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610A -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610A
KR20020083610A KR1020010023026A KR20010023026A KR20020083610A KR 20020083610 A KR20020083610 A KR 20020083610A KR 1020010023026 A KR1020010023026 A KR 1020010023026A KR 20010023026 A KR20010023026 A KR 20010023026A KR 20020083610 A KR20020083610 A KR 20020083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cosmetics
cold
make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332B1 (ko
Inventor
서충석
공우식
강응수
배한규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1002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332B1/ko
Publication of KR2002008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3More than one co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감물질이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의 복합 또는 혼합 분체에 흡착되어 있고 그 위에 실리콘 공중합체가 코팅된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는 70-94.5중량%의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 복합 또는 혼합 분체와, 그에 흡착된 5-25중량%의 냉감 물질과, 0.5-5중량%의 실리콘 공중합체 코팅층으로 구성되고,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위의 냉감 분체를 1-30중량% 포함하며,
위의 냉감 분체를 유화형 화운데이션, 루즈 파우더, 또는 투웨이 케익과 같은 메이크업 화장료에 사용하면, 냉감 강도, 자외선 차단, 지속성, 내수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얻을 수가 있다.

Description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POWDER FOR MAKE-UP COSMETICS HAVING A COOL FEEL,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THE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냉감성 물질을 흡착시킴으로써 우수한 냉감 효과를 부여한 메이크업 화장료용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화장 효과 및 사용성이 개선된 새로운 유형의 냉감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피부에 적당한 피복과 색채를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용도에 따라 유성 화운데이션, 고형 백분, 루즈 파우더, 립스틱,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등으로 개발되고 있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적절한 광택과 투명감으로 피부를 피복하고, 퍼짐성 및 부착성을 향상시키며, 땀과 피지 등의 분비에 의해 화장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시의 감촉을 향상시킨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은 은폐성, 색상 표현력, 자외선 차단에 의한 효과 등의 화장 효과가 우수하여야 하고, 화장 효과의 지속성, 피부 부착성이나 피부 유연성 등의 사용성이 좋아야 하며, 물이나 땀에 의하여 잘 지워지지 않는 등 내수성이 우수하여야 하고, 안정성이 높을 것이 요구된다.
메이크업 화장료는 제품의 성형성을 증강시키기 위한 기제 물질과 피부에 색깔을 부여하는 착색제를 포함한다. 기제 물질의 제형으로는, 종래 주로 수중유(O/W) 유화형이 사용되었으나 그 화장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내수성이 열등하여 화장을 하고 난 후 얼룩이 생기거나 또한 화장이 지워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 내수성을 증대시킨 유중수(W/O)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품이 제안되었으나, 땀이 많고 물과의 접촉이 잦은 여름철이나 운동시에는 여전히 내수성이 충분하지 못하며 화장의 지속성 및 안정성도 만족스럽지 못하고 사용할 때 피부에 닿는 촉감도 좋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 있어서는 시원한 청량감을 주는, 즉 냉감 효과를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용 분체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의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키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냉감 효과를 가지며 내수성이 우수하고 안정한 메이크업 화장료용 분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용 분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우수한 냉감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화장 효과및 사용성이 개선된 새로운 유형의 냉감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의하면, 70-94.5중량%의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 복합 또는 혼합 분체와, 그에 흡착된 5-25중량%의 냉감 물질과, 0.5-5중량%의 실리콘 공중합체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냉감 분체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의하면, 입자 크기 0.2-20㎛의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 복합 또는 혼합 분체 70-94.5중량%에 냉감 물질 5-25중량%를 흡착시킨 후, 실리콘 공중합체 0.5-5중량%를 코팅하고, 5∼48시간 동안 70∼150℃에서 건조 및 숙성시킨 후, 분쇄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냉감 분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의하면, 냉감 분체 1-30중량%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냉감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감 복합 분체 또는 냉감 혼합 분체는, 냉감 효과, 자외선 차단 효과, 내수성 및 퍼짐성, 화장 지속성 등 화장 효과 및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메이크업 화장료로서, 메이크업 화장료 중에 안정하게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감 분체는 냉감 물질이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의 복합 또는 혼합 분체에 흡착되어 있고 이를 실리콘 공중합체로 코팅한 2중 코팅 분체이다.
