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417A -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417A
KR20020076417A KR1020010016238A KR20010016238A KR20020076417A KR 20020076417 A KR20020076417 A KR 20020076417A KR 1020010016238 A KR1020010016238 A KR 1020010016238A KR 20010016238 A KR20010016238 A KR 20010016238A KR 20020076417 A KR20020076417 A KR 20020076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backlight
controller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욱
임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디
Priority to KR102001001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6417A/ko
Publication of KR2002007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 H02M3/338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를 기준 설정 값에 비교하여 트랜스포머 1차측에 흐르는 전류를 PWM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서 트랜스포머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여 트랜스포머의 입력전류가 부하(백라이트) 변동에 연동하여 자동 조절되게 함으로써, 기존의 DC/DC 컨버터 없이, 고출력, 고효율의 백라이트 구동 및 안정적인 방전 특성 및 스위칭 노이즈와 열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 구동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인버터회로는 DC전원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안정적인 전류의 공급을 위해 DC전원을 정류하는 라인 필터부(10); 상기 라인 필터부로부터 공급되는 DC전원을 AC전원으로 변환하는 스텝업 인버터부(30);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와 LC 공진 회로를 이루어 백라이트(50)로 AC전원을 공급하는 출력부(40); 상기 백라이트에 흐르는 전류 변동분을 전압성분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피드백부(60);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백라이트의 휘도 조절을 위한 PWM 신호를 출력하는 밝기 제어부(70); 상기 밝기 제어부의 PWM 신호에 따라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와 출력부(40)의 트랜스포머(T2)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해주는 전류 조절부(80);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의 구동용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부(20)를 포함하여서 된것이다.

Description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 구동회로{The driving circuit of the plasma discharge type flat backlight using current control}
본 발명은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백라이트 구동회로에서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이를 밝기 제어부가 설정한 값과 비교하여 백라이트 방전에 따른 전류량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휘도 조절을 위한 PWM 신호를 발생시켜 전류 조절부가 구동회로 출력측의 트랜스포머 1차측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서 DC/DC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고전력, 고효율을 유지하면서, 백라이트의 안정적인 휘도 조절을 할 수 있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LCD에 사용되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백라이트 구동회로는 DC를 AC로 변환해 주는 인버터부와 CCFL의 밝기를 조절해 주기 위한 DC/DC 컨버터, 즉, 2개의 전력 변환기를 사용하여 CCFL을 구동하고 휘도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CCFL 백라이트용 구동회로의 일 예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종래의 CCFL 백라이트 구동회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과 같이, CCFL 백라이트 구동회로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공급하는 교류 어댑터(1)와,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와, 입력된 직류전원을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통하여 스위칭 된 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DC/DC 컨버터(2)와, 상기 DC/DC 컨버터(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교류신호로 변환과 승압 시켜 CCFL(냉음극 형광램프)(4)을 구동하는 DC/AC 인버터(3)와, 상기 DC/AC 인버터(3)에 의해 구동되는 CCFL(4)과, 상기 CCFL(4)로 입력되는 구동전원을 턴오프시키기 위한 온/오프 제어기(5)와, 상기 DC/AC 인버터(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CCFL(4)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 제어기(6)와, 상기 밝기 제어기(6)의 출력신호를 상기 DC/DC 컨버터(2)로 궤환시키는 피드백부(7)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CCFL 백라이트 구동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류 어댑터(1)로부터 DC/DC 컨버터(2)로 출력되는 직류전원은 스위칭 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진 DC/DC 컨버터(2)에 의해 펄스 전압으로 변환된 뒤 DC/AC 인버터(3)로 출력된다.
DC/AC 인버터(3)로 입력된 신호는 상기 DC/AC 인버터(3) 내의 트랜스포머를 거쳐 플러스 값과 마이너스 값으로 분할된 뒤, 마이너스일 경우에는 CCFL(4)로 출력되어 CCFL(4)을 구동시키고, 플러스인 경우에는 밝기 제어기(6)로 출력된다.
밝기 제어기(6)의 출력신호는 피드백부(7)를 통과하여 다시 DC/DC 컨버터(2)로 입력되어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함으로서, CCFL(4)로 흐르는 전류가 항상 일정하도록 한다.
