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610A - 휴대 전화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610A
KR20020069610A KR1020010009875A KR20010009875A KR20020069610A KR 20020069610 A KR20020069610 A KR 20020069610A KR 1020010009875 A KR1020010009875 A KR 1020010009875A KR 20010009875 A KR20010009875 A KR 20010009875A KR 20020069610 A KR20020069610 A KR 20020069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asing
holding device
hinge
antenna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모또야스시
도비따다까시
찌기사끼쭈우지
이시까와다까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01000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9610A/ko
Publication of KR2002006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6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상측의 케이싱이 힌지에 의해 하측의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절첩형 휴대 전화에 있어서, 하측의 케이싱에 안테나 부착을 위해서 두께를 늘리지 않고, 안테나를 하측의 케이싱에 부착할 수 있는 휴대 전화를 제공한다.
하측의 케이싱(2)의 가로로 안테나 보유 장치(213)가 나란히 설치되고 또한 힌지(91)의 축방향의 연장선과 직교한 방향에서 안테나(3)를 안테나 보유 장치(213)에 삽입하는 것으로 안테나(3)가 안테나 보유 장치(213)에 유지되도록 안테나(3) 및 안테나 보유 장치(21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전화{PORTABLE TELEPHONE APPARATUS}
본 발명은, 제1 케이싱이 힌지에 의해 제2 케이싱에 대해 회동 가능한 절첩형 휴대 전화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를 중심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는, 전자 회로 기술의 진보에 의해, 소형화, 고기능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은, 인터넷용 단말 기능을 갖추고, 화면의 큰 표시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 요망되어지고 있다. 이 점에서, 절첩 상태에서의 두께는 약간 커지지만, 절첩형 휴대 전화기가 주목받고 있다.
절첩형 휴대 전화기에서는, 힌지부에서 분할된 2개의 케이싱 사이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 방법, 사용하기 쉬운 안테나의 위치, 박형화 등이 과제라고 생각된다.
그 중에서,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 방법에 관해서는, 일본 특허 제 2821333 호 공보에, 2개의 케이싱 내의 회로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래트 케이블(FPC)을 힌지부에서 나선형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안테나의 위치에 관해서는, 상기 일본 특허 제 2821333 호 공보에, 2개의 케이싱 중, 표시부를 구비한 상측의 케이싱에, 안테나를 배치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 특허 제 2582531 호 공보에는, 2개의 케이싱중, 키 스위치를 구비한 하측의 케이싱에 안테나를 배치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휴대 전화에 이용되고 있는 안테나는, 보통, 휩 안테나의 선단에 헬리컬 안테나를 직선형으로 결합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 안테나는 안테나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 공간의 반경 방향이 가장 감도가 높고, 각각의 안테나의 선단으로부터 회로 기판에 접속된 저전위 부분까지가 안테나로서의 유효한 부분이다. 안테나의 접지되는 부분은, 회로 기판의 증폭기 입력 단자와 저저항으로 접속된 안테나 유지용 파이프형 부품에 삽입되고 위치가 유지된다.
이 유효 부분의 길이는 사용하는 전파의 파장에 대해 소정의 비율인 것이 요구된다. 절첩형의 경우, 케이싱의 길이 방향의 수치가 짧아지기 때문에 안테나의 길이를 어떻게 확보하는 가가 문제로 된다.
