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024A - 슬래그 다트 - Google Patents

슬래그 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024A
KR20020081024A KR1020010045748A KR20010045748A KR20020081024A KR 20020081024 A KR20020081024 A KR 20020081024A KR 1020010045748 A KR1020010045748 A KR 1020010045748A KR 20010045748 A KR20010045748 A KR 20010045748A KR 20020081024 A KR20020081024 A KR 20020081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rt
slag
refractory
hea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408B1 (ko
Inventor
박성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진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진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진공업
Publication of KR2002008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45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9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for retaining slag during the pouring of the metal or retaining metal during the pouring of the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53Tapholes; Opening or plugg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슬래그 다트에서 슬리브의 용손 가능성과 다트 헤드의 부유 가능성을 배제하여 출강 작업시 슬래그가 레이들로 혼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로의 출강시 출강구를 폐쇄하기 위한 내화물 다트 헤드(10)와, 상기 다트 헤드(10)의 내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있으면서 그 상단부가 상기 다트 헤드(10)의 최상면 위로 돌출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다트 헤드(10)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강재 로드와, 용강으로부터 상기 강재 로드를 보호하기 위한 내화물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슬래그 다트에 있어서, 상기 강재 로드는 표면에 다수의 리브가 형성된 이형 철근(12)이고, 상기 내화물 슬리브는 상기 다트 헤드 최하면에 형성된 요홈부로부터 상기 이형 철근(12)의 하단부 끝까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도록 콘크리트형으로 접착 경화된 내화물 샤프트(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형 철근(12)의 직경은 16 ~ 35mm일 수 있고, 상기 내화물 샤프트(14)에 둘러싸여진 이형 철근(12)의 직경이 상기 다트 헤드(10) 최상면위로 돌출한 이형 철근(12)의 직경보다 클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래그 다트는 상기 이형 철근(12)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다트 헤드(10) 내에 매입되는 강재 너트(1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래그 다트{SLAG DART}
본 발명은 전로 출강 작업 중 출강이 종료됨과 동시에 출강구를 폐쇄하여 용강내의 슬래그가 레이들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래그 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용광로에서 제조된 용철을 전로로 옮겨 산소 취련 등의 정련 및 그 외 합금화처리를 행한 후 레이들로 출강하는 일관제철소에서 뿐만 아니라, 고철 등의 철원을 전기로 전로에서 아크열로 용융시켜 정련 및 합금화처리를 행한 후 레이들로 출강하는 전기로업체에서는, 전로로부터 레이들로의 출강 작업시 정련공정에서 발생하여 용강의 상부면에 비중 차이로 존재하는 슬래그(slag)를 용강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출강 작업의 성패는 레이들로 혼입되는 슬래그의 양을 얼마나 최소화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지금까지 이와 같이 슬래그를 용강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출강 작업시 용강(비중: 7.8)과 슬래그(비중: 2.2 - 2.8)의 중간 비중인 대략 3 ~ 5의 비중을 갖는 제 3 매개물을 출강 작업 종료시에 전로내로 도입하여 슬래그가 용강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왔는데 이러한 제 3 매개물을 슬래그 다트(dart)라 한다.
