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369B1 -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369B1
KR100403369B1 KR10-2001-0002368A KR20010002368A KR100403369B1 KR 100403369 B1 KR100403369 B1 KR 100403369B1 KR 20010002368 A KR20010002368 A KR 20010002368A KR 100403369 B1 KR100403369 B1 KR 10040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enter
subject
laser 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346A (ko
Inventor
천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369B1/ko
Publication of KR2002006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7/14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camera and display on the same optical axis, e.g. optically multiplexing the camera and display for eye to eye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촬영 시 카메라의 방향을 지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의 사이즈에 맞추어 자동으로 화각을 조절하며, 특히 이동무선단말기의 화면을 보지 않고도 피사체의 중심을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DIRECTION OF CAMERA VIEWER POINT IN MOBI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무선단말기는 CCD(Charge Coupled Device)에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된 영상데이터는 PC(Personal Computer)로 전송되어져 메모리에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모니터상에 표시되거나 무선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무선단말기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는 사용자는 직접 이동무선단말기를 들고 피사체에 다가가거나 하여 적절히 화면에 촬영되는 문서가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촬영하여야 한다.
그런데 촬영 상황에 따라 촬영되는 피사체를 LCD(Liquid Crystal Display)화면을 보면서 피사체의 중심이 화면의 중심에 맞추어 초점정도를 조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무선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 화면을 통하지 아니하고도 화면의 중심에 촬영하고자하는 피사체의 중심을 용이하게 맞추어 주는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는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이동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는, 상기 이동무선단말기의 일단에 위치하여 카메라부를 구동하는 카메라부 구동키와, 상기 카메라부 구동키가 입력되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중심에 레이저 불빛을 발사하기 위한 레이저 발광장치와, 상기 레이저 발광장치를 상기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면 상기 레이저 발광장치의 방향에 대응하여 카메라부의 화상입력부의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지시 장치구동부와, 상기 액정촬상소자로부터 상기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영상에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감지되면 상기 액정촬상소자의 중심에 상기 레이저 포인터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방향지시 장치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적어도 구비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부 구동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입력이 있으면 레이저 발광장치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레이저 발광장치의 포인터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터가 상기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하면 상기 피사체가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 셔터작동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레이저 발광장치의 구동을 중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방향지시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가지는 카메라 장착 이동무선단말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 플립형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 플립형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 폴더형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 폴더형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 폴더형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과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기능부 등의 구성과 동작 예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가지는 카메라 장착 이동무선단말기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동화상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음성 통화 및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을 위한 이동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동화상 서비스 구현을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동화상 모드 요구가 있는 경우 코덱부(Codec)(26)를 제어하여 외부망으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한 후 디코딩(decoding)시키며, 화상입력부(50)로부터 입력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는 인코딩(encoding)한 후, JPEG/M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Motion Picture Experts Group)의 소정 포맷(format)으로 압축하여 외부망 또는 외부 PC(Personal Computer)(미 도시함)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12)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있으며, 제어부(10)에 의해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RF(Radio Frequency)부(14)는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망으로부터의 음성 및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 뿐만 아니라 외부망을 통해 무선 수신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무선통신대역주파수에서 1차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다시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는 중간주파수 처리와, 이를 다시 제어부(10)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대역의 신호로 처리한다. 또한 단말기에 구비되는 화상입력부(50)로부터 입력되어 코덱부(26)에서 인코딩, 압축 처리된 각종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무선통신대역 주파수신호로 변조하여 외부망으로 무선 송신한다.
오디오부(16)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RF부(14)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키입력부(20)는 다수의 숫자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에 카메라부 구동에 따라 레이저 발광장치를 구동하는 카메라부 구동에 대응된 키를 포함한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표시부(18)는 일반 통화모드시 단말기의 각종 정보를 그레이 레벨(Gray Level)로 표시하는 흑백 LCD(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포함하고, 키입력부(20)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10)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표시부(18)는 카메라부 구동 시 화상입력부(50)나 외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 그리고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 등을 통해 외부 PC(미 도시함)로부터 입력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를 컬러로 디스플레이시킨다.
