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216A - 종이의 습윤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및 연관된 방법 - Google Patents

종이의 습윤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및 연관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216A
KR20020069216A KR1020027007753A KR20027007753A KR20020069216A KR 20020069216 A KR20020069216 A KR 20020069216A KR 1020027007753 A KR1020027007753 A KR 1020027007753A KR 20027007753 A KR20027007753 A KR 20027007753A KR 20020069216 A KR20020069216 A KR 20020069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b
loop
drye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스 이. 제위트
Original Assignee
멧소 페이퍼 칼스타드 아크티에보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멧소 페이퍼 칼스타드 아크티에보라그 filed Critical 멧소 페이퍼 칼스타드 아크티에보라그
Publication of KR20020069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21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32Washing wire-cloths or fel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21F5/04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 D21F5/042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in combination with suction or blowing devices
    • D21F5/044Drying on cylinders on two or more drying cylinders in combination with suction or blowing devices using air hoods over the cylind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18Drying webs by hot air
    • D21F5/182Drying webs by hot air through perforated cylinder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의 습윤 웨브의 건조 고체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건조부, 적어도 상기 건조부 이하에 배치되는 세정부 및 적어도 상기 건조부와 상기 세정부 둘레에서 루프를 형성하는 연속 건조 직물을 포함하는 종이의 습윤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및 연관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직물은 상기 건조부 이전에 상기 루프의 상부를 따라 상기 웨브를 수용하며, 여기에서 상기 웨브는 상기 직물의 상면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직물은 그 후에 상기 웨브가 상기 직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상기 웨브의 건조 고체 함량을 증가시키도록 비-전도 웨브 주행시에 상기 건조부를 통해 상기 웨브를 이송한다. 웨브가 상기 직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직물은 그것상에 더 많은 습윤 종이 웨브를 수용하도록 회귀하기 전에 세정되도록 상기 세정부를 통해 진행한다.

Description

종이의 습윤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및 연관된 방법{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DRYING A WET WEB OF PAPER}
일반적으로, 제지 기계에서, 습윤 종이 웨브는 이송 직물상의 성형기에서 형성된 후에 하류로 이동된다. 상기 웨브가 건조 직물과 함께 제지 기계내 하류로 이송됨에 따라, 그것은 그것이 부분적으로 탈수되거나 건조되는 탈수 또는 건조부를 통해 가공된다. 제지 기계의 소정의 구성에서, 상기 이송 직물은 상기 건조 직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지 기계의 다른 구성에서, 상기 건조 직물은 상기 형성된 종이 웨브가 상기 탈수 또는 건조부를 통한 이송을 위해 상기 이송 직물로부터 상기 건조 직물로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 직물로부터 분리된 직물일 수 있다.
상기 탈수 또는 건조부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통기 건조기(through-air dryer, TAD), 적외선 건조기, 충돌 건조기, 원통형 접촉 건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브와 직물은, 그 후에, 상기 웨브가 상기 직물로부터 양키 건조기(Yankee dryer)로 이송되도록 닙(nip)을 통해 하류로 통과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키 건조기는 선행부에서 상기 건조기에 후속되는데, 선행부에서 상기 건조기는 상기 종이 웨브를 부분적으로 건조시키거나 탈수시키기 위한 선행-건조기로서 고려된다. 이 선행-건조기는 상기 건조부의 일부를 포함하거나 분리된 선행-건조 또는 탈수부를 집합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도 있다. 상기 양키 건조기는, 따라서, 상기 종이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최종 건조기로서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 제지 기계는 양키 건조기를 포함하지 않는데, 선행부에서 건조기는 상기 종이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최종 건조기를 포함한다.
