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061A -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 - Google Patents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061A
KR20020074061A KR1020020004592A KR20020004592A KR20020074061A KR 20020074061 A KR20020074061 A KR 20020074061A KR 1020020004592 A KR1020020004592 A KR 1020020004592A KR 20020004592 A KR20020004592 A KR 20020004592A KR 20020074061 A KR20020074061 A KR 20020074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heat
oil
boil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완식
Original Assignee
최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완식 filed Critical 최완식
Priority to KR1020020004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4061A/ko
Publication of KR20020074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2/00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2/02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having more than one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24H1/3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the water chamber including one or more fir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에 관한것으로 난방보일러(1) 내부 중앙에 열증폭관(2)을 설치하고 전기히터(12,13)에 의해 또한 유류연소에 의해 가열되게 하며 이 열증폭관(2)이 가열되면 그 내부에 봉입된 가스(he.xe.ar)가 열을받아 열분해하면서 약 1,200℃ 정도의 고열을 발생하므로 이 난방보일러(1)는 소비전력에 비해 또한 유류 연소량에 비해 월등히 높은 열량을 얻을수 있는 보일러로써 유류연소시에는 [도2] 처럼 연소실(4) 내부의 버너구앞에 용수철 형태의 발열체(36)를 설치하여 유류 연소율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그을음을 방지하였고 또한 유류연소실(4)에 연소실칸막이(5)를 설치하여 [도2]에 화살표시 한것처럼 연소실(4)에서 연소된 불꽃과 열기를 가진 연기는 일측 상향 연소통로관(24,25,26,27)으로 상향되고 다시 반대쪽 일측 하향 연소통로관(20,21,22,23)으로 하향되도록 하여 다시 연도(6)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열효율을 높이고 또한 연도(6)를 이중관으로 형성하여 순환펌프(10)에 의해 순환 유입되는 차가운 난방수를 연도 물탱크 형성관(34)내부로 통과하도록하여 열효율을 높이는 특징을 갖도록하여 각 사용자의 난방비 부담을 덜어줄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omitted}
본 고안은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보일러(1) 중앙에 열증폭수단을 가진 열증폭관(2)을 내장 설치하여 전기히터(12,13)에 의해 또한 유류연소에 의해 유류연소통로관(18,19)을 통해서 가열되도록 설치된것으로 이 열증폭관(2)이 가열되면 그내부에 봉입된 가스(he.xe.ar)가 열을 전도받아서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어 열분해하면서 약 1,200℃ 정도의 고열을 발생하므로 소비 전력에 비해 또한 유류연소량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열효율을 얻을수 있는점을 특징으로 한것이며 여기에다 몇가지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능을 더 추가하여 열효율은 최대로 증대시키면서 구소는 실용적인 소형으로 제작하여 종래의 난방보일러보다 난방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덜수있게한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일반적으로 유류와 전기를 겸용하는 보일러는 기본적으로 유류 연소에 의해 가열되는 수실에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는 전기히터를 내장하는 구조로 된것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다
따라서 유류겸용 전기보일러는 상기한 구조를 효율적으로 구성시켜 열효율을 높이는 것과 열효율을 높일수 있는 더 좋은 방법을 찾는것과 원가절감을 갖게하는 것과 생산성 향상을 시킬수 있는것등이 연구과제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선행기술인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1177114호는 완벽한 제품이라고 볼수 없다
