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212A - 이동무선통신 안테나 - Google Patents

이동무선통신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212A
KR20020073212A KR1020027010358A KR20027010358A KR20020073212A KR 20020073212 A KR20020073212 A KR 20020073212A KR 1020027010358 A KR1020027010358 A KR 1020027010358A KR 20027010358 A KR20027010358 A KR 20027010358A KR 20020073212 A KR20020073212 A KR 20020073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dielectric
distance
antenna
emit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770B1 (ko
Inventor
막스밀리안 궤틀
Original Assignee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filed Critical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73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0Radiating elements coated with or embedded in prote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6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2Details
    • H01Q19/021Means for reducing undesirable effects
    • H01Q19/028Means for reducing undesirable effects for reducing the cross pol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01Q9/285Planar di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이동무선통신안테나로서 하나의 추가 유전체(誘電體)(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21)는 하위 주파수범위를 위하여 구비된 것이며, 이미터(emitter)(4a, 13) 하부에 그 중량 및/또는 용적을 기준으로 완전히 배열되어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40%이상 정도 그 중에서도 특히 50 또는 60%이상이 배열되어 있으며 반사기(反射器)(11)에서 보아 상위주파수 범위를 위하여 제공되어 이미터(4b, 15)위에서 그 중량 및/또는 용적을 기준으로 전부 배열 또는 부분적으로 적어도 40%, 50% 또는 60% 이상 정도로 배열되어 있는 개선된 이동무선통신 안테나이다.

Description

이동무선통신 안테나{ANTENNA, IN PARTICULAR MOBILE RADIO ANTENNA}
이동무선통신-기지국의 이동무선통신안테나는 일반적으로 반사기(reflector)면전에서 수직방향으로 겹쳐있는 다수의 이미터(emitter)배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터배열은 이와 같이 다수의 다이폴이미터(dipole emitter), 예컨대 또한 교차다이폴형, 다이폴정방형등 이와 같이 다이폴형으로 구비하고 있는 이미터타입으로 구성 가능하다. 이와 똑같이 안테나도 소위 패치이미터(patch emitter)로 공지되어 있다.
공지되어 있는 바에 따라서 예컨대 미국과 기타의 다수국가에서 적용되는 바와 같은 900 MHz-주파수대의 소위 GSM-900-망(net), 소위 1.800MHz-대역의 GSM-1.800-망 또는 예컨대 또한 1.900MHz주파수대역에 대한 상이한 이동무선통신주파대역이 제공되어 있다. 다음의 이동무선통신발생 즉 UMTS-망을 위하여서는 2.000MHz의 주파수대역이 제공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이동무선통신안테나는 적어도 일반적으로 2중대역-안테나로 구성할 수 있게되어 있으며 또한 3중대역-안테나(예컨대 1.800 및 1.900에 대한900 또는 예컨대 2.000MHz대역)가 문제가 된다.
이 때문에 특히 안테나는 +45°와 -45°의 편파(偏波)에 의한 작동을 위한 2중편파안테나로 해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안테나를 기상상태의 영향에 대하여 합성수지카버로 보호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소위 레이돔(radome)은 그렇지만 대체로 기계적 과제를 충족해야 하며 균일하게 모든 이미팅 안테나부품을 카버한다. 적어도 2개의 편위되어 서로 마주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에서 작동을 위한 이러한 안테나는 예컨대 DE 198 23 749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2대역안테나 또는 일반적인 다중대역안테나에 있어서 이 경우에 한편으로는 방사영역패턴(radiated field pattern)의 1/2폭이 다양한 주파수영역즉 다양한 주파수대역에 대한 방위각도에서 폭이 상이한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2대역안테나나 또는 일반적으로 다중밴드안테나에 있어서 더욱이 방사특성의 악화에 이르는 교차편파성분이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가 일어난다. 끝으로 한편 또한 VSWR-관계 및 / 또는 감결합도 불리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근본적으로 선행기술에 의하면 단지 1개 주파수대역에 대해서 만을 기초로 하는 즉 한 개 주파수대역에서만이 송수신할 수 있는 다중안테나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이러한 상기 한 개 주파수대역에서만이 전달을 위한 선형편파 또는 2중편파안테나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한 개 주파수대역에서만이 작동하는 안테나는 예컨대 공개 DE 199 01 179, DE 198 21 223 A1, DE 196 27 015 C2, DE US 6,069,590 A 및 US 6,069, 586 에 공지되어 있다. 