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955A -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955A
KR20020069955A KR1020010010557A KR20010010557A KR20020069955A KR 20020069955 A KR20020069955 A KR 20020069955A KR 1020010010557 A KR1020010010557 A KR 1020010010557A KR 20010010557 A KR20010010557 A KR 20010010557A KR 20020069955 A KR20020069955 A KR 20020069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ens
mobile communication
imag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5330B1 (ko
Inventor
윤우선
장환기
김현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3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69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의 회전 및 그에 따른 이미지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의 회전에 따라 전면에서 후면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Image)이 거꾸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의 회전각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각이 카메라에 비친 상이 거꾸로 표시되기 시작하는 기준 회전각보다 컸을 때 상기 상을 정상적인 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IM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카메라를 회전하고, 상기 카메라의 회전에 따른 화상(Image)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시스템은 3세대 이동통신인 IMT-2000 시스템까지 발전하고 있다. 상기 IMT-2000은 서킷(Circuit) 서비스뿐만 아니라 고속의 패킷 데이터(Packet Data)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상기 고속의 패킷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므로 써 큰 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큰 용량의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IMT-2000 시스템에서는 화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화상통화 서비스를 위해서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카메라를 구비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단 중앙 또는 어느 일 측에 고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카메라 렌즈를 통해 얻는 화상 이미지는 자신의 핸드폰의 LCD 화면으로 표시되고 상대방의 핸드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을 찍는 대상(피사체)이 자기 자신이 될 수도 있고, 주변의 어떠한 사물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주변의 어떠한 사물을 찍을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피사체가 있는 방향으로 돌려야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피사체가 제대로 찍히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상기 카메라 렌즈를 전면에서 뒷면으로 상하 180°를 회전시키는 경우 화상 이미지가 거꾸로 표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켰을 경우 화상이 거꾸로 표시되는 것을 정상적으로 보이도록 보정하여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카메라를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시켰을 경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른 회전각에 따라 역 화상을 정상 화상으로 보정하여 표시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카메라를 수동으로 회전시켰을 경우 상기 카메라 축의 회전각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각에 따라 역 화상을 정상 화상으로 보정하여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전면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하여 후면으로 이동하는지를 검출하는 렌즈회전 검출부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인코더와, 상기 카메라 렌즈의 전면 위치 시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액정표시장치에 표시시키고, 후면 이동 검출 시 상기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우에서 좌로 아래에서 위로 액정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액정표시장치 드라이버와, 상기 렌즈회전 검출부로부터 상기 렌즈의 후면 이동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액정표시장치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전면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하여 후면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후면으로 이동하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우에서 좌로 아래에서 위로 액정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 참조된 부호 101은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1)는 스피커(105)와 마이크(106)와 키패드(103)와 액정표시장치(108)와 카메라 렌즈(104)와 상기 카메라를 온/오프하기 위한 키(107)와 촬영 재생키(108)로 구성된다. 도1에서는 상기 카메라 온/오프 키(107) 및 촬영 재생키(108)를 별도로 가지는 구성을 가졌으나 키패드의 키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 렌즈(104)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상단에 중앙 또는 어느 일 측에 내부 구성으로 화상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축을 통해 연결되며, 상하 180회전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1의 카메라 렌즈(104)의 축은 모터(212)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104)로부터 출력되는 광원을 입력받기 위해 상기 축 내부에는 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라인은 축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 내부로 들어와 광원 처리부(202)와 연결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104)로부터 출력된 광원을 입력받은 광원 처리부(202)는 CCD 또는 CMOS 센서 및 디지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성되며, 상기 CCD 또는 CMOS 센서에 의해 상기 광원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상기 DSP에서 NTSC 또는 PAL 방식에 의해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변환된 영상신호는 Y, UV 신호와 수평, 수직동기 신호로 구성된다. 인코더(211)는 상기 광원 처리부(20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컴포지트(Composite)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 드라이브(204)로 출력한다. 사기 표시 드라이브(204)는 상기 컴포지트 신호를 입력받아 RGB 신호로 변환하여 액정표시장치(205)에 주사한다. 마이콤(203)은 상기한 카메라의 각 부를 제어하고, 영상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를 제공한다. 압축 영상 처리부(207)는 상기 광원 처리부(20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JPEG 또는 MPEG 형태로 압축하여 플레쉬 메모리(205)에 저장하고 상기 플레쉬 메모리(205)에 저장되어 있는 JPEG 또는 MPEG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상기 인코더(211)와 표시 드라이브(204)를 통해 액정표시장치(206)에 표시한다. 키입력부(206)는 상기 도1에서 키패드(103) 및 키들(107, 108)을 포함하는 모든 키들의 입력에 대한 키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모뎀(209)은 무선통신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모뎀(209)은 상기 키입력부(215)의 카메라 렌즈 회전키가 입력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212)로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모터(212)는 상기 모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104)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모뎀(209)은 상기 카메라 렌즈(104) 촬상 방향이 전면으로 향해 있는지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방향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104)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달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104)가 전면을 향하여, 전면의 피사체를 촬상한 화상이미지를 상기 액정표시장치(206)에 표시할 때에는 상기 액정표시장치(206)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좌에서 우로, 상에서 하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그러나 카레라 렌즈(104)가 후면을 향하고 있는 경우 우에서 좌로 하에서 상으로 좔상한 화상 이미지를 액정표시장치(206)에 디스플레이 한다(이하 "역상 디스플레이 모드"라 함).