현재까지 제안되어 온 여러가지 형태의 슬래그 다트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0-5565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립형의 슬래그 다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슬래그 다트는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상하로 연장하는 다수의 홈(5)이 형성되고 내화물로 제조된 속이 채워진 깔대기 형상의 다트 헤드(1)와, 상기 다트 헤드(1) 아래에 결합되어 전로의 출강구에 삽입되는 다수의 슬리브 유닛(3a, 3b, 3c, 3d 및 3e)가 도면 번호 6과 같이 돌출부와 요홈부를 갖도록 끼워져 이루어지는 슬리브(3)와, 상기 슬리브(3)와 다트 헤드(1)를 일체화하도록 관통하여 설치되는 길다란 로드(2)와, 상기 다트 헤드(1)가 상기 로드(2)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드(2)에 용접된 와셔(4) 및 상기 슬리브(3) 상하에서 보지하고 상기 로드(2)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드(2)에 용접된 상하 와셔(4', 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다트 헤드(1)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드(2)와 로드 주위를 에워싸도록 끼워진 내화물 슬리브(3)는 출강 작업시 출강구내로 삽입되어 출강시 발생하는 보텍스(vortex) 등에 의해 상기 다트 헤드(1)가 출강구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슬래그 다트는 다수개의 슬리브 유닛(3a, 3b, 3c, 3d 및 3e)을 파이프 내지 튜브 형상으로 별도로 가압 사출 성형한 뒤 상기 슬리브 유닛(3a, 3b, 3c, 3d 및 3e)들을 상기 다트 헤드 하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로드(2)에 끼워서 제조하기 때문에, 슬리브(3)와 로드(2)에 긴밀한 접촉을 기대할 수 없고 그 사이에 일정한 공극(7)이 존재하므로 상기 슬리브(3)가 로드(2)를 타고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3) 최하단부 직하에 별도의 와셔(4')를 로드(2)에 용접하여야 했다. 또한, 상기 슬리브 유닛(3a, 3b, 3c, 3d 및 3e)을 파이프나 튜브 형상으로 미리 가압 사출 성형하기 위해서는 내화물의 성형성 때문에 불가피하게 점도가 낮아서 최고 내화도가 약 1600 ~ 1650℃ 정도밖에 되지 않는 내화물 조성이 이용되어야만 했다. 이러한 슬리브(3) 및 로드(2)를 갖는 슬래그 다트가 약 1750℃에 이르는 용강내에 투입되는 경우, 슬리브(3) 최하단에 용접된 와셔(두께는 약 ~ 2mm)(4')는 순식간에 용융되고 로드(2)와 슬리브(3) 사이의 공극(7)을 통해 용강이 유입되어 로드(2)를 용융시킬 뿐만 아니라 슬리브 최상단에 용접된 와셔(4") 및 상기 와셔(4") 부근의 강재 로드도 역시 슬리브(3)와 다트 헤드(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고온의 용강에 의해 용융되고, 이와 아울러 슬리브(3)도 열악한 내화도를 갖기 때문에 심각한 용손을 겪게 되어 다트 헤드(1) 아래의 로드(2) 및 슬리브(3)가 다트 헤드로부터 용융 분리되므로, 출강시 다트 헤드(1)가 보텍스(vortex) 등에 의해 출강구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빈번하였다. 아울러, 상기 슬리브 유닛(3a, 3b,3c, 3d 및 3e)들은 각각 상하단부에 서로 대응하는 돌출홈 및 요홈부를 형성한 후 그 표면에 모르타르를 발라 서로 접착시켜 왔는데, 이러한 결합 구조가 슬리브의 용손을 가속시켰다.
또한, 상기 다트 헤드(1) 최상면부의 로드(2)에 용접되는 와셔(4) 역시 용강의 고온에서 용융되어 버리므로 다트 헤드와 다트 슬리브가 분리되어 출강시 출강구 주변에서 발생하는 보텍스 등에 의해 상기 다트 헤드가 출강구를 벗어나, 출강구를 최적 시점에서 폐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강재 로드에 끼워지는 내화물 슬리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사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불가피하게 점도와 내화도가 낮은 내화물이 사용되었는바, 이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 원하는 다트의 비중(3.1 ~ 3.3)을 얻기 위해 다트 헤드 부분의 내화물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고가의 돌로마이트(dolomite)계 내화물이 선택되어야 했다. 그러나, 이 경우 윗 부분인 다트 헤드의 비중이 아랫 부분인 슬리브의 비중보다 커서 다트 헤드와 슬리브 사이의 비중 균형이 이뤄지지 않아, 출강시 출강구 주변에서 발생하는 보텍스나 전로의 경동각도 등에 의해 슬리부가 출강구를 벗어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또한, 고가의 돌로마이트계 내화물을 사용하는 관계로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현재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종래 슬래그 다트의 10 ~ 15%가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또한, 종래 다트 헤드(1)는 다트 헤드의 비중을 슬래그보다 높게 유지하기위해 산화철(Fe2O3)을 과도하게 높게 (약 20% 이상까지) 함유시키기 때문에 다른 내화물 성분과의 결합력을 떨어뜨려 쉽게 파손이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다트 