모든 이러한 선원공개는 한편으로 동일주파수대역에서 2개의 편파의 감결합문제와 일반적으로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그것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기생방출감결합요소를 생성하기 위하여 전기전도부품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청구제1항의 상위개념에 의한 안테나 그 중에서도 특히 이동무선통신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다중이미터와 본 발명에 의하여 구비된 유전체를 가진 이동무선통신분야에 대한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2는 도1의 안테나의 수직종방향확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도
도3은 도1과 도2에서 인용된 안테나의 수직정면도
도4는 도1의 변형실시예의 평면도
도5는 도4의 모사안테나의 대응횡측면도
도6은 전면도(도4 및 도5 모사 안테나)
도7은 다중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전체의 평면약도
도8은 스페이서(spacer) 또는 푸트(foot)형 유전체의 단면약도
한편 본 발명의 과제는 DE 198 23 749 A1에 의한 유형안테나에 의하여 적어도 2개 주파수영역 또는 대역에서의 작동을 위하여(안테나가 한 개 편파에서만 작동하던가 또는 다중편파에서 작동하던가에 관계없이) 1/2폭 및/또는 교차편파성분의 억제 및 /또는 VSWR-관계에 대해서 및 또는 감결합 또는 대역폭제고에 대한 현저한 개선을 기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과제는 청구제1, 2, 3 및/또는 4항에 설명한 특징에 따르는 발명에 따라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형태는 종속조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상기 장점이 개별적으로 뿐만 아니라 누적만으로도 개선이 이루어지며 확실히 공지되어 있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에 있어서 적어도 그의 반사기면에 대하여 수직에 따르는 확장성분보다 큰 반사기면에 대하여 병렬인 확장방향을 지시하는 유전체(誘電體)가 제공되어 있는 것이 상기와 같이 새롭게 표현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유전체는 평면형으로 되어 있다. 유전체는 우선적으로 평면도에서 n-다각형으로 가능하며 예컨대 다이폴이미터-배열의 상부 예컨대 교차다이폴, 다이폴정방형 또는 패치이미터의 상부에서 확장되며 특히 확장위치는 고위주파수영역에 대해서는 해당 이미터요소의 상부와 적어도 최하위주파수영역에 대해서는 이미터요소의 밑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다음에 또한 일부 유전동조판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 의한 유전체는 평면도에서 대칭형으로 되어 있으며, 우선 적어도 개별 이미터배열에 관하여 이에 대하여 대칭으로 구성 배열되어 있는 부분을 구비한다.
이로 인하여 보완 또는 대안으로 이에 해당하는 유전체는 2개의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에서 수직반사기평면앞에서 겹쳐 배열되어 있는 이미터배열은 반사기판앞에서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것이 또한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전체는 예컨대 적당한 합성수지재 예컨대 폴리스티렌(polystyrene), 유리섬유합성수지(GFK)등으로 되어 있다.
특히 유전체자료는 그의 유전체가 전혀 큰 손실요소를 가지지 않는 자료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800 내지 1.000MHz와 1.700 내지 2.200MHz의 주파수영역에서 유리하다.
특히 유전체는 판형으로 되어 있어서 반사기앞의 평행면에서 뻗어 있다. 유전체는 한편으로 설정되어 있는 유리하다고 간주되는 거리에 대하여 반사기판앞에서 배열하기 위하여 동일한 재료(일반적으로 스페이서(spacer)등)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확장높이는 λ/2보다 낮다.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로 1/2폭주파수종속성의 현저한 감소를 기할 수 있다. 자주 이동무선통신안테나는 65°의 1/2치폭을 가지도록 조정이 된다. 이러한 65°-1/2치폭은 한편 일반적으로 적어도 양 주파수대역 우선 대단히 폭넓은 대역일 때 일반적으로 완전히 동일하게 조정이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선행기술에서 예컨대 65°± 10°(또는 적어도 ±7°)의 적어도 2개의 제시된 주파수대역에 대하여 공차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공차는 이제 65°± 5°(또는 더욱이 다만 ±4° 및 그 이하)로 개선된다.
공지되어 있는 바에 따라서 자주 안테나는 각각 수평 120°-선형(扇形)각도로 방사하도록 조정된다. 이것을 선형이라고도 한다. 이로 인하여 즉 안테나마스트(aerial mast)당 세 개의 선형으로 된다. 선형경계에서 즉 당해 이동무선통신안테나는 +60°또는 -60°의 각도로 방사하며 교차편파성분의 한계 그 중에서도 특히 선행기술에 의한 선형경계에 있어서 선형경계에서의 편파성분의 한계는 무엇보다도 광대역안테나인 경우에 작은 값을 제시하고 있다. 유전동조체를 사용한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로 이에 그 자체 ±60°인 경우에 선형한계에서 교차편파성분의 제한에 대하여 10dB 또는 보다 양호한 관계가 이루어진다.
