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0187A - 구근류 채굴장치 - Google Patents

구근류 채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0187A
KR20020080187A KR1020010019603A KR20010019603A KR20020080187A KR 20020080187 A KR20020080187 A KR 20020080187A KR 1020010019603 A KR1020010019603 A KR 1020010019603A KR 20010019603 A KR20010019603 A KR 20010019603A KR 20020080187 A KR20020080187 A KR 20020080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isposed
bulbous
mining devic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701B1 (ko
Inventor
윤태욱
Original Assignee
윤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욱 filed Critical 윤태욱
Priority to KR10-2001-001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7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8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08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haker type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근류 채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지중에 삽입되는 삽날부와;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측에 이동방향에 가로로 상호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회전축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측에 제1 및 제2회전축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스프로킷휠과; 상기 스프로킷휠의 피치에 대응되게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부를 구비한 무한궤도형상을 가지고 대상물이 흙과 분리되어 후방 상부 영역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제토컨베이어와;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채굴된 상기 대상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과; 상기 제토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제토컨베이어구동수단과; 무한궤도를 따라 주행가능하도록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토컨베이어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대상물이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상면을 따라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낙하방지부재와; 상기 낙하방지부재가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주행되도록 하는 낙하방지부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지중에 있는 대상물을 채굴 및 수집이 연속적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근류 채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구근류 채굴장치{DIGGING APPARATUS FOR BULBOUS PLANTS}
본 발명은, 구근류 채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있는 대상물의 채굴 및 수집이 연속적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근류 채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자, 고구마, 당근, 인삼 또는 양파 등의 구근의 채굴에 있어, 종래에는 호미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구근을 채굴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구근을 지중으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채굴할 수 있도록 한 구근류 채굴장치들이 고안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0130581호, “트랙터를 이용한 구근 채굴기”가 본 출원인의 명의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 구근류 채굴장치는, 지중에 있는 구근의 채굴을 위해 선단영역에 지중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삽날부와, 삽날부의 후방영역에 삽날부에 의해 채굴된 흙 및 구근을 후방의 지상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컨베이어는 삽날부에 의해 제공된 구근을 흙으로부터 분리이송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를 가지는 무한궤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방향을 따라 삽날부에 인접된 영역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근류 채굴장치는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의 후방영역에 결합되어 견인차량이 전진함에 따라 삽날부가 지중으로 소정 깊이로 경사지게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흙 및 구근이 삽날부에 의해 후방영역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송된 흙 및 구근은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이송컨베이어상에 재치되고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흙 등의 이물질은 로드부사이의 공간을 통해 지상으로 낙하하게 되고 구근은 후방 영역으로 이송되어 채굴장치의 양측으로 낙하하여 진행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근류 채굴장치에 있어서는, 채굴된 흙 및 구근이 단순히 이송컨베이어상에 재치되어 흙은 지상으로 낙하하고 구근은 후방영역으로 이동되어 채굴장치의 주행방향을 따라 양 측의 밭고랑 등에 낙하하여 정렬되도록 되어 있어, 밭고랑에 낙하된 구근을 상자 또는 포대에 담아 저장고 등과 같은 수집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많은 인원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구근류 채굴장치에 있어서는, 트랙터 등과 같은 견인차량의 후방에 결합되어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하중이 큰 견인차량이 수확될 구근의 상측을 통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견인차량의 바퀴가 밭고랑위를 통과하도록 해야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견인차량의 방향을 전환하기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의 대상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채굴 및 수집할 수 있는 구근류 채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근류 채굴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구근류 채굴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로프영역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1회전축의 단부영역의 Ⅳ-Ⅳ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2의 회동가이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측면도,
도 7은 도 2의 Ⅶ-Ⅶ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근류 채굴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구근류 채굴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근류 채굴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구근류 채굴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측부프레임 113 : 스톱퍼
121 : 삽날부123 : 회동가이드
125 : 제1회전축126,128,167 : 스프로킷휠
131 : 제토컨베이어135 : 포대지지부
138 : 상부가이드부재139 : 측면가이드부재
141 : 제토컨베이어구동부142,171 : 피동풀리
143,169 : 구동풀리147 : 감속장치
149 : 제3회전축150 : 제4회전축
153,155 : 롤러161 : 낙하방지부재
162 : 축지지부163 : 스프링부재
166 : 제5회전축180 : 낙하방지부재구동부
181 : 로프182 : 지지로드
183 : 로프공184 : 암나사부