이러한 상기 모뎀(209)의 제어동작을 이하의 도4를 참조하여 상세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이미지 표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초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카메라 렌즈(104)의 초기 위치값(Default) 0을 갖는다. 상기 초기 위치값 0은 카메라 렌즈(104)가 정면을 향하고 있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 초기 카메라 렌즈(104)의 위치에서 모뎀(209)은 403단계에서키입력부(215)를 통해 상기 카메라 회전 키 또는 키들의 조합에 따른 카메라 회전 모드가 설정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03단계에서 카메라 회전 모드가 설정되면 모뎀(209)은 405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렌즈(104) 회전 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회전키가 입력되면 모뎀(209)은 407단계로 진행하여 모터 구동 및 내부에 존재하는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카운트한다. 상기 407단계 후에 모뎀(209)은 409단계로 진행하여 회전키의 눌림이 해제되는지를 검사하고, 눌림이 해제되지 않았으면 상기 407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그러나 눌림이 해제되면 모뎀(209)은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모터의 구동시간에 따른 카메라 렌즈(104)의 회전각을 계산하고 413단계로 진행하여 계산된 회전각과 이전 회전각을 가산하여 총 회전각을 계산한다. 단, 초기에는 상기 초기값 0이 가산되므로 계산된 회전각이 총 회전각이 된다. 상기 413단계에서 총 회전각이 계산되면 모뎀(209)은 4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총 회전각이 기준 회전각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상기 기준 회전각은 카메라 렌즈(104)가 초기 위치에서 대략 90°에서 180°까지의 회전 사이에서 화상이 거꾸로 표시되므로 상기 90°와 180°사이의 적정한 값이 될 수 있다.
상기 415단계에서 상기 총 회전각이 상기 기준 회전각보다 작으면 417단계로 진행하여 계산된 회전각을 플레쉬 메모리(208)에 저장하고 419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화상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403단계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반복 수행 중에 상기 415단계에서 총 회전각이 상기 기준 회전각을 초과하는 경우 모뎀(209)은 421단계로 진행하여 역상 디스플레이 모드로 화상을 표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도2와 동일한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모터의 회전에 따른 카메라 렌즈(104)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렌즈 회전 검출부(301)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104)의 위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검출부(301)는 상기 카메라 렌즈(104)가 회전하는 각도를 소정 각으로 분할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104)가 상기 분할된 구간으로 위치할 때마다 서로 다른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180°라 가정하면 분할 각을 20°로 하면, 9개의 구간이 생기면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구간들 각각에 위치할 때마다 상기 렌즈 회전 검출부(301)는 서로 다른 회전 데이터를 모뎀(209)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모뎀(209)은 상기 렌즈 회전 검출부(301)로부터 출력된 위치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 렌즈(104)가 기준 각 이상 회전한 경우 화상 이미지를 역상 디스플레이 모드로 표시한다.
이하 상기 렌즈 회전 검출부(301)로부터 입력되는 카메라 위치 데이터에 따라 화상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동으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모뎀(209)은 상기 도4의 401단계와 동일하게 501단계에서 카메라의 초기 위치 값 0을 가지고 있다. 상기 501단계 후에 모뎀(209)은 503단계로 진행하여카메라 회전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즉, 상기 카메라 회전 검출부(301)로부터 카메라 렌즈(104) 회전 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이다. 상기 503단계에서 회전 데이터가 입력되면 모뎀(209)은 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회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104)의 위치를 파악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104)의 위치가 파악되면 모뎀(209)은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104)의 위치가 후면을 향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은 상기 예에서 9개의 구간중 90° 이상인 구간, 즉 5번째 구간(100°) 이후의 구간에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상기 5번째 구간 이내에 상기 카메라 렌즈(104)가 놓여 있다면 모뎀(209)은 513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고, 5번째 구간 이후의 구간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역상 디스플레이 모드로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서는 카메라 렌즈(104)의 위치를 자동 검출하여 역상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화상 표시를 수행하였으나 역상 선택 및 표시를 위한 키 및 메뉴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키 및 메뉴를 선택하여 역상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역상 디스플레이 모드 하에서 입력되는 화상을 무조건적으로 180회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는 카메라를 180°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역상이 아닌 정상적인 화상으로 볼 수 있는이점이 있다.

