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480A - 고층빌딩 외벽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층빌딩 외벽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480A
KR20020078480A KR1020010017592A KR20010017592A KR20020078480A KR 20020078480 A KR20020078480 A KR 20020078480A KR 1020010017592 A KR1020010017592 A KR 1020010017592A KR 20010017592 A KR20010017592 A KR 20010017592A KR 20020078480 A KR20020078480 A KR 20020078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ing
building
train
wash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183B1 (ko
Inventor
백윤강
Original Assignee
백윤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윤강 filed Critical 백윤강
Priority to KR10-2001-001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1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2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 E04G23/004Arrangements for cleaning building facades with arrangements for collecting waste water or cleaning pro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빌딩 벽면세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층빌딩은 외벽을 세척하기 위하여 가장 범용화된 수단이 사람이 밧줄에의하여 옥상에 견인된 채 수동식으로 세척하고 있다. 그외에 흡착수단이 겸비된 트레인에 세척기구를 싣고 세척하는 기계적방법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수동식에 의한 장치이외에는 실건물의 표면이 요철이 있고,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실제로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기계적인 자동세척부를 별도의 상하이송트레인에 의하여 건물벽면을 타고 승강용와이어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하면서, 상하이송트레인은 가이딩와이어에 의하여 리턴죠인트의 리턴스프링의 상호작용으로 벽체와 항시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이들 장치는 옥상에 설치된 콘트롤부에 의하여 임의로 조정가능케한 벽면세척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건물외벽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세척가능하게 하였다. 벽면세척시 발생하는 오폐수는 세척브러시를 내장한 하우징의 저면부에서 수집하여 별도 집수하여 민원발생의 소지도 없애주었다. 또한 세척부도 건물의 형태에 따라서 고저조정부에 의하여 높낮이가 조정되므로 세척될 건물의 형태에 제한받지않고 다양한 구조의 벽체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송트레인을 분리하고 일반적인 화물트레인을 연결하면 중량물을 이송할 수 있어 세척과 화물이송용으로 동시에 사용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고층빌딩 외벽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Washing machine for high tower building}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외벽을 자동으로 세척하기 위한 고층빌딩 외벽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건물이 고충화되고 있다. 고층화된 건물은 일반적인 저층건물과 달리 외벽을 세척하기위하여 특수한 수단이 필요하다. 즉, 수십층에 달하는 건물의 옥상에 별도의 견인와이어를 설치하고 이곳에 세척원이 탈 수 있는 장비를 묶어 서서히 하강하면서 세척작업이나 도색등의 작업이 진행된다. 그리고 고층에 있는 물건을 옮기려고 하는 경우에는 건물 옥상에 설치된 곤돌라 혹은 고가사다리를 이용하고 있다.
수동적인 세척작업은 튼튼한 밧줄을 옥상에 설치하고 이것에 의하여 사람이 타고 내리는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외에는 고가의 장비가 필수적이다.
세척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제공된 최근 기술로는 흡착판을 지니고 있는 트레인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반구형 판을 유리면에 부착하되 진공흡입처리하므로서 벽면에 세척을 위한 장비를 실은 트레인이 고정토록 한다는 원리이다. 그러나 벽면이 유리가 아닌 타일, 세멘트벽체등과 같이 요철이 있으면 진공이 형성되지 못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유리로 된 건물에서만 효과를 보이고 있다.
