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562A - 개선된 항알러지성 허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항알러지성 허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562A
KR20020086562A KR1020027010942A KR20027010942A KR20020086562A KR 20020086562 A KR20020086562 A KR 20020086562A KR 1020027010942 A KR1020027010942 A KR 1020027010942A KR 20027010942 A KR20027010942 A KR 20027010942A KR 20020086562 A KR20020086562 A KR 20020086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allergic
frui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가르왈라빈드라쿠마르
아가르왈아누라그
Original Assignee
내추럴 레메디스 프리베이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추럴 레메디스 프리베이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내추럴 레메디스 프리베이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8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5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7Piperaceae (Pepper family), e.g. Jamaican pepper or kav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테르미날리아 체불라열매,알비지아 레벡, 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껍질로부터의 추출물의 공동상승작용적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성 허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파이퍼 롱검, 파이퍼 니그럼의 열매와징기버 오피시날레뿌리줄기도 함유하며 항알러지성 활성능을 가진 최종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완전 혼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도 관계한다. 상기 조성물은 알러지성 조건의 치료에 특별히 유용하다.

Description

개선된 항알러지성 허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AN IMPROVED HERBAL COMPOSITION HAVING ANTIALLERGIC PROPERTIE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질환 중 하나는 다양한 징후의 "알러지" 반응이다. 알러지는 특정의 외래 물질에 대한 공격을 취하는 몸의 상태 혹은 조건을 말하며 사람들은 음식, 약품, 식물, 동물 및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다양한 물질 등에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사람이 알러지 반응하는 물질을 알러지원 이라 한다. 알러지는 천식, 비염, 두드러기 및 피부질환 등의 각각이나 이들의 복합적인 징후조건을 말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것은 유전적 성향이 있다. 알러지 반응자들은 대부분 순환형 IgE 항체 (이뮤노글로부린 특이종) 레벨이 증가한다. 알러지는 특정항원(알러지원)에 노출시에 생기는 것으로 후속노출시 그 항원/알러지원에 대한 현저한 반응성 증가로 귀결되는 알러지과민증 혹은 면역과민증으로 정의된다. 이 노출은 때로 위험한 면역학적 결과를 가져온다. 일반적인 알러지 반응원은 먼지, 꽃가루, 집진드기, 잡초, 애완동물, 곰팡이홀씨 등이다. 옥수수, 계란, 콩, 피넛, 밀크초컬릿, 카페인 등의 식품알러지원도 있다.
알러지는 변형면역반응 상태이다. 면역계의 기능은 건강에 대한 위협을 확인대응하는 것이다. 외부체로서 먼지 혹은 꽃가루가 체내로 들어가면 몸의 반응을 일으킨다. 통상, 반응 자체는 알러지원을 몸 밖으로 제거하려는 시도이다. 이 반응은 다양한 형태를 취하며 그 중 한가지는 혈액 및/또는 점액이 침입위치나 접촉부위에 몰리는 현상 즉 염증반응이다. 이것은 건강한 정상적인 반응이다. 작용부위에 대한 혈액공급의 증가는 치료 영양물을 전달하며 부풀어오름 및 발열현상은 침입물을 쫓아내고 점액이 이 침입물을 분출시킨다. 따라서 이것은 몸을 보호하기 위한 현상이다. 그러나, 알러지 반응자들의 경우, 이러한 작용이 더 오랫동안 지속되고 각종 임상징후로 인한 불편을 야기한다. 자체의 과잉 방어반응이 병을 유발하는 것이다. 다수 질환 즉, 건초열, 기관지천식, 두드러기 등은 히스타민 혹은 히스타민 유사물질의 유리작용 증대에 기인하여 일어난다.
공기전염성/호흡형 알러지
두통, 재채기, 눈물, 콧물, 가쁜숨 및 피로감 등은 매년 수개월 (혹은 그이상) 동안 공기전염성 알러지 환자에게 늘상 동반되는 증후이다. 영구반복적 알러지의 경우, 매일 반복적인 고통을 겪게되며 이는 강력한 약물로서 예컨대 면역계를 억제하는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등과 충혈완화제 등으로 일시적으로만 해소되나 졸음 같은 부작용이 수반되는 경우가 종종있다. 공기전염성 알러지는 대체로호흡계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재채기, 목과 눈의 간질거림, 시너스의 두통 및 때로는 기침 등을 수반하기도 한다. 나무꽃가루, 잔지, 잡초꽃가루, 애완동물, 진균류나 팡이류, 먼지 및 담배연기 등은 알러지증후를 일으킬 수 있는 가정내의 알러지원으로 일반적이다.
알러지 병원론
항원(알러지원)에 대한 노출에서, 항원 함유 세포라고 하는 특정한 세포가 항원을 전달하고, 이것을 처리 및 특정의 백혈구 세포 예컨대, T-임파구 [CD4의 TH2서브셋 + T 헬퍼 임파구]에 공급한다. 이들 T-임파구는 인터루킨 IL4, IL5, IL6 같은 사이토킨 라고하는 중요한 화학매개자 및 과립구-마크로파지군 자극인자(GM-CSF)를 방출하여 대응한다. 사이토킨은 임파선에서 B-임파구(백혈구 세포)와 작용한다. B-임파구는 혈장세포로 자체변형하고 이것이 IgE 항체를 분비한다. 이들은 항원에 특이적이다. 형성시, IgE 항체는 마스트셀 및 호염기성 세포라는 특수세포군에 부착되는 성향이 강하다. 마스트셀은 피부, 폐점막, 기관지점막, 장내점막, 임파선, 유방 실질부 및 간 등에 존재한다. 이들은 알러지 및 염증현상에 대해 생명유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마스트셀은 15-20 가지의 화학매개자를 보관하며 이것이 중대한 알러지 징후에 대응한다.
알러지원(항원)에 재노출시, 마스트셀 상의 사전형성된 IgE 항체가 항원과 반응한다. 이 조합은 분자레벨에 일련의 변화를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매개자를 방출한다:
(1) 히스타민
(2) 5-히드록시트립타민 (세로토닌)
(3) 루코트리엔 B4, C4, D4, E4
(4) 혈소판 활성인자
(5) 프로스타글란딘 D
(6) 인터루킨 IL-3, IL-4, IL-5, IL-6, 과립구 마크로파지군 자극인자(GMCSF), IL-1
(7) 종양괴사인자 - α (TNF-α )
(8) 브라디키닌 등
이들 매개자 중에서 루코트리엔 C3& D4는 혈관작용능 (혈관에서 작용할 수 있는)이 가장 우수한 경련제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혈관침투성을 증대하고 혈관확장 및 기관지 연근육 수축을 야기한다. LTB4는 프로스타글란딘의 방출을 일으키고 염증적변화를 가져오는 뉴트로필 및 에오시노필 (백혈구)의 주화성을 야기한다. 프로스타글란딘 PGD2는 기관지경련을 일으키고 점액분비를 증대한다. PAF(혈소판 활성인자)는 혈소판응집, 히스타민 방출, 기관지경련, 혈관침투성 및 혈관확장성 증대 등을 가져온다. 또한 뉴트로필과 에오시노필의 주화성 작용도 한다. 따라서, 염증의 후기단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TNF, IL1, IL3, IL4, IL5, IL6 및 GM-CSF 같은 사이토킨은 염증세포 회복과 이에 따른 탈과립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사이토킨이다. TNF-α 은 염증 부위에서 세포를 끌어당기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알러지 현상
알러지는 2가지 단계 즉, 즉시단계와 지연단계로 구분된다. 즉시단계는 처음 1-2시간동안 끝나는 초기응답 시기를 포함하며;
(i) 혈관확장 즉, 코의 점막에 인접한 혈관의 충혈 및
(ii) 혈관에서 나온 단백질 함유 혈장의 유출 등의 비출혈을 특징으로 한다. 응답 매개자는 히스타민과 루코트리엔이다.
지연단계는 PAF, THF, 루코트리엔에 의해 매개된 세포상 혹은 염증단계이다. 알러지원에 대한 재노출에서 마스트셀 상에 사전형성된 IgE 항체은 항원과 반응한다. 감염시 혹은 기타 외상시 보호성 염증반응과 달리, 알러지의 현상은 자체제한성이 없으므로 다양하다. 항원항체 반응은 사람이 항원에 노출되고 및 이들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에 발생하며, 염증이 생긴다. 결과로서, 각종 세포상 영향 예컨대, 효소, 유리기, 프로스타글랜딘 등의 다양한 영향이 계속될 것이며 지속적인 조직손상을 일으켜 종국에는 만성적인 염증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검사가 필요하다. 알러지성 및 비-알러지성 대상의 주된 차이는 알러지성 대상이 고레벨의 IgE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것은 다른 다람들과 구별되게 항원적 자극에 대해 과응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i) 고유의 영향과민성과
(ii) 매개자 방출 혹은 합성이나 이들 모두의 세포간 제어 혹은, 매개자 비활성을 약화시킬 과잉 세포 제어신호의 결핍성.
더 상세히는 Robbins 이 "Pathologic Basis for Disease, 5thEdition 1994 W.B. Saunder Company,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4thEdition, McGraw Hill Publications, 1998 을 참조한다.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비염은 코의 통로에 인접한 점막에서 일어나는 알러지반응에 의한 만성염증이다. 코막힘, 콧물, 잦은 재채기 및 구강호흡 성향 등이 이 질환의 특징이다. 눈은 충혈되고 물기가 많아진다. 두통, 기침, 비출혈 및 피로감이 2차적인 합병증세이다. 이러한 상태의 유발원인은 울, 곰팡이, 깃털, 먼지 및 꽃가루 등에 대한 노출이다. 알러지성 비염의 특징은:
1. 계절적 혹은 만성적으로 발생하고,
2. 종종 가족의 병력이 있으며,
3. 대상 환자의 순환형 IgE 항체의 레벨이 크다는 점이다.
현재 행해지고 알러지성 비염의 치료는:
* 알러지원과의 접촉방지
* 항-히스타민제, 충혈완화제, 마스트셀 안정화제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류등의 항염증제로 보조적 치료를 행하는 것.
* 확실한 치료법은 알러지원의 피부내 주사로 원인을 확인하고 및 원인/알러지원이 확인되었을 때 대상에 대해 후속의 탈과민화 처치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든 치료법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치료방식으로 알러지성 비염을 치유하는 것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탈과민화 방법은 또한 고비용적이고 복잡하며 환자의 지원이 요구되므로 그 성취도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대안적인 치료방법이 필요하다.