185 : 조절볼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이동시 지중으로 소정 깊이로 경사지게 삽입되는 삽날부와;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측에 이동방향에 가로로 상호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회전축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측에 제1 및 제2회전축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스프로킷휠과; 상기 스프로킷휠의 피치에 대응되게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부를 구비한 무한궤도형상을 가지고 상기 삽날부로부터 제공된 대상물이 흙과 분리되어 후방 상부 영역으로 선별이송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지게 상기 스프로킷휠에 결합되는 제토컨베이어와;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채굴된 상기 대상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과; 상기 제토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제토컨베이어구동수단과; 일단은 무한궤도상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상측에 인접되고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상호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토컨베이어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대상물이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상면을 따라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낙하방지부재와; 상기 낙하방지부재가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주행되도록 하는 낙하방지부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낙하방지부재구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각 상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는 제3 및 제4회전축과, 상기 제3 및 제4회전축의 양단부영역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롤러구동수단과, 상기 제3 및 제4회전축에 각각 결합된 롤러의 둘레를 주행가능하게 폐루프를 이루고 상기 낙하방지부재가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로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구동수단은,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로드부에 맞물림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동스프로킷휠과, 상기 전동스프로킷휠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대응되게 상기 제3 및 제4회전축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상기 피동풀리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낙하방지부재와 상기 로프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낙하방지부재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낙하방지부재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로프의 주행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며 양 단부영역에 상기 로프가 통과할 수 있도록 로프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로드와, 상기 로프공을 통과한 로프에 대해 상기 낙하방지부재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로드의 양단부에 축심을 따라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양 측부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전방영역에는 견인차량의 후방영역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집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대향측에 상기 제토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대상물이 수집되는 포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포대지지부를 포함하는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측부프레임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토컨베이어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대상물이 상기 제토컨베이어로부터 상기 포대지지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토컨베이어구동수단은 소정의 감속비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견인차량의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출력단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감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제토컨베이어구동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견인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유압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시키는 유압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삽날부가 지중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대상물이 채굴될 수 있도록 상기 삽날부의 대향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프레임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차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차량부와 상기 측부프레임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차량부에 대해 상기 측부프레임를 승강시키는 측부프레임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부의 상측에 일단은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후방 하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부의 후방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토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된 대상물을 후방영역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수집수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말단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이 수집되는 포대를 지지하는 포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대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대상물이 수집된 포대를 승강시키는 포대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포대승강수단은 유압크레인 및 유압리프트중 어느 하나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말단영역에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을 상기 차량부의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수집수단은 상기 좌우이송컨베이어의 말단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좌우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을 수집하는 포대를 지지하는 포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근류 채굴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근류 채굴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로프영역의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1회전축의 단부영역의 Ⅳ-Ⅳ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회동가이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측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Ⅶ-Ⅶ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근류 채굴장치는,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동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111)과, 측부프레임(111)의 전방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삽날부(121)와, 이동방향에 가로로 양 단부영역이 측부프레임(111)에 각각 회전지지되는 제1회전축(125) 및 제2회전축(127)과, 제1회전축(125) 및 제2회전축(127)에 각각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스프로킷휠(126,128)과, 스프로킷휠의 피치에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132a)를 가지고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채굴된 대상물이 흙과 분리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제토컨베이어(131)와, 제토컨베이어(131)를 구동시키는 제토컨베이어구동부(141)와, 제토컨베이어(13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토컨베이어(13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무한궤도를 따라 주행하면서 제토컨베이어(131)상에 재치된 대상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낙하방지부재(161)와, 낙하방지부재(161)를 구동시키는 낙하방지부재구동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측부프레임(111)은 판상부재로 형성되어 이동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대향배치되어 있으며, 전면 하부영역에는 지중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구근을 채굴할 수 있도록 삽날부(121)가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다. 삽날부(121)의 후방에는 이동방향에 가로로 배치된 회동축(124)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삽날부(121)로부터 제공된 대상물을 제토컨베이어(131)의 상측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회동가이드(123)가 구비되어 있다.
