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081A -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081A
KR20020072081A KR1020010012056A KR20010012056A KR20020072081A KR 20020072081 A KR20020072081 A KR 20020072081A KR 1020010012056 A KR1020010012056 A KR 1020010012056A KR 20010012056 A KR20010012056 A KR 20010012056A KR 20020072081 A KR20020072081 A KR 20020072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inger
hand
key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391B1 (ko
Inventor
은탁
Original Assignee
은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탁 filed Critical 은탁
Priority to KR10-2001-001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3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물리적인 키보드나 마우스 없이도 퍼스널컴퓨터의 키보드와 같이, 문자 및 기호, function, 등 100여개의 키입력 기능과 마우스 기능을 실현한 새로운 개념의 입력장치로서, 소형 초경량으로서 손에 착용하는 타입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새로운 조작 훈련도 필요하지 않으며, 구조도 비교적 간단하여 제품 신뢰성이 높으며, 또 대량생산이 용이, 저가격화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VIRTUAL INPUT DEVICE SENSED FINGER MO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물리적인 키보드나 마우스 없이도 문자의 입력이나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 시킬 수 있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PC, Wearable PC, 등 휴대 가능한 컴퓨터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문자 메시지 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PDA등 인간이 갖고 다니면서 작업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기기의 출현에 따라, 보다 작고, 보다 콤팩트한 휴대용 입력장치에 대한 요구가 대두하고 있다.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문자 정보 입력장치로는, 키를 이용하는 방식과 인식 기술을 토대로 하는 방식,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먼저, 키 이용 방식은 기본적으로 키 스위치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소형키를 배열하여 한키에 다수개의 부호를 대응시키는 방법, 키보드를 접을 수 있게 한 접철식 키보드, 천과 같이 구길 수 있게 한 헝겊형 키보드 등이 제안되어 있다.
다음으로, 인식 기술을 토대로 하는 방식으로는 필기체 인식을 기본으로 하는 펜 입력 방식, 그리고 음성 인식 방식이 제안되어 있거나 부분적으로는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많은 제약들을 가지고 있다. 즉, 음성 인식 입력의 경우에는 인식률 향상, 명령어(command)와 데이터(data)의 분리 인식 기술 등이 관건으로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오히려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이 더 많은 실정이다. 또한, 펜 마우스와 같은 문자 인식 방식은 인식 오류 문제는 물론 대량의 문서 작업을 할 경우 입력 속도가 떨어지고, 인간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진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한편,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하나의 키에 여러 가지 부호를 대응시키는 one key - multi 부호 대응 방법은 새로운 타이핑 훈련이 요구되며 입력 속도가 늦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까지의 기술 수준으로 보면, 이러한 장치들은 간단한 문자 입력에는 유용하지만 대량 문서 입력이나 복잡한 문서 입력으로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문자 입력이란 측면에서 보면, 현재 컴퓨터의 키보드만큼 대량 문서 입력이 가능하고, 인간에게 익숙한 장치는 없다.
따라서, 대량 문서 입력 방법으로 키보드 타입이 가장 유력하다. 그러나 100여개의 키를 소형화하는 것은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키의 면적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부피를 최소화하는 접철식 키보드, 천 형태의 키보드 방식도 제안되고 있으나, 내구성, 마우스 기능의 통합 문제, 이동도중, 또는 작업높이에 맞는 평평한 바닥이 없는 경우 이용이 불가능한 사용 장소의 제약 문제 등이 있다.
따라서, 키보드의 장점, 즉, 대량 문서 또는 복잡한 문서 입력이 가능하며, 기존의 키입력 방식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새로운 훈련 없이도 쉽게 조작 가능하며, 또한 휴대성이 뛰어난 장치로서 손에 직접 착용하는 장갑형 키보드 타입이 제시되었다.
장갑형 키보드 타입은 미국 특허 US5,581,484호에 각 손가락 끝에 3축의 가속도 센서를 배치하여 적분을 통하여 손가락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런 장갑형 키보드는 가속도 센서의 드리프트로 인하여 오차가 시간에 따라 누적되어 특별한 오차 보정 알고리듬이 개발되지 않는 한 키보드로서는 실용적이지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간 작업자에게 키보드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도 현실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키보드는 아니지만, 손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으로는 데이터글러브(Data Glove) 등이 있으나, 그대로는 키입력장치로의 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 관절의 굽힘과 손가락간의 거리 및 누름 상태를 감지하여 물리적인 키보드나 마우스 없이도 문자의 입력이나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시킬 수 있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와 사용자의 가상 손가락을 보면서 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의 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로써 장갑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에 의한 입력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의 손가락의 위치신호와 키와의 맵핑관계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의 마우스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로써 반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로써 반지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로써 손을 얹어놓을 수 있는 박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로써 손을 얹어놓을 수 있는 박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굽힘감지센서 11∼17 :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
20 : 벌림감지센서 30 : 키인감지센서
31∼35 :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
31'∼35' : 제 1내지 제 5충격센서
40 : 자이로스코프 50 : 가속도센서
60 : 제어부 61 : 프로세서
62 : 인터페이스부 63 : 전원
70 : 굽힘량감지부 71 : 디먹스
72 : 펄스발생부 73,81,91 : 제 1내지 제 3필터
74,82,92 : 제 1내지 제 3증폭기
76,83,97 : 제 1내지 제 3A/D변환기
75 : 먹스 80 : 회전량감지부
90 : 이동량감지부 93 : 속도드리프트보정부
94,96 : 제 1내지 제 2적분기
95 : 가속도드리프트보정부 100 : 데이타처리부
101 : 위치신호 처리부 102 : 키인신호 처리부
103 : 모드변환부 104 : 학습알고리듬부
105 : 마우스모드부 110 : 키보드모드부
111 : 디스플레이부 112 : 키테이블부
120 : 장갑 130 : 반지
135 : 밴드 140 : 모드변환키
150 : 모니터 161 : 제3관절
162 : 제2관절 163 : 제1관절
170 : 박스
180, 181 : 제1 내지 제2굽힘감지센서
190 : 키인감지센서 200 : 손회전감지센서
210 : 손이동감지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는 손가락 관절의 굽힘에 따른 거리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굽힘감지센서와, 손가락간의 벌어진 거리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벌림감지센서와, 손가락에 의한 키인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키인감지센서와, 손전체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손회전감지센서와, 손전체의 상하좌우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손이동감지센서와, 굽힘감지센서와 벌림감지센서와 키인감지센서와 손회전감지센서와 손이동감지센서의 값을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입력받아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기능을 설정하고 마우스 포인터와 가상 손모양 및 문자를 출력하는 데이터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굽힘감지센서는 손가락 마디에 설치되어 손가락 관절의 굽힘에 따른 거리를 측정하는 반사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벌림감지센서는 인접한 손가락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사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벌림감지센서는 인접한 손가락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링크형태의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키인감지센서는 손가락의 손 끝에 설치되어 누를 때 눌림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키인감지센서는 키인하기 위해 손가락을 두드릴 때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굽힘감지센서, 벌림감지센서, 키인감지센서, 손회전감지센서, 손이동감지센서와 제어부가 장갑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굽힘감지센서와, 벌림감지센서와 키인감지센서를 손가락 각각에 낄 수있는 반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손회전감지센서는 손 전체의 작업 평면상에서의 손의 회전을 감지하는 1축의 자이로스코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손이동감지센서는 손 전체의 작업 평면상에서의 손의 상하좌우위치를 감지하는 2축의 가속도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펄스구동방식으로 굽힘감지센서와 벌림감지센서를 순차적으로 먹스/디먹스에 의해 선택하여 신호를 입력받아 손의 굽힘량 및 손가락의 벌림량의 측정을 위한 굽힘량감지부와, 손회전감지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손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회전량감지부와, 손이동감지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손의 상하좌우 이동량을 측정하는 이동량감지부와, 굽힘량감지부와 회전량감지부와 이동량감지부와 키인감지센서의 출력 데이터를 캡슐화하여 전송하는 프로세서와, 직/병렬 데이타 신호를 만들어 외부기기의 데이터처리부로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한다.
