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840A - 연속적 흡착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적 흡착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840A
KR20020078840A KR1020010019003A KR20010019003A KR20020078840A KR 20020078840 A KR20020078840 A KR 20020078840A KR 1020010019003 A KR1020010019003 A KR 1020010019003A KR 20010019003 A KR20010019003 A KR 20010019003A KR 20020078840 A KR20020078840 A KR 20020078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pipe
suction fan
tow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0893B1 (ko
Inventor
채재우
문승일
데미듀크
배가이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채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재우 filed Critical 채재우
Priority to KR10-2001-0019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893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46Means for feeding or distribu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03Methods relating to valve sw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팬(10)으로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오염물질을 흡착시키고 청정공기를 배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흡배기관(31)(32)이 연통하도록 병렬적으로 연결되고,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을 수용하는 한 쌍의 흡착탑(11)(12); 상기 흡착탑(11)(12)의 배기관(32)에서 분기되는 분기관(33) 상에 설치되고, 히터(13)와 촉매산화기(14)로 구성되어 가열 및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후처리기; 상기 후처리기의 하류단에 연결되고, 흡입팬(16)을 통해 유입되는 대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5); 상기 열교환기(15)에서 가열된 대기를 상기 흡착탑(11)(12)의 흡기관(31)으로 순환시키도록 설치되는 순환관(35); 및 상기 흡기관(31), 배기관(32), 분기관(33), 순환관(35)의 교차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흡착탑(11)(12)에서 흡착작용 또는 재생작용이 교대로 수행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밸브(2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흡착탑을 병렬로 배치하고 흡착과 재생 사이클이 교대로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생산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속적 흡착 및 재생 장치{Continuous Absorbing and Recyc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속식 흡착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탑을 병렬로 배치하고 흡착과 재생 사이클이 교대로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생산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연속식 흡착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휘발성 석유화합물을 정제하여 저장하는 생산시설에서는 휘발성 유기물질(VOCs), 탄화수소류 등의 오염물질을 비롯하여 먼지, 수분이 다량 배출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장치는 오염공기를 활성탄이 충진된 흡착탑으로 유도하여 오염물질을 포집한 다음 청정한 공기를 대기로 배출시킴으로써 법규상의 배출허용치를 만족하게 된다. 특히 휘발성 유기물질이 포함되는 경우 활성탄 외에 촉매연소장치를 부가하여 제거하기도 한다.
이때의 활성탄은 청정한 대기를 가열하여 열풍 상태로 유입시켜 오염물질을 분리함으로써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데, 종래의 경우 활성탄을 재생하기 위해 흡착탑의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흡착탑을 병렬로 배치하고 흡착과 재생 사이클이 교대로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생산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연속식 흡착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배관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1작동모드에서 유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2작동모드에서 유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흡입팬11, 12 : 흡착탑