냉감 물질(냉감제)이란 피부나 점막에 대해서 생리적으로 차가운 감을 주는, 소위 냉감(청량) 작용을 가진 물질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냉감 물질로는 멘톨 및 멘톨 유도체(예컨대, 멘톡시프로판디올)를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 특히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L-멘톨은 박하유의 주성분이다. 멘톨 및 멘톨 유도체는 방향제로서 청량감을 필요로 하는 일부 식료품, 의약품, 음료, 치약, 담배 등에 배합 사용되고 있다. 멘톨은 모노테르펜에 속하는 알코올의 일종으로 꿀풀과(科)의 다년생 숙근초인 박하(Peppermint/Mentha arvensis var,Piperascens)의 원유에서 추출해 낸 박하뇌와 박하유의 주성분이다. 멘톨은 독특한 상쾌감이 있는 향이 나는 무색의 침상(針狀)결정으로서, 물에서는 거의 녹지않고 에탄올, 에테르, 클로로포름에는 잘 녹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멘톨을 추출하는 방법은 공지이며, 박하의 잎이나 줄기를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거나, 멘톤ㆍ프레곤ㆍ피페리톤ㆍ티몰ㆍ이소프레골 등의 케톤기 또는 이중 결합에 물을 첨가하면 용이하게 합성된다. 최근에는 정제법이 발달하여 천연품 못지 않은 합성 L-멘톨을 얻고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분체로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실리카의 복합 또는 혼합 분체가 사용된다. 이들은 친수성이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높다. 입자 크기는 0.2-20㎛의 범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3-10㎛의 크기가 양호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의 구성 비율은 이산화티탄 10-40중량%, 산화아연 10-40중량%, 실리카 20-80중량%이다. 본 발명의 냉감 분체에 사용되는 실리카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합성 실리카로서 평균 입경이 1-20㎛인 다공성 구상 입자 또는 중공상 구상 입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 복합 또는 혼합 분체의 함량은 본 발명의 냉감 분체 전중량 기준으로 70-94.5중량%의 범위이다.
냉감 물질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멘톨, 멘톨 유도체(예컨대, 멘톡시프로판디올)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멘톨이다. 그 함량은 전술한 분체 대비 5-25중량%에서 본 발명이 의도하는 냉감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공중합체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로서, 메치콘, 디메치콘 및 가교형 메칠 폴리실록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 선택되며, 내수성 및 피부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유효한 함량은 본 발명의 냉감 분체 전중량 기준으로 0.5-5%의 중량비에서 유효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의 제조방법은 입자 크기가 0.2-20㎛인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의 복합 또는 혼합 분체 70-94.5중량%에 에탄올, 메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 용해시킨 냉감 물질을 5-25 중량%를 흡착(코팅)시킨 다음, 실리콘 공중합체 0.5-5중량%를 코팅하고, 5∼48시간 동안 70∼150℃에서 건조 및 숙성시킨 후, 분쇄하여 분체화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냉감 분체는 냉감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자외선 차단 효과가 높으며, 내수성 및 피부 부착력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이크업 냉감 화장료는 본 발명의 분체 1-3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냉감 화장료는 냉감 효과, 화장 효과 및 사용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유화형 화운데이션, 루즈 파우더, 투웨이케익 등을 포함한다.
메이크업 냉감 화장료가 유화형 화운데이션, 루즈 파우더, 투웨이케익인 경우의 본 발명의 냉감 분체 함유량은 1-30중량%가 바람직하며, 냉감 분체가 1중량% 이하이면 충분한 냉감 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반면에 30중량%를 초과하면 피부에 대한 피복력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화장 효과에 있어 자연스러움이 저해될 수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실시예 1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의 복합 또는 혼합 분체 82중량%를 실온에서 프로펠러 믹서를 사용하여 30분간 혼합 교반한 후, 여기에 멘톨 50중량%와 에탄올 50중량%를 혼합한 50% 멘톨 용액 15중량%를 서서히 가하면서 혼합 분산하여 멘톨을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의 복합 분체 또는 혼합 분체에 흡착(1차 코팅)시킨 다음, 메치콘 3중량%를 가하고 교반 분산하여 2차 코팅시킨 후, 11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 및 숙성시켰다. 얻어진 분체를 분쇄기로 3회 분쇄하여 입자 크기 범위가0.2-25㎛인 본 발명에 따른 냉감 분체를 얻었다.