또, 상기 CCFL(4)이 구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밝기 제어기(6)를 통해 밝기를 조절하면 밝기 제어기(6)의 출력신호가 다시 상기 DC/DC 컨버터(2)로 입력되어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CCFL(4)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CCFL 백라이트 구동회로는 휘도 조절을 위해 DC/AC 인버터(3)의 트랜스포머 2차측에 흐르는 전류를 샘플링 하여 이를 피드백 회로를 거쳐 DC/DC 컨버터(2)의 스위칭 소자의 듀티비를 조절하고, 그 결과 전압 레벨을 달리하여 휘도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CCFL 백라이트 구동회로는 CCFL과 같은 백라이트에 가능한 방식이지만 플라즈마 방전 방식을 이용하는 플랫 백라이트의 경우 기존 CCFL 방전용 구동회로로 구동하는 경우 휘도 조절(Dimming)시 방전이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즉, 플라즈마 타입의 방전관에서는 방전 전압 이하에서의 구동은 매우 불안정하므로 기존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문제 발생의 소지가 있다. 그리고 DC/DC 컨버터와 DC/AC 인버터 2개의 전력 변환기를 거치게 되면 회로 자체의 변환 손실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구동회로 방식은 2개의 전력 변환기를 거치기 때문에 회로적으로 손실을 가질 수밖에 없는 구조로 고효율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적당하지 않다. 특히, 플라즈마 방전형의 플랫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경우 안정된 방전 특성을 얻고 휘도를 조절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다.
백라이트가 완전방전을 하는 전압을 방전개시 전압(Firing voltage)이라고 하는데, 특히 플랫 타입 백라이트의 경우 고전압, 고전력을 필요로 하며 이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스낵킹(snaking)과 플리커(flicker) 등의 현상이 CCFL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를 기준 설정 값에 비교하여 트랜스포머 1차측에 흐르는 전류를 PWM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서 트랜스포머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여 트랜스포머의 입력전류가 부하(백라이트) 변동에 연동하여 자동 조절되게 함으로써, 기존의 DC/DC 컨버터 없이, 고출력, 고효율의 백라이트 구동 및 안정적인 방전 특성과 함께, 스위칭 노이즈와 열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 구동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CCFL 백라이트 구동회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방전형 백라이트 구동회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방전형 백라이트 구동회로의 상세 회로도.
도 4는 도 3의 출력부에서 트랜스포머의 2차측 고압 보빈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출력부에서 트랜스포머의 1차측 저압 보빈 측면도.
도 6은 도 3의 출력부에서 트랜스포머의 보빈 측면도.
도 7은 도 3의 출력부에서 트랜스포머의 고압 보빈의 섹션 단면도.
도 8은 도 3의 출력부에서 트랜스포머의 1차와 2차측 보빈이 결합된 상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라인 필터부20 : 펄스 발생부
30 : 스텝업 인버터부40 : 출력부
50 : 백라이트60 : 피드백부
70 : 밝기 제어부80 : 전류 조절부
101 : 고압 보빈102 : 섹션
106 : 1차측 저압 보빈107 : 절연간격 유지용 핀
107 : 핀108 : 주입구
109 : 배리어
본 발명의 인버터 회로는 DC전원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안정적인 전류의 공급을 위해 DC전원을 정류하는 라인 필터부; 상기 라인 필터부로부터 공급되는 DC전원을 AC전원으로 변환하는 스텝업 인버터부;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와 LC 공진 회로를 이루어 백라이트로 AC전원을 공급하는 출력부; 상기 백라이트에 흐르는 전류 변동분을 전압성분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피드백부;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백라이트의 휘도 조절을 위한 PWM 신호를 출력하는 밝기 제어부; 상기 밝기 제어부의 PWM 신호에 따라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와 출력부의 트랜스포머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해주는 전류 조절부;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의 구동용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LCD 디스플레이소자의 백라이팅을 위한 플라즈마 방전형 백라이트 구동회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의 점등시 안정적인 전류의 공급을 위해 리액터와 캐패시터로 구성되어 DC 전원부로부터 DC전원을 정류하는 라인 필터부(10)와, 펄스 제너레이터로 동작하고 스위칭을 위한 NPN타입 및 PNP타입의 트랜지스터에 의해서 스위칭 구동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부(20)와, 복수의 MOSFET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LC 공진 회로를 이루어 상기 라인 필터부로부터 공급되는 DC전원을 AC전원으로 변환하는 스텝업 인버터부(30)와,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와 LC 공진 회로를 이루어 백라이트(50)로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부(40)와, 백라이트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 신호를 궤환 출력하는 피드백부(60)와,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궤환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기에 의해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백라이트의 휘도 조절을 위한 PWM 신호를 출력하는 밝기 제어부(70)와, 스텝업 인버터부(3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백라이트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해주는 전류 조절부(8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방전형 백라이트 구동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기 라인 필터부(10)는 백라이트의 점등시 안정적인 전류의 공급을 위해 리액터(L11)와 캐패시터(C11)로 구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T2)의 센터탭과 직렬로 연결되어 트랜스포머로 전원을 전달하게 구성한다.
