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333A -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 - Google Patents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333A
KR20020084333A KR1020010022933A KR20010022933A KR20020084333A KR 20020084333 A KR20020084333 A KR 20020084333A KR 1020010022933 A KR1020010022933 A KR 1020010022933A KR 20010022933 A KR20010022933 A KR 20010022933A KR 20020084333 A KR20020084333 A KR 20020084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reverse transcriptase
catechol
extract
urushi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철
김명조
Original Assignee
동의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의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4333A/ko
Publication of KR2002008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3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옻나무(Rush verniciflua)로부터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역전사효소 저해제로 사용될 수 있는 옻나무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Extract of Rhus verniciflua having inhibitory effects of reverse transcriptase}
본 발명은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옻나무(Rush verniciflua)로부터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역전사효소 저해제로 사용될 수 있는 옻나무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옻나무(Rhus verniciflua)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 일본, 중국 등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재배되고 있다. 수액을 옻이라 하며 공업용,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열매에서는 밀초를 채취한다[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982]. 옻이 지닌 내구성 등의 특성을 이용하여 기물을 보전하며, 천연도료로 이용한 것은 매우 오래 전의 일이다. 옻나무에서 채취되는 수액은 식물생리상 일종의 분비물로서 주로 수피의 2차 사부조직(secondary phloem)내에 존재한다.
옻칠은 효소 반응에 의해 공기와 접촉하여 견고하게 굳어지면서 다른 도료와는 특이하게 3차원 구조의 고분자인 훌륭한 도막(塗膜)을 형성하는데 광택이 나고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변하지 않아 유사이전부터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옻칠은 각종 산과 알카리에도 부식되지 않으며, 내염성, 내열성, 방수, 방부 및 방충의 효과가 뛰어난 내구성 물질[목영수, 옻의 특성과 연구. 과학과 기술 7, 37. 1974]로, 현존하는 목재 제품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옻칠을 한 것으로 옻칠의 특성을 잘 대변하고 있다. 옻은 칠기공예 뿐만 아니라 옻도막의 우수한 물성 때문에 산업공예, 산업응용, 식용, 약용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으며, 금후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수요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옻이 지닌 우수한 내약품성과 내구성을 활용하면 비행기, 선박, 해저 광케이블 등의 특수 외장도료로 응용이 가능하다.
동양에서는 옛부터 옻을 약용으로 사용하여 왔으며, 이런 약용의 처방은 여성의 생리기 이상, 위장약, 구충제, 혈액순환, 노화방지 등의 민간요법으로 전래되고 있다[한국식물보전, 한국자원식물연구소, 1990; 세계유용식물사전, 일본 평범사, 1989]. 특히, 우리 나라는 옻나무를 옻닭, 옻오리 등에 이용하여 한방의학과 민간요법에서 중풍, 고혈압 등 몸보신 및 약용으로 애용하고 있다[신약, 김일훈저, 발행처:나무, 1986]. 옻나무는 외부로부터 상처를 받으면 유백색의 액체(정제 옻의 대해 생옻이라 하기도 함)를 방출하는데 이 수지는 동물의 피부에 닿으면 알러지를 일으키는 성질이 있어, 옻에 대한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에게는 아주 적은 옻에 의해서도 알러지를 일으키므로 옻에 대한 접근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옻나무의 화학적인 성질에 관한 연구는 옻의 알러지 성분 연구와 생옻의 정제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옻나무 또는 옻으로부터 약리 활성물질의 탐색과 약리활성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보고는 본 발명자에 의하여 실시되었으며 특허등록을 받았다[대한민국 특허 제 0215390 호]. 