상기 종이 웨브가 상기 성형기로부터 상기 최종 건조기로 진행함에 따라, 그 사이에서의 공정은 상기 종이 웨브로부터 상기 제지 기계를 통해, 그리고, 좀더 자세하게는, 상기 탈수 및/또는 건조부를 통해 상기 종이 웨브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되는 직물 또는 직물들상에 잔류물을 종종 잔존시킨다. 상기 웨브를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직물은 전형적으로 무한 루프(loop)와 같이 형성되므로, 그것은 상기 종이가 제조되고 건조됨에 따라 상기 성형 및/또는 건조 공정 둘레를 연속적으로 순환한다. 따라서, 상기 제지 기계의 적절한 작업을 위해, 상기 웨브-이송 직물은 그것이 특정 공정을 통해 이송되는 더 많은 상기 종이 웨브를 수용하도록 재순환하기 전에 세정되어야 한다. 상기 직물을 세정하는 것은 종종 그것을 샤워기하에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직물을 세척한 후에, 예를 들어, 그것을 진공 박스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직물을 부분적으로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소정의 특정 유형의 제지 공정은, 특정의 그리고 종종 복잡한 세정 장비를 필요로 하는, 전형적으로 개방 조직을 가지고 또한 상기 직물의 전체 두께를 통한 세정을 필요로 하는 티슈 제조에 사용되는 TAD 직물 또는 기타 텍스쳐링(texturing) 직물과 같은, 특정 직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지 기계는, 일반적으로, 종이 웨브를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직물, 상기 웨브가 하나 이상의 건조기로 건조되는 건조부, 상기 직물이 웨브 성형부로부터 더 많은 상기 습윤 종이 웨브를 수용하도록 재순환하기 전에 세정되는 세정부 및 상기 건조된 종이 웨브를 수용하고 스풀(spool)상으로 그것을 권취시키기 위한 릴-업(reel-up)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지 공정은 사이에서 주행하는 상기 건조 직물 루프와 함께 상기 세정부 하부에 배치된 상기 건조부를 구비함으로써 전형적으로 실행된다. 상기 루프의 일단에서, 상기 종이 웨브는 상기 성형부상에서 형성되거나 그것의 건조 직물로 이송된다. 상기 루프의 타단에서, 상기 직물은 상기 탈수 또는 건조부 및/또는 상기 양키 건조기의 닙을 통과한다. 양키 건조기가 제지 기계에 사용되는데, 상기 루프와 (회전 가능한 건조 실린더인) 상기 양키 건조기의 회전은 상기 웨브가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에 의해 크레이핑(creping)되기 전에 상기 양키 건조기로 이송되고 수직 방향으로 그것의 상단상에 이송되도록 조정된다. 수직 방향으로 상기 웨브를 크레이핑시키는 것은 상기 닙에서 상기 양키 건조기의 상방 이동하는 표면을 상면하도록 상기 선행-건조부를 통과하는 웨브를 필요로 한다. 상기 양키 건조기에 의해 건조되고 크레이핑되면, 상기 건조된 웨브는 스풀상으로 권취되도록 상기 릴-업으로 이송된다.
선행 기술의 제지 기계는 설명된 기본 구조로부터 발생되는 소정의 단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부가 상기 건조부상에 위치하는 전형적인 형상은, 대부분에 대해, 상기 습윤 웨브가 상기 성형부로부터 상기 직물로 이송되고, 상기건조부를 통해, 상기 직물의 하단면상의, 상기 닙으로 이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웨브는 상기 직물과 접촉하지만, 상기 직물은 중력에 대해 상기 웨브를 지지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웨브가 이러한 "전도된" 웨브 주행중에 상기 직물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추가로, 상기 건조부상에 전형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세정부와 함께, 응축을 방지하는 정교한 캐치 팬(catch pan) 및 측정기는 세정수가 상기 세정부로부터 상기 하부의 건조부상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세정부로부터 낙하하는 수분은, 제지 공정이, 전형적으로 개방 조직을 가지고 수분 적하에 더 민감한 티슈 제조에 사용되는 TAD 직물 또는 기타 텍스쳐링 직물과 같은, 특정 직물을 포함하는 경우에 문제를 일반적으로 발생시킨다. 이 단점은 이러한 선행 기술의 제지 기계에서 본질적인 것이고 상기 건조부에 사용되는 건조기 유형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추가로, 상기 탈수 또는 건조부는 상기 웨브를 탈수시키거나 건조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평판형 건조기, 내향 기류를 가지는 회전 롤 건조기 또는 외향 기류를 가지는 회전 롤 건조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기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통기 건조기가 제공되므로, 후드(hood)가 또한 일반적으로 포함되고 전형적으로 상기 건조기 둘레의 상기 웨브의 주행 경로를 커버한다. 따라서, 전도된 웨브 주행 및 하부에 위치되는 후드를 가지는 통기 건조기를 채용하는 선행 기술의 제지 기계에서, 상기 웨브가 상기 직물에서 이탈하고, 상기 후드에서 재밍(jamming)됨으로써, 상기 건조기에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상기 선행 기술의 제지 기계의 일례는, 상기 습윤 종이 웨브가 성형기로부터상기 직물로 이송되는, 제지 기계를 기술하는, 빈슨(Vinson) 등의 미국 특허 제 5,611,890 호에서 인지된다. 상기 웨브는, 그 후에, 하부로 이송되고 상방으로 지향되기 전에 진공 탈수 박스 및 통기 선행 건조기를 통과하여 상기 닙에서 양키 건조기로 이송된다. 상기 직물은, 그 후에, 세정되고 탈수되도록 상방으로 연속되어서, 샤워기 및 진공 탈수 박스상과 그 주위를 통과함으로써 그것의 루프를 완료한다. 이와 유사하게, 트로칸(Trokhan) 등의 미국 특허 제 5,529,664 호, 앰펄스키(Ampulski) 등의 제 5,776,307 호, 스무르코스키(Smurkoski) 등의 제 5,364,504 호, 추앙(Chuang) 등의 제 5,701,682 호 및 빈슨 등의 제 5,700,352 호 모두는 빈슨 등의 '890 특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제지 기계를 기술한다.
