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572A - 좌석 벨트 수축기 - Google Patents

좌석 벨트 수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572A
KR20020072572A KR1020027009615A KR20027009615A KR20020072572A KR 20020072572 A KR20020072572 A KR 20020072572A KR 1020027009615 A KR1020027009615 A KR 1020027009615A KR 20027009615 A KR20027009615 A KR 20027009615A KR 20020072572 A KR20020072572 A KR 20020072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load
seat belt
frame
ser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2134B1 (ko
Inventor
벨존
잭그라함
포스터하워드
바버매튜
잭브라이언
Original Assignee
브리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브리드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72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좌석 벨트 수축기는, 프레임(1)내에 장착되는 회전 가능한 스풀(2)과,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 1 로킹 메커니즘(6)과 스풀 로킹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기 위해 소정의 하중에서 실행되도록 배치되는 하중 흡수 메커니즘(7)을 포함한다. 하중 흡수 메커니즘은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거칠게 되어 있는 텍스쳐(7)를 갖는 프레임의 내향 내주연 섹션일 수 있으며, 상기 섹션은 소정의 하중 이상에서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기 위해 평탄한 표면인 스풀 지지면과 협동하기에 적합하게 배치된다. 제 1 로킹 메커니즘과 결합할 때 스풀 회전은 방지되고 프레임 측벽(3)을 변형시키는 제 1 로킹 메커니즘상의 하중이 발생하며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거칠게 되어 있는 부분은 스풀 지지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Description

좌석 벨트 수축기{SEAT BELT RETRACTOR}
좌석 벨트 수축기는 통상 좌석 벨트 웨빙이 감기는 스풀을 포함하며 스풀은 그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프레임내에 장착되어 웨빙은 차량 탑승자의 운동에 응해 풀리거나 또는 감기게 된다. 충돌할 경우 스풀은 회전하지 않게 잠금되며 따라서 풀림이 방지되어 차량 탑승자는 전방으로 운동하지 않게 확실히 구속된다.
스풀은 대체로, 그 단부에 있는 래칫의 톱니가 프레임에(예컨대, 스풀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로크바상에) 하중 지지 방식으로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톱니가 형성된 폴(pawl)과 결합함으로써 잠금된다.
로킹 폴은 충돌 도중 상당한 변형하에 놓이므로 매우 강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특별히 강한 충돌 힘 하에서는 로킹 폴상의 톱니는 보통 잘려나가게 된다.
일부 공지된 좌석 벨트 수축기에 있어서, 상보적인 로킹 형상부(예컨대, 상호 결합 톱니)를 사용하여 스풀을 프레임에 잠그는 제 2 로킹 장치가 사용된다. 이 장치는 하중이 매우 강하고 잠금이 적절하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 톱니가 잘려나갈 수 있기 때문에 단점을 갖는다.
종래기술에서 해결되지 않고 남아있는 문제점은 청구항 1의 좌석 벨트 수축기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좌석 벨트 수축기(seat belt retractor)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좌석 벨트 수축기의 로킹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좌석 벨트 수축기의 사시도,
도 2는 비교적 낮은 하중 하에서 결합된 제 1 로킹 폴을 도시하는 도 1의 좌석 벨트 수축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비교적 높은 하중 하에서 결합된 제 1 로킹 폴을 도시하는 도 1의 좌석 벨트 수축기의 측단면도.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된다. U자 형상의 프레임(1)을 포함하는 좌석 벨트 수축기가 도시되어 있으며 스풀(2)은 프레임의 측벽(3)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제 1 로킹 메커니즘이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고 하중 흡수 메커니즘이 스풀 잠금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기 위해 소정의 하중에서 실행된다. 스풀(2)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톱니가 형성된 래칫 휠(4)이며 도 2 및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톱니가 형성된 폴(6)은 피벗점(5)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장착되며, 충돌할 경우 폴(6)상의 톱니는 래칫 휠(4)상의 톱니와 결합하여 스풀이 더 회전하지 않게 또한 좌석 벨트 웨빙이 풀리지 않게 스풀을 잠그게 되어 차량 탑승자를 구속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 흡수 메커니즘은 세레이션(serration)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거칠게 되어 있는 텍스쳐를 갖는 프레임의 내향 내주연 섹션을 포함하며, 이 섹션은 소정의 하중 이상에서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기 위해 평탄한 표면인 스풀 지지면과 협동하기에 적합하게 위치된다. 프레임(1)의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내의 절결부의 내주연의 섹션상에 형성된 세레이션(7)을 포함하는 하중 흡수 메커니즘이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거칠게 되어 있는 프레임의 섹션은 스풀보다 강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레이션(7)은 스풀(2)의 일 단부에 있는 평탄한 지지면(9)의 평면내에 있다. 지지면(9)은 세레이션이 프레임(1)의 양 측벽내에 합체되는 경우 스풀의 각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래칫 휠(4)이 있는 단부와 동일한 스풀의 단부에 하중 흡수 장치를 갖는 실시예에서, 지지면(9)은 래칫 휠상의 톱니에 축방향으로 인접해 있다. 거칠게 되어 있거나 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는 섹션은 제 1 로킹 폴의 피벗점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레이션은 불규칙적 또는 무작위적인 간격으로 배치된 거칠고 불규칙적인 형상의 작은 톱니의 형태이거나 또는 외주 표면내의 홈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중은 비교적 약한 스풀로부터 강한 프레임으로 전달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로킹 폴은 그렇게 강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알루미늄과 같은 약하고 저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 로킹 폴과 결합할 때 스풀 회전이 방지되고 프레임 측벽을 변형시키는 제 1 메커니즘상의 하중이 발생하며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거나 거칠게 되어 있는 섹션은 스풀 지지면에 가깝게 밀려져서 결국에는 스풀 지지면에 접촉되고, 평탄한 표면을 거칠게 하여 그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게 되어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고 스풀의 회전에 저항하게 된다 .
