each mounting body 4 of the part that traveled the line 1 is completely wireless and the carriage 48 is in the direction of travel mentioned above with respect to the initial position for the part in question. Mounting replacing the side flanges 19 of the mounting body 4 in their construction of maximum elastic defl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portion of the line 1 in the above-mentioned advancing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It is returned by rolling on the sieve 4, the mounting bodies 4.

필요하다면, 립(32)(37)를 브러슁 하고 새로운 윤활제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brush the lips 32 and 37 and to treat the fresh lubricant.

베어링(128)의 각각의 홈(132)과 대응하는 각각의 공간 사이에, 두개의 립(32)(37)사이에 각각의 와이어(7)의 말단 세로 부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홈(132)의 것과 일치하도록 만들어진 것의 중앙 세로 대칭면은 베어링(128)을 올라가게 하고, 나사(122)에 의하여, 도5 및 도6에 도시된 위치를 다시 차지할 때까지, 장착체(4)에 대하여 상기 말단부위에서, 두개의 와이어(7)의 면(9)이 최종 수준을차지할때까지, 두개의 와이어(7)의 상기 말단 부위(11)를 대응하는 립(32)(37)사이에 가져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Between each groove 132 of the bearing 128 and the corresponding respective space,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distal longitudinal portion of each wire 7 between two ribs 32, 37, and the groove ( The central longitudinal symmetry plane of what is made to match that of 132 raises the bearing 128 and, with the screw 122,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ody 4 until it again occupies the position shown in FIGS. 5 and 6. At the distal end, bring the distal end 11 of the two wires 7 between the corresponding ribs 32, 37 until the face 9 of the two wires 7 has reached the final level. It is possible to do

새로운 두개의 와이어(7)를 상기 언급한 캐리지(48)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향 방향에서 적합하게 바로 근접한 와이어(7)에 대하여 두개의 새로운 와이어(7)를 세로방향으로 위치시킨후에, 그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측면 롤러(71)를 그들의 동작위치에서 보유하며,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에서, 상기 측면 플랜지(19)를 그들의 최대 편향구조에 가져오게 하기에 적합한 마찰과, 베어링(128)을 와이어(7)를 그들의 면(9)이 장착체(4)에 대하여 최종 대응하는 수준을 차지하도록 하는 위치에서 와이어(7)을 보유하는 위치에 베어링(128)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장착체(4) 또는 장착체(4)들에 대하여 상기 언급한 병진운동에서 캐리지(48)의 새로운 병진운동이 상기 방향에서 마찰에 의해 발생된다.After placing the two new wires 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ires 7 which are suitably immediately adjacent in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48 mentioned above, they are placed on each other. In order to connect, retain the side rollers 71 in their operating position and at the free end 2 of the side flange 19 a friction suitable for bringing the side flange 19 to their maximum deflection structure, The bearing 128 allows the wires 7 to hold the bearings 128 in a position to hold the wires 7 in a position such that their face 9 occupies a final corresponding level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ody 4. In the translational motion mentioned abov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ody 4 or the mounting bodies 4 a new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carriage 48 is generated by friction in this direction.

캐리지가 장착체 또는 장착체들을 따라 진행하는 때에, 측면 롤러(71)는 최대 탄성 편향의 구조로 연속적인 진행방향에서 서로 따르는 장착체 또는 장착체들의 측면 플랜지(19)의 세로 방향으로 국한된 부분을 가져온다. 그리고 베어링(128)은진행방향에 대하여 캐리지(48)의 바로 앞쪽의 와이어(7)의 탄성 굴곡에 의하여, 상기 방향에서 서로 뒤따르는 새로운 와이어(7)의 국한된 부분의 홈(7)을 장착체(4)의 립(32)(37) 사이에 위치시킨다. 상기 방향에 대한 캐리지(48)의 뒤쪽에서, 캐리지(48)가 연속적으로 떠나는 장착체(4) 부위는 나머지 구성으로 돌아오는 경향이 있으나,립(32)(37)을 와이어(7)의 홈(11)으로 적용함으로서 편향 프리스프레싱의 그들의 중간 구성에서 보유된다. 상기 사실은 라인(1)의 진행적 재건 및후자가 도 1 내지 도 3에 기술된 조건하에서 유지되도록 한다.When the carriage proceeds along the mounting body or mountings, the side rollers 71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flanges 19 of the mounting body or mounting bodies that follow each other in a continuous travel direction in a structure of maximum elastic deflection. Bring. The bearing 128 mounts the groove 7 of the localized portion of the new wire 7 which follows each other in the direction by elastic bending of the wire 7 just in front of the carriage 48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ravel. It is located between the lip 32 and 37 of (4). At the rear of the carriage 48 in this direction, the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4 in which the carriage 48 leaves continuously tends to return to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but the ribs 32 and 37 are grooved in the wire 7. By applying to (11) it is retained in their intermediate configuration of deflection prepressing. This fact allows the progressive reconstruction of the line 1 and the latter to be maintained under the conditions described in FIGS.