알러지성 기관지염/기관지 천식:
기관지 천식은 실제로 적절치 않은나 반응성 공기경로 질환이라고도 한다. 대체로 건초열의 원인이 되는 알러지원에 대한 알러지반응과 또한, 스트레스, 운동, 감염, 증기 및 찬공기 등에 의해 악화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기침, 가쁜숨 혹은 호흡곤란 같은 증세가 특징이다. 이러한 증후는 기관지 기도의 연근육 수축 및이 기도를 막는 점액분비가 원인이다. 천식은 호흡문제를 일으키는 호흡기 질환이다. 이러한 문제는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일이 많으며 소위 발작이라고 한다. 천식은 만성적인 문제로서 즉, 천식을 가진 사람들은 일생동안 매일 이것을 의식하며 살아간다. 심각한 것은, 적절히 관리하지 않을 경우 생명의 위협을 받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적절한 관리만 있으면 대부분의 천식환자들은 정상인으로 생산적인 일을 하며 살 수 있다. 몇가지 요건을 제시한다면, 감염에 대한 노출, 알러지원의 다른 자극요인, 및 실내와 실외에서 호흡하는 공기의 청정함 등이 여기에 속한다. 천식발작은 전형적으로 알러지원 혹은 자극원이 이것을 감지하는 폐에 작용할 때 일어난다. 일상생활은 항상 알러지원 및 기타 예상되는 발작유발 요인들로 가득하다. 예를 들어,
* 알러지원: 꽃가루, 깃털, 곰팡이류, 동물, 일부 식품, 집안먼지
* 감염: 보통 감기, 독감
* 감정적 스트레스와 흥분
* 격렬한 운동
* 찬 공기
* 직접상의 먼지 및 증기: 플라스틱, 곡물류, 금속, 나무
* 공기오염: 담배연기, 오존, 이산화항, 자동차 배기가스
* 수면 (야간천식)
* 주택용품: 페인트, 클리너, 스프레이 등
* 약물: 아스피린, 심장병약 등
더 상세한 내용은 "The Johns Hopkins Medical Handbook (1992)" Rebus, INC. New York (1992)를 참조한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치료법 및 그의 단점:
최근 수십년간 집중되고 있는 연구는 알러지성 조건의 병인론 측면에서 임파구, 면역글로부린, 마스트셀 및 각종 자능성 약물류 등의 역할에 관한 것이었다. 급성징후의 치료는 증세안정을 위해 아드레닌제 및 아드레노코르티코이드류를 투여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항히스타민제는 그 사용을 제한했다. 특별한 경우 알러지가 단순한 알러지원에 대한 탈과민화 처치에 따른 장점을 갖는 예도 있다. 각종 제품이 알러지성 조건을 치유하는데 사용되었다.
현재 다음과 같은 치료법이 천식/알러지성 기관지염의 치료에 이용된다:
1. 설부타몰, 테오필린 같은 기관지확장제는 기관지를 이완시키고 가쁜 숨을누그러뜨린다.
2. 세트리진, 클로페닐아민 말레이트 등의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이 기관지 연근육에 작용하는 것을 차단한다.
3. 면역 메카니즘의 감소를 유발하고 항염증제 역할을 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류를 사용한다.
4. 디소듐크로모글리케이트 및 케토티펜 같은 마스트셀 안정화제는 마스트셀로부터 매개자의 방출을 막는다.
5. 감염이 알러지성 기관지염을 유발 혹은 이 뒤에 생길 수 있으므로 필요시 보조 항생제를 투여한다.
그러나, 이들 제품의 사용을 연장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각 제품은 다음과 같은 제한이 따른다.
* 금기사항
* 특별한 예방조치
* 잠재적 위험을 표출시킬 상호작용
* 식품간 상호작용
상술한 치료법에 수반되는 부작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기관지확장제 - 서브타몰은 근육약화, 떨림, 저칼륨혈증, 빈맥 등. 테오필린은 협소한 치료인덱스를 가지며 빈맥, 심장의 통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2. 항히스타민제 - 진정작용, 빈맥 등
3.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류 - 장시간 흡입시 아구창을 유발할 수 있다. 장시간구강내 치료시의 계통적 흡수는 위염, 골다공증, 부종 등을 일으킬 수 있다.
4. 디소듐크로모글리케이트는 기침과 가쁜숨, 후두부 부종, 두통, 두드러기등을 유발한다.
더 상세한 내용은 다음의 참조문헌에 나와있다:
1.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4thEdition, McGraww Hill Publications, 1998.
2. Martindales The Extra Pharmacopoeia, 30thEdition 1993.
3. Goodman Gil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 Hill, Newyork. Edition: Alfred Good man Gilman, Theodore W. Rall, Alan S.Nies Palmer Jaylor. McGraw Hill Publications, 1991.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특별히 알러지 및 천식에 한정되지 않는 허브 조제물들이 공지의 문헌상에 나와있다. 즉, 이들 공지의 조제물들은 각종 질환에 사용된다. 이러한 조제물은 본래의 형태로, 다량으로, 특별히 좋은 맛 없이, 또한 불편한 투약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조제물의 효능이 그다지 달성되지 않는 허브 조제물도 있다.
현재, 허브 생성물은 합성물보다 부작용의 위험이 극소이면서도 효능이 우수해 널리 대중화되었다. 따라서, 각종 질환을 치료할 제품의 개발에 관련하여 여러가지 허브에 기초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알러지성 조건의 치료를 위한 개선된 허브 조성물의 개발 필요성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알러지성 조건의 치료에 사용되는 합성제품은 큰 부작용을 안고있다. 항알러지성 제품은 면역계를 조정하여 소량의 IgE가 분비되는 방식으로 치료대상의 민감도를 감소시킬 경우 효능을 갖는 것이며 이경우에도 마스트셀은 안정화된다.
허브류는 알러지에 대한 치유책을 많이 제공하지 못한다. 자연치유법에서, 일부의 허브 조제물은 변형된 면역성이 알러지 원인이 된다는 판단하에 주로 체내의 면역계를 뒷받침하는 데에 역할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만족도는 매우 낮으며 이들 생성물을 사용해도 적절한 완화효과를 제공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허브 생성물은 환자들에 대중적으로 이용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알러지성 조건의 치료에 유용한 개선된 항알러지성 허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기관지염 및 기관지천식의 치료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항알러지성 허브조성물의 제조방법에도 관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상승작용 복합체에 함유된 성분중 하나의 농도를 증가시킨 것을 다른 성분의 농도 증가에 대해 그래프 형태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체의 상대비율을 3:3:3:1 로 하는 경우의 공동상승효과 및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과 같이 도시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따라서, 항알러지 활성이 현저한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특별히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천식 및 알러지성기관지염의 경감 뿐만 아니라 이에 연계된 면역학적 질환을 고치는데에도 도움이 되는 항알러지성을 갖는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계한다.
그 밖의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재채기, 코막힘, 눈물, 목, 눈 및 코의 충혈, 가쁜숨, 호흡곤란 등의 알러지성 징후들을 제어하는 항알러지성을 갖는 개선된 허브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졸음 혹은 다른 화학적 항알러지 화합물과 다른 면역적 차이를 유발하지 않는, 항알러지성을 갖는 개선된 허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마스트셀 안정화 즉, 알러지 징후에 응답하는 히스타민 방출을 방지하여 작용하는 항알러지성을 갖는 개선된 허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항알러지성을 갖는 개선된 허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련 공지문헌에 대한 심도깊은 연구와 함께 다양한 허브류의 용도에 대한 경험과 지식에 근거하여 완성된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수의 식물 및 식물 조제물을 상세 연구를 위해 선택하였다. 선택된 식물/추출물은 마스트셀 안정화 생체검사에 이용했다. 생체검사는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보고되었다. 예컨대, "Rajashekharan M.et. al., j. Drug Dev.,1989, 2(3), 179-182" 의 내용을 참조한다. 마스트셀은 피하 및 연결조직 내의 호염기성 세포이다. 이들은 다수가 쥐의 장간막에서 발견되었고 수많은 막으로 연결된 과립구들을 함유하며, 이들 과립구는 또한 히스타민, SRS-A, 세로토닌, 브라디키닌 등의 강력한 악리학적 활성매개자를 함유한다. 알러지성 질환의 병리적 측면에서 마스트셀의 역할이 잘 알려져있다. 마스트셀은 IgE 항체의 Fc 절편용 수체를 함유한다. 따라서, 항원에 노출상태로 형성된 IgE 항체는 마스트셀과 결합할 것이다. 동일 항원에 대한 후속의 재노출시, 카르바콜 혹은 N-메틸-p-메톡시페닐아민 및 포름아미드의 축합반응 생성물인 화합물과 유사한 방식으로 마스트셀 탈과립화를 개시할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난다. Das S.N.el. al.,Ind. J. Indigeous. Medicine, Apr-Sep 1995; 17(1):79-82 를 참조한다.
식물 스크리닝:
시험대상인 수개의 식물 추출물/식물 성분들 중에서 다음의 식물이 마스트세포 안정화 분석시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상기 결과에 근거한 연구에서, EC50값이 500mcg/ml 이상인 식물의 추출물은 대체로 항알러지성 적용분야에서 유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식물은 추후의 연구 대상에서 제외했다. 상기 결과에서테르미날리아 체불라, 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파이퍼 롱검, 파이프 니그럼, 알비지아 레벡, 알비지아 키넨시스, 징기버 오피시날레 및 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의 추출물은 마스트셀 안정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상기의 발견에 비추어서, 상술한 식물들을 본 발명의 연구개발 목적으로 선택하였다. 상술한 생물학적 평가에 이어서, 선택된 각 식물의 추출물 각각을 화학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연구결과 탄닌 함유 식물 예컨대,테르미날리아 체불라, 알바지아 레벡, 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 알비지아 키넨시스등은 물로 추출되면 더욱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고, 반면에파이퍼 롱검, 파이퍼 니그럼징기버 오피시날레등은 알코올로 추출될 때 더 우수한 활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연구에서 짧게 열거한 상기 식물들은 아유베다에 공지되었으나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공동상승작용 복합체 내의 이들 추출물은 지금까지 소개된 바가 없으며 신규한 것이다. 이하, 선택된 식물 각각에 대해 공지문헌으로부터 응용할 수 있는 정보를 소개한다.
1) 테르미날리아 케불라
사용부분: 열매
식물에 대한 설명: 보통 혹은 큰 낙엽수, 높이 25 내지 30미터. 잎의 크기는 7 내지 20cm 이며 잔털이 없이 매끈하고, 늘어지며, 대칭되는 타원형 및 원형의 잎사귀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은 양성화이며 백색 혹은 황색이다. 열매는 핵과이고, 2-4cm 길이 및 뒤집어진 난형을 갖는다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의학적 용도: 하리타키 (테르미날리아 체불라) 는 궤양면에 대해 효과좋은 아스트린젠트 및 양치액, 활력제, 강장제, 완하제, 신경안정제, 거담제 및 구충제등으로 사용된다. 기침, 천식, 목쉼, 딸꾹질 등으로 나타난다. 열매는 피스타(pista), 정향나무 및 꿀 등과 함께 감기치료에 사용된다. 열매분말은 기침과 천식 치료에 사용된다 (Wealth of Asia, NISCOM, CSIR, New Delhi, 1996; K.L. Bhishakratna,Susrutha Samhita - Uttara tantra,p.118-130; Mokhasmit, M. et.al,U.j.Med. Assocn.Thailand, 1971, 54(7), 490-504; Reddy, M.B. et.al,Ind. J. Crud. Drug Res.1989, 27(3), 145-155;Azeem M.A.et.al.,Fitoterapia, 1992; 63(4):300-303; Reddy, B.M. et.al.,Int. J. Pharmacogn. 1994; 32(4), 352-35;Yogaratnakara,Chaukamba Pub., 320-330;Bhavaprakashawith Vaidyotini Commentary by Misra, B.S."Chikitsa Prakarana madhyama khanda"-Chaukamba Pub. 1980;p683-701 참조).
