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697A - 가위 등의 절단구 - Google Patents

가위 등의 절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697A
KR20020071697A KR1020010050946A KR20010050946A KR20020071697A KR 20020071697 A KR20020071697 A KR 20020071697A KR 1020010050946 A KR1020010050946 A KR 1020010050946A KR 20010050946 A KR20010050946 A KR 20010050946A KR 20020071697 A KR20020071697 A KR 20020071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lade
cutting tool
coi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미즈타니
유이치 사카이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미즈타니 리비요 하사미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미즈타니 리비요 하사미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미즈타니 리비요 하사미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7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69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26B13/1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spring loaded, e.g. with provision for locking the blades or the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 B26B13/285Joints with means for applying pressure on the blades; with means for producing "drawing-cut" effe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이발 가위나 속껍질 깎이나 손톱깎이와 같은 미장용구(美粧用具) 등의 절단구로서, 스프링에 의해 칼날부를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있어서,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노출되지 않는 외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칼날부를 가지는 한 쌍의 본체가 지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한 쌍의 칼날부는 벌려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으로, 스프링은 양 본체내면의 축 구멍의 주위에 설치한 오목부내에 장착되고, 칼날부를 벌리게 하는 힘을 부여하기 위해 스프링은 두개의 작용부를 가지며, 두개의 작용부는 각각의 오목부 중 어느 하나의 장소에 작용하여 칼날부를 벌리게하는 힘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위 등의 절단구 {CUTTING TOOL}
본 발명은 주로 이발 가위나 속껍질 깎이나 손톱 깎이 등의 절단구로서, 지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본체를 회전운동함으로써 절단작용을 하는 절단구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의 칼날부를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에, 종래품은 판상(板狀)스프링이나 코일 스프링 등을 한 쌍의 손잡이부 사이에 끼웠었다.
종래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었기 때문에 판상스프링이나 코일 스프링이 노출된 상태이며, 특히 이발 가위나 속껍질 깎이나 손톱 깎이와 같은 미장용구(美粧用具)에 있어서는 외관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노출되지 않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축 부근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위에 대해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어느 한 방향의 본체의 일부 내면도이다.
도 4는, 타방의 본체의 일부 내면도이다.
도 5는, 코일 스프링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지축 부근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어느 한 방향에서의 본체의 일부 내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속껍질 깎이에 대해서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지축 부근의 단면도이다.
* 부호 설명 *
1본체2본체
3축 구멍4축 구멍
5오목부6오목부
7칼날부8칼날부
9손잡이부10손잡이부
11걸림구멍12걸림구멍
13코일 스프링14코일부
15아암부16걸림부
17지축18코일 스프링
19코일부20걸림부
21본체22축 구멍
23오목부24칼날부
25손잡이부26걸림 구멍
27지축28본체
29내주면30내주면
31칼날부32칼날 앞끝 가선
33본체34축 구멍
35오목부36걸림 구멍
37걸림부38코일 스프링
39지축
본 발명의 청구항 제 1항의 구성은, 칼날부를 가지는 한 쌍의 본체가 지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한 쌍의 칼날부가 벌려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가위 등의 절단구에 있어, 상기 스프링은 양 본체 내면의 축 구멍의 주위에 설치된 오목부 내에 장착되고, 칼날부를 벌리게하는 힘을 부여하기 위해 스프링은 두개의 작용부를 가지며, 상기 두개의 작용부는 각각 오목부 중의 어느 하나의 장소에 작용하여 칼날부를 벌리게하는 힘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 항의 구성은, 청구항 제 1 항에, 스프링의 두개의 작용부가 칼날부를 벌리게하는 힘을 부여하기 위해 작용하는 오목부 내에 있어서의 작용위치가 축 구멍의 중심을 지나고 칼날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보다도 본체의 후단근처인 구성이 부가되어진 것이다.
청구항 제 3 항의 구성은, 청구항 제 1 또는 제 2 항의 구성에 부가하여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이고 코일부 내에 지축을 끼워 통하게 하고, 본체 내면의 오목부의 바닥에 설치되어진 걸림 구멍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있고 칼날부를 벌리게하는 힘을 부여하는 구성이 부가되어진 것이다.