측부프레임(111)의 전면 상부영역에는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될 수 있도록 도시 않은 조인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하부영역에는 지표면에 접촉되어 삽날부(121)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스톱퍼(113)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스톱퍼(113)의 일단은 측부프레임(111)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측부프레임(111)에 대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볼트공(115)이 형성된 높이조절부재(114)의 하단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측부프레임(111)의 후방 상부영역 및 전방 하부영역에는 이동방향에 가로로 제1회전축(125) 및 제2회전축(127)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각 회전축에는 소정의 피치를 가지는 치형부가 형성된 복수 쌍의 스프로킷휠(126,128)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각 쌍을 이루는 스프로킷휠(126,128)에는 제1 및 제2회전축(125,127)과 평행하고 이동방향을 따라 스프로킷휠의 피치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132a)를 가지고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삽날부(121)로부터 제공되는 대상물로부터 흙을 제거하는 제토(除土)컨베이어(131)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토컨베이어(131)의 각 로드부(132a)의 양 단부영역에는 상호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연결고리부(13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토컨베이어(131)의 하측에는 제토컨베이어(1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롤러(133)가 구름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토컨베이어(131)의 후방영역에는 채굴된 대상물을 수집하는 포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포대지지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포대지지부(135)는 포대의 하측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저면지지부(136a)와, 저면지지부(136a)의 상면에 기립배치되는 측부지지부(136b)를 구비하고 있으며, 저면지지부(136a)의 후방 저부영역에는 복수의 캐스터(136c)가 결합되어 있다.
포대지지부(135)의 상측에는 제토컨베이어(131)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이 포대의 내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상부가이드부재(138) 및 양 측면가이드부재(139)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측부프레임(111)의 일측에는 제토컨베이어(13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토컨베이어구동부(1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토컨베이어구동부(141)는 제1회전축(125)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풀리(142)와, 측부프레임(111)의 전방영역에 피동풀리(142)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구동풀리(143)와, 구동풀리(143) 및 피동풀리(142)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동벨트(145)와, 소정의 감속비를 가지고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의 출력단(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풀리(143)의 회전축(144)을 회전구동시키는 감속장치(14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및 제2회전축(125,127)의 상측에는 이들과 나란하게 제3 및 제4회전축(149,150)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제3 및 제4회전축(149,150)에는 각 측부프레임(111)의 내측에 배치되며 이들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각 한 쌍의 롤러(153,155)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각 롤러(153,155)의 일측에는 로프(18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플랜지(154,156))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된 각 한 쌍의 롤러(153,155)에는 루프형상을 가지는 로프(181)가 결합되어 있다. 로프(181)는 스틸 와이어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프(181)의 양 단부영역은 상호 중첩되어 분리가능하게 고정결합되어 있다.
각 로프(181)에는 둘레방향에 가로로 복수의 지지로드(182)가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어 있으며, 각 지지로드(182)의 양 단부영역에는 로프(181)가 통과할 수 있도록 로프공(18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로드(182)의 양단부에는 축심을 따라 암나사부(184)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암나사부(184)에는 로프공(183)의 내부에 수용된 로프(181)에 대해 각 지지로드(182)가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로드(18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볼트(185)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각 지지로드(182)에는 로프(181)로부터 돌출되고 제토컨베이어(131)의 상측에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제토컨베이어(131)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대상물이 하측으로 제토컨베이어(131)의 상면을 따라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낙하방지부재(161)가 일체로 고정결합되어 있다.
