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271A - 전기-음향 통신 유닛 - Google Patents

전기-음향 통신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271A
KR20020070271A KR1020027005480A KR20027005480A KR20020070271A KR 20020070271 A KR20020070271 A KR 20020070271A KR 1020027005480 A KR1020027005480 A KR 1020027005480A KR 20027005480 A KR20027005480 A KR 20027005480A KR 20020070271 A KR20020070271 A KR 20020070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transducer
housing
diaphragm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9033B1 (ko
Inventor
모르텐 크젤드센 안데르센
Original Assignee
키르크 어코스틱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르크 어코스틱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키르크 어코스틱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20070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2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for telephonic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이동 전화기 및 전화기 핸드셋 또는 헤드셋과 같은 전기-음향 통신 유닛(10). 상기 유닛은 변환기 제1면(15)으로부터 사운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수신기 변환기(12)를 가지고 있고, 상기 사운드 신호들은 상기 유닛으로부터 하우징(11)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부(17)르 통해 출력된다. 상기 변환기(12)는 그 제1 면이 구조물과 떨어져 존재하는 유닛 구조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변환기는 하우징 벽이 아닌 다른 구조물을 포함하여 유닛 내의 임의의 요구되는 장소에 위치될 수 있게되고, 하우징내의 볼륨은 변화기로부터 사용자 귀로의 사운드 경로에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전화기는 매우 소형화될 수 있고 누설-내성을 가질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전기-음향 통신 유닛{AN ELECTRO-ACOUSTIC COMMUNICATIONS UNIT}
특히 이동 전화 분야에서, 무게 및 크기를 감소시키는 유닛에 관한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이는 마이크로폰 및 사운드 발생기 또는 수신기 변환기를 포함하는 전기 및 전기-음향 소자에 관한 설계자 및 제조자들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변환기 역시 이전보다 작은 치수로 오늘날 이용가능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선호되는 전기-음향 수신기 변환기는 가청범위 주파수를 갖는 사운드 형태로 음성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진동판(diaphram)을 구비한 전기적-동적 타입을 갖는다. 전통적으로, 변환기는 예를 들면 밀봉을 설정하는 고착성 또는 연화성 고무 장치에 의해 전화기 하우징벽의 내부에 장착된다. 하우징벽의 개구(apertures) 형태의 음향 접속들은 변환기에 의해 발생된 사운드를 사용자 귀로 전달하고 전화기가 사용자 귀에 부착될 때 요구되는 음향 임피던스 및 주파수 특성을 제공하도록 조심스럽게 설계된 형태를 갖는다. 전통적으로, 변환기는 음향 접속들의 바로 근방의 하우징벽 내부에 장착된다.
변환기의 진동판에 장착된 전기 전도성 와이어 코일은 상기 진동판이 코일전류에 응답하도록 하여준다. 이를 통해 진동판 양측면으로부터 사운드가 방출되고, 이를 통해 변환기는 다이폴로 고려될 수 있다. 선호되는 변환기들은 저 음향 임프던스 사운드 압력 발생기이고, 진동판의 양측면은 사용자 귀에 전달될 사운드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진동판의 양측면으로부터의 사운드 신호들 사이의 중요한 차이는 180도의 위상 시프트이다.
진동판이 움직이면, 진동판은 진통적으로 프론트측으로 언급되는 한측면으로부터 사용자 귀로 사운드를 방출하고, 변환기가 성공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사이즈의 공기 볼륨이 리어(rear)측으로 언급되는 반대측에 제공되는 것이 필요한데, 그렇지 않으면 이동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너무 작은 공기 볼륨이 진동판의 리어측에 제공되면, 민감도 및 이에 의한 변환기 출력이 저주파수로 감소될 것이다. 또한, 하우징의 어셈블리에서의 임의의 누설(leak)이 진동판 리어측에서의 작은 공기 볼륨과 결합하여 노치(notch) 형태의 불량한 상태를 갖는 주파수 특성을 야기시킬 것이다. 즉, 변환기의 진동판은 진동판 양측에서 어느정도의 동작 공기 볼륨을 가져야만 한다. 전통적으로 스피커 변환기는 하우징벽 내부에 장착되고, 진동판 프로트측은 하우징벽의 개구부(opening)를 통해 사용자 외부 귀의 공기 볼륨에 접속할 수 있게되고, 진동판 리어측은 하우징 내의 공기 볼륨 또는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주변 공기에 접속하게 된다.