-발명에 따라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닌- 다중대역-안테나배열(즉 적어도 이중대역-안테나배열)에 있어서 또한 교차방식의 편파이미터가 사용되면 이 경우에 감결합이 동시에 현저히 향상된다. 요구되는 감결합은 30dB이상의 큰 값을 가진다. 이것은 우선적으로 광대역안테나나 또는 전기적인 강하의 조정이 가능한 안테나에 있어서 대단히 큰 문제점 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인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값은 무엇보다도 또한 안테나가 광대역이면서 추가로 전기적으로 조정이 가능할 때 현저히 상회한다.
본 발명은 끝으로 광대역확장 그 중에서도 특히 상위주파수에 대하여 또한 유리한 결과가 된다.
요컨대 이에 따라서 상기 장점은 본 발명에 의한 유전체로 무엇보다도 상위주파수영역 또는 감안된 다수의 주파수영역에 대하여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조치는 보다 하위 또는 각각의 가장 하위로 감안된 주파수영역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1 내지 도3에 의한 제1실시예에서 안테나(1)는 5개의 이미터, 즉 2개의 수직방향에 따라 편위되어 서로 마주 대하고 있는 제1하위 주파수영역을 위한 제1이미터(4a)와 3개의 수직방향에 따라 편위되어 있는 상위주파수영역을 위한 제2의 이미터(4b)를 포함한다.
제1이미터(4a)에는 다이폴정방형(13)의 유형에 따라 배열되고 그의 공동중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 있는 소위 평형회로(7')에 의하여 지지되고 전기전도반사기(11)에 고정되어 있는 다이폴이미터(7)가 형성되어 있다.
이의 제1이미터(4a)내에 배열되는 제2의 이미터(4b)는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2개의 수직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는 다이폴을 가진 교차다이폴(15)의 유형에 따라 구성된다.
제1이미터(4a)간에 제시되고 동시에 제2이미터(4b)군에 속한 중앙이미터장치(4b)는 이 실시예에서 동시에 다시 4개의 다이폴(16)로 구성된 다이폴정방형으로 구성된 다이폴정방형(17)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원칙적으로 제1이미터(4a)의 큰 다이폴정방형과 비교가능하며 유사하다.
상기 이미터는 수직으로 정렬된 반사기(11)앞에 배열되어 있으며 반사기(11)는 예컨대 한 개의 반사판(11′)으로 구성가능하며 또한 반사기평면으로부터 그의 수직측(12)에서 방사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모서리부분(12′)으로 구성 가능하다.
도1 내지 3에 의한 도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더욱 몇 가지 안테나특성의 개선을 위하여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반사기평면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유전체(2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유전체는 특히 반사기앞에서 최상위전달주파수영역의 λ/2보다 작거나 또는 최대주파수영역의 이에 속한 중간주파수의 λ/2보다 작은 거리를 두고 있다. 유전체두께는 넓은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선택 가능하다. 이상적인 값은 이에 속한 반사기(11)로부터 제1이미터(4a)의 이미터요소거리의 2% 내지 30% 그 중에서도 특히 5% 내지 10%사이에 들어 있다.
도2와 3에 따라서 양 측면도에 대하여 그 중에서도 특히 도1에 따라 나타난바와 같이 유전체(21)는 반사기(11)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고 그의 두께보다 크며/또는 반사기(11)평면에 반사기평면(11)에 대한 그의 중간평면의 거리보다 크며/또는 상위주파수영역을 위하여 이에 속한 이미터(4a) 제시된 이미터요소를 위하여 구성되어 있는 이미터요소(4b, 15)의 거리보다 큰 적어도 한 개의 확장구성요소(22)를 구비하고 있다.
