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116A -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식 온돌난방 장치 - Google Patents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식 온돌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116A
KR20020074116A KR1020020050272A KR20020050272A KR20020074116A KR 20020074116 A KR20020074116 A KR 20020074116A KR 1020020050272 A KR1020020050272 A KR 1020020050272A KR 20020050272 A KR20020050272 A KR 20020050272A KR 20020074116 A KR20020074116 A KR 20020074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ot water
indoor
switch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호
Original Assignee
윤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호 filed Critical 윤용호
Priority to KR102002005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4116A/ko
Publication of KR2002007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11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by regulating the speed of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16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by adding signals to the wave form of the power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한대의 보일러로 다수의 난방구획을 난방 할 때 각 구획별 난방 환경을 독립적으로 유지시키면서, 보일러의 예열 없이 항상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난방장치를 제공하기위한 것으로서, 보일러를 항상 가동상태로 두고, 24시간 타임 스위치(15)와 실내온도 제어스위치(16)를 직렬로 연결한 실내난방 제어기(1a, 1b, 1c) 를 각 난방 구획별로 설치하고, 각 난방수 분배기 밸브를 솔레노이드 밸브(3a, 3b, 3c)로 설치하여 위 실내 난방제어 스위치(1a, 1b, 1c)와 연결시켜 개폐하는 방법으로 구성하되, 각 실내 난방제어 스위치(1a, 1b, 1c)를 각 2접점 릴레이스위치(2a, 2b, 2c)의 전원과 연결하고 각 릴레이 스위치(2a, 2b, 2c)의 1접점에는 그에 연동하는 각 솔레노이드 밸브(3a, 3b, 3c)의 전원을, 나머지 1접점에는 보일러 의 콘트롤 박스(9)에서 나오는 순환펌프 모터(4)의 전원을 연결하고 각 릴레이 스위치(2a, 2b, 2c)의 접점 중 순환펌프(4)의 전원선 접점끼리는 병렬로 결선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서 실내난방 제어 스위치(1a, 1b, 1c)가 모두 열려서 다수의 난방 구획 중 한군데도 난방이 들어가지 않을 때는 순환펌프(4)의 전원이 차단되고, 난방이 개시되면 순환펌프(4)에 전원이 공급되지만, 난방부하로 보일러의 난방수(5) 온도가 일정이하로 내려가면 보일러의 콘트롤박스 스위치(9)가 순환펌프(4)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버너를 가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실내난방제어 스위치(1a, 1b, 1c)의 개폐작동에 의하여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수(5)를 공급 또는 차단하며, 동시에 보일러의 난방수 온도를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언제나 온수사용이 가능한 난방 장치이다.

Description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식 온돌난방 장치{omitted}
본 발명은 대부분의 주택에서 채용하고 있는 온수식 온돌난방에서 장시간 소요되는 난방보일러의 예열시간을 단축하고 각 난방 구획별로 각기 다른 사용시간 및 실내온도 환경에 맞추어 개별적인 난방 조절을 할 수 있으며 급탕겸용 보일러에서 상시 온수를 출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수난방시스템을 이용한 온돌식 난방은 실내공기를 직접 데워주는 온풍식 난방과는 달리 뜨거운 난방수를 방바닥에 설치한 난방배관에 통과시켜 데워진 바닥에 차거운 실내공기가 접촉하여 더워진 실내공기는 상승하고 찬 공기가 방바닥으로 내려오는 대류현상에 의하여 난방목적을 달성하게 되는 것으로 난방개시 후 온도조절기 위치까지 실내공기가 데워지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특징이 있어, 외출 등으로 난방을 중단하였다가 귀가하여 난방을 개시할 때엔 상당한 시간동안을 추운 방에서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실내온도제어기로 난방을 제어하는 시스템에서는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하게 유지하기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어 매우불편하다.