또한, 데이터처리부는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굽힘량감지부와 회전량감지부와 이동량감지부의 값을 처리하는 위치신호처리부와, 키인감지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출력하는 키인신호처리부와, 키인신호처리부와 위치신호처리부와 송수신하며 모드변환을 수행하는 모드변환부와, 위치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값에 따라 키보드 기능시 입력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손의 치수, 또는 습관에 따라 키 배열을 가상적으로 재배치하는 학습알고리듬부와, 위치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값에 따라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마우스모드부와, 학습알고리듬부에의해 입력된 손의 위치 및 선택된 키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키보드모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방법은 각 모드에 따라 굽힘감지센서와 벌림감지센서와 키인감지센서와 손회전감지센서와 손이동감지센서의 값을 순차적으로 계속 스캔하여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신호로부터 기능설정 데이터와 키 데이터를 판별하는 단계와, 기능설정 데이터일 경우 입력되는 값에 대한 기능설정 모드로 모드절환하는 단계와, 기능설정이 완료된 후 입력되는 값에 따라 설정된 기능에 따라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고 해당 손가락에 의해 눌려진 키값과 현재의 손동작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기능설정 모드는 키보드 모드와 마우스 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키보드 모드는 숙련자 모드와 비숙련자 모드와 키설정 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숙련자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타이핑 작업을 하는지 아니면 어느 특정 손가락만을 사용하여 타이핑 작업을 하는지 키인감지센서의 신호분석을 통해 손동작 및 모양을 굽힘감지센서와 벌림감지센서의 신호를 사용할 것인지 손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손회전감지센서와 손이동감지센서의 신호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손가락의 움직임을 굽힘감지센서와 벌림감지센서와 손회전감지센서와 손이동감지센서와 키인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키보드모드 및 마우스 모드를 설정하여 입력되는 센서의 값에 따라 손가락의 위치 및 상태를 판별하여 키보드나 마우스 없이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로써 장갑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감지센서(10)로써 장갑(120)의 검지와, 중지와, 약지, 소지에는 손가락 셋째마디 아래쪽에 제2번 관절의 굽힘에 따르는 손가락 첫째와 둘째마디의 거리 변화를 검출하는 제 1내지 제 4반사광 센서(11∼14)를 설치한다. 그리고, 벌림감지센서(20)로써 엄지에는 둘째마디와 검지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5반사광 센서(15)를 설치하고, 검지와 중지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6반사광 센서(16)를 설치하고, 약지와 소지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7반사광 센서(17)를 설치한다.
그리고, 키인감지센서(30)로써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모든 손끝에는 제 1내지 제 5의 필름형 터치 센서(31∼35)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11∼17)와,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31∼35)는 오른손과 왼손 모두에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손의 회전량을 측정하기 위한 손회전감지센서로 자이로스코프(40)와,손의 상하좌우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손이동감지센서로 가속도센서(50)이 손등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11∼17)와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31∼35)는 제어부(60)와 연결되어 외부 컴퓨터의 직/병렬 통신 포트로 (키보드포트, RS232C포트, USB포트등)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제 1내지 제 4반사광 센서(11∼14)에 의한 굽힘감지센서와 제 5내지 제 7반사광 센서(15∼17)에 의한 벌림감지센서를 순차적으로 먹스(75)/디먹스(71)에 의해 선택하여 신호를 입력받아 손의 굽힘량 및 손가락의 벌림량의 측정을 위한 굽힘량감지부(70)와, 손회전감지센서인 자이로스코프(40)의해 손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회전량감지부(80)와, 손이동감지센서인 가속도센서(50)에 의해 손의 상하좌우 이동량을 측정하는 이동량감지부(90)와,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31∼35)에 의한 키인감지센서(30)와, 굽힘량감지부(70)와 회전량감지부(80)와 이동량감지부(90)와 키인감지센서(30)의 출력 데이터를 캡슐화하여 전송하는 프로세서(61)와, 직/병렬 데이타 신호를 만들어 외부기기의 데이터처리부(100)로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40)의 구동 전원(63)은 유선일 경우에는 외부 신호선으로 통해 공급받으며, 무선일 경우에는 자체 밧데리 전원으로 공급받는다.