식물화학: 열매는 약 30%의 아스트린젠트 물질 - 체블린산, 탄닌산, 갈릭산등과 수지를 함유하고 자연정화의 기능을 갖는 안트라퀴논 및 세노사이드도 존재한다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테르체불린, 푸니칼라긴 및 테르플라빈-A 같은 가수분해성 탄닌류와 갈릭산, 체불산, 체불산의 디-에틸에스테르 및 갈릭산의 에틸에스테르 등의 페놀류는 열매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Rastogi, R.P.et.al.,Compendium of Indian Medicinal Plants, 1991, Vol.2, p.671 참조).
약리학: 기침방지성 및 항히스타민성을 보이고 기관지 천식 및 만성 부비강염에 사용되는 것이 공지되었다. 이완작용은 변비 치료에 응용된다. 체불산 미로발란 (Terminalia chebula)의 영양가 및 그의 식품원으로서의 가능성 등을 평가했다. 물과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을 기니아픽의 소장에 0.01gm/ml 농도로 투여했을 경우 강항 항히스타민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K.L. Bhishakratna,Susrutha Samhita - Uttara tantra, p.118-130; Dhawan, B.N.et.al., 'Screening of Indian Plants for Biological Activity',Ind.J.Exp.Biol.,1968; 232-247;Mokhasmit, M.et al.,U.J.Med.Assoncn.,Thailand, 1971; 4-57: 49-50;Tripathi, Y.N.et.al.,Sachitra Ayur.,1983; 35(11):733-740;Bharathar, N.N.et.al., FoodChemistry, 1991, 40(2), 213-219)
2) 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사용부분: 열매
식물에 대한 설명: 대형수, 곧은 줄기 및 상단이 넓게 퍼지며, 열대계절에 꽃이 핀다. 잎은 가지끝에 무성하게 자란다. 잎자루가 길고, 도란형(oval obovate) 혹은 약간 날카로우며 전체적으로 잎의 전후면에 모두 잔털이 적다. 6 내지 7인치길이 및 2 1/2 폭의 크기. 잎자루 정점의 상단면 및 때로는 저면에 서로 대향한 2개의 선이 있고, 잎의 길이 전체에 곧은 스파이크가 있다. 꽃은 유백색, 수술은 스파이크의 정점쪽을 향하고 짧은 꽃자루와 10개의 수술, 2-3mm 길이의 필라멘트, 8-12cm의 보조 스파이크가 선형 원반과 함께 꽃받침 저면에 형성된다. 암수동체형 및 자루없는 타원형 단자낭(unilocular)으로, 2개의 배주가 있으며 3-4mm 길이 및 5개의 각이 있는 핵과 도란형 (drupe obovate)이다. 너트맥 크기이고 과육이 풍부하며갈색의 유모(pubescent)가 있다.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의학적 용도: 부종, 설사 및 나병에 쓰이며; 때로는 열병도 치료한다. 절반쯤 성숙하면 캐스터유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오일이 존재하므로 정화제로도 사용한다. 가수분해시, 오일이 자극성 물질로 수득된다.(Wealth of Asia, NISCOM, CSIR, New Delhi, 1996; Kirtikar & Basu, Vol-II, 1018-1019,Yogaratnakara, Chaukamba Pub.,320-330;Bhavaprakashawith Vaidyotini Commentary by Misra, B.S."Chikitsa Prakarana madhyama khanda"-Chaukamba Pub. 1980;p683-701 참조).
식물화학: 열매는 약 20 내지 30%의 탄닌류 및 40 내지 45%의 슈용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구성분들은 녹색의 고형오일, 사포닌, 수지성 잔유물 및 3가지의 무정형, 흡습성 글리코시드 화합물 및 착색물질을 포함한다. 필렘블린, 벨레리카닌, 체불라직산 같은 탄닌류와 갈릭산, 엘락산, 에틸갈레이트 같은 페놀류 등은 열매에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형오일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인산 및 리놀레산의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벨레린산 같은 트리테르펜은 글리코시드 벨레리코시드와 함께 열매로부터 분리되었다. (Kokate, C.K.,Pharmacognosy,Nirali prakashan Pub., p.323-324; Row and Murthy, "Chemical Examination ofTerminalia bellerica", Ind. J. Chem.1970, 8, p.1047 참조).
약리학: 열매의 분말은 기침방지성 및 항히스타민 작용을 위해 이용된다. 생쥐에 대한 복강투여시 열매추출물의 최대 내성투약량은 1000mg/kg 이었다. (Dhar et al.,Indian. J. med. Res. 1969, 57, p.103; Trivedi, V.P. et.al., "Clinicalstudy of the anti-tussive and anti-asthmatic effect of Vibhitakphal chuma (Terminalia bellerica) in the cases of Kasa-swasa",J. Res. Ayur. Siddha,1985, 3(142), p.1-8; Mokhasmit M. et.al.,U.J.Med.Ass.,Thailand, 1971, 54(7).p.490-504).
3) 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
학명:필란투스 엠블리카
사용부분: 말린 열매
식물에 대한 설명: 소형 및 중형크기의 낙엽수, 8-18미터 높이 및 얇은 연회식 껍질이 박층 플레이크 형태로 떨어진다. 잎은 단순하고 준고착형(sub-sessile)이며, 가지를 따라 밀착형성되어 있다. 깃털형 잎은 연녹색, 꽃은 녹황색이며 단성으로서 여러개의 수술이 짧고 가느다란 꽃자루에 있고 소수의 암술은 준고착형으로 3개의 난세포를 갖는다; 열매는 구형이고 과육이 많으며 연황색이고, 6개의 삼각형씨앗을 감싼 6개의 고랑이 각각 2개의 씨앗이 담긴 3개의 깍지부 내에 들어있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의학적 용도: 열매는 시고, 떫고, 쓰고, 얼얼하고, 달고, 시원하다. 진정작용 및 안과용 약제, 위장가스 배출제, 소화제, 위장약, 완하제, 변색제, 최음제, 활력(회춘)제, 배뇨촉진제, 해열제 및 강장제 등으로 사용한다.
트리도샤(tridosha), 당뇨, 기침, 천식, 기관지염, 두통, 눈병, 소화불량증, 산통, 위장가스, 위산과다, 소화성궤양, 단독증, 피부질환, 나병, 혈낭종, 감염증, 빈혈, 쇠약, 황달, 배뇨곤란, 설사, 이질, 출혈, 질내출혈, 자궁출혈, 심장병, 간헐열 및 백발화 등의 손상 조건에 유용하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Indian Medicinal Plants - A compendium of 500 species,Part 3, Orient Longman Publications, 1997, page 256-264; Shastry V.D.,Bhavaprakasha Nighantu,Motilal Banarasidas Publication, 1988, page 9; Nadkarni K.,Indian Materia Medica, Popular Parkashan, 1993 Vol. 1, p480).
약리학: 열매 추출물은 배설촉진력에 대해 시험하였고 이 활성은 기관지선의직접적인 자극에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생성물은 장기사용시에도 부작용을 갖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Nadkarni K.M.Indian Materia Medica,Vol, 1, Popular Prakashan, 1993, p.480; Khorana, M.L. et.al.,J.Sci.Industr.Res.1960; 19(C): 60-61; Deka, A. et.al.,Ancient Science of Life, 1983, 3(2), 108-115).
식물화학:엠불리카 오피시날리스열매는 탄닌이 풍부하다. 열매에는 전체 식물에 분포된 탄닌 중 약 28%가 들어있다. 열매는 2개의 가수분해성 탄닌류 엠블리카닌 A & B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들은 모두 항산화성을 가지며 가수분해시 하나는 갈릭산, 엘라직산 및 글루코스를 제공하고 후자는 엘라직산과 글루코스를 제공한다. 필렘블린, 푸니그로코닌 페둔쿨라긴 등도 열매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탄닌류는 750-850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다. L-아스코르브산에서 나온 '아스코르비겐' 즉 L-아스코르브산의 인돌함유 유도체 (비타민C)도 함유한다. 아스코르비겐 및 그의 유도체인 N-메틸아스코르비겐은 새로운 종의 면역조절제를 나타낸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Jaisawl, K.S. et.al.,J.Sci. Industr. Res.,; 1959; 18(9): 180-181; Bose B.C.et al.,Ind.J.Med.Sci.,1961; 15:888; Ghosal S. et.al. "Active constituents ofEmblica officinals- Part 1, The chemistry and anti-acidity effect of two new hydrolysable tannins, Emblicannin-A & B, "Ind.J.Chem.,1996, Vol. 35B, pg.941-948).
4) 파이퍼 롱검
사용부분: 열매
식물에 대한 설명: 방향성 덩쿨식물, 결절부에 뿌리를 내리며 가지는 수직하여 기어오르며 결절부에서 팽창한다; 잎은 호생엽이며 아래쪽은 넓고 난형 혹은 하트형이고 윗쪽은 길게 늘어지며 난형으로서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박층이며 망상조직의 잎맥 및 잎의 뒷면에 수맥이 있다; 꽃에는 단단한 스파이크가 있고 열매는 작고 붉으며 액과형(berries)이다. 단단하고 풍성한 스파이크 내에 완전히 감추어진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의학적 용도: 열매 및 뿌리는 다수의 의학적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호흡기, 기침이 심한 기관지, 천식 등에 사용된다. 근육통 및 염증에 대하여 자극방지 및 진통제로서 사용된다.; 혼수시의 비강호흡 및 졸음, 위장내 가스 등의 내적 환경; 불면증이나 간질의 진정제 및 일반적인 강장제와 혈액순환제로서도 사용된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약리학:징기버 오피시날레의 뿌리줄기 및아드하토바 바시카의 잎을파이퍼롱검의 열매와 함게 기관지천식 치료에 사용한다. 말린 열매를 꿀과 혼합하여 기침및 감기 치료를 위한 민간요법제로 사용한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C.S.I.R., New Delhi, 1996; Satyavati, G.V. et.al.,Medicinal Plants of India,ICMR, New Delhi: 1987; Vol-2, p,426; Dhar et al.,Ind.J.Exp.Biol.,1968, 6, 232; Reddy M.B. et. al., 'A Survey of Plant crude drugs in Anantpur distric, Andhra Pradesh. India',Int J Crude Drug Res.,1989, 27(3), 145-155). 아유베다 의사의 기관지천식에 대한파이퍼 롱검의 치료적 용도 측면에서, 항알러지성 효과의 메카니즘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우유추출물이 쥐에 대하여 피부과민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기니아픽은 항원유발의 기관지경련이 방지되었다. (Dahanukar, S.A. et. al.,'Piper longumin childhood asthma',Indian Drugs,1984.21, 384; Dahanukar, S.A. et al "Evaluation of Antiallergic activities ofPiper longum",Indian Drugs,1984,21,377-380).파이퍼 롱검은 인도의 전통약제에서 천식예방치료제로 사용되었다. 소아천식의 잦거나 심한 발작을 감소시키는데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민감도 시험에서, 혈청 IgE & 폐기능이파이퍼 롱검치료후 현저히 개선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열매는 다수 의학적 용도로 사용되며 호흡기관, 기관지염 혹은 천식 등의 질환에 사용될 수 있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파이퍼 롱검의 항알러지 활성 평가는 쥐의 폐관류액에 대해 실행하였다(Sunanda et al., Proceedings of 13th Annual Conference Indian Pharmacological Society, 1981). 기관지천식에서, 천식발작의 빈도와 심각도를 억제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관측되었다. (lesnandus et al.,Pediatric ClinicIndia, 1980; 15(4):45).