제4회전축(150)의 양 단부영역에는 측부프레임(111)에 대해 전후방향을 따라 상대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4회전축(150)을 지지하는 축지지부(162)가 결합되어 있으며, 축지지부(162)의 일측에는 제4회전축(150)이 제3회전축(149)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축지지부(162)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부재(163)가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부재(163)의 축심에는 스프링부재(163)의 신축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로드(164)가 구비되어 있으며, 조절로드(164)의 일단에는 조절너트(165)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부재(163)는 지지로드(182)가 롤러(153,155)에 접촉될 경우 압축되고 롤러(153,155)와 로프(181)가 접촉될 경우에는 신장되면서 롤러(153,155)와 로프(181)가 적절한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지로드(182)와 제토컨베이어(131)사이의 간격보다 큰 대상과 지지로드(182) 또는 낙하방지부재(161)가 상호 접촉될 경우 부품의 손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3회전축(149)의 하측에는 제5회전축(166)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5회전축(166)에는 제토컨베이어(131)의 하측에서 제토컨베이어(131)와 맞물림되어 회전가능하게 복수의 스프로킷휠(167)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낙하방지부재구동부(180)는, 제5회전축(166)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풀리(169)와, 구동풀리(169)에 대응되게 제3회전축(149)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풀리(171)와, 구동풀리(169) 및 피동풀리(171)가 상호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전동벨트(17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시 않은 조인트로 결합부(112)를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에 연결하고, 감속장치(147)를 견인차량의 출력단에 벨트 등으로 연결한다. 다음, 견인차량이 주행을 개시하게 되면 삽날부(121)가 지중으로 소정 깊이로 삽입되면서 채굴이 개시된다.
삽날부(121)는 전방영역이 채굴 대상물의 하측에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채굴 대상물은 주변의 흙과 함께 후방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삽날부(121)의 후방에 배치된 회동가이드(123)에 의해 제토컨베이어(131)의 상측으로 안내된다.
한편, 견인차량의 출력단에 벨트에 의해 연결된 감속장치(147)는 소정의 감속비를 가지고 출력단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출력하고, 이에 의해 감속장치(147)의 출력단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구동풀리의 회전축(144)이 회전하게 된다.
견인차량으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은 구동풀리(143), 전동벨트(145) 및 피동풀리(142)를 통해 제1회전축(125)에 전달되고, 제1회전축(125)이 회전됨에 따라 제1회전축(125)에 일체로 결합된 스프로킷휠(126) 및 스프로킷휠(126)에 맞물림된 제토컨베이어(131)가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구동된다.
제토컨베이어(131)가 주행을 개시하게 되면 제토컨베이어(131)의 배치된 제5회전축(166)에 결합된 스프로킷휠은 제토컨베이어(131)에 의해 반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제5회전축(166)의 회전력은 구동풀리(169), 전동벨트(173) 및 피동풀리(171)에 의해 제3회전축(149)에 전달되고, 제3회전축(149)이 회전함에 따라 제3회전축(149)에 일체로 결합된 로프(181)가 회전 주행을 개시하게 된다.
한편, 회동가이드(123)에 의해 제토컨베이어(131)의 상측으로 제공된 흙은 제토컨베이어(131)를 타고 후방영역으로 이동하면서 로드부(132a)사이의 틈새를 통해 지표면으로 낙하하여 제거되고, 대상물은 제토컨베이어(131)상에 재치된 상태로 후방영역으로 이송된다.
이 때, 로프(181)에 결합된 낙하방지부재(161)는 끝단이 제토컨베이어(131)의 상면에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제토컨베이어(131)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대상물이 제토컨베이어(131)의 상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낙하방지부재(161)에 의해 지지되어 제토컨베이어(131)의 말단영역으로 이송된 대상물은 상부가이드부재(138) 및 하부가이드부재(139)에 의해 안내되어포대지지부(135)에 지지된 포대(미도시)의 내부로 낙하되어 수집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근류 채굴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구근류 채굴장치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근류 채굴장치는, 지중에 있는 대상물의 채굴을 위한 채굴유니트(100)와, 채굴유니트(100)의 이동 및 구동을 위한 차량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채굴유니트(10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111)과, 측부프레임(111)의 전방 하부영역에 이동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는 삽날부(121)와, 삽날부(121)로부터 대상물과 함께 제공된 흙을 제거하여 대상물을 후방영역으로 이송시키는 제토컨베이어(131)와, 제토컨베이어(131)의 상측에 배치되어 대상물이 제토컨베이어(131)의 상면을 따라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낙하방지부재(161)를 구비하고 있다.
