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914A - 낚시용 미끼 - Google Patents

낚시용 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914A
KR20020082914A KR1020010021976A KR20010021976A KR20020082914A KR 20020082914 A KR20020082914 A KR 20020082914A KR 1020010021976 A KR1020010021976 A KR 1020010021976A KR 20010021976 A KR20010021976 A KR 20010021976A KR 20020082914 A KR20020082914 A KR 20020082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fishing
weight
flou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최광은
Original Assignee
김덕수
최광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수, 최광은 filed Critical 김덕수
Priority to KR102001002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2914A/ko
Publication of KR2002008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9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45Preparation of bait;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미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낚시용 미끼는 아열대 지경에서 서식하는 발광민물새우의 건조분말을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낚시용 미끼는 상기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50 내지 80 중량%에 밀가루 20 내지 50 중량%가 더 포함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60 내지 75 중량%에 밀가루 20 내지 40 중량%, 콩가루 3 내지 10 중량% 및 설탕 2 내지 5 중량%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미끼는 집어력이 양호하여 조과가 우수하고,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에 잔존하는 루시페린을 포함한 생물발광 구성성분의 작용으로 미끼 자체에서 자연발광이 나타남으로 특히 밤낚시에서 탁월한 집어력을 발휘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미끼{Bait for Fishing}
(기술분야)
본 발명은 낚시용 미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아열대 지역에서 서식하는 발광민물새우의 건조분말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낚시용 미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취미, 스포츠 및 레저로서 널리 즐기고 있는 낚시는 통상 민물낚시와 바다낚시로 나눌 수 있고, 또한 그 방법에 따라 대낚시, 릴낚시, 견지낚시, 루어낚시 등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낚시 채비는 목표 어종과 방법에 따라 그 천차만별이지만, 물고기를 유인하는 미끼는 여러 채비 중에서도 단연 기본이 된다. 붕어, 향어, 잉어 등 민물고기를 주요 대상어종으로 하는 민물 대낚시의 미끼로서는 살아 있는 지렁이 및 새우와 함께 분말가공품인 떡밥이나 어분(이하, 떡밥으로 통칭한다)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떡밥은 보릿가루, 밀가루, 콩가루, 깻묵가루, 감자가루, 옥수수가루 등 각종 곡물가루가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고 어분이나 글루텐 등이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떡밥은 상품화되어 널리 시판되고 있지만 보다 나은 조과를 위하여 낚시인들이 떡밥에 쏟는 정성은 실로 대단하다.
떡밥에 대하여 여러 가지 속설들이 많지만 집어력을 좌우하는 대표적인 요인은 냄새효과, 맛효과 및 시각효과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들 효과가 최적으로 발휘되도록 하기 위하여 낚시인들은 낚시 여건에 따라 떡밥의 원료 및 그 배합률, 반죽의 묽기(되기), 크기, 형태, 찰기 등을 자신의 경험에 맞게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지렁이와 함께 민물낚시의 대표적인 살아 있는 동물성 미끼인 민물새우는, 특히 대어를 목표로 하는 낚시인들에게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민물새우는 다른 어떤 미끼들에 비하여 그 획득, 보관 및 취급이 불편한 미끼이다. 즉, 통상적으로 민물새우는 살아 있는 신선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임으로 낚이인들은 낚시터 현장에서 새우를 포획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고 계속 생존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등 민물새우를 미끼로 사용하기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미끼들 보다 우수한 조과를 올릴 수 있는 새로운 성분의 낚시용 미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열대 지역에서 서식하는 발광민물새우를 건조 및 분쇄하여 떡밥과 같이 분말상태로 가공한 낚시용 미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아열대 지역에서 서식하는 발광민물새우의 건조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낚시용 미끼는 상기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50 내지 80 중량%에 밀가루 2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낚시용 미끼는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60 내지 75 중량%에 밀가루 20 내지 40 중량%, 콩가루 3 내지 10 중량% 및 설탕 2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광민물새우는 갑각류중 장미류에 속하는 절지동물의 하나로서, 루시페라아제(발광효소)의 작용에 의해 환원형 루시페린(발광소)이 산화형 루시페린으로 산화될 때 빛을 내어 생물발광(냉광)을 하는 민물새우들을 의미하며, 인도네시아와 태국 등의 아열대 지방의 하천에서 대량으로 서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미끼는 아열대 지방에서 대량 포획한 발광민물새우들을 대략 2일 정도 햇볕에서 자연건조시킨 후에 분쇄기로 분말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미끼는 순수 발광민물새우의 분말만으로 제조하는 것도 배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전통적으로 떡밥의 원료로 사용되어 오던 보릿가루, 밀가루, 콩가루, 깻묵가루, 감자가루, 옥수수가루 등 각종 곡물가루를 일부 혼합함으로써, 떡밥 형태인 본 발명의 미끼를 물로 반죽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반죽의 묽기와 찰기 등을 사용하기 적당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낚시용 미끼는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에 밀가루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러 곡물가루 중 특히 밀가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밀가루가 깻묵가루 등에 비하여 자체의 냄새나 맛이 상대적으로 약하여 발광민물새우가 가지는 독특한 맛과 냄새에 영향을 덜 미치기 때문이다.
