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015A -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 - Google Patents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015A
KR20020075015A KR1020010015171A KR20010015171A KR20020075015A KR 20020075015 A KR20020075015 A KR 20020075015A KR 1020010015171 A KR1020010015171 A KR 1020010015171A KR 20010015171 A KR20010015171 A KR 20010015171A KR 20020075015 A KR20020075015 A KR 20020075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phone
surround
amplifier
function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029B1 (ko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5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0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등의 외장품인 헤드폰의 리모콘상에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내장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탁상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기능을 강화되도록 한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헤드폰은 공중파 방송을 통해 전파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듣는다든지 혹은 오디오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MP3 레코더를 통하여 강좌나 음악을 들을 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헤드폰은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은 애당초 기대할 수 도 없고, 특히 탁상용으로의 사용은 불가능 했다.
본 발명에 의한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은, 리모콘이 딸린 통상의 헤드폰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7)상에 서라운드를 포함한 앰프 기능을 가진 회로를 내장함과 동시에 스위치(8)를 설치하여 상기 스위치(8)의 전환에 의해 헤드폰용 스피커(10) 또는 앰프용 스피커(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헤드폰 하우징(1)의 이면에 축(6)으로 접이식 지지대(2)의 하단을 축설치하여 탁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Head-phone having Function Surround or Amp}
본 발명은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등의 외장품인 헤드폰의 리모콘상에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내장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탁상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기능을 강화되도록 한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헤드폰은 공중파 방송을 통해 전파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듣는다든지 혹은 오디오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MP3 레코더를 통하여 강좌나 음악을 들을 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헤드폰은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은 애당초 기대할 수 도 없고, 특히 탁상용으로의 사용은 불가능 했다.
이것이 헤드폰의 이용가치를 떨어뜨리는 요소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헤드폰의 기능에다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추가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탁상용으로도 사용을 가능케 하여 헤드폰의 활용가치를 높인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은, 헤드폰의 리모콘상에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회로를 내장하고 혼자 듣고 싶을 때는 스위치의 전환에 의해 헤드폰으로 사용하다가 여럿이 동시에 들을 수 있는 앰프로 사용코자 할 때는 스위치를 반대로 전환시키고 헤드폰의 하우징 이면에 힌지방식으로 부착된 지지대를 펼쳐서 자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의 배면도
도 2는 탁상용으로 사용시 접이식 지지대(1점 파단선)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2 : 접이식 지지대
3 : 지지대좌4,5 : 축공
6 : 축7 : 리모콘
10 : 헤드폰용 스피커20 : 앰프용 스피커
도 1에서, 본 발명에 의한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은 통상의 헤드폰 하우징(1) 이면의 좌우에는 접이식 지지대(2)가 부착되어 있다.
즉, 하우징(1)의 이면 좌우측에 그 윤곽을 따라 지지대(2)가 수납될 지지대좌(3)를 형성하고, 이 지지대좌(3)의 하단부에 횡형 축공(4)을 형성하여 각각 지지대(2)를 수납하고 지지대(2)의 하단에 형성된 횡형 축공(5)과 상기 횡형 축공(4)의 중심을 일치시키고 여기다 축(6)을 꽂아 이 축(6)을 중심으로 양쪽 지지대(2)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헤드폰의 하우징(1)에 딸린 리모콘(7)상에는 서라운드를 포함한 앰프 기능을 가진 회로를 내장함과 동시에 헤드폰용 스피커(10) 또는 앰프용 스피커(20) 전환용 스위치(8)를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으로 혼자 방송음이나 음악을 서라운드 음향으로 듣고자할 시에는 리모콘(7)상의 스위치(8)를 헤드폰용 스피커(10)의 접점 쪽으로 전환하고 도 1과 같이 양쪽 지지대(2)를 접어서 통상의 것이나 다름없이 귀에 착용하여 듣는다.