실시예 2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의 복합 또는 혼합 분체 90중량%와 50% 멘톨 용액 7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 및 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감 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의 복합 또는 혼합 분체 72 중량%와 50% 멘톨 용액 2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 및 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감 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메치콘 대신 디메치콘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 및 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감 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메치콘 대신 가교형 메칠 실록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 및 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감 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메치콘 3 중량% 대신 메치콘 1.5중량%와 디메치콘 1.5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 및 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감 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50% 멘톨 용액의 용매로 에탄올 대신 메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 및 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냉감 분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멘톨 및 실리콘 공중합체를 코팅시키지 않은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 분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건강한 성인 여성 20명에 대해서 실시예 1-7과 비교예 1의 분체를 앞팔 안쪽의 피부에 각각 동일량을 도포하고, 그 생리학적 청량 작용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청량감은 다음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매우 강한 청량감이 느껴짐.
++ 강한 청량감이 느껴짐.
+ 청량감이 느껴짐.
- 청량감이 느껴지지 않음.
시료 청량감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실시예6 ++
실시예7 ++
비교예1 -
표1의 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냉감 물질이 포함된 실시예 1-7의 본 발명의 냉감 분체는 청량감을 나타냈다.
처방예 1 및 2 : 유화형 화운데이션
다음 표 2의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유화형 화운데이션을 제조하되, 안료를 오일상에 분산시킨 후 수상을 첨가하여 유화시키고 냉각 탈포시켜서 제조하였다. 이때 비교 처방예 1은 실시예 1의 냉감 분체 대신 비교예 1의 분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처방예 1 및 2의 유화형 화운데이션의 조성비:
성분명 처방예1 처방예2 비교처방예1
1. 사이클로메치콘 5.0 5.0 5.0
2. 이소노닐이소노나노네이트 15.0 15.0 15.0
3.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5.0 5.0 5.0
4.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0.5 0.5 0.5
5. 페녹시에탄올 적량 적량 적량
6. 부틸파라벤 적량 적량 적량
7.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적량 적량 적량
8. 향료 적량 적량 적량
9. 디메치콘코폴리올 2.0 2.0 2.0
10. 정제수 45.0 40.0 40.0
11. 1,3부틸렌글리콜 5.0 5.0 5.0
12.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0 5.0 5.0
13. 색소 적량 적량 적량
14. 이산화티탄 10.0 10.0 10.0
15. 실시예1의 분체 5.0 10.0
16. 비교예1의 분체 10.0
처방예 3 및 4 : 루즈 파우더
다음 표 3의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루즈 파우더를 제조하되, 안료를 혼합 분쇄시킨 후 유성 성분, 첨가제 및 향을 투입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비교 처방예 2는 실시예 1의 냉감 분체 대신 비교예1의 분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처방예 3 및 4의 루즈 파우더의 조성비:
성분명 처방예3 처방예4 비교 처방예2
1. 탈크 50.0 35.0 35.0
2. 세리사이트 15.0 15.0 15.0
3. 실리카 5.0 5.0 5.0
4. 나일론 분체 5.0 5.0 5.0
5. 셀룰로우즈 분체 5.0 5.0 5.0
6. 카올린 3.0 3.0 3.0
7. 메칠파라벤 적량 적량 적량
8. 색소 적량 적량 적량
9.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2.0 2.0 2.0
10. 프로필파라벤 적량 적량 적량
1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12. 실시예1의 분체 10.0 25.0
13. 비교예1의 분체 25.0
처방예 5 및 6 : 투웨이케익
다음 표 4의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투웨이케익을 제조하되, 안료를 혼합 분쇄시킨 후 유성 성분, 첨가제 및 향을 투입하여 혼합 분쇄 후 성형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비교 처방예 3은 실시예 1의 냉감 분체 대신 비교예 1의 분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처방예 5 및 6의 투웨이케익의 조성비:
성분명 처방예5 처방예6 비교 처방예3
1. 탈크 20.0 20.0 20.0
2. 세리사이트 40.0 25.0 25.0
3. 실리카 3.0 3.0 3.0
4. 나일론 분체 3.0 3.0 3.0
5. 셀룰로우즈 분체 3.0 3.0 3.0
6. 카올린 3.0 3.0 3.0
7. 메칠파라벤 적량 적량 적량
8. 색소 적량 적량 적량
9. 이산화티탄 5.0 5.0 5.0
10.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0.5 0.5 0.5
11. 토코레롤 아세테이트 0.5 0.5 0.5
12.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7.0 7.0 7.0
13. 프로필파라벤 적량 적량 적량
14. 향료 적량 적량 적량
15. 실시예1의 분체 10.0 25.0
16. 비교예1의 분체 25.0
시험예 2 - 화장 효과 및 사용성 평가
상기 처방예에 따른 화장료에 대한 화장 효과 및 사용성 평가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 효과와 내수성은 기기적으로 측정하였고 사용성, 안정성에 대해서는 20 내지 30세의 화장품 전문 패널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능 평가와 함께 실시하였다.