이동 전화기 및 전화기 핸드셋들은 이어 시뮬레이터(ear simulator)를 사용하여 그들의 음향 품질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진다. 국제 전기통신 연합(ITU) 권고 ITU-T P.57 그리고 IEC 318 및 IEC 711과 같은 국제 표준들은 이어 시뮬레이터들을 정의하고, 이들 모두는 이용 상황에 기반하고, 사용자는 그 자신의 귀에 전화기 또는 핸드셋을 유지시킨다. 재생가능한 측정을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표준 및 권고들은 이어 시뮬레이터 및 그 음향 기능의 기계적 물리적 구조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가능한한 인간의 귀를 시뮬레이트하는 관점에서 제공하고, 전화기를 이어 시뮬레이터와 맞물리게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특히 이어 시뮬레이터에 대한 전화기의 정확한 위치 및 방향에서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이 설정된다.
이는 임의의 주어진 전화기에 대해 상기 표준들에 기반하여 표준화 또는 궈고된 테스트에서 전화기의 맞물림면(engagement face)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맞물림은 상기 표준 또는 권고에 따라 사용자 귀와의 맞물림에 해당한다. 다음에서, 이러한 면들은 상기 기술에 따라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 귀와의 맞물림면" 은 표준화된 이어 시뮬레이터와 통신 유닛의 맞물림과 동의어로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표준화된 이어 시뮬레이터는 Bruel&Kjær의 타입 4157,4185,4195 및 4128과 같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맞물림면은 일반적으로 직경 25mm를 갖는 원형 영역이고, 이어 시뮬레이터는 직경 25mm의 링-형태의 맞물림면을 갖는다. 이러한 이어 시뮬레이터의 링-형태의 맞물림면의 내부에, 인간 외부 귀의 볼륨(volume)에 상응하는 공기 볼륨이 존재한다. 이러한 볼륨은 이어 시뮬레이터의 마이크로푼에 대한 사운드 출입 개구부이고, 이를 통해 전화기로부터의 사운드가 등록될 수 있다.
이어 시뮬레이터 또는 인간 귀의 사운드 출입에서의 공기 볼륨의 사이즈는실질적으로 통신 유닛 수신기 변환기의 음향 로딩에 영향을 미친다. 주변으로의 임의의 누설은 이러한 볼륨에서의 상당한 증가를 야기시키고, 이는 음향 로딩에서의 상당한 변화를 가져온다. 음향 로딩에서의 변화들은 통신 유닛의 음향 특성에 정확하게 상응하지 않는 측정 결과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통신 유닛의 특성인 정확하고 재생가능한 테스트 측정을 달성하기 위해, 통신 유닛은 표준에 따라 링-형태의 이어 시뮬레이터 맞물림면과의 타이트한 고정 관계를 유지하여야 한다.
정상적인 사용에서, 개별 사용자 귀들과의 통신 유닛의 맞물림의 타이트한 정도에 있어서의 상당한 변동이 존재하게되고, 이는 주변으로의 다소의 누설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동들은 수신기 변환기의 음향 로딩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음향 로딩 임피던스에 대한 유닛의 민감도에 따라 통신 유닛의 음향 특성을 변화시킨다. 사용자는 이러한 변화들을 통신 유닛의 사운드 품질의 변동으로 인지하게된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누설-내성(leak-tolerant) 통신 유닛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이러한 유닛은 이어 시뮬레이터에서의 측정 결과 뿐만아니라 사용자에 대해서도 인지가능한 사운드 품질을 제공하고, 이들 모두는 가능한한 매우 큰 정도로 사용자 귀 및 이어 시뮬레이터와의 유닛의 맞물림에서의 누설에 독립적이다.
