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077A -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멀티미디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멀티미디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077A
KR20020078077A KR1020010017936A KR20010017936A KR20020078077A KR 20020078077 A KR20020078077 A KR 20020078077A KR 1020010017936 A KR1020010017936 A KR 1020010017936A KR 20010017936 A KR20010017936 A KR 20010017936A KR 20020078077 A KR20020078077 A KR 2002007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control
control signal
multimedia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프
Priority to KR1020010017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077A/ko
Publication of KR2002007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0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운동 여부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장치는 움직임 감지부, 마이컴 제어부 및 구동부를 구비한다. 움직임 감지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마이컴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설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구동부는 제 1 제어 신호 및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차별적으로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설정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는 설정 시간 입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움직임 감지부는 소정의 헬스 운동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장치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의하여 사용자는 흥미를 잃지 않으면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Control device capable of motion detection and multimedia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인류는 다양한 편의시설과 양질의 생활 여건에 힘입어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사회가 도래하면서 현대인들은 컴퓨터 앞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졌다. 특히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컴퓨터 앞에 앉아서 물건을 구입할 수 있음은 물론 증권 거래 및 은행 업무까지도 볼 수 있는 세상이 도래하였다. 이러한 전자 멀티미디어 시대는 현대인들의 생활을 윤택하게 해주며, 개개인의 개성이 과거보다 존중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현대인들이 컴퓨터 앞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일들이 증가하면서, 현대인들의 운동 부족에 대한 각종 질병의 발생이 심각하게 우려된다. 종래에는 직접 몸을 움직여서 처리해야했던 많은 일들이 이제는 책상 앞에서 단순한 마우스 조작만으로 가능해지면서 현대인들의 운동량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운동을 하여야만 하는 시점에 와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은 스트레스 해소 방안으로 몸을 움직이는 운동을 선택하기 보다는 컴퓨터 게임을 선호한다. 그 이유는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덩달아 게임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달함으로써, 예전에는 혼자서 하던 게임을 지금은 배틀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여러 사람과 함께 즐길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컴퓨터 게임은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해소에는 어느정도 도움을 줄지 몰라도, 현대인들의 건강에는 치명적인 유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현대인들이 예전처럼 몸을 직접 움직임으로써 방지할 수 있는 많은 위험요소들이 단순한 키보드 및 마우스 조작으로는 방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컴퓨터 게임은 그 특성상 다른 신체부위의 근육을 이용하지않고, 단지 손가락의 힘만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컴퓨터 입력 장치를 조작한다. 그러므로 고정된 자세로 장시간 게임에 몰입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장시간 과도하게 고정된 자세를 취하게 되면 신체적으로는 거의 운동량이 없기 때문에 컴퓨터 게임 후에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오히려 증가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신체 각 부위에 통증이 유발되거나 신체적 발달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따라 최근에는 디디알(DDR) 및 펌프(pump)와 같이 직접 몸을 움직여서 하는 운동이 큰 호응을 얻고 그 시장이 급신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게임들은 동작이 단순하며, 더 나아가 운동하게 되는 동작이 단순하기 때문에그 한계가 매우 크다. 예를 들어 디디알의 경우 사용자는 단순한 발동작만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기 때문에 무릎 부위에 지속적인 부담이 가해져 오히려 특정 근육의 마비라는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운동을 야기하는 운동 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그런데, 운동을 할 경우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단순히 운동을 해야한다는 의지만 가지고는 몸이 아플 경우 등 의지가 약해질 경우에는 쉽게 운동을 중단하게 된다. 또한, 바쁜일이 있는 등 잠시 쉬었다 다시 운동을 시작하려고 해도 일단 잠시 쉬고난 후에는 의지가 약해져서 그만 운동을 중단하게 되는 경우가 보통이다.
그러므로, 어떤 운동을 할 경우에 흥미를 느끼게하여, 운동 효과를 유지하고, 건강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운동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제어 장치12 ... 헬스용 사이클
14 ... 텔레비전22 ... 움직임 감지부
24 ... 마이컴 제어부 26 ... 구동부
32 ... 헬스용 운동 기구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사용자의 운동 여부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움직임 감지부, 마이컴 제어부 및 구동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움직임 감지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마이컴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설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구동부는 제 1 제어 신호 및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차별적으로 제어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설정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는 설정 시간 입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움직임 감지부는 소정의 헬스 운동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움직임 감지부 및 마이컴 제어부를 구비한다. 움직임 감지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마이컴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설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 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은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에 의하여 차별적으로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헬스 운동 장비는 헬스용 사이클이며, 동작부는 사용자가 페달을 밟을 때 회전하는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정지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고,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은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정지 위치에서부터 재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운동 시스템은 헬스 운동 기구(12), 제어 장치(10) 및 텔레비전(14)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헬스 운동 기구(12)는 헬스용 사이클이지만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헬스 운동기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헬스용 사이클은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어 장치(10)는 헬스 운동기구(12)로부터 운동 신호(EXC)를 수신한다. 그리하여, 수신된 운동 신호(EXC)를 분석하여 헬스 운동기구(12)에 동작이 있는지를 감지한다. 만약 설정된 시간동안 헬스 운동기구(12)에 동작 변화가 없으면, 제어 장치(10)는 텔레비전(14)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어 장치(10) 내부의 구성은 도 2에서 상세히 후술된다.