제 1 로킹 메커니즘은 스풀의 외주상의 래칫 톱니와 결합하는 로킹 폴(6)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의 좌석 벨트 수축기에서의 차량 센서에 의해 작동된다. 작동시, 충돌이 검지된 후 제 1 로킹 폴(6)이 선회하고 래칫 휠(4)과 결합하여 스풀(2)을 회전하지 않게 잠근다. 충돌력이 증가함에 따라, 스풀(2)은 한쪽 또는 양쪽의 단부가 프레임(1)과 접촉하도록 움직인다. 지지면(9)은 세레이션(7)에 대해 가압되고 세레이션은 지지면내로 먹어 들어가서 지지면의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게 되고 따라서 지지면과 프레임(1)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게 되어 결국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게 된다.
도 1은 좌석 벨트 수축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 및 도 3은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있어서, 스풀(2)은 프레임(1)에 대하여 그 정상 작동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로킹 폴(6)은 래칫 휠(4)상의 톱니와 결합하여 스풀(2)의 회전을 방지한다.
구속된 차량 탑승자의 전방 운동량으로부터 스풀(2)에 가해진 토크(T)는 스풀 회전을 정지시킬 때 로크바상의 힘(FV)에 의해 반작용된다. 힘, 특히 웨빙에 의해 가해진 힘이 증가함에 따라, 스풀(2)은 피벗점(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과 접촉하게 된다. 그에 따른 저항력이 FV로서 도시되어 있다. 접촉하는 표면 사이의 마찰 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저항력(FV)이 증가하여 로킹 폴의 하중의 일부를 받게 된다.
저항력(FV)은 비교적 작은 힘이어서 단독으로 스풀을 회전하지 않게 유지할 수 없으며, 좌석 벨트 수축기를 잠그기 위해서는 폴(6)이 필요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세레이션(7)은 프레임 절결부의 내주연과 스풀 지지면 사이의 유효 면접촉의 면적을 감소시킨다. 이것이 수직 하중을 스풀의 작은 면적 위에 집중시키고 스풀을 국부적으로 항복(yield)시켜 지지면의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지지면의 임의의 부분이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어 동일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전적으로 무작위적이며 반복 가능하지 않다.
하중 흡수 메커니즘은 좌석 벨트 수축기의 잠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그 대신 로킹 폴과 스풀상에 놓일 수 있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담하며 하중을 프레임 개구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퍼트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좌석 벨트 수축기는 지금까지 가능했던 것보다 큰 하중을 받을 수 있고 보다 경량이고 저렴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좌석 벨트 수축기에 있어서,
    프레임(1)내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스풀(2)과,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 1 로킹 기구(6)와,
    스풀 로킹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기 위해 소정의 하중에서 실행되도록 배치된 하중 흡수 메커니즘(7)을 포함하는
    좌석 벨트 수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킹 기구(6)는 상기 스풀(2)의 외주상의 래칫 톱니와 결합하는 로킹 폴을 포함하는
    좌석 벨트 수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흡수 메커니즘(7)은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거나 거칠게 되어 있는 프레임(1)의 내향 내주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섹션은 소정의 하중 이상에서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기 위해 평탄한 표면인 스풀 지지면과 협동하기에 적합하게위치되는
    좌석 벨트 수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킹 메커니즘(6)과 결합할 때 스풀 회전이 방지되고, 프레임 측벽(3)을 변형시키는 상기 제 1 메커니즘상의 하중이 발생하며, 상기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거칠게 되어 있는 섹션(7)이 상기 스풀 지지면에 가깝게 밀려져서 결국에는 상기 스풀 지지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평탄한 표면을 거칠게 하여 그 마찰 계수를 증가시켜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고 상기 스풀(2)의 회전에 저항하게 되는
    좌석 벨트 수축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거칠게 되어 있는 섹션(7)은 상기 제 1 로킹 폴(6)의 피벗점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좌석 벨트 수축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상기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거칠게 되어 있는 섹션(7)은 상기 스풀(2)보다 강한 재료로 구성되는
    좌석 벨트 수축기.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7)은 불규칙적 또는 무작위적인 간격으로 배치된 거칠고 불규칙적인 형상의 작은 톱니 형태인
    좌석 벨트 수축기.