그리고 책상이나 탁상 위에 세워 놓고 여럿이 동시에 서라운드 음향으로 듣고자할 시에는 리모콘(7)상의 스위치(8)를 앰프용 스피커(20)의 접점 쪽으로 전환하고 도 2와 같이 헤드폰 하우징(1)의 이면에 접혀있던 양쪽 지지대(2)를 펴서 헤드폰 하우징(1)을 책상이나 탁상 같이 평탄한 곳에 반듯이 세울 수 있도록 변형시킨다.
이와 같이 탁상용으로 사용하다가 다시 헤드폰으로 전환할 시에는 스위치(8)를 반대로 전환하고 양쪽 지지대(2)만 접으면 헤드폰 형태로 간단히 복원된다.
지지대(2)는 구조에 따라 단일 지지대로도 충분한 역할을 기대할 수가 있다.
굵은 철사제로서 "L"형 지지대를 적용하는 경우가 그렇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지지대(2)의 변형까지 당연히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은 헤드폰에 일체로 딸린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 내장형 리모콘과 함께 기존의 혼자 들을 수 있는 헤드폰 기능은 물론 여럿이 동시에 들을 수 있는 탁상으로도 간단히 조작하여 서라운드 음향을 즐길 수 있도록 활용도를 높인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리모콘이 딸린 통상의 헤드폰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7)상에 서라운드를 포함한 앰프 기능을 가진 회로를 내장함과 동시에 스위치(8)를 설치하여 상기 스위치(8)의 전환에 의해 헤드폰용 스피커(10) 또는 앰프용 스피커(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헤드폰 하우징(1)의 이면에 축(6)으로 접이식 지지대(2)의 하단을 축설치하여 탁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
KR10-2001-0015171A 2001-03-23 2001-03-23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 KR10039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171A KR100391029B1 (ko) 2001-03-23 2001-03-23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171A KR100391029B1 (ko) 2001-03-23 2001-03-23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015A true KR20020075015A (ko) 2002-10-04
KR100391029B1 KR100391029B1 (ko) 2003-07-12

Family

ID=2769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171A KR100391029B1 (ko) 2001-03-23 2001-03-23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57B1 (ko) * 2006-12-29 2008-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데이터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703B1 (ko) 2014-09-02 2016-09-23 주식회사 상신 도전성을 갖는 헤어브러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57B1 (ko) * 2006-12-29 2008-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데이터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029B1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86528A1 (en) Notebook computer with folding speaker device
US9002026B2 (en) Headphone with speaker function
KR100391029B1 (ko) 서라운드 및 앰프 기능을 가진 헤드폰
TWM313209U (en) Audio player connectable desk lamp
KR20020075014A (ko) 스피커 겸용 헤드폰
KR200414584Y1 (ko) 음향기구 결합형 탁상용 전기스탠드
JPH07282617A (ja) アンプとスピーカー内臓スタンド
US20040081323A1 (en) Noise-suppression earphone
DE69522392T2 (de) Integrierte Analogschaltung
CN210431764U (zh) 一种耳机音箱
CN102932702A (zh) 一种展开式音箱
CN207732830U (zh) 一种手机扩音装置
JPH11308313A (ja) 携帯電話機用卓上置き台
KR200388465Y1 (ko) 멀티미디어 기기가 구비된 강의대용 앰프
KR200244659Y1 (ko) 사운드 카드 출력음 확장장치
KR200241542Y1 (ko) 스피커의 분리형 컨트롤패드
KR200233023Y1 (ko) 헤드셋겸용 스피커
JP2006270583A (ja) 接続装置
KR200414583Y1 (ko) 음향기구 결합형 탁상용 전기스탠드
KR960008252Y1 (ko) 컴퓨터용 사운드카드 볼륨조절장치(volume-control device for the sound card card of a computer)
KR200240642Y1 (ko) 이어폰
JPH0734532Y2 (ja) 音響機器
JPH0753296Y2 (ja) オ−デイオ再生機器
JPS643275Y2 (ko)
KR20010081244A (ko) 사운드 카드의 입출력 라인 스위칭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