여기서, 절첩형 휴대 전화에 대한 안테나의 설치에 관해서 비교해 본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는 수화기를 귀에 대었을 때에, 하측의 케이싱에 있는 송화기가 입에 가까운 위치로 오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측의 케이싱과 하측의 케이싱을 이루는 각도는 160도 정도로 설정된다. 그렇게하면, 안테나의 휴대 전화의 부착은, 도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하측의 케이싱에 부착하는 경우의 쪽이,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케이싱에 부착하는 경우 보다도, 안테나 특히 헬리컬 안테나의 선단에서 머리 혹은 얼굴까지의 거리를 크게할 수 있다.(da>db). 이로써, 사용자가 모자를 썼거나, 두부보다 큰 가발을 쓰거나, 두부보다 큰 머리모양을 하고 있어도, 안테나가 거추장스럽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가 표시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상측의 케이싱에 부착되면, 고주파 증폭 회로는 안테나에 가까운 장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같은 상측의 케이싱에 배치된다. 한편, 베이스 밴드 처리 회로는 키 스위치와 전지가 배치되어 있는 하측의 케이싱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그 결과, 꽤 높은 주파수 신호가 힌지부의 나선형 플래트 케이블을 통하게 되고, 고주파 신호의 나선 부분에서의 로스를 제어하기 위한 배려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해, 안테나를 하측의 케이싱에 배치하면, 고주파 증폭 회로도 하측의 케이싱에 배치되기 때문에, 주요한 회로가 하측의 케이싱에 들어가, 고주파 신호의 로스 대책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하측의 케이싱은 사용이 편리한 면에서 폭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는 요인은 없기 때문에, 가로방향의 치수는 상측의 케이싱에 안테나를 붙이는 경우 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케이싱 중, 키 스위치를 구비한 하측의 케이싱에 안테나를 배치하는 휴대 전화에 있어서는, 안테나의 부착 방향과 힌지의 삽입 방향이 부딪쳐 버리면 힌지의 삽입 또는 안테나 삽입에 의한 부착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일본 특허 제 2582531 호 공보에 있어서는, 하측의 케이싱의 상하방향으로 두께를 갖게 하고, 그 두께의 상측에 힌지부를 배치하고, 그 두께의 하측에 안테나를 배치하는 등의 고안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하측의 케이싱에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가방이나 백에 넣거나 꺼내는 것이 불편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의 케이싱이 힌지에 의해 하측의 케이싱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절첩형 휴대 전화에 있어서, 박형이고 조립이 용이한 휴대 전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제1 케이싱과, 이 제1 케이싱에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접속된 제2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의 가로로 병설된 안테나 보유 장치와, 힌지의 회동축 방향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안테나 보유 장치에 유지된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전화에 있어서, 힌지는 제2 케이싱의 제1 케이싱에 면하는 측의 단부에서 안테나의 이동 방향에 따라 돌출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회동의 축으로 되는 핀을 구비하고, 안테나 보유 장치는 제2 케이싱의 제1 케이싱에 면하는 측의 단부까지 연장하고, 안테나 보유 장치의 단부에는 안테나 유지 부재가 핀을 그 축방향으로 투영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안테나가 안테나 보유부와 안테나 유지 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테나는, 휩 안테나에 결합된 헬리컬 안테나와, 상기 헬리컬 안테나를 고정하는 곳의 전기적으로 비전도 안테나 유지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안테나가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안테나 유지 부재가 상기 힌지의 가로로 위치하여 상기 안테나가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는 제1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는, 휩 안테나에 결합된 헬리컬 안테나와, 전기 헬리컬 안테나를 고정하는 곳의 전기적으로 비전도 안테나 유지 부재와, 상기 안테나 유지 부재에 고정된 제2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휩 안테나를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에 삽입하고 상기 제2 파이프를 상기 제1 파이프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안테나 유지 부재가 상기 힌지의 가로로 위치하여 상기 안테나가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의 대향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끼리를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안테나가 상기 안테나 유지 장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대한 휴대 전화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대한 휴대 전화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대한 휴대 전화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대한 휴대 전화의 힌지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대한 휴대 전화의 하측 케이싱의 리어 케이스의 전방 케이스를 벗어난 상태의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대한 휴대 전화의 리어 케이스의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대한 휴대 전화의 하측 케이싱의 전방 케이스측의 정면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대한 휴대 전화의 안테나 및 안테나 보유 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9a 내지 도9d는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대한 휴대 전화의 안테나 및 안테나 장치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9a는 안테나의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9b는 안테나 유지 케이스와 안테나 보유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9c는 안테나 유지 케이스를 안테나 보유 장치에 장착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도9d는 안테나를 안테나 보유 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대한 휴대 전화의 안테나(3)를 인출한 상태의 정면도.