일례를 들자면 실내온도가 10℃ 인 방(이때 바닥온도도 비슷하다)을 난방유지 온도를 20℃ 로 설정하고 난방을 개시하였다고 한다면,
보통 60℃ 내지 70℃ 쯤 되는 보일러의 난방수가 유입되어 먼저 방바닥이 실내온도보다 빠르게 높은 온도로 달구어 지게 되지만, 실내온도는 바닥에 접촉한 실내공기의 대류현상에 의하여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방바닥의 온도가 아무리 높아져도 온도제어기가 설치된 위치의 실내온도가 20℃ 가 될 때까지는 뜨거운 난방수 유입이 중지되지 않게 되므로 실내 온도가 20℃ 가 되어 난방이 중지될 때쯤엔 온돌의 온도는 실내 온도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높은 상태로 데워지게 된다
그렇게 데워진 방바닥에 축적된 열은 실내온도와 비슷하게 식을 때 까지 실내공기를 계속 데워주게 되어 결국은 설정된 실내온도 보다도 2℃ - 3℃ 온돌의 구조에 따라서는 3℃ - 4℃ 쯤 더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난방이 중지되었을 때부터 온돌은 식기 시작하지만 이번에는 위와 같이 온돌의 잠열로 올라간 실내 온도가 20℃ 이하로 내려가기 전까지는 실내온도 제어기가 난방을 개시 하지 않으므로 온돌은 계속하여 식게 되어버려 다시 난방이 개시 될 때에는 온돌이 완전히 식어버린 상태로 돌아가 다시 데워질때까지 실내온도는 계속하여 내려가게 되므로 20℃ 보다 더 아래로 떨어진다
거기에 보일러의 예열시간까지 합치게 되면 실내온도의 변화가 그만큼 더 커져서 대부분은 실내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지 않고 수동으로 조절하게 됨으로서 사실상 실내온도조절기는 보일러의 가동과 정지 스위치 역할밖에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방이 추우면 온도조절기의 온도를 높여 보일러를 작동시키고 더우면 온도조절기의 온도를 낮추어 보일러의 작동을 중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추운 날에 난방을 일시 중지하였다가 다시 개시할 적에는 난방이 완료 될 때까지 추운 방에서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장시간 방을 비우게 되더라도 난방을 중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것은 기존의 실내 온도에 따라 난방장치를 제어 하는 것은 서양에서 보편화된 온풍식 난방장치에 알맞게 개발된 것일 뿐, 우리나라 고유의 온돌식 난방조절에는 잘 맞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생기는 일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단점을 보정하기위한 방편으로 일부 보일러는 실내온도 제어기 에서 온도센서를 제거시키고, 보일러의 환수 배관 부위에 수온 감지온도센서를 설치하여 난방수의 온도에 의하여 보일러를 제어하거나 시간차 간격으로 간헐난방을 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혹은 온도제어기로 각방의 바닥을 흐르는 난방수의 유량이나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나 효과는 차치하고라도 대부분이 설치의 어려움과 비용의 과다함 때문에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한대의 보일러로 여러 개의 방과 거실. 주방 등을 난방하게 될 때엔 각방의 사용용도나 사용시간 등의 일상적 사용 패턴이 각기 다른데도 대부분 난방분배기의 밸브를 수동으로 개폐조작을 하고 있어 난방환경을 적절하게 조절하는데 많은 불편이 있다
일례로 난방이 완료되어 보일러를 정지하였는데 다른 방의 추가난방이 필요한 경우에 보일러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난방이 완료된 방의 과잉난방을 억제하기 위하여서는 그 방의 분배기 밸브를 잠그고 보일러를 가동시켜 추가 난방을 완료한 다음 밸브를 다시 열어주고 보일러를 꺼야할 것이다.
추운데 보일러실까지 왕래하기도 번거롭고 또 각 실내의 면적이나 위치에 따라서 난방배관의 저항이 모두 다르므로 분배기 밸브의 개방면적을 세밀하게 조정하지 않으면 각 방별 난방온도의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보일러를 가동시켜가면서 분배기의 각 방 밸브의 개방면적을 조정하여 난방저항의 균형을 맞추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한 구간의 난방을 일시 중지시키거나 반대로 추가 난방을 개시하게 되면 힘들여 맞추어 놓은 배관 저항의 균형 배분 이 모두 달라져서 다시 재조정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래서 한 구간의 난방을 단시간 폐쇄하거나 추가할 필요가 있어도 무시하거나 난방편차를 감수하고 지내게 되므로 불편한 것은 물론 이로 인한 에너지 낭비도 적지 않을 것이다.
