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368B1 -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368B1
KR102536368B1 KR1020210042906A KR20210042906A KR102536368B1 KR 102536368 B1 KR102536368 B1 KR 102536368B1 KR 1020210042906 A KR1020210042906 A KR 1020210042906A KR 20210042906 A KR20210042906 A KR 20210042906A KR 102536368 B1 KR102536368 B1 KR 102536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bent
odor
conduit
absorption
pollut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6786A (ko
Inventor
이대훈
김관태
강홍재
송영훈
송호현
김유나
이희수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4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3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3Drying gases or vapour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흡착제의 탈착이나 교체 없이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의 흡착 성능을 장시간 유지시키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는, 유입되는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을 수세 반응으로 수처리 하는 수세 반응기(wet scrubber), 상기 수세 반응기에 연결되어 상기 수세 반응기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남은 악취 오염물질이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악취 오염물질을 추가로 제거하는 디미스터(demister), 및 상기 디미스터에 연결되어 상기 디미스터를 경유한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디미스터는 처리기체의 흐름에 역행하는 건조풍 또는 열풍을 제공하여 흡수된 수분을 제거한다.

Description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ODOR AND POLLUTED MATERIAL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제의 탈착이나 교체 없이 흡착제에서 악취 오염물질의 흡착 성능을 장시간 유지시키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의 제거에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크게 3 가지의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수용성이 있는 물질의 경우, 수세(wet scrubbing) 방식이 선택되고, 수세 처리 시 약액을 사용하는 화학적 처리가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다. 산화 처리가 가능한 물질의 경우, (촉매)산화 혹은 연소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그 외 물질의 경우, 흡착제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악취 오염 물질에 다양한 물성을 지닌 물질들이 복합적으로 섞여 있으므로 위 3 가지 방식이 복합적으로 선택 사용될 수도 있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흡착제가 많이 사용되는데, 흡착제는 처리기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양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제의 질량 당 흡착 가능한 오염물질의 양이 제한됨에 따라 흡착제를 주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재생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흡착제의 용량이 다 차게 되는 파과 시간이 길지 않아서 흡착제를 사용하는 현장에서는 흡착제의 교체 비용이 과다 해진다. 따라서 처리기체에 포함된 흡착제를 제대로 교체를 하지 못하여 악취 문제의 해결이 용이하지 않고, 실효적인 악취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의 제거 방법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단순 흡착 공정은 흡착제 파과 시, 흡차재를 교체해야만 악취 제거 효과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고, 악취 오염물질이 농축된 흡착제를 탈거하여 연소 및 소각함을 통하여 흡착된 악취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착제의 탈착이나 교체 없이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의 흡착 성능을 장시간 유지시키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착제를 수세 반응기와 연계하여 수세 반응기에서 처리되지 못한 악취 오염물질을 디미스터에서 수분과 함께 추가로 제거한 후, 나머지 악취 오염물질을 흡착제에서 흡착케 하여 흡착제의 작동 수명을 증가시키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는, 유입되는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을 수세 반응으로 수처리 하는 수세 반응기(wet scrubber), 상기 수세 반응기에 연결되어 상기 수세 반응기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남은 악취 오염물질이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악취 오염물질을 추가로 제거하는 디미스터(demister), 및 상기 디미스터에 연결되어 상기 디미스터를 경유한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디미스터는 처리기체의 흐름에 역행하는 건조풍 또는 열풍을 제공하여 흡수된 수분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흡착제의 후단에 설치되어 농축, 탈착되는 가연성 악취 오염물질을 산화 처리하는 산화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수세 반응기와 상기 흡착제 사이를 연결하는 제1관로, 및 상기 제1관로에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수세 반응기와 상기 흡착제 사이를 연결하는 제2관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미스터는 상기 제1관로 및 제2관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미스터는 상기 제1관로에 설치되어 수분을 흡수 또는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하는 제1흡수제거부, 및 상기 