한국 1996-10996호는 로프가이드수단, 윈치등이 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된 옥상에 설치되는 승강장치에 의하여 전후진수단, 세척롤러들이 설치된 세척장치를 로프에 의하여 옥상으로 부터 승강가능하도록 하며, 세척장치에는 세척수들을 공급하는 세척수공급장치에 의하여 세척수를 연결사용토록 하였다. 여기서 세척브러시는볼트축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후진수단에 의하여 세척장치의 앞쪽에서 전진토록 하여 창문을 세척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장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세척장치가 유치면을 향하여 전진후퇴가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어 요철이 있는 벽면이라하여도 적응이 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모터, 볼트축, 브러시장치, 프레임등이 단지 2개의 로프에 의하여 옥상으로 부터 지상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져 만일 진동이나 심한 바람이 부는 경우 2가닥의 로프만으로 지지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대개의 건물이 수십m에 이르는 높이에 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세척장치가 세척하면서 발생하는 세척된 오물들이 별다른 수단이 없이 그대로 하강하는 단점이 있어 고속처리시 하부에 있는 행인들이 피해을 볼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세척장치가 중량이 많이 나가는관계로 이들 장치를 지지하는 전후진수단이 중량을 지탱할 정도의 지지력을 갖추기 위하여 상응하는 무게와 부피를 갖게 되어 옥상이 이들장치를 한번 설치하는 데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제98-33248호는 크레인에 의하여 건물외벽에 밀착하도록 하기 위한 세척장치로서 전면판에 강한 바람을 방출하여 전진력을 발생하는 밀착기를 부착하는 방식이 채용되며, 구름바퀴에 의하여 조향토록 하고, 캠모터에 의하여 전측방이 들려져 창문턱을 넘어가도록 하고 있다. 즉, 흡착판의 원리와 유사한 구조로 벽면에 밀착한다고 하나 이역시 벽면이 평탄하지 못한 경우에 밀착력이 약하여 강한 밀착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창문턱을 넘기위한 캠모터가 있다고하나 턱의 높이가 캠보다 큰 경우 전혀 쓸모가 없게되는 것이다.
그외에 다수의 고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건물외벽과의 밀착성을 기대한 만큼 보장하는 수단은 전무하며 부분적인 보완에 머물고 있다. 또다른 문제로 발생된 오물의 수거수단을 해결치 못하고 있으며,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 벽면의 형상에 지장받지않고 목표한 지점을 정확히 세척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몇가지 단점을 해소하고 경제성을 갖추는 동시에 휴대가 간편한 조립식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옥상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좌우로 연장축소가능하도록 절첩식구조를 갖춘 멤버에 의하여 고정부를 구성하고, 고정부에서 부터 지면까지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화물이송용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옥상설치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세척부와 이송트레인의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세척부와 이송트레인의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고정부의 수평회전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중앙부 2,3:좌우측고정부 4:수직부 5:수평부 6:견인조정부 7:가이딩부 9:프레싱와이어권취롤 10:지면측권취롤 46:가이딩롤러 11:가이딩와이어 12:승강용와이어 20:구동부 21:콘트롤판넬 31:회전브러시 C:카메라 22:관측모니터 32:분사노즐 33:하우징 34:고저조정부 35:연결구 48,48a,48b,48c:좌우상하측멤버 41,42,43,44:수직롤고정부 46:가이딩롤러 45:프레싱구조부
본 발명은 세척장치를 이송하는 이송트레인의 승하강과 벽면밀착을 와이어의 권취에 의하여 조정토록 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좌우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절첩식 구조물로 구성된 고정부와,
상기한 고정부에 설치되어 이송트레인의 승강을 위한 와이어의 권취와 세척부의 세척장치가동을 조정하는 콘트롤판넬과 관측모니터로 구성된 콘트롤부와,