식물화학: 열매에는 1% 휘발성 오일, 수지, 알칼로이드류 피페리딘 및 피페롱거미닌, 왁스형 알칼로이드 N-이소부틸데카-트랜스-4-디엔아미드 및 테르페노이드 물질 등이 함유된다 (Atal., C.K. et al., Ind. J.Pharm., 1964;26: 80).
5) 파이퍼 니그럼
사용부분: 열매
파이퍼 니그럼은 가정용 향료로 널리 사용되고 잇다. 다수 연구에서 피페린과 함께 투여시 약물의 혈중 농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변형된 약물효과는 생체이용성의 변화에 따른 결과로서 일어나는 것으로 인지되었다. 인도의 약제에서 대부분 콜레라, 열병에 따른 허약, 현기증 등의 방향성 자극제나 또는 소화불량이나 위장에 가스가 찰 때 같은 위장병 치료제, 항말라리아제 및 하지마비의 대체약물 등으로 사용되어 비염, 천식, 열병, 기침, 카타르기관지, 이질, 위장가스등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식물에 대한 설명: 다년생 덩쿨관목, 가지는 두터우며 결절부에 뿌리를 내린다. 잎은 전체적으로 12.5-17.5cm x 5.0-12.5cm 의 광범위한 나비를 갖는다. 꽃은 잔가시가 있고 암수딴그루이고 암꽃은 2개의 꽃밥을 수꽃은 암술을 구비한다. 열매는 스파이크의 길이가 일정치 않으며, 구형이고 밝은 적색으로 핵과종이며 씨앗은 대체로 둥글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의학적 용도: 인도의 약제에서, 대부분 콜레라, 열병에 따른 허약, 현기증등의 방향성 자극제나 또는 소화불량이나 위장에 가스가 찰 때 같은 위장병 치료제, 항말라리아제 예방약으로 사용한다. 또한 하지마비의 대체약물 및 관절염 등을 치료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외용적으로, 발적성이 있는 질환이나, 인후부 통증, 치칠 및 기타 피부질환에 대해 국소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Yogaratnakara,Chaukamba Publications, p.320-330;Bhavaprakashawith Vaidyotini Commentary by Misra, B.S.;Chikitsa Prakarana madhyama khanda- Chaukamba Publications, 1980, p.435-447).
약리학: 항알러지 활성이 있다. 피페린은 간장의 아릴히드로카본 가수분해소및 UDP-글루쿠로닐 전달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며 따라서 생쥐에 대한 실험에서 헥사바르티탈(hexabartital) 잠재시간 및 족사졸라민 정체시간을 연장시킨다. 피페린은 옥시페닐부타존의 생체활성도를 향상시키며 따라서 쥐에 대해 항염증 활성 효능을 갖는다 (Kholkute et.al.,Ind.J.Exp.Biol.,1979; 17: 289-290; George et al., J. Sci. Ind. Res., 1947, 6B, 42; Satyavati, G.V, "Medicinal Plants of India", ICMR, New Delhi. 1987;2: 426; Dhar et al.Ind. J. Exp. Biol.,1968; 6, p.232; Majumdar, A.M. et.al., "Effect of piperine on bioactivity of oxyphenylbutazone in rats",Indian Drugs,1999; 36(2), 123-126).
식물화학: 후추에는 휘발성 오일, 결정형 알칼로이드, 피페린, 피페리딘, 피페레틴 및 수지가 함유되 있다. 소량의 알칼로이드류는 피페리틴, 피페롤레인A, 피페롤레인B, 피레라닌, 트리코스타친 등이다. 휘발성 오일은 다량의 테르펜 및 α -피넨, 펠란드린, 디펜텐 및 세스퀴테르펜 등을 함유한다. 얼얼한 맛은 피페린과 수지 때문이다. 열매에서 발견되는 알칼로이드류나 이소부틸 아미드류는 함유하지 않는다. (Atal, C.K. et. al.,Lloydia, 1962; 38: 256; Jennings, W.G. et. al.,Food Science,1962; 26:499; Sridharan K. et.al.,J.Res.Ind. Med. Yoga Homeo,1978; 13:4).
6) 징기버 오피시날레
사용부분: 뿌리줄기
속: 징기버라시에(Zingiberaceae)
식물에 대한 설명: 허브형 갈근 다년초로서, 배양시 높이 90cm에 이른다. 뿌리줄기는 방향성이고 두꺼운 열편이 있으며, 연황색을 띤다. 호생대엽의 좁고 길게 늘어진 피침형 잎사귀를 갖는다. 수개의 측생 싹이 덤불 형태로 자라며 식물이 성장하면 모두 말라버린다. 잎사귀는 길고 2-3cm의 폭을 가지며 껍질이 있다. 잎날은 끝으로 가면서 점차 날카로와진다. 개화시 단단하고 측생 및 방사형태의 꽃자루가 있는 원통형 스파이크가 생긴다. 꽃은 희귀한 편이며 작고 꽃받침이 합편악(gamosepalous) 형태이고, 3개의 톱니형 갈래꽃잎을 갖는다. 대체로 균등한 3개의 화관이 녹색의 피침형 합착분절편(connate segments)이 있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전통적인 용도: 생강은 구풍제, 자극제로서 소화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주로 카파 앤 바타(Kapha and Vata)의 병소로 인한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라임주스와 암염을 곁들인 생강은 식욕을 자극하고 위액분비를 촉진한다. 만성 기관지염, 일반적인 감기, 가슴답답함, 기침, 호흡곤란, 수종, 목의 통증, 위통, 구토 및 류마티즘 등의 질환에도 사용된다. 생강은 약전학에 따른 다수의 아유베다 제형의 중요한 구성분이 된다. (Misra B,Bhavaprakasha Nighantu, 5th edition, 1969, p.14; Sharma P.V.Dravyagunavignan,Part II, Chauwkamba Publications, 1993, p.331;Indian Medicinal Plants, A. Compendium of 500 species,Part V., by Orient Longman Publications, 1997, p.431; Nadkarni,Indian Materia Medica, Vol. I, 1993, p. 1308;Yogaratnakara,Chaukamba Publications, p.320-330;Bhavaprakashawith Vaidyotini Commentary by Misra, B.S.;Chikitsa Prakarana madhyama khanda-Chaukamba Publications,1980;p.683-701).
식물화학: 생강은 대체로 1-3% 휘발성 오일, 자극성 성분, 진저롤 및 쇼가올과 약 6-8 개의 지질 및 기타 물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강오일은 진저베린 및 비사볼린을 주성분으로 하고 기타로 세스퀴 및 모노테르펜을 함유한다. 생강 올레오레진은 주로 자극성분의 진저롤 및 쇼가올을 진저베론 외에 더 함유한다. 쇼가올은 최근 진저롤보다 자극성분의 양이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Kiuchi F, et. al.,Chem. Pharm. Bull,1982, 30, 754; Wagner H, et. al,Plan, Drug Analysis,Springer, 1996, 300: Akhila A & Tewari, CROMAP, 1984, 6(3), 143-156).
약리학: 찬바람 등이 병인이 일반 감기에 유용하며 감기, 미열, 두통, 일반적인 통증, 코막힘 및 콧물 등에 큰 내성이 있다. 항히스타민 활성을 생강에 대해 연구했으며징기버 오피시날레는 옛문헌에서 언급한 알러지성 조건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전통적인 단순한 방법에 따라 이용되었다. (Toyoda J., 'Antihistamine substance from ginger',Chem. Abst.,1969, 71, 33425;Yogaratnakara,Chaukamba Publication, p.320-330;Bhavaprakashawith Vaidyotini Commentary by Misra, B.S.;Chikitsa Prakarana madhyama khanda- Chaukamba Publications, 1980; p.683-701).
7) 알비지아종: 예, 알비지아 키넨시스, 알비지아 레벡
사용부분: 껍질
식물에 대한 설명: 크고 곧으며 가지없는 낙엽수로서, 인도 전역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평지에서 히말라야의 900m 고원지대 및 안다만 지역에서까지 발견된다. 또한 동인도 호두나 시리쉬(힌디어)로 불리우기도 한다. 나무는 습한 곳이 적절하나 다양한 토질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의학적 용도:알비지아종은 인도의 약제문헌에서 기관지 천식, 두드러기 및 벌레물린데 잘듣는 식물로 소개되었다. 히스타민에 대항하는 아드레날 물질에 대한 알비지아종의 보호작용 덕분에 기관지천식 및 기타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Tripathi S.N. et. al., Quart.J. of Surgical Science,1978, Mar-June, p.170-176; Shah & Bhattacharyya,J. Sci. Industr. Res.,1960, 19C, p.199; Farooqi & Kaul,ibid.1962, 21B, p.454; Chakravarty, Bull.Bot.Soc., Bengal, 1975, 29, p.97)
수성 추출물은 기관지, 나병, 잇몸염증 및 연충감염 등을 치료하는 전통요법에서 사용되었다. (Chopra R.N., et al.,Glossary of Indian Nedicinal Plants,1956, p.11).
약리학: 껍질 및 꽃을 달인 물은 기니아픽에 있어서 아세틸콜린 유발성 기관지 경련 및 히스타민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다. 경질 달인물로 항원 챌린지에 대해 과민한 기니아픽을 치료예방한다. (Tripathy & Das,Indian J. Pharmacol.,1977; 9; p.189). 껍질은 아유베다 카다(Kada)의 성분 혹은 천식 치료용의 달인 생약제 형태로 사용된다. 약리학적으로 이것은 알러지 유발된 기관지경련을 예방하는 능력및 기침방지 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껍질은 또한 알러지성 결막염 치료에도 유용하다 (Iyengar et al.,Indian Drugs.,1994, 31, 183, 187; Mukhopadhyay et al., J. Res, Educ.Inc. Med., 1992, 11(4), p.17). 알비지아종 생약을 알러지 치료에 사용하는 것은 천연자원으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고 제조방법 및 약물 투여 방법 등이 간단하고 또한 감지과정, 항체합성 및 마스트셀 탈과립화 등을 저해하는 등의 다기능적인 활성이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항-성욕억제 활성 측면에서, 수성 추출물의 효능성은 기니아픽과 쥐를 대상으로 입증했다(Tripathi R.M. et. al.,Journal of Ethnopharmacol.,1979; p.397-406). 기니아픽의 유발조건에서 알비지아 추출물의 효능을 연구한 결과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60명의 기관지천식 환자를 치료했을 때 치료후의 히스타민 강하 효과가 우수했다. (Tripathi S.N., et. al., Quart.J. of Surgical Science,1978, Mar-June, p.170-176). 아토피 알러지에서 알비지아종 추출물은 알비노래트의 복강의 마스트셀의 탈과립화 속도를 연구했고 역시 매우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Tripathi R.M. et. al.,Journal of Ethnopharmacol.,1979, 1, p.385-369).