첨가되는 밀가루의 함량이 과도하면 발광민물새우의 효과가 약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과소하면 반죽의 찰기 등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끼는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50 내지 80 중량%에 밀가루를 20 내지 50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70 중량%에 밀가루를 30 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용 미끼에는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에 밀가루를 혼합함과 아울러 약간의 콩가루와 설탕(당분)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미끼는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60 내지 75 중량%에 밀가루 20 내지 40 중량%, 콩가루 3 내지 10 중량% 및 설탕 2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콩가루와 설탕을 추가로 혼합하면 바람직한 이유는 명백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의 맛과 향에 콩가루와 설탕의 맛과 향이 어우러지면서 물고기의 집어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끼는 통상의 떡밥과 마찬가지로 적당량의 물로 반죽하여 사용하며, 살아 있는 지렁이 및 새우나 기존의 시판 떡밥 및 어분에 비하여 탁월한 집어력으로 나타냄으로 이들 기존의 미끼들에 비하여 우수한 조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끼는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에는 생물발광 구성성분인 루시페린이 잔존하여 미끼 자체에서 자연발광이 나타남으로, 특히 밤낚시에서의 물고기 유인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미끼를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예 1
아열대 지방(인도네시아)의 하천에서 포획한 발광민물새우들(인도네시아 현지명: KUNG KEOI)을 건조망에 펼쳐 2일간 햇빛에서 자연건조하고, 시판의 어분이나 떡밥의 분말 크기 정도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로 된 미끼를 완성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을 제조하고, 본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700그램(70 중량%)에 밀가루 300그램(30 중량%)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끼를 완성하였다.
제조예 3
제조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을 제조하고, 본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700그램(70중량%)에 밀가루 220그램(22 중량%), 콩가루 50그램(5 중량%), 및 설탕 30그램(3 중량%)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끼를 완성하였다. 본 제조예3의 미끼는 바람과 물결이 없는 최적의 낚시 환경 하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제조예4
제조예3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미끼를 제조하되, 그 함량을 달리하여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600그램(60중량%)에 밀가루 300그램(30 중량%), 콩가루 50그램(5 중량%), 및 설탕 50그램(5 중량%)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끼를 완성하였다. 본 제조예4의 미끼는 바람과 물결이 있는 낚시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실시예1
이상 제조예1 내지 제조예4의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미끼와, 시판되는 지렁이, 떡밥, 어분 및 현장에서 포획한 생새우를 미끼로 사용하여 2001년 3월 11일 충청남도 충주호에서, 5년 이상의 민물낚시 경력을 가진 6명의 낚시인들이 가능한 한 동일한 조건 하에서 동일시간동안 주간낚시를 하였고, 각 미끼에 대한 조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2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2001년 3월 18일 경기도의 강화수로지에서 낚시를 실시하여 각 미끼에 대한 조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3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2001년 3월 25일 강원도 청평호에서 낚시를 실시하여 각 미끼에 대한 조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4
2001년 4월 1일 양어장형 유료 낚시터 2곳에서 제조예1 내지 제조예4의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미끼와 시판의 지렁이, 떡밥 및 어분을 사용하여 위 낚시인들이 동일시간동안 밤낚시를 하였고, 각 미끼에 대한 조과를 평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미끼의 테스트 결과, 다른 기존의 미끼에 대해 전혀 입질을 보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본 발명의 미끼는 주간과 야간을 구별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만족할 만한 조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야간에는 기존의 미끼에 비하여 탁월한 조과를 나타내었다. 참가한 낚시인 전원으로부터 기존의 미끼에 비하여 대략 2-4배 이상의 조과가 보장된다는 매우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참고로, 낚시의 조과는 기후, 시간, 낚시 장소, 채비, 낚시인의 실력 등 여러 다양하고 섬세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임으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미끼와 종래의 미끼를 비교 평가함에 있어서 가능한 한 동일한 조건이 부여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였다.
또한, 낚시용 미끼의 조과에 관련하여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기 어려운 관계로, 본 발명의 미끼를 평가함에 있어서 5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배태랑 낚시인들의 실전 조과와 이들의 평가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음을 밝힌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민물새우의 건조분말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낚시용 미끼는, 집어력이 양호하여 기존의 미끼에 비하여 조과가 우수하고, 특히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에 잔존하는 루시페린을 포함한 생물발광 구성성분의 작용으로 미끼 자체에서 자연발광이 나타남으로 밤낚시에서의 물고기 유인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