따라서, 상기 직물이 상기 웨브를 지지하고 그것으로부터의 상기 웨브 이탈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습윤 종이 웨브가 상기 직물상에서 이송되고 상기 직물의 상면상의 건조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지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세정부가 상기 건조부상에 위치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세정수가 상기 세정부로부터 상기 하부의 건조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교한 수단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시키도록 구성된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웨브가 상기 후드에서 재밍되지 않고 상기 건조기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부에 위치된 후드를 가지는 통기 건조기를 구비한 상기 건조부를 통한 비-전도 웨브 주행을 가지는 제지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지 기계 그리고, 좀더 자세하게는, 종이의 습윤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및 연관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양키 건조기가 후속되는 선행-건조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몇가지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표현도,
도 4-8은 양키 건조기가 없는 건조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추가로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표현도,
도 9는 선행-건조부가 없는 양키 건조기를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표현도.
상기 및 기타 필요성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습윤 종이 웨브의 건조 고체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분-제거부 및, 상기 직물 루프가 상기 수분-제거부 이전에 위치되는 상기 직물 루프의 웨브-수용 영역에서 상기 습윤 종이 웨브를 수용하고 상기 웨브가 일반적으로 상기 직물의 상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분-제거부를 통해 상기 직물 루프의 상부를 따라 상기 웨브를 지지하고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직물이 상기 수분-제거부를 통과하도록 루프를 형성하는 연속된 직물을 포함하는 제지 기계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 만족된다. 상기 직물 루프는 상기 웨브가 상기 직물로부터 분리되는 웨브-이송점 및 상기 직물이 상기 웨브-이송점으로부터 상기 웨브-수용 영역으로 진행하는 회귀 주행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웨브가 지지되는 상기 직물 루프의 상부상에 상기 세정부가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된, 상기 직물을 세정시키기 위한 세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세정부로부터 낙하할 수 있는 소정의 수분은 상기 웨브 또는, 그것이 상기 수분-제거 장치 또는 장치들을 통해 이송됨에 따라 상기 웨브가 지지되는, 상기 직물 루프의 일부상으로 낙하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제거 장치는, 상기 웨브의 최종 건조를 수행하기 위한 최종 건조기가 후속되는, 상기 습윤 웨브를 부분 건조시키기 위한 선행-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통기 건조기가 상기 웨브를 선행-건조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최종 건조는 양키 건조기상에서 실행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웨브는 이송 롤과 상기 양키 건조기 사이에 형성된 닙을 통해 상기 직물과 웨브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연속된 직물로부터 상기 양키 건조기상으로 이송된다. 유리하게, 상기 닙을 통과한 후의, 상기 직물은 상기 닙으로부터 일반적으로 하향-주행하는 부분 및 상기 직물 루프의 상기 웨브-수용 영역을 향해 후방으로 유도하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주행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회귀 주행을 진행시키도록 경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세정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의 하향-주행부 및 수평 주행부 중 하나 또는 모두를 따라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제거 장치는, 통기 건조기, 충돌 건조기, 적외선 건조기, 접촉 건조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컴팩팅 건조기(non-compacting drye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양키 건조기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직물은 상기 비-컴팩팅 건조기 또는 건조기들을 통해 상기 웨브를 이송한 후에, 상기 웨브는 상기 직물 루프의 웨브 이송점에서 상기 직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웨브는, 그 후에, 롤로 상기 웨브를 권취시키기 위한 릴-업과 같은, 추가적인 장치들로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직물은 상기 웨브 이송점으로부터 회귀 주행을 따라 다시 상기 루프의 상기 웨브-수용부로 진행한다. 