위 예중 수동밸브조작의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것은 전동밸브를 사용하면 되지만 그것도 각 방의 제어기와 전동 밸브사이의 배선연결작업에 어려운 점이 있고 온돌난방의 특징인 예열시간이 장시간 걸리는 문제는 그대로 남는다 실내온도나 난방수 온도를 감지하여 밸브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정온밸브나 정유량 밸브 등도 개발되어있으나 일반 주택에서는 설치가 쉽지 않고 비용이 많이 들어 널리 보급이 안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주택용 온수보일러애 내재되어 있는 급탕기능은 직접 가열방식이 아니고 뜨거운 난방수 속으로 급수관을 통과시켜 데워주는 간접 가열 방식인바 보일러가 정지된 상태에서 온수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 먼저 보일러의 난방수가 데워 져야 하므로 급탕 버튼을 누른 후 약 5 - 6분을 기다려야 온수가 출수되며 그나마 보일러 속의 난방수만 먼저 뜨거워진 상태로 급수관내의 온수는 미처 충분하게 데워지지 않은 상황이라 적어도 9 - 10분을 기다려야 충분한 온수가 출수된다.
또한 사용 후 버튼을 해제시켜야 하는데, 그다음에는 데워놓은 보일러의 난방수 와 온수를 식혀버리게 되므로 에너지낭비는 물론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온수식 온돌난방에 있어서 종래에는 곤란했던 각 방 별로 따로 따로 난방을 자동조절 할 수 있으면서 온돌의 축열과 방열과정의 시간차를 극복하고 상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방별로 24시간 타임스위치와 온도조절기를 직렬로 연결한 실내 제어 스위치를 부착하고 각 난방분배기 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설치하여 각 실내 난방제어 스위치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순환펌프는 각 솔레노이드 밸브 중 하나이상이 열려있을 때 만 가동되도록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곤란하였던 각 실내난방제어기와 솔레노이드 밸브와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하기위하여 실내 난방제어 스위치에 고주파발진기를 부착하고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부에 고주파 동조기를 부착하여 그사이 신호전류의 연결통로로 옥내 전력선을 사용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배치 및 전기결선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배선 개요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내제어기와 작동부의 회로도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a. 1b. 1c : 실내제어 스위치 2a. 2b. 2c : 2접점 릴레이 스위치 3a. 3b. 3c : 솔레노이드 밸브 4 :순환펌프 6 : 온수 급탕배관 7 : 보일러 8a. 8b. 8c : 난방수 분배관 9 : 보일러 콘트롤 박스 10 : 전기 인입선 11 : 전기 접지선 12 : 보일러 서미스터 (thermistor) 13 : 고주파 발진기 14 : 고주파 동조기 15 : 24시간 타임 스위치 16 : 온도조절 스위치 17 : 전기계량기 18 :고주파 차단용 쵸크 코일 19 : 동조수신 작동부 20 : 필터용 콘덴서
본 발명에 대한 각 장치의 구성과 연결은 시간설정에 따라서 on/off 할 수 있는 24시간 타임스위치(15)와 실내온도에 따라서 on/off 되는 온도제어 스위치(16)를 직렬로 연결하고 각 스위치들(15) (16)의 개폐작동에 따라서 내장한 고주파 발진기(13)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한 실내난방제어기(1a, 1b, 1c)를 각 난방 구획별로 설치하고 고주파발진기(13)서 발생하는 고주파 전류의 송출선을 옥내 전력선(10)에 연결 한다
그리고 난방수 분배기(일명 헷다)의 각 밸브를 전기가 공급되는 동안만 열리는 솔레노이드 밸브(3a, 3b, 3c)로 설치하고 위 실내난방 제어기(1a, 1b, 1c)가 전력선(10)으로 송출하는 고주파 전류 중 각 방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전류를 분류하여 수신하는 동조기(14)와 그에 대응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를 각 작동부(19)에 내장하되. 각 동조기(14)가 수신하여 검파 정류하는 신호전류가 위 각 작동부(19)의 전력용 트랜지스터 베이스에 인가 되도록 회로를 연결한다.