측부프레임(111)의 전방 하부영역에는 채굴을 위한 삽날부(121) 및 채굴된 대상물이 제토컨베이어(131)의 상면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복수의 회동가이드(123)가 마련되어 있다.
측부프레임(111)에는 제1 및 제2회전축(125,127)이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회전축(125,127)에는 복수의 스프로킷휠(126,128)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 쌍의 스프로킷휠(126,128)에는 복수의 로드부(132a)를 가지는한 쌍의 제토컨베이어(131)가 둘레방향을 따라 각각 주행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각 제토컨베이어(131)의 하측에는 제토컨베이어(131)와 구름접촉되어 제토컨베이어(1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롤러(133)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및 제2회전축(125,127)의 각 상측에는 제3 및 제4회전축(149,150)이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제3 및 제4회전축(149,150)에는 각 한 쌍의 롤러(153,155)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롤러(153,155)에는 스틸 와이어 등으로 루프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로프(181)가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로프(181)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지지로드(182)가 조절볼트(185)에 의해 간격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각 지지로드(182)에는 낙하방지부재(161)가 돌출되도록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제1회전축(125)의 하측에는 제5회전축(166)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5회전축(166)에는 제토컨베이어(131)의 하측에서 맞물림되어 회전가능하게 복수의 스프로킷휠(167)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제5회전축(166)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풀리(169)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3회전축(149)에는 피동풀리(171)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구동풀리(169) 및 피동풀리(171)에는 이들이 상호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전동벨트(173)가 결합되어 있다.
제1회전축(125)의 일측에는 제토컨베이어(131)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129)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여기서 모터(129)는 차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게 유압모터로 형성되어 있다.
측부프레임(111)의 양 측에는 차량부(200)에 대해 채굴유니트(100)를 승강구동시킬 수 있도록 측부프레임승강구동부(2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측부프레임승강구동부(211)는 일단이 차량부(200)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측부프레임(111)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212)와, 일단은 차량부(200)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측부프레임(111)에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기구(2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기구(213)는 차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게 유압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부(200)의 상부면에는 제토컨베이어(131)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을 후방영역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2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송컨베이어(221)는 복수의 로드부(223)와, 로드부(223a)의 양단에 고리형상을 가지는 연결고리부(223b)를 가지고 상호 상대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무한궤도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송컨베이어(221)의 전후방향을 따라 후방영역에는 로드부(132a)와 맞물림되게 복수의 구동스프로킷휠(224)이 구비되어 있으며, 구동스프로킷휠(224)의 회전축의 일측에는 차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유압모터(225)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송컨베이어(221)의 전방영역에는 이송컨베이어(221)의 로드부(223)에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복수의 피동스프로킷휠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송컨베이어(221)의하측에는 이송컨베이어(22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롤러(229)가 구름접촉되어 있다.
이송컨베이어(221)의 말단영역에는 이송된 대상물이 수집되는 포대 또는 상자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포대지지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포대지지부(231)의 일측에는 대상물이 수집된 포대를 승강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233)이 설치되어 있으며, 크레인(233)은 차량부(200)의 유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게 유압크레인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송컨베이어(221)의 일측에는 운전석(235) 및 조향 핸들(237)이 구비되어 있으며, 조향 핸들(237)의 일측에는 제토컨베이어(131) 및 실린더기구(213)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작레버(239)가 구비되어 있다.
이송컨베이어(221)의 전방 영역에는 제토컨베이어(131)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토컨베이어(131)의 말단영역에는 이송된 대상물이 가이드부(241)의 내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측면가이드부재(243) 및 저부가이드부재(245)가 각각 구비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린더기구(213)를 조작하여 삽날부(121)가 지중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주행을 개시하게 되면, 삽날부(121)에 의해 채굴된 흙 및 대상물은 후방영역으로 이동되어 회동가이드(123)에 의해 제토컨베이어(131)의 상면으로 제공된다. 제토컨베이어(131)의 상측으로 제공된 흙은 제토컨베이어(131)의 로드부(132a)사이의 틈새를 통해 지상으로 낙하하여 제거되고, 대상물은 제토컨베이어(131) 및 낙하방지부재(161)에 의해 후방영역으로이송된다.