지금까지 옻나무의 화학성분에 대한 연구는 담쟁이 옻나무를 포함한 옻나무과 식물(Anacardiceae)의 수액의 알러지성분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다[Yoshida, J Chem Soc 43:472, 1883; Majima et al., Ber 55:172, 1922; Hill et al., J Am Chem Soc 56:2736, 1934; Symes and Dawson, J Am Chem Soc 76:2959, 1954; Sunthankar and Dawson, J Am Chem Soc, 76:5070, 1954; Markiewitz and Dawson, J Org Chem 30:1610, 1965; Corbett and Billets, J Org Chem 30:1610, 1965; Craig et al., J Pharm Sci 67:483, 1978; Tyman, Chem Soc Rev 8:499, 1979; Yamauchi et al., J Chromatography 198:49, 1980; Ma et al., J Chromatog 200:163, 1980; Watson et al., J Pharm Sci 70:785, 1981; ElSohly et al., J Nat Prod 45:532, 1982; Adawadkar and ElSohly,Phytochemistry 22:1280, 1983; Fourie and Snyckers, J Natl Prod 47:1057, 1984; Oshima et al., J Chem Soc Chem Commun 10:630, 1985]. 한국산 옻나무에 대해서는 옻나무 수액의 알레르기 유도물질에 대한 연구[정대교 등, 농사시험연구논문집 33:675, 1990], 옻성분 고함유의 식물체를 선발하는 연구[현정오 등, 한국임학회지 82:122, 1993]가 있다. 옻의 주생산국인 한국, 일본, 중국에서의 옻성분에 대한 주된 연구분야는 옻의 정제기술과 옻수액의 성분분석 등에 불과하였고 옻칠의 사용은 아직 생활공예나 예술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옻나무 속(Genus)에서 발견된 화합물로는 피세틴(Fisetin), 푸스틴(Fustin), 아가티스플라본(Agathisflavone), 에이코산디온산(Eicosanedioic acid), 유로페틴(Europetein), 부테인(Butein), 코릴아긴(Corilagin), 3'4'-디하이드록시(Dihydroxy)-플라본(flavone), 란타베튠산(Lantabetulic acid), 마이리세틴(Myricetin), 시린틴(syringtin), 세미알라트산(Semialatic acid), 팔라시트린(Palasitrin), 설푸레틴(Sulfuretin), 3-펜타실(pentadecyl)-1,2-벤젠디올(benzenediol), 데메톡시카누긴(demethoxykanugin), 오발리테논(Ovalitenone), 세미모론산(Semimornic acid), 2-(3,4-디하이드록시벤질(Dihydroxybenzyl))-2, 6-디하이드록시(Dihydroxy)-3(2H)-벤조푸라논(benzofuranone), 메수아페론 에이(Mesuaferrone A), 레소카엠페롤(Resokaempferol), 로이폴린(Rhoifolin), 루스플라바논(Rhusflavanone), 수세다네아플라본(Succedaneaflavanone), 피세틴;7-0-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Giucopyranoside), 빌라바놀(Bhilawanol), 탄닌(Tannin), 하이드로아라콜(Hydrolaccol), 스텔라시아닌(Stellacyanin), 쿠에세틴(Quercetin) 및 시나린(cynarine)이 밝혀진 바 있다[Buckking ham,. 7, 761(1994)]. 이들 성분은 주로 후라보노이드계 물질로서 피세틴 및 푸스틴과 같은 후라보노이드는 혈관이나 모세혈관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Beretz, A., and Cagenave, J.-P., (1988)].
한편, 최근에는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과 성인 T세포백혈병(human T cell leukemia, HALT)의 예방법 및 치료법의 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후천성면역결핍증은 인간 면역 역전사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에 의하여 발병하고, 성인 T세포백혈병은 인간 T 세포백혈병바이러스(human T cell leukemia virus)에 의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바이러스는 RNA를 DNA로 변환시키는 역전사효소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사 바이러스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들 역전사 바이러스에 존재하는 역전사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여 역전사 바이러스에 의한 AIDS 등의 발병을 방지하는 연구가 많이 되어왔다. 