제2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1흡수제거부의 작동에 반대로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 또는 수분을 흡수하는 제2흡수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관로는 상기 수세 반응기 측에서 상기 제1관로에 구비되는 제1제어밸브에 일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흡착제 측에서 상기 제1관로에 다른 일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착제는 상기 수세 반응기의 후방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흡착부와 제2흡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수세 반응기, 상기 제1흡착부 및 상기 제1흡착부의 후방을 관통 연결하는 제1관로, 및 상기 제1관로에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수세 반응기의 후방, 상기 제2흡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흡착부의 후방을 연결하는 제2관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는, 열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열원은 상기 제1흡착부와 상기 제2흡착부에 제2제어밸브를 개재하여 분기된 제1열원관로와 제2열원관로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제1흡착제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1산화촉매, 및 상기 제2흡착제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산화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원관로는 상기 제1흡착제와 상기 제1산화촉매를 경유하여 상기 제1흡수제거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열원관로는 상기 제2흡착제와 상기 제2산화촉매를 경유하여 상기 제2흡수제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는, 상기 수세 반응기의 전방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세 반응기와 흡착제 사이에 디미스터를 구비하여, 수세 반응기에 처리되지 못하고 남아 수분에 흡수된 악취 오염물질을 디미스터에서 추가 제거하면서, 처리기체의 흐름에 역행하는 건조풍 또는 열풍을 제공하여 디미스터에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하므로 디미스터가 수분을 흡수 및 건조 제거하는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고, 이 디미스터의 흡수 및 건조 제거 작용으로 인하여 흡착제의 탈착이나 교체 없이 흡착제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운영 유지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는 수세 반응기에 분기하여 제1, 제2흡수제거부를 연결하고, 제1, 제2흡수제거부에 제1, 제2흡착부와 제1, 제2산화촉매를 각각 연결하며, 제1흡수제거부와 제1흡착부 및 제1산화촉매를 연결하여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고, 제1흡착부에서 농축, 탈착된 악취 물질의 산화를 통해 제1흡착부의 흡착제를 재생하며, 이때, 제2흡착부의 흡착재를 열원의 고온가스로 재생한다. 이와 같이, 제1흡착부의 악취 오염물질의 흡착 제거와 제2흡착부의 재생 과정을 교번적으로 구현하므로 제1, 제2흡착부의 탈착이나 교체 없이 제1, 제2흡착부의 흡착제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운영 유지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100)는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수세 반응기(wet scrubber)(10), 디미스터(demister)(20) 및 흡착제(30)를 포함한다.
수세 반응기(10)는 유입되는 악취 오염물질을 수세 반응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악취 오염물질이 포함된 처리기체는 송풍기(미도시)를 통하여 수세 반응기(10)로 유입되어 수세 처리된 후, 디미스터(20) 및 흡착제(30)를 경유한다.
수세 반응기(10) 및 디미스터(20)는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을 수처리 하고 그 수분을 건조 제거하므로 악취 오염물질에 의한 흡착제(30)의 파과 주기를 길게 한다.
악취 오염물질이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수세 반응기(10)는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을 수세 처리한다. 이때, 수세 처리를 위한 약액이 사용되어 수세 반응기(10)에서 화학적 처리를 동시에 구현할 수도 있다. 수세 반응기(10)를 경유하는 처리기체는 수분을 함유하게 된다.
디미스터(20)는 수세 반응기(10)에 연결되어 수세 반응기(10)를 경유한 처리기체를 경유시키면서, 수세 반응기에서 미처 처리되지 못한 악취 오염물질을 포함한 수분을 흡수하여 수분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을 추가 제거하고, 흡착제(30)에 유입되는 처리기체의 습도를 낮추어서 흡착제(30)의 흡착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디미스터(20)는 수분을 흡착함으로써 수분에 녹아 있는 수용성 악취 오염물질을 추가로 흡수하고, 건조한 처리기체가 흡착제(30)로 흡수되게 한다.
흡착제(30)는 디미스터(20)에 연결되어 디미스터(20)를 경유한 처리기체에 처리되지 못하고 남아 있는 악취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즉 남은 악취 오염물질은 흡착제(30)에 흡착될 수 있다. 따라서 악취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기체는 흡착제(30)를 경유하여 청정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디미스터(20)는 처리기체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 제거하므로 수분에 취약한 흡착제(30)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일례로써, 디미스터(20)는 처리기체의 흐름에 역행하는 건조풍 또는 열풍을 제공하여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즉 디미스터(20)가 수분 흡수 용량 한계에 도달하는 경우, 건조풍 또는 열풍을 제공하여 디미스터(20)를 건조시키므로 수분 흡수 용량이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을 흡수 및 건조 제거할 수 있는 디미스터(20)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디미스터(20)가 수분의 건조 제거한 상태를 유지하여 원활히 작동되므로 흡착제(30)는 흡착 성능의 저하 없이 악취 오염물질을 흡착할 수 있게 된다.