헤드(1)가 열악한 내화도 (약 1600 ~ 1650℃)를 갖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슬래그 다트가 갖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슬래그 다트의 구조를 제공하여 용강에 의한 이의 용손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래그 다트가 출강 작업시 출강구를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래그 다트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강에 의한 슬래그 다트의 용손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리브 및 다트 헤드의 내화물 조성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래그 다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 슬래그 다트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다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다트의 A-A선 단면도와 샤프트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다트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전로의 출강시 출강구를 폐쇄하기 위한 내화물 다트 헤드(10)와, 상기 다트 헤드(10)의 내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있으면서 그 상단부가 상기 다트 헤드(10)의 최상면 위로 돌출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다트 헤드(10)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강재 로드와, 용강으로부터 상기 강재 로드를 보호하기 위한 내화물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슬래그 다트에 있어서, 상기 강재 로드는 표면에 다수의 리브가 형성된 이형 철근(12)이고, 상기 내화물 슬리브는 상기 다트 헤드 최하면에 형성된 요홈부로부터 상기 이형 철근(12)의 하단부 끝까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도록 콘크리트형으로 접착 경화된 내화물 샤프트(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형 철근(12)의 직경은 16 ~ 3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내화물 샤프트(14)에 둘러싸여진 이형 철근(12)의 직경이 상기 다트 헤드(10) 최상면위로 돌출한 이형 철근(12)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래그 다트는 상기 이형 철근(12)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다트 헤드(10) 내에 매입되는 강재 너트(1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트 헤드 및 내화물 샤프트는 MgO: 40 ~ 80 중량%, Al2O3: 15 ~ 40 중량%, SiO2: 10 중량% 이하, CaO: 10 중량% 이하, Fe2O3: 3 중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내화물 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명자는 강재 로드와 슬리브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거나 슬래그 다트의 상하단부에서 용강에 노출되는 것을 막고 종래 슬래그 다트의 윗 부분과 아랫 부분이 갖는 비중의 불균형을 막기 위해 연구한 끝에 본 발명에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다트의 평면도를 보인 도 3과, 상기 도 3의 A-A선 단면도와 샤프트의 일부 확대도를 보인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중 하나는 슬래그 다트 중앙에 삽입되는 로드를 표면에 다수의 리브가 형성된 이형 철근(12)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다트 헤드(10) 하방으로연장하는 이형 철근(12)을 용강의 고온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다트 헤드(10)의 최하면 요홈부로부터 상기 이형 철근(12)의 하단부까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도록 콘크리트형으로 접착 경화된 샤프트(14)를 제공하는 것이다(종래 내화물 슬리브(3)와의 구별을 위해 내화물 샤프트(14)로 나타냄). 상기 이형 철근은 외표면에 다수의 리브를 갖기 때문에 콘크리트형으로 경화된 내화물 샤프트(14)와의 사이에 공극없이 긴밀하게 접착되어 있고, 상기 내화물 샤프트(14)는 다트 헤드(10)의 최하면 요홈부로부터 상기 이형 철근(12)의 하단부까지를 둘러싸도록 콘크리트형으로 접착 경화되므로 고온의 용강이 이형 철근(12)의 하단부로부터 유입되어 이형 철근(12)을 용손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종래 슬래그 다트에서는 다수의 슬리브 유닛으로 미리 사출 성형해야 하므로 성형성 때문에 불가피하게 점도가 낮고 내화도가 낮은 내화물 조성이 사용되어야만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내화물 분말을 물과 반죽하여 콘크리트형으로 경화시키는 까닭에 점도가 높고 내화도가 높은 (1790℃ 이상) 내화물 조성이 사용되므로, 내화물 샤프트(14)의 용손 가능성은 더욱 줄어든다.