그 결과, 지금까지는 역전사효소 저해 활성을 가진 여러 가지 물질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아지드치미진, 지디옥시시치진, 지디옥시노신 이 역전사효소 저해 활성을 가진 AIDS 치료약으로 허가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치료약은 제조단가가 높고 부작용이 강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옻나무로부터 새로운 약리 활성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옻나무 수피 및 수액에서 역전사효소 저해활성 등을 나타내는 활성물질을 분리·정제하고, 그의 화학구조를 동정한 결과 우루시올계 화합물임을 확인하고, 이의 역전사효소 저해제 등으로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3-펜타데실카테콜의 질량분석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3-펜타데실카테콜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3-펜타데실카테콜의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3-펜타데실카테콜의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3-[8'(Z)-펜타데세닐]카테콜의 질량분석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3-[8'(Z)-펜타데세닐]카테콜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3-[8'(Z)-펜타데세닐]카테콜의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3-[8'(Z)-펜타데세닐]카테콜의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3-[8'(Z),11'(Z)-펜타데카디에닐]카테콜의 질량분석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3-[8'(Z),11'(Z)-펜타데카디에닐]카테콜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3-[8'(Z),11'(Z)-펜타데카디에닐]카테콜의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3-[8'(Z),11'(Z)-펜타데카디에닐]카테콜의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3-[8'(Z),11'(Z),13'-펜타데카트리에닐]카테콜의 질량분석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3-[8'(Z),11'(Z),13'-펜타데카트리에닐]카테콜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3-[8'(Z),11'(Z),13'-펜타데카트리에닐]카테콜의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3-[8'(Z),11'(Z),13'-펜타데카트리에닐]카테콜의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우루시올계 화합물로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에서 R은
또는로,
m은 1 ∼ 20의 정수, n은 1 ∼ 3 의 정수이고, k는 0 또는 1 ∼ 3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루시올계 화합물 이외에도 이의 무기염 또는 유기염, 이의 에스테르 화합물 그리고 이의 이성질체 등의 모든 우루시올계 화합물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우루시올계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3-펜타데실카테콜, 3-[8'(Z)-펜타데세닐]카테콜, 3-[8'(Z),11'(Z)-펜타데카디에닐]카테콜 또는 3-[8'(Z),11'(Z),13'-펜타데카트리에닐]카테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역전사효소 저해제로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를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강원도 횡성 지방 등에서 자생하는 옻나무(Rhus vernicifera) 수피 및 수액으로부터 각종 용매를 사용하여 그 추출물을 분리하고, 이들 추출물이 나타내는 약리 활성을 조사한다.
옻나무 수피 또는 수액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등으로 순차적으로 추출하고 헥산 분획, 에칠아세테이트 분획, 부탄올 분획 및 물 분획 등을 분리한다. 이 때 용매로 비극성 용매인 헥산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추출물이 바람직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한다[표 1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옻나무 수피 또는 수액 추출물에서 역전사효소 저해 활성 등을 나타내는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그의 화학구조를 조사하고, 이들이 옻나무에서 알러지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던 우루시올계 화합물인 3-펜타데실카테콜, 3-[8'(Z)-펜타데세닐]카테콜, 3-[8'(Z),11'(Z)-펜타데카디에닐]카테콜 및 3-[8'(Z),11'(Z),13'-펜타데카트리에닐]카테콜 등임을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옻나무 수피 또는 수액 등에서 얻은 헥산 분획 등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여러 번 수행한다. 이 때 전개용매로는 헥산 : 아세톤의 혼합용매 및 헥산 : 에칠아세테이트의 혼합 용매 등을 사용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활성 분획으로 중압 ODS 칼럼 크로마토그라피 등을 수행하여 상기 4가지의 순수한 활성물질을 정제한다. 이 때 전개용매로는 증류수와 메탄올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우루시올계 화합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질량분석 스펙트럼,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탄소 및 수소핵자기 공명스펙트럼 등으로 조사하여, 본 화합물이 기지의 물질과 동일함을 확인한다[도 1 - 도 16 참조].