청구항 제 4 항의 구성은, 청구항 제 1 또는 청구항 제 2의 구성에 부가하여,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이며 코일부내에 지축을 끼워 통하게 하고, 스프링선의 양단부분은 코일부로부터 부채 형상으로 돌출되어 두개의 아암부가 형성되고, 양 아암부의 선단 부근에는 서로 역방향을 향하도록 거의 수직으로 굽어져 걸림부를 형성하고, 본체 내면의 오목부의 바닥에 설치된 걸림구멍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 칼날부를 벌리는 힘을 부여하는 구성이 부가된 것이다.
청구항 제 5 항의 구성은,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구성에 부가하여,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이며, 코일 내부에 지축을 끼워 통하게 하고, 스프링 선의 양단부는 코일부로부터 부채 형상으로 돌출되어 두개의 아암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부가 본체 내면의 오목부의 내주면에 압접(壓接)함으로써 칼날부를 벌리게하는 힘을 부여하는 구성이 부가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부터 도 6까지는 이발 가위이다. 본체(1, 2)의 내면에서 축 구멍(3, 4)의 주위에는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긴 원형의 오목부(5, 6)가 설치되어져 있다. 축 구멍(3, 4)은 오목부(5, 6)의 칼날부(7, 8) 부근에 치우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9,10) 근처의 오목부(5, 6)의 바닥에는 걸림 구멍(11, 12)이 설치되어져 있다. 도면에서 명백하듯이 이들의 걸림구멍(11, 12)은 축 구멍(3, 4)의 중심을 지나 칼날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선보다도 손잡이 부(9, 10) 근처에 설치되어져 있다.
코일 스프링(13)은 코일부(14)가 한 바퀴 반 감겨져 있고, 스프링 선의 양단부는 코일부(14)에서 부채 형상으로 돌출되어 아암부(15, 15)가 형성되어져 있다. 양 아암부의 선단은 서로 역방향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굽어져 걸림부(16, 16)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가위를 조립할 때에는, 본체(1)의 축 구멍(3)에 지축(17)을 삽입하고, 그 지축(17)을 코일 스프링(13)의 코일부(14)에 끼워 통하게하고 걸림부(16)를 걸림 구멍(11)에 넣는다. 다음으로, 본체(2)의 축 구멍(4)에 지축(17)을 삽입하고, 코일 스프링의 타방의 걸림 구멍(12)에 넣고, 지축을 너트로 조인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칼날부(7, 8)는 코일 스프링(13)에 의해 벌려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통상의 상태에서 칼날부(7, 8)는 벌려져 있다. 따라서, 가위를 사용하지 않는 때에 칼날부(7, 8)를 닫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13)은 아암부(15, 15)의 선단을 구부리지 않고, 즉 걸림부(16, 16)를 가지지 않는 것이어도 지장이 없다. 이 경우는 걸림 구멍(11, 12)도 필요하지 않다. 걸림부(16, 16)를 가지지 않는 것인 때에는, 아암부(15, 15)가 오목부(5, 6)의 내주면(29, 30)에 압접하여 칼날부(7, 8)를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이 아니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스프링 선을 양단이 넓어진 U 자형으로 구부러진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양방의 다리가 각각 다른 오목부(5, 6)에 들어가도록 접어 구부리는 부분을 비틀 필요가 있다.
도 7로부터 도 9는 코일 스프링(18)의 형상이 상술한 것과 다른 실시 예이다. 즉, 코일 스프링(18)은 코일부(19)를 직접 구부려 걸림부(20, 20)를 형성한 것이다. 본체(21)의 축 구멍(22)의 주위에는 원형의 오목부(23)이 설치되어져 있고, 축 구멍(22)의 중심을 지나고 칼날부(2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선보다 손잡이부 쪽에 기울어진 곳에 걸림 구멍(26)이 설치되어져 있다. 이 실시 예의 가위의 조립 방법은 상술한 제 1 예의 가위와 동일하게 지축(27)을 축 구멍 및 코일부(19)에 끼워 통하게 하고 너트로 조인다.
도 7로부터 명백하듯이, 이 실시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18)은 상술한 제 1 예의 코일 스프링(13)과 같은 아암부(15, 15)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오목부(23)는 원형이며 축 구멍(22)의 주위근처에 설치되어져 있기 때문에, 본체(21, 28)에 완전히 덮여진다. 따라서, 칼날부를 전부 벌려도 오목부(23) 및 코일 스프링(18)이 전혀 노출되는 일이 없다.