도11a 및 도11b는 절첩형 휴대 전화에 대한 안테나 장착 위치에 의한 안테나와 두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11a는 하측의 케이싱에 안테나가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11b는 상측의 케이싱에 안테나가 있는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측 케이싱
2 : 하측 케이싱
3 : 안테나
8 : 힌지부
30 : 안테나 유지 케이스
31 : 헬리컬 안테나
32 : 헬리컬 접촉부
33 : 휩 안테나
34 : 휩 접촉부
35 : 멈춤 나사
36 : 체결 파이프
37 : 안테나 접촉 파이프
38 : 보호 파이프
91 : 힌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10에 의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개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에 있어서 전방으로 본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본 힌지부의 조립전의 분해도이다. 도5는 도3에 있어서 하측의 케이싱 전방 케이스를 벗겨 리어 케이스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6은 도5에 있어서 전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7은 도2의 하측 케이싱의 전방 케이스측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도2의 안테나 및 하측 케이싱의 안테나 유지 장치의 단면 부분도이다. 도9는 도8의 조립을 설명하는 단면 부분도이다. 도10은 도3에 있어서 안테나를 인출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싱으로서의 상측의 케이싱(1)이 힌지부(8)에 의해 제2 케이싱으로서의 하측 케이싱(2)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상측의 케이싱(1)의 전면 상부에 수화기의 구멍이 설치되고, 그 구멍의 안측에 수화기(4)가 배치되어 있다. 상측 케이싱(1)의 전면 거의 중앙부에 액정 표시부(5)가 배치되어 있다. 하측의 케이싱(2)의 전면에 복수의 키 스위치(7)가 배치되어 있다. 키 스위치(7)는 전화를 걸 때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메일의 문장을 작성할 때의 문자를 입력하는 데 이용된다. 하측 케이싱(2)의 전면의 하부에 송화용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그 구멍의 안측에 송화기(6)가 배치되어 있다.
도2,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케이싱(1)의 하측 케이싱(2)에 면하는 측의 단부에, 핀(91) 삽입용 원통부(81, 85) 및 플래트 케이블 수용부(83)가 설치되는 한편, 하측 케이싱(2)의 상측 케이싱(1)에 면하는 측의 단부에, 핀(91) 삽입용 원통부(82)와 원통부(84)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82, 84)는 케이싱(1), 케이싱(2)이 열려진 상태일 때, 케이싱(1)에 면하는 측의 단부에서 안테나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여기서, 하측의 케이싱(2)은 함께 전방면 케이스(22)와 리어 케이스(21)로 구성되고, 원통부(84)는, 원통부(841)와 원통부(842)로 구성되고, 하측 케이싱(2)을 구성하는 전방면 케이스(22)와 리어 케이스(21)의 쌍방에 설치된, 선단에 1/4원을 붙인 평판이 돌출된 형상끼리를 붙여 형성된 공간을 갖는다.
원통부(84, 85)에 서로 반대측에서 핀(91)이 삽입됨으로써, 원통부(81, 82, 83, 84, 85)는 힌지부를 형성하고, 상측의 케이싱(1)과 하측의 케이싱(2)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측의 케이싱(1)과 하측의 케이싱(2)은 서로 전면끼리 당접하도록 접을 수 있고, 전개했을 때, 서로가 이루는 각이 160도 정도 이상이 되지 않도록, 힌지부에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상측의 케이싱(1)이 안테나(3)에 접촉하여 안테나(3)가 손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측의 케이싱(2)은 전방 케이스(22)와 리어 케이스(21)로 이루어지고, 하측 케이싱(2)의 속에 수납되는 것은, 중앙부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케이스(22)측으로, 키 스위치(104), 회로 기판(101)이 적층된다. 리어 케이스(21)의 전지 수용부(211)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지가 수납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21)의 가로에는 안테나 부착부(212)와 안테나 보유부(213)로 구성되는 안테나 보유 장치가 설치되고, 안테나 보유 장치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3)가 수용되어 유지되어 있다. 안테나 보유 장치의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회로 기판(101)에, 상측의 케이싱(1)에 수납되어 있는 액정 표시부(5)와 수화기(4)와의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플래트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1)의 안테나 접촉 파이프(37) 인접 부근의 부분에, 안테나(3)와 회로 기판(10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스프링(102)이 고정되어 있다. 전방 케이스(22)와 리어 케이스(21)는, 회로 기판 수용부 및 전지 수용부의 외주에 설치된 각각의 벽을 결합함과 동시에, 힌지측의 좌우 코너 부근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4개의 나사에 의해, 전방 케이스(22)를 사이에 끼우고 키 스위치(104), 회로 기판(101)을 끼우고, 리어 케이스(21)에 설치한 보스에 체결한다. 전방 케이스(22)와 케이스(21) 체결후의 하측 케이싱(2)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T1의 두께를 갖는다.