캐리지(48)가 기술하지는 않았지만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와이어(7)없이 초기에 라인(1)의 부위의 다른 말단의 바로 근접을 운행하면,덮개(79)는 그들의 나머지 위치로 그들을 가져오게 발동된다. 즉, 베어링(128)을 위치에 유지시킴으로써 각 세트(69)의 측면 롤러(71)를 상호 근접하게 운동시키는것을 말한다. 상기는 또한 상기 말단부위에서, 립(32)(37)사이에 와이어(7)를 유지하는 탄성 편향 프리스프레싱의 구성에 장착체(4)의 측면 플랜지를 가져온다.If the carriage 48 is not described, but runs immediately close to the other end of the portion of line 1 without the wire 7 in a manner tha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one skilled in the art, the lid 79 will return to its remaining position. Is triggered to bring them. In other words, by moving the bearings 128 in position, the side rollers 71 of each set 69 move close to each other. This also results in the side flanges of the mounting body 4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deflection pre-pressing which holds the wire 7 between the lips 32 and 37 at the distal end.

캐리지(48)는 장착체(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라인(1)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재구성된다.The carriage 48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ody 4. In other words, it is reconstructed from the line 1 in the above manner.

라인(1)의 와이어(7)를 재장착하는 방법은 장착체(4)를 각각의 지지 성분에 의하여 터널의 지붕에 고정된 후 및 이음철판(fishplating)이 수행된 후 상기 라인의 초기 장착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refitting the wires 7 of the line 1 involves the initial mounting of the line after the mounting body 4 is fixed to the roof of the tunnel by the respective supporting components and after fishplating is performed. It can also be used.

변형으로서, 단일 접속 와이어(7)의 변형이 관계되는 때에 캐리지(48)는 와이어(7)가 변경될때 대응되는 립(32)(37)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도9의 오른쪽부분에 도시된바와 같이, 대응되는 측면 플랜지(19)에 대한 어떠한 영향도 없이 측면 롤러(71)가 중지되도록, 그들의 중지 위치에서 면(3)의 다른면에 위치한 덮개(79)를 해체시킴으로서 도 9의 왼쪽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3)의 동일한 면에 위치한 덮개(79)위에 상기 기술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변형에서 캐리지(48)의 장착체(4) 또는 장착체들(4)에 대한 영향의 형태를 이해하기는 쉬우므로 그 결과 더 이상 자세히 기술하지는 않는다.As a variant, when the deformation of the single connection wire 7 is involved, the carriage 48 temporarily moves the right lip of Fig. 9 to separate the corresponding ribs 32 and 37 from each other when the wire 7 changes. As shown in FIG. 9 by disassembling the cover 79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ace 3 in their stop position, so that the side rollers 71 stop without any influence on the corresponding side flange 19. As shown in the left part of, it can be us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on the cover 79 located on the same side of the face 3.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form of the influence of the carriage 48 on the mount 4 or the mounts 4 in this variant and as a result is not described in further detail.