이상, 각각 코일 스프링의 형상이 다른 이발 가위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발 가위는 손잡이부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손잡이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은 것은 물론, 축 구멍의 약간 후방 쪽 위치에 본체를 절단한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손바닥 가위(palm scissors)와 같은 형상이 되어 컴팩트한 가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은 문자 그대로 코일부가 감겨져 있기 때문에, 일방의 걸림부는 자연적으로 일방의 오목부에 들어가고, 타방의 걸림부는 자연적으로 타방의 오목부에 들어간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의 겹쳐져 있는 코일부를 풀기위해 무리하게 벌리지 않아도, 사용시에 코일 스프링이 한 쌍의 본체가 풀리도록 작용하는 경우가 많고, 이 작용에 의해 한 쌍의 칼날부가 서로 밀도록 힘을 더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이 촉점(觸點)의 작용도 겸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니퍼(nipper) 형 속껍질 깎이의 실시 예이다. 니퍼형 속껍질 깎이는 가위와 같이 칼날부를 교차시켜 절단하는 것이 아니고, 한 쌍의 칼날부(31, 31)의 칼날 앞끝 가선을 전 길이에 걸쳐 대향시키고, 칼날부(31, 31)을 닫음으로써 칼날 앞끝 가선끼리를 꽉 눌러 절단하는 것이다.
속껍질 깎이도, 본 발명에 따른 것은 상술한 이발 가위와 동일하다. 즉 한 쌍의 본체(33, 33)의 내면의 축 구멍(34)의 주위에 원형의 오목부(35, 35)가 설치되고, 걸림 구멍(36, 36)도 설치되어져 있다. 코일 스프링(38)은 도 9에 나타낸 코일 스프링(18)과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걸림부(37, 37)가 걸림 구멍(36, 36)에 들어가 있다. 리베트 형상의 지축(39)이 축 구멍(34, 34) 및 코일 스프링(38)에 끼워져 있고 끝 부분이 프레스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이상과 같으며, 칼날부를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은 본체 내면의 축 구멍의 주위에 설치된 오목부 내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의 대부분은 타방의 본체에 덮여져 있기 때문에, 그 오목부 내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이 노출되지 않고 외관이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일반적인 가위는, 이소(裏梳) 라고 하여 칼날부의 내면을 선단에서 축 구멍보다 약간 더 손잡이부 쪽까지 연삭하여 내면의 높이를 낮게 하고, 이에 비해 손잡이 쪽의 내면은 연삭하지 않고 높이를 높인 채로 남겨두어 촉점(觸點)으로 하고, 촉점끼리 압접함으로써 한 쌍의 칼날부가 서로 밀도록 힘을 가해 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 두개의 작용부가 칼날부를 벌리게하는 힘을 부여할 때는 스프링의 탄성력의 전부가 힘을 가하지 아니하고, 탄성력의 일부는 결합된 한 쌍의 본체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오목부에 있어서의 스프링의 작용위치가 축 구멍의 중심을 지나 칼날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선보다 칼날부 쪽에 가까운 때에는, 결합된 칼날부가 떨어지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머리 등을 자를 수 없는 염려가 있다.
청구항 제 2항의 구성은, 스프링의 두개의 작용부가 칼날부를 벌리게 하는 힘을 부여하기 위해 작용하는 오목부 내에 있어서의 작용위치는, 축 구멍의 중심을 지나 칼날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선보다 본체의 후단 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가위에 있어 스프링의 탄성력의 일부가 결합된 한 쌍의 본체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할 경우는, 상술한 촉점과 동일하게 칼날부가 서로 밀도록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칼날부가 떨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스프링에 의해 칼날부가 서로 밀도록 힘이 가해지면, 이소를 하고 촉점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분하게 통용되는 가위를 제공할 수 있다. 가위의 이소는 고도의 숙련을 요하기 때문에, 이소가 불필요하게 된다면 비용을 낮출 수 있게된다.