또한, 굽힘량감지부(70)에는 외란의 영향을 줄여 센싱하기 위해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펄스발생부(72)와, 펄스발생부(72)에서 발생된 펄스를 프로세서(61)에서 선택신호에 의해 각 손가락에 위치한 제 1내지 제 7반사광센서(11∼17)의 발광부(10-1,20-1)를 선택하는 디먹스(DEMUX, 71)와, 각 손가락에 위치한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11∼17)의 수광부(10-2,20-2)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필터(73)와, 제 1필터(73)를 거친 신호를 증폭하는 제 1증폭기(74)와, 제 1증폭기(74)에 의해 증폭된 신호 중 프로세서(61)의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11∼17)의 수광부(10-2,20-2)의 신호를 선택하는 먹스(MUX,75)와 먹스(MUX, 75)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A/D변환기(76)로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량감지부(80)는 손 전체의 회전량을 측정하기 위해, 자이로스코프(40)와, 자이로스코프(40)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2필터(81)와, 필터링된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증폭기(82)와, 제 2증폭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2A/D변환기(83)로 구성된다.
또한, 이동량감지부(90)은 손 전체의 상하좌우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량감지부(90)에는 가속도 센서(50)와, 가속도 센서(50)의 출력신호를 그 출력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3필터(91)와, 필터링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3증폭기(92)와, 증폭된 신호를 적분하여 속도를 얻기 위한 제 1적분기(94)와, 제 1적분기(94)의 출력신호를 적분하여 이동량을 얻기 위한 제 2적분기(96)와, 가속도센서(50)의 신호를 적분할 때 오차 누적에 의한 드리프트를 해결하기 위한 가속도드리프트보정부(93)와, 제 1적분기(94)의 출력신호를 적분할 때 오차누적에 의한 드리프트를 해결하기 위한 속도드리프트보정부(95)와, 제 2적분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기 위한 제 3A/D변환기(97)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처리부(100)는 인터페이스부(62)로부터 입력받은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11∼17)에 의한 손가락의 굽힘 및 벌림을 감지하는 굽힘량감지부(70)와, 자이로스코프(40)에 의한 손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회전량감지부(80)과 가속도센서(50)에 의한 손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이동량감지부(90)의 값을 처리하는 위치신호처리부(102)와,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31∼35)의 값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출력하는 키인신호처리부(101)와, 위치처리신호부(102)와 키인신호처리부(101)의 데이타를 처리하여 모드변환을 수행하는 모드변환부(103)와, 모드변환부(103)로 받은 데이타를 키보드 모드일 경우에는 키보드 기능시 입력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손의 치수와 습관에 따라 키 배열을 가상적으로 재배치하는 학습알고리듬 과정을, 마우스모드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습관에 따른 손움직임과 굽힘량의 스케일을 조정하는 학습 과정을 거쳐 마우스모드부(105) 또는 키보드모드부(110)로 각 모드에 맞는 데이타로 변환하여 보내기 위한 학습알고리듬부(104)와, 학습알고리듬부(104)에 의해 처리된 손의 위치와 모양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키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키보드모드부(110)로써 입력된 위치에 해당하는 키값을 출력하기 위한 키테이블부(112)와, 학습알고림듬부(104)에 의해 처리된 손의 위치와 모양을 모니터(15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그래픽적으로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부(111)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입력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장치의 인터페이스부(62)를 컴퓨터의 직/병렬 통신포트(키보드포트, RS232C포트, USB포트 등)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고, 유선일 경우에는 신호선 통해 전원(63)이 인가되고, 무선일경우에는 독립적인 밧데리 전원이 인가되어 각 손가락의 위치를 센싱하게 된다.
이때 손가락의 위치를 센싱하는 방법은 스캔구동방식으로써 외란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센서구동시 펄스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펄스발생부(72)에서 일정한 주파수(예 : 3kHz)의 펄스를 발생시킨다. 이 펄스는 프로세서(61)에서의 선택신호(select)로 디먹스(71)에 의해 각 손가락에 위치한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11∼17)의 발광부(10-1,20-1)를 선택하여 그 중 선택된 발광부(10-1,20-1)만을 온(on)시키게 된다.
이렇게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11∼17) 중 선택된 발광부(10-1,20-1)를 온(on)시키는 시간과 동시에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11∼17)의 발광부(10-1,20-1) 선택신호와 같은 신호를 가지고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11∼17) 중 선택된 발광부(10-1,20-1)가 온(on)된 손가락의 수광부(10-2,20-2) 신호만을 먹스(73)에 의해 제 1A/D변환기(76)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때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11∼17)의 수광부(10-2,20-2)에는 제 1필터(73)와 제 1증폭기(74)가 설치되어 있어 먹스(75)를 거치기 전에 이미 일정한 주파수(예 : 3kHz)만을 필터링하고 증폭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입력된 신호는 제 1A/D변환기(76)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뒤 현재온(on)된 손가락의 선택신호, 키인신호의 발생여부 신호를 프로세서(61)를 거쳐 캡슐화한뒤 인터페이스부(62)를 통해 외부기기(컴퓨터)로 데이타를 전송하게된다.