WO 98/24214 및 WO 00/21330 각각은 수화기(earpiece)의 누설-내성 구조를 사용하는 공지된 이동 전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도1은 이러한 알려진 전화기에서 스피커 변환기와 접속된 음향 임피던스의 간략화된 음향 등가 다이아그램을 제시한다. 스피커 변환기는 복소 음향 출력 임피던스(Z1)을 갖는 사운드 압력 발생기(P)로 제시된다. L1 및 R1은 사운드 출구 개구부를 통한 스피커 변환기의 "프론트측"으로부터 사용자 귀로의 경로에서의 음향 임피던스를 나타내고, 이는 로딩 음향 임피던스(Zear)에 의해 표현된다. L2 및 R2는 스피커 변확기의 "리어측"으로부터 사용자 귀로의 사운드 경로에서의 음향 임피던스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전화기는 누설-내성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L3 및 R3는 전화기 하우징 셀(shell)의 누설 음향 임피던스를 나타내고, C1은 전화기의 내부 공기 볼륨을 나타낸다.
도1에서, L1과 병렬배치된 C1은 스피커 변환기의 리어측에서 병렬 공진기를 구성한다. 이러한 병렬 공진기는 매우 높은 임피던스를 갖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다. 이러한 공진 주파수에서 고임피던스는 진동판을 다소 차단하고 움직임을 방지하여 주파수 응답에서의 바람직하지 못한 노치(notch)가 발생된다. 작은 내부 공기 볼륨은 큰 공기 볼륨보다 많은 심각한 노치를 야기시킨다. 이동 전화기는 가능한한 매우 작게 감소된 내부 공기 볼륨을 가지고 점점더 소형화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주파수 응답에서의 이러한 노치 문제가 점점더 심각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매우 작은 내부 공기 볼륨을 갖는 전화기들은 누설-내성 특성을 가질 수 없는데, 이는 누설-내성은 변환기가 변화기뒤에 어느정도의 공기 볼륨(일반적으로 수 cm3)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순수하게 음향적인 이유로는, 큰 내부 공기 볼륨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유닛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큰 내부 공기 볼륨에 대한 대안으로서, 음향 개구부들이 작은 내부 공기 볼륨으로부터 전화기 외부의 주위 공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변환기는 작은 내부 공기 볼륨을 경유하여 무한히 큰 공기 볼륨으로의 접속을 가질 수 있게되고, 누설-내성 기능이 달성될 수 있게된다. 이러한 작은 내부 볼륨을 갖는 구조는 이러한 음향 개구부들의 음향 임피던스 및 작은 내부 공기 볼륨의 음향 커패시턴스로 구성되는 음향 공진회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공진 회로는 상대적을 깊고 날카로운 노치를 갖는 전화기 주파수 응답을 야기시키게되고, 이는 개구부들의 배치(geometry) 및 내부 공기 볼륨에 의해 결정되고 불행하게도 종종 유용한 오디오 주파수 범위 중앙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및 전화기 핸드셋 또는 사용자 귀에 장착되는 헤드셋 및 헤드폰과 같은 전기-음향 통신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1은 공지된 전화기 핸드셋에서의 음향 임피던스의 간략화된 등가 다이아그램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단면도 및 그 성능을 측정하는 이어 시뮬레이터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3은 도2의 전화기의 음향 임피던스의 간략화된 등가 다이아그램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 단면도 및 그 성능을 측정하는 이어 시뮬레이터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5는 도3의 전화기의 음향 임피던스의 간략화된 등가 다이아그램을 보뎌주는 도이다.