청구항 제 3항은, 스프링은 코일이며 코일부 내에 지축이 끼워져 통하여져 있고, 코일부를 형성하는 스프링 선의 양단부분은 서로 역방향을 향하도록 거의 수직으로 구부려져 걸림부가 형성되고, 본체 내면의 오목부의 바닥에 설치되어진 걸림 구멍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있어 칼날부를 벌리게하는 힘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여기에 있어서의 스프링은 문자 그대로 원형의 코일이기 때문에 지축 주위를 따라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칼날부를 크게 벌려도 스프링이 노출되지 않아 극히 외관이 좋아질 수 있다. 또한, 가위에 있어 칼날부의 선단이 오목부의 걸림 구멍을 누르도록 구성하면, 이 걸림구멍이 축 구멍의 중심을 지나 칼날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보다 칼날부 쪽에 있는 때에는, 칼날부를 서로 밀도록 힘을 가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항은, 스프링 선의 양단부분은 코일부에서 부채 형상으로 돌출되어 두개의 아암부를 형성하고, 양 아암부의 선단 부근은 서로 역방향을 향하도록 거의 수직으로 구부려져 걸림부가 형성되고, 본체 내면의 오목부의 바닥에 설치되어진 걸림 구멍에 걸림부가 걸려 있어 칼날부를 벌리게 하는 힘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즉 스프링은 원형의 코일부와 그 곳에서 일체로 돌출하는 부채 형상의 아암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걸림 구멍이 축 구멍의 중심을 지나 칼날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보다 칼날부 쪽에 있는 경우는, 칼날부를 서로 밀도록 힘을 가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청구항 제 3항과 동일하다. 또한 아암부에 의해서도 칼날부를 서로 밀도록 힘을 가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하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 5항은, 스프링 선의 양단부분은 코일부에서 부채 형상으로 돌출하여 두개의 아암부가 형성되고, 이 아암부가 본체 내면의 오목부의 내주면에 압접함으로써 칼날부를 벌리게하는 힘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아암부의 선단 부근을 구부릴 필요가 없고, 오목부 내에 걸림 구멍을 설치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이 간단하여 진다.

Claims (7)

  1. 칼날부를 가지는 한 쌍의 본체가 지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도록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한 쌍의 칼날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가위 등의 절단구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양 본체 내면의 축 구멍의 주위에 설치된 오목부 내에 장착되고, 칼날부를 벌리게하는 힘을 부여하기 위해 스프링은 두개의 작용부를 가지고, 상기 두개의 작용부는 각각 별개의 오목부내 중 어느 하나의 장소에 작용하여 칼날부를 벌리게 하는 힘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의 두개의 작용부가 칼날부를 벌리게 하는 힘을 부여하기 위해 작용하는 오목부 내에 있어서의 작용위치가 축 구멍의 중심을 지나고 칼날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보다 본체의 후단 근처인 절단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코일부 내에 지축이 끼워져 통하고 있고, 코일부를 형성하는 스프링 선의 양단부분은 서로 역방향을 향하도록 거의 수직으로 구부러져 걸림부가 형성되고, 본체 내면의 오목부의 바닥에 설치되어진 걸림 구멍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 칼날부를 벌리게 하는 힘을 부여하는 절단구.
  4.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코일부 내에 지축이 끼워져 통하고 있고, 스프링 선의 양단부분은 코일부에서 부채 형상으로 돌출되어 두개의 아암부가 형성되고, 양 아암부의 선단 부근은 서로 역방향을 향하도록 거의 수직으로 굽어져 걸림부를 형성하고, 본체 내면의 오목부의 바닥에 설치된 걸림 구멍에 상기 걸림부가 걸려 칼날부를 벌리게하는 힘을 부여하는 절단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코일부 내에 지축이 끼워져 통하고 있고, 스프링 선의 양단부분은 코일부에서 부채 형상으로 돌출되어 두갱의 아암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암부가 본체 내면의 오목부의 내주면에 압접함으로써 칼날부를 벌리게 하는 힘을 부여하는 절단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절단구는, 한 쌍의 손잡이부를 가지고 한 쌍의 칼날부를 교차시키면서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이발 가위인 절단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절단구는, 한 쌍의 손잡이부를 가지고 한 쌍의 칼날부의 칼날 앞끝 가선을전 길이에 걸쳐 대향시키고, 칼날부를 닫음으로써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속 껍질 깎이 또는 손톱 깎이인 절단구.