상기 회귀 주행은 하향-주행부와 수평 주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정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부분들 중 하나 또는 모두를 따라 위치된다. 상기 웨브가 롤로 권취되는데, 릴-업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릴-업은, 유리하게, 상기 직물 루프의 상부상에,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 하부에 또는 상기 웨브-이송점 후의 직물 루프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습윤 웨브가 연속된 직물 루프의 상면상에서 지지되고 건조기 및/또는 기타 수분-제거 장치를 통해 상기 직물상에서 이송되게 하며, 상기세정부가 상기 웨브의 소정 부분상에 위치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웨브가 상기 직물로부터 이송된 후에 상기 직물이 세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부상에 세정부를 채용하는 선행 기술의 제지 공정에 필수적인 바와 같이, 상기 세정수가 상기 세정부로부터 상기 웨브상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교한 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직물과 웨브로 낙하할 가능성의 제거는 특별히 특정 텍스쳐링 직물 또는 통기 건조 직물을 채용하는 제지 기계에서 유리하다. 추가로, 상기 웨브가 상기 수분-제거 장치를 통해 상기 직물의 일반적으로 상면상에서 이송되므로, 상기 직물의 회전 방향은 상기 웨브가 상기 직물의 전도된 주행에 걸쳐서 직물에 의해 이송되는 선행 기술의 장치에 관하여 대향이다. 최종 건조를 위한 양키 건조기를 채용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직물의 역전된 회전은 상기 양키 건조기의 회전 방향도 통상적인 기계에 관하여 역전되게 하며, 이것은, 순차적으로, 릴-업이, 바람직하다면, 상기 웨브가 이송되는 상기 직물 루프의 상부상에 위치되게 한다. 추가로, 상기 웨브가 비-전도 웨브 주행시에 상기 직물의 상단상에서 지지되므로, 상기 건조부가 하부에 위치된 후드를 가지는 건조기를 포함하여도, 상기 웨브가 상기 직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후드에서 재밍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기계를 손상시킬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선행 제지 장치에 걸쳐서 다수의 특정 장점들의 달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인지된다.
본 발명의 소정의 장점들이 진술되었는데, 나머지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되는 경우에, 설명 절차로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로 구체화되며,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상기 실시예는 이러한 설명이 완전하게 되고, 완성되게 하기 위해 제공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것이다. 참조 번호는 전체를 통해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습윤 종이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특히,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수치(10)에 의해 지시되는 제지 기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기계(10)는 일반적으로 건조 직물(20), 습윤 웨브 수용 영역(30), 선행-건조부(40), 양키 건조기(50), 닙(60) 및 세정부(70)를 포함한다.
건조 직물(20)은 습윤 웨브 수용 영역(30), 선행-건조부(40), 양키 건조기(50), 닙(60) 및 세정부(70) 사이에서 무한 루프를 형성한다. 직물(20)은 또한 직물(20)을 안내하기 위해 직물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회전 롤(90)을 갖는다.습윤 웨브 수용 영역(30)은 습윤 종이 웨브(80)가 직물(20)로 이송되는 직물(20)에서의 위치이다. 습윤 종이 웨브(80)는 성형기(도시되지 않음),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전형적으로, 성형부(도시되지 않음)에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성형기는 웨브(80)가 전형적으로 웨브 수용 영역(30)의 건조 직물(20)에 있는 하나의 성형 직물로부터 이송되는 경우에, 웨브(80)가 한쌍의 성형 직물 사이에서 형성되는 변형된 크레센트(Crescent) 성형기를 포함한다. 이와 반대로, 웨브(80)는 건조 직물(20)에서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웨브(80)는 실제로 건조 직물(20)에 이송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물(20)에 의해 이송되거나, 수용되는 습윤 종이 웨브(80)에 대한 응답은 상기 설명된 기계 중 하나에 포함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직물(20)은 습윤 웨브(80)를 부분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42)를 갖는 선행-건조부(40)로 웨브(80)를 수용시키고 이송시킨다. 