본 발명을 통해, 음향 특성, 특히 수신기 변환기의 주파수 응답이 통신 유닛의 내부 공기 볼륨에 독립적 또는 적어도 덜 의존적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통신 유닛의 하우징 내부에 항상 존재하는 공기 볼륨이 변환기 진동판의 제1측면으로부터 사운드 출구를 통해 사용자 귀로 연결되는 제1 전송 경로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진동판의 반대측은 특별히 설계된 음향 임피던스에 의해 로딩되어 정상 및 모든 실제적인 사용 조건, 특히 이어 시뮬레이터를 통한 표준화된 테스트 조건외의 다른 조건들에서 제1 전송 경로에서의 음향 임피던스를 제어한다. 변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저주파수 부스트(boost)를 갖는 타입으로서, 저주파수에서 증가된 민감도를 가지며, 제1 전송 경로는 음향 접속을 통해 주변 공기에 노출된다. 이러한 음향 접속은 저주파수 부스트를 보상하고 특히 저주파수에서요구되는 주파수 응답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통해 통신 유닛은 상기에서 기술한대로 누설-내성적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동 전화기와 같은 통신 유닛 설계자는 전화기 하우징내의 변환기에 대한 장소를 선택함에 있어 자유가 주어진다. 전통적으로, 수신기 변환기를 위치시키는데 있어서 설계자의 자유는 사용자 귀와의 맞물림을 위해 하우징 벽의 내부측 및 사운드 출력 개구부의 근접 주변으로 제한되었다. 본 발명을 통해, 설계자는 자유롭게 임의의 편리한 장소에 변환기를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변환기는 사운드 출력 개구부로부터 보다 먼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되었다. 설계자는 이제 하우징 벽의 가장자리 또는 코너에 변환기를 위치시킬 수 있고, 변환기는 전화기의 다른 적합한 구조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음향적인 이유로 실제로 통신 유닛의 내부 공기 볼륨이 전혀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통신 유닛의 내부 공기 볼륨은 스피커 변환기로부터 사용자 귀로의 사운드 경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사운드 경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부 공기 볼륨은 음향 특성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작은 공기 볼륨이 큰 공기 볼륨에 비해 선호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은 사이즈가 요구되는 현대 이동 전화기에 대한 이상적인 해법을 제공한다.
도1에서, L3 및 R3는 하우징 셀들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의 불가피한 누설에 기인한 음향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하우징 셀들의 생산 및 어셈블리 내성은 제어되지 않고 가변하는 누설 또는 하우징 개방을 야기시키고, 이는 기존 전화기에서주파수 응답의 제어되지 않고 예측 불가능한 노치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제어되지 않는 누설의 영향은 본 발명에 의해 최소화된다.
도2 및 4에서, 이동 전화기(10,10a)는 각각 하우징의 폐쇄된 내부 및 외부를 형성하기 위해 공지된 방식으로 조립된 2개의 셀들을 포함하는 하우징(11)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구조들은 양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1)에서, 전화기를 동작시키는 전기 소자들(16)을 구비한 인쇄 회로 보드가 존재한다. 도2에서, 전기-음향 스피커 변환기(12)는 접착링(14)에 의해 하우징(11) 내부측에 고정된다. 변환기(12)는 진동판(13)을 구비한 전기-동적(electro-dynamic) 타입이고, 다른 타입들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 변환기(12)는 저주파수 부스트로 언급되는 상승된 저주파수 부분을 갖는 주파수 응답 곡선을 갖는다. 상기 진동판은 돔형태의 프로파일을 갖고 그 볼록면이 하우징 벽방향으로 직면하고 있다. 평면, 굴곡형 또는 다른 적합한 프로파일들과 같이 다른 프로파일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변환기(12)는 하우징벽과 떨어져 있는 제1면(15)을 가지고 있다. 변환기 제1면(15)에, 진동판(13)의 오목면에 대한 음향 접속이 존재한다. 이러한 음향 접속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하우징내에, 공기의 제1 볼륨(C1) 및 하우징 벽의 제1개구부(17)가 존재한다. 상기 개구부(17)는 사용자 귀 및 사용자 귀 대신에 이어 시뮬레이터(18)와 맞물리는 하우징 벽에 존재한다. 상기 개구부는 전화기의 중앙라인 또는 그 곳에서 약가 이결된 위치에서 존재할 수 있다. 진동판(13)의 오목면으로부터, 공기의 제1 볼륨(C1) 및 제1 개구부(17)을 경유하여 이어 시뮬레이터 또는 사용자 귀로 변환기의 제1면(15)을 통한 음향 접속 또는 경로가 존재한다. 제1 개구부(17)는 개구부의 공기 질량(mass)을 나타내는 음향 임피던스(L1) 및 공기 질량의 마찰(friction)을 나타내는 음향 임피던스(R1)를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개구부(17)는 낮은 음향 임피던스를 갖도록 설계되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작은 개구부들로 분할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그리드(grid) 또는 매쉬(mesh)에 의해 커버링될 수도 있다.