또한, 제어 장치(10)는 헬스 운동 기구(12)로부터 동작 변화가 있는지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그리하여 수신된 운동 신호(EXC)를 분석하여 헬스 운동 기구(12)에 동작 변화가 있으면, 즉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면, 제어 장치(10)는 텔레비전(14)의 동작을 재개시킨다. 생성된 제 2 제어 신호는 텔레비전의 동작을 재개시키는 재생 신호일 수 있다.
간략히 정리하면,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운동이 없으면 텔레비전(14)의 동작이 정지되고(꺼지고), 사용자가 운동을 재개하면 텔레비전(14)의 동작이 재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텔레비전을 시청하려면 지속적으로 운동을 해야하고, 그 결과로 지속적인 운동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는 지속적인 운동 효과를 얻는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지속적인 흥미 유지가 보장된다.
전술된 설정 시간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5분을 설정해 두었다면, 운동 중에 사용자는 5분의 휴식을 취하면서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다. 다만, 5분 이상의 휴식을 취한다면, 텔레비전의 전원이 꺼지므로, 사용자는 다시 운동을 시작해야만 지속적으로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설정한 설정 시간이 거의 만료될 즈음에 제어 장치(10)는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운동을 다시 시작해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갑자기 무리하게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근육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제어 장치(10)는 텔레비전(14)의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어 장치(10)는 반드시 스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의 운동이 장시간 정지되었을 경우에 발생되는 제 1 제어 신호 및 운동이 재개되었을 경우에 발생되는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텔레비전(14)의 동작을 차등화하여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10)는 텔레비전(14)의 외부에 별도로 존재함으로써 어느 종류의 전자 장치에도 동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장치(10)만을 가지고서 모든 종류의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운동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 장치(10)는 그 설치 및 구성이 간단하므로 전자 장치에 쉽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는 전자 장치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스위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20)의 구성 및 동작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어 장치(20)는 움직임 감지부(22), 마이컴 제어부(24), 구동부(26), 설정 시간 입력부(28) 및 디스플레이부(29)를 구비한다.
움직임 감지부(22)는 헬스 운동 기구(도 1의 12 참조)의 소정의 움직임 부위에 부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움직임 감지부(22)는 헬스용 사이클(12)의 바퀴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가 동작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움직임 감지부(22)는 빛을 이용한 발광부(미도시) 및 수광부(미도시)를 구비한다. 그래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나 헬스 운동 기구의 움직임 부위를 빛이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빛이 발광부로부터 수광부에 도달하면 도달된 광량(intensity) 이상일 때 일정한 신호가 운동 신호(EXC)로 발생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하여 헬스 운동 기구의 움직임 부위를 통과하는 빛이 차단되면, 일정하지 않은 운동 신호(EXC)가 마이컴 제어부(24)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수광부에 도달된 광량이 감소하면, 즉 움직임 부위에 동작 변화가 있으면, 운동 신호의 위상 또는 진폭이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헬스 운동 기구로 러닝 머신(running machine)이 사용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움직임 감지부(22)의 발광부 및 수광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움직임 감지부(22)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헬스용 사이클의 경우 바퀴나 체인이 돌아가는 부위, 또는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하는 부분이 발광부 및 수광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감지 센서의 동작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구동부(26)는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STOP, PLAY)를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장치(도 1의 12 참조)를 구동시킨다. 구동부의 동작 원리는 전술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디스플레이부(29)는 설정 시간 입력부(28)를 통하여 입력된 설정 시간을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운동을 중지했을 경우 설정 시간이 저절로 감소하는 추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시간이 5분인 경우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운동을 정지하고 1분이 흐르면 디스플레이부(29)는 4분의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든지 디스플레이부(29)를 관찰하여 남은 휴식 시간을 알 수 있다.