부드럽고, 흡수성이 있으며, 강하지 않은 웨브(80)를 생산하기 위해, 또한, 최소의 종이 섬유를 사용하는 동안, 바람직하게는 비-컴팩팅 건조기가 사용된다. 전형적인 비-컴팩팅 건조기는 통기 건조기, 적외선 건조기, 충돌 건조기 및 실린더 접촉 건조기를 포함한다. 건조부가 통기 건조기를 이용하는 곳에서, 통기 건조기는, 예를 들어, 평판형 건조기, 내향 기류를 갖는 회전 롤 건조기 또는 외향 기류를 갖는 회전 롤 건조기가 될 수 있다. 통기 건조기는, 또한, 일반적으로 웨브의 이송로를 포함하는 후드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비-컴팩팅 건조기를 사용하는 기계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비-컴팩팅 건조기 대신에, 또는, 추가로 압력형 건조기를 사용하는 기계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2개의 회전 통기 건조기(42)와 그 사이에 배치된 회전 롤(90)을 포함하는 선행-건조부(4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 롤(90)은 복합 건조기(42)를 갖춘 선행-건조부(40)에 있는 연속적인 건조기(42) 사이에서 웨브(80)가 건조기(42)에 대해 적절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기 건조기(42)는 일반적으로 회전 가능한 삼투성 실린더(44)와 후드(46)로 구성된다. 후드(46)는 일반적으로 웨브(80)가 둘러싸서 일반적으로 삼투성 실린더(44)상에 있는 삼투성 실린더(44)의 표면부를 덮는다. 복합 통기 건조기(42)가 선행-건조부(40)에 사용되는 곳에서, 복합 통기 건조기(42)는 공통의 후드(46)를 공유할 수 있다. 게다가, 후드(46)는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거나 그곳으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삼투성 실린더(44)에서 멀리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통기 건조기(42)의 또다른 면은 기계의 구성과 통기 건조기(42)를 통과하여 움직이는 직물(20)에 관한 웨브(80)의 방향에 따라, 통기 건조기는 공기를 실린더 외부에서 내부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되거나 실린더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듯이, 실린더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통기 건조기(42)는 직물(20)이 삼투성 실린더(44)와 접촉하고, 웨브(80)가 직물(20)의 외부에 위치된 곳에 바람직하다.
직물(20)이 통기 건조기(42) 주위의 간접 경로로 웨브(80)를 이송시킬지라도, 선행-건조부(40)는 일반적으로 직물 루프(20)의 상부를 따라 배치되고,웨브(80)는 일반적으로 습윤 웨브 수용 영역(30)으로부터 닙(60)까지 직물(20)의 상면에서 이송된다. 그러므로, 웨브(80)는 직물(20)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직물(20)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할 웨브의 위험성은 역전된 웨브 주행을 갖춘 선행 기술의 제지 기계와 비교하여 감소된다. 선행-건조부(40)를 통한 "비-전도" 웨브 주행은, 또한, 선행-건조부(40)가 통기 건조기(4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점이 있다. 통기 건조기(42)가 있다면, 후드(46)는 전형적으로 건조기(42)를 통한 웨브(80) 이송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비-전도 웨브 주행에 기인하여, 후드(46)는 선행-건조부(40)가 내향 기류 회전 통기 건조기(42)를 갖는 삼투성 실린더(44)상에 위치한다(웨브(80)가 직물(20)에 의해 삼투성 실린더(44)로부터 분리되는 지점). 따라서, 상기 웨브(80)는 상기 직물(20)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기 후드(46)에서 재밍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통기 건조기(42)를 손상시킬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웨브(80)가 건조 고체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선행-건조부(40)를 통해 이송되고, 부분적으로 건조된다면, 그것은 직물(20)에 의해 최종 건조를 위한 양키 건조기(50)로 이송된다. 양키 건조기(50)는 웨브(80)의 건조를 완료할 목적으로 고온의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스팀으로 가열된 내부적으로 큰 직경의 드럼이다. 양키 건조기(50)는 또한 양키 건조기(50)로부터 웨브(80)의 제거시 교차-기계 방향으로 확장하는 다수의 마이크로폴드(microfold)를 이루는 닥터 블레이드에 의해 수반되는 크레이핑으로 공지된 과정에서, 기계 방향으로 더 두껍고, 더 팽창되게 확대될 수 있도록 전형적으로 부합하는 방향으로 웨브(80)를 줄이는데 사용된다. 양키 건조기(50)는 웨브(80)가 둘러싸인 부분을 따라 부분적으로 양키 건조기(50)를 둘러싸는 후드(56)를 더 포함한다. 양키 건조기(50)는 부분적으로 건조된 웨브(80)를 이송하는 직물을 통해 닙(60)을 형성하는 이송 롤(58)과 관련이 있다. 이송 롤(58)은 양키 건조기(50)에 대해 웨브(80)에 압력을 가하여 웨브(80)가 직물(20)로부터 양키 건조기(50)로 이송되게 한다. 양키 건조기(50)로 이송시키기만 하면, 웨브(80)는 더 건조되고, 닥터 블레이드(54)에 의해 양키 건조기(50)로부터 크레이핑된다.