식물화학: 껍질에서 응축형태의 탄닌류, 예컨대, D-카테킨, 레베카시딘(8,3',4'-테트라히드록시플라반 3,4-디올)을 수득했다. 루코시아니딘 (5,7,3',4'-테트라히드록시플라반-3,4-디올) 유도체 및 (-)-멜라카디딘 (7,8,3',4'-테트라히드록플라반-3,4-디올)과 또한 프라에데린 및 B -시토스테롤을 더 수득했다(Chatterjee A., et al.,The Treatise of Indian Medicinal Plants,1992, Vol2, p.61-62). 또다른 연구에서, 껍질로부터 응축형태의 탄닌류(7-11%) 즉, D-카테킨과 또한 루코시아니딘 (5,7,3',4'-테트라히드록시플라반-3,4-디올) 유도체 및 (-)-멜라카디딘 (7,8,3',4'-테트라히드록플라반-3,4-디올) 이외에도 새로운 루코안토시아니딘으로서, 레벡카시딘 (8, 3',4'-트리히드록시플라반-3,4-디올)을 수득하였다. 또한 프라에데린 및 β-시토스테롤을 더 수득했다. 껍질 추출물은 구출제 및 거담효과도 제공한다. (The Wealth of Asia, NISCOM, D-2.3, CSIR, New Delhi, 1996).
본 발명의 공동상승작용 복합체의 제조
상술한 식물 추출물을 다수 표준형 복합방식에 따라 혼합하고 각 복합체를 다시 마스트셀 안정화 분석에 이용했다. 표준형 복합체는 등심선 기술로 제조했으며 이는 결과로 나온 공동상승작용 복합체가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방식이다. 각 등심선 기술에서, 한 성분의 농도를 증가시킨 것을 다른 성분의 농도 증가에 대해 도 1과 같이 도시했다. 이에 대한 참조 문헌으로는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Vol. 2, 8th Edition, page 1038 (Alfred Goodman Gilman et.al. 저서, 1992, McGRAW-HILL, INC. 발행)가 있다. 각복합체를 마스트셀 안정화 분석에 사용했고 다른 성분들에 대한 조화성 연구를 위해 공동상승작용 복합체를 선별했다.
상기 연구에 근거하여,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열매 추출물,테르미날리아 체불라 추출물, 테르미닐리아 벨레리카열매 추출물 등의 농도 증가를 그래프로 도시하였고 또한알비지아 레벡껍질의 추출물 농도의 증가에 대해 시험하였으며 도한, 마스트셀 안정화 분석에서 이들 복합체를 시험하였다. 이들의 치환물 및 복합물들은 모두 공동상승효과 및 항알러지 활성 보여주었다. 이들 복합체 중에서도 3:3:3:1 비율(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테르미날리아 체불라: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알비지아 레벡) 을 본 발명의 목적 달성 측면에서 선택하였고 이는 다음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상기의 표 1에서 나머지 성분들 즉, 마스트셀 안정화 활성효능을 보이는 성분들을 조화성 연구를 위해 선택했다 (즉,파이퍼 롱검, 파이퍼 니그럼징기버오피시날레). 상기 식물들 즉,파이퍼 롱검, 파이퍼 니그럼징기버 오피시날레의 추출물은 알러지성 비염 및 알러지성 천식의 치료를 위해 항알러지 작용제로 유용할 수 있도록 조성물의 공동상승효과 및 마스트셀 안정화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러지성 비염 및 천식의 치료를 위해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개선된 공동상승작용 허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조성물은;
- 15-50 중량%의테르미날리아 체불라 열매
- 15-50 중량%의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열매
- 0.5-50 중량%의알비지아 레벡 껍질
- 15-50 중량%의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 열매의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또한 다음의 추출물을 더 함유한다;
- 0.1-5 중량%의파이퍼 롱검 열매
- 0.5-5 중량%의파이퍼 니그럼 열매
- 0.1-5 중량%의징거버 오피시날레 뿌리줄기.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이용된 식물 추출물은 수성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서, 식물테르미날리아 체불라, 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알비지아 레벡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는 수성 추출물이고 또한파이퍼롱검, 파이퍼 니그럼 및 징거버 오피시날레는 알코올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또한 분말, 태블릿, 캡슐, 시럽 및 액상물 같은 적절한 구강 투약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약제학적 부형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전분, 전-젤라틴화 전분, 디칼슘 인산염 혹은 이들의 혼합물 등의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잇다. 사용되는 부형제의 양은 약 30 내지 60중량% 범위이다. 조성물은 또한 프로필 파라벤 나트륨, 메틸 파라벤 나트륨 혹은 브로노폴이나 이들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되는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보존제의 양은 약 0.1 내지 1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알러지성 비염 및 알러지성 천식을 치료하기 위한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개선된 공동상승작용의 허브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 15-50 중량%의테르미날리아 체불라 열매
- 15-50 중량%의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열매
- 0.5-50 중량%의알비지아 레벡 껍질
- 15-50 중량%의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 열매의 추출물을 혼합하고; 그 결과로 얻은 혼합물을 종래의 방법대로 건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 0.1-5 중량%의파이퍼 롱검 열매
- 0.5-5 중량%의파이퍼 니그럼 열매
- 0.1-5 중량%의징거버 오피시날레 뿌리줄기의 추출물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고 완전히 혼합한 후 그 결과로 얻은 혼합물을 건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구현예에서, 건조단계는 분무건조 혹은 50-70℃의 온도 범위에서 감압하에 가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식물의 추출물은 수성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식물테르미날리아 체불라, 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알비지아 레벡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의 추출물은 수성 추출물이고 또한파이퍼 롱검, 파이퍼 니그럼징거버 오피시날레의 추출물은 알코올 추출물이다.
상술한 추출물은 종래의 추출방법 대로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제물에서 자주 시용되는 부형제를 태블릿, 캡슐, 분말, 액상체, 시럽 등의 현대적인 투약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상기 혼합물에 첨가되기도 한다. 전분, 전-젤라틴화 전분, 디칼슘 인산염 혹은 이들의 혼합물 같은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형제의 양은 30 내지 60중량% 범위이다.
보존제를 혼합물에 첨가해도 좋으며 이들은 프로필 파라벤 나트륨, 메틸 파라벤 나트륨 혹은 브로노폴이나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보존제의 양은 0.1 내지 1 중량% 범위가 좋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순한 성분 혼합물이 아니며 각 성분의 복합성질을 갖는 조성물리다. 이 조성물은 공동상승효과를 갖는 혼합물로서 독특하고 현저한 항알러지성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00gm (30중량%)의테르미날리아 체불라,100gm (30중량%)의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30gm (10중량%)의알비지아 레벡및 100gm (30중량%)의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를 완전 혼합하였다. 결과로 나온 혼합물을 분무건조하였다. 이 혼합물에 220gm 의 옥수수전분, 전-젤라틴화 전분 및 디칼슘 인산염 (등량으로 선택)을 부형제로서 첨가하고 완전 혼합하였다. 수득된 조성물을 경피 젤라틴 캡슐에 채워넣는다. 각 캡슐에는 330mg의 활성성분이 함유되며 알러지성 조건의 치료에 관련한 요건에 따라 1개 혹은 다수개의 복용량으로 투약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을 편리하게NR-A4 로 정한다.
실시예 2
115.5gm (33중량%)의테르미날리아 체불라, 115.5gm (33중량%)의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1.75gm (0.5중량%)의알비지아 레벡및 115.5gm (33중량%)의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 0.58gm (0.16중량%)의파이퍼 롱검,0.58gm (0.16중량%)의파이퍼 니그럼및 0.58gm (0.16중량%)의징거버 오피시날레를 완전 혼합하였다. 결과로 나온 혼합물을 감압하에 55 내지 60℃의 온도 범위에서 건조하였다. 이 혼합물을 25매쉬의 크기를 갖는 분말로 만들었다. 수득한 조성물은 350mg의 약량으로 필요예따라 알러지성 조건의 치료를 위해 단일 혹은 복수개의 투약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을 편리하게 NR-A1 로 정한다.
실시예 3
100gm (30중량%)의테르미날리아 체불라, 100gm (30중량%)의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25gm (8중량%)의알비지아 레벡및 100gm (30중량%)의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 1.66gm (0.66중량%)의파이퍼 롱검, 1.66gm (0.66중량%)의파이퍼 니그럼및 1.66gm (0.66중량%)의징거버 오피시날레를 완전 혼합하였다. 결과로 나온 혼합물을 감압하에 55 내지 60℃의 온도 범위에서 건조하였다. 이 혼합물에 220gm의 옥수수전분, 전-젤라틴화 전분 및 디칼슘 인산염 (등량으로 선택)을 부형제로서 첨가하고 완전 혼합하였다. 수득된 조성물을 경피 젤라틴 캡슐에 채워넣는다. 각 캡슐에는 330mg의 활성성분이 함유되며 알러지성 조건의 치료에 관련한 요건에 따라 1개 혹은 복수개의 투약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을 편리하게 NR-A2 로 정한다.
실시예 4
56.25gm (15중량%)의테르미날리아 체불라, 56.25gm (15중량%)의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187.5gm (50중량%)의알비지아 레벡및 56.25gm (15중량%)의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 6.25gm (1.67중량%)의파이퍼 롱검, 6.25gm (1.67중량%)의파이퍼 니그럼및 6.25gm (1.67중량%)의징거버 오피시날레를 완전 혼합하였다. 결과로 나온 혼합물을 감압하에 55 내지 60℃의 온도 범위에서 건조하였다. 이 혼합물에 225gm의 옥수수전분, 전-젤라틴화 전분 및 디칼슘 인산염 (등량으로 선택)을 부형제로서 및 0.1gm 의 메틸 파라벤 나트륨을 보존제로서 첨가하고 완전 혼합하였다. 수득된 조성물을 종래 방식에 따라 치밀화하여 태블릿으로 만든다. 각 태블릿에는 375mg의 활성성분이 함유된다. 태블릿은 알러지성 조건의 치료에 관련한 요건에 따라 1개 혹은 복수개의 투약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을 편리하게 NR-A3 로 정한다.