이렇게 전송된 데이타는 위치신호처리부(101)와 키인신호처리부(102)로 전송되어 현재 손동작을 알아내는 신호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위치신호처리부(101)와 키인신호처리부(102)를 통해 신호처리 과정을 반복하여 각 손가락의 동작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알아내게 되며 그때의 데이타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모드를 인식하게 되고 학습알고리듬을 거쳐 사용자의 입력 습관을 분석한뒤 현재 사용자의 손동작 모양을 모니터(15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문자를 출력하거나 마우스모드부(105)에 의해 포인터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데, 만약에 이러한 과정 중간에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손가락 끝에 위치한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31∼35)로부터 키인신호가 발생되면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제어부(60)의 프로세서(61)에서 현재 인터럽트가 발생한 손가락의 정보를 위의 과정을 거쳐 외부기기(컴퓨터)로 전송한 뒤 손동작을 알아내기 위한 신호처리 과정을 또한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여 키테이블부(112)에서 해당하는 문자코드(아스키 코드 등)로 변환하며 문자를 출력하고 현재 손동작 모양과 함께 모니터(15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마우스모드 모듈에 의한 포인터의 클릭(Click) 또는 드레그(Drag)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입력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학습알고리듬부(104)를 이용하여 위치신호처리부(101)에서 처리된 값에 따라 키보드 기능시 작업자의 손가락을 거의 굽혔을 경우 완전히 핀 상태의 값과 손가락을 좌우 이동량을 순서에 따라 측정하여 기준데이터로 설정한 후 입력되는 값과 비교하여 보간법으로 각 키 위치를 설정하는 초기설정과정과 입력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손의 치수, 또는 습관에 따라 키 배열을 가상적으로 재배치하 작업자에 따른 입력 패턴변화에 입력장치가 적응해 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에 의한 입력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는 가상키보드와 현재의 손동작을 표시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에 가상 키보드 및 손동작의 표시에 따라 크게 키보드 입력모드와 마우스 입력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키보드 모드에서는 숙련자 모드, 비숙련자 모드, 설정키 모드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마우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키보드 입력모드는 또 숙련자모드, 비숙련자모드와 키설정모드로 구분되는데, 비숙련자 모드는 전원이 켜지면 초기 상태로써 비숙련자 모드로 설정되도록 하며, 처음 초기상태 외에도 두손의 엄지손가락의 제 1터치센서(31)의 신호를 동시에 ON시킴으로서 변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숙련자 모드로의 변환은 왼손의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31∼35)를 모두 ON 시킴으로써 변환시키며, 키설정 모드로의 변환은 양손의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31∼35)를 모두 ON시킴으로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드변환은 사용자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제시된 세가지 모드내에는 일반모드, 즉 특수키 입력모드, 숫자키 입력모드 등과 같은 여러가지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비숙련자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타이핑 작업을 하는지 아니면 어느 특정 손가락만을 사용하여 타이핑 작업을 하는지 키인감지센서(30)의 신호분석을 통해 일반 비숙련자의 경우에는 손동작 및 모양을 굽힘감지센서(10)와 벌림감지센서(20)에 의해 측정된 굽힘량감지부(70)의 신호를 사용하도록 하며, 완전 비숙련자의 경우에는 손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회전량감지부(80)의 자이로스코프(40)와 손의 상하좌우 이동량을 측정하는 이동량감지부(90)의 가속도센서(50)의 신호를 사용하도록 먼저 결정한다.
그리고, 그 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의해 모니터(150)의 화면상에 띄워진 가상 키보드와 가상 손을 보면서 타이핑 작업을 하는 모드로써, 이때에는 작업화면에 작업워드윈도우와 가상키보드가 표시되고,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가상키보드 위에 손가락위치에 따른 가상 손이 나타나며, 키가 눌려질 때에는 그 키가 눌려진 상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동시에 짧은 Beep음을 울리도록 하여 입력감각을 느끼도록 해준다
그리고, 숙련자 모드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키보드에 숙련된 작업자가 고속으로 입력하기 적합한 타이핑 모드로서 작업 화면상의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작업이 일시 중단될 때에는 가상키보드가 나타나도록 하여 비숙련자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작업자의 시각적 인식을 도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로 하여금 보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입력작업이 연속성을 보이면 숙련자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한다.
키설정 모드는 키위치의 초기설정 및 키 기능을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도록 하는 모드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의 손가락의 위치신호와 키와의 맵핑관계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테이블에서 볼 때 ∨는 현재의 모드를 나타내고 ●와 ◎는 터치센서의 신호가 들어온 손가락을 나타낸다. 그리고 일반 모드 외에는 ●와 ◎가 있는 손가락이 동시에 눌려져 문자를 출력함을 의미하며 ○는 터치센서의 신호가 들어온 손가락의 위치 프로세싱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의 키보드 입력모드로는 한번에 100여키의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가 없기 때문에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키나 특수키의 입력을 원할 경우에는 모드 변환을 하여 일반 모드에서 특수키 입력 모드로 변환시켜 사용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일반 모드라는 것은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키보드에서 한영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는 부분을 말하며, 특수키 입력 모드는 일반 모드의 키자판에 한영 문자 대신 특수키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자판이 재배열된 키보드를 의미한다.
모드 변환은 어느 특정키를 일정 시간 이상 누르고 있을 경우 모드 변환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왼손으로 영문자 A를 일정 시간 누르고 있으면 오른쪽 손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의 자판이(영문자YHN키 오른쪽 부분)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자판으로 변환이 되어 왼손의 A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키를 누르면 일반 모드의 문자가 아닌 변환된 모드의 키의 문자가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눌려진 모드변환키를 떼는 순간 일반모드로 자동 절환하게 된다.
이러한 모드 변환 방식을 이용하여 한 손가락에 의한 모드 변환, 두손가락의 조합에 의한 모드 변환, 세손가락의 조합에 의한 모드 변환, 네손가락의 조합에 의한 모드 변환, 다섯손가락의 조합에 의한 모드변환방식 등 모두 수백 여개의 모드 변환이 가능하며 그리고 각 모드는 14개의 문자 입력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드를 변환하여 입력할 경우 결국 현재 컴퓨터 상에서 입력 가능한 모든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의 마우스 모드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마우스 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오른손 손가락의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31∼35)를 모두 ON시킴으로서 모드변환이 가능하고 같은 동작을 다시 반복하면 키보드 모드로 되돌아오게 된다.
마우스 모드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두 가지 방법에 의해서 마우스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먼저 상하 이동신호는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량감지부(90)의 가속도센서(50)의 신호를 이용하고 좌우 이동신호는 좌우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량감지부(90)의 가속도센서(50)의 신호를 이용하여 마우스기능을 실현하는 방법과 상하 이동 신호를 검지의 굽힘동작으로 실현하고, 좌우 이동 신호는 엄지손가락의 벌림동작으로 마우스기능을 실현하는 방법이 있다. 두 가지 방법 중에서 사용자는 편리한 방법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위의 두 방법에서의 클릭신호는 모두 손끝에 부착되어 있는 키인감지센서(30)를 이용한다. 그러나 위치신호는 가속도센서(50)를 이용한 방법에서는 아이콘을 클릭해서 드래그하고 싶다면 손가락 끝을 누른 상태, 즉 검지손가락 끝에 설치된 제 2터치센서(32)를 ON 시킨 상태에서 손 전체의 위치를 움직이며 포인터를 변화시키며 구현하면 되고, 두 번째 방법에서는 손가락 끝을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을 하여 구현한다.