상기한 고정부로 부터 견인되는 와이어에 의하여 견인되어져 벽면을 타고 승강하면서 세척제를 분무하면서 세척작업을 진행하면서 세척된 오폐수를 수집제거토록하며, 고저조정부에 의하여 함몰된 창문이나 벽체에 대한 밀착조정도 가능하게 구성된 세척부와,
상기한 세척부와 연결구에 의하여 일체로되어 승하강하되 벽체의 폭에 따른폭조정이 임의로 조정가능하도록 하면서 프레싱구조부에 의하여 벽면과의 밀착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이송트레인부로 구성된 고층빌딩 외벽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으로는 상기한 구성중에서 세척부와 이송트레인을 삭제하고 이곳에 박스형태의 화물트레인을 조립하여 고층건물용 화물이송용으로 이용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화물이송용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옥상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고정부와 콘트롤부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세척부와 이송트레인의 정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세척보와 이송트레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3 에 도시하듯이 중앙부(1)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하면서 내부가 중공구조인 봉상체의 좌우측고정부(2)(3), 수직부(4), 수평부(5) 그리고 수직부의 선단에서 건물외측으로 돌출되는 견인조정부(6), 견인조정부의 선단에 중앙이 수직교차토록 배치하는 가이딩부(7) 그리고 건물상측단에 설치된 프레싱와이어권취롤(9)에서 부터 지면측권취롤(10)까지 연결되어져 이송트레인의 가이딩롤러(46)를 압박한 채 연속연결된 가이딩와이어(11)로 구성된 신축가능한 구조의 고정부,
상기한 고정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구동부(20)를 콘트롤판넬(21)로 조작하여 이송트레인의 가이딩와이어(11)와 승강용 와이어(22)를 권취또는 해제하면서, 세척부의 배출노즐의 밸브를 개폐토록 하여 세척수와 세척제를 임의로 분무토록하고, 세척부에 설치된 회전브러시(31)의 회전방향도 조정토록 하는 콘트롤부,
상하이중으로 배치된 브러시(31)가 중앙의 분사노즐(32)을 경계로 회전가능토록 배치되어 건물측을 향하여 개방된 구조의 하우징(33)에 내장토록 하고, 하우징의 외측중앙부는 고저조정부(34)에 의하여 고정되고, 고저조정부는 하측의 이송트레인에 연결된 좌우이송가능한 연결구(35)에의하여 일체로 되어 이송트레인의 상측에서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한 세척부,
상기한 세척부와 일체로 되어 상하좌우로 배치된 신축가능한 구조의 좌우상하측멤버(48)(48a)(49)(49a)내측멤버(50)(50a)그리고 조절놉(48b)(48c)에 의하여 건물외벽의 폭에 대응하여 4귀의 수직롤고정부(41)(42)(43)(44)가 접하도록 하며, 그 반대측에는 가이딩롤러(46)가 선단에 설치된 프레싱구조부(45)를 가이딩와이어(11)의 압박력에 의하여 항시 건물외벽측으로 밀착토록 하는 이송트레인부로 구성된 고층건물외벽의 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 고정부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필요에 따라 길이조정이 가능한 다단절첩구조의 좌우측고정부(2)(3), 수직부(4), 수평부(5) 그리고 수직부의 선단에서 건물외측으로 돌출되는 견인조정부(6), 견인조정부의 선단에 수직교차토록 배치된 가이딩부(7)로 구성되며, 이들은 일반적인 볼트고정법, 나사체결법 혹은 억지끼움의 여러가지 조정법에 의하여 고정가능하다. 고정부에서 프레싱와이어권취롤(9)은 가이딩와이어(11)을 지면에 설치된 지면측권취롤(10)의 일단이 고정토록 하여 내장된 구동모터에 의한 권취와 해제가 가능토록 하되 가이딩와이어(11)는 이송트레인의 가이딩롤러(46)을 걸쳐 지나면서 트레인전체를 압박토록 한다.
고정부의 중앙부에는 미도시하였으나 구동모터의 정역회전방향을 전환하기위한 장치, 속도조절장치들이 내장되어 상기한 주구동모터(M)등의 속도와 방향을 제어토록 한다. 그리고 고정부의 수직부(4)에는 임의의 위치에 방향변환용 핸들(4a)를 설치하여 수직부를 도 6에 도시하듯이 핸들의 조작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발명의 장치를 화물이송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화물을 적재한 다음 목표한 층에 도달하면 도 6과 같이 수직부의 핸들의 조작으로 수평방향이동으로 화물이 목표층에 접근토록 하여 수하물 이송에 이용가능한 것이다. 고정부의 수평부(5)의 선단에는 스냅고정부(8)이 설치되어져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다른 구조물에 고정토록하여 고정부 전체의 지지점을 형성토록 한다.