상기 펄스발생부(20)는 펄스를 발생하는 콘트롤러(21)와, 콘트롤러 구동 펄스의 주파수를 조정하도록 펄스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타이밍 캐패시터(C21) 및 가변저항(VR1)과, 상기 콘트롤러(21)에 입력되는 전압을 안정화시켜 주는 캐패시터(C22)와, 상기 콘트롤러(21)에서 발생되는 레퍼런스 전압을 이용하여 펄스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저항(R21)과, 콘트롤러(21)에서 발생하는 펄스를 트랜스포머(T1)로 전달하는 NPN타입 및 PNP타입의 트랜지스터(Q1, Q2)와, 상기 트랜지스터(Q1, Q2)로 구성되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 버퍼를 구동하기 위한 토템폴(Totem-pole)의 콜렉터 입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R23)을 삽입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30)는 LC 공진형 푸쉬풀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려식(Excited Type)의 인버터로서, 스위칭을 위한 파워 MOSFET(Q5, Q6)와, 상기 MOSFET(Q5, Q6)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입력단의 전류 조절용 저항(R31, R32)과, 트랜스포머(T2), LC 공진용 캐패시터(C31, C32, C3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캐패시터(C33)는 트랜스포머(T2)와 공진 회로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출력부(40)는 1차측과 2차측 권선을 가지고 있으며 센터탭을 가지고 있는 푸쉬풀 구조의 트랜스포머(T2)와, 상기 트랜스포머(T2) 2차측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직렬 연결된 안정 캐패시터(Ballast Capacitor)(CBAL)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트랜스포머(T2)는 FBT(Fly Back Transformer) 타입의 고전압, 고전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며, 1차측에 유기된 전류에 의해 2차측으로 전류가 공급된다.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는 상기 트랜스포머(T2)의 2차측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피드백부(60)는 캐패시터(C61), 저항(R61, R62), 가변저항(VR2) 및 상기 백라이트(50)에 흐르는 전류를 졍류하는 다이오드(D61, D62)를 삽입하여 구성한다.
상기 밝기 제어부(70)는 전류 조절부(80)를 제어하기 위한 PWM신호를 발생시키는 PWM 콘트롤러(71)와, 레퍼런스 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 저항(R72, R73)과, PWM 콘트롤러(71)의 전원 노이즈 제거를 위한 캐패시터(C71), 피드백 되어 입력된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서 동작하는 캐패시터(C72)와,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타이밍 캐패시터(C73) 및 타이밍 저항(R74) 및 상기 트랜지스터(Q3, Q4)로 구성되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 버퍼를 구동하기 위한 토템폴(Totem-pole)의 콜렉터 입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R71)으로 구성한다.
상기 전류 조절부(80)는 플라이백 타입과 같은 형태로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30)에 의해 출력부(40)의 트랜스포머(T2)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밝기 제어부(70)가 상기 피드백부(60)에 의해 검출된 전압 변환치를 비교하여, 전류 조절부의 스위칭 MOSFET(Q7)의 동작에 의해 전류가 제한되어 밝기를 조절 할 수 있도록 스위칭 MOSFET(Q7)과 게이트 전류 제한용 저항(R81)과 환류 다이오드(D81), 과전류 검출용 저항(R82)과 필터역할을 하는 저항(R83)과 캐패시터(C81)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백라이트 구동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라인 필터부(10)가 DC전원 공급부의 DC전원을 정류하여 스텝업 인버터부(30)로 공급하면, 스텝업 인버터부(30)와 출력부(40)에 의해 AC전원이 백라이트로 공급된다.