하측 케이싱(2)의 리어 케이스(21)는 전지 수용부(211)의 가로로 안테나 부착부(121), 안테나 보유부(213)가 함께 설치되고, 전지 수용부(211)의 외주는, 전방 케이스(221)의 대응 부분과 결합하여, 케이싱의 변형을 억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안테나 부착부(212), 안테나 보유부(213)의 외측에도 상기와 유사한 벽이 설치되어 있지만, 안테나 부착부(212)의 부분이 두께 방향으로 분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속된 벽을 구성할 수 없고, 전지 수용부(211)의 외주와 비교하면 강성이 낮다. 그 때문에, 케이싱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는, 전지 수용부의 벽이 주로 담당하고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부착부(212), 안테나 보유부(213)로 구성되는 안테나 보유 장치는 두께(T2)를 갖고, 두께(T2)는 모든 부분에 있어서 하측의 케이싱(2)의 두께(T1)에 대해 T2≤T1이 되도록 설정된다.
도8, 도9를 이용하여 안테나 보유 장치를 설명한다. 안테나(3)는 하측 케이싱(2)의 리어 케이스(21)에 유지된다. 안테나 및 안테나 유지부의 상태를 도8에 도시한다. 여기서 안테나 접촉파이프(37)와 체결 파이프(36)를 합쳐서 안테나 유지부라고 부른다. 안테나(3)는 헬리컬 안테나부(31), 헬리컬 접촉부(32), 휩 안테나(33), 휩 접촉부(34), 멈춤 나사(35)로 구성되고 있다. 헬리컬 안테나부(31) 및 휩 안테나(33)와 각각의 접촉부(32, 34)는, 안테나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 부착부(212)의 선단(214)은 이중 원통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고, 안테나 유지부재로서의 안테나 유지 케이스(30)에 대응하는 이중 원통 형상의 후단과 끼워 맞추어져, 후기의 구조로 체결된다. 안테나 유지 케이스(30)의 선단(301)도 이중 원통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외측 원통의 내부 직경은 헬리컬 안테나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크다. 그 때문에, 헬리컬 안테나(31)의 근원 부분을 수납할 수 있고, 헬리컬 안테나(31)를 수납할 때에, 헬리컬 안테나(31)에 가로방향에서 힘이 가해진 경우에, 헬리컬 안테나(31)의 변위를 구속하여 헬리컬 접촉부(32)에 과다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테나(3)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한다. 안테나 유지 케이스(30)의 직경(T3)에 대해서도 T3≤T1로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T3=T2로 설정되고, 안테나 보유 장치와의 접속부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안테나 부착부(212)와 안테나 유지 케이스(30)의 구멍을 안테나 접촉부(37)와 체결 파이프(36)가 관통하고 있다. 안테나 접촉부(37)의 접촉 원통부(371)의 내부 직경은 헬리컬 접촉부(32) 및 휩 접촉부(34)의 외형보다도 매우 조금 크고, 안테나(3)를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해서 안테나(3)의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수납 시간 및 인출시에 안테나(3)를, 그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또한,전기적으로 충분히 낮은 저항으로 접속할 수 있다.