하우징 벽의 제2 개구부(19)를 통해, 변환기 제1면(15) 및 공기 볼륨(C1)을 통한 주변 공기로의 제2 음향 접속 또는 경로가 존재한다. 제2 개구부(19)는 제2개구부에서의 공기 질량 및 마찰을 각각 나타내는 음향 임피던스(L3 및 R3)를 갖는다. 제2 개구부(19)는 저주파수 응답에서 사용자 귀에 의한 음향 로딩의 변동에 덜 의존하도록 하기 위해 저주파수에서의 변환기 부스트를 등화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통해 전화기는 누설-내성을 가지게 된다. 2개의 하우징 셀들은 그 가장자리가 각각 일치되도록 설계되고 폐쇄 하우징을 형성하며 제2 개구부(19)는 예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치는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누설을 야기시킨다. 제2 개구부(19)는 그 음향 임피던스가 가능한 누설에서의 음향 임피던스보다 작도록 설계되어 누설의 영향은 무시된다.
제3 개구부(20)는 진동판(13)의 볼록부분으로부터 주변 공기로의 음향 접속 또는 경로를 설정한다. 제3 개구부는 제3개구부에서의 공기 질량 및 그 마찰을 나타내는 음향 임피던스(L5,R5)를 갖는다. 음향 임피던스(L5,R5)를 갖는 제3 개구부(20)는 변환기의 음향 성능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오디오 주파수에서 전기적 신호들이 변환기로 입력되면, 전동판이 진동하고, 이를 통해 음향 또는 사운드 신호가 진동판의 양측에서 발생된다. 진동판의 오목면으로부터 사운드 신호들은 변환기 제1면(15)을 통해 볼륨(C1)으로, 볼륨(C1)으로부터 제1 개구부(17)를 통해 사용자 귀로 또한 제2 개구부(19)를 통해 주변 공기로 전송된다. 진도판의 볼록면으로부터 사운드 신호들은 제3 개구부(20)를 통해 주변 공기로 전송된다.
도3에는 상기 구조에 대한 전기적 등가 다이아그램이 제시된다. 변환기는 음향 출력 임피던스(Z1)을 가지고 있고 음향 사운드 압력(P)를 발생시킨다. Zear는 사용자 귀 또는 이어 시뮬레이터의 음향 로드 임피던스이다. 이러한 등가 다이아그램에서 가능한 누설 임피던스는 제2 개구부(19)의 작은 임피던스(R3+L3)와 병렬적이다. 이는 제2 개구부(19)의 임피던스가 누설 임피던스에 비해 우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가능한 누설 및 그 변동은 전화기 음향 성능에 거의 양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이다. 여기서 변환기는 하우징 벽이 아니라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이동 전화기의 내부 벽과 같은 내부 구조물에 장착된다. 여기서, 음향 임피던스(R6,L6)를 갖는 제3 개구부(20a)는 전화기 내의 폐쇄 볼륨(C2)에 대한 음향 접속을 설정한다. 상기 볼륨(C2)는 무선 주파수 소자들을 에워쌀 수 있다. 도2와 같이, 상기 볼륨(C2) 및 상기 볼륨내로 인도되는 음향 임피던스(R6,L6)는 변환기의 음향 성능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도4에 제시된 대안적 실시예는 도2에 제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도5는 도4에 제시된 구조에 대한 전기적 등가 다이아그램을 보여준다.