마이컴 제어부(24)는 움직임 감지부(22)에서 발생된 운동 신호(EXC)를 수신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헬스 운동 기구의 움직임 부위의 동작 여부에 따라서 운동 신호(EXC)에 변화가 생긴다. 만일 사용자가 운동을 하지 않는다면, 일정한 운동 신호(EXC)가 발생되어 마이컴 제어부(24)에 전달된다. 그러면 마이컴 제어부(24)는 이러한 상태가 설정 시간동안 지속되는 지를 판단하여 제 1 제어 신호(STOP) 또는 제 2 제어 신호(PLAY)를 발생한다. 설정시간 이상 운동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면 마이컴 제어부(24)는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구동부(26)에 전달한다. 또한, 마이컴 제어부(24)는 설정 시간 입력부(28)에 입력된 시간으로부터 점점 감소하는 시간을 디스플레이부(29)에 표시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설정된 설정 시간이 임박하면, 문자를 디스플레이부(29)에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을 재개하도록 알려줄 수 있다.
설정 시간이 만료하도록 운동이 없으면 마이컴 제어부(24)는 제 1 제어 신호(STOP)를 구동부(26)로 송신한다. 구동부(26)는 수신된 제 1 제어 신호(STOP)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1 제어신호(STOP)에 응답하여 구동부(26)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마이컴 제어부(24)는 제 1 제어 신호를 발생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운동 신호(EXC)를 분석한다. 만일, 움직임 감지부(22)의 출력 신호인 운동 신호(EXC)에 변호가 생긴다면, 사용자가 운동을 재개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마이컴 제어부는 제 2 제어 신호(PLAY)를 발생하여 구동부(26)로 송신한다. 그러면, 구동부(26)는 수신된 제 2 제어 신호(PLAY)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2 제어 신호(PLAY)에 응답하여 구동부(26)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재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26)는 제 1 제어 신호(STOP) 및 제 2 제어 신호(PLAY)에 각각 응답하여, 전자 장치의 원격 수신부(미도시)로 제 1 제어 명령 및 제 2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무선 원격 송신장치일 수 있다. 즉, 구동부(26)는 전자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구동부(26)는 적외선 레이저를 구비하여, 제1 및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적외선(파장 940nm) 빔을 방출한다. 적외선 빔은 부호화된 신호로 전달하며 수신된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0과 1로 된 2진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송신된 적외선 빔이 전자 장치의 수신부(미도시)에 수신되면 포토다이오드(미도시)가 적외선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일을 한다.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증폭 회로, 검파 회로 등 공지된 회로등을 거쳐 채널을 바꾸거나 음량을 조절하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은 원격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제 1 제어 명령및 제 2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를 텔레비전으로 예를 들기로 한다. 그러면, 제 1 제어 신호(STOP)가 수신되면, 텔레비전(14)은 특정 채널로 채널을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제어신호(PLAY)가 수신되면(즉 운동이 개시되면) 다시 원래의 채널로 복귀될 수 있다. 또는 제 1 제어 신호(STOP)에 응답하여 텔레비전(14)의 볼륨이 작아지고, 제 2 제어 신호(PLAY)에 응답하여 텔레비전의 볼륨이 원상태로 회복되는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는 텔레비전을 차별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기타 구동부(26)의 구성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더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도 2에 도시된 제어 장치(20)의 구성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마이컴 제어부(24)는 반드시 두 종류의 제어 신호(STOP, PLAY)만을 발생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운동을 중지하고 있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 순차적인 다수의 제어 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구동부(26)는 수신된 제어 신호들에 따라서 전자 장치(미도시)의 동작을 차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을 정지한 시간이 1분을 넘을 때마다 순차적으로 상이한 제어 신호가 발생되고, 구동부(26)는 이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의 음량을 점점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34)은 헬스 운동 장치(32)에 연결된다. 헬스 운동 장치(32)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 장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멀티미디어 시스템(34)은 헬스 운동 장치의 움직임 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운동을 감지한다. 사용자가 운동을 하지 않으면 멀티 미디어 시스템(34) 내부의 마이컴 제어부(미도시)가 이를 판단하여 멀티미디어 시스템(34)의 동작을 제어한다. 마이컴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은 도 2에서 자세히 전술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시스템(34)은 제 1 제어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멀티미디어 매체의 현재 위치를 기억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 2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멀티미디어 매체의 재생이 재개될 때 저장되었던 위치를 반환하여 그 위치부터 자연스럽게 재생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어 장치가 도 3의 멀티미디어 장치(34) 내부에 내장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장치(34)의 구성 및 동작이 도 1에 도시된 텔레비전(14)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하여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제어 장치가 멀티미디어 시스템(34)에 내장되면, 별도의 장치 없이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이 제어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 장치로서 멀티미디어 장치의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종류의 전자 장치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뿐만아니라, 멀티미디어 장치는 텔레비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DVD, 비디오 CD(VCD), CD 등 모든 종류의 멀티미디어 매체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에는 인터넷 방송 수신기 및 양방향 디지털 방송 수신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도 물론 포함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제어 장치는 반드시 하드웨어 적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움직임 감지부, 마이컴 제어부, 구동부 등은 모두 하나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운동 정보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의하여, 사용자는 흥미를 잃지 않고 지속적인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운동 여부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설정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 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제어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차별화되게 제어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설정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는 설정 시간 입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소정의 헬스 운동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턴오프 및 턴온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원격 수신부로 제 1 제어 명령 및 제 2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무선 원격 송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멀티미디어 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7.