끝으로 유전체가 전부 또는 적어도 반사기(11)앞에서 거리를 두고 배열되고 더욱이 상위 주파수영역을 위하여 구성되어 있는 반사기배열위에 배열되어 있는 때 동시에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동시에 유전체가 전부 또는 적어도 하위 주파수영역을 위하여 구성된 이미터배열밑의 일부에 있을 때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2개의 상기 조건들은 특히 동시에 충족되어야 하며 그 효과는 이 경우에 유전체(21)가 전부 또는 적어도 상위 주파수영역을 위하여 구성된 이미터배열위의 일부와 동시에 하위주파수영역을 위하여 구성된 이미터배열아래에 동시에 형성되며 그 때 반사기에 대하여 전적으로 또는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 있을 때 특히 유리하다. 유전체가 상위주파수영역을 위하여 감안되어 있는 이미터 위에 전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하위주파수영역을 위하여 감안되어 있는 이미터아래에 전부 형성하지 않을 때 그 효과는 이 경우 유전체(21)가 그의 전 용적 및/또는 그의 전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충분한 양으로 이러한 위치에 있을때 즉 예컨대 그의 전 중량 및 /또는 용적의 적어도 30%, 40%, 50%이상 또는 무엇보다도 60%, 70%, 80% 또는 90%이상이 주어진 영역에 있을 때 특히 유리하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적어도 유전체(21)는 그 밑에 있는 반사기(11)에대하여 수직인 투영도에서 반사기판보다 작음을 동시에 알 수 있다. 물론 유전체 또한 최종적으로 반사기(11)크기와 일치하는 크기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유전체(21)는 제1이미터(4a)내에서 대칭인 제1부분에 의하여 제1 이미터(4a)내에서 대칭 및 이에 따라 그 안에 있는 제2이미터(4b)의 위에 배역되며 더욱이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제1이미터(4a)가 다이폴정방형으로 구성되어있음으로- 정방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 유전체(21) 즉 유전동조판(21)은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중간수직부분(21b)으로 되어 있는 데 이것은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편위되어 있는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제1이미터배열(4a)의 다이폴정방형(13)영역의 부분(21a)을 결합시켜준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즉 이렇게 형성되어 있는 유전동조판(21)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이 동조판은 적어도 한편 도1에서 인용된 거의 같은 형상 즉 예컨대 정방형의 형태로 다이폴정방형에 따라 각각 반사기평면에 평행한 상기 다이폴정방형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는 2개부분(21a)을 포함한다. 이러한 2개부분(21a)사이에는 이 때 긴결합부분(21b)이 일직선으로 뻗어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상위주파수에 대하여 예컨대 1.700 내지 2.200MHz(예컨대 2.170MHz까지)의 상위주파수에 대하여 반감 폭에 따르는 교차편파 성분의 제한치, 감결합은 한편 또한 대역폭증가와 같이 유리한 방법으로 개선이 이루어진다. 하위주파수영역 또는 하위주파수대역에 대한 불리한 영향은 실제적으로는 확인 할 수가 없다.
도면에서 간접으로만 취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전체는 특히 이미터 예컨대 이의 대칭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4 내지 6에 의한 실시예는 여기에서 제2 이미터(4b)(교차이미터(15)대신)를 위하여 패치이미터(27) 즉 예컨대 반사기(11)앞에서 제1이미터(4a)에 대하여 동일한 편파배열에 의하여 중간에서 대칭으로 적당한 거리의 높이로 설치되어 있는 예컨대 정방형이미터요소형태인 평면이미터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도1내지 3에 의한 것과 다르다. 2개의 각각 제1이미터(4a)에 설치되어 있는 패치이미터(27)사이에는 중간에 놓여 있는 여전히 한 개의 추가 패치이미터(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특히 도5에 따른 종방향측과 도6에 따른 정면측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다른 높이에서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아직 남아 있는 제1의 다이폴정방형의 유형에 따라 구성되어 있는 다이폴이미터(4a)는 동시에 안테나가 모두 패치안테나로 구성되도록 패치이미터로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안테나의 경우에 있어서도 이에 대한 유전체(21)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전동조요소 또는 유전동조판(21)을 취할 수 있다.
유전체(21)는 적절한 방법으로 예를들면 개별 이미터요소의 대칭(7′)에 고정 및 지지가 가능하다. 이 유전체는 예를들면 동시에 유전적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즉 전기전도가 가능 한 표준푸트(foot)로 할 수도 있다.
유전체(21)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서는 안된다. 이 유전체는 이 때 한 개의 원하는 형태로 외견상으로 함께 연결되는 다중별도분리부분으로 구성가능하며 유전체(21)가 구성 가능한 개별요소가 설치방향에서 표면상 완전히 겹쳐 있지 아니하고예를들어 개별구성요소간에서 도7의 평면도로 될 수 있다.
도8에 의하여 유전동조요소 또는 유전체는 반사기(21)에 고정을 위하여 스페이서를 설치할 수 있도록 요소(21)의 단면에 대하여 약도로만 도시되어 있으며 스페이서요소(41)는 별개의 스페이서로 될 수 있거나 또는 유전체(21) 자체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 가능하다. 어디에 어느 정도의 크기로 스페이서 또는 거리홀더가 구성되는 가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임의로 가변적일 수 있다.
동시에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형상도 다를 수 있다. 이 형상은 이와 동시에 원하는 유리한 안테나특성이 조정 실현되도록 변화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동무선통신용 안테나의 기술 분야에 이용된다. 특히 안테나가 한 개 편파에서만 작동 또는 다중편파에서 작동하는 것에 관계없이 1/2폭 및/ 또는 교차편파구성요소의 억제 및 / 또는VSWR-관련 및 감결합 또는 대역폭 제고를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무선통신기용 안테나에서 1/2폭 주파수종속성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으며, 상위주파수영역 또는 감안된 다수의 주파수영역에 이용된다.