즉, 라인 필터부(10)가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DC전원(24V)을 필터링하여 스텝업 인버터부(30)로 공급하면, 스텝업 인버터부(30)와 출력부(40)에 의해 고전압 고출력의 AC전압이 발생되고 이것이 LCD 구동시 백라이팅을 위한 백라이트 구동전압으로 제공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피드백부(60)는 상기 출력부(40)의 파워트랜스(T2)의 입력측에 흐르는 전류를 다이오드(D61, D62)에서 정류하고 이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신호를 밝기 제어부(70)로 궤환시킨다.
밝기 제어부(70)는 입력되는 궤환 신호를 PWM콘트롤러(71)내에서 저항(R72,R73)으로 정해지는 기준전압 설정 값과 비교기에서 비교되어 백라이트 방전에 따른 전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휘도조절을 위한 PWM 신호를 재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재설정 휘도 제어신호는 전류 조절부(80)로 출력된다.
상기 전류 조절부(80)로 입력되는 PWM신호는 전류 조절부(80)의 MOSFET(Q7)을 스위칭 하게 됨에 따라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3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게 되므로 출력부(40)의 트랜스포머(T2) 1차측에 흐르는 전류가 조절되므로 백라이트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출력부(40)에서 트랜스포머(T2)는 플랫 백라이트와 같이 고전압,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인버터의 경우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을 정도의 코어 단면적과 권선을 수용할 만한 충분한 권선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1차와 2차간의 충분한 절연 공간을 확보하고 단자간의 결합율도 높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도 4는 도 3의 출력부에서 트랜스포머의 2차측 고압 보빈의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고압 보빈(101)은 1차측 보빈과의 절연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섹션(102)이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 선단부의 섹션에는 하부에는 권선 고정용 출력 단자(104)가 설치되고, 1차 보빈과 결합시 고정을 위한 고정용 핀(103)이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출력부에서 트랜스포머의 2차측 고압 보빈의 섹션 단면도이다.
고압 보빈의 섹션(102) 외주연에 다수개의 절연간격 유지용 핀(10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핀(107)은 고압권선 고정용 핀의 기능을 한다.
도 6은 도 3의 출력부에서 트랜스포머의 2차측 고압 보빈의 측면도로서, 보빈 몸체의 일측부에 권선시 고압 권선의 배출을 위한 권선 배출구(105)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권선고정용 단자(10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해 권선시 도 5의 핀(107)과 같은 돌기를 이용하여 고압 권선을 고정한 후, 이를 권선 배출구(105)를 통해 외부로 뽑아내고 권선고정용 단자(104)에 의해 외부 단자에 고정시키게 된다.
도 7은 도 3의 출력부에서 트랜스포머의 1차측 저압 보빈의 측면도이다.
저압 보빈(106)의 일측에는 2차 권선 배출구와의 절연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절연액(에폭시)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08)가 설치된 절연간격 유지를 위한 배리어(Barrier)(109)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도 3의 출력부에서 트랜스포머의 1차와 2차측 보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1차 및 2차측 보빈의 결합 방법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2차측 고압보빈(101) 위에 1차측 저압보빈(106)을 끼우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보빈간의 결합 및 고정은 고정용 핀(103, 107)에 의해 결합 및 고정되고 항상 일정한 절연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절연 공간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을 삽입하여 고압에 의한 권선간의 파괴를 방지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트랜스포머 보빈은 주전원 공급기(SMPS)용 등으로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EER 타입의 페라이트 코어를 위한 보빈형태로 EE나 EI 타입의 코어를 위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C/DC 컨버터가 불필요하여 전력 손실을 줄이면서 안정적으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를 구동시키고 휘도 조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의 전원 공급을 위한 트랜스포머의 1차 및 2차간의 절연율과 결합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DC전원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안정적인 전류의 공급을 위해 DC전원을 정류하는 라인 필터부(10); 상기 라인 필터부로부터 공급되는 DC전원을 AC전원으로 변환하는 스텝업 인버터부(30);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와 LC 공진 회로를 이루어 백라이트(50)로 AC전원을 공급하는 출력부(40); 상기 백라이트에 흐르는 전류 변동분을 