상기에서 기술된 발명을 이행하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바람직하지만, 당업자는 상기 이행방법이 단지 비한정적인 실시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본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resently preferre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only a non-limiting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거의 일정한 단면을 갖고, 서로 고정된 세 개의 전도성 종방향소자(4, 7)를 구비하는 형태의 이동부재의 종방향 전력공급선 장착 및 탈착 캐리지로서, 즉,As a longitudinal power supply line mounting and detaching carriage of a moving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cross section and having three conductive longitudinal elements 4 and 7 fixed to each other, ie - 종방향 중앙 평면(3)을 갖고, 상기 평면(3)에 수직하는 견고한 평탄한 베이스(13)와, 상기 평면(3)을 따라 놓이는 평탄한 중앙 플랜지(18)와 두 개의 탄성적으로 가요성 평탄한 측면 플랜지(19)가, 베이스(13)와 동일 측면에 놓이고, 각각 그 측면에서, 상기 평면(3)에 대략 평행하게 놓이는 세 개의 플랜지(18, 19)를 구비하고, 이들 세 개의 플랜지(18, 19)는 각각 베이스(13)에 연결되어, 그 대향 측면에, 자유단(20, 21)을 각기 갖고, 립(32, 37)이 상기 평면(3)에 수직 방향에서 쌍으로 서로를 향하도록, 이웃하는 플랜지(18, 19)를 향해 선회된 립(32, 37)의 단면 형상을 갖는 지지부의 장착체(4)와,A rigid flat base 13 having a longitudinal central plane 3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a flat central flange 18 lying along the plane 3 and two elastically flexible flats The side flanges 19 have three flanges 18, 19 which lie on the same side as the base 13, and on each side thereof,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plane 3, and these three flanges ( 18 and 19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ase 13, each having free ends 20 and 21 on opposite sides thereof, and the ribs 32 and 37 connect each other in pair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3. The mounting body 4 of the support hav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ibs 32, 37 pivoted toward the neighboring flanges 18, 19 so as to face, - 상기 평면(3)에 대해 상호 대칭을 이루고, 각각이 상기 평면(3)에서 이격하는 방향에서, 그 자유단(21)을 가압하여, 상기 평면(3)을 향해, 각 접속 와이어(7)의 각 홈으로, 자체 가압되어, 상기 평면(3)을 향해,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의 다른 홈(11)에 의해, 두 측면 플랜지(19)의 탄성 편향 프리스트레싱의 조건하에서 상기 자유단(20, 21)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두 개의 홈(11)을 구비하고, 상기 대응하는 자유단(20, 21) 사이, 장착체(4)에 고정하는 클램핑 효과를 각 와이어(7)에 인가하도록, 이동요소와 접속하는 두 와이어(7)를 구비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에 있어서,Each connecting wire 7 being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3, each pressing its free end 2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ane 3, towards the plane 3 To each groove of the self-pressurized, toward the plane 3, by the other groove 11 of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18, under conditions of elastic deflection prestressing of the two side flanges 19. It is provided with two grooves 11 fixed to one of the free ends 20 and 21, and between the corresponding free ends 20 and 21, the clamping effect of fixing the mounting body 4 to each wire ( In the mounting and detachable carriage having two wires (7) in contact with the moving element to apply to 상기 캐리지는,The carriage, - 종방향 중앙 대칭 평면(3)을 갖는 견고한 새시(49)와,A rigid chassis 49 having a longitudinal central symmetry plane 3, - 상기 종방향 중앙 대칭 평면(3)이 장착체의 종방향 중앙 대칭 평면(3)과 일치하는 방향에서 새시(49)와 장착체(4) 사이에, 한편으론 장착체(4)에 의한 새시(49)의 지지와, 다른 한편으론 장착체에 관해 종방향 병진 이동에서 새시(49)의 가이드를 제공하는 분리형 기계적 접속수단(57)과,The chassis between the chassis 49 and the mounting body 4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ngitudinal central symmetry plane 3 coincides with the longitudinal central symmetry plane 3 of the mounting body, on the other hand by the mounting body 4. A detachable mechanical connecting means 57 providing support of the 49 and, on the other hand, guiding the chassis 49 in longitudinal transl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ody, - 상기 종방향 평면(3)의 각 측면에 각각 놓이는 새시에 의해 유지되고, 새시(49)에 관해서 각각의 특정 정지 위치에서 종방향 평면에 관해서 서로 대칭이고, 각기 정지 위치에서 시작해서, 적어도 종방향 평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에서, 상기 종방향 평면(3)에서, 상기 종방향 평면(3)에서 이격되는 측면에 대응하는 각 립(37)의 자유단(21)과 맞물릴 수 있는 두 개의 측면 맞물림 부재(71)와,Held by a chassis, each lying on each side of the longitudinal plane 3,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plane