Claims (17)

  1. 이동무선통신안테나에 있어서, 안테나는 비전도 재질의 보호카버로 되며, 보호카버하부와 반사기(11)앞에는 안테나의 반사기가 설치되고, 하위 주파수영역을 위한 이미터(4a, 13)는 반사기(11)앞의 제1거리나 제1거리영역에 설치되며, 상위 상위주파수영역을 위한 이미터(4b, 15)는 이에 반대로 반사기(11)앞의 제2거리나 제2거리영역에서 이들에 접하여 설치되며,
    보호카버를 구성하지 않은 유전체(21)가 하위주파수영역을 위한 반사기(11)와 이미터(4a, 13)의 제1거리나 제1거리영역사이의 영역에서 그의 용적의 40%이상, 그 용적의 중량으로 40%이상으로 배열 되며,
    하나의 유전체(21)는 상위 주파수영역을 위하여 설치된 이미터(4b, 15)의 제2거리나 제2거리영역의 위에서 관찰한 반사기(11)의 그 용적의 40%이상, 그 중량의 40%이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안테나는 비전도 재질로 된 보호카버로 되며, 보호카버하부와 반사기앞(11)에서 안테나의 이미터가 배열되고,
    하위 주파수영역을 위한 이미터(4a, 13)는 반사기(11)앞의 제1거리나 제1거리영역에 배열되며,
    상위 주파수영역을 위한 이미터(4b, 15)는 이에 대하여 반사기(11)앞의 제2거리나 제2거리영역으로 이에 대하여 인접 배열되고,
    보호카버를 형성하지 않은 유전체(21)는 최소한 일부 반사기(11)에 평행하여 뻗어 있는 거리공간에 배열되며 이는 하위 주파수영역을 위한 이미터(4a, 13)와 상위 주파수영역을 위한 이미터(4b, 15)를 통하여 설치되고,
    유전체(21)는 그밖에 반사기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어 있는 확장방향이나 반사기(11)의 평면에 이르는 그 거리보다 긴 반사기(11)의 평면에 대하여 직선으로 뻗어 있는 확장구성요소(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안테나는 비전도 재질로 되어 있는 보호카버 와 반사기(11) 앞에서 안테나의 이미터가 설치되며,
    하위 주파수영역을 위한 이미터(4a, 13)는 반사기(11)앞의 제1거리나 제1거리영역에 배열되고,
    상위 주파수영역을 위한 이미터(4b, 15)는 이에 반대로 반사기(11)앞의 제2거리나 제2거리영역으로 이에 근접 배열되어 있으며, 보호카버를 구성하지 않는 유전체(21)가 수직평면도에서 다이폴정방형(13, 17)이나 다이폴정방형 이미터배열의 높이에 위치하며 다이폴정방형(13, 17)이나 다이폴정방형유사이미터배열내에서 설치되고,
    상기 유전체(21)는 다이폴이미터나 교차이미터(15)나 패치이미터(17)의 상부 와 이에 따라 이들 이미터에 대하여 반사기(11)와 떨어져 배열되며,
    반사기(11)의 평면상에 수직 투영되는 유전체(21)면적의 크기는 반사기(11)평면의 유전체(21)간의 거리나 반사기(11)와 유전체(21)를 관통하여 뻗어 있는 중간평면사이의 거리나 반사기(11)평면과 반사기평면(11)에 대하여 떨어져 있는 유전체(21)의 외경계면사이의 거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거리로 되는 정방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테나는 비전도 재질의 보호카버로 형성되며, 보호카버하부와 반사기(11)앞에서 안테나의 이미터가 배열되고, 하위 주파수영역에 대한 이미터(4a, 13)는 반사기(11)앞의 제1거리 또는 제1거리영역에 배열되며, 상위주파수영역에 대한 이미터(4b, 15)는 이에 반대로 반사기(11)앞의 제2거리나 제2거리영역에 근접하여 배열되며,
    보호카버를 구성하지 않은 유전체(21)는 최소한 일부 반사기(11)앞에서 거리를 두고 이미터배열(4a, 13; 4b, 15)의 일부상부에 부분적으로 반사기(11)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유전체(21)는 수직평면도상에서 반사기위에 반사기(11)평면에 대하여 평행인 면상의 확장치수보다 큰 면확장치수, 가능한 스페이서, 푸트, 기타의 유전체(21)에 연결되고 반사기(11)에 따라 뻗어 있는 고정요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반사기(11)에 대하여 수직인 투영에서 유전체(21)는 그 하부에 있는 반사기(11)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는 반사기(11)에 대하여 수직인 투영에서 그 하부에 있는 반사기(11)와 똑 같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는 기계적으로 이미터(4a, 134; 4b, 15)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는 평면도에서 n-다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9.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는 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10.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의 일부는 설정되어 있는 이미터(4a, 4b)에 대하여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11.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는 상위 주파수영역이나 중간주파수영역에 대하여 반사기(11)평면으로부터 거리 λ/2이하 50%이상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12.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는 상위주파수영역을 위한 이미터배열의 위에 접한 한 영역의 그 주요부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13.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는 폴리스티렌, ABS 또는 GfK-합성수지로 된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14.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는 저유전손실계수 특히 10-3이나 10-4, 그 중에서도 특히 10-5보다 작은 저유전손실계수를 가지도록 재료에 따라 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15.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 그 중에서도 특히 900MHz, 18.00MHz 이나 2.000MHz-대역의 이동무선통신안테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16.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는 하위 주파수영역을 위한 반사기(11)와 이미터(4a, 13)의 제1거리나 제1거리영역간의 영역에서 그 용적의 50% 및 중량의 50%이상으로 배열되며 유전체(21)는 상위 주파수에 대하여 설치된 이미터(4b, 15)의 제2거리나 제2거리영역의 위에서 본 반사기(11) 용적의 50% 와 중량의 50%이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이동통신안테나.