화상입력부(50)는 이동무선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기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부 구동 시 사용자의 모습이나 발신 단말기 사용자측의 각종 정지화상 동화상 모습을 동화상 데이터로 입력하여 코덱부(26)로 인가시킨다. 동작을 살펴보면, 피사체의 이미지는 렌즈부(34)를 통하여 CMOS센서(32)로 제공된다. 그러면 CMOS센서(32)는 렌즈부(34)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촬상 화상신호)로 변환출력하며, 카메라가 가지는 노출, 감마, 이득조정, 화이트 밸런스, 컬러 매트릭스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 ADC(Analog-to-Digital Converter)(30)는 COMS센서(32)에서 이득 조절된 1필드(field)분의 촬상 화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DSP(Digital Signal Processor)(28)로 출력한다. DSP(28)는 디지털 변환된 1필드분의 촬영 화상신호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또는 PAL(Phase Alternation by Line)방식의 화상신호(Y,C)로 처리한다.
코덱부(26)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화상입력부(5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 화상신호(Y,C)를 JPEG 또는 MPEG포맷으로 변환하고 소정 비율로 압축하며, 외부망으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의 압축화상을 압축해제하고 디코딩하여 표시부(18)로 인가시킨다. 상기 외부망으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라 함은 통화중인 상대방 단말기로부터의 송신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이동교환국(미 도시함)에 연결된 웹서버(Web server)들 또는 다수의 영상 콘텐츠 서버(Image Contents Server)들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VOD(Video On Demand)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코덱부(26)에 연결된 메모리부(12)는 코덱부(26)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통상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와, 화상입력부(50)내 렌즈부(34)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데이터 및 외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화상데이터중 정지화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카메라 장착 이동무선단말기는 카메라 모드 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키입력부(20)에 구비된 기능키들을 조작하는 것 등에 의하여 제어부(10)가 이를 감지하여 방향지시 장치구동부(22)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동작을 하는데,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20)에는 카메라 모드로 전환 시 레이저 발광장치를 온/오프하기 위한 카메라부 구동키가 구비되며, 제어부(10)에는 이러한 상기 카메라부 구동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자동으로 레이저 발광장치를 조작하게 된다. 자동으로 레이저 발광장치를 조작하는 것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선택사양으로 그 설정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 플립형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립형 이동무선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부의 카메라 렌즈(200)의 상단에 레이저 발광장치(202)를 설치한다. 피사체가 카메라 렌즈의 뷰어 영역(viewer area)의 위치에 오면, 도 1의 화상입력부(50)를 통하여 피사체가 카메라 렌즈의 뷰어 영역에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10)에 인가된다. 그러면 제어부(10)는 방향지시 장치구동부(22)를 제어하여 레이저 발광장치(24)를 상기 피사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레이저 발광장치(24)의 포인터를 인식하고 이를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이동무선단말기를 조정한다.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레이저 발광장치(24)의 포인터가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면 방향지시 장치구동부(22)는 제어부(10)로 포인터가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함을 알려주는 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는 방향지시 장치구동부(22)를 통하여 화상입력부(50)를 조정하여 이동무선단말기의 LCD화면에 피사체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피사체의 중심이 이동무선단말기의 LCD화면의 중심에 일치하게 되면 표시부(18)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중심이 일치하였고, 촬영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부가적인 알람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 플립형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이동무선단말기의 상단 중앙에 카메라 렌즈(300)가 위치하며, 레이저 발광장치(302)가 상기 카메라 렌즈(300)의 상단 중앙(또는 카메라 렌즈 상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 폴더형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이동무선단말기의 표시부(18)의 일측면에 카메라 렌즈(300)가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레이저 발광장치(302)가 상기 카메라 렌즈(300) 전면에 위치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 폴더형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폴더의 상단 중앙에카메라 렌즈(300)가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 레이저 발광장치(302)가 상기 카메라 렌즈(300) 전면의 상단에 위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 폴더형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과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이다.