본 발명은 상기 우루시올계 화합물의 역전사효소 저해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의 정제 시료용액에 반응용 혼합액 HIV-1 역전사효소액, 완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원심분리한 후, 37 ℃에서 30분간 배양한다. 그 후, 얼음 위에서 EDTA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원심분리한다. 상기 반응액을 이온교환셀룰로오즈 필터에 점(spot)을 찍어, 건조 후에 5% 인산수소이나트륨(8회), 물(2회), 에탄올(2회), 디에틸에테르(2회)에 씻는다. 이온교환셀룰로오스필터를 신틸레이터(scintillator)에 넣고, 액체신틸레이션계수관(scintillation counter)으로 측정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우루시올계 화합물은 탁월한 역전사효소 저해활성 등을 효과적으로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치료용 약제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 부형제(forming agent), 희석제(diluent)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용 제제와 같은 단위투여형 또는 수회투여형 제제로 제형화하여 역전사효소 저해제를 위한 치료 및 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에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당 옻나무 추출액을 10 내지 100 ㎎의 양으로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옻나무 추출물의 용매 분획 및 그의 약리활성
강원도 횡성에서 채취한 옻나무를 대상으로 용매 분획하여 그의 약리 활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옻나무(껍질포함)를 실온에서 충분히 건조시킨 후 메탄올을 첨가한 다음 완전히 추출될 때까지 수회 추출 농축하여 유기용매를 완전히 제거한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옻나무 추출물에 헥산(hexane) 1000 ㎖을 첨가하여 물층과 헥산층으로 분획하였다. 물층에 다시 에칠아세테이트 1000 ㎖을 첨가하여에칠아세테이트층과 물층으로 분획하고, 물층에 다시 부탄올 500 ㎖을 첨가하여 부탄올층과 물층으로 최종적으로 분획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각 분획을 감압 농축한 결과 헥산 분획, 에칠아세테이트 분획, 부탄올 분획 및 물 분획을 각각 13.3 g, 5.4 g, 3.8 g, 32.9 g 씩 얻을 수 있었다.
상기에서 얻은 각 분획을 이용하여 다음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역전사효소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다[표 1 참조].
실시예 2. 옻나무 추출물로부터 활성물질의 분리·정제
상기 실시예 1의 옻나무 추출물에서 얻은 용매 분획 중 역전사효소 저해 활성이 가장 강한 분획을 대상으로 활성물질을 분리·정제하였다. 헥산 분획 중 4 g을 헥산으로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겔을 충전시킨 유리 칼럼[ψ5 ×70 cm, 7734 Merck 사]을 이용하여 헥산 : 아세톤의 혼합용매로 활성물질을 용출시켰다. 이 과정에서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분획(3 g)을 얻었다. 이를 다시 헥산으로 용해시키고 2차로 1차와 같은 방법으로 실리카겔을 충전시킨 유리칼럼[ψ5 ×70 cm, 9385 Merck 사]을 이용하여 헥산 : 에칠아세테이트의 혼합용매로 순차 용출시켰다. 2차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얻어진 활성 분획(2.8 g) 중 2 g으로 다음의 과정을 거쳐 중압 칼럼을 실시하였다. OSD를 유리칼럼[ψ1.6×100 cm]에 충전하고 HPLC용 펌프를 이용하여 30% 메탄올에서 90% 메탄올의 농도 구배로 활성물질을 용출시켰다. 그 결과, 화학식 1 의 화합물, 화학식 2 의 화합물, 화학식 3의 화합물 및 화학식 4의 화합물을 각각 23.4 ㎎,16.8 ㎎, 243.6 ㎎, 1032 ㎎을 얻었다.
실시예 3. 옻나무에서 추출한 우루시올계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1. 3-펜타데실카테콜
(1) 물질의 성상 : 흰 분말상
(2) 분자량 : 320
(3) 분자식 : C21H36O2
(4) 질량분석 스펙트럼(EI-MS, m/z)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질량분석치(M+)는 320이다.
(5)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IR maxcm-1)
KBR법으로 측정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6)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듀트로클로로포름(CDCl3)을 용매로 하고 테트라메칠실린(TMS)을 표준물질로 하여 수소핵자기 공명(1H-NMR)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7)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듀트로클로로포름(CDCl3)을 용매로 하고 테트라메칠실린(TMS)을 표준물질로하여 탄소핵자기 공명(13C-NMR)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8) 박층 크로마토그라피(TLC)의 Rf치
흡착제로 실리카[Kleselgel 60F254, Merck 사]와 전개용매로 헥산 : 아세톤(7.5 : 2.5) 혼합용매를 사용했을 때 Rf치는 0.41이다.
(9) 화학식
2. 3-[8'(Z)-펜타데세닐]카테콜
(1) 물질의 성상 : 담황색의 액상
(2) 분자량 : 318
(3) 분자식 : C21H34O2
(4) 질량분석 스펙트럼(EI-MS, m/z)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질량분석치(M+)는 318이다.