Claims (5)

  1. 하우징의 내부 및 외부를 구별짓는 벽을 구비한 하우징(11);
    하우징(11) 내부의 전기-음향 변환기(12)로서, 상기 변환기(12)는 마주보는 제1 및 제2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15) 및 제2면 사이에 진동판(13)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진동판(13)은 전기적 입력 신호를 나타내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변환기(12)에 대한 전기적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할 수 있으며, 상기 변환기(12)는 상기 진동판(13)의 제1면 및 상기 변환기 제1면(15) 사이에 음향 접속 및 상기 진동판 제2면 및 상기 변환기의 제2면 사이에 음향 접속을 가지는 전기-음향 변환기(12);
    상기 진동판(13) 제1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벽의 변환기 제1면(15) 및 제1 개구부(17)를 통해 하우징 외부로 음향 접속을 설정하는 하우징 벽 내의 제1 개구부(17)를 포함하는 제1 음향 접속으로서, 이를 통해 진동판(13)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들이 유닛으로부터 하우징 벽의 제1 개구부(17)를 통해 출력되는 제1 음향 접속;
    유닛이 사용자 귀(18)에 유지될 때, 유닛으로부터의 음향 출력 신호가 사용자 귀에 입력될 수 있도록 사용자 귀와 통신 유닛을 맞물리게 하기 위한 하우징벽 외부에 있는 표면을 포함하는 전기-음향 통신 유닛(10,10a)으로서,
    상기 제1 음향 접속은 상기 진동판(13) 및 사용자 귀와 통신 유닛을 맞물리게 하는 상기 표면 사이의 유일한 음향 접속인데,
    상기 변환기(12)는 상기 유닛 구조에 고정된 제2면 및 상기 구조물에서 떨어져잇는 제1면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 통신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 접속은 하우징 내부의 공기 볼륨(C1)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기의 제1면(15)는 상기 볼륨(C1)에 직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 통신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의 제2 음향 개구부(19)을 포함하는 제2 음향 접속이 상기 진동판의 제1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의 음향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음향 개구부(19)는 사용자 귀(18)와 통신 유닛이 맞물리는 면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 통신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음향 접속(20a)이 진동판(13)의 제2면으로부터 하우징 내부 공기의 제2 볼륨(C2)으로의 음향 접속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 통신 유닛.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주징 벽 내의 제3 음향 개구부(20)를 포함하는 제3 음향 접속이 진동판의제2면으로부터 하우징 외부로의 음향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제3 음향 개구부(20)는 사용자 귀(18)와 통신 유닛을 맞물리게 하는 표면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 통신 유닛.
KR1020027005480A 1999-10-29 2000-10-27 전기-음향 통신 유닛 KR100629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199901548 1999-10-29
DK199901548A DK176255B1 (da) 1999-10-29 1999-10-29 Elektroakustisk kommunikationsenh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271A true KR20020070271A (ko) 2002-09-05
KR100629033B1 KR100629033B1 (ko) 2006-09-27

Family

ID=810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480A KR100629033B1 (ko) 1999-10-29 2000-10-27 전기-음향 통신 유닛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728386B1 (ko)
EP (1) EP1224835B1 (ko)
JP (1) JP2003513577A (ko)
KR (1) KR100629033B1 (ko)
CN (1) CN1255000C (ko)
AT (1) ATE320159T1 (ko)
AU (1) AU1130401A (ko)
CA (1) CA2386413A1 (ko)
DE (1) DE60026562T2 (ko)
DK (1) DK176255B1 (ko)
TW (1) TW453090B (ko)
WO (1) WO2001033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13732D0 (en) 2002-06-14 2002-07-24 Mitel Knowledge Corp Audio earpiece for wideband telephone handsets
TWI267315B (en) * 2002-07-01 2006-11-21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Communication terminal
US7123736B2 (en) * 2002-09-27 2006-10-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ouble-resonator micro-speaker assemblies and methods for tuning the same
JP3891094B2 (ja) 2002-10-25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機能付き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58366B2 (en) 2002-12-09 2006-06-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terminal providing sound pressure level dissipation through channeled porting of sound
US7505602B2 (en) 2003-02-28 2009-03-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device with improved acoustic porting
JP2007512756A (ja) * 2003-11-25 2007-05-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気音響変換器を有する電気音響機器
WO2005079045A1 (en) * 2004-02-12 2005-08-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DE602004011466T2 (de) * 2004-02-12 2009-01-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ktro-akustischer Übertrager