도 6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은 검지와 중지와, 약지와 소지의 손가락 셋째마디 아래쪽에 설치된 제 1내지 제 4반사광 센서(11∼14)에 의한 굽힘감지센서(10)를 통해 제 2번 관절의 굽힘에 따르는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즉, 발광부(10-1)에서 신호를 발생하면 수광부(10-2)에서 이 신호를 감지하여 손가락이 펴지거나 굽혀지는 거리를 d1, d2, d3로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은 키의 상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원리도이고, 도 8은 엄지의 둘째마디와 검지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5반사광 센서(15)와, 검지와 중지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6반사광 센서(16)와, 약지와 소지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7반사광 센서(17)에 의한 벌림감지센서(20)를 통해 키의 좌우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제 1내지 제 7반사광 센서(11∼17)를 통해 손가락의 위치를 판별하게 된다.
손가락 끝의 위치는 손가락방향의 상하위치와 손가락의 좌우이동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하위치는 손가락상의 각 관절 굽힘량, 그리고 좌우이동은 손바닥에 있는 손가락 제 3관절(중수관절, Metacarpo-Phalangeal Joint, 161)을 중심으로 하는 좌우회전에 의해 정해진다. 이 위치를 결정하는 각 관절은 기하학적인 구속과 함께 인대에 의해 간섭되어 가동범위가 제한된다. 타이핑동작에서는 이 가동범위보다 더욱 제한적인 동작범위만이 요구된다.
따라서, 손가락이 키보드의 기준키 위에 정렬하고 있다면, 손가락만의 이동은 기준키와 그 윗키, 아래키, 3개의 키구분 만이 필요하며, 좌우로는 옆 방향회전에 자유로운 엄지, 검지, 소지만이 옆 키열을 조작하게된다. 따라서 타이핑 작업시의 키위치 조작에 관여하는 주도관절은 굽힘에 대해서는 도 8의 제 2관절(PIP관절(Phalanx-Interpahalangeal joint, 162) 도7의회전에 해당, 162)과, 좌우에 대해서는 제 3관절(161)의 좌우방향뿐이고, 나머지 손가락관절은 모두 잉여자유도로서 이 제 2관절(162)의 굽힘량에 따른 수동적인 굽힘이 일어난다. 또 키를 두드리는 키누름 동작은 제 3관절(161)의 상하방향 회전이 주도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각 손가락 세째마디에는 제 2관절(162)의 굽힘량을 측정하는 제 1내지 제 4반사광 센서(11∼14)를 설치하였으며, 엄지, 검지, 소지 세째마디 측면에는 좌우이동측정을 위한 제 5내지 제 7반사광 센서(15∼17)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키 두드림에 대해서는 각 손가락 끝에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31∼35)를 설치하였다.
손가락의 위치는 도 6과 같이 각 손가락의 세째마디에 부착되어 있는 굽힘감지센서(10)로 측정한다. 굽힘감지센서(10)의 발광부(10-1)는 점광원으로 거리에 따라 확산되며 출력 광도를, 센서와 손가락의 둘째마디 사이의 거리를 d,두번째 마디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량을 E,이라 하면, 이때 반사율이 일정하다면 다음과 같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광신호 관계식은 수학식 1과 같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제 2관절(162)의 회전에 비례하는 거리 d는 광신호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다.
또 이 결과에 의해서 손가락 끝의 위치를 예측함으로써 키의 상중하 위치를 또한 예측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제 2관절(162)의 회전은 키위치를 지정하는 능동적 요소이고 나머지 관절의 굽힘은 이 굽힘량에 따라 적절히 정해지기 때문이다. 엄밀한 위치를 측정하려면 타 관절의 영향을 고려해야되지만, 타이핑의 경우에는 키위치의 상중하 정도만 판별하면 됨으로 이 값만으로도 충분하다. 키의 좌우 위치에 대응되는 검지와 약지의 좌우이동 또한 기준 키인가와 좌측 또는 우측 키인가만 판별하면 되므로 같은 원리를 적용한다.
또 손가락 끝의 위치는 손전체의 상하좌우 이동위치에 의해서도 결정되는데 이것은 가속도센서(50)에 의한 이동량감지부(90)에 의해서 손전체의 상하좌우 이동에 따른 가속도를 가지고 그 신호를 적분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완전초보자가 손목부분이 완전히 지지 된 상태에서 타이핑작업을 하지 않고 어느 특정한 손가락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손가락 끝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적용한다.
누름 동작은 손가락의 끝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형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31∼35)의 ON/OFF 로 판별한다. 또 이 신호 발생여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손목부분이 완전히 지지된 상태에서 타이핑작업을 하는지, 아니면 어느 특정한 손가락만을 사용하는지 결정하는데 적용한다.
이렇게 판별된 손가락의 위치값에 대한 키값을 매핑할 때 학습알고리듬부(104)에 의해 초기 측정(Calibration)과, 타이핑시의 키배치를 학습하여 조정하는 알고리듬을 통해 사용자마다 손크기의 차이, 장갑의 착용상태, 작업자의 타이핑작업 공간상의 제약 즉, 평평한 바닥이 아닌 허벅지 등을 이용할 경우에 대해서도 대응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작업자의 편이성을 더해 주도록 작업자의 타이핑습관에 대응하여 키의 사이즈와 공간배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실장하고 있다.
따라서, 입력장치가 장착된 장갑을 처음 사용할 때 초기 측정을 수행한다. 화면상의 지시에 따라 그 작업조건 가운데 손가락을 거의 90°가 되도록 굽히고, 다시 손가락을 완전히 핀 상태에서의 제 1내지 제 4반사광 센서(11∼14)의 측정값을 읽는다. 그리고, 엄지, 검지, 소지의 좌우 이동량을 순서에 따라 제 5내지 제 7반사광 센서(15∼17)를 통해 측정하여 이 데이터를 기준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보간법으로 각 키 위치를 설정한다.
또 작업자의 타이핑습관에 적응하는 키사이즈와 배치위치의 학습원리에 의해조정한다.
임의의 키 중심위치를 가상공간상의 기준좌표에서라하고 중심위치에서의 반경 r로 하는 원을 키의 사이즈라 할 때, 키중심의 위치는 그 키에 해당하는 새로운 입력x에 의해 갱신하면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된다.
xc(i) = xc(i-1) +α[xc(i-1)-x(i)]
여기서 i는 학습시행순서이고, x(i)는 센서로부터 받은 키위치 값, α,는 학습게인으로 적절하게 선택한다. 이 결과에 의해서 각각의 키 중심위치,가 구해지고 기억된 각 키의 반경,에 의해 가상공간상에서의 키보드가 재구성되어 그려지게 된다. 만약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키 사이즈가 수학식 3을 만족하여 오버랩(overlap)되면,
각 키의 반경,는 수학식 4에 의해 구해져 보정을 하게 된다.