13 : 히터14 : 촉매산화기
15 : 열교환기16 : 흡입팬
21∼25 : 유로전환밸브31∼35 : 배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흡입팬(10)으로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오염물질을 흡착시키고 청정공기를 배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흡배기관(31)(32)이 연통하도록 병렬적으로 연결되고,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을 수용하는 한 쌍의 흡착탑(11)(12); 상기 흡착탑(11)(12)의 배기관(32)에서 분기되는 분기관(33) 상에 설치되고, 히터(13)와 촉매산화기(14)로 구성되어 가열 및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후처리기; 상기 후처리기의 하류단에 연결되고, 흡입팬(16)을 통해 유입되는 대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5); 상기 열교환기(15)에서가열된 대기를 상기 흡착탑(11)(12)의 흡기관(31)으로 순환시키도록 설치되는 순환관(35); 및 상기 흡기관(31), 배기관(32), 분기관(33), 순환관(35)의 교차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흡착탑(11)(12)에서 흡착작용 또는 재생작용이 교대로 수행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밸브(2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유로전환밸브(21∼25)는 일측의 흡착탑(11)(12)에서 흡입팬(10)을 통한 오염공기를 순환하는 동안 타측의 흡착탑(11)(12)에서 흡입팬(16)을 통한 청정공기를 순환하도록 동시에 방향전환이 완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배관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흡입팬(10)으로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오염물질을 흡착시키고 청정공기를 배출하는 시스템에 관련된다. 휘발성 석유화합물을 정제하여 저장하는 생산시설에서는 공정가스가 흡입팬(10)을 통해 유입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을 수용하는 한 쌍의 흡착탑(11)(12)이 상호 흡배기관(31)(32)이 연통하도록 병렬적으로 연결된다. 흡착탑(11)(12)은 활성탄 외에 지올라이트 등을 수용하기도 한다. 흡기관(31)은 오염공기를 유입하는 흡입팬(10)에 공통적으로 연결되지만 배기관(32)은 각각의 배출구(32a)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13)와 촉매산화기(14)로 구성되어 가열 및 정화기능을 수행하는 후처리기가 상기 흡착탑(11)(12)의 배기관(32)에서 분기되는 분기관(33) 상에 설치된다. 대체로 200∼400℃ 범위의 촉매산화기(14)를 사용하면 활성탄의 재생공정시 탈착된 유해물질이 완전산화 및 분해가 되어 무해물질(CO2+ H2O) 상태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팬(16)을 통해 유입되는 대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5)가 상기 후처리기의 하류단에 연결된다. 열교환기(15)는 흡착탑(11)(12)에서 분기되는 공기와 흡입팬(16)을 통하여 유입되는 대기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한다. 열교환기(15)는 재생공정에 투입되는 저유량의 공기온도를 높여 흡착탑(11)(12)에서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주요한 기능이지만, 촉매산화기(14) 후단으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 온도를 낮추어 저온의 공기로서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기능도 지닌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기(15)에서 가열된 대기를 상기 흡착탑(11)(12)의 흡기관(31)으로 순환시키도록 순환관(35)이 설치된다. 순환관(35)은 흡착탑(12)과 흡기관(31) 사이를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배기관(32)에서 히터(13), 촉매산화기(14), 열교환기(15)를 거쳐 부호 33a의 배출구로 유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흡입팬(16)에서 열교환기(15), 순환관(35), 흡착탑(11)(12)을 거쳐 부호 32a의 배출구로 유동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기관(31), 배기관(32), 분기관(33), 순환관(35)의 교차지점에 유로전환밸브(21∼25)가 설치되어, 상기 흡착탑(11)(12)에서 흡착작용 또는 재생작용이 교대로 수행되도록 한다. 흡착 및 재생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연속적인 가스상 유해물질처리가 가능하다.
이때 유로전환밸브(21∼25)는 일측의 흡착탑(11)(12)에서 흡입팬(10)을 통한 오염공기를 순환하는 동안 타측의 흡착탑(11)(12)에서 흡입팬(16)을 통한 청정공기를 순환하도록 동시에 방향전환이 완료된다. 흡착공정과 탈착/재생공정의 자동변환은 전자구동방식의 각 유로전환밸브(21∼25)들의 자동개폐를 통하여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흡착공정에서 재생(탈착)공정으로의 자동변환시기는 흡착제의 종류와 양, 처리가스의 유량, 유해가스의 농도 및 작업시간에 맞춰 정해진다.