또한, 전로내로의 슬래그 다트 투입시 투입기의 집게를 이용하는데, 종래 슬래그 다트에서는 강제 로드의 표면이 미려한 관계로 강제 로드가 투입기 집게에서 미끄러져 이탈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다트에서는 강제 로드로 표면에 다수의 리브가 형성된 이형 철근(12)이 사용되므로 투입기 집게와의 결착 상태에서 미끄러질 가능성이 적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슬래그 다트의 비중이 다트 헤드(10) 하방으로 연장되는 이형 철근(12)의 직경 및 길이에 의해 의존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상기 이형 철근(12)의 직경은 16 ~ 35mm가 바람직한데, 직경이 16mm 미만이면 너무 중량이 가벼워져 다트 헤드(10) 하방에서 슬래그 다트의 비중을 제어하기 곤란하고, 직경이 35mm를 초과하면 너무 중량이 무거워져 역시 슬래그 다트의 비중을 제어하기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트 헤드(10)와 내화물 샤프트(14)에 소요되는 내화물의 양을 산출한 후, 요구되는 비중을 상기 이형 철근(12)의 직경과 길이를 조정하여 얻어낸다.
이때, 또한 상기 내화물 샤프트(14)에 둘러싸여진 이형 철근(12)의 직경이 상기 다트 헤드(10) 최상면위로 돌출한 이형 철근(12)의 직경보다 큰 것이 좋다. 즉, 아랫 부분(샤프트(14) 부분)에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의 이형 철근(12)을 사용하고 윗 부분에 상대적으로 가는 직경의 이형 철근(12)으로 사용하여 이를 용접 등으로 연결한 후 그 용접 부위를 덮도록 다트 헤드(10)나 샤프트(14)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일예로 윗 부분으로 직경 16mm의 이형철근을, 아랫 부분을 직경 35mm의 이형철근으로 구성한 후, 이를 용접하고 이 용접 부위를 덮도록 샤프트(14)를 형성하고, 그 위에 다트 헤드(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투입기의 집게가 설사 직경 16mm의 강재 로드 상단부를 집을 수 있도록 맞춰져 있더라도 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랫 부분(샤프트(14) 부분)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출강구내에 샤프트(14)가 삽입된 이 후, 보텍스 등에 의해 다트 헤드(10)가 이탈하지 않고, 오뚜기처럼 서 있는 채로 출강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이렇게 아랫 부분과 윗 부분에서 이형 철근(12)의 직경을 다르게 하지 않아도, 샤프트(14)내에 있는 이형 철근(12)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아랫 부분(샤프트(14) 부분)의 비중이 커져서 전술한 효과를 그대로 가져올 수도 있다(가능한 샤프트(14)의 길이의 한 예는 1500 ~ 1600mm가 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다트 헤드(10)의 비중보다 샤프트(14)의 비중이 커서 샤프트(14)가 출강구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없으므로, 출강구에서 발생하는 보텍스나 전로의 경동각도 등에 의해 다트 헤드(10)가 출강구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트 헤드(10)가 그 비중 때문에 용강으로부터 상방으로 부유하여 지지체인 이형 철근(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다트 헤드(10)의 최상면 중앙에 상기 이형 철근(12)을 에워싸도록 요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홈부내에 강재 너트(16)를 끼워 상기 이형 철근(12)에 용접결합시키고, 상기 강재 너트(16)가 다트 헤드(10) 내에 매입되도록 추가로 내화물을 충진하여 가압 성형하므로 상기 강재 너트(16)가 용강 또는 슬래그의 고온으로부터 용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다트가 용강내에 투입되어 이형 철근(12)의 상단 돌출부가 용강의 고온에 용융되더라도 다트 헤드(10)가 비중 차이 때문에 하부의 이형 철근(12)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없어진다. 또한, 종래 슬래그 다트에서는 두께 2mm 이하의 와셔가 상하부에 사용되었던 까닭에 용손의 위험이 더 컸으나, 본 발명에서는 두께 15mm 이상의 강재 너트가 사용되어 용접 깊이가 깊어지기 때문에 다트 헤드(10) 최상면의 내화물이 용손되어 강재 너트(16)가 슬래그나 용강과 접촉하더라도 강재 너트(16)의 용손 가능성은 그만큼 줄어든다. 