그러므로 문제점을 갖는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면 고열을 발생하는 he.xe.ar(헬륨.크세논.아르곤)등의 가스를 열증폭수단으로 이용하여 된것으로 종래의 방식과는 다르며 종래의 기술보다 더 높은 열효율을 얻을수 있도록 한것이며 여기에다 열효율을 더 높일수 있는 몇가지 기능을 추가하여 된것으로 열효율은 최대로 증대시키기 위해 구조를 효율적으로 구성시켰으며 규모면에서는 실용적인 최소형으로 제작하여 종래의 난방보일러보다 난방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덜수 있게한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이 열효율을 최대로 증대시키기 위해서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면 고열을 발생하는 가스를 열증폭수단으로 이용하고자 한다. 종래에도 이러한 가스를 이용하여 열증폭식 전기보일러가 출원된 일이 있다. (실용신안 공고번호 93-6978) 이 열증폭식 전기보일러는 열효율을 증대시킬수 있는 좋은 제품인데도 그동안 보일러로써 많이 이용되지 못한 점이 매우 아쉽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전기보일러 단순기능보다는 절약형 유류겸용 전기보일러로써 이용될수 있도록 하여 주간에는 유류를 연료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고 야간에는 심야전기를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고 또 이 겸용보일러에다 열증폭수단을 가진 가스를 봉입한 열증폭관을 설치하고 또 열효율을 더 증대시킬수 있는 몇가지 기능을 더 추가하여 된것으로 바로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것처럼 유류겸용 전기보일러에 열증폭수단을 가진 가스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착안에 의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유류겸용 전기보일러에 맞게 기술개발이 이루워지도록 하며 열효율은 최대로 증대시키면서도실용적인 최소형으로 제작하여 종래의 유류겸용 전기보일러보다 난방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덜수 있게 한 보일러를 만드는 것이 연구 과제가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고안은 열효율을 최대로 증대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면 가스가열분해 하면서 약 1,200℃ 정도의 고열을 발생하는 가스(he.xe.ar)를 열증폭수단으로 이용하여 열효율을 최대로 높혀 난방비 부담을 덜수있도록 하는 것이고
또 다음은 난방보일러의 유류연소시에 연소율을 최대로 높혀 완전연소에 가깝도록하므로 그을음방지는 물론 열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또 다음은 난방보일러의 유류연소시 유류연소량을 줄이면서 일단 연소된 열기를 가진 연기를 보일러 내부에서 체류시간을 길게 하므로 열효율을 높이는 것과
또 다음은 보일러에서 연소된 열기를 가진 연기가 보일러 밖으로 연도를 통해 배출될때 그 연도에서 버려지는 열을 순환되는 난방수로 회수하는 수단과 방법등을 강구하여 열효율을 높혀서 난방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덜수 있도록 하는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연소실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외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물탱크와 연소통로 일부를 나타낸 상하 횡단면 사시도
도6은 도5의 일부를 절단한 종단면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물탱크와 연소통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도7의 절반을 절단한 종단면도
도9는 도10의 절반을 절단한 종단면도
도10는 본 고안의 물탱크와 연소통로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본 고안의 열증폭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12는 도11을 확대한 상세도
도13은 도12를 다른 각도에서 본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난방보일러 29. 연소실의 물탱크 형성 원통형
2. 열증폭관 30. 연소통로 공간부 형성 간막이
3. 난방수 31. 가스 주입관
4. 연소실 32.33. 전기히터 보호관
5. 연소실 칸막이 34. 연도 물탱크 형성관
6. 연도 35. 봉입된 가스(he.xe.ar)
7. 연소통로 교환 공간부 36. 연소용 발열체
8. 물탱크 37. 온수용 파이프
9. 난방수 출구 38. 버너구
10. 순환펌프 39. 연기 배출구
11. 버너 40. 외장 케이스
12.13. 전기히터 41. 고정용 절연체
14. 과열 차단센서 42. 전기히터 마개
15. 온도 감지센서 43. 가스유입관 마개
16. 저수위 센서 44. 석영 유리관
30.17. 연소통로 공간부 형성 간막이 45. 보온 단열재
18.19. 열증폭 관내 연소통로관 46.47. 연소통로관 형성판
20.21.22.23. 하향측 연소통로관 48. 난방수 입구
24.25.26.27. 상향측 연소통로관 SW1. 심야용 전원 스위치
28. 콘트롤러 SW2. 일반용 전원 스위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3부터 도13까지는 내부구조 및 외부구조를 알수 있도록 하기위한각부분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하나의 커다란 물탱크를 갖는 원통형의 난방보일러(1)의 본체를 구성한다
난방보일러(1) 본체는 보온재로 감싸고 그 외부를 외장케이스(40)로 씌워지도록 한다
난방보일러(1) 본체 하부에는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연소실(4)의 물탱크 형성 원통형(29)을 설치하여 난방수(3)가 연소실(4)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는 동시에 열손실을 막도록 설치된 것이다.