수분에 대한 디미스터(20)의 흡수 및 건조 제거 작용으로 인하여, 흡착제(30)의 탈착이나 교체 없이 흡착제(30)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100)의 운영 유지비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더 효과적인 수분의 흡수 및 건조 제거를 위하여 디미스터(20)는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100)는 제1관로(41)와 제2관로(42)를 포함한다. 제1관로(41)는 수세 반응기(10)와 흡착제(30) 사이를 연결하고, 제2관로(42)는 제1관로(41)에 병렬로 배치되어 수세 반응기(10)와 흡착제(30) 사이를 연결한다.
이때, 디미스터(20)는 제1흡수제거부(21)와 제2흡수제거부(22)를 포함한다. 제1흡수제거부(21)는 제1관로(41)에 설치되어 악취 오염물질이 포함된 수분을 흡수 또는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제2흡수제거부(22)는 제2관로(42)에 설치되어 제1흡수제거부(21)의 작동에 반대로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 또는 수분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제2관로(42)는 수세 반응기(10) 측에서 제1관로(41)에 구비되는 제1제어밸브(43)에 일단으로 연결되고, 흡착제(30) 측에서 제1관로(41)에 다른 일단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제어밸브(43)의 선택 작동에 따라 수세 반응기(10)를 경유한 처리기체는 제1관로(41)의 제1흡수제거부(21)를 경유하여 흡착제(30)로 흐르거나, 제2관로(42)의 제2흡수제거부(22)를 경유하여 흡착제(30)로 흐를 수 있다.
일례로써,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100)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1제어밸브(43)가 구동되어 제1관로(41)를 연결하고 제2관로(42)를 차단하면, 악취 오염물질이 포함된 처리기체는 수세 반응기(10)를 경유하여 수세 처리된다. 수세 처리된 처리기체는 악취 오염물질이 용해된 수분을 포함하여 제1제어밸브(43)와 제1관로(41) 상의 제1흡수제거부(21)를 경유한다. 수세 반응기(10)에서 다 제거되지 못 하고 남은 악취 오염물질이 포함된 수분은 제1흡수제거부(21)에 흡수된다. 수분이 제거된 처리기체는 흡착제(30)를 경유한다. 수분이 제거된 처리기체에 남은 악취 오염물질이 흡착제(30)에서 최종적으로 흡착 제거되므로 처리기체는 청정한 상태로 배출된다.
이때, 제2흡수제거부(22)에 건조풍 또는 열풍을 제공하여 앞 공정에서 흡수된 제2흡수제거부(22)의 수분을 건조 제거하므로 제2흡수제거부(22)의 수분 흡수 용량이 재생된다. 따라서 수분을 흡수 및 건조 제거하는 제2흡수제거부(22)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진행하던 중 제1흡수제거부(21)가 수분의 흡수 용량 한계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제어밸브(43)가 반대로 구동되어 제1관로(41)를 차단하고 제2관로(42)를 연결한다. 수세 처리된 처리기체는 악취 오염물질이 용해된 수분을 포함하여 제1제어밸브(43)와 제2관로(42) 상의 제2흡수제거부(22)를 경유한다. 수세 반응기(10)에서 다 제거되지 못 하고 남은 악취 오염물질이 포함된 수분은 제2흡수제거부(22)에 흡수된다. 수분이 제거된 처리기체는 흡착제(30)를 경유한다. 수분이 제거된 처리기체에 남은 악취 오염물질이 흡착제(30)에서 최종적으로 흡착 제거되므로 처리기체는 청정한 상태로 배출된다.