상기 강재 너트(16)는 다른 방법으로도 상기 다트 헤드(10)내에 매입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방법이 채용되든 강재 너트(16)가 상기 이형 철근(12)에 용접 결합되어다트 헤드(10)내에 매입되는 경우, 종래 슬래그 다트에서와 달리 강재 너트(16)의 용손에 의한 다트 헤드(10)의 부유 가능성은 현저히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의 조성은 1750℃ 이상의 내화도를 보일 수 있는 조성이면 충분하지만 그 바람직한 조성범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샤프트 및 다트 헤드의 내화물 조성에서 산화철(Fe2O3) 함량을 3 중량% 이하로 제한하므로 다른 내화물 분말들과의 우수한 결합력을 담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다트 헤드의 내화도를 높일 수 있어서 다트 헤드의 용손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다트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MgO: 40 ~ 80 중량%, Al2O3: 15 ~ 40 중량%, SiO2: 2 ~ 7 중량%, CaO: 5 ~ 9 중량%, Fe2O3: 3 중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내화물 조성을 갖는 내화물 분말을 가압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므로 우수한 내화도 및 압축강도를 가져서 다트 헤드의 용손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MgO: 40 ~ 80 중량%, Al2O3: 15 ~ 40 중량%, SiO2: 10 중량% 이하, CaO: 10 중량% 이하, Fe2O3: 3 중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내화물 조성을 갖는 내화물 분말을 물에 반죽하여 상기 철근 주위에 압축 성형하여 콘크리트형으로 경화시키므로 이형 철근과의 우수한 접착력과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화도 및 압축강도를 가지므로 샤프트 및 이형 철근의 용손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중, 강도 및 내화도를 얻기 위한 최적의 조성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은데, 특히, MgO은 성형된 내화물체의 강도 및 비중에 영향을 주는데, 3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비중이 떨어지고 6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강도가 떨어지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정해진다. 아울러, Al2O3는 성형된 내화물체의 결합력과 비중에 영향을 주는데, 15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결합력이 떨어지고 4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비중이 떨어지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정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Fe2O3는 내화물 분말간의 결합력을 떨어뜨려 용손 가능성을 높이므로 가능한 한 배제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양을 3 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SiO2및 CaO의 경우 각각 10 중량%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체의 결합력, 비중 또는 내화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다트가 전로의 출강 종료 시점에 출강구 위로 투입되는 경우,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는 다트는 전로(100) 내의 슬래그(30)와 용강(40)의 중간 비중을 가지므로 그 중간에 위치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다트의 샤프트(14) 및 이형철근(12)은 용강(40)의 고온으로부터 용손되지 않으므로 출강 작업시 생기는 보텍스 등에 의해 다트 헤드(10)가 출강구를 벗어나는 일이 없이 오뚜기처럼 서 있다가, 최적 시점에 출강구를 폐쇄한다. 또한, 다트 헤드(10) 상부의 내화물 보호부(18)가 그 안에 용접 결합된 강재 너트(16)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므로 상기 강재 너트(16)가 용손되어 다트 헤드(10)가 이형 철근(12)으로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문제시되어 왔던 슬래그 다트 슬리브의 용손 및 다트 헤드의 부유를 배제할 수 있어서 출강 작업시 슬래그가 레이들의 용강내로 혼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6)

  1. 전로의 출강시 출강구를 폐쇄하기 위한 내화물 다트 헤드(10)와, 상기 다트 헤드(10)의 내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있으면서 그 상단부가 상기 다트 헤드(10)의 최상면 위로 돌출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다트 헤드(10)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강재 로드와, 용강으로부터 상기 강재 로드를 보호하기 위한 내화물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슬래그 다트에 있어서, 상기 강재 로드는 표면에 다수의 리브가 형성된 이형 철근(12)이고, 상기 내화물 슬리브는 상기 다트 헤드 최하면에 형성된 요홈부로부터 상기 이형 철근(12)의 하단부 끝까지를 일체형으로 둘러싸도록 콘크리트형으로 접착 경화된 내화물 샤프트(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철근(12)의 직경은 16 ~ 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 샤프트(14)에 둘러싸여진 이형 철근(12)의 직경이 상기 다트 헤드(10) 최상면위로 돌출한 이형 