체결 파이프(36)의 일단에, -(마이너스) 드라이버용 홈이 설치된 원형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단의 내면에, 나사(361)가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접촉 파이프(37)는, 보디(374)의 일단에 안테나 접촉부(371)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안테나 접촉부(371)의 근원측의 내주에, 나사(372)가 형성되어 있다. 보디(374)의 내측에, 안테나의 멈춤 나사(35)가 비접촉으로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설치되고 있고, 그 구멍의 속은, 멈춤 나사(35)의 진행을 저지하는 벽부(373)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휩 접촉부(34)가 보디(374)의 속으로 들어가, 안테나 접촉부(371)와 접촉함으로써, 휩 안테나의 안테나 접촉부(371)의 부분이 짧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테나로서 감도 저하의 요인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보디(374)의 타단측에 플랜지(375)가 형성되고, 또한 타단측은 원통부(376)로 되어있고, 또한 그 앞단은 보호파이프(38)를 삽입하기 때문에 외형이 작아지고 있다. 플랜지(375)는 도시하지 않은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안테나 부착부(212)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회전 방지홈과 결합하여 후기의 조립시에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2, 도3, 도8에서는, 안테나 유지부에 대해 하측의 케이싱(2)에 안테나(3)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안테나(3)는 힌지(91)의 축방향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안테나 보유 장치에 유지되고, 도2에 도시한 안테나가 끼워진 상태에서, 안테나(3)를 인출하여 도10에 도시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역도 가능하다. 이 경우, 헬리컬 안테나(31)는, 힌지(91)에 대해 상측의 케이싱(2)에 대해 모두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휩 안테나(33)는, 힌지(91)에 대해 거의 모든 부분이 하측의 케이싱(2) 측에 있고, 안테나(3) 전체로서는 절반이 하측의 케이싱(2)측에 있다. 한편, 안테나(3)가 인출된 상태의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10에 도시한다. 이 경우는 헬리컬 안테나(31)의 전부와 휩 안테나(33)의 대부분이 힌지(91)에 대하여 하측 케이싱(2)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3)는 힌지(9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다.
다음에, 안테나(3) 및 안테나 유지부의 조립 순서를 도9에서 설명한다. 장치 전체로서는 아래의 순서로 조립을 행한다.
(1) 상측 케이싱 및 하측 케이싱의 전방 케이스가 아래로 되도록 놓고, 힌지(91)를 양측에서 각각 삽입하고, 힌지부의 조립을 완료시킨다.
(2) 상측 케이싱 및 하측 캐이싱의 전방 케이스의 위에 차례로 부분 조립된 부품을 놓고, 필요한 작업을 행한다. 하측 케이싱에서는, 전방 케이스의 위에, 키 스위치 시트, 그 위에 회로 기판을 놓는다. 또한, 송화기를 소정의 장소에 둔다.
(3) 상측 케이싱과 하측 케이싱의 접속을 행하는 플래트 케이블의 접속 단자를 소정의 작업 순서에 따라서 회로 기판형 커넥터에 삽입한다.
(4) 하측(2) 케이싱의 리어 케이스에 안테나(3)를 장착한다. 이 내용은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5) 상측 케이싱 및 하측 케이싱의 리어 케이스를 각각의 전방 케이스의 위로부터 씌우고, 각각의 케이스의 외주벽에 설치한, 볼록부와 오목부를 스프링 액션으로 결합시킨다. 그 후, 상측 케이싱 및 하측 케이싱의 각각의 전방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나사로 결합한다.
(6) 하측 케이싱에 전지를 넣는다.
다음에, 상기 (4)의 내용을, 이하 도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a)와 같이,안테나(3)는, (c)의 멈춤 나사(35)가 없는 상태로 조립되고, 미리 준비되어 있다. (b)와 같이, 안테나 유지 케이스(30)와 체결 파이프(36), 안테나 접촉 파이프(37), 보호 파이프(38) 및 리어 케이스(21)는 각각 단품 부품으로서 준비된다.