상기 4개의 조성물 (NR-A1 내지 NR-A4) 각각을 다시 시험하고 마스트셀 안정화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선택된 표준 제형의 마스트셀 안정화 활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조성물의 공동상승작용적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4에서 설명한 4가지 조성물 전체를 다른 체외 생체분석법 즉;
i) 항히스타민 활성
ii) 항 5-히드록시 트립타민 활성 (항세로토닌 활성)
iii) 트립신 저해력 분석
iv) 유리기 제거 활성
등의 분석법을 이용해 비교하였다.
i) 항히스타민 활성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4가지 조성물 (NR-A1 내지 NR-A4)을 기니아픽에게서 분리한 회장에 대해 평가하였다. 400gm 무게의 기니아픽에게 48시간동안 먹이없이 물만 임의로 공급했다. 실험당일, 죽여서 회장을 분리했다. 말단 10cm의 회장을 제거했다. 소절편으로 나눈 회장(2.5cm)을 분리 및 티로데액을 담은 수조에 넣었다. 조직에 가압 트랜스듀서를 연결하고 멀티채널 폴리그래프를 이용하여 그 흔적을 기록했다. 1차 단계에서, 약량반응곡선을 히스타민에 관련하여 0.5mcg/35ml에서 출발하여 최고 2.5mcg/35ml 까지의 약량에 대해 수득했다. 이것은 조직이 활발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용해된 항알러지 조성물을 다른 약량 즉, 100mcg, 1mg, 2mg, 5mg 및 10mg 로써 첨가되어 히스타민 차단효과를 관찰할 수 있게 했다. 4가지 조성물은 모두 분리된 기니아픽 회장에서 히스타민-길항작용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관련하여 공지의 문헌 즉, (1) Kulkami, Hand book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2ndEdition (1993) Vallabh Prakshan Delhi (2) GhoshM.N "Fundamentals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2ndEdition-Chapter 26, 153-158 (3) Akah P.A., et al,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55, 1997, 87-92 를 참조한다.
표 3: 조성물의 항히스타민 활성은 다음과 같다.
ii) 항 5-히드록시-트립타민 활성
실시예 1 내지 4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4가지 조성물 (NR-A1 내지 NR-A4)을 쥐의 자궁저부 스트립에 대해 평가하였다. 200gm 무게의 알비노 위스타 쥐에게 48시간동안 먹이없이 물만 임의로 공급했다. 실험 당일, 죽여서 자궁저부를 분리했다. 저부의 표면(탈색된)을 베어내어 개방하고 지그재그로 칼집을 내어 2.5cm 크기의 스트립을 만들고 이것을 티로드 생리염수가 담긴 유기조에 넣었다. 실험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온도 37-38℃
장력 1gm
pH 7.4
호기조건 산소
조직을 강압식 트랜스듀서에 연결하고 수축상태를 다중채널 폴리그래프를 이용하여 기록했다. 1차 단계에서, 약량반응곡선을 5HT에 관련하여 0.28ng/ml에서 출발하여 최고 7.14ng/ml 까지의 약량에 대해 수득했다. 이것은 조직이 활발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용해된 항알러지 조성물을 다른 약량 즉, 100mcg, 200mcg, 400mcg, 800mcg, 1.6mg, 3.2mg, 6.4mg 및 12.8mg 로써 첨가되어 5HT 차단효과를 관찰할 수 있게 했다. 5HT의 완전한 길항작용은 12.8mg의 항알러지성 조성물/35ml 유기조를 사용하였을 때 달성되었다. 연구를 4회 더 반복한 후 평균 반응값 (% 5HT 저해율)을 계산하여 IC50를 설정하였다. IC50는 32.8mcg/ml 으로 밝혀졌다. 이에 관련하여 공지의 문헌 즉, (1) Kulkami, Hand book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2ndEdition (1993) Vallabh Prakshan Delhi (2) Ghosh M.N "Fundamentals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1984) 2ndEdition을 참조한다.
표 4: 항 5-히드록시-트립타민 활성
iii) 트립신 저해 분석
트립신(트립타제)는 항원항체반응 후 탈과립화시 마스터셀로부터 분비되는 사전형성된 조정자 중 하나이다. 트립신 활성의 측정은 간접적으로 마스트셀 안정화를 측정한다. 이에 관한 공지문헌은 Lavens SE, Proud, Warner JA (1993)J.Immunol. Met. 166(1):93-102 이다. 이 생체분석은 Canell RJP et al., (1988) Planta Medica, 54:10-14의 방법에 따라 실행되었다. 상기 방법은 돼지의 췌장을 트립신 및 벤조일-D의 공급원으로 및 기질로서는 L-4-니트로아닐리드을 사용했다. 효소는 NR-A1, NR-A2, NR-A3 & NR-A4 조성물을 각각 다른 농도로서 30분간 배양하고 기질을 첨가한 후 다시 60분간 배양하여 410nm 에서 흡수띠를 확인하였다. 공백부(약물 무함유시의)와 비교할 때의 흡수차가 저해강도를 나타낸다. 난백부의 오버뮤코이드(ovomucoide)를 표준으로 사용했다.
표 5: 트립신 저해 분석
iv) 유리기 제거
항산화성 약물은 청색 1,1-디페닐-2-피크릴 히드라질 (DPPH)와 반응하고 이것을 무색의 1,1-디페닐-2-피크릴 히드라진으로 환원시킨다. 이것은 유색반응이므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70nm 에서 판독할 수 있다. 흡수 환원반응에서 항산화활성이 제공된다. 이에 관하여 (1) Kato K. et al,J.Med.Chem.31, 1988, 793-798을 참조한다.
표 6: 4가지 조성물 NR-A1, NR-A2, NR-A3 & NR-A4 의 유리기 제거 활성은 다음과 같다.
NR-A2 의 약리학적 활성
NR-A2의 활성을 다음의 생물학적 분석으로 확인했다.
효능 데이타
1] 항-과민 활성
A] 쥐의 적극적 과민증에 대한 효과 (장간막 마스트셀):
이 실험은 쥐에 대해 적극적 과민증을 유발하기 위한 것으로 말의 혈청을 항원으로 및 Tripathi et al. 의 조제로서는B. pertusis유기물을 함유한 트리플 백신을 사용하여 감지화 반응시켰다.
동물을 4개군으로 구분한다. 1군은 [0.5%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CMC)]로 치료하지 않은 감지 대조군, 2군은 표준형 프레드니솔론을 10mg/kg의 약량으로 투여한 감지 실험군 그리고 나머지 2개군은 감지화 전 30일 및 감지화 후 11일에 구강을 통해 각각 0.5% CMC 내에 용해된 NR-A2을 250 및 350mg/kg체중 의 약량으로 공급한 감지 실험군이다.
감지반응 11일에, 쥐를 죽여 채혈하고 수동적인 과민증 검출을 위해 채혈하고 장간막을 절제하여 마스트셀 탈과립화를 관측하였다.
NR-A2는 약량 의존적 방어효과를 보였다. NR-A2 약량이 250mg/kg 인 경우49.38% (P<0.05) 인 반면 350mg 에서는 56.35%의 예방효율 (p<0.05)로 나타났다.
결과를 통해 NR-A2이 항-과민 활성을 가져오며 이것은 항체분비의 저해 혹은 마스트셀의 안정화나 이 양쪽 모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관한 문헌은 Tripathi R.M., Sen P.C. 및 Das P.K. (1979)Journal of Ethnopharmacology385-396 을 참조한다.
B] 쥐의 소극적 앞발 과민증
상술한 실험과 유사하게, 소극적 앞발 과민증을 Gokhale AB & Saraf MN(2000),Indian Drugs, 37(5), 228-232 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0.15ml 항혈청을 암컷쥐의 오른쪽 앞발에 투여하고 반면 왼쪽 앞발에는 등량부피의 염수를 공급했다. 감지화 반응 24시간 후, 쥐에 0.15ml 말혈청을 오른쪽 앞발에 투여했다. 앞발의 부피를 플레티스모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항원 투여 전 후의 앞발 부피차가 과민증의 강도를 나타내었다. 250mg/kg 의 NR-A2를 투약하는 경우 10. 30 및 60분일 때(P<0.05) 각각 45.09, 33.48, 28.26% 의 큰 저해율을 보였다.
상기의 결과에서 NR-A2는 항염증효과가 있고 마스트셀 안정화제 역할을 하는것을 알 수 있었다.
C] 생쥐의 적극적 앞발 과민증
생쥐에 대한 적극적 앞발 과민증은 난알부민을 수산화알루미늄에 흡수된 상태로 항원으로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대하여는 공지문헌 Ghoosi R.B. Bhide. M.B. (1981)Allergy Appl. Immunol.15, 53 및 Nair A.M. et al. (1995)IndianDrugs, 32(6), 277-282 을 참조한다. 생쥐에는 0.5% CMC 내의 NR-A2를 구강을 통해다른 약량으로 30일간 투여했다. 프레드니솔론은 표준으로 선택했다. 31일째에 항원이 감지되었고 계속해서 처리했다. 감지화 반응 후 12일때 동물에게 염수에 담근 난알부민을 오른쪽 앞발의 편평한 부분에 피하주사로 공급했고 반대쪽 앞발에는 등량부피의 염수를 제공했다. 공급 후 15분뒤에 앞발 두께를 휴대용 두께 측정기 (미츠토요 제작회사, 일본)으로 측정하였다. 오른쪽 앞발 두께의 차이를 왼쪽 앞발과 비교했고 이는 항원항체반응으로 인해 부종이 생겼음을 반영했다.
NR-A2는 134.9mg/생쥐체중kg의 ED50를 사용할 때 앞발 부종에 대하여 약량 의존적 저해력을 나타내었다 (모든 투약량에 대해 P<0.05). 프레드니솔론은 14mg/kg 약량일 때 74.03%의 저해율을 나타냈다. 이결과는 NR-A2가 효과적인 항염증제이고 마스트셀 안정화제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D] 기니아픽 기관 사슬 내의 데일-슐츠 현상 (체외);
NR-A2를 기관 스트립을 이용하여 기니아픽의 항-과민 활성에 대해 체외 시험했다. 관련된 공지 문헌은 Adolf Meister et al, 1999, "Anti-spasmodic activity of Thymus vulgaris extract on the isolated Guinea pig trachea; Discrimination between drug and ethanol effects",Planta Medica, 65, 512-516 을 참조한다. NR-A2는 IC5016.496mcg/ml 과 함께 약량 의존적인 저해활성을 보였다. NR-A2 에 대한 연구에서 항원에 의해 유발된 경련에 대해 현저한 약량 의존적 항경련 활성을 확인하였다.