(5)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IR maxcm-1)
KBR법으로 측정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6)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듀트로클로로포름(CDCl3)을 용매로 하고 테트라메칠실린(TMS)을 표준물질로 하여 수소핵자기 공명(1H-NMR)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다.
(7)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듀트로클로로포름(CDCl3)을 용매로 하고 테트라메칠실린(TMS)을 표준물질로 하여 탄소핵자기 공명(13C-NMR)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다.
(8) 박층 크로마토그라피(TLC)의 Rf치
흡착제로 실리카[Kleselgel 60F254, Merck 사]와 전개용매로 헥산 : 아세톤(7.5 : 2.5) 혼합용매를 사용했을 때 Rf치는 0.41이다.
(9) 화학식
3. 3-[8'(Z),11'(Z)-펜타데카디에닐]카테콜
(1) 물질의 성상 : 담황색의 액상
(2) 분자량 : 316
(3) 분자식 : C21H32O2
(4) 질량분석 스펙트럼(EI-MS, m/z)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질량분석치(M+)는 316이다.
(5)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IR maxcm-1)
KBR법으로 측정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다.
(6)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듀트로클로로포름(CDCl3)을 용매로 하고 테트라메칠실린(TMS)을 표준물질로 하여 수소핵자기 공명(1H-NMR)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 11에 나타나 바와 같다.
(7)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듀트로클로로포름(CDCl3)을 용매로 하고 테트라메칠실린(TMS)을 표준물질로 하여 탄소핵자기 공명(13C-NMR)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 12에 나타나 바와 같다.
(8) 박층 크로마토그라피(TLC)의 Rf치
흡착제로 실리카[Kleselgel 60F254, Merck 사]와 전개용매로 헥산 : 아세톤(7.5 : 2.5) 혼합용매를 사용했을 때 Rf치는 0.41이다.
(9) 화학식
4. 3-[8'(Z),11'(Z),13'-펜타데카트리에닐]카테콜
(1) 물질의 성상 : 담황색의 액상
(2) 분자량 : 314
(3) 분자식 : C21H30O2
(4) 질량분석 스펙트럼(EI-MS, m/z)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질량분석치(M+)는 314이다.
(5) 적외펙트럼선 흡수 스펙트럼(IR maxcm-1)
KBR법으로 측정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은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다.
(6)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듀트로클로로포름(CDCl3)을 용매로 하고 테트라메칠실린(TMS)을 표준물질로 하여 수소핵자기 공명(1H-NMR)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다.
(7)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듀트로클로로포름(CDCl3)을 용매로 하고 테트라메칠실린(TMS)을 표준물질로 하여 탄소핵자기 공명(1H-NMR)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다.
(8) 박층 크로마토그라피(TLC)의 Rf치
흡착제로 실리카[Kleselgel 60F254, Merck 사]와 전개용매로 헥산 : 아세톤(7.5 : 2.5) 혼합용매를 사용했을 때 Rf치는 0.41이다.
(9) 화학식
실시예 4 : 역전사효소 저해활성 조사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4종류의 화합물과 대조용 화합물로 에피갈로카테친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을 역전사효소 저해 활성시험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시료용액 30 ㎕에 반응용 혼합액 10 ㎕(0.05 M 트리스-염산완충액 pH 8.0, 0.01 M DTT, 0.1 M 염화칼륨, 0.006 M 염화마그네슘, 2 ㎍/㎖ Poly (A) p(dT)15, 0.37μM3H-dTTP, 10μM dTTP, 글리세롤/물 = 25/16), 0.001 U/㎖의 HIV-1 역전사효소액 10 ㎕, 완충액(50 mM 트리스-염산 pH 8.0, 10 mM DTT, 200 mM 염화칼륨, 50 v/v%글리세롤) 10 ㎕를 첨가하여, 전량을 50 ㎕로 하였다. 이것을 교반하여 원심분리한 후, 37 ℃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그 후, 얼음 위에서 EDTA 20 ㎕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원심 분리하였다. 상기 반응액 50 ㎕을 이온교환셀룰로오즈필터에 점(spot)을 찍어, 건조시킨 후에 5% 인산수소이나트륨(8회), 물(2회), 에탄올(2회), 디에틸에테르(2회)에 씻었다. 이온교환셀룰로오스필터를 신틸레이터(scintillator)에 넣고, 액체신틸레이션계수관(scintillation counter)으로 측정하였다. 화합물의 시료농도를 0.01 ∼ 100 ㎍/㎖의 범위에서 실시하였고, 저해율이 50%일 때 농도를 IC50으로 하였다. 각 시료의 IC50은 다음 표 1에 나타냈으며, 화합물 1로부터 화합물 4의 각 시료에 대하여 독성이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 독성시험
본 발명의 옻나무 추출물에 대하여 독성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을 마우스(군당 5마리)에 각각 투여한 다음 14일 동안 관찰하여 사망률을 측정하였다. 이때 농도 단계별로 상기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50% 치사량은(LD50)은 14 g/㎏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옻나무 추출물은 탁월한 역전사효소 저해 활성 등을 나타내므로 앞으로 식물에서 유래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역전사효소 억제제 등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항암 효과(특허 제 0215390 호)와 더불어 역전사효소 저해 활성 효과 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으므로 더욱 유용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옻나무 추출물은 의약품뿐만 아니라 식품 및 다양한 산업적 응용 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도 있다.