다음은 연소실(4)에 연소실 칸막이(5)를 설치한다.
이렇게 연소실 칸막이(5)를 설치하는 것은 [도3]에서 화살 표시된 곳 위로 연소통로관이 설치될것인데 상향 화살 표시된곳(18,19,24,25,26,27)은 연소실(4)에서 연소된 불꽃과 연기가 1차로 그곳을 통해서 상향되어 2차로 하향 화살 표시된곳(20,21,22,23)으로 연소된 불꽃과 연기가 내려와서 연기배출구(39)로 배출되도록한 구조로 만들기 위하여 연소실 칸막이(5)를 설치하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것은 적은 유류연소량으로도 연소된 열기를 가진 연기를 보일러 내부에서 체류시간을 길게 갖도록 하므로 열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각도에 화살 표시된것은 주로 연소된 연기의 통로를 이해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살표시이다.
그리고 각도에 점을 무리지어 찍어 놓은 것은 난방수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연소실(4) 위에 [도5]에 도시한것처럼 물탱크(8) 난방수(3)를 관통하는 상향측 연소통로관(24,25,26,27)이 설치되고 또 또 그 반대편에 하향측 연소통로관(20,21,22,23)이 설치되고 그 주위를 상하로 연소통로관 형성판(46,47)을 설치하여 물탱크(8)와 연소통로관을 구분해주는 역활을 할수있도록 설치되며 또 연소통로관으로서 보일러 내부의 난방수(3)를 가열시켜 줄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중앙에는 열증폭관(2)이 설치될 공간이며 나머지 공간은 물탱크공간이며 그곳에 난방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도6]은 [도5]의 연소통로관이 상하로 난방수(3)를 관통하여 연통되었으므로 연소된 불꽃과 열기를 가진 연기가 통과될수 있음을 나타내주는 일부를 절단한 종단면 사시도이다.
다음은 이 연소통로관 위에 [도7]에 도시한 것처럼 연소통로 교환 공간부(7)가 설치된다
이 연소통로공간부(7)를 형성하기 위하여 본체 물탱크 적은 직경으로 하는 원통형으로된 연소통로공간부 형성 칸막이(30,17)를 내측과 외측으로 설치하므로 연소통로 교환 공간부(7)가 형성된다.
그리그 이 연소통로 공간부 형성칸막이(30,17) 그 위쪽을 막아 주어서 연소통로 공간부(7) 위쪽은 난방수(3)로 채워진다.
이 연소통로 교환 공간부(7)가 설치되므로 해서 [도3]의 연소실(4)에서 유류가 연소될 경우 연소실 칸막이(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7]에 화살표시된것처럼 상향측 연소통로관(24,25,26,27)으로만 연소된 불꽃과 연기가 상승되므로 다시 하향측 연소통로관(20,21,22,23)으로 하향시키기 위하여 연소통로 교환 공간부(7)가필요하다.
그리고 일단 하향측 연소통로관으로 하향된 연기는 [도1]과 [도2]에서 볼수 있는것처럼 연도(6)으로 배출된다.
또한 연소통로 교환 공간부(7) 상.하.좌.우 외측으로는 물탱크(8)이며 난방수(3)로 채워지도록 설치되여 있다.
그리고 [도10]은 물탱크와 연소통로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절반을 절단한 종단면도로 표시하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다.