at each particular stop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hassis 49, starting at respective stop positions, starting at least In the direction spaced from the direction plane, in the longitudinal plane 3 two sides which can engage with the free end 21 of each lip 37 corresponding to the side spaced in the longitudinal plane 3. The engagement member 71, - 제어된 방식으로, 상기 종방향 평면(3)에서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는 방향에서, 그리고 각 정지 위치로 복귀시, 종방향 평면(3)에 수직하게 접근하는 방향에서, 새시(49)에서 측면 맞물림 부재(71)를 강제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79, 94)과,In a controlled mann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plane 3 and upon return to each stop position,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longitudinal plane 3 perpendicularly, in the chassis 49 Means (79, 94) for forcibly moving the engagement member (71), - 새시(49)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종방향 평면(3)에 관해서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접속 와이어(7)를 가압하는 부재(128)와,A member 128 which is held by the chassis 49 and which presses the connecting wire 7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plane 3, - 제어된 방식으로, 상기 종방향 평면(3)의 일 방향과 횡방향(축(119))으로 새시(49)에 관해서 스러스트부재(128)를 강제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120, 123)을 구비하며,In a controlled manner, means 120, 123 for forcing the thrust member 128 with respect to the chassis 49 in one direction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xis 119) of the longitudinal plane 3. Equipped, 상기 종방향 평면(3)을 따라 놓이고 대응하는 립(32) 사이에, 적어도 각 측면의 상기 종방향 평면에서 이격하는 방향으로,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과 맞물릴 수 있는, 새시(49)에 의해 지지된 중앙 맞물림부재(70)를 포함하고,Can mate with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18, along the longitudinal plane 3 and between the corresponding ribs 32, at least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longitudinal plane on each side. A central engagement member 70 supported by the chassis 49, 스러스트부재(128)는 상기 종방향 평면(3)에 평행한 장착체(4)의 베이스(13)에서 이격하는 방향으로 두 접속 와이어(7)에 대한 지지부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The thrust member 128 can act as a support for the two connecting wires 7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13 of the mounting body 4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plane 3. Detachable carria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장착체(4)의 경우에서 각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은, 베이스(13)를 향해 선회하고 상기 평면에서 이격하는 방향에서 각 측면 플랜지(19)에서 돌출 위치하고, 상기 평면(3)에 대략 수직한 각각 종방향 평면(39)을 갖고, 기계적 접속수단(57)은 상기 종방향 평면(39)의 양단에 걸쳐 회전하는 수단(5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In the case of the mounting body 4, the free end 21 of each side flange 19 protrudes from each side flange 19 in a direction pivoting toward the base 13 and spaced apart from the plane, the plane ( 3) each having a longitudinal plane (39)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3), wherein the mechanical connecting means (57) are means (57) for rotating across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plane (3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종방향 평면(3)의 일 측면에 놓이는 측면 맞물림 부재(71)를 이동하기 위한 수단(79, 94)은 상기 종방향 평면(3)의 타측면에 놓이는 측면 맞물림 부재(71)를 이동하기 위한 수단(79, 94)과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Means 79 and 94 for moving the side engagement member 71 lying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plane 3 to move the side engagement member 71 lying on the other side of the longitudinal plane 3. Mounting and detaching carriage, characterized in that independent of the means (79, 94) fo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장착체(4)의 경우 중앙 플랜지(18)의 자유단(20)은 베이스(13)에서 선회되고 상기 평면(3)을 따라 대응 립(32) 사이에 위치되는 종방향 홈(31)을 가지며, 각 측면 플랜지(19)의 자유단(21)은 상기 평면(3)에서 이격방향으로 대응하는 각 립(37)에 대해서 오프세트하고 베이스(13)에서 이격 선회되는 각 종방향 홈(41)을 갖고,In the case of the mounting body 4 the free end 20 of the central flange 18 has a longitudinal groove 31 which is pivoted in the base 13 and located between the corresponding lips 32 along the plane 3. The free end 21 of each