양키 건조기(50)를 포함하는 제지 기계(10)의 구성에서, 양키 건조기(50)는 직물(20)과 웨브(80)가 닙(60)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직물 루프(20)의 이동에 대향으로 회전해야 한다. 따라서, 양키 건조기(50)는 선행-건조부(40)에 배치되어, 양키 건조기(50)는 양키 건조기(50)의 상부에 있는 웨브(80)를 웨브(80)가 선행-건조부(40)를 통해 이동하는 것에 대향인 닥터 블레이드(54)로 이송한다. 웨브(80)가 닥터 블레이드(54)에 의해 크레이핑되고, 양키 건조기(50)로부터 분리될 때, 릴-업으로 지향된다. 릴-업(100)은 일반적으로 웨브(80)가 전진하고, 스풀(104)에 권취되는 곳에 드럼을 갖춘 닙을 형성하는 스풀(104)을 포함한다. 웨브(80)는 양키 건조기(50)와 릴-업(100) 사이에 있는 자유 드로(draw)(지지되지 않은)로 주행하거나, 예를 들어, 활성 에어 포일(foil)과 같은 지지구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릴-업(100)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 맞게 웨브(80)를 수용하고, 수집하기에 적절한 소정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닙(60)에서, 직물(20)은 습윤 웨브 수용 영역(30)에서 양키 건조기(50)까지웨브(80)를 이송하는 것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직물(20)은 연속적인 루프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것이 닙(60)에 존재하면 습윤 웨브 수용 영역(30)으로 복귀해야 한다. 직물(20)이 종이 웨브(80)의 일부를 선행-건조부(40)를 통하여 닙(60)에 이송시켰기 때문에, 습윤 웨브-수용 영역(30)으로 복귀하기 전에 종이 웨브(80)에 의해 소정의 잔류물을 세정해야만 한다. 따라서, 세정부(70)는 세정부(70)가 웨브의 소정 부분, 특히, 선행-건조부(40)상에 위치하지 않고, 직물(20)이 선행-건조부(40)를 통해 이동하는 직물(20)과 웨브(80)상으로 낙하하는 세정수 없이 세정될 수 있는 직물 루프의 복귀 운동에 따라 주행된다. 그러므로, 직물(20)이 닙(60)에 존재할 때, 일반적으로 샤워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직물(20) 세정 장치와 진공 박스(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직물(20) 탈수 장치로 구성된 세정부(70)를 통해 이동한다. 그러나, 몇몇 특별한 형태의 제지 과정은 전형적으로 개방 구조를 갖고, 또한 직물 전체 두께에 걸쳐 세정를 요구하는 티슈 제조에 사용되는 TAD 직물 또는 기타 텍스쳐링 직물과 같은, 특별한 것을 요구하고 종종 세정 장치를 복잡하게 하는 특별한 직물을 포함한다. 게다가, 세정부는, 또한, 직물을 세정시키기 위해 복수의 세정 장소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세정부에서 세정 장소는 사용되는 특정 세정 장치와 직물(20)의 이송로에 부합하는 소정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선으로 표시되듯이, 세정부(70)는 일반적으로 직물의 회귀 주행의 수평으로 주행되는 부분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또는, 추가로, 점선으로 도시되듯이, 세정부(70)는 일반적으로 직물의 회귀 주행의 하향 주행하는 부분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직물(20)이 세정부 또는 일부분(70)에서 세정된 후에, 다시 사이클을 시작하도록 추가적인 습윤 종이(80)를 수용하는 습윤 웨브-수용 영역(30)으로 복귀함으로써 루프를 완성시킨다. 그러므로, 적어도 선행-건조 또는 건조부(40)상이 아닌 곳에 배치된 세정 영역(70)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이점은 정밀한 캐치 팬과 응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세정부로부터 세정수가 선행-건조 또는 건조부(40)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없다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상기 수단은 선행-건조 또는 건조부상에 배치된 세정부를 갖춘 선행 기술의 제지 기계에 필요하다.