다음은 난방보일러의 물탱크(8)의 내부에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온수용 파이프(37)가 내장 설치하여 온수를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난방보일러(1)의 외부측으로는 연도(6)가 이중관으로 형성된 것을 설치되며 연도(6) 내부측에는 연소된 연기가 배출되는 통로이며 연도의 외측 물탱크 형성관(34) 내부에는 각 난방라인에서 순환펌프(10)에 의해 난방수입구(48)로 회수되는 차가운 난방수를 1차적으로 통과시켜서 버려지는 연기에 의해 가열되도록 설치하였으며 1차적으로 연도(6)의 외측 물탱크 형성관(34)을 통과하여 가열된 난방수는 난방보일러(1)의 상단부분 물탱크(8)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이때 연도(6) 외측 물탱크 형성관(34) 외부로는 보온단열재로 감싸여 진다.
그리고 연도(6)의 아래쪽에 순환펌프(10)를 장착 설치하여 작동되도록 하였다.
또한 연소실(4) 앞쪽 버너구(38)에는 유류연소용 버너(11)가 장착되며 연소실(4) 내부의 버너구(38) 앞쪽에는 [도2]에 도시한 것처럼 연소용 발열체(36)를 설치하므로 버너구(38)에서 나오는 불꽃에 의해 연소용 발열체(36)가 빨갛게 달아오르게 되므로 유류연소시에 연소율을 높혀주므로 열효율을 높일수 있으며 동시에 그을음을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게되었다.
그리고 난방보일러 물탱크 내부의 난방수(3)가 채워진 부분에 [도1]과 [도2]에 도시된 것처럼 과열차단센서(14)와 온도감지센서(15) 저수위센서(16)를 부착 설치하여 감지신호를 콘트롤러(28)에 보낼수 있도록 연결시키며 또한 콘트롤러(28)에 의해 각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또 순환펌프(10)와 기름버너(11)도 콘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심야용 전원스위치 SW1도 설치되고 또 일반용 전원스위치 SW2도 설치하여 가정용 교류전류에 연결된다.
다음은 난방보일러(1)의 중앙에 열증폭관(2)을 설치한다.
이 열증폭관(2)은 [도11]과 [도12]와 [도13]에 상세하게 도시되여 있다. 열증폭관(2) 내부에는 전기히터 보호관(32,33)이 설치되고 열증폭관(2)내부에 연소통로관(18,19)도 설치된다.
또한 열증폭관내부에는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면 열분해하면서 약 1,200℃ 정도의 고열을 발생하는 가스 he.xe.ar.등의 가스가 가스주입관(31)을 통하여 봉입된다.
그리고 열증폭관(2) 내부의 전기히터 보호관(32,33)에는 [도13]에 도시된것처럼 열선인 니크롬선(12,13)이 석영유리관(44)에 밀착되여 감겨진 것을 넣어 고정되며 이때 석영유리관과 니크롬선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기위하여 석영유리관(44) 상.하부에 고정용 절연체(41) 끼워 부착하고 그위에 유리석영관(44) 고정용 전기히터마개(42)로 고정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하므로 바로 옆에 설치한 전기히터보호관(32,33)과 그안에 설치된 열선인 니크롬선(12,13)이 전기히터보호관(32,33)에 접촉되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는 공간을 확보되도록 하여 열이 잘 전달될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열선이 감겨진 석영유리관(44)을 넣었다 빼냈다 할수있도록하여 사용도중 고장수리를 용이하게 할수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석영유리관(44)에 밀착되게 감겨진 열선인 니크롬선(12,13)이 전기히터로 작동된다.