본 발명의 콘트롤부는 관측모니터(22)가 이송트레인에 설치된 관측카메라(C)와 연결되어져 현재의 이송트레인에 의하여 이송되는 세척부의 위치를 육안관측가능하게 한다. 관측카메라는 전후좌우로 방향전환가능한 장치를 부착하여 필요한 부분을 관측할 수 있으며, 조명장치를 첨부하여 어두운 부분에 대한 관측에도 어려움이 없도록 한다. 콘트롤부의 콘트롤판넬(21)은 기존의 마이컴, PLC, 퍼스널컴퓨터등을 이용하여 제어가능하며, 구동모터의 온.오프, 방향전환, 속도변화정도에 머물기 때문에 대용량 혹은 고도의 정밀제어장치가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부구조는 생략처리한다.
본 발명의 세척부는 하우징(33)이 반구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하2개의 회전브러시(31)(31a)를 서로 마주 대응토록 설치하며, 양측의 회전브러시 중앙에는 분사노틀(32)이 배치되어져 하우징상단의 공급구(39)를 통하여 공급된 세척제 혹은 세척수들이 건물을 향하여 분사토록 한다. 세척부는 세척이 필요한 창문이나 벽체가 건물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건물의 상태에 따라서 고저조정부(34)를 이용하여 벽체와 밀착토록 한다. 하우징의 상하측단에는 건물과의 마찰과 이송을 위하여 탄성휘일(37)이 설치되어져 창문등에 접하는 경우 상하이송의 저항을 없애고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제거토록 한다. 하우징의 저면부에는 오폐수 배출로(38)를 설치하여 세척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물이나 오수들이 이곳에 집중되어 배출도관(39)을 통하여 별도의 집수조로 이송처리토록 한다. 세척부의 고저조정부(34)는 일반적인 랙엔피니언, 모터측과 축결된 볼트축등의 기계적인 이송수단에 연결토록하며, 본 발명에서는 랙엔피니언형태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세척부를 목표한 지점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트레인부는 일반적인 프레임구조물에 의하여 육면체 형태로 구성하되 상.하수평멤버(48)(48a)의 양단에는 길이조정가능한 절첩식구조의 수직멤버(41)(42)(43)(44)가 4귀에 고정토록 하고 이 수평멤버는 양측 중간에 설치된 조절놉(48b)(48c)의 조정에 의하여 길이를 임의로 신축가능토록한다. 조절놉은 스크류방식외에도 탭볼트체결식, 핀고정식등이 모두 채용가능하며 고정과 해체가 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다. 상기한 수평멤버의 내측에는 내측수직멤버(49)(49a)가 설치되어지며 그 내측으로 또다른 수평멤버(50)(50a)을 설치하도록 하고 수평멤버(50)(50a)에는 프레싱구조부(45)의 하단측이 체결토록 하는 리턴죠인트(47)이 연결토록 한다. 리턴죠인트의 내부에는리턴스프링(47a)가 내장되어져 체결된 프레싱구조부(45)를 항시 중앙측(건물외측)으로 항시 리턴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프레싱구조부의 상단부에는 가이딩롤러(46)이 설치되어져 고정부에서 연장설치되어져 나온 가이딩와이어(11)에 걸치도록 하여 항시 압박토록 한다. 즉, 리턴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프레싱싱구조부는 항시 건물외측으로 돌아가도록 하며, 가이딩와이어(11)는 역방향으로 압박하므로 이것에 연결된 이송트레인은 도시하듯이 건물외측벽에 밀착되는 것이다.