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설정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 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은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차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소정의 헬스 운동 장비의 동작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운동 장비는 헬스용 사이클이며, 상기 동작부는 상기 사용자가 페달을 밟을 때 회전하는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정지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은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정지 위치에서부터 재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KR1020010017936A 2001-04-04 2001-04-04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멀티미디어시스템 KR20020078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936A KR20020078077A (ko) 2001-04-04 2001-04-04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멀티미디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936A KR20020078077A (ko) 2001-04-04 2001-04-04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멀티미디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077A true KR20020078077A (ko) 2002-10-18

Family

ID=2769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936A KR20020078077A (ko) 2001-04-04 2001-04-04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멀티미디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0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049A (ko) * 2013-12-23 2016-10-0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미디어 콘텐츠의 자동 일시정지 기능을 갖는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US9517383B2 (en) 2012-04-20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multimedia exercise content based on exercise amount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8095A (en) * 1977-09-12 1981-07-14 Lapeyre Pierre A Exercise monitor system and method
KR960006564A (ko) * 1994-07-13 1996-02-23 김광호 텔레비젼 수신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960036566A (ko) * 1995-03-10 1996-10-28 배순훈 자동 오프 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KR970004937A (ko) * 1995-06-13 1997-01-29 구자홍 리모콘을 이용한 움직임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000054121A (ko) * 2000-05-23 2000-09-05 유영재 헬스운동 기능을 갖는 컴퓨터 입력장치 및 게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8095A (en) * 1977-09-12 1981-07-14 Lapeyre Pierre A Exercise monitor system and method
KR960006564A (ko) * 1994-07-13 1996-02-23 김광호 텔레비젼 수신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960036566A (ko) * 1995-03-10 1996-10-28 배순훈 자동 오프 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KR970004937A (ko) * 1995-06-13 1997-01-29 구자홍 리모콘을 이용한 움직임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000054121A (ko) * 2000-05-23 2000-09-05 유영재 헬스운동 기능을 갖는 컴퓨터 입력장치 및 게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7383B2 (en) 2012-04-20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multimedia exercise content based on exercise amount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20160116049A (ko) * 2013-12-23 2016-10-0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미디어 콘텐츠의 자동 일시정지 기능을 갖는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746B1 (en) Activity controlled audio-visual system
US7044891B1 (en) Video bike
US20190319726A1 (en) Haptic broadcast with select haptic metadata
JP3167963B2 (ja) 手動操作装置およびゲーム装置
US7918732B2 (en) Manifold compatibility electronic omni axis human interface
JP5766119B2 (ja) レンダリング環境のユーザへの影響の制御
JP4750099B2 (ja) 双方向型ゲームシステム
ATE213083T1 (de) Erzieherisches und interaktives gesundheitsüberwachungsgerät und -verfahren
US9675866B2 (en) Movement suppor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514736B1 (ko) 포인터 이동 제어 방법
KR20000058247A (ko) 휴대 가능한 댄스게임장치
KR20020078077A (ko) 운동 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멀티미디어시스템
JP3541030B2 (ja) 記録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を使用する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
KR980004158A (ko) 인형을 이용한 전자 게임 장치 및 방법
JP4068326B2 (ja) 押下圧力判別プログラム、押下圧力判別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及び押下圧力判別装置
US20060007795A1 (en) Interactive dvd applications
KR20000054121A (ko) 헬스운동 기능을 갖는 컴퓨터 입력장치 및 게임기
KR100267799B1 (ko) 상호 동작식 소프트웨어 플레이어의 제어기
KR100310525B1 (ko) 피씨에서의리모콘사용자인터페이스구동장치
KR20000029181A (ko) 체력 단련 장치 및 체력 단련 방법
JP2000296185A (ja) 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KR20020013601A (ko) 인터랙티브 디지털 인형
KR200360363Y1 (ko) 다기능 러닝 머신
KR200342517Y1 (ko) 오토 클릭 마우스
KR200298678Y1 (ko) 런닝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