Claims (3)

  1. 아열대 지역에서 서식하는 발광민물새우의 건조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낚시용 미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50 내지 80 중량%에 밀가루 20 내지 50 중량%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민물새우 건조분말 60 내지 75 중량%에 밀가루 20 내지 40 중량%, 콩가루 3 내지 10 중량% 및 설탕 2 내지 5 중량%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KR1020010021976A 2001-04-24 2001-04-24 낚시용 미끼 KR20020082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976A KR20020082914A (ko) 2001-04-24 2001-04-24 낚시용 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976A KR20020082914A (ko) 2001-04-24 2001-04-24 낚시용 미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914A true KR20020082914A (ko) 2002-11-01

Family

ID=2770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976A KR20020082914A (ko) 2001-04-24 2001-04-24 낚시용 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29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15A (ko) * 2001-04-24 2002-11-01 김덕수 민물새우 가공식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7757A (ja) * 1989-02-07 1990-08-17 Yoshikazu Furuta 魚用餌及びその製法
KR920002026A (ko) * 1990-07-03 1992-02-28 우형동 유사 지렁이형의 인조미끼 제조방법
KR950026355A (ko) * 1994-03-28 1995-10-16 이태환 연체동물 조어용 낚싯밥
KR970005086A (ko) * 1995-07-31 1997-02-19 차길호 반죽된 떡밥의 제조방법
JPH09299005A (ja) * 1996-05-16 1997-11-25 Kokushiyou:Kk 天然釣り餌用蓄光材含有混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る天然釣り餌
KR20000017760A (ko) * 1999-11-18 2000-04-06 진천규 인조미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7757A (ja) * 1989-02-07 1990-08-17 Yoshikazu Furuta 魚用餌及びその製法
KR920002026A (ko) * 1990-07-03 1992-02-28 우형동 유사 지렁이형의 인조미끼 제조방법
KR950026355A (ko) * 1994-03-28 1995-10-16 이태환 연체동물 조어용 낚싯밥
KR970005086A (ko) * 1995-07-31 1997-02-19 차길호 반죽된 떡밥의 제조방법
JPH09299005A (ja) * 1996-05-16 1997-11-25 Kokushiyou:Kk 天然釣り餌用蓄光材含有混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る天然釣り餌
KR20000017760A (ko) * 1999-11-18 2000-04-06 진천규 인조미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15A (ko) * 2001-04-24 2002-11-01 김덕수 민물새우 가공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35376A (zh) 一种鲤鱼诱鱼粉的配制方法
KR100240814B1 (ko) 낚시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낚시밥
KR20020082914A (ko) 낚시용 미끼
KR100385572B1 (ko) 낚시용 떡밥 및 그 제조방법
CN101579054A (zh) 一种诱捕香鱼的打窝饵
JP2001136913A (ja) 魚類誘引剤と誘引餌の製造法
KR102595317B1 (ko) 감성돔용 낚시 밑밥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217723A (zh) 一种钓鲫鱼打窝饵
KR101566190B1 (ko) 누에 성충 또는 소형 물고기를 이용한 낚시 미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낚시 미끼
CN102823555A (zh) 一种钓鲩鱼饵料的配制方法
KR100693360B1 (ko) 친환경적 낚시 떡밥 조성물
KR20100103905A (ko) 낚시용 기능성 미끼 조성물
JP2004305102A (ja) オキアミ凍結ブロック
CN105875551A (zh) 一种淡水鱼钓饵及制作方法
CZ36926U1 (cs) Nástraha a návnada na ryby
KR0173554B1 (ko) 새우미끼의 제조방법
WO2024083274A1 (en) Lure and bait for fish and its preparation procedure
CN102217725A (zh) 一种淡水白鲳鱼诱鱼剂
KR20230035996A (ko) 홍합을 이용한 낚시용 미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낚시용 미끼
KR20210012196A (ko) 바지락을 주성분으로 하는 낚시용 밑밥 환의 제조 방법
CN101869191A (zh) 一种淡水白鲳鱼钓饵
CN101856069A (zh) 一种钓鳊鱼的饵
CN101584413A (zh) 一种专钓草鱼的打窝饵
CN102217717A (zh) 一种钓淡水白鲳鱼打窝饵
CN102823751A (zh) 一种醉捕龙虾饵的配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