그리고 위 트랜지스터의 각 콜렉터 전원회로에는 각 2접점 릴레이 스위치(2a, 2b, 2c)의 전원선을 직렬로 연결한다 (도3 회로도 참조)
그리고 릴레이 스위치(2a, 2b, 2c)의 각 2접점 중 1접점에는 실내난방제어기 (1a, 1b, 1c)에 각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a, 3b, 3c)의 전원을 연결하고 다른 1접점에는 보일러의 콘트롤 박스(9)에서 나오는 순환펌프(4)의 전원선을 직렬로 연결하되 각 릴레이 스위치(2a, 2b, 2c)의 접점 중에서 순환펌프(4)의 전원선과 연결한 접점끼리는 도면 2의 회로도와 같이 병렬로 연결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각 방의 실내난방제어스위치(1a, 1b, 1c)가 닫히게 되면 그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스위치가 고주파발진기(13)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생한 고주파전류를 전기선(10)에 송출하고, 작동부(19)의 각 동조기(14)가 고주파전류의 주파수를 구별하여 수신하여 검파 정류한 후 작동부(19)에 내장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보내므로 동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회로가 연결되어 그에 연결된 2접점 릴레이 스위치(2a, 2b, 2c)가 닫히게 되고 그 접점에 연결된 각 솔레노이드밸브(3a, 3b, 3c)에 전기가 공급되어 동 밸브가 열리게 되며 동시에 순환펌프(4)의 전원도 연결되는 것이고,
그와 반대로 실내난방제어 스위치가 열리게 되면 거꾸로 각 부품에 전기의공급이 차단되어 각 솔레노이드 밸브(3a, 3b, 3c)가 닫히고 순환펌프의 전원이 차단된다.
각 솔레노이드밸브(3a, 3b, 3c)는 각 릴레이 스위치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순환펌프(4)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2a, 2b, 2c) 끼리 병렬로 연결 하였기 때문에 릴레이 스위치(2a, 2b, 2c) 중에서 아무것이나 하나라도 닫히게 되면 솔레노이드밸브(3a, 3b, 3c)가 열리면서 동시에 순환펌프(4)의 전원도 연결되는 것이며, 반대로 솔레노이드밸브(3a, 3b, 3c)가 모두 닫혀있을 때 즉 각 릴레이 스위치(2a, 2b, 2c)가 모두 열려 있을 때에는 순환펌프(4)의 전원이 끊기게 된다.
그리고 순환펌프(4)모터는 보일러의 콘트롤 박스(9)에서 인출되는 순환펌프(4)모터의 전원선과 연결하였기 때문에 난방부하로 보일러의 난방수(5) 온도가 일정한 온도이하로 내려가면 보일러 콘트롤 박스(9)의 제어스위치가 순환펌프(4)의 전원을 차단하고 버너를 가동시키기 때문에 온수의 급탕(6) 기능을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 예
1.각 실내의 난방제어기 스위치(1a, 1b, 1c)를 모두 끄고 보일러의 전원을 켠다.
보일러의 버너가 가동하여 난방수(5)가 설정온도(보통 70℃ - 80℃)에 이르면 온수보일러의 콘트롤 박스(9)에 설치된 제어스위치의 작동으로 버너는 정지 하면서 순환펌프 모터(4)의 전원이 연결된다.
그러나 각 실내난방제어 스위치(1a,b,c)가 모두 열려(꺼져)있으므로 그에 연결된 각 릴레이 스위치(2a, 2b, 2c)가 모두 열려있어 그 접점에 연결된 각 솔레노이드 밸브(3a, 3b, 3c)와 순환펌프(4)의 전원이 모두 차단되어 밸브는 닫혀있고, 순환펌프(4)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정지하게 된다.
이는 종래 보일러의 급탕모드를 실행하였을 때와 똑같은 상태이므로 난방은 대기 상태이고 언제라도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2.위 1항 의 상태에서 각방의 실내난방 제어 스위치(1a, 1b, 1c)가 닫히면 그에 연결된 2접점 릴레이 스위치(2a, 2b, 2c)가 닫히게 되고 그 릴레이 스위치 1접점에 전원회로가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3a, 3b, 3c))는 열리면서 다른 1접점에 연결한 순환펌프 모터(4)에도 전원이 연결됨으로서 난방수(5)의 예열 없이 즉시 그 방의 난방을 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부터는 각 방의 난방부하로 인하여 보일러의 난방수(5) 온도가 계속하여 내려가게 되지만 일정한도(보통 설정치보다 4℃-5℃정도 아래)까지 내려가면 보일러 콘트롤 박스(9)에서 순환펌프의 전원스위치가 열리게 되어 있어 순환펌프(4)는 정지하고 버너가 가동하게 되어 온수를 사용하는데 별다른 조작이나 불편이 없다.