이때, 제1흡수제거부(21)에 건조풍 또는 열풍을 제공하여 제1흡수제거부(21)의 수분을 건조 제거하므로 제1흡수제거부(21)의 수분 흡수 용량이 재생된다. 따라서 수분을 흡수 및 건조 제거하는 제1흡수제거부(21)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흡수제거부(21)의 수분 흡수와 건조 제거 과정 및 제2흡수제거부(22)의 건조 제거와 흡수 과정을 교호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디미스터(20), 즉 제1, 제2흡수제거부(21, 22)가 수분을 흡수 및 건조 제거하는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제1, 제2흡수제거부(21, 22)의 흡수 및 건조 제거 작용으로 인하여 흡착제(30)의 탈착이나 교체 없이 흡착제(30)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100)의 운영 유지비가 저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및 기 설명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들에 대하여 비교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200)에서, 흡착제(230)는 수세 반응기(10)의 후방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흡착부(231)와 제2흡착부(23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200)는 제1관로(241)와 제2관로(242)를 포함한다. 제1관로(241)는 수세 반응기(10)와 제1흡착부(231) 및 제1산화촉매(71)의 후방을 관통하여 연결하고, 제2관로(242)는 제1관로(241)에 병렬로 배치되어 수세 반응기(10)의 후방과 제2흡착부(232) 및 제2산화촉매(72)를 관통하여 제1흡착부(231) 및 제2산화촉매(72)의 후방을 연결한다.
이때, 제1흡수제거부(21)는 제1관로(241)에서 제1흡착부(231)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세 반응기에서 미처 처리되지 못한 악취 오염물질을 포함한 수분을 흡수 또는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제2흡수제거부(22)는 제2관로(242)에서 제2흡착부(232)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1흡수제거부(21)의 작동에 반대로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 또는 수분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200)는 열원(50)을 더 포함한다. 일례로써, 열원(50)은 제1흡착부(231)와 제2흡착부(232)에 제2제어밸브(53)를 개재하여 분기된 제1열원관로(51)와 제2열원관로(52)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써, 열원(50)은 플라즈마 반응기로 형성된다.
제1열원관로(51)는 제1흡착부(231) 및 제1산화촉매(71)를 경유하여 제1흡수제거부(21)에 연결된다. 열원(50)에서 공급되는 고온가스를 사용하여 제1흡착부(231)에 흡착된 악취 오염물질들을 탈착시킨다. 이때 제1흡착부(231)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1산화촉매(71)는 탈착된 악취 오염물질의 산화를 통해 제1흡착부(231)를 재생한다. 한편, 이 재생과정에서 탈착을 위한 열과 악취 오염물질의 산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고온의 가스가 배출되며, 이 고온가스를 제1흡수제거부(21)에 공급하여 제1흡수제거부(21)에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할 수 있다.
제2열원관로(52)는 제2흡착부(232)를 경유하여 제2흡수제거부(22)에 연결된다. 열원(50)에서 공급되는 고온가스를 사용하여 제2흡착부(232)에 흡착된 악취 오염물질들을 탈착시킨다. 이때 제2흡착부(232)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2산화촉매(72)는 탈착된 악취 오염물질의 산화를 통해 제2흡착부(232)를 재생한다. 한편, 이 재생 과정에서 탈착을 위한 열과 악취 오염물질의 산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고온의 가스가 배출되며, 이 고온가스를 제2흡수제거부(22)에 공급하여 제2흡수제거부(22)에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할 수 있다.
일례로써,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200)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1제어밸브(43)가 구동되어 제1관로(241)를 연결하고 제2관로(242)를 차단하면, 수세 반응기(10)에서 수세 처리된 처리기체는 제1제어밸브(43)와 제1관로(241) 상의 제1흡수제거부(21)를 경유한다. 악취 오염물질이 포함된 수분은 제1흡수제거부(21)에 흡수된다. 수분이 제거된 처리기체는 제1흡착부(231)와 제1산화촉매(71)를 경유한다. 수분이 제거된 처리기체에 남은 악취 오염물질이 제1흡착부(231)에서 최종적으로 흡착 농축되는 과정에서 제1흡착부(231) 후단으로 악취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처리기체는 청정한 상태로 배출된다.