그리고 전기히터(12,13)을 열증폭관(2) 내부에 설치하는것은 열증폭관(2) 내부에 봉입된 가스를 가열시키기 위해서이고 이 가열을 받은 가스는 가열되면 열분해하면서 약 1,200℃ 정도의 고열을 발생하므로 바로 옆의 난방수(3)를 가열시키는데 이용하면 직접 전기히터(12,13)가 난방수를 가열시키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한 열증폭관(2) 내부에 연소통로관(18,19)을 설치하는 것은 유류 연소시에 이 연소통로관(18,19)으로 연소된 불꽃과 열기를 가진 연기가 통과되므로해서 열증폭관(2) 내부에 봉입된 가스를 가열시켜주므로 이 가스가 가열되면 열분해하면서 약 1,200℃ 정도의 고열을 발생시키므로 바로옆의 난방수(3)를 가열시키는데 이용할수 있으므로 유류연소에 의해 직접 난방수(3)를 가열시키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며 열효율을 높일수 있기 때문에 열증폭수단을 가진 가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전기히터(12,13) 의해 또한 유류연소에 의한 연소통로관(18,19)을 통해 가열시키므로 열증폭관(2)의 열증폭수단에 의해서 소비되는 전력에 비해 또한 연소되는 유류소비량에 비해 월등히 높은 열량을 얻을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스 he.xe.ar.등의 가스를 열증폭관(2)내부에 봉입하고 가열하는 방법을 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것으로 본난방보일러(1)는 콘트롤러(28)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고 작동되는 과열차단센서(14)와 온도감지센서(15)와 저수위센서(16)와 순환펌프(10)와 기름버너가 각각 설치되여 각 기능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주간에는 일반용 전원스위치(SW2)를 작동시켜 놓으면 전기히터(12,13)는 작동되지 않는 대신에 난방보일러(1) 내부의 난방수(3)가 보일러 콘트롤러(28)에 세팅된 설정온도이하로 식으면 기름버너(11)가 작동되여 연소실(4)내부로 유류와 공기를 불어넣어 주며 자동 착화시키므로 [도2]에 도시된 것처럼 버너구(38) 앞에 설치된 연소용 발열체(36)가 제일먼저 열을 받아 빨갛게 달아오르므로해서 유류연소를 촉진시켜주므로 그을음 발생을 감소시켜 주는 동시에 열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이렇게 연소된 불꽃과 열기를 가진 연기는 연소실(4)내부에 설치된 연소실칸막이(5)때문에 [도1]과 [도2]에 도시되여 있는것처럼 상향측 연소통로관(24,25,26,27)과 열증폭관(2)내부의 연소통로관(18,19)으로만 상승되고 이 상승된 연기는 연소통로 교환 공간부(7)를 통해서 하향측연소통로관(20,21,22,23)으로 이동하여 하향되여 연소실칸막이(5)의 뒷쪽 공간부를 통해서 외측연도(6)를 통해서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즉 한보일러 내부에서 상향되고 하향되어 연소된 연기가 배출되도록 한것은 적은 유류 연소량으로 연소된 불꽃과 열기를 가진 연기를 보일러 내부에서 체류시간을 길게 하므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것이다.
또한 연소된 연기가 열증폭관(2) 내부의 연소통로관(18,19)을 통과하게 될때도 열증폭관(2)내부에 봉입된 가스가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어 열분해하면서 약 1,200℃ 정도의 고열을 발생하므로 보일러 내부의 난방수(3)를 가열시켜준다 그러므로 소비된 유류 연소량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열량을 얻을수 있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가열된 난방수(3)는 보일러의 내부에 부착되여 있는 온도감지센서(15)가 온도를 감지하여 콘트롤러(28)로 신호를 보내면 콘트롤러(28)에 세팅된 설정온도에 의하여 순환펌프(10)가 작동되여 보일러 내부의 유류연소에 의하여 또 열증폭수단에 의하여 가열된 난방수가 보일러 난방수 출구(9)를 통하여 각 난방라인으로 공급되여 순환되어 난방이 이루워지는 것이다.