우선, 리어 케이스(21)의 안테나 부착부(212)에, 안테나 접촉 파이프(37)를 삽입하고, 이어서 보호 파이프(38)를 안테나 접촉 파이프(37)의 원통부(376)에 삽입한다. 다음에, (c)와 같이, 안테나 유지 케이스(30)에 체결 파이프(36)를 삽입한 상태로, 체결 파이프(36)를 안테나 접촉 파이프(37)의 안테나 접촉부(371)에 끼워 맞추고 나서, 안테나 유지 케이스(30)를 안테나 부착부(212)에 끼워 맞추고, 드라이버로 체결 파이프(36)를 회전하여 체결한다. 이때, 안테나 유지 케이스(30)와 안테나 부착부(212)의 끼워 맞춤부 및 체결 파이프와 안테나 접촉부의 나사 부에, 회전 방지용 접착제를 적당량 도포한다. 다음에, (a)의 안테나(3)를, 휩 접촉부(34)의 측에서, 안테나 접촉부(371)의 구멍에 삽입하여, 깊숙히 밀어 넣는다. 그 형태에서, (c)와 같이, 보호 파이프(38)의 단부로부터, 멈춤 나사(35)를, 휩 접촉부(34)의 단부면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나사 삽입 체결한다. 이 경우도, 주위의 멈춤용 접착제를 적당량 나사부에 도포하여 나사 체결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과 조립 순서에 의해, 박형으로, 안테나 특성에 지장이 없는 위치로, 또한 조립이 용이한 절첩 휴대 전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이상의 구조 대신, 예를 들면, 체결 파이프(36)측으로 안테나와의 접촉부를 설치하면, 미리 체결 파이프(36)에 안테나를 삽입한 상태로 안테나 유지 케이스(30)와 함께, 안테나 접촉 파이프(37)(안테나와의 직접 접촉은 없어지지만 이렇게 부른다)를 장착한 안테나 장착부(212)에, 체결 고정한다. 이 경우는, 체결할 때에, 안테나부를 피하여 나사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필요하다. 여기서, 안테나(3)에 설치한 헬리컬 접촉부(32), 휩 접촉부(34)가 체결 파이프(36)에 설치한 접촉부와 접촉하는 위치를 가깝게 하기 위해서는, 멈춤 나사(35)가 겸해진 안테나 인출 위치 결정 당접부에서 접촉부 구멍의 제2 케이싱 측의 내부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외부 나사와 내부 나사를, 도8에서와는 다르게 바꿔 넣는다.
안테나 유지 케이스(30)가 안테나 보유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3, 도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힌지부의 핀(91)을 그 축방향으로 투영한 부분의 일부분(도3, 도10에서는 약 반정도)과 겹쳐지는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원통부(85)로의 핀의 착탈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시, 혹은 수리등의 분해시에는 안테나 유지 케이스(30)를 벗어난 상태에서 핀(91a)의 착탈을 행한다.
또한, 안테나 유지 케이스(30)에 의해 케이싱의 길이 방향의 치수가 짧아도 안테나 유지 케이스(30)의 축방향의 치수 만큼 안테나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안테나로서 필요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어 통신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의 케이싱이 힌지에 의해 제2 케이싱에 대해 회동 가능한 절첩형 휴대 전화에 있어서, 두께가 얇고 조립이 쉬운 휴대 전화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제1 케이싱과, 이 제1 케이싱에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접속된 제2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의 가로로 병설된 안테나 보유 장치와, 상기 힌지의 회동축 방향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되도록 안테나 보유 장치에 유지된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전화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제2 케이싱의 상기 제1 케이싱에 면하는 측의 단부에서 상기 안테나의 이동 방향에 따라 돌출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회동의 축으로 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는 상기 제2 케이싱의 상기 제1 케이싱에 면하는 측의 단부까지 연장하고,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의 단부에는 안테나 유지 부재가 상기 핀을 그 축방향으로 투영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안테나가 상기 안테나 보유부와 상기 안테나 유지 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안테나 유지 부재가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의 단부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상기 힌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의 두께는 상기 제2 케이싱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휩 안테나와 이 휩 안테나에 결합된 헬리컬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유지 부재는 내부에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 접촉이 가능한 전기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가 저장되었을 때는 상기 헬리컬 안테나가 상기 전기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가 인출되었을 때는 상기 휩 안테나가 상기 전기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5. 