side flange 19 is offset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lip 37 in the spaced direction in the plane 3 and in each longitudinal groove 41 being spaced apart in the base 13. With - 중앙 맞물림 부재(70)는 상기 종방향 평면(3)을 따라 놓이고, 상기 종방향 평면(3)에 수직한 축(66)을 중심으로 새시(49)에 관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전 축(66)을 따라 병진에 대해 새시(49)에 관해 이동하지 않고 중앙 플랜지(18)의 상기 홈(31)에 원주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롤러(70)를 구비하고,A central engagement member 70 lies along the longitudinal plane 3 and is moun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bout the chassis 49 about an axis 66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plane 3, Has at least one central roller 70 which can circumferentially engage the groove 31 of the central flange 18 without moving about the chassis 49 relative to the translation along the axis of rotation 66. , - 측면 맞물림 부재(71)는 상기 종방향 평면(3)의 각 측면에 각각 놓이고 각 정지 위치에서 종방향 평면에 관해서 상호 대칭이고, 상기 종방향 평면(3)에 수직한 동일 축(66)을 중심으로 새시(49)에 관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하나의 측면 플랜지(19)의 상기 홈(41)에 원주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측면 롤러(7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The side engagement members 71 are respectively placed on each side of the longitudinal plane 3 and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plane at each stop position, the same axis 66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plane 3. With at least one pair of side rollers 71 mounte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chassis 49 and able to circumferentially engage the grooves 41 of one side flange 19. Features mounting and detachable carriag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측면 롤러(71)의 위치 조정가능한 수단(79, 94)은,The position adjustable means 79 and 94 of the side roller 71 is - 상기 회전 축을 따라 새시(49)에 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전 축(66)을 중심으로 새시(49)에 관해서 회전 이동하지 않고 회전 축을 따라 병진 이동 없이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더(94)와,Slidably moveable about the chassis 49 along the axis of rotation, rotatably mounted about the axis of rotation without translational movement along the axis of rotation without rotation about the chassis 49 about the axis of rotation 66. Slider 94, - 상기 회전 축(66)을 중심으로 새시(49)에 관해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 축(66)을 따라 새시(49)에 관해서 병진 이동 없이, 나사산으로 각 슬라이더(94)에 맞물려 상기 회전 축(66)을 중심으로 새시(49)에 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조정수단을 고정하는 나사(7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Rotate about the chassis 49 about the axis of rotation 66 and engage each slider 94 with a thread without translation, about the chassis 49 along the axis of rotation 66; Mounting and detachable carri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ew (79) for fixing the adjustment means that can rotate about the chassis (49) about the shaft (6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중앙 롤러(70)의 회전 축(66)은, 사이에 중앙 롤러(70)가 놓이는 상기 측면 롤러(71) 쌍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Mounting and detachable carri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s of rotation (66) of the center roller (70) coincides with the pair of side rollers (71) in which the center roller (70) lies between.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 중앙 맞물림 부재(70)는 새시(49)의 특정 횡방향 평면(50)에 관해서 상호 대칭인 상기 중앙 롤러(70)의 두 실시예를 구비하고,The central engagement member 70 comprises two embodiments of the central roller 70 which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transverse plane 50 of the chassis 49, - 측면 맞물림 부재(71)는 상기 횡방향 평면(50)에 관해서 상호 대칭인 상기 쌍의 실시예를 구비하며,The side engagement member 71 has said pair of embodiments which are mutu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said transverse plane 50, - 측면 맞물림 부재(71)를 이동하기 위한 수단(79, 94)이 두 개의 상호 독립적인 대응하는 실시예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Mounting and detaching carriage, characterized in that means (79, 94) for moving the side engagement member (71) are provided in two mutually independent corresponding embodiments.