미도시하였으나 건물의 옥상에는 세척부에 공급될 세척수와 세척용액이 저장된 저장조를 2개 설치하여 주며, 고정부의 핸들(42)에 설치된 절환밸브스위치에 의하여 사용자가 세척수와 세척액을 임의로 온.오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공하는 것은 도2에 도시하듯이 건물에 화물을 이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세척부와 이송트레인을 제거하고 승강용와이어(25)의 선단에 이송박스(26)을 고정하여 승하강처리하면 목적한 층에 화물을 이송할 수 있으며, 특히 고층건물에 대한 이삿짐의 이송에 특히 적합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하듯이 중앙부(1)를 중심으로 좌우측고정부(2)(3)을 좌우로 길게 연장하여 건물의 옥상측난간등에 고정토록 하고 수평부(5)도 길게 연장하여 다른 구축물에 고정토록 하여 삼방향 지지점을 확보한다. 이상태에서 수직부(4)를 연장하고 수직부 상단에는 견인조정부(6)를 연장하며, 그 단부에는 가이딩부(7)를 고정한다. 이들 고정부내부는 중공구조이므로 이곳을 통하여 승강용와이어(25)가 연결되어져 구동모터(20)의 작동력에 따라 와이어의 당김과 수축이 진행토록 한다. 승강용와이어의 양단에는 이송트레인의 상수평멤버(48)에 연결토록 하고, 세척부의 하우징상측단에 있는 공급구(39)에 세척수와 세척액 공급도관을 연결토록 한다. 이상태에서 승강용와이어(25)를 서서히 하강하면서 관측모니터(22)를 통하여 세척할 벽면의 상태를 파악하며, 벽면의 고저가 있으면 고저조정부(34)를 가동시켜 세척용 브러시가 벽면이나 유리창에 밀착토록 한다. 그리고 이송트레인은 4귀의 수직롤고정부(41)(42)(43)(44)의 중간에 있는 조정탭, 핀등의 조절로 길이를 조정하여 벽체와 접촉할 높이를 조정하여 하강하도록 한다.
세척부에 있는 분사노즐(32)은 벽체를 향하여 배치되므로 필요한 세척수와 세척액을 분사하며, 브러시가 세척하고 나면 그 세척된 오폐수는 하우징저면의 오폐수배출로(38)를 통하여 지상의 다른 집수조로 저장제거토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은 세척부가 이송트레인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강하되 별도의 고저조정부(34)에 의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며, 동시에 이송트레인도 높낮이가 조절되어 목적한 위치에서 정확한 세척작업이 진행가능한 것이다.
또한 발생된 오폐수는 하우징 저면의 오폐수배출로를 통하여 수집제거되므로 건물아래의 행인들이 받을 피해도 근본적으로 해결토록 한다.
또다른 특징적효과로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측고정부, 수평부, 수직부등이 모두 조립식으로 절첩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목적한 건물의 옥상등에 파지하여 이송하기가 대단히 용이하여 작업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다른 효과로는 이송트레인의 좌우측폭과 높이를 임의로 조정가능하므로 건물의 외벽이 굴곡이 지거나 일부분이 평탄치 않다고 하여도 높낮이의 조절로 벽체와 항시 밀착성을 유지가능하다.
또다른 효과로는 가이딩와이어(11)이 이송트레인을 항시 벽체로 밀어주며, 이송트레인에 설치된 리턴죠인트(47)내의 리턴스프링은 반발토록 하므로 스프링탄발력에 의하여 벽체외 이송트레인이 상당한 탄력을 갖고 밀착되므로 다소간의 오차가 있다고 하여도 수용가능하며, 탄성적인 접촉이므로 일시적인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흡수제거하는 것이다.