이때, 제2흡수제거부(22)에는 열원(50)에서 발생된 고온가스로 제2흡착부(232)에 공급하여 앞 공정에서 흡착된 악취 오염물질을 탈착시키고 제2흡착부(232) 후반에 설치된 제2산화촉매(72)에 의해 산화 제거하여 흡착제를 재생한다. 따라서 제2흡착부(232)의 흡착제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200)의 운영 유지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2흡착부(232)의 재생 후 나오는 고온가스를 제공하여 앞 공정에서 흡수된 제2흡수제거부(22)의 수분을 건조 제거하므로 제2흡수제거부(22)의 수분 흡수 용량이 재생된다. 따라서 수분을 흡수 및 건조 제거하는 제2흡수제거부(22)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진행하던 중 제1흡착부(231)가 악취 오염물질의 흡착 용량 한계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제어밸브(43)가 반대로 구동되어 제1관로(241)를 차단하고 제2관로(242)를 연결한다. 수세 처리된 처리기체는 제1제어밸브(43)와 제2관로(242) 상의 제2흡수제거부(22)를 경유한다. 악취 오염물질이 포함된 수분은 제2흡수제거부(22)에 흡수된다. 수분이 제거된 처리기체는 제2흡착부(232)와 제2산화촉매(72)를 경유한다. 수분이 제거된 처리기체에 남은 악취 오염물질이 제2흡착부(231)에서 최종적으로 흡착 농축되는 과정에서 제흡착부(232) 후단으로 악취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처리기체는 청정한 상태로 배출된다.
이때, 제1흡수제거부(21)에는 열원(50)에서 발생된 고온가스로 제1흡착부(231)에 공급하여 앞 공정에서 흡착된 악취 오염물질을 탈착시키고 제1흡착부(231) 후반에 설치된 제1산화촉매(71)에 의해 산화 제거하여 흡착제를 재생한다. 따라서 제1흡착부(231)의 흡착제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200)의 운영 유지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1흡착부(231)의 재생 후 나오는 고온가스를 제공하여 앞 공정에서 흡수된 제1흡수제거부(21)의 수분을 건조 제거하므로 제1흡수제거부(21)의 수분 흡수 용량이 재생된다. 따라서 수분을 흡수 및 건조 제거하는 제1흡수제거부(21)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흡수제거부(21)의 수분 흡수 및 제1흡착부(231)의 흡착 과정 및 제2흡수제거부(22)의 수분 건조 제거 및 제2흡착부(232)의 재생 과정을 교호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흡착제(230), 즉 제1, 제2흡착부(231, 232)가 악취 오염물질을 흡착 및 재생하는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제1, 제2흡착부(231, 232)의 흡착 및 재생 작용으로 인하여 흡착제(230)의 탈착이나 교체 없이 흡착제(230)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200)의 운영 유지비가 저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300)는 수세 반응기(10)의 전방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 발생기(60)를 더 포함한다. 오존 발생기(60)는 수세 반응기(10)의 전단에 오존을 공급하여, 유입되는 처리가스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에 오존을 반응시켜, 즉 일부 산화 과정을 통해서 오염물질의 수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세 반응기(10)에서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수세 반응기(wet scrubber) 20: 디미스터(demister)
21: 제1흡수제거부 22: 제2흡수제거부
30, 230: 흡착제 41, 241: 제1관로
42, 242: 제2관로 43: 제1제어밸브
50: 열원 53: 제2제어밸브
51: 제1열원관로 52: 제2열원관로
60: 오존 발생기 71: 제1산화촉매
72: 제2산화촉매 100, 200, 300: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231: 제1흡착부 232: 제2흡착부

Claims (11)

  1. 유입되는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을 수세 반응으로 수처리 하는 수세 반응기(wet scrubber);
    상기 수세 반응기에 연결되어 상기 수세 반응기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남은 악취 오염물질이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악취 오염물질을 추가로 제거하는 디미스터(demister); 및
    상기 디미스터에 연결되어 상기 디미스터를 경유한 처리기체에 포함된 악취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제
    를 포함하며,
    상기 디미스터는
    처리기체의 흐름에 역행하는 건조풍 또는 열풍을 제공하여 흡수된 수분을 제거하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의 후단에 설치되어 농축, 탈착되는 가연성 악취 오염물질을 산화 처리하는 산화촉매를 더 포함하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반응기와 상기 흡착제 사이를 연결하는 제1관로, 및
    상기 제1관로에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수세 반응기와 상기 흡착제 사이를 연결하는 제2관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미스터는
    상기 제1관로 및 제2관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미스터는
    상기 제1관로에 설치되어 수분을 흡수 또는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하는 제1흡수제거부, 및
    상기 제2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1흡수제거부의 작동에 반대로 흡수된 수분을 건조 제거 또는 수분을 흡수하는 제2흡수제거부
    를 포함하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로는