  17.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21)는 하위 주파수에 대한 반사기(11)와 이미터(4a, 13)의 제1거리나 제1거리영역간의 영역에서 그 용적의 70%이상, 중량의 70%이상으로 배열되며, 유전체(21)는 상위 주파수영역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이미터(4b, 15)의 제2거리 또는 제2거리영역위에서 보아 반사기(11)의 그 용적의 70%이상, 중량의 70%이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안테나.
KR1020027010358A 2000-12-21 2001-12-13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KR100604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64129A DE10064129B4 (de) 2000-12-21 2000-12-21 Antenne, insbesondere Mobilfunkantenne
DE10064129.6 2000-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212A true KR20020073212A (ko) 2002-09-19
KR100604770B1 KR100604770B1 (ko) 2006-07-26

Family

ID=766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358A KR100604770B1 (ko) 2000-12-21 2001-12-13 이동 무선 통신 안테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831615B2 (ko)
EP (1) EP1344277B1 (ko)
KR (1) KR100604770B1 (ko)
CN (2) CN2496138Y (ko)
AT (1) ATE324678T1 (ko)
AU (1) AU2002216110A1 (ko)
BR (1) BR0108326A (ko)
CA (1) CA2430105C (ko)
DE (2) DE10064129B4 (ko)
ES (1) ES2261336T3 (ko)
NZ (1) NZ525698A (ko)
WO (1) WO2002050945A1 (ko)
ZA (1) ZA20020728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576A2 (en) * 2011-01-27 2012-08-02 Ls Cable Ltd. Broad-band dual polarization dipole antenna and antenna array
KR101230605B1 (ko) * 2011-10-05 2013-02-06 (주)하이게인안테나 이동통신용 지향성 섹터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US8593365B2 (en) 2009-11-17 2013-11-26 Kmw Inc Method for installing radiator elements arranged in different planes and antenna thereof
KR20210031992A (ko) * 2018-08-10 2021-03-23 모리타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안테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227545T3 (da) * 1999-10-26 2003-10-27 Fractus Sa Interlacede flerbåndsantennearrangementer
US7405710B2 (en) 2002-03-26 2008-07-29 Andrew Corporation Multiband dual polarized adjustable beamtilt base station antenna
FR2842025B1 (fr) * 2002-07-02 2006-07-28 Jacquelot Technologies Dispositif rayonnant bi-bande a polarisations coplanaires
US7692601B2 (en) * 2002-12-13 2010-04-06 Andrew Llc Dipole antennas and coaxial to microstrip transitions
US7064729B2 (en) * 2003-10-01 2006-06-20 Arc Wireless Solutions, Inc. Omni-dualband antenna and system
DE102004025904B4 (de) * 2004-05-27 2007-04-05 Kathrein-Werke Kg Antenne
EP1784894A1 (en) * 2004-08-31 2007-05-16 Fractus, S.A. Slim multi-band antenna array for cellular base stations
DE202004013971U1 (de) * 2004-09-08 2005-08-25 Kathrein-Werke Kg Antenne, insbesondere Mobilfunkantenne
US7079083B2 (en) 2004-11-30 2006-07-18 Kathrein-Werke Kg Antenna, in particular a mobile radio antenna
DE102004057774B4 (de) * 2004-11-30 2006-07-20 Kathrein-Werke Kg Antenne, insbesondere Mobilfunkantenne
WO2008048210A2 (en) * 2005-07-06 2008-04-24 Ems Technologies, Inc. Compact dual-band antenna system
ES2380580T3 (es) 2005-10-14 2012-05-16 Fractus S.A. Formación menuda de antenas de triple banda para estaciones base celulares
US7427966B2 (en) * 2005-12-28 2008-09-23 Kathrein-Werke Kg Dual polarized antenna
WO2007126831A2 (en) 2006-03-30 2007-11-08 Powerwave Technologies, Inc. Broadband dual polarized base station antenna
US7629939B2 (en) 2006-03-30 2009-12-08 Powerwave Technologies, Inc. Broadband dual polarized base station antenna
US7741999B2 (en) * 2006-06-15 2010-06-22 Kathrein-Werke Kg Multilayer antenna of planar construction
KR100856785B1 (ko) 2006-10-13 2008-09-05 (주)에이스안테나 광대역 고이득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WO2010033004A2 (ko) * 2008-09-22 2010-03-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용 이중대역 이중편파 안테나
RU2474936C1 (ru) * 2011-11-22 2013-02-10 Владимир Григорьевич Калуг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переключаемой поляризации сигнала