도 2는 연속적인 통기 건조기(142) 사이에 2개의 회전 롤(190)을 갖춘 본 발명의 대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하나의 회전 롤 구조처럼, 상기 구조는 선행-건조부(140)를 통해서 직물(20)의 상부에 있는 웨브(80)를 가진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는 개개의 후드(146)를 갖는 통기 건조기(142)를 도시한다. 후드(146)는 서로 하나의 피스(piece) 조립체로 구성되거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삼투성 실린더로부터 멀리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직물(20)이 웨브(80)의 외부에 위치하고, 웨브(80) 자체가 선행-건조부(240)에 있는 통기 건조기(242)의 삼투성 실린더와 접촉하는 본 발명의 대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실린더로부터 외향 기류를 갖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서 통기 건조기(242)가 구성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는 각각 삼투성 실린더(244) 하부에 위치한 개개의 후드(246)를 갖는 통기 건조기(242)를 도시한다. 후드(246)는 각각 하나의 피스 조립체로 구성되거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삼투성 실린더(244)로부터 멀리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는 연속적인 통기 건조기(242) 사이에 있는 2개의 회전 롤(290)을 포함한다. 2개의 회전 롤(290)은 통기 건조기(242)의 입구와 출구 양측에 더 제공된다.
도 4 내지 도 8은 양키 건조기가 제지 기계(10)에 사용되지 않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따라서, 습윤 종이 웨브(80)의 건조 고체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건조기는 웨브(80)의 최종 건조기가 되고, 건조부를 함께 포함한다. 게다가, 제지 기계(10)는 양키 건조기의 포함에 의해 부여되는 부담없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건조부(340)가 회전 롤(390)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내부 유동 통기 건조기(342)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웨브(80)가 건조부(340)를 통과한 후, 웨브(80)는, 예를 들어, 픽-업 슈(도시되지 않음), 또는, 진공 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직물(20)로부터 분리되고 릴-업(100)으로 지향되는, 회전 롤(358) 주위의 직물(20)에 의해 이송된다. 도 5는 건조부(440)가 한쌍의 외부 유동 통기 건조기(442)로 구성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웨브(80)가 건조부(440)를 통과한 후, 그것은 직물(20)로부터 분리되고, 릴-업(100)으로 지향된다. 도 4 및 도 5는 건조부의 단계에 배치된 릴-업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건조부는 간단히 구성되지만, 릴-업(100)은 건조부로서 동일한 단계에 배치되는 도 4 및 도 5에 각각 부합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게다가, 도 8은 건조부(540)가 한쌍의 내부 유동 통기 건조기(542)로 구성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웨브(80)가 건조부(540)를 통과한 후에, 그것은회전 롤(558)에 있는 직물(20)로부터 분리되고, 건조부(540) 하부의 단계에 배치된 릴-업(100)으로 지향된다.
도 9는 건조부(640)가 상기 선행-건조부없이 양키 건조기(650)로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웨브(80)는 양키 건조기(650)로 이송되기 전에 직물(20)에 의해 탈수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양키 건조기(650)는 웨브(80)가 릴-업(100)으로 지향되고 본 설명에서 최종 건조기가 되기 전에 바람직한 건조 고체 함량으로 웨브를 건조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정부가 상기 건조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지 과정에서 필요했듯이, 세정부로부터 세정수가 하부의 건조부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교한 수단의 필요성을 제거하기 때문에, 세정부가 적어도 선행-건조 또는 건조부상이 아닌 곳에 배치된 제지 기계를 제공한다. 추가로, 직물의 순환은 선행 기술과 관련하여 반대이고, 웨브는 선행-건조 또는 건조부를 통한 비-전도 웨브 주행에서 일반적으로 직물의 상면에서 이송된다. 그러므로, 웨브를 지지하는 직물과 함께, 이송되듯이 직물에서 이탈할 웨브의 기회가 감소된다. 게다가, 비-전도 웨브 주행은 직물에서 이탈하고, 하부 건조기의 후드에서 재밍될 웨브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건조기를 손상시킬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많은 수정과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과 관련한 당업자에게 상기 설명과 연관된 도면에서 나타나는 기술의 장점을 갖도록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정과 다른 실시예도 첨부된청구항의 범위내에 포함된다는 것이 인지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건조부상에 수직으로 배치된 릴-업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릴-업이 건조부상에 배치되지 않은 기계에 적용할 수 있다. 본문에서 특정 용어가 사용될 지라도, 그것들은 제한의 목적이 아닌 단지 일반적이고, 서술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Claims (24)

  1. 습윤 종이 웨브를 부분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선행-건조부;
    상기 부분적으로 건조된 종이 웨브를 추가로 건조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상기 선행-건조부에 후속되고 그것에 대해 맞물리는 이송 롤과 닙을 형성하는 양키 건조기;