기기적 평가는 양호 ◎, 보통 △, 불량 X로 하여 평가하였으며, 관능 평가는 5점 척도로 비교 평가하여 20명중 16명 이상이 양호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 12내지 15명이 양호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O, 8내지 11명이 양호하다고 판단하는경우를 △, 7명 이하가 양호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X로 하였다.
시험방법 1 - 자외선 차단 효과
석영판을 피부로 간주하고, 석영판 위에 일정한 두께로 시료를 도포하여 얇은 막(film)을 형성시킨 후, 분광 광도계로 막의 흡광도 및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피마자유를 기재로 하여 상기 시료를 10% 농도로 제조한 후 균일한 두께의 막(film)을 형성시켜서 흡광도 및 투과도를 측정, 290-400㎚의 값을 얻어 면적비로 산출하였다.
시험방법 2 - 내수성 효과
1) 색차계(Colorimeter)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화장품 도포 전후의 색이 변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팔 부위를 5개 부위로 나누어 동일 면적에 동일량을 도포하여 도포전 피부색을 측정하였고, 도포후 피부색에 대해서는 10분 간격으로 물에 1분씩 담근 뒤 건조시켜 색의 변화도를 측정하였고, 관능 평가도 동시에 실시하였다.
2) 유리판 위에 화장품을 일정하게 도포하고, 그위로 40℃ 온도의 식염수를 30분 동안 흘려보낸 뒤 남은 화장품의 양을 측정 평가하였다.
시험방법 3 - 안정성
화장품을 43℃ 및 영하 5℃에서 하루 동안 방치시키는 순환 온도법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유화가 파괴되는 시점의 순환 횟수에 따라 평가하였다.
상기한 시험 방법에 따른 결과를 하기의 표 5, 6 및 7에 나타내었다.
처방예 1 및 2의 유화형 화운데이션의 화장 효과 및 사용성:
항목 처방예1 처방예2 비교 처방예1
기기적 측정 자외선 차단 효과 O
내수성 효과
관능 평가 부착성
지속성 O
냉감강도 O X
색채효과 O O
안정성 O
처방예 3 및 4의 루즈 파우더의 화장 효과 및 사용성:
항목 처방예3 처방예4 비교 처방예2
기기적 측정 자외선 차단 효과
내수성 효과
관능 평가 부착성
지속성 O
냉감강도 O X
색채효과 O O
안정성 O
처방예 5 및 6의 투웨이케익의 화장 효과 및 사용성:
항목 처방예5 처방예6 비교 처방예3
기기적 측정 자외선 차단 효과 O
내수성 효과
관능 평가 부착성
지속성 O O
냉감강도 O X
색채효과 O
안정성 O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산화티탄/산화아연/실리카의 복합 또는 혼합 분체에 멘톨을 흡착시키고 실리콘 공중합체를 코팅시킨 냉감 분체를 메이크업 화장료(유화형 화운데이션, 루즈분체, 투웨이 케익)에 사용한 결과 냉감 강도, 자외선 차단, 지속성, 내수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6)

  1. 이산화티탄 10-40중량%, 산화아연 10-40중량%, 실리카 20-80중량%로 구성되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실리카의 복합 또는 혼합 분체 70-94.5중량%, 상기한 분체에 흡착되는 냉감 물질 5-25중량%와, 0.5-5중량%의 실리콘 공중합체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냉감 물질이 멘톨 또는 멘톡시프로판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리콘 공중합체가 메치콘, 디메치콘 및 가교형 메칠 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4. 입자 크기가 0.2-20㎛인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실리카의 복합 또는 혼합 분체 70-94.5중량%에 냉감 물질 5-25중량%를 흡착시키는 1차 코팅 단계와, 이에 후속하여 실리콘 공중합체 0.5-5중량%를 코팅하는 2차 코팅 단계, 5∼48시간 동안 70∼150℃에서 건조 및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및, 분쇄하여 미분화시키는 분체화 단계로 구성되는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의 제조 방법.