철근(12)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다트의 비중이 상기 이형 철근(12)의 직경 및 길이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다트는 상기 이형 철근(12)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다트 헤드(10) 내에 매입되는 강재 너트(1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트 헤드 및/또는 내화물 샤프트는 MgO: 40 ~ 80 중량%, Al2O3: 15 ~ 40 중량%, SiO2: 10 중량% 이하, CaO: 10 중량% 이하, Fe2O3: 3 중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내화물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
KR10-2001-0045748A 2001-04-17 2001-07-28 슬래그 다트 KR100429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468 2001-04-17
KR1020010020468 2001-04-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979U Division KR200251257Y1 (ko) 2001-04-17 2001-07-28 슬래그 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024A true KR20020081024A (ko) 2002-10-26
KR100429408B1 KR100429408B1 (ko) 2004-04-29

Family

ID=197083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748A KR100429408B1 (ko) 2001-04-17 2001-07-28 슬래그 다트
KR2020010022979U KR200251257Y1 (ko) 2001-04-17 2001-07-28 슬래그 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979U KR200251257Y1 (ko) 2001-04-17 2001-07-28 슬래그 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0429408B1 (ko)
CN (1) CN119137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820B1 (ko) * 2002-07-15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다트
KR200453673Y1 (ko) * 2010-10-27 2011-05-19 채성우 슬래그 다트
KR200462457Y1 (ko) 2010-11-08 2012-09-11 채성우 슬래그 다트
KR200457423Y1 (ko) 2011-01-25 2011-12-20 채성우 슬래그 다트
KR101264640B1 (ko) * 2011-08-02 2013-05-27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차단 다트
KR101441968B1 (ko) * 2013-04-25 2014-09-24 포항세라믹(주) 슬래그 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1378C (zh) 2005-03-02
KR200251257Y1 (ko) 2001-11-22
KR100429408B1 (ko) 2004-04-29
CN1381594A (zh) 200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408B1 (ko) 슬래그 다트
JPWO2003086684A1 (ja) 連続鋳造用ノズル内孔用耐火物製スリーブの接合構造
KR200238013Y1 (ko) 슬래그 다트
EP0434421B1 (en) Protective layer for linings in metallurgical furnaces and the like
KR870009965A (ko) 슬라이드 게이트용 내화 성형체
US5858260A (en) Molten metal pouring container and prefabricated sleeve for fixing a nozzle in a container of this kind
CA1143921A (en) Gate valve arrangement for the tap-hole of containers for metal melts
KR200457423Y1 (ko) 슬래그 다트
KR100418753B1 (ko)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KR101678890B1 (ko) 콜로이달 실리카를 포함하는 슬래그 다트
US2631836A (en) Refractory lining
JPH08175878A (ja) アルミナ・マグネシア質流し込み材
KR101678158B1 (ko) 슬래그 다트
US5018709A (en) Making a taphole
KR100307713B1 (ko) 분액용 내화구조체와 그 내화구조체의 조성물
JP2005113192A (ja) 転炉内スラグの流出防止具
US4696456A (en) Method of improving permeability of metallurgical vessels, and material for implementing the same
JPS62263915A (ja) 溶融金属処理用ガス吹込みランス
JPH09278556A (ja) 目地用成形体
KR100815767B1 (ko) 전로 출강구의 슬리브 보강장치
KR100816850B1 (ko) 전로용 보강구
JPH03104812A (ja) 転炉出鋼口補修方法
KR20160063173A (ko) 전기 유도로용 내화물 도가니
KR101087203B1 (ko) 폐내화물을 이용한 래들 영구장용 캐스타블
JPH0565469B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