CN102683823B (zh) * 2012-05-15 2015-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辐射单元、天线阵列、天线装置和基站系统
CN102760971B (zh) * 2012-07-20 2013-06-12 江苏亚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双频高增益载波速双极化天线
WO2014174510A1 (en) * 2013-04-22 2014-10-30 Galtronics Corporation Ltd. Multiband antenna and slotted ground plane therefore
KR102001519B1 (ko) 2013-05-14 2019-07-1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좁은 빔폭을 갖는 무선 통신 안테나
CN103715519B (zh) * 2013-06-09 2016-12-28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双极化阵列天线及其辐射单元
US9780457B2 (en) 2013-09-09 2017-10-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Multi-beam antenna with modular luneburg lens and method of lens manufacture
KR101690085B1 (ko) * 2013-11-05 2016-12-2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다중대역 다중편파 무선 통신 안테나
EP3100518B1 (en) * 2014-01-31 2020-12-23 Quintel Cayman Limited Antenna system with beamwidth control
KR101609665B1 (ko) * 2014-11-11 2016-04-0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
DE102015005468A1 (de) * 2015-04-29 2016-11-03 Kathrein-Werke Kg Antenne
CN106450770B (zh) * 2015-08-10 2020-04-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及小型化通信设备
US10790576B2 (en) * 2015-12-14 2020-09-29 Commscope Technologies Llc Multi-band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multi-layer feed boards
DE102016002588A1 (de) * 2016-03-03 2017-09-07 Kathrein-Werke Kg Mobilfunkantenne
CN108461894B (zh) * 2017-02-22 2021-08-06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通信装置
EP3656017A1 (en) * 2017-08-04 2020-05-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ultiband antenna
US10757580B2 (en) * 2018-01-19 2020-08-25 Matsing, Inc. System and methods for venue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CN110752450B (zh) * 2018-07-23 2021-08-24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低互耦的多系统共体天线
CN111403899B (zh) 2018-12-27 2022-10-28 华为技术有限公司 多频天线结构
US11688947B2 (en) 2019-06-28 2023-06-27 RLSmith Holdings LLC Radio frequency connectors, omni-directional WiFi antennas, omni-directional dual antennas for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and related devices, systems, methods, and assemblies
CN110829003A (zh) * 2019-12-18 2020-02-21 广东博纬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窄截面多系统阵列天线
US11245205B1 (en) 2020-09-10 2022-02-08 Integrity Microwave, LLC Mobile multi-frequency RF antenna array with elevated GP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1586A (en) * 1945-08-09 1951-05-08 Lee R Dobler Antenna system
DE1011010B (de) 1955-10-03 1957-06-27 Rohde & Schwarz Simultan-Strahler, insbesondere fuer ultrakurze elektrische Wellen
US3124802A (en) 1961-06-28 1964-03-10 Plural mast-mounted antennas selectively deenergizable
US3475758A (en) * 1966-05-16 1969-10-28 Giuseppe De Vito Wide band radiating system embodying disc-type dipoles
US4434425A (en) * 1982-02-02 1984-02-28 Gte Products Corporation Multiple ring dipole array
US5121127A (en) 1988-09-30 1992-06-09 Sony Corporation Microstrip antenna
CA2026148C (en) 1989-12-04 2001-01-16 Eric B. Rodal Antenna with curved dipole elements
US5173715A (en) * 1989-12-04 1992-12-22 Trimble Navigation Antenna with curved dipole elements
CA2128738C (en) * 1993-09-10 1998-12-15 George D. Yarsunas Circularly polarized microcell antenna
GB9410994D0 (en) 1994-06-01 1994-07-20 Alan Dick & Company Limited Antennae
US5757246A (en) * 1995-02-27 1998-05-26 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passive intermodulation
US5629713A (en) * 1995-05-17 1997-05-13 Allen Telecom Group, Inc. Horizontally polarized antenna array having extended E-plane beam width and method for accomplishing beam width extension
US5966102A (en) 1995-12-14 1999-10-12 Ems Technologies, Inc. Dual polarized array antenna with central polarization control
DE19627015C2 (de) * 1996-07-04 2000-07-13 Kathrein Werke Kg Antennenfeld