Claims (6)

  1. 중앙부(1)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한 중공봉상구조의 좌우측고정부(2)(3), 수직부(4), 수평부(5) 그리고 수직부의 선단에서 건물외측으로 돌출되는 견인조정부(6), 견인조정부의 선단에 중앙이 수직교차토록 배치하는 가이딩부(7) 그리고 건물상측단에 설치된 프레싱와이어권취롤(9)에서 부터 지면측권취롤(10)까지 연결되어져 이송트레인의 가이딩롤러(46)를 압박한 채 연속연결된 가이딩와이어(11) 그리고 상기한 가이딩부의 양측단에서 노출되어 이송트레인을 견인하는 승강용와이어(12)로 구성된 신축가능한 구조의 고정부,
    상기한 고정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구동부(20)를 콘트롤판넬(21)로 정역 혹은 온.오프그리고 속도증감을 조작하여 이송트레인의 가이딩와이어(11)와 승강용 와이어(12)를 권취또는 해제하면서, 세척부의 배출노즐의 밸브를 개폐토록 하여 세척수와 세척제를 임의로 분무토록하고, 세척부에 설치된 회전브러시(31)의 회전방향을 조정토록 하며, 전체적인 작동상태와 위치를 이송트레인에 설치된 카메라(C)로 부터 입력된 화상데이터에 의하여 모니터가능하도록 하는 관측모니터(12)로 구성된 콘트롤부,
    상하이중으로 배치된 브러시(31)가 중앙의 분사노즐(32)을 경계로 회전가능토록 배치되어 건물외측을 향하여 개방된 구조의 하우징(33)에 내장토록 하고, 하우징의 외측중앙부는 고저조정부(34)에 의하여 고정되고, 고저조정부는 하측의 이송트레인에 연결된 좌우이송가능한 연결구(35)에 의하여 일체로 되어 이송트레인의상측에서 수평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한 세척부,
    상기한 세척부와 일체로 되어 상하좌우로 배치된 신축가능한 구조의 좌우상하측멤버(48)(48a)(49)(49a)내측멤버(50)(50a)에 의하여 기본프레임을 구성하되 조절놉(48b)(48c)에 의하여 건물외벽의 세척해당부위의 폭에 대응하여 4귀의 수직롤고정부(41)(42)(43)(44)의 폭을 조절가능토록 하며, 그 반대측에는 가이딩롤러(46)가 선단에 설치된 프레싱구조부(45)를 가이딩와이어(11)의 압박력에 의하여 항시 건물외벽측으로 밀착토록 하는 이송트레인부로 구성된 고층건물외벽의 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부에 있어서 프레싱와이어권취롤(9)은 가이딩와이어(11)를 지면에 설치된 지면측권취롤(10)의 일단이 고정토록 하여 내장된 구동모터의 온오프와 정역회전동작에 의한 권취와 해제가 가능토록 하되 가이딩와이어(11)는 이송트레인의 가이딩롤러(46)을 걸쳐 지나면서 트레인전체를 압박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외벽의 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부의 수직부(4)에는 임의의 위치에 방향변환용 핸들(4a)을 설치하여 수직부를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하며,
    고정부의 수평부(5)의 선단에는 스냅고정부(8)이 설치되어져 건물의 옥상에설치된 다른 구조물에 고정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외벽의 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세척부는 하우징(33)이 반구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하2개의 회전브러시(31)(31a)를 서로 마주 대응토록 설치하며, 양측의 회전브러시 중앙에는 분사노즐(32)이 배치되어져 하우징상단의 공급구(39)를 통하여 공급된 세척제 혹은 세척수들이 건물을 향하여 분사토록 하고,
    고저조정부(34)가 하우징의 중앙측외부에 설치되며,하우징의 상하측단에는 탄성휘일(37)이 설치되어지고, 저면부에는 오폐수 배출로(38)를 설치하여 배출도관(39)을 통하여 집수제거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외벽의 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트레인부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하되 상.하수평멤버(48)(48a)의 양단에는 길이조정가능한 절첩식구조의 수직멤버(41)(42)(43)(44)가 4귀에 고정토록 하고 이 수평멤버는 양측 중간에 설치된 조절놉(48b)(48c)의 조정에 의하여 길이를 임의로 신축가능토록하며,
    수평멤버의 내측에는 내측수직멤버(49)(49a)가 설치되어지며 그 내측으로 또다른 수평멤버(50)(50a)을 설치하도록 하고 수평멤버(50)(50a)에는프레싱구조부(45)의 하단측이 체결토록 하는 리턴죠인트(47)를 연결토록 하며,