이 알고리듬은 키입력이 성공된 위치와 사이즈를 점차로 보정하기 때문에 타이프작업자의 손모양과, 입력습관의 시간적인 추이를 쫓아가게 해준다.
예를 들어, S라는 문자를 입력시킬 때, 과거 S문자 입력시 기억된 손가락의위치 전체를 포함하는 어떠한 키 사이즈 영역r의 키를 가상키보드 내에 그리게 되고 그 영역을 벗어날 경우 오타로 인식하게 된다. 만약 범위 내에 그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그것은 S문자로 인식하여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S문자에 대한 예측 위치와 영역사이즈를 갱신하여 다음의 입력판단에 활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로써 반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형은 한번에 각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반지에 각종 센서를 설치하고 각 손가락에 끼는 반지(130)는 밴드(13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착용을 용이하게 구성되어있고 반지(130)에는 굽힘감지센서(10)와 키인감지센서(30)와 각 센서의 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는 필터와 증폭기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량감지부(80)와 이동량감지부(90)와 프로세서(61)와 인터페이스부(62)가 내장되어있는 제어부(60)가 검지와 중지와 약지와 연결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로써 반지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굽힘감지센서(10)와 벌림감지센서(20)와 키인감지센서(30)의 배치는 도 1에 도시된 장갑형과 동일하게 검지, 중지, 약지, 소지에는 손가락 셋째마디 아래쪽에 제 2번 관절의 굽힘에 따르는 거리 변화를 검출하는 제 1내지 제 4반사광 센서(11∼14)가 설치되고, 엄지에는 둘째 마디와 검지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5반사광 센서(15)가 설치되고, 검지와 중지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6반사광 센서(16)가 설치되며, 약지와 소지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7반사광 센서(17)가 설치되어 총 7개의 반사광 센서가 장착된다.
장갑형과의 큰 차이점은, 각 반지(130) 위에 키인감지센서(30)로써 제 1내지 제 5충격센서(31'∼35')가 내장되어 손가락의 타이핑 충격을 검출한다는 점 외에는 동일한 구성에 의해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반지형 키보드의 원리는 장갑형 키보드와 원리는 대부분이 같지만 키의 누름을 감지하는 부분은 손끝에 터치센서를 부착한 것이 아니라 손가락 세째마디에 상하방향 충격을 감지하기 위해 제 3관절에 끼워진 반지(130)안에 키를 누를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해 내는 충격 감지 센서를 배치하여 키의 누름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충격 센서는 질량체가 달린 빔형태 또는 스프링 형태의 센서이기 때문에 키누름 동작시의 관성을 이용하여 질량체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접점을 ON 시키든가 커패시턴스의 변화 또는 홀소자에 의해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반지형의 키보드는 숙련자/비숙련자/키설정 모드변환방식은 같으나 앞에서 언급한 모드내에 속하는 일반모드/특수키입력모드/숫자키입력모드는 장갑형에서 모드 변환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반지형에서는 모드 변환을 검지 손가락의 반지(130)에 부착되어 있는 모드변환키(140)를 누름으로서 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다.
이렇게 모드변환키(140)를 사용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테이블에서 ◎신호는 반지(130)에 부착되어있는 모드변환키(140)에 의해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신호는 충격센서에 의해서 발생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로써 손을 얹어놓을 수 있는 박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박스(170)에 각 손가락의 위치에 맞추어 각종 센서를 설치하고 박스를 밴드에 의해 착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박스(170)의 상부에 손가락의 위치에 맞추어 손가락의 세째마디의 상하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 2굽힘감지센서(181)를 설치하고, 전면하부에 손가락의 위치에 맞추어 손가락 끝의 전후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 1굽힘감지센서(180)를 설치한다.
이때, 상부에 설치되는 제 2굽힘감지센서(181)는 광센서로써 박스(170) 상부에서 손가락 세째마디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고, 하부에 설치되는 제 1굽힘감지센서(180)는 광센서로써 박스(170) 전방에서 손가락 끝의 전후이동을 이동을 감지한다.
그리고, 박스(170)의 하부에는 제 1굽힘감지센서(180)의 수광부보다 안쪽에 깊게 키인감지센서(190)를 설치하여 손끝이 바닥에 닿지 않고 굽힘동작만을 할 경우에는 반사광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였고 손끝이 바닥에 닿을 때에만 반사광이 들어오도록 하였다.
이때, 키인감지센서(190)는 수광부만을 사용하여 하부에 설치된 굽힘감지센서의 발광신호를 감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손회전감지센서(200)와 손이동량감지센서(210)는 박스(170) 내부에 설치하였다.
여기에서, 손회전감지센서(200)와 손이동량감지센서(210)로는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센서 또는 옵티컬 마우스 센서를 사용하였다.
이때,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센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장갑형에서의 원리와 같으며, 박스(170)의 하부에 옵티컬 마우스 센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키보드 모드일 때에는 손의 회전 및 이동량을 감지를 위한 신호로, 마우스 모드에서는 포인터를 움직이는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박스(170)내에 설치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로써 손을 얹어놓을 수 있는 박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위치에 맞도록 제 1내지 제 2굽힘감지센서(180)(181)를 설치되어 있고 손을 올려놓는 부분에 손회전감지센서(200)와 손이동감지센서(210)가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이 박스(17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제 1내지 제 2굽힘감지센서(180)(181)를 설치하여 각 손가락의 두 번째 관절의 굽힘은 첫 번째 관절의 굽힘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첫 번째 마디의 거리변화가 일어나며 이를 제 1굽힘감지센서(180)에 의해 감지한다. 이때, 세 번째 관절의 굽힘도 함께 일어나기 때문에 세 번째 마디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이를 제 2굽힘감지센서(181)에 의해 감지한다.
이와 같이 제 1내지 제 2굽힘감지센서(180)(181)를 통해 복합적으로 감지함으로써 광센서의 비선형성을 제거하여 보다 정확하고 쉽게 손의 굽힘량을 알아낼수 있도록 하였다.