제토컨베이어(131)의 말단으로 이송된 대상물은 측면가이드부재(243) 및 저부가이드부재(245)에 의해 가이드되어 가이드부(241)의 내부에 일시 수용되고, 이송컨베이어(221)에 의해 차량부(200)의 후방영역으로 이송된다.
차량부(200)의 후방영역으로 이송된 대상물은 포대지지부(231)에 배치된 포대의 내부에 수집되고, 수집이 완료된 포대는 크레인(233)에 의해 운반차량 등으로 이동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근류 채굴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구근류 채굴장치의 평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근류 채굴장치는, 대상물의 채굴을 위한 채굴유니트(100)와, 채굴유니트(100)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차량부(200)와, 채굴유니트(100)로부터 제공된 대상물을 차량부(200)의 후방영역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21)와, 차량부(200)의 후방 일측영역에 이송컨베이어(221)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을 수집하는 포대를 안착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포대지지부(2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채굴유니트(10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111)과, 지중에 있는 채굴 대상물을 채굴할 수 있도록 측부프레임(111)의 전방 하부영역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삽날부(121)와, 채굴된 대상물의 흙을 제거하여 이송하는 제토컨베이어(131)와, 대상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제토컨베이어(131)의 상측에 배치되는 낙하방지부재(161)를 구비하고 있다.
측부프레임(111)의 전면 하부에는 삽날부(121) 및 회동가이드(1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삽날부(121)의 후방영역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토컨베이어(131)가 제1 및 제2회전축(125,127)을 중심으로 주행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토컨베이어(131)의 상측에는 대상물이 제토컨베이어(131)의 상면을 따라 후방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프(181)에 고정된 복수의 낙하방지부재(161)가 배치되어 있다. 측부프레임(111)의 양측에는 측부프레임(111)의 승강구동을 위한 링크(212) 및 유압에 의해 신축구동되는 실린더기구(213)가 마련되어 있다.
차량부(200)의 상부면에는 제토컨베이어(131)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을 후방 상부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2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송컨베이어(221)의 일측에는 차량의 주행을 위한 운전석(235) 및 조향 핸들(237)이 마련되어 있다. 조향 핸들(237)의 일측에는 제토컨베이어(131), 이송컨베이어(221) 및 후술할 좌우이송컨베이어 등의 구동을 위한 각 모터와, 측부프레임(111)의 승강구동을 위한 실린더기구(213) 등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조작레버(239)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이송컨베이어(221)의 말단영역에는 이송컨베이어(221)에 의해 차량부(200)의 후방 상부영역으로 이송된 대상물을 차량부(200)의 좌우방향을 따라 어느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좌우방향을 따라 좌우이송컨베이어(251)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부(200)의 진행방향에 대해 우측영역으로 이송되도록 구현되어 있다.
좌우이송컨베이어(251)는 차량부(200)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구동축(253) 및 피동축(255)을 가지며, 구동축(253)의 일측에는 구동축(253)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257)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모터(257)는 차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유압모터로 구현되어 있다.
좌우이송컨베이어(251)의 말단영역에는 좌우이송컨베이어(251)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을 수집하는 포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포대지지부(261)가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포대지지부(261)의 일측에는 포대지지부(261)를 승강구동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기구(26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기구(263)는 차량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유압식 실린더기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삽날부(121)가 채굴될 대상물이 있는 지중에 소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실린더기구(213)를 조작하여 측부프레임(111)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차량부(200)를 전방으로 진행시키면, 채굴될 대상물은 삽날부(121)에 의해 주변의 흙과 함게 후방영역으로 이동된다.
후방으로 이동된 대상물 및 흙은 회동가이드(123)에 의해 제토컨베이어(131)의 전방 상부영역으로 제공되고, 제토컨베이어(131)에 의해 후방 상부영역으로 이동되면서 흙은 로드부(132a)의 사이를 통해 지상으로 낙하하여 제거되고 대상물은 제토컨베이어(131)에 재치된 상태로 이송된다.