    상기 수세 반응기 측에서 상기 제1관로에 구비되는 제1제어밸브에 일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흡착제 측에서 상기 제1관로에 다른 일단으로 연결되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상기 수세 반응기의 후방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흡착부와 제2흡착부를 포함하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반응기, 상기 제1흡착부 및 상기 제1흡착부의 후방을 관통 연결하는 제1관로, 및
    상기 제1관로에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수세 반응기의 후방, 상기 제2흡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흡착부의 후방을 연결하는 제2관로
    를 더 포함하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열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열원은 상기 제1흡착부와 상기 제2흡착부에 제2제어밸브를 개재하여 분기된 제1열원관로와 제2열원관로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착제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1산화촉매, 및 상기 제2흡착제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산화촉매를 더 포함하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원관로는 상기 제1흡착제와 상기 제1산화촉매를 경유하여 상기 제1흡수제거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열원관로는 상기 제2흡착제와 상기 제2산화촉매를 경유하여 상기 제2흡수제거부에 연결되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반응기의 전방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KR1020210042906A 2021-04-01 2021-04-01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KR102536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06A KR102536368B1 (ko) 2021-04-01 2021-04-01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06A KR102536368B1 (ko) 2021-04-01 2021-04-01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786A KR20220136786A (ko) 2022-10-11
KR102536368B1 true KR102536368B1 (ko) 2023-05-26

Family

ID=8359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906A KR102536368B1 (ko) 2021-04-01 2021-04-01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3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079B1 (ko) 2000-10-17 2003-03-07 안창덕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응축식 회수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101536635B1 (ko) 2014-12-12 2015-07-14 부산환경공단 악취발생시설의 탈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361B2 (ja) * 1996-05-23 2000-06-19 株式会社デニム オゾン脱臭装置
KR102255620B1 (ko) * 2019-02-20 2021-05-26 한국화학연구원 Voc 저감 시스템 및 voc 저감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079B1 (ko) 2000-10-17 2003-03-07 안창덕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응축식 회수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101536635B1 (ko) 2014-12-12 2015-07-14 부산환경공단 악취발생시설의 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786A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281B1 (ko) 쓰레기처리장치
KR101549358B1 (ko) 에너지 효율적인 공기정화시스템
JP2010524628A (ja) 再生脱臭フィルターを備えた空気浄化器及びこの空気浄化器の再生脱臭フィルターの再生方法
JP2001205045A (ja) 二酸化炭素除去方法および二酸化炭素除去装置
KR20120082163A (ko)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처리시스템
JP2004351312A (ja) 活性炭を再生する方法と装置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空気浄化システム
CN111372669A (zh) 节能型浓缩转子及包括其的废气处理系统
JP5029590B2 (ja) 排水処理システム
JP2001299884A5 (ko)
JP2016147012A (ja) 分解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8188492A (ja) 水処理システム
KR102536368B1 (ko) 악취 오염물질 제거 장치
JP2010142728A (ja) 排ガス処理システム
KR100941399B1 (ko) 흡수·흡착제 순환형 다단 필터백을 이용한 연소 배기가스의 처리장치 및 방법
JP2010142730A (ja) 排水処理システム
JP2007000733A5 (ko)
KR100375079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응축식 회수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20020057852A (ko)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회수 및 제거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장치
JP4512993B2 (ja) 水処理装置
JPS61200837A (ja) 排ガス処理方法
JPH0618609B2 (ja) 道路トンネル等の換気ガスの浄化装置
JP2006035042A (ja) ガス浄化装置の再生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浄化方法
JP4512994B2 (ja) 水処理システム
JP3197072B2 (ja) アンモニア吸着剤の再生方法
KR200287399Y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 및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