이때 순환펌프(10)에 의해 순환되는 난방수(3)는 난방라인(미도시됨)으로 공급되고 난방라인에서 난방수입구(48)를 통하여 회수되는 차가운 난방수는 [도1]과 [도2]에 도시된것처럼 연도(6)의 외측 연도 물탱크 형성관(34) 내부를 통과하여 보일러 내부로 유입되어 순환된다 이렇게 연도(6)를 이중관으로 형성하여 연도 물탱크 형성관(34)내부로 회수되는 차거운 난방수를 통과하게 하는것은 연소된 열기를 가진 연가가 연도(6)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므로 버려지는 연도(6)의 연기를 통하여 순환유입되는 차가운 난방수가 1차적으로 가열되게 하여 보일러의 상단측을 통하여 보일러 내부로 유입되게 하므로 상당한 열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한것이다.
야간에는 심야용 전원스위치(SW1)를 작동시켜 놓으면 심야전기가 공급되는 시간에는 콘트롤러(28)에서 버너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열증폭관(2) 내부의 전기히터(12,13)를 자동으로 가동시키게 된다. 그 전기히터의 가동에 의해 전기히터가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면 바로옆의 열증폭관(2) 내부의 봉입된 가스(he.xe.ar)가 열을 전달받아서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어 열분해하면서 약 1,200℃ 정도의 고열을 발생하므로 이 증폭된 고열은 바로옆 보일러 물탱크 내부의 난방수(3)를 가열시키게 되며 가열되기 시작한 난방수는 콘트롤러(28)에 세팅된 설정온도가 되면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신호로 콘트롤러(28)에 전달되어 콘트롤러(28)에 의해 순환펌프(10)가 작동되어 난방보일러(1) 내부의 가열된 난방수는 난방수출구(9)를 통해 순환되어 난방라인으로 공급되여 난방이 이루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증폭관(2) 내부에 봉입된 가스 he.xe.ar.(헬륨 크세논 아르곤)등의 가스는 열을 받아 가열되면 열분해하면서 약 1,200℃ 정도의 고열을 발생하므로 소비되는 전력에 비해 월등히 높은 열량을 얻을수 있게되므로 본고안은 종래의 유류겸용 전기보일러보다 열효율이 더 좋은 보일러를 만들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고안의 전기히터에 의한 또 버너의 이상 과열에 의한 위험을 차단시켜줄수 있도록 과열방지 회로를 구비 설치하며 과열방지 회로가 작동되면 전기히터(12,13)의 전기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줄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버너의 작동도 중지되도록 설치된다.
다음은 [도4]에 도시되여 있는 것처럼 연기 배출구(39)를 좌.우에 설치해놓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난방수출구(9)도 좌.우에 설치해 놓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난방보일러(1)의 내부에 열증폭수단을 가진 가스를 봉입하여 전기히터에 의해 또 유류연소에 의해 열증폭관(2)을 가열되도록 설치된것으로 소비되는 전력에 비해 또한 소비되는 유류연소량에 비해 월등히 높은 열량을 얻을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이다.
또한 유류연소시에는 연소실(4)내부의 버너구 앞에 용수철 형태의 연소용 발열체(36)를 설치하여 유류연소율을 향상시켰으며 동시에 유류 그을음 발생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열효율을 높혔다.