제토컨베이어(131)의 말단영역으로 이송된 대상물은 이송컨베이어(221)의 상류영역으로 낙하하여 이송컨베이어(221)에 의해 차량부(200)의 후방 상부영역으로 이송되고, 좌우이송컨베이어(251)에 의해 차량부(200)의 후방 우측영역으로 이송되어 포대지지부(261)에 안착지지된 포대의 내부로 낙하하여 수용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대상물의 흐름방향을 따라 최종적으로 배치되는 컨베이어의 말단영역에 포대를 지지할 수 있는 포대지지부를 마련하고, 포대에 대상물이 수용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최종적으로 배치되는 컨베이어의 말단영역이 차량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차량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대상물을 적재할 수 있는 차량이 수반되도록 하여 대상물이 직접 적재차량에 적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지중에 있는 구근류을 채굴하여 수집하는 용도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채굴장치는 파종전에 밭에 있는 잡석의 제거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과, 측부프레임의 전방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삽날부와, 삽날부의 후방영역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부를 가지는 무한궤도 타입으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토컨베이어와, 제토컨베이어의 상측에 끝단이 제토컨베이어의 상면에 인접되고 무한궤도면을 따라 주행하면서 대상물의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낙하방지부재를 마련하여 대상물을 제토컨베이어의 경사각에 제약을 받지 아니하고 소망하는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의 채굴 및 수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근류 채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부프레임과, 삽날부와, 제토컨베이어 및 낙하방지부재를 구비한 채굴유니트와, 채굴유니트의 후방에 배치되어 채굴유니트를 전방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채굴유니트가 동작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차량부를 마련함으로써, 차량에 의해 채굴될 대상물이 손상될 염려가 없으며 채굴유니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근류 채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8)

  1.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이동시 지중으로 소정 깊이로 경사지게 삽입되는 삽날부와;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측에 이동방향에 가로로 상호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회전축과; 상기 측부프레임의 내측에 제1 및 제2회전축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스프로킷휠과; 상기 스프로킷휠의 피치에 대응되게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부를 구비한 무한궤도형상을 가지고 상기 삽날부로부터 제공된 대상물이 흙과 분리되어 후방 상부 영역으로 선별이송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지게 상기 스프로킷휠에 결합되는 제토컨베이어와;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채굴된 상기 대상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과; 상기 제토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제토컨베이어구동수단과; 일단은 무한궤도상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상측에 인접되고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상호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토컨베이어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대상물이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상면을 따라 하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낙하방지부재와; 상기 낙하방지부재가 상기 무한궤도를 따라 주행되도록 하는 낙하방지부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부재구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의 각 상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는 제3 및 제4회전축과, 상기 제3 및 제4회전축의 양단부영역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롤러구동수단과, 상기 제3 및 제4회전축에 각각 결합된 롤러의 둘레를 주행가능하게 폐루프를 이루고 상기 낙하방지부재가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구동수단은,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로드부에 맞물림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동스프로킷휠과, 상기 전동스프로킷휠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대응되게 상기 제3 및 제4회전축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상기 피동풀리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부재와 상기 로프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낙하방지부재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낙하방지부재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로프의 주행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며 양 단부영역에 상기 로프가 통과할 수 있도록 로프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로드와, 상기 로프공을 통과한 로프에 대해 상기 낙하방지부재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로드의 양단부에 축심을 따라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부프레임의 이동방향을 따라 전방영역에는 견인차량의 후방영역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대향측에 상기 제토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대상물이 수집되는 포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포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프레임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토컨베이어상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대상물이 상기 제토컨베이어로부터 상기 포대지지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토컨베이어구동수단은 소정의 감속비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견인차량의 출력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출력단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는 감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토컨베이어구동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견인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유압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중 어느 하나를 회전구동시키는 유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날부가 지중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대상물이 채굴될 수 있도록 상기 삽날부의 대향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부프레임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차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와 상기 측부프레임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차량부에 대해 상기 측부프레임를 승강시키는 측부프레임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의 상측에 일단은 상기 제토컨베이어의 후방 하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부의 후방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토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된 대상물을 후방영역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수단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말단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이 수집되는 포대를 지지하는 포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대상물이 수집된 포대를 승강시키는 포대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승강수단은 유압크레인 및 유압리프트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말단영역에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을 상기 차량부의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수단은 상기 좌우이송컨베이어의 말단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좌우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대상물을 수집하는 포대를 지지하는 포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채굴장치.