즉, 손끝의 거리가 제 1굽힘감지센서(180)로부터 멀어질수록 거리 변화에 따른 제 1굽힘감지센서(180)의 출력값의 변화가 매우 작아지고 제 2굽힘감지센서(181)의 출력값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키보드의 하위열의 키를 입력할 때에는 제1굽힘량감지센서(180)의 출력값을 이용하고 상위열의 키를 입력할 때에는 제2굽힘감지센서(181)의 출력값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손가락의 위치결정을 할 때 두번째 관절 뿐만 아니라 세번째 관절의 굽힘량까지 고려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보드 및 마우스의 경우에만 설명했지만 손가락의 움직임을 통해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용PC, Wearable PC, PDA, 휴대폰, 오락 게임기, 계산기, 가상 악기 등의 입력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 초경량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구조도 비교적 간단하여 제품 신뢰성이 높으며, 또 대량생산이 용이, 저가격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손가락의 움직에 의해 키보드와 마우스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키보드를 통한 모든 문자입력이나 마우스 입력 기능을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대량 문서를 입력함에 있어 피곤하지 않고, 사용자에게도 거부감을 주지 않으며, 새로운 조작훈련도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또한, 화면상에 띄워진 가상 키보드와 손가락의 움직임을 보면서 타이핑 또는 마우스 작업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키가 눌려질 때 짧은 Beep음을 출력함으로써 실물의 키보드를 두드리는 듯한 입력감각을 느끼도록 해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인식하여 키의 크기와 위치가 재구성하는 학습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사용자가 키의 크기와 위치가 정해진 키보드에 적응해 나가는 불편함 없이도 편리하고 오타가 적은 입력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손가락 및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각각의 센서들을 스캔하여 감지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는 장갑형, 반지형, 박스형의 입력장치 구성이 가능하여 특수한 환경 또는 분야에서 입력장치로서의 적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키보드 기능 외에 게임기나 가상현실 등 다양한 분야의 입력장치로도 응용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손가락 관절의 굽힘에 따른 거리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굽힘감지센서와,
    손가락간의 벌어진 거리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벌림감지센서와,
    손가락에 의한 키인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키인감지센서와,
    손전체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손회전감지센서와,
    손전체의 상하좌우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손이동감지센서와,
    상기 굽힘감지센서와 상기 벌림감지센서와 상기 키인감지센서와 상기 손회전감지센서와 상기 손이동감지센서의 값을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입력받아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펄스구동방식으로 굽힘감지센서와 벌림감지센서를 순차적으로 먹스/디먹스에 의해 선택하여 신호를 입력받아 손의 굽힘량 및 손가락의 벌림량의 측정을 위한 굽힘량감지부와,
    손회전감지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손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회전량감지부와,
    손이동감지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손의 상하좌우 이동량을 측정하는 이동량감지부와,
    굽힘량감지부와 회전량감지부와 이동량감지부와 키인감지센서의 출력 데이터를 캡슐화하여 전송하는 프로세서와,
    직/병렬 데이타 신호를 만들어 외부기기의 데이터처리부로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감지센서와 상기 벌림감지센서와 상기 키인감지센서와 상기 손회전감지센서와 상기 손이동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는
    장갑이나, 반지나, 손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감지센서는
    검지와, 중지와, 약지와, 소지의 손가락 셋째마디 아래쪽에 설치되어 각 손가락 제 2번 관절의 굽힘에 따르는 거리 변화를 검출하는 제 1내지 제 4반사광 센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감지센서는
    엄지의 둘째마디와 검지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5반사광 센서와,
    검지와 중지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6반사광 센서와,
    약지와 소지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 7반사광 센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인감지센서는
    장갑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손 끝에 설치된 제 1내지 제 5터치센서나, 키인하기 위해 손가락을 두드릴 때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손가락의 제 3관절의 회전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기 위해 반지에 설치된 제 1내지 제 5충격감지센서나, 손끝이 바닥에 닿을 때 손끝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측정하기 위해 박스에 설치되어 있는 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회전감지센서는 손전체의 작업 평면상에서의 손의 회전을 감지하는 1축의 자이로스코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이동감지센서는 손전체의 작업 평면상에서의 손의 상하좌우위치를 감지하는 2축의 가속도센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굽힘량감지부와 상기 회전량감지부와 상기 이동량감지부의 값을 처리하는 위치신호처리부와,
    상기 키인감지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출력하는 키인신호처리부와,
    상기 키인신호처리부와 위치신호처리부와 송수신하며 모드변환을 수행하는 모드변환부와,
    상기 위치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값에 따라 키보드 기능시 입력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손의 치수, 또는 습관에 따라 키 배열을 가상적으로 재배치하는 학습알고리듬부와,
    상기 위치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값에 따라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마우스모드부와,
    상기 학습알고리듬부에 의해 입력된 손의 위치 및 선택된 키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키보드모드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9. 굽힘감지센서와 벌림감지센서와 키인감지센서와, 손회전감지센서와, 손이동감지센서의 값을 순차적으로 계속 스캔하여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값에 기능설정 데이터와 키 데이터를 판별하는 단계와,
    기능설정 데이터일 경우 입력되는 값에 대한 마우스모드나 키보드 모드를 숙련자 모드와 비숙련자 모드와 키설정 모드로 모드절환하는 단계와,
    기능설정이 완료된 후 입력되는 값에 따라 설정된 기능에 따라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여 해당 손가락의 키값을 출력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숙련자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타이핑 작업을 하는지 아니면 어느 특정 손가락만을 사용하여 타이핑 작업을 하는지 키인감지센서의 신호분석을 통해 손동작 및 모양을 굽힘감지센서와 벌림감지센서의 신호를 사용할 것인지 손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손회전감지센서와 손이동감지센서의 신호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절환은 키인감지센서의 선택적 조작이나 모드변환키에 의해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모드는
    검지의 굽힘동작과 상기 손위치감지센서의 상하이동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상하 이동 신호를 실현하고, 엄지손가락의 벌림동작과 상기 손위치감지센서의 좌우이동신호와 손회전감지센서의 회전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좌우 이동신호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모니터의 작업화면에 작업워드윈도와 가상 키보드와 상기 가상 키보드 상에 손가락위치를 표시하여 키가 눌려진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동시에 짧은 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방법.