우선 도 1의 제어부(10)는 400단계에서 키입력부(20)로부터 카메라부 구동에 대응된 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400단계의 판단으로부터 상기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는 404단계로 진행하여 레이저 발광장치(24)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406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0)는 레이저 발광장치의 포인터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하는지를 검사한다. 404단계이전에 사용자는 레이저 발광장치(24)로부터의 포인터를 피사체로부터 확인하고 이를 피사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이저 발광장치(24)의 포인터를 촬영하고자하는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 경우에 제어부(10)는 406단계의 판단으로부터 408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408단계에서 촬영하고자하는 피사체가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함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406단계의 판단으로부터 제어부(10)는 도 1의 방향지시 장치구동부(22)를 제어하여 도 1의 화상입력부(50)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408단계에서 피사체가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408단계의 출력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촬영을 수행하면 제어부(10)는 41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 셔터 작동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키 입력이 있으면 412단계로 진행하여 레이저 발광장치(24)의 구동을 중지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과 동작으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의 표시부의 중앙에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하는 카메라 방향지시 기능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이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무선단말기에 적용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 외에도 디지털 캠코더, 화상회의용 카메라 등 디지털 신호처리가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본 발명은 카메라를 적어도 구비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 주변에 위치한 레이저 발광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동영상 송신 및 화상통화 시 전송되는 화면의 형태를 이동무선단말기를 이동시켜 가면서 화면에 나타나는 형상을 조정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피사체를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카메라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무선단말기의 일단에 위치하여 카메라부를 구동하는 카메라부 구동키와,
    상기 카메라부 구동키가 입력되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중심에 레이저 불빛을 발사하기 위한 레이저 발광장치와,
    상기 레이저 발광장치를 상기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면 상기 레이저 발광장치의 방향에 대응하여 카메라부의 화상입력부의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지시 장치구동부와,
    상기 액정촬상소자로부터 상기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영상에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감지되면 상기 액정촬상소자의 중심에 상기 레이저 포인터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방향지시 장치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촬상소자의 중심에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촬영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표시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3. 카메라를 적어도 구비하며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를 가지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방향지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부 구동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입력이 있으면 레이저 발광장치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레이저 발광장치의 포인터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터가 상기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하면 상기 피사체가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 셔터작동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레이저 발광장치의 구동을 중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방향지시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방향지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가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과정 이전에 상기 레이저 발광장치의 포인터가 상기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중심에 위치하면방향지시 장치구동부를 제어하여 피사체가 표시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중심과 레이저 발광장치의 포인터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카메라 방향지시 방법.
KR10-2001-0002368A 2001-01-16 2001-01-16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 KR100403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368A KR100403369B1 (ko) 2001-01-16 2001-01-16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368A KR100403369B1 (ko) 2001-01-16 2001-01-16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346A KR20020061346A (ko) 2002-07-24
KR100403369B1 true KR100403369B1 (ko) 2003-10-30

Family

ID=2769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368A KR100403369B1 (ko) 2001-01-16 2001-01-16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74A1 (ko) * 2018-06-01 2019-12-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363B1 (ko) * 2001-11-06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이저빔 출력 기능을 갖는 화상통신 단말기
KR101011803B1 (ko) * 2009-05-14 2011-02-07 경민선 촬영 영역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카메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978A (ko) * 1995-12-20 1997-07-31 배순훈 레이저 광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 조정장치
KR19990002722A (ko) * 1997-06-23 1999-01-15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레이저 빔 지시장치 및 방법
JP2000270064A (ja) * 1999-03-16 2000-09-29 Canon Inc 電話機能付き携帯情報端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978A (ko) * 1995-12-20 1997-07-31 배순훈 레이저 광을 이용한 카메라 촛점 조정장치
KR19990002722A (ko) * 1997-06-23 1999-01-15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레이저 빔 지시장치 및 방법
JP2000270064A (ja) * 1999-03-16 2000-09-29 Canon Inc 電話機能付き携帯情報端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74A1 (ko) * 2018-06-01 2019-12-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1889185B2 (en) 2018-06-01 2024-01-30 Hanwha Techwin Co., Ltd. Monitor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346A (ko)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885B1 (ko) 휴대용 동화상 폰을 이용한 원격감시 장치
JP2000278659A (ja) 携帯用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CN102404506A (zh) 摄影设备
KR100819243B1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KR100403369B1 (ko)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
EP1558031A1 (en) Electronic camera
US7705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wireless terminal
KR100459422B1 (ko) 카메라 결합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질 보정 방법
JP2004180077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0161969A1 (ja) 画像処理装置、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21028916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678059B1 (ko) 거울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100504821B1 (ko) 카메라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의 몰래 촬영 방지 방법
US20080012951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wirelessly transmitting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7174123B2 (ja) 画像処理装置、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276874B1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63189A (ko) 카메라 폰에서의 촬영화상 전송방법
KR19990012591A (ko) 컴퓨터로 제어 가능한 디지탈 스틸 카메라
KR20060068393A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촬영기능 제어방법
KR200600536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은 사진들을 멀티-뷰 프레임으로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33844B1 (ko) 영상 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방법
JP2001160958A (ja) 携帯テレビ電話装置における撮影画像データ補正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93587B1 (ko) 고화질 영상 및 동영상 처리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4745924B2 (ja) クレードル装置及び撮像装置制御方法
JP2000032312A (ja) ビデ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