E] 기니아픽 회장의 데일-슐츠 현상:
데일슐츠 현상은 감지반응한 기니아픽의 2차 면역반응의 일반적인 현상으로 간주한다. 말혈청(항원) 에 응답하여, IgG은 기니아픽 회장의 점막 및 준점막 조직상의 마스트셀과 조합하여 생성되었다. 재공금시, 마스트셀 탈과립화가 일어난다. 방출된 조정자는 기니아픽 회장의 수축을 일으킨다. 회장의 경련성 수축에 수반되는 중요한 조정자는 히스타민과 류코트리엔 이다. 이 모델에서, 기니아픽 회장을 과민증 연구를 위해 취했다. 12마리의 기니아픽을 2개군 즉, 대조군과 처치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에는 CMC 비히클을, 처치군에는 511.4mg/kg 의 약량으로서 NR-A2를 각각 감지반응전 30일동안 투여했다. 감지화 반응은 말혈청 복강주사로 실행되었다. 감지화 반응 후 21일째에 동물을 죽여 회장 스트립을 취하고 이것을 분리된 유기조에 마구스법에 따라 공급했다.
항원(말혈청)을 재공급한 뒤의 응답반응을 90초간 기록하고, 공급 전후의 조직의 히스타민 감지도를 확인하였다. 감지화된 군 모두에서 취한 조직은 경련효과를 나타내었으며 NRA2 군에 있었던 5마리의 동물 중 2마리는 음성반응을 2마리는 무반응을, 나머지 1마리는 양성반응을 나타냈다. 이들 조직에서 NR-A2는 이것이 활실한 항알러지성 물질임을 입증하는 정도로 특정 항체의 합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관한 더 상세한 내용은 공지문헌 Tripathi R.M. Sen P.C. 및 Das P.K.,Journal of Ethnopharmacology(1979) 385-396 과 또한 Magus법(Ghosh, M.N,(1984), 'Fundamentals of Experimental Pharmacology' 2ndEdition, 34 를 참조한다.
F] 쥐의 계통적 과민증;
화합물 48/80 (N-메틸-p-메톡시페닐아민 및 포름알데히드의 응축생성물) 유발된 계통적 과민증에 대한 NR-A2의 영향을 쥐에 대해 연구했다. 이에 대한 공지 문헌 Y.M. Lee, Kim D.K. (1996)Journal of Ethnopharmacolgy, 54, 77-84 을 참조한다. 이 동물은 5개의 군으로 나누며 하나는 대조군, 하나는 표준 시험군, 나머지 3개 군은 NR-A2 에 관련한 것이다. 표준 화합물(프레드니솔론), NRA-2 및 비히클은 각각 화합물 48/80 (N-메틸-p-메톡시페닐아민 및 포름알데히드의 응축생성물)의 복강주사 전 30일째에 공급했다. 프레드니솔론의 약량은 10mg/kg 이며 NR-A2는 각각 150, 250 및 350mg/kg 이었다. 각 군에서의 1시간내의 사멸수를 계산했다. NR-A2은 화합물(N-메틸-p-메톡시페닐아민 및 포름알데히드의 응축생성물) 유발 과민증을 약량 의존 방식으로 저해했으며 예컨대 350mg/kg쥐의 체중의 약량에서 44.45%의 저해율을 보였다. 표준형 프레드니솔론은 62.97%의 저해율을 나타냈다. 이 결과에서 NR-A2이 효과적인 마스트셀 안정화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G] 화합물 48/80 (N-메틸-p-메톡시페닐아민 및 포름알데히드의 응축생성물)유발된 생주 앞발의 부종
화합물 48/80 (N-메틸-p-메톡시페닐아민 및 포름알데히드의 응축생성물)을 이용하여 생쥐의 앞발 부종을 유발하였다. 이에 관련된 공지 문헌은 NairA M, Tamhankar C P 및 Saraf M N (1995)Indian drugs. 32(6), 277-282 을 참조한다. 동물에 대해 시험전에 NR-A2를 175, 225 및 275mg/kg 체중의 약량으로 경구투여하여 처치했다. 표준군은 1mg/kg b.w. 약량의 케토티펜을 공급했다. NR-A2는 ED50562.3mg/kg체중의 값으로 앞발 부종에 약량 의존적인 저해력 (모든 약량에 대해 P<0.05)을 나타내었다. 케토티펜은 1mg/kg 생쥐체중의 약량일 때 64.22%의 저해율(P<0.05)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NR-A2가 효과적인 항염증성 생성물로서 마스트셀 안정화제임을 보여준다.
2] 항-염증 활성
A] 급성-염증성 카라기난 유발된 쥐의 뒷발 부종:
카라기난은 자극제로서 콘드러스에서 분리된 다당류이다. 쥐의 뒷발에 주사하면, 부종이 4시간째에 정점에 달하며 24시간 내에 완전히 가라앉는다. 이에 관련하여 공지문헌 Winter C A, Risley EA 및 Nuss G W(1962),Proc. Soc, Exp. Biol.med.,111, 544 의 내용을 참조한다. 주사 전후의 뒷발의 부피차이는 염증량을 나타낸다. 이 반응에 대한 조정자는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및 활성 산소류 등이다.
NR-A2는 120mg/kg 생쥐체중의 경구투약량일 때 현저한 항염증효과를 일으켰다. 이것은 대조군 (P<0.05)과 비교하여 31.3%의 저해율을 나타냈다.
B] 보조제 유발성 관절염
프라운드 보조제는 죽은 미코박테리움을 액상 파라민에 미세하게 갈아넣어 5mg/ml의 농도로 만든 혼합물이다. 뒷발에 주사하면 21일까지 지속되는 이중반응의부종이 일어난다. 프라운드 보조제가 쥐의 뒷발에 주사되면 류마티스 관절염과 유사한 조건이 형성되고 과민반응이 지연된다. 관련 문헌으로서는 Pearson C M, Wod F D (1959),Arthr Rheum,2;440-459 가 있다. 본 모델은 지연된 과민반응에 대한 NR-42 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다.
NR-A2 는 150, 250 및 350mg/kg체중의 약량으로 알비노 위스터 래트에게 프라운드 보조제 주사 전 30일간 및 주사후 21일간 경구투여하였다. 뒷발 부피를 플레테스모그래프로 측정했다. ED50값이 257.03mg/kg체중 으로 관측되었다. 프레드니솔론은 95.63% (P<0.05)의 저해율을 나타내는 표준 화합물로 사용되었다.
이 결과에서 NR-A2가 항알러지성 작용제임이 확인되었다.
독성 데이타
조성물 NR-A2의 일반 약리학적 특성을 쥐의 ECG, 혈압, 절제된 개구리 심장, 개구리 직장 복강근 및 개의 혈압 모델 등에서 평가했다. 권장량에서는 아무런 독성 작용도 관측되지 않았다 (Homburger F. "In vivo testing in the study of toxicology and safety evaluation: A guide to General toxicology", Chapter 16, 268-293).
다른 독성 연구 시험에서는 LD50를 측정하거나(Ghosh M.N (1984), In: Fundamentals of experimental pharmacology-toxicity studies-Chapter 26, 2ndedition, 153-158 참조) 또한 투약 독성연구를 반복했다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407, adopted on 27th July,1995). LD 는 생쥐의 경우 1500mg/kg를 초과하고 또한 반복 투약독성에 대한 연구에서 21일 주기동안 투여한 약량이 270mg/kg체중 까지일 때 아무런 독성 증세도 나타내지 않았다.
NRA2 조성물의 효과에 대한 사전 개방 실험 (실시예 3에서 기술된)
인체를 대상으로 한 (항-알러지성 조성물)
1) 목적: 실시예 3의 효능 및 안전도를 알러지성 기관지염이 있거나 없는 알러지성 류마티스 환자에 대해 평가함.
2) 연구계획:
* 환자수: 연구대상으로 18명의 환자를 선별함
* 연령군: 9 내지 60세
* 포함/제외 기준:
- 임의 선택
- 성별 구분 없음
- 당뇨, 고혈압, 결핵 등의 만성 계통적 질환을 가진 환자는 연구에서 제외함.
* 투약량: 2 내지 6개 캡슐/일
* 기간: 3 내지 6개월
* 평가 변수:
- 총 18명의 환자에 대한 주체 평가
- 9명의 환자에 대한 객체 평가 [IgE(면역 글로부린 E) 및 AEC (앱솔루트 에오시노필릭 카운트)]
- 9명의 환자에 대한 안전도 평가 (생화학적 연구)
사용된 평가 형식
기간 경과에 따른 주요 증세:
3) 결과:
3.1) 알러지성 비염 환자에 대한 증세 완화의 평가:
a) 18명 중 9명 (50%)이 70% 이상의 개선을 보였다.
b) 18명 중 6명 (33%)이 50-70% 의 개선을 보였다.
c) 18명 중 3명 (17.1%)이 50% 미만의 개선을 보였다.
이 결과는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알러지성 비염에 대한 증세 완화의 평가결과
3.2) 객체 평가:
a) 9명중 8명에게서 IgE 레벨 저하가 나타났다. 1명에게서는 증가했다.
b) 9명중 4명에게서 AEC(앱솔루트 에오시노필릭 카운트)레벨의 저하가 나타났으며 5명은 증가했다.
표 2에 그의 결과를 나타낸다.
IgE - 면역 글로부린 E
AEC - 앱솔루트 에오시노필 카운트
1) 결론:
NR-A2로 명한 조성물은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고복합 허브 제형이다. 마찬가지로 NRA1, NRA3 & NRA4 로 정한 3가지 조성물도 알러지성 비염 및 알러지성 천식의 치료에 특히 안전하고 우수한 항알러지성 효과를 나타내는 작용제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고찰되는 조성물도 역시 알러지성 비염 및 알러지성 천식의 치료에 특별히 우수한 항알러지성 작용제로 유용함이 밝혀졌다.
약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성물은 캡슐, 태블릿, 분말, 시럼 & 액상 등 투여목적에 따라 그 형태를 정할 수 있다. 조성물의 약량은 환자의 요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질병의 심각성에 따라 투약량을 일일 330 내지 3000mg 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장점
* 본 발명 조성물은 알러지성 비염 및 알러지성 천식에 특히 우수한 항알러지 작용제로 매우 유용하다.
* 조성물은 소량으로도 효능을 발휘하며 임의의 형태로 투약할 수 있다.
* 조성물의 맛이 나쁘지 않다.
* 매우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다.