    리턴죠인트의 내부에는 리턴스프링(47a)이 내장되어져 체결된 프레싱구조부(45)를 항시 중앙측(건물외측)으로 항시 리턴하도록 설치하고, 프레싱구조부의 상단부에는 가이딩롤러(46)가 고정부에서부터 연장설치되어져 나온 가이딩와이어(11)에 걸치도록 하여 항시 건물외벽측을 향하여 압박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외벽의 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
  6. 중앙부(1)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하면서 내부가 중공구조인 봉상체의 좌우측고정부(2)(3), 수직부(4), 수평부(5) 그리고 수직부의 선단에서 건물외측으로 돌출되는 견인조정부(6), 견인조정부의 선단에 중앙이 수직교차토록 배치하는 가이딩부(7) 그리고 상기한 가이딩부의 양측단에서 노출되어 이송트레인을 견인하는 승강용와이어(12)로 구성된 신축가능한 구조의 고정부,
    상기한 고정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구동부(20)를 콘트롤판넬(21)로 조작하여 이송트레인의 가이딩와이어(11)와 승강용 와이어(22)를 권취또는 해제하면서, 세척부의 배출노즐의 밸브를 개폐토록 하여 세척수와 세척제를 임의로 분무토록하고, 세척부에 설치된 회전브러시(31)의 회전방향도 조정토록 하는 콘트롤부,
    승강용와이어(25)의 선단에 이송박스(26)을 고정한 고층건물외벽의 세척 및 화물이송시스템.
KR10-2001-0017592A 2001-04-03 2001-04-03 고층빌딩 외벽세척 시스템 KR100437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592A KR100437183B1 (ko) 2001-04-03 2001-04-03 고층빌딩 외벽세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592A KR100437183B1 (ko) 2001-04-03 2001-04-03 고층빌딩 외벽세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480A true KR20020078480A (ko) 2002-10-19
KR100437183B1 KR100437183B1 (ko) 2004-06-23

Family

ID=2769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592A KR100437183B1 (ko) 2001-04-03 2001-04-03 고층빌딩 외벽세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18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513B1 (ko) * 2006-04-20 2007-07-19 김대봉 빌딩 벽면 프린팅 시스템
KR101275303B1 (ko) * 2009-06-23 2013-06-14 이상현 집광판의 세정장치
KR101326878B1 (ko) * 2013-03-04 2013-11-11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수평보상 장치가 구비된 벽면프린팅 시스템
WO2014066702A1 (en) * 2012-10-24 2014-05-01 Sky Pro LLC Compact automated window washing apparatus
KR101461305B1 (ko) * 2013-01-25 2014-11-13 김동훈 건물 외벽 세척장치 및 이 장치의 옥상 견인 장치
KR101484169B1 (ko) * 2013-06-19 2015-01-21 변재식 외벽도장장치
CN106539537A (zh) * 2016-12-07 2017-03-29 成都绿迪科技有限公司 用于建筑物表面的循环清洁设备
CN110301869A (zh) * 2019-08-08 2019-10-08 四川爱净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洗建筑外墙的外墙清洗设备
KR20210032115A (ko) * 2019-09-16 2021-03-24 박정규 도포 장치
CN116458798A (zh) * 2023-05-17 2023-07-21 云南农业大学 一种可防止水渍残留的幕墙玻璃清洗设备
CN110301869B (zh) * 2019-08-08 2024-05-31 四川爱净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洗建筑外墙的外墙清洗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119B1 (ko) * 2020-07-07 2021-01-29 김소중 비산방지 기능을 가지는 건물외벽 무인 도장장치
WO2022266735A1 (pt) * 2021-06-22 2022-12-29 Smartec Tecnologia Ltda Equipamento suspenso para pintura e limpeza de superfícies planas verticai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0503A (en) * 1992-04-27 1993-08-31 Roni Levy Remote-controlled system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of buildings