KR10-2001-0012056A 2001-03-08 2001-03-08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499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056A KR100499391B1 (ko) 2001-03-08 2001-03-08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056A KR100499391B1 (ko) 2001-03-08 2001-03-08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081A true KR20020072081A (ko) 2002-09-14
KR100499391B1 KR100499391B1 (ko) 2005-07-07

Family

ID=2769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056A KR100499391B1 (ko) 2001-03-08 2001-03-08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391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1945B2 (en) * 2002-08-19 2005-03-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nform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KR100803200B1 (ko) * 2001-07-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의 관절 각도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US7796819B2 (en) 2005-12-09 2010-09-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using acceleration sensor
KR20110112375A (ko) * 2008-12-24 2011-10-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CN102478960A (zh) * 2010-11-29 2012-05-30 国际商业机器公司 人机交互设备以及将该设备用于虚拟世界的装置和方法
CN102707799A (zh) * 2011-09-12 2012-10-03 北京盈胜泰科技术有限公司 一种手势识别方法及手势识别装置
KR101513969B1 (ko) * 2014-03-04 2015-04-22 박승규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KR101521288B1 (ko) * 2013-11-26 2015-05-19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갑형 무선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GB2534386A (en) * 2015-01-21 2016-07-27 Kong Liang Smart wearable input apparatus
WO2016200127A1 (ko) * 2015-06-12 2016-12-15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설정 및 실행 방법
US9626031B2 (en) 2015-06-29 2017-04-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ing ring for device control
CN109217005A (zh) * 2018-09-07 2019-01-15 昆山龙梦电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9687199A (zh) * 2017-10-19 2019-04-26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公接头、母接座、电性连接套件以及蓝牙耳机的充电装置
CN109960408A (zh) * 2019-03-14 2019-07-02 常旭 基于传感器的智能输入键鼠手套
KR20190131417A (ko) * 2018-05-16 2019-11-26 디테코 주식회사 손동작 인식을 이용하여 매크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96534A (ko) * 2020-01-28 2021-08-05 황영범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입력장치 및 그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이용 방법
KR20210101006A (ko) * 2020-02-07 2021-08-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딩 능력 향상을 위한 게임 제공 장치에 의한 게임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323A (ja) * 1988-07-04 1990-01-19 Katsumi Kadota 手装着型データ入出力方式
JP2689879B2 (ja) * 1993-12-27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仮想キーボード
JPH0954646A (ja) * 1995-08-11 1997-02-25 Toshiba Corp バーチャルキーボード装置及びキー入力制御方法
KR19980036079A (ko) * 1996-11-15 1998-08-05 배순훈 디지탈 데이터 입력용 글러브 인터페이스 장치
JPH11143608A (ja) * 1997-11-07 1999-05-28 Sony Corp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00B1 (ko) * 2001-07-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의 관절 각도를 이용한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US6861945B2 (en) * 2002-08-19 2005-03-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nform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7796819B2 (en) 2005-12-09 2010-09-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using acceleration sensor
KR20110112375A (ko) * 2008-12-24 2011-10-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CN102478960A (zh) * 2010-11-29 2012-05-30 国际商业机器公司 人机交互设备以及将该设备用于虚拟世界的装置和方法
CN102707799A (zh) * 2011-09-12 2012-10-03 北京盈胜泰科技术有限公司 一种手势识别方法及手势识别装置
KR101521288B1 (ko) * 2013-11-26 2015-05-19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갑형 무선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13969B1 (ko) * 2014-03-04 2015-04-22 박승규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GB2534386A (en) * 2015-01-21 2016-07-27 Kong Liang Smart wearable input apparatus
WO2016200127A1 (ko) * 2015-06-12 2016-12-15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설정 및 실행 방법
US9626031B2 (en) 2015-06-29 2017-04-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ing ring for device control
US9696822B2 (en) 2015-06-29 2017-07-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ing ring for device control
US9983728B2 (en) 2015-06-29 2018-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ing ring for device control
CN109687199A (zh) * 2017-10-19 2019-04-26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公接头、母接座、电性连接套件以及蓝牙耳机的充电装置
CN109687199B (zh) * 2017-10-19 2024-01-12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电性连接套件以及蓝牙耳机的充电装置
KR20190131417A (ko) * 2018-05-16 2019-11-26 디테코 주식회사 손동작 인식을 이용하여 매크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N109217005A (zh) * 2018-09-07 2019-01-15 昆山龙梦电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9960408A (zh) * 2019-03-14 2019-07-02 常旭 基于传感器的智能输入键鼠手套
KR20210096534A (ko) * 2020-01-28 2021-08-05 황영범 증강현실 서비스를 위한 입력장치 및 그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이용 방법
KR20210101006A (ko) * 2020-02-07 2021-08-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딩 능력 향상을 위한 게임 제공 장치에 의한 게임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9391B1 (ko)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391B1 (ko)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
EP17792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graphical information to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haptic feedback
US7379053B2 (en) Computer interface for navig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 by touch
EP2041640B1 (en) Free fingers typing technology
EP1244003A2 (en) Information input system using bio feedback and method thereof
WO2012070682A1 (ja)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US20030117377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giving input instructions to a program executing machine
US20110215954A1 (en) Matrix Keyboarding System
US9268364B2 (en) Ergonomic data entry device
US20160259550A1 (en) Matrix keyboarding system
US7339124B2 (en) Input key and input apparatus
US20030179178A1 (en) Mobile Text Entry Device
US20050270274A1 (en) Rapid input device
US11360662B2 (en) Accommodative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WO2010024031A1 (ja) 情報入力システム、情報入力方法、情報入力プログラム
CN101124532A (zh) 计算机输入设备
US7023426B1 (en) User input device
CN100374998C (zh) 一种触控式信息输入装置及方法
CN112041795A (zh) 穿戴式数据输入设备及操作方法
KR100446531B1 (ko)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
JPH08221202A (ja) 情報表示装置
US200500734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s to a communication or computing device
CN100504731C (zh) 一种便携式电子设备的信息输入装置及方法
JP2000242394A (ja) 仮想キーボードシステム
JP2006031732A (ja) 信号入力装置及び力電気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714

Effective date: 200503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