도시에는 없으나, 플라즈마 반응기를 추가하여 먼지, 수분을 집진시키고 유해물질을 이온화시킴으로서 촉매산화기(14)의 수명 및 제거성능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온도조절장치를 추가로 장착하여 열교환기(15)에 갑작스런 고온의 가스를 통과시키지 않음으로써 재생공정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조절이 가능하고 초기 탈착공정시 발생될 수 있는 고농도 유기물질 배출에 의한 화재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흡착탑(11)(12) 상단에 온도센서와 습식 스크러버(wet scrubber)를 추가하여 고농도의 휘발성물질의 흡착 및 재생작업시 발생되는 고온에 의한 화재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흡착탑(11)(12)의 내부온도를 실시간 체크하여 자발화 온도(가스 종류 및 작업조건에 따라 다름) 이상시 자동적으로 습식 스크러버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1작동모드에서 유동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2작동모드에서 유동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된다. 도시에서 실선 화살표는 오염공기의 순환경로를, 점선 화살표는 대기의 순환경로를 의미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서 좌측의 흡착탑(11)에서 흡착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흡입팬(10)을 통하여 유입된 유해가스(VOCs, 악취물질 등)가 함유된 오염공기는 제1유로전환밸브(21) 및 좌측의 제5유로전환밸브(25)를 거쳐 흡착탑(11)에 유입되고 유해물질이 흡착, 제거된 후 좌측의 제2유로전환밸브(22) 및 배출구(32a)를 통하여 무해가스 상태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우측의 흡착탑(12)으로는 오염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흡착공정이 진행되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흡입팬(16)이 작동하면 열교환기(15)를 거쳐 온도가 서서히 상승된 대기가 제4유로전환밸브(24), 우측의 제5유로전환밸브(25)를 지나 흡착탑(12)을 통과하면서 유해물질을 탈착시킨다. 이러한 공기와 탈착된 유해물질들은 좌측의 제2유로전환밸브(22), 제3유로전환밸브(23)를 지나 플라즈마 반응기를 통과하고 히터(13)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후 촉매산화기(14)에 의해 산화, 제거가 되고 온도조절기를 지나 열교환기(15)를 거쳐 배출구(33a)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도 1 및 도 3에서, 좌측의 흡착탑(11)이 흡착성능이 저하되어 우측의 흡착탑(12)에서 흡착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흡입팬(10)을 통하여 유입된 유해가스는 제1유로전환밸브(21), 우측의 제5유로전환밸브(25)를 거쳐 흡착탑(12)으로 유입이 되어 유해물질이 흡착, 제거가 되고 우측의 제2유로전환밸브(22)에서배출구(32a)를 거쳐 대기중으로 무해가스 상태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흡착탑(11)에서 재생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다시 상기 흡착탑(12)의 흡착성능이 포화가 되어 흡착효율이 떨어지게 되면 유로전환밸브(21∼25)를 동시에 작동시켜 도 2의 상태로 전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공정시 저유량(100m3/h 이하)으로 처리하므로 촉매산화기(14)에서의 촉매 사용량 및 히터(13)(보일러)에서의 에너지소비가 적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어느 흡착장치(처리유량 20,000m3/h 급 이상)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재생시스템으로의 구조변경이 가능하며 2개 이상의 흡착장치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은 흡착탑을 병렬로 배치하고 흡착과 재생 사이클이 교대로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생산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흡입팬(10)으로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오염물질을 흡착시키고 청정공기를 배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흡배기관(31)(32)이 연통하도록 병렬적으로 연결되고,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활성탄을 수용하는 한 쌍의 흡착탑(11)(12);
    상기 흡착탑(11)(12)의 배기관(32)에서 분기되는 분기관(33) 상에 설치되고, 히터(13)와 촉매산화기(14)로 구성되어 가열 및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후처리기;
    상기 후처리기의 하류단에 연결되고, 흡입팬(16)을 통해 유입되는 대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5);
    상기 열교환기(15)에서 가열된 대기를 상기 흡착탑(11)(12)의 흡기관(31)으로 순환시키도록 설치되는 순환관(35); 및
    상기 흡기관(31), 배기관(32), 분기관(33), 순환관(35)의 교차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흡착탑(11)(12)에서 흡착작용 또는 재생작용이 교대로 수행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밸브(2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흡착 및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밸브(21∼25)는 일측의 흡착탑(11)(12)에서 흡입팬(10)을 통한 오염공기를 순환하는 동안 타측의 흡착탑(11)(12)에서 흡입팬(16)을 통한 청정공기를 순환하도록 동시에 방향전환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흡착 및 재생 장치.