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장착체(4)의 경우에 있어서, 각 홈(31, 41)은 V형 단면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중앙 롤러(70)와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쌍의 각 측면 롤러(71)는 각각 볼록한 원주를 갖고, 회전 축(66)을 포함하는 임의 평면에서 본 단면이 V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In the case of the mounting body 4, each of the grooves 31 and 41 has a V-shaped cross section, and at least one central roller 70 and at least one pair of each side roller 71 of the pair are each convex circumference. And the V-shaped cross section seen in any plane including the rotation axis (6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스러스트 부재(128)는 상기 종방향 평면(3)에 수직한 축(124)을 중심으로 새시(49)에 관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베어링(128)이고 상기 종방향 평면(3)에 관해서 상호 대칭인 두 개의 원주방향 홈(132)을 구비하여, 두 접속 와이어(7) 중 하나를 수용하며, 스러스트 부재를 이동하기 위한 수단(120, 123)은 새시(49)에 관해서 상기 횡방향(축(119))에서 베어링(128)의 회전 축(124)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The thrust member 128 is a bearing 128 moun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bout the chassis 49 about an axis 124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plane 3 and mutu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plane 3. With two circumferential grooves 132 which are symmetrical, it receives one of the two connecting wires 7 and the means for moving the thrust member 120, 123 are transverse (axial) with respect to the chassis 49. (119)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axis of rotation (124) of the bearing (128).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베어링의 회전 축(124)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120, 123)은,The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shaft 124 of the bearing (120, 123), - 상대 이동의 가능성 없이 상기 횡방향(축(119))을 따라 새시(49)에 관해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동시에, 베어링의 회전축(124)이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된 슬라이더(120)와,A slider 120 mounted so as to be able to slide about the chassis 49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xis 119) without the possibility of relative movement,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rotational axis 124 of the bearing to be fixed, - 상기 종방향 평면(3)에 횡방향 축(119)을 중심으로 슬라이더(120)에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횡방향 회전 축(119)을 따라 슬라이더(120)에 관해서 병진 이동하지 않고, 나사산(112)에 의해 새시(49)에 맞물리고 상기 횡방향 회전 축(119)을 중심으로 새시에 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조정수단에 고정되도록 장착된 나사(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탈착 캐리지.Threaded on the slider 120 about the transverse axis 119 in the longitudinal plane 3 and without translational translation with respect to the slider 120 along the transverse axis of rotation 119. And a screw 123 mounted to the chassis 49 by means of 112 and fixed to an adjustment means capable of rotating about the chassis about the transverse rotational axis 119. Detachable carriage.
KR1020027011064A 2000-02-23 2001-02-23 Carriag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power supply line of a mobile element comprising two contact wires and a body for being mounted on a support KR1007361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2277A FR2806358A1 (en) 2000-02-23 2000-02-23 Mobile carriage for attachment to power lines includes flanges for forcing wires into place over guide wheels
FR00/02277 2000-02-23
FR0012661A FR2806359B1 (en) 2000-02-23 2000-10-04 ELECTRICITY MOBILE POWER SUPPLY LINE, COMPRISING TWO CONTACT THREADS AND A MOUNTING BODY ON A SUPPORT, MOUNTING BODY FOR CARRYING OUT SUCH A LINE, AND MOUNTING CARRIER FOR THE CONTACT THREADS OF SUCH A LINE
FR00/12661 2000-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573A true KR20020086573A (en) 2002-11-18
KR100736153B1 KR100736153B1 (en) 2007-07-06

Family

ID=2621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064A KR100736153B1 (en) 2000-02-23 2001-02-23 Carriag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power supply line of a mobile element comprising two contact wires and a body for being mounted on a support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57434A1 (en)