그리고 다음은 유류연소실(4)에 연소실 칸막이를 설치하여 연소된 불꽃과 열기를 가진 연기가 상향측 연소통로관으로 상승되고 다시 반대쪽의 하향측 연소통로관으로 하향되도록하여 연도(6)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적은 유류 연소량으로도 연소된 불꽃과 열기를 가진 연기를 보일러 내부에서 체류시간을 길게하므로 열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은 연도(6)을 이중관으로 형성하여 순환펌프에 의해 회수되는 차가운 난방수를 연도 물탱크 형성관(34)내부로 통과시켜 1차적으로 가열될수 있도록하여 버려지는 연기에 의해 열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한 보일러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몇가지 열효율을 높일수 있는 특징을 지닌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이므로 획기적인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어 각 사용자의 난방비 부담을 덜어줄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연소용 발열체(36)를 설치하였으므로 연소율을 높아지게하여 연기로인한 대기오염 방지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1)

  1. 유류와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유류겸용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난방보일러(1)의 내부에 열증폭관(2)을 설치한 것과, 유류연소에 의해서도 열증폭관(2)이 가열되게 열증폭관내 연소통로관(18,19)을 설치한 것과, 또 전기에 의해서도 열증폭관(2)이 가열되게 전기히터 보호관(32,33) 내부에 전기히터(12,13)를 내장 설치한 것과, 열증폭관 내부에 가스를 봉입(35)한 것과, 열증폭관(2) 바로 밑부분에 연소실 칸막이(5)와 상향측 연소통로관(24,25,26,27)과 연소통로 교환 공간부(7)와 하향측 연소통로관(20,21,22,23)을 서로 연통되게 설치한 것과, 연소실 내부이며 버너구(38) 앞에 연소용 발열체(36)를 설치한 것과 연기 배출구(39)를 보일러 하부에 배치하여 연도(6)을 상향 설치하고 연도(6) 외측으로 유입되는 난방수가 통과 될 수 있도록 연도 물탱크 형성관(34)을 설치한 것으로 구성되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 보일러.
KR1020020004592A 2002-01-25 2002-01-25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 KR20020074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592A KR20020074061A (ko) 2002-01-25 2002-01-25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592A KR20020074061A (ko) 2002-01-25 2002-01-25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274U Division KR200246942Y1 (ko) 2001-03-16 2001-03-16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061A true KR20020074061A (ko) 2002-09-28

Family

ID=2772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592A KR20020074061A (ko) 2002-01-25 2002-01-25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406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4328A (ko) * 1987-05-14 1988-12-23 박민선 전기 및 유류겸용 온수 보일러
KR890005148Y1 (ko) * 1983-03-07 1989-08-02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동접촉편의 지지장치
KR930006978U (ko) * 1991-09-16 1993-04-24 김규홍 수압으로 자동퇴수되는 부동전
KR19990084018A (ko) * 1999-09-07 1999-12-06 민홍규 전기겸용 기름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148Y1 (ko) * 1983-03-07 1989-08-02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동접촉편의 지지장치
KR880014328A (ko) * 1987-05-14 1988-12-23 박민선 전기 및 유류겸용 온수 보일러
KR930006978U (ko) * 1991-09-16 1993-04-24 김규홍 수압으로 자동퇴수되는 부동전
KR19990084018A (ko) * 1999-09-07 1999-12-06 민홍규 전기겸용 기름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4821B2 (en) Energy sustaining water heater
CN101338894A (zh) 低热值燃料双预热蓄热式节能锅炉
CN204438123U (zh) 多孔介质辐射管
CA1155017A (en) Stove
KR20150028468A (ko) 전기 순간온수기용 가열장치
WO2008091057A1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KR20110026549A (ko) 하이브리드 전기보일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4104430A1 (zh) 燃气热水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246942Y1 (ko)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
CN113623873A (zh) 混合能源加热控制方法
US4122999A (en) Forced air heating system
CN218972887U (zh) 燃气热水装置和燃烧装置
KR20020074061A (ko) 열증폭식 유류겸용 전기보일러
KR100889799B1 (ko) 이중 순간 가열식 전기보일러
KR100377971B1 (ko) 산업용 열매체 보일러의 내장형 공기 예열 장치의 폐열 회수장치
CN214501707U (zh) 余热吸收组件和燃气热水器
KR200276436Y1 (ko) 유류겸용 전기보일러
KR200316357Y1 (ko) 가스보일러
KR200296450Y1 (ko) 유류보일러
CN214619614U (zh) 高效二次燃烧暗丝炉
CN212777906U (zh) 速热水器
JP3791792B2 (ja) 排ガス処理装置
CN215723134U (zh) 一种蒸汽发生器的热量交换装置
CN208846734U (zh) 燃气红外加热热水器
KR200229540Y1 (ko) 산업용 열매체 보일러의 내장형 공기 예열 장치의 폐열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