전압성분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피드백부(60); 상기 피드백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백라이트의 휘도 조절을 위한 PWM 신호를 출력하는 밝기 제어부(70); 상기 밝기 제어부의 PWM 신호에 따라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와 출력부의 트랜스포머(T2)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해주는 전류 조절부(80);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의 구동용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의 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필터부는 백라이트의 점등시 안정적인 전류의 공급을 위해 인덕터(L11)와 캐패시터(C11)로 이루어진 필터가 상기 트랜스포머(T2)의 센터탭과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 구동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는 스위칭을 위한 파워 MOSFET(Q3, Q4)와, 상기 파워 MOSFET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입력단의 전류 조절용 저항(R31,R32)과, LC공진용 캐패시터(C31, C32, C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 구동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1차측과 2차측 권선을 가지고 있으며 센터탭을 가지고 있는 푸쉬풀 구조의 트랜스포머(T2)와, 상기 트랜스포머(T2) 2차측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직렬 연결된 안정 캐패시터(CBA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 구동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백라이트에 흐르는 전류를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D61, D62)와 정류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필터 역할을 하는 저항(R61, R62)와 캐패시터(C61)과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 저항(VR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의 구동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제어부는 전류 조절부(80)를 제어하기 위한 PWM신호를 발생시키는 PWM 콘트롤러(71)와, 기준 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 저항(R72, R73)과, PWM 콘트롤러의 전원 노이즈 제거를 위한 캐패시터(C71)와, 피드백 되어 입력된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로서 동작하는 캐패시터(C72)와, 주파수를 설정하기 위한 타이밍 캐패시터(C73) 및 타이밍저항(R74)과, 트랜지스터(Q3, Q4)로 구성되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 버퍼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토템폴(Totem-pole)의 콜렉터 입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R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 구동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조절부는 밝기 제어부의 PWM 신호에 따라 상기 스텝업 인버터부와 출력부의 트랜스포머(T2)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해주는 플라이백 구조로 게이트 전류 조절용 저항(R81)과, 과전류 검출용 저항(R82), 환류 다이오드(D81), 필터역할을 하는 저항(R82) 및 캐패시터(C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의 구동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부는 펄스를 발생하는 콘트롤러(21)와, 상기 콘트롤러의 구동 주파수를 조정하도록 펄스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타이밍 캐패시터(C21) 및 가변저항(VR1)과, 콘트롤러에 입력되는 전압을 안정화시켜 주는 캐패시터(C22)와, 상기 콘트롤러에서 발생되는 레퍼런스 전압을 이용하여 펄스의 듀티비를 조정하는 저항(R21)과, 비교기의 오차 보상을 위한 저항(R22)과, NPN타입 및 PNP타입 구조의 트랜지스터로 펄스 트랜스포머(T1)를 구동하는 구동 펄스를 콘트롤러에서 펄스 트랜스포머(T1)로 전달하는 트랜지스터(Q1, Q2)와, 펄스 트랜스포머(T1)과 공진을 맞추기 위한 캐패시터(C23)과 상기 트랜지스터(Q1, Q2)로 구성되는 바이폴러 트랜지스터 버퍼를 구동하기 위한 토템폴(Totem-pole)의 콜렉터 입력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R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의 구동회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의 트랜스포머(T2)는 절연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그 외측 둘에면에 다수개의 절연간격 유지용 핀(107)이 배치된 복수개의 섹션(102)이 설치된 2차측 고압 보빈(101)과, 2차 권선 배출구와의 절연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절연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08)가 형성된 절연간격 유지를 위한 배리어(109)가 일측에 설치된 1차측 저압 보빈(106)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 구동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핀(107)은 고압 권선 고정용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의 구동회로.