KR10-2001-0019003A 2001-04-10 2001-04-10 연속적 흡착 및 재생 장치 KR100410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003A KR100410893B1 (ko) 2001-04-10 2001-04-10 연속적 흡착 및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003A KR100410893B1 (ko) 2001-04-10 2001-04-10 연속적 흡착 및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840A true KR20020078840A (ko) 2002-10-19
KR100410893B1 KR100410893B1 (ko) 2003-12-18

Family

ID=2770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003A KR100410893B1 (ko) 2001-04-10 2001-04-10 연속적 흡착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8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18830A1 (en) * 2013-12-20 2016-11-03 Borealis Ag Process for Olefin Production by Metathesis and Reactor System Therefor
KR20190128955A (ko) * 2018-05-09 2019-11-19 (주)평화엔지니어링 연속운전이 가능한 반복재생형 중화흡착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형 유해화학가스 응급배기 시스템
KR102329696B1 (ko) * 2021-04-15 2021-11-22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기재순환 드라이룸 제습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드라이룸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535B1 (ko) * 2009-04-21 2010-08-13 김흥규 촉매 산화 시스템 및 그 장치의 촉매 산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20A (ja) * 1983-06-17 1985-01-05 Nippon Kokan Kk <Nkk> 臭気ガスの脱臭処理方法
JPS6434423A (en) * 1987-07-31 1989-02-03 Sumitomo Heavy Industries Separation and removing method for oxygen
JPH03258320A (ja) * 1990-03-08 1991-11-18 Ebara Corp 圧力変動式の吸着分離法
JPH07328382A (ja) * 1994-06-14 1995-12-19 Mitsubishi Heavy Ind Ltd 希薄な窒素酸化物を含む排ガスの脱硝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18830A1 (en) * 2013-12-20 2016-11-03 Borealis Ag Process for Olefin Production by Metathesis and Reactor System Therefor
US10112877B2 (en) * 2013-12-20 2018-10-30 Borealis Ag Process for olefin production by metathesis and reactor system therefor
KR20190128955A (ko) * 2018-05-09 2019-11-19 (주)평화엔지니어링 연속운전이 가능한 반복재생형 중화흡착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형 유해화학가스 응급배기 시스템
KR102329696B1 (ko) * 2021-04-15 2021-11-22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기재순환 드라이룸 제습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드라이룸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0893B1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824192U (zh) 一种VOCs废气高效吸附脱附催化燃烧处理系统
KR101549358B1 (ko) 에너지 효율적인 공기정화시스템
KR101542177B1 (ko) Voc 흡착농축식 촉매산화 처리장치
CN110772987A (zh) 一种不稳定大气量VOCs废气的处理系统及工艺
CN111372669A (zh) 节能型浓缩转子及包括其的废气处理系统
CN111672265A (zh) 一种挥发性有机物废气处理系统
KR20090073060A (ko)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처리시스템
CN102580523A (zh) 有机废气浓缩吸附催化燃烧装置
KR100410893B1 (ko) 연속적 흡착 및 재생 장치
CN220026520U (zh) 用于塑料生产加工工艺的有机废气净化系统
JP2007000733A5 (ko)
CN115382344B (zh) 一种橡胶烟气处理系统
CN204952661U (zh) 一种新型有机废气处理装置
JP2011072919A (ja) 有機溶剤含有ガス処理システム
CN110624360A (zh) 一种VOCs废气净化装置、净化方法及净化系统
CN2477963Y (zh) 一种燃烧排放低浓度有机废气的净化设备
KR102536368B1 (ko)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KR20210122943A (ko) 흡착공정과 촉매산화공정이 결합된 오염물질 처리 농축산화로터
JP4997527B2 (ja) 排気ガス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CN111306556A (zh) 一种蓄热式催化燃烧设备
CN210874697U (zh) 一种VOCs废气净化装置和净化系统
CN210752030U (zh) 一种废气治理用氧化分解设备
CN221045757U (zh) 用于密闭空间的有害气体消除系统
KR102572767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 시스템 및 저감 방법
CN215336386U (zh) 一种催化燃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