3.각 실내난방제어 스위치(1a, 1b, 1c)는 실내온도 제어스위치(16)와 24시간 타임 스위치(15 )의 회로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서 각 실내의 용도 및 사용시각에 따른 난방예약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어 온돌난방방식의 특징인 축열과 방열간의 긴 시간차를 적절하게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례를 들자면 출근 등으로 평소 낮엔 잘 비워두는 방이 있을 때 그 방만 귀가예정 1-2시간 전에 난방이 가동되도록 시간을 설정하면 난방이 완료된 뒤 귀가할수 있으며 귀가 시간이 바뀔 경우를 대비하여 그 후의 시간은 난방을 중지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아침 기상 후 곧 바로 출근을 하게 되는 경우에 기상예정시간 1-2시간 전에 난방을 중지시키면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고, 일정이 바뀌거나 휴일등 일상적인 패턴이 아닌 난방이 필요할 때는 수동으로 전환사용 할 수 있어 편리하고, 온돌과 실내온도의 상승과정의 시간차로 인한 실내온도의 파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실내온도를 설정하고 난방을 가동할 때엔 적당한 시간씩 간헐적으로 난방이 들어오도록 설정하면 실내온도의 변화폭을 많이 줄일 수 있으며
침실의 경우에도 통상적인 취침시간 1-2 시간 전에 난방을 정지하도록 설정하고 취침 중에는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난방이 들어오도록 하면 설정된 실내 온도보다 몇도 정도 낮게 유지 시킬 수 도 있다
그리고 기상시간 1-2시간 전에 난방을 개시하고, 방의 잔열로 인한 난방유지시간을 감안하여 기상시간 전후의 적당한 시간에 난방을 정지시키도록 하면 기상 후부터 방을 비울 때까지는 잔열로 난방을 유지하게 되어 쾌적하게 출근이나 외출 준비 등을 할 수 있고 쓸데없는 에너지의 낭비도 많이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온도제어기와 시간조절기를 잘 병용한다면 가정주부가 가장먼저 추운 새벽에 일어나 사용하게 되는 주방 같은데도 알맞게 난방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
더구나 종래의 실내온도 조절기는 보일러에 연동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환기나 사람의 출입 등으로 약간의 실내온도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을 하게 되면 난방상태와 관계없이 빈번한 보일러의 가동과 정지가 반복될 수 있어 온도 스위치의 작동시점에 상 하 2℃ - 3℃ 정도 여유를 두었기 때문에 실내온도의 파상이 더욱 크게 되었으나 본 장치에서는 실내 온도센서를 예민하게 제작하여도 상관없으므로 위 예 와같이 타임스위치와 온도조절스위치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한다면 열 파상을 많이 낮출 수 있어 난방예열로 인한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취침 시에 종래의 취침모드 기능과 똑 같은 효과를 구현할 도 있으며 보일러는 항상 가동상태에 있으므로 난방개시 때 보일러의 예열시간이 필요 없어 즉시 난방부하에 부응할 수 있고 온수를 상시로 사용할 수 있어 생활의 편리함은 물론 난방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어 에너지절약에도 한몫을 할 것이다.