Claims (20)

  1. - 15-50 중량%의테르미날리아 체불라 열매
    - 15-50 중량%의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열매
    - 0.5-50 중량%의알비지아 레벡 껍질
    - 15-50 중량%의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 열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비염 및 천식의 치료를 위해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개선된 공동상승작용 허브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또한,
    - 0.1-5 중량%의파이퍼 롱검 열매
    - 0.5-5 중량%의파이퍼 니그럼 열매
    - 0.1-5 중량%의징거버 오피시날레 뿌리줄기의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수성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사용된 식물테르미날리아 체불라, 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알비지아 레벡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는 수성 추출물이고 또한파이퍼 롱검, 파이퍼 니그럼징거버 오피시날레는 알코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태블릿, 캡슐, 시럼 및 액상체 등의 경구투약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약제학적 부형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로는 전분, 전-젤라틴화 전분, 디칼슘 인산염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5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부형제의 양은 30 내지 60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또한 프로필 파라벤 나트륨, 메틸 파라벤 나트륨 혹은 브로노폴이나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보존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보존제의 양은 0.1 내지 1중량% 범위 내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 15-50 중량%의테르미날리아 체불라 열매
    - 15-50 중량%의테르미날리아 벨레리카 열매
    - 0.5-50 중량%의알바지아 레벡 껍질
    - 15-50 중량%의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 열매의 추출물을 완전히 혼합하는 단계; 및 그 결과로 얻은 혼합물을 종래의 방법대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개선된 공동상승작용 허브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 0.1-5 중량%의파이퍼 롱검 열매
    - 0.5-5 중량%의파이퍼 니그럼 열매
    - 0.1-5 중량%의징거버 오피시날레 뿌리줄기의 추출물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고 그 결과로 얻은 혼합물을 완전히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10항 및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분무건조 혹은 50-70℃의 온도 범위에서 감압하에 가열하여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제물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부형제가 분말, 태블릿, 캡슐, 시럽 및 액상체 등의 현대적인 투약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혼합물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로는 전분, 전-젤라틴화 전분, 디칼슘 인산염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10항 및 제14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부형제의 양은 30 내지 60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4항에 있어서,
    보존제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 때의 보존제는 프로필 파라벤 나트륨, 메틸파라벤 나트륨 혹은 브로노폴이나 그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보존제의 양은 0.1 내지 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8. 특히 알러지성 비염 및 알러지성 천식 같은 알러지성 조건으로 고통받는 사람에게 제1항 내지 제10항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방법.
  19. 실질적으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개선된 공동상승작용의 항알러지성 허브조성물.
  20. 실질적으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개선된 공동상승작용의 항알러지성 허브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27010942A 2000-02-28 2001-02-23 개선된 항알러지성 허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86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58MA2000 2000-02-28
IN158/MAS/2000 2000-02-28
PCT/IN2001/000021 WO2001064163A2 (en) 2000-02-28 2001-02-23 An improved herbal composition having antiallergic propertie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562A true KR20020086562A (ko) 2002-11-18

Family

ID=1109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942A KR20020086562A (ko) 2000-02-28 2001-02-23 개선된 항알러지성 허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730332B2 (ko)
EP (1) EP1261359A4 (ko)
JP (1) JP2003524653A (ko)
KR (1) KR20020086562A (ko)
AU (2) AU2001250634B8 (ko)
BR (1) BR0108940A (ko)
CA (1) CA2401294C (ko)
IL (1) IL151334A0 (ko)
MX (1) MXPA02008387A (ko)
NZ (1) NZ520830A (ko)
RU (1) RU2264224C2 (ko)
WO (1) WO2001064163A2 (ko)
ZA (1) ZA2002072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51334A0 (en) 2000-02-28 2003-04-10 Natural Remedies Private Ltd An improved herbal composition having antiallergic propertie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2003030919A1 (es) * 2001-10-11 2003-04-17 Centro De Investigación Y Desarrollo De Medicamentos.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un extracto de jengibre
JP4278896B2 (ja) * 2001-11-02 2009-06-17 丸善製薬株式会社 ヒハツ果穂抽出物組成物及びヒハツ果穂抽出物含有飲食物並びにヒハツ果穂抽出物の呈味改善方法
US20030170326A1 (en) * 2001-12-13 2003-09-11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Bioavailability enchancing activity of Zingiber officinale Linn and its extracts/fractions thereof
US7070817B2 (en) * 2002-06-26 2006-07-04 Murali K Chada Herb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alleviating vascular headaches, neurological conditions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EP1638585A4 (en) 2003-03-03 2009-07-22 Benny Antony METHOD AND TECHNIQUE FOR INCREASING LIPOPROTEINS OF HIGH DENSITY IN THE SERUM
BRPI0402875A (pt) 2004-07-21 2006-03-07 Fundacao Oswaldo Cruz composições medicamentosas à base de extrato de carapa guianensis e/ou dos compostos quìmicos isolados desse extrato
CA2574898C (en) * 2004-07-23 2011-12-20 Tsung-Chung Lin Immune modulation and anti-allergy activities of zingiber zerumbet
WO2006022502A1 (en) 2004-08-23 2006-03-02 Neurogenex Co., Ltd. Compounds with diphenoyl -structure for the treatment of immune diseases
JP2006160666A (ja) * 2004-12-07 2006-06-22 Toyo Shinyaku:Kk 乳酸デヒドロゲナーゼ阻害剤
WO2006067802A1 (en) * 2004-12-24 2006-06-29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Anti-allergic herbal formulation(s)
US7651962B2 (en) * 2004-12-28 2010-01-26 Unicharm Corporation Oil for dust adsorption
US20060141065A1 (en) * 2004-12-28 2006-06-29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Herbal for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piles
US20060165824A1 (en) * 2005-01-26 2006-07-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for enhancing gastrointestinal health
JP2006265120A (ja) * 2005-03-22 2006-10-05 Tsumura & Co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
WO2006131932A1 (en) * 2005-06-09 2006-12-14 Mmi Corporation Herbal formulation capable of preventing alcohol-induced hangover,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WO2008035353A2 (en) * 2006-09-20 2008-03-27 Benny Benny Antony Polyphenol blend having superior transdermal delivery properties
US20100166804A1 (en) * 2007-05-23 2010-07-01 Dennis Penn Methods
US20090053319A1 (en) * 2007-08-21 2009-02-26 Wayne Jeffrey Perry Sore Throat Relief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090069446A1 (en) * 2007-09-06 2009-03-12 Wayne Jeffrey Perry Dendritic salt therapeutic agent delivery system
CA2639512A1 (en) * 2007-09-10 2009-03-10 Sicap Industries, Llc Nasal rinse additive
US8114448B2 (en) * 2008-01-21 2012-02-14 Himalaya Global Holdings Limited Herbal dental care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US7914614B1 (en) 2008-04-15 2011-03-29 Maria Lukacs Herbal paint
US20090263514A1 (en) * 2008-04-21 2009-10-22 Govindan Gopinathan Cold and flu tonic
WO2009142772A2 (en) 2008-05-23 2009-11-26 Mastcell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treatment for allergies and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diseases
US20120107432A1 (en) 2009-06-29 2012-05-03 Benny Antony Composition of extract of emblica officinali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307367B1 (ko) * 2010-09-14 2013-09-25 주식회사 이노테라피 탄닌,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EP2898891B1 (en) 2013-08-13 2020-07-01 Natreon Inc. Terminalia bellerica extract for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and lowering serum uric acid
IN2013CH04565A (ko) 2013-10-08 2015-09-25 Benny Antony
US8980340B1 (en) 2013-10-08 2015-03-17 Benny Antony Medicinal composition of extract of seed of emblica officinali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10286022B2 (en) 2013-10-08 2019-05-14 Benny Antony Medicinal composition of extract of seed of emblica officinali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03735707A (zh) * 2013-12-30 2014-04-23 冯大祥 治疗鼻炎的中药
WO2019220448A1 (en) * 2018-05-17 2019-11-21 Pasupathi Kalya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WO2022251495A1 (en) * 2021-05-26 2022-12-01 Welgemoed Shaun Morgan Sore throat remed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68A (ja) * 1993-05-24 1995-01-13 Suntory Ltd マメ科植物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US6200570B1 (en) * 1997-12-08 2001-03-13 Counse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Herbal formulation useful as a therapeutic and cosmetic ap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general skin disorders
JPH11199500A (ja) * 1998-01-07 1999-07-27 Nissin Food Prod Co Ltd アトピー性皮膚炎治療剤
IL151334A0 (en) 2000-02-28 2003-04-10 Natural Remedies Private Ltd An improved herbal composition having antiallergic propertie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01294C (en) 2009-12-08
IL151334A0 (en) 2003-04-10
BR0108940A (pt) 2003-06-03
AU5063401A (en) 2001-09-12
CA2401294A1 (en) 2001-09-07
RU2264224C2 (ru) 2005-11-20
EP1261359A2 (en) 2002-12-04
AU2001250634B8 (en) 2006-08-03
EP1261359A4 (en) 2007-04-04
NZ520830A (en) 2005-08-26
US20030194452A1 (en) 2003-10-16
ZA200207254B (en) 2003-12-01
US6730332B2 (en) 2004-05-04
RU2002123048A (ru) 2004-03-20
AU2001250634B2 (en) 2006-02-16
MXPA02008387A (es) 2004-07-30
WO2001064163A3 (en) 2002-03-14
JP2003524653A (ja) 2003-08-19
WO2001064163A2 (en) 200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6562A (ko) 개선된 항알러지성 허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pton Stinging nettles leaf (Urtica dioica L.): Extraordinary vegetable medicine
AU2001250634A1 (en) An improved herbal composition having antiallergic propertie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Panda Handbook on medicinal herbs with uses: medicinal plant farming, most profitable medicinal plants in India, medicinal plants farming in India, plants used in herbalism, medicinal herbs you can grow, medicinal herbs and their uses, medicinal herbs, herbal & medicinal plants, growing medicinal herb, most profitable medicinal herbs growing with small investment, herbal medicine herbs
Kianitalaei et al. Althaea Officinalis in Traditional Medicine and modern phytotherapy
Bhutya Ayurvedic Medicinal Plants of India (Vol. 1)
Dharani et al. An Illustrated Guide to Medicinal Plants of East Africa
Baquar The role of traditional medicine in rural environment
Shaikh et al. Medicinal Flora of Poona College
Gaur et al. A Comprehensive Study on Herbal Electuary for the Treatment of Cough in Animals
KR100376306B1 (ko) 혈액순환 촉진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111836B1 (ko)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천연 조성물
Ezeonwumelu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cute toxicity and analgesic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 of flueggea virosa's root in rats
KR100761552B1 (ko) 흡연으로 인한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7344739B2 (en) Anti-allergic herbal formulation
Kumar et al. A brief literature review on Piper longum with special references to different Ayurvedic samhitas
Osuala et al. Pharmacognostic and antidysentery screening of mixed ethanol leaf extract of Parkia biglobosa and Acanthus montanus (50: 50)
Bhadane et al. A survey on medicinal plants in Toranmal regions
Poongodi Scientific Validation of Bronchodilator, Anti-Histamine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iddha Herbo-Mineral Formulation “Nagarasingadhi Chooranam” in In-Vivo and In-Vitro Models.
Croom Jr MEDICINAL PLANTS OF THE LUMBEE INDIANS (NORTH CAROLINA)
Sarvade et al. Dugdhika: present scenario in perspective of taxonomy and ayurveda.
Panda Compendium of Herbal Plants: Business Ideas for Herbal Plants Compendium, How to Start Herbal Plants Compendium Business, Starting Herbal Plants Storage, Start Your Own Herbal Plants Compendium Business, Herbal Plants Compendium Business Plan, Business Plan for Herbal Plants Compendium, Small Scale Industries in India, Herbal Plants Conservation Based Small Business Ideas in India
Rogena Rhamnaceae family as a source of herbal and conventional medicines
Mallory Common medicinal ethnobotany of the major ethnic groups in the Toledo District of Belize, Central America
Bark AmericanHerbal Pharmacopoe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