Claims (4)

  1.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전면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하여 후면으로 이동하는지를 검출하는 렌즈회전 검출부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인코더와,
    상기 카메라 렌즈의 전면 위치 시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액정표시장치에 표시시키고, 후면 이동 검출 시 상기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우에서 좌로 아래에서 위로 액정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액정표시장치 드라이버와,
    상기 렌즈회전 검출부로부터 상기 렌즈의 후면 이동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액정표시장치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장치.
  2.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전면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하여 후면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후면으로 이동하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우에서 좌로 아래에서 위로 액정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렌즈의 후면 이동 판단은 상기 카메라 렌즈가 전면을 디폴트 0으로부터 적어도 100° 이상 회전할 경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입력수단에 의해 역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역상 선택 신호 입력 시 카메라 렌즈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우에서 좌로 아래에서 위로 액정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10557A 2001-02-28 2001-02-28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395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57A KR100395330B1 (ko) 2001-02-28 2001-02-28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57A KR100395330B1 (ko) 2001-02-28 2001-02-28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955A true KR20020069955A (ko) 2002-09-05
KR100395330B1 KR100395330B1 (ko) 2003-08-25

Family

ID=2769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557A KR100395330B1 (ko) 2001-02-28 2001-02-28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33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730A (ko) * 2001-07-14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휴대폰
KR20040050414A (ko) * 2002-12-10 200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451207B1 (ko) * 2002-10-04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영상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69856B1 (ko) * 2002-11-30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가진 이동단말기에서 역상 영상신호를 정상 영상신호로 전환하는 장치
KR100487616B1 (ko) * 2002-11-29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화면 영상 반전 스위치장치
KR100619811B1 (ko) * 2003-09-06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의 화상자동반전장치
KR100789465B1 (ko) * 2003-10-22 2008-01-02 노키아 코포레이션 다방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니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965390B1 (ko) * 2003-03-07 2010-06-22 주식회사 팬택 한 핸드셋 내에서 두 개의 이미지 센서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726A (ko) * 2002-01-23 2003-07-31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카메라 뷰파인더의 자동반전기능을 갖는 휴대폰
KR100557094B1 (ko) * 2002-04-25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역상조정 방법
KR100486520B1 (ko) * 2002-05-10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회전장치
KR100465519B1 (ko) * 2002-07-03 2005-0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카메라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269B1 (ko) * 2000-12-20 200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영상 단말기의 역상 반전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730A (ko) * 2001-07-14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휴대폰
KR100451207B1 (ko) * 2002-10-04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영상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87616B1 (ko) * 2002-11-29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화면 영상 반전 스위치장치
KR100469856B1 (ko) * 2002-11-30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가진 이동단말기에서 역상 영상신호를 정상 영상신호로 전환하는 장치
KR20040050414A (ko) * 2002-12-10 200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965390B1 (ko) * 2003-03-07 2010-06-22 주식회사 팬택 한 핸드셋 내에서 두 개의 이미지 센서 제어 방법
KR100619811B1 (ko) * 2003-09-06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의 화상자동반전장치
KR100789465B1 (ko) * 2003-10-22 2008-01-02 노키아 코포레이션 다방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니는 이동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5330B1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18B1 (ko) 온스크린 표시를 제어하는 화상 표시장치, 화상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US744340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KR100703332B1 (ko)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EP170589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function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KR100395330B1 (ko)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 표시 장치 및 방법
US70615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photographing angle of camera in portable terminal
KR100873437B1 (ko) Pip화면을 이용한 듀얼모드 신호처리장치
JP5348687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502646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captured images in a mobile terminal with a camera
US200401984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s in a mobile terminal
JP4338500B2 (ja) 撮像装置
KR20030083412A (ko) 주변 조도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2300447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20010056621A (ko) 카메라폰에서 반투과형 엘씨디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그방법
KR100641176B1 (ko) 휴대단말기에서 삼차원 영상데이터 표시방법
KR100403369B1 (ko)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
KR100557184B1 (ko) 카메라와 두개의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KR20030083318A (ko) 영상 단말기
JP3850120B2 (ja) デジタル電子カメラ
KR100606067B1 (ko)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8010898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
JP2000032312A (ja) ビデオカメラ
KR100557094B1 (ko) 영상표시장치의 역상조정 방법
KR20010063189A (ko) 카메라 폰에서의 촬영화상 전송방법
KR20020096599A (ko) 거울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