4. 그리고 실내난방 제어기(1a, 1b, 1c)와 솔레노이드 발브(3a, 3b, 3c)와 의 개폐신호 연결방식은 유선방식이 작동의 안정성은 가장 뛰어나지만 전선의 연결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무선방식은 설치가 간편하고 전선이 노출되지 않아 보기가 좋지만, 실내제어기(1a, 1b, 1c)와 솔레노이드 발브(3a, 3b, 3c)의 작동부(19) 사이에 전파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부착하여야 하므로 기기제작의 경제성이 나빠지고 설치장소의 환경에 따라서 (예를 들면 보일러실이 지하실 같은데 설치되었을 경우) 강한 전파를 사용하게 되면 통신기기 등 다른 전자기기의 오작동 등의 전파방해와 이웃집의 똑같은 난방 제어기의 오작동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위 문제점을 경제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 실내제어 스위치(1a, 1b, 1c)별로 내장된 고주파발진기(13)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를 달리하는 고주파 전류를 옥내 전력선(10)으로 송출하고 수신 동작부(19)에서 동조기(14)를 사용하여 각 실내제어스위치(1a, 1b, 1c)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고주파 전류를구분 검출 정류하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부가하는 방법으로 반도체 스위치회로를 구성하여 각 2접점 릴레이 스위치(2a, 2b, 2c)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연결목적을 달성하고 이웃집으로 고주파 신호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주파 저지용 블록킹 필터(18)(20)를 옥내 전기 인입선에 부착하는 것으로 그 목적을 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주택의 온수보일러 난방에 있어서 각 방마다 서로 상이한 난방 환경을 적절하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보일러의 예열시간이 필요 없이 상시 온수 급탕이 가능한 장치로서 효율적인 난방관리가 가능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막고 아울러 쾌적하고 편리한 생활 난방을 할 수 있다

Claims (2)

  1. 보일러는 항상 가동상태로 두고, 24시간 타임스위치와 온도제어스위치를 직렬로 연결한 실내난방 제어기를 각 난방 구획별로 부착하고, 각 난방수 분배기 개폐밸브는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만 열리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설치한 다음, 위 각 실내난방제어기를 그에 각기 대응하는 2접점 릴레이 스위치의 개폐회로와 연결하되 각 릴레이 스위치의 2접점 중에서 1접점은 각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회로에, 다른 1접점은 기존의 보일러 제어기에서 인출되는 순환펌프 모터의 전원선에 연결하고, 각 릴레이 스위치의 접점 중 순환펌프 모터의 전원선 연결 접점끼리는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 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온돌 난방장치.
  2. 위 1항에서 각 실내 난방제어기에 발진주파수가 각기 다른 고주파 발진기를 설치하고, 그에 각 대응하는 릴레이 스위치에는 고주파 전류를 분류해 수신하는 동조기를 설치하여 각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전원을 개폐 시키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발진기들의 송출선과 각 동조기들의 수신선을 모두 옥내 전력선에 연 결 하고, 옥내 전력선 인입부에 고주파저지 쵸크 코일과 고주파 통과 콘덴서를 부 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온돌 난방장치.
KR1020020050272A 2002-08-23 2002-08-23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식 온돌난방 장치 KR20020074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272A KR20020074116A (ko) 2002-08-23 2002-08-23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식 온돌난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272A KR20020074116A (ko) 2002-08-23 2002-08-23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식 온돌난방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654U Division KR200245337Y1 (ko) 2000-12-19 2000-12-19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식 온돌난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116A true KR20020074116A (ko) 2002-09-28

Family

ID=2772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272A KR20020074116A (ko) 2002-08-23 2002-08-23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식 온돌난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41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617B1 (ko) * 2006-03-16 2007-03-20 이용배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617B1 (ko) * 2006-03-16 2007-03-20 이용배 구획별 차등 난방이 가능한 난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5918B2 (en) Remote thermostat for room air conditioner
US56926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energy in circulating hot water heating systems
US9116529B2 (en) Thermostat with self-configuring connections to facilitate do-it-yourself installation
US9337663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utomation and energy management
TWI546504B (zh) 用於與加熱通風及空調系統連接之恆溫器電路
USRE46219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efficient temperature-based systems management
CA2774907C (en) A wireless thermostatic controlled electric heating system
US20090216382A1 (en) Direct Load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Comfort Temperature Setting
CA2910058A1 (en) Context adaptive cool-to-dry feature for hvac controller
US61763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heat pump
US5538181A (en) Automatic room occupancy controlled fuel savings system for air conditioning/heater units
US5918668A (en) System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air initially delivered by a heat pump
KR200245337Y1 (ko)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식 온돌난방 장치
JP6918676B2 (ja) 住宅用機器制御システム
KR20020074116A (ko) 각 난방구획별로 난방환경을 자동제어 하는 온수식 온돌난방 장치
US4147302A (en) Home heating system control
US11047583B2 (en) Zoned radiant heating system and method
CN100385356C (zh) 公共建筑采暖节能智能控制方法
CN205334212U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
KR200195491Y1 (ko) 난방구역별 온도조절이 가능한 개별 난방 시스템
US201100622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ultizones from a single zone heating system
JP6045682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保温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A016524B1 (ru) Система обогрева
JP2016196983A (ja) 設備管理装置、設備管理方法、プログラム
US11853086B1 (en) Water deli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