Claims (4)

  1.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루시올계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추출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에서 R은
    또는로,
    m은 1 ∼ 20의 정수, n은 1 ∼ 3 의 정수이고, k는 0 또는 1 ∼ 3의 정수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루시올계 화합물은 3-펜타데실카테콜, 3-[8'(Z)-펜타데세닐]카테콜, 3-[8'(Z),11'(Z)-펜타데카디에닐]카테콜 또는 3-[8'(Z),11'(Z),13'-펜타데카트리에닐]카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추출물.
  4. 옻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사효소 저해제.
KR1020010022933A 2001-04-27 2001-04-27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 KR20020084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933A KR20020084333A (ko) 2001-04-27 2001-04-27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933A KR20020084333A (ko) 2001-04-27 2001-04-27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333A true KR20020084333A (ko) 2002-11-07

Family

ID=2770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933A KR20020084333A (ko) 2001-04-27 2001-04-27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43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hammad et al. A new antimalarial quassinoid from Simaba o rinocensis
US8846751B2 (en) Agent for inhibiting production of hepatitis C virus and its use
KR100394089B1 (ko) 알러지 유발성분을 배제한 옻나무 추출물
Ngoc et al. A new coumarin and cytotoxic activities of constituents from Cinnamomum cassia
Ahmad et al. Pharmacology of Pterocarpus marsupium Roxb
AU2015329526A1 (en) Synergistic composition for osteoarthritis
Siddiqui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acute toxicity studies of Artemisia annua in Swiss albino mice
Othman et al.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HPLC-QTOFMS) analysis on the ethanol: Water (80: 20) extract of Lawsonia inermis leaves
KR100987303B1 (ko) 오리나무 유래 디아릴헵타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간보호용 조성물
KR100215390B1 (ko) 우루시올계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포함한 항암제로서의 새로운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43897B1 (ko) 치자 추출물 및 치자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그 용도
Cho et al. Sesquiterpene lactone and its unique proaporphine hybrids from Magnolia grandiflora L.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y
KR100619498B1 (ko) 간보호 및 간장질환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0933770B1 (ko)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항암제
KR20020084333A (ko)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옻나무 추출물
KR20210014182A (ko) 마키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간 독성 물질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
KR100542323B1 (ko) 후박나무로부터 세포사멸 유도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To et al.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s from Polygonum multiflorum
Onyekere et al. Biological roles of phytochemicals
FR2851919A1 (fr) Lignanes utilisables comme inhibiteurs de cathepsines et leurs applications
KR20150046482A (ko) 마키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간 독성 물질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
Ranaivoarisoa et al. Antiplasmodial Activity of the Extracts and Flavonoids Isolated from Helichrysum gymnocephalum Humbert (Asteraceae) from Madagascar
KR102525843B1 (ko) 튤립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Alkamide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0459088B1 (ko) 간세포 보호활성을 나타내는 비자나무의 수피로부터분리한 다이벤질부틸락톤 리그난 유도체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 보호 및 간 질환 치료용조성물
KR100569086B1 (ko) 간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고로쇠 잎 추출물 및 이로부터분리된 페놀성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