KR1020010016238A 2001-03-28 2001-03-28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구동회로 KR20020076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238A KR20020076417A (ko) 2001-03-28 2001-03-28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238A KR20020076417A (ko) 2001-03-28 2001-03-28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구동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417A true KR20020076417A (ko) 2002-10-11

Family

ID=2769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238A KR20020076417A (ko) 2001-03-28 2001-03-28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641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214B1 (ko) * 2002-02-09 2005-04-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방전관 램프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과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KR100483046B1 (ko) * 2002-11-26 2005-04-15 삼성전기주식회사 셧다운 안정화 기능을 개선한 백라이트 인버터
KR100808195B1 (ko) * 2006-06-16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장치
US7391163B2 (en) 2003-02-28 2008-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of driving light source for display device
KR100878422B1 (ko) 2007-03-21 2009-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중 램프 백라이트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0911025B1 (ko) * 2007-04-26 2009-08-06 주식회사 삼화양행 면광원의 글로우 방전 유지를 위한 피드백 구동 시스템 및구동 방법
KR101451573B1 (ko) * 2007-06-26 2014-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CN112684353A (zh) * 2019-10-17 2021-04-20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电池模块的电流传输状态的控制及电池容量的校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296A (ko) * 1992-11-25 1994-06-25 타다마사 후지무라 고압용 트랜스 및 고압용 트랜스를 사용한 점등회로
KR19990055686A (ko) * 1997-12-27 1999-07-15 김영환 Lcd 모니터의 자동밝기 조정장치
KR20000038539A (ko) * 1998-12-04 2000-07-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밝기 보상 회로
KR200225839Y1 (ko) * 2001-01-15 2001-06-01 앰비트 마이크로시스템즈 코퍼레이션 액정 표시 장치용 배면 광원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296A (ko) * 1992-11-25 1994-06-25 타다마사 후지무라 고압용 트랜스 및 고압용 트랜스를 사용한 점등회로
KR19990055686A (ko) * 1997-12-27 1999-07-15 김영환 Lcd 모니터의 자동밝기 조정장치
KR20000038539A (ko) * 1998-12-04 2000-07-0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밝기 보상 회로
KR200225839Y1 (ko) * 2001-01-15 2001-06-01 앰비트 마이크로시스템즈 코퍼레이션 액정 표시 장치용 배면 광원 모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214B1 (ko) * 2002-02-09 2005-04-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방전관 램프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과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KR100483046B1 (ko) * 2002-11-26 2005-04-15 삼성전기주식회사 셧다운 안정화 기능을 개선한 백라이트 인버터
US7391163B2 (en) 2003-02-28 2008-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of driving light source for display device
KR100808195B1 (ko) * 2006-06-16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장치
KR100878422B1 (ko) 2007-03-21 2009-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중 램프 백라이트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0911025B1 (ko) * 2007-04-26 2009-08-06 주식회사 삼화양행 면광원의 글로우 방전 유지를 위한 피드백 구동 시스템 및구동 방법
KR101451573B1 (ko) * 2007-06-26 2014-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CN112684353A (zh) * 2019-10-17 2021-04-20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电池模块的电流传输状态的控制及电池容量的校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2712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6969958B2 (en) Square wave drive system
KR100983703B1 (ko) 직류-교류 변환 장치 및 교류 전력 공급 방법
EP0802702B1 (en) Higher-efficiency cold-cathode fluorescent lamp power supply
US6104146A (en) Balanced power supply circuit for multiple cold-cathode fluorescent lamps
US8350488B2 (en) Integrated backlight control system
CN101617566B (zh) 电源设备
US6879114B2 (en) Fluorescent lamp driver circuit
KR20060121224A (ko) 직류-교류 변환 장치, 그 컨트롤러 ic, 및 그 직류-교류변환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JP2004511195A (ja) Lcd背面照明のための電圧給電プッシュプル共振インバータ
US852542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gas discharge lamps
JP2000324836A (ja) 多重電圧出力を有する電源機構を備えた多重モードモニター
US11602020B2 (en) Dimming signal generation circuit, dimming signal generation method and LED driver
US20110133669A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device
KR20020076417A (ko) 전류 제어를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구동회로
KR100402091B1 (ko) 압전형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백라이트 구동 회로
US20020125836A1 (en) Inverter and lamp igni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0666829B1 (ko) 다중출력 전원장치 구현을 위한 스위칭장치
KR100382158B1 (ko)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의 구동회로
KR100358925B1 (ko) 플라즈마 방전형 플랫 백라이트 구동회로
US20080048589A1 (en)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coil
KR20150008205A (ko) 전원 공급 장치
US11729883B1 (en) LED driver with auxiliary output and low standby power
JP2000133484A (ja) 放電管駆動回路
KR200177679Y1 (ko)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