  8.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7)은 외주 표면내의 홈의 형태인
    좌석 벨트 수축기.
KR1020027009615A 2000-01-27 2000-11-15 좌석 벨트 수축기 KR100542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001909A GB2358614B (en) 2000-01-27 2000-01-27 Retractor
GB0001909.1 2000-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572A true KR20020072572A (ko) 2002-09-16
KR100542134B1 KR100542134B1 (ko) 2006-01-11

Family

ID=988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615A KR100542134B1 (ko) 2000-01-27 2000-11-15 좌석 벨트 수축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43381B2 (ko)
EP (1) EP1250249B1 (ko)
JP (1) JP2003523300A (ko)
KR (1) KR100542134B1 (ko)
AU (1) AU2001216092A1 (ko)
DE (1) DE60012579T2 (ko)
GB (1) GB2358614B (ko)
MX (1) MXPA02005372A (ko)
WO (1) WO2001054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6045B2 (en) * 2003-08-20 2005-07-12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torsion rod activity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330A (en) 1974-12-16 1976-03-02 American Safety Equipment Corporation Safety belt retractor
US4381086A (en) * 1980-09-25 1983-04-26 Allied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structure
IN160515B (ko) 1982-11-20 1987-07-18 Britax Kolb Gmbh & Co
US5533756A (en) * 1994-08-04 1996-07-09 Alliedsignal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energy absorbing lock wheels
DE19524162A1 (de) * 1995-07-03 1997-01-09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69722972T2 (de) * 1996-01-24 2004-05-1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Lakeland Sicherheitsgurtaufroller
DE19648472C1 (de) * 1996-11-22 1998-07-09 Autoliv Dev Sicherheitsgurtaufroller
GB2323265B (en) * 1997-03-18 2001-03-07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eat belt retractor
US5964428A (en) * 1997-09-16 1999-10-12 Nsk Ltd. Retractor for a seat belt
DE29912154U1 (de) * 1999-07-12 1999-11-25 Trw Repa Gmbh Reib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54954A1 (en) 2001-08-02
AU2001216092A1 (en) 2001-08-07
MXPA02005372A (es) 2002-11-29
EP1250249A1 (en) 2002-10-23
DE60012579D1 (de) 2004-09-02
JP2003523300A (ja) 2003-08-05
GB2358614B (en) 2003-05-14
US6443381B2 (en) 2002-09-03
DE60012579T2 (de) 2005-09-15
GB0001909D0 (en) 2000-03-22
GB2358614A (en) 2001-08-01
KR100542134B1 (ko) 2006-01-11
EP1250249B1 (en) 2004-07-28
US20010010343A1 (en) 2001-08-02
WO2001054954A9 (en) 200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1199B1 (ko) 차량의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
US5967441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torsion bar and rotation limit
EP1488968B1 (en) Seat belt retractor
GB2126876A (en) Integrated weblocker with program pawl retractor
US6367729B1 (en) Seat belt retractor
JP5242439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ているシートベルト装置
US7458535B2 (en) Belt retractor for a vehicle safety belt
US8348307B2 (en) Seatbelt device
JPS5836565A (ja) 自動車の安全ベルト用のベルト緊締装置
JPH037234Y2 (ko)
US4497458A (en) Winder for a safety belt having a rapid locking and unlocking action and a reduced operating noise
US6692027B2 (en) Load limiting seat restraint retractor
KR20020072572A (ko) 좌석 벨트 수축기
JP2003019945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6659383B2 (en) Seat belt retractor
EP1212218B1 (en) Seat belt retractor with secondary locking mechanism
US7874589B2 (en) Seat belt retractor
JPH0840203A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JP200234757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5174521A (en) Preloader
JPS6340358Y2 (ko)
JPS5845720Y2 (ja) シ−トベルト巻取装置
EP3938248A1 (en) Seat belt retractor with auxiliary spool locking system
JPH037237Y2 (ko)
JPS6259149A (ja) シ−トベルトの巻締り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