KR1020010050946A 2001-03-06 2001-08-23 가위 등의 절단구 KR200200716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61224A JP2002253874A (ja) 2001-03-06 2001-03-06 鋏などの切断具
JPJP-P-2001-00061224 2001-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697A true KR20020071697A (ko) 2002-09-13

Family

ID=1892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946A KR20020071697A (ko) 2001-03-06 2001-08-23 가위 등의 절단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20124415A1 (ko)
JP (1) JP2002253874A (ko)
KR (1) KR200200716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1321A1 (en) * 2003-07-17 2005-01-20 Chih-Ching Hsien Pliers assembly
US20050115081A1 (en) * 2003-11-27 2005-06-02 Shu-Woan Tu Electric cutter
US7596870B2 (en) * 2004-03-02 2009-10-06 Leatherman Tool Group, Inc. Folding multipurpose tool with shears and comfortable handles
FR2868350B1 (fr) * 2004-03-31 2006-05-05 Maped Soc Par Actions Simplifi Ciseaux a ressort d'ouverture
US6964099B1 (en) * 2004-08-19 2005-11-15 Min Zheng Zeng Gardening shears having two pruning effects
US7353736B2 (en) 2005-07-27 2008-04-08 Leatherman Tool Group, Inc. Enhanced multi-function hand tool
DE102005039529A1 (de) * 2005-08-18 2007-02-22 Wella Ag Schere mit einer Senke zum Ausspülen des Gelenkbereiches
US8671495B2 (en) * 2006-11-06 2014-03-18 Durr Systems, Inc. Scraper pig
US20080256809A1 (en) * 2007-04-23 2008-10-23 Emerson Electric Co. Cutting tool having replaceable blade
US7748122B2 (en) * 2007-09-05 2010-07-06 Mentor Group, L.L.C. Knife blade opening mechanism
US8375590B2 (en) * 2007-09-05 2013-02-19 Mentor Group, L.L.C. Knife blade opening mechanism
US9505141B2 (en) 2012-09-09 2016-11-29 Benchmade Knife Co., Inc. Folding knife with dual operational modes
US9527218B2 (en) 2012-09-09 2016-12-27 Benchmade Knife Co., Inc. Folding knife with dual operational modes
US11446832B2 (en) * 2012-12-19 2022-09-20 Slice, Inc. Retractable utility knife
CN105026117B (zh) 2013-02-20 2018-05-29 班奇梅德刀具有限公司 具有双操作模式的折刀
CN105073350B (zh) 2013-02-25 2017-04-12 班奇梅德刀具有限公司 带双手通用致动器以及锁定机构的刀
US11161261B2 (en) 2014-03-12 2021-11-02 Hangzhou Great Star Tools Co., Ltd. Scissors
WO2015135158A1 (zh) * 2014-03-12 2015-09-17 杭州巨星工具有限公司 剪刀
JP5989200B1 (ja) * 2015-06-08 2016-09-07 株式会社近正 鋏の軸部の構造
US10342637B2 (en) * 2015-11-02 2019-07-09 Haseeb Sajid Retractable forceps
US11858150B2 (en) * 2019-12-23 2024-01-02 Aob Products Company Nipper
JP7015434B1 (ja) 2020-08-12 2022-02-03 株式会社諏訪田製作所 美粧用切断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5793A (ko) * 1973-07-18 1975-03-18
JPS5128884U (ko) * 1974-08-27 1976-03-02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5793A (ko) * 1973-07-18 1975-03-18
JPS5128884U (ko) * 1974-08-27 1976-03-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24415A1 (en) 2002-09-12
JP2002253874A (ja) 200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1697A (ko) 가위 등의 절단구
JP2020535910A (ja) ブレードセット及び製造方法
US7509743B2 (en) Electric hair clipper
CA2254672A1 (en) Attachment comb for hair clipper
JP2005144166A (ja) セルフカッティング用または他人を散髪するときに使用するヘアトリマー
US5699617A (en) Multiple purpose compound action snips
EP2062702B1 (en) Hair cutter
EP1056367B1 (en) Nail clippers
US7062855B2 (en) Nail cutter with double lever
JPS61290978A (ja) そぎばさみ
US20070067995A1 (en) Nail clippers and method of using
US5890295A (en) Complex action cutting device
KR200417639Y1 (ko) 손톱깎이
JPH10276833A (ja) 爪切り
JPH054853U (ja) 植木鋏
JPH06105968A (ja) チョッピングカット用鋏
JP2681899B2 (ja) 理容用梳き鋏
KR102479747B1 (ko) 1회용 네일아트용 니퍼
JPH0510783Y2 (ko)
KR200262255Y1 (ko)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KR200273672Y1 (ko) 유아용 손톱 및 콧털 겸용 가위
KR200166024Y1 (ko) 미용구 손잡이 장치
JPH0214366Y2 (ko)
KR200240129Y1 (ko) 모발 부분절단용 칼
JPH01181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