JP (1) JP4643882B2 (en)
KR (1) KR100736153B1 (en)
CN (1) CN1273326C (en)
FR (1) FR2806359B1 (en)
WO (1) WO200106253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4009420U1 (en) * 2004-06-16 2004-10-21 Furrer + Frey AG Ingenieurbüro Fahrleitungsbau conductor rail
CN102616155A (en) * 2012-03-21 2012-08-01 李雷 Inserting line mounting trolley of crank arm rigid suspension contact network
CN103738202A (en) * 2014-01-09 2014-04-23 山东伟盛铝业有限公司 Double-line rigid suspension catenary
CN106314206A (en) * 2015-06-18 2017-01-11 李雷 Rigid suspension crank arm double-wire contact network
EP3702204A1 (en) * 2019-02-27 2020-09-02 Furrer + Frey AG Greasing method
CN114407731B (en) * 2022-01-06 2023-06-09 杭州申昊科技股份有限公司 Subway assembled rigid contact net suspen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85838B1 (en) * 1972-05-25 1975-03-28 Gennevilliers Acieries
FR2296543A2 (en) * 1975-01-06 1976-07-30 Gennevilliers Anc Ets C Delach RIGID ELECTRICAL POWER LINE, ESPECIALLY FOR THE POWER SUPPLY OF ELECTRIC VEHICLES ON RAILS
DE3048238A1 (en) * 1980-12-20 1982-07-29 Kabel- Und Lackdrahtfabriken Gmbh, 6800 Mannheim "METHOD FOR ASSEMBLING A TRACTIVE WIRE AND SUITABLE TRACTIVE WIRE THEREFOR"
FR2696690B1 (en) * 1992-10-12 1995-01-27 Delachaux Sa Device for coating the grooves of a contact wire with grease before its installation in an electrical supply line profile, and electrical supply line with multiple contact wires.
JP3319852B2 (en) * 1994-02-04 2002-09-03 日立電線株式会社 Trolley wire
DE29621605U1 (en) * 1996-04-01 1997-02-13 Furrer & Frey Ag Ingenieurbuer Device for coupling elastic and rigid contact line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9502A (en) 2003-05-21
FR2806359A1 (en) 2001-09-21
FR2806359B1 (en) 2006-07-28
KR100736153B1 (en) 2007-07-06
CN1273326C (en) 2006-09-06
JP4643882B2 (en) 2011-03-02
JP2003523877A (en) 2003-08-12
EP1257434A1 (en) 2002-11-20
WO2001062538A1 (en) 200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8474B1 (en) Suspension system for sliding door
US595725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upling elastic and rigid contact line systems
KR20020086573A (en) Carriag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power supply line of a mobile element comprising two contact wires and a body for being mounted on a support
EP3083322B1 (en) Current collector and conductor line system
DE112019003176T5 (en) Three-phase power supply and collection device for maglev train
US7845285B2 (en) Rail for self-propelled electric trucks
EP2607148A2 (en) Clamp for suspending a section of a rigid catenary
KR101902361B1 (en) Section insulator for rigid trolley line
KR101490154B1 (en) Holding device for electric car line
CN213085013U (en) Special chassis for high-speed rail bidirectional cable laying vehicle
WO2023087961A1 (en) Suspension type track single-turnout vehicle line changing system
KR100446462B1 (en) An movable bracket for for electric railway
KR101810796B1 (en) rigid bar transition device for high speed electric railroad
CN111188232A (en) Automatic fine tuning machine and fine tuning system for track panel
DE202015100622U1 (en) Pantograph and conductor rail system
US6536104B2 (en) Method of fabricating and a method of renovating an electrical power supply rail, a carriage for carrying out the methods, a rail mounting body and a rail wear plate for use in the fabrication method, and an electrical power supply rail obtained by the method
EP3766729A1 (en) Cantilever for multi-pantograph high-speed overhead contact line
JP4823779B2 (en) Antifriction machine
KR102599071B1 (en) rigid bar transition device for high speed electric railroad
CA2317431A1 (en) Line-changing device for tracks of a magnetic levitation train
EP1117589B1 (en) Telescopic gangway with a supply line and a holding element for said line
CN217651343U (en) Electroplating material belt buffering and adjusting device
KR20190021824A (en) Connecting apparauts of rigid bar and rigid bar system having the same
CN115308858B (en) Tail fiber distributing device
JP3043497U (en) Power supply device and traveling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