US7957541B2 (en) 2006-01-27 2011-06-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coustic compliance adjuster
US20080149417A1 (en) * 2006-12-21 2008-06-26 Apple Computer, Inc. Acoustic assembly for personal media device
US8126138B2 (en) * 2007-01-05 2012-02-28 Apple Inc. Integrated speaker assembly for personal media device
US7756553B2 (en) * 2007-01-05 2010-07-13 Apple Inc. Folded flex assembly for personal media device
US8306252B2 (en) 2007-01-05 2012-11-06 Apple Inc. Integrated microphone assembly for personal media device
DE102007027625A1 (de) * 2007-06-12 2008-12-24 Avaya Gmbh & Co. Kg Handapparat für eine Breitbandtelekommunikationsanlage
KR100899757B1 (ko) * 2007-09-28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셋
US8290546B2 (en) 2009-02-23 2012-10-16 Apple Inc. Audio jack with included microphone
CN102333259B (zh) * 2011-07-14 2016-08-0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耳机
US9066172B2 (en) 2012-09-28 2015-06-23 Apple Inc. Acoustic waveguide and computing devices using same
US9380369B2 (en) 2013-02-14 2016-06-28 Apple Inc. Microphone se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6810A1 (de) * 1995-07-12 1997-01-16 Deutsche Telephonwerk Kabel Anordnung für Höreinrichtungen in Kommunikations-Endgeräten
US6058315A (en) * 1996-03-13 2000-05-02 Motorola, Inc. Speaker assembly for a radiotelephone
JP3815513B2 (ja) * 1996-08-19 2006-08-30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ホン
TW356629B (en) * 1996-11-28 1999-04-21 Kirk Acoustics As Telephone handset, cordless telephone or mobile telephone
FI973892A (fi) * 1997-10-06 1999-04-07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järjestely kuulokkeen vuotosiedon parantamiseksi
US6002949A (en) * 1997-11-18 1999-12-1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Handset with a single transducer for handset and handsfree functionality
US6104808A (en) * 1998-08-31 2000-08-15 Motorola,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peakerphone operation
DK173789B1 (da) * 1998-10-05 2001-10-22 Kirk Acoustics As Elektroakustisk kommunikationsenhed
SE522176C2 (sv) * 1999-05-18 2004-01-20 Ericsson Telefon Ab L M Högtalaranordning med resonanskamm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53090B (en) 2001-09-01
CA2386413A1 (en) 2001-05-10
ATE320159T1 (de) 2006-03-15
DK176255B1 (da) 2007-05-07
DE60026562T2 (de) 2006-12-21
CN1255000C (zh) 2006-05-03
DK199901548A (da) 2001-04-30
EP1224835A1 (en) 2002-07-24
DE60026562D1 (de) 2006-05-04
WO2001033904A1 (en) 2001-05-10
EP1224835B1 (en) 2006-03-08
CN1387739A (zh) 2002-12-25
KR100629033B1 (ko) 2006-09-27
AU1130401A (en) 2001-05-14
JP2003513577A (ja) 2003-04-08
US6728386B1 (en) 2004-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033B1 (ko) 전기-음향 통신 유닛
KR100636473B1 (ko) 전자음향 통신 장치
US7957541B2 (en) Acoustic compliance adjuster
KR100329134B1 (ko) 스피커 조립체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US8989425B2 (en) Earphone
EP1806026B1 (en) Dual-diaphragm speaker assemblies with acoustic passageways and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same
US8300871B2 (en) Earphone for wideband communication
US638914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moving armature transducers
US7668320B2 (en) Sound reproduction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101092958B1 (ko) 이어셋
CN216356802U (zh) 一种移动终端设备
JP2008141694A (ja) スピーカ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US7139394B2 (en) Leak-tolerant handsfree telephone
CN212519077U (zh) 电子设备
JP3557361B2 (ja) 受話用電気音響変換装置
US20050123159A1 (en) Portable accoustic apparatus
JPH1188484A (ja) 音響装置と携帯用電話機及び移動通信機器
CN218634230U (zh) 发声装置以及电子设备
JPH06189388A (ja) イヤーセット型送受話器
CN116546400A (zh) 电子设备
MX2008009377A (es) Ajustador de elasticidad acustica
JPH01233943A (ja) ハンドセット形受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