SE9700401D0 (sv) * 1997-02-05 1997-02-05 Allgon Ab Antenna operating with isolated channels
SE508513C2 (sv) * 1997-02-14 1998-10-12 Ericsson Telefon Ab L M Mikrostripantenn samt gruppantenn
SE508537C2 (sv) 1997-02-14 1998-10-12 Ericsson Telefon Ab L M Dubbelpolariserad antenn för mottagning och sändning av elektromagnetiska signaler
SE508356C2 (sv) 1997-02-24 1998-09-28 Ericsson Telefon Ab L M Antennanordningar
US5905465A (en) 1997-04-23 1999-05-18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Antenna system
US5952983A (en) * 1997-05-14 1999-09-14 Andrew Corporation High isolation dual polarized antenna system using dipole radiating elements
WO1999017403A1 (en) 1997-09-26 1999-04-08 Raytheon Company Dual polarized microstrip patch antenna array for pcs base stations
US6072439A (en) * 1998-01-15 2000-06-06 Andrew Corporation Base station antenna for dual polarization
US6069590A (en) * 1998-02-20 2000-05-30 Em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isolation characteristic of an antenna
WO1999059223A2 (en) 1998-05-11 1999-11-18 Csa Limited Dual-band microstrip antenna array
DE19823749C2 (de) * 1998-05-27 2002-07-11 Kathrein Werke Kg Dualpolarisierte Mehrbereichsanten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3365B2 (en) 2009-11-17 2013-11-26 Kmw Inc Method for installing radiator elements arranged in different planes and antenna thereof
WO2012102576A2 (en) * 2011-01-27 2012-08-02 Ls Cable Ltd. Broad-band dual polarization dipole antenna and antenna array
WO2012102576A3 (en) * 2011-01-27 2012-10-26 Ls Cable Ltd. Broad-band dual polarization dipole antenna and antenna array
KR101230605B1 (ko) * 2011-10-05 2013-02-06 (주)하이게인안테나 이동통신용 지향성 섹터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1992A (ko) * 2018-08-10 2021-03-23 모리타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11529A1 (en) 2003-01-16
CN1404639A (zh) 2003-03-19
ES2261336T3 (es) 2006-11-16
CA2430105A1 (en) 2002-06-27
CN1227772C (zh) 2005-11-16
DE10064129A1 (de) 2002-07-18
CA2430105C (en) 2008-06-10
US6831615B2 (en) 2004-12-14
NZ525698A (en) 2004-02-27
ATE324678T1 (de) 2006-05-15
KR100604770B1 (ko) 2006-07-26
DE50109647D1 (de) 2006-06-01
EP1344277B1 (de) 2006-04-26
WO2002050945A1 (de) 2002-06-27
AU2002216110A1 (en) 2002-07-01
DE10064129B4 (de) 2006-04-20
BR0108326A (pt) 2003-03-11
CN2496138Y (zh) 2002-06-19
WO2002050945A8 (de) 2003-04-10
ZA200207281B (en) 2003-01-14
EP1344277A1 (de) 200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3212A (ko) 이동무선통신 안테나
US11108135B2 (en)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parasitic coupling units
EP3841637B1 (en) Antennas including multi-resonance cross-dipole radiating elements and related radiating elements
EP3614491B1 (en) Multi-band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broadband decoupling radiating elements and related radiating elements
CN107275808B (zh) 超宽频带辐射器和相关的天线阵列
CN110741508A (zh) 具有交叉偶极子辐射元件的多频带基站天线
CN113140893A (zh) 用于基站天线应用的紧凑型宽带双极化辐射元件
US20070008236A1 (en) Compact dual-band antenna system
KR20110074728A (ko) 안테나 요소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39742A (ko) 다중 대역 안테나의 듀얼-편파 방사 소자
WO2014120062A1 (en) An antenna arrangement and a base station
US20230017375A1 (en) Radiating element, antenna assembly and base station antenna
CN115769436A (zh) 具有预配置的遮挡以实现多个频段的辐射器的密集布局的天线辐射器
US11183775B2 (en)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parasitic assemblies for improving cross-polarization discrimination performance
WO2022072148A1 (en)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compact dual-polarized box dipole radiating elements therein that support high band cloaking
CN113036404A (zh) 低剖面超宽带双极化天线振子、天线阵列及基站设备
KR102601186B1 (ko) 다중 대역 다중 배열 기지국 안테나
WO2024015132A1 (en) Antenna filter units for base station antennas and related radio adaptor bo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