제1 케이싱이 힌지에 의해 제2 케이싱에 대해 회동 가능한 절첩형 휴대 전화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싱의 가로로 병설된 안테나 보유 장치와, 상기 힌지의 축방향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에 유지된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의 두께는 상기 제2 케이싱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휩 안테나에 결합된 헬리컬 안테나와, 상기 헬리컬 안테나를 고정하는 곳의 전기적으로 비전도 안테나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가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안테나 유지 부재가 상기 힌지의 가로에 위치하고, 상기 안테나가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는 제1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는, 휩 안테나에 결합된 헬리컬 안테나와, 상기 헬리컬 안테나를 고정하는 곳의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안테나 유지 부재와, 상기 안테나 유지 부재에 고정된 제2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휩 안테나를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에 삽입하여 상기 제2 파이프를 상기 제1 파이프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안테나 유지 부재가 상기 힌지의 가로로 위치하여 상기 안테나가 상기 안테나 보유 장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의 대향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끼리를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안테나가 상기 안테나 유지 장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KR1020010009875A 2001-02-27 2001-02-27 휴대 전화 KR20020069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875A KR20020069610A (ko) 2001-02-27 2001-02-27 휴대 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875A KR20020069610A (ko) 2001-02-27 2001-02-27 휴대 전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610A true KR20020069610A (ko) 2002-09-05

Family

ID=3748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875A KR20020069610A (ko) 2001-02-27 2001-02-27 휴대 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961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524A (ja) * 1993-12-28 1995-08-04 Nec Corp アンテナ回転式携帯無線機
KR19990068516A (ko) * 1999-05-29 1999-09-06 차종근 안테나가밑에있는휴대폰
KR200163715Y1 (ko) * 1999-07-07 2000-02-15 정영치 하향식 안테나를 갖는 핸드폰
JP2000059841A (ja) * 1998-08-06 2000-02-25 Kyocera Corp 携帯無線端末
JP2000269715A (ja) * 1999-03-15 2000-09-29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2001086208A (ja) * 1999-09-13 2001-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無線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524A (ja) * 1993-12-28 1995-08-04 Nec Corp アンテナ回転式携帯無線機
JP2000059841A (ja) * 1998-08-06 2000-02-25 Kyocera Corp 携帯無線端末
JP2000269715A (ja) * 1999-03-15 2000-09-29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19990068516A (ko) * 1999-05-29 1999-09-06 차종근 안테나가밑에있는휴대폰
KR200163715Y1 (ko) * 1999-07-07 2000-02-15 정영치 하향식 안테나를 갖는 핸드폰
JP2001086208A (ja) * 1999-09-13 2001-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無線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2726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 rotational lens housing in a folder-type telephone
KR100304520B1 (ko) 고밀도 가요성 회로 요소 및 이를 사용한 통신 장치
JP2658935B2 (ja) ヒンジ構造を有する電子装置
CN100518463C (zh) 用于旋转型移动电话的显示器的铰链装置
US6633749B2 (en) Folding mobile wireless device
JP5619565B2 (ja) 通信装置
US20040038719A1 (en) FPCB connection mechanism
US6692275B2 (en) Apparatus for gui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ame
US5909653A (en) Portable radio device
JP2002190365A (ja) 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ヒンジコネクタ
JP2004128982A (ja) 着脱式アンテナ装置
JPH06311216A (ja) 携帯電話機
JP4597213B2 (ja) 携帯端末装置
JP3019013B2 (ja) 携帯通信機
KR20060064951A (ko) 듀얼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020119801A1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KR20020069610A (ko) 휴대 전화
JP2001062399A (ja) 振動発生装置を内蔵した電子機器
JP2002344596A (ja) 携帯端末装置
JP2002246819A (ja) 携帯電話
JP2003077592A (ja) ヒンジコネクタ
JP4643732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0151781A (ja) 携帯通信機
KR100749743B1 (ko) 힌지안테나결합체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9224945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