  5.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1-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냉감 화장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메이크업 냉감 화장료가 화운데이션, 루즈파우더 및 투웨이케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메이크업 냉감 화장료.
KR1020010023026A 2001-04-27 2001-04-27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KR100779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026A KR100779332B1 (ko) 2001-04-27 2001-04-27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026A KR100779332B1 (ko) 2001-04-27 2001-04-27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610A true KR20020083610A (ko) 2002-11-04
KR100779332B1 KR100779332B1 (ko) 2007-11-27

Family

ID=2770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026A KR100779332B1 (ko) 2001-04-27 2001-04-27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3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647B1 (ko) * 2004-07-15 2006-08-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제용 이산화티탄의 광촉매 활성의 억제와 용액에서 분산성향상을 위한 실리카 코팅 방법
KR100795233B1 (ko) 2006-11-30 2008-01-17 (주)아모레퍼시픽 발수 및 발유와 도포 균일성이 향상된 복합화 안료를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20238B1 (ko) 2006-11-27 2008-04-07 (주)아모레퍼시픽 높은 자외선차단지수를 갖는 파우더 파운데이션 화장품조성물
WO2012026711A2 (ko) * 2010-08-27 2012-03-01 (주)아모레퍼시픽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141B1 (ko) 2008-11-28 2011-12-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및 이의 용도
KR101238646B1 (ko) 2009-10-09 2013-02-28 한국콜마주식회사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479B1 (ko) * 1999-06-30 2006-11-28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신규한 실리콘 분체 처리제, 이를 사용하여 표면 처리된분체 및 이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647B1 (ko) * 2004-07-15 2006-08-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제용 이산화티탄의 광촉매 활성의 억제와 용액에서 분산성향상을 위한 실리카 코팅 방법
KR100820238B1 (ko) 2006-11-27 2008-04-07 (주)아모레퍼시픽 높은 자외선차단지수를 갖는 파우더 파운데이션 화장품조성물
KR100795233B1 (ko) 2006-11-30 2008-01-17 (주)아모레퍼시픽 발수 및 발유와 도포 균일성이 향상된 복합화 안료를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026711A2 (ko) * 2010-08-27 2012-03-01 (주)아모레퍼시픽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026711A3 (ko) * 2010-08-27 2012-05-10 (주)아모레퍼시픽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332B1 (ko) 200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05994T2 (de) Verflüssigbare pulverzusammensetzungen
US4119712A (en) Makeup foundations
EP1787628B1 (en) Oily cosmetic preparation
CN110638691B (zh) 一种漆光镜面持色唇釉及其制备方法
DE60109243T2 (de) Abriebfeste Kosmetik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 nichtflüchtiges Silicon, ein nichtflüchtiges Kohlenwasserstofföl und eine inerte Teilchenphase
EP1500385A1 (fr) Procede de stabilisation de mousse pour mousse cosmetique
US4906458A (en) Water-in-oil-type cosmetic
US20030007940A1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JPH11322576A (ja) 新規な顔料を含む化粧品組成物
TWI733678B (zh) 包含水溶性聚合物的油包水型唇部化妝品組合物
JP7325337B2 (ja) 唇のメイクアップ及びケアのための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
US6479040B1 (en) Cosmetic formulation
KR100779332B1 (ko)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EP1408910B1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FR3090371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à effet matifiant
KR100845731B1 (ko)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100787784B1 (ko)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H1067645A (ja) 親水性成分及び揮発性化合物とペースト状脂肪化合物との混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前記混合物の使用
JP2004026740A (ja) 化粧料
KR102365617B1 (ko) 지속성 및 제형 안정성이 개선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9990042883A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0611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A3017384C (en) Gloss lip balm for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