JP2676131B2 (ja) * 1994-02-04 1997-11-12 ドーエイ外装有限会社 作業用ゴンドラ
KR960010996B1 (ko) * 1994-07-15 1996-08-16 이민수 고층건물 청소기(skyline cleaner)
KR19980064920A (ko) * 1998-06-05 1998-10-07 박지순 건물외벽 청소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513B1 (ko) * 2006-04-20 2007-07-19 김대봉 빌딩 벽면 프린팅 시스템
KR101275303B1 (ko) * 2009-06-23 2013-06-14 이상현 집광판의 세정장치
US9681784B2 (en) 2012-10-24 2017-06-20 Pachanga Holdings, Llc Compact automated window washing apparatus
WO2014066702A1 (en) * 2012-10-24 2014-05-01 Sky Pro LLC Compact automated window washing apparatus
KR101461305B1 (ko) * 2013-01-25 2014-11-13 김동훈 건물 외벽 세척장치 및 이 장치의 옥상 견인 장치
WO2014137083A1 (ko) * 2013-03-04 2014-09-12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수평보상 장치가 구비된 벽면프린팅 시스템
CN104185558B (zh) * 2013-03-04 2016-12-14 罗博特普润特株式会社 具有水平补偿装置的壁面印刷系统
KR101326878B1 (ko) * 2013-03-04 2013-11-11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수평보상 장치가 구비된 벽면프린팅 시스템
KR101484169B1 (ko) * 2013-06-19 2015-01-21 변재식 외벽도장장치
CN106539537A (zh) * 2016-12-07 2017-03-29 成都绿迪科技有限公司 用于建筑物表面的循环清洁设备
CN110301869A (zh) * 2019-08-08 2019-10-08 四川爱净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洗建筑外墙的外墙清洗设备
CN110301869B (zh) * 2019-08-08 2024-05-31 四川爱净净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洗建筑外墙的外墙清洗设备
KR20210032115A (ko) * 2019-09-16 2021-03-24 박정규 도포 장치
CN116458798A (zh) * 2023-05-17 2023-07-21 云南农业大学 一种可防止水渍残留的幕墙玻璃清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7183B1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2446B2 (en) Automated cleaning system for structures
CN102657492A (zh) 一种自动化玻璃擦洗器
US8790468B2 (en) Stabilized vertical surface cleaning
KR100437183B1 (ko) 고층빌딩 외벽세척 시스템
US52493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exterior building surfaces
CN108190667B (zh) 一种电梯用按钮消毒设备
CN215777828U (zh) 一种外墙清洁机
CN105935276A (zh) 一种可跨越障碍的幕墙清洁系统
KR20060122513A (ko) 빌딩 외벽면 유리창 청소기.
CN110284446A (zh) 一种城市道路高压清洗系统
USRE36649E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exterior building surfaces
CN107254860A (zh) 一种交通隔离路障专用花岗岩车阻石全方位刮扫清洗机
CN111530682A (zh) 一种电梯维护保养辅助装置
EP0733528B1 (de) Vorrichtung zur vollautomatischen Reinigung eines Fahrrades
CN209003845U (zh) 高层建筑外墙空气压力吹洗机
CN214295882U (zh) 一种砂浆运送车清洗装置
CN2558475Y (zh) 高层建筑外墙清洗、装饰装置
JP3013768U (ja) ビル外壁洗浄機
CN2413807Y (zh) 高层建筑外幕墙清洗机
KR200349753Y1 (ko) 건물외벽 청소기
KR20090112285A (ko) 전동 계단 청소차
JP2000166837A (ja) クリーナユニット
JPH01171521A (ja) 天井洗浄装置
KR200177455Y1 (ko) 건축물 외벽 세척 시스템
CN112193213B (zh) 一种机器人自动洗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