KR10-2001-0019603A 2001-04-12 2001-04-12 구근류 채굴장치 KR100389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603A KR100389701B1 (ko) 2001-04-12 2001-04-12 구근류 채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603A KR100389701B1 (ko) 2001-04-12 2001-04-12 구근류 채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187A true KR20020080187A (ko) 2002-10-23
KR100389701B1 KR100389701B1 (ko) 2003-06-27

Family

ID=2770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603A KR100389701B1 (ko) 2001-04-12 2001-04-12 구근류 채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7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957B1 (ko) * 2002-11-06 2005-01-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무 수확기
KR101421968B1 (ko) * 2013-12-12 2014-07-23 김영석 굴취작물의 공급과 수집 중 후퇴를 방지하는 땅속작물의 수집장치
KR102144689B1 (ko) * 2020-04-07 2020-08-14 윤태욱 러그컨베이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근류 채굴장치
KR20210004384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세웅 자주식 계사청소기
KR20210128077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세웅 자주식 계사청소기
CN114600619A (zh) * 2021-04-29 2022-06-10 成都宇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分段式根茎收获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404B1 (ko) 2019-07-05 2019-12-04 윤태욱 구근류 채굴장치
KR102503121B1 (ko) * 2022-08-24 2023-02-23 정문구 구근류 수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06Y2 (ko) * 1987-02-27 1993-03-04
JPH02120122A (ja) * 1988-10-31 1990-05-0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JPH0316816A (ja) * 1989-06-14 1991-01-24 Toyota Motor Corp 流体圧式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
JPH0539233U (ja) * 1991-10-31 1993-05-28 有限会社工藤農機 農作物収穫機
JP2843848B2 (ja) * 1992-12-21 1999-01-06 小橋工業株式会社 農産物収穫機
JP2000106728A (ja) * 1998-10-08 2000-04-18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産物収穫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957B1 (ko) * 2002-11-06 2005-01-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무 수확기
KR101421968B1 (ko) * 2013-12-12 2014-07-23 김영석 굴취작물의 공급과 수집 중 후퇴를 방지하는 땅속작물의 수집장치
KR20210004384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세웅 자주식 계사청소기
KR102144689B1 (ko) * 2020-04-07 2020-08-14 윤태욱 러그컨베이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근류 채굴장치
KR20210128077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세웅 자주식 계사청소기
CN114600619A (zh) * 2021-04-29 2022-06-10 成都宇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分段式根茎收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9701B1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1685C (en) Continuous longitudinal flow root crop harvesting
KR101263804B1 (ko) 심해저 망간단괴 집광로봇
CN206879437U (zh) 履带自走式高效药材精选收获机
FR2607119A1 (fr) Convoyeur, notamment pour exploitations minieres
KR102145864B1 (ko) 지중 식물 수집기
KR100389701B1 (ko) 구근류 채굴장치
CN106211904A (zh) 一种山药收获机
CN206118407U (zh) 一种山药收获机
US4116014A (en) Excavating and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CN110278741B (zh) 开沟整形装置和移栽作业系统
CN101084709B (zh) 花生联合采收机
KR20150113329A (ko) 구근류 수확기
KR200445527Y1 (ko) 구근 수확기
JP2008289416A (ja) 野菜収穫機
CN112514629A (zh) 一种大蒜、花生用收获机
CN206125224U (zh) 一种农用机械运输车
US4232982A (en) Excavating and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CN220693764U (zh) 一种梳齿式川芎收获机
KR102144689B1 (ko) 러그컨베이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근류 채굴장치
CA1270153A (en) Seed planter
CN216626654U (zh) 自行走一体化联合土豆收获机
US3306419A (en) Salt harvesting apparatus and method
JP3547362B2 (ja) 根菜類収穫機の葉部除去装置
JP2833930B2 (ja) 収穫機
CN207612636U (zh) 用于根茎作物的收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