    직물과 웨브가 상기 닙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웨브가 일반적으로 상기 직물의 상면상에 위치하고 상기 직물로부터 상기 양키 건조기상으로 이송된 후에, 상기 직물이 상기 닙을 통과하고 웨브-수용 영역으로 다시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을 따라 진행하도록 상기 직물 루프가 상기 선행-건조부 이전에 위치되는 상기 직물 루프의 웨브-수용 영역에서 상기 습윤 종이 웨브를 수용하고 상기 직물 루프의 상부를 따라 상기 선행-건조부를 통해 상기 양키 건조기로 상기 웨브를 지지하고 이송시키도록 형성되는, 상기 직물이 상기 선행-건조부와 상기 닙을 통과하도록 루프를 형성하는 연속된 직물; 및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을 따라 위치되고 세정부가 상기 선행-건조부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된, 상기 직물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부
    를 포함하는, 습윤 종이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건조부는 통기 건조기, 적외선 건조기, 충돌 건조기 및 접촉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은 상기 양키 건조기로부터의 상기 루프의 일반적으로 하향-주행하는 부분과 상기 웨브-수용 영역을 향해 유도하는 일반적으로 수평 주행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는 상기 루프의 상기 일반적으로 하향-주행하는 부분과 상기 일반적으로 수평 주행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은 하부를 포함하여 상기 직물 루프의 상부의 하부를 통과하며, 상기 세정부는 상기 루프의 하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선행-건조부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습윤 종이 웨브의 건조 고체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분-제거부;
    상기 웨브가 일반적으로 직물의 상면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직물 루프가 상기 수분-제거부 이전에 위치되는 상기 직물 루프의 웨브-수용 영역에서 상기 습윤 종이 웨브를 수용하고 상기 수분-제거부를 통해 상기 직물 루프의 상부를 따라 상기 웨브를 지지하고 이송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직물 루프는 상기 웨브가 상기 직물로부터 분리되는 웨브-이송점과 상기 직물이 상기 웨브-이송점으로부터 상기 웨브-수용 영역으로 진행하는 회귀 주행을 더 포함하는, 상기 직물이 상기 수분-제거부를 통과하도록 루프를 형성하는 연속된 직물; 및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을 따라 위치되고 세정부는 상기 웨브가 지지되는 상기 직물 루프의 상부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된, 상기 직물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부
    를 포함하는, 습윤 종이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부는 적어도 하나의 비-컴팩팅 건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부는 통기 건조기, 적외선 건조기, 충돌 건조기, 접촉 건조기 및 양키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키 건조기는 그것에 대해 맞물리는 이송 롤과 닙을 형성하며, 상기 웨브는 상기 직물과 웨브가 상기 닙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직물로부터 상기 양키 건조기상으로 이송되는, 상기 수분-제거부가 상기 선행-건조부의 하류에 배치되는 선행-건조부와 양키 건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그 상부의 하부를 통과하는 상기 직물 루프의 하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수분-제거부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은 상기 웨브 이송점으로부터의 상기 루프의 일반적으로 하향-주행하는 부분과 상기 웨브-수용 영역을 향해 유도하는 일반적으로 수평 주행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는 상기 루프의 상기 일반적으로 하향-주행하는 부분과 상기 일반적으로 수평 주행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부는, 상기 직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 건조기를 통과하고 그것의 하류에 배치된 상기 웨브 이송점으로 상기 웨브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건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이송점 이후에 위치되는 릴-업을 더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릴-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 건조기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릴-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 건조기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습윤 종이 웨브를 형성시키기 위한 성형부;
    상기 웨브가 상기 직물의 상면상에 일반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직물 루프가 상기 루프의 웨브-수용 영역에서 상기 습윤 종이 웨브를 수용하고 상기 루프의 상부를 따라 상기 웨브를 이송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루프의 상부는 상기 직물 및 웨브가 상기 상부의 하류 단부에서 이송되는 이송 롤을 포함하는, 루프를 형성하는 연속된 직물;
    양키 건조기는 상기 습윤 종이 웨브를 건조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상기 웨브가 닙에서 상기 양키 건조기상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 롤과 닙을 형성하는 양키 건조기;
    세정부는 상기 직물이 상기 웨브-수용 영역으로 다시 진행하는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을 따라 위치되며,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은 상기 웨브가 이송되는 상기 직물 루프의 상부상에 상기 세정부가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상기 직물이 닙을 통과한 후에 상기 직물을 세정시키기 위한 세정부
    를 포함하는, 종이 웨브를 형성시키고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은 상기 닙으로부터의 상기루프의 일반적으로 하향-주행하는 부분과 상기 웨브-수용 영역을 향해 유도하는 일반적으로 수평 주행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는 상기 루프의 상기 일반적으로 하향-주행하는 부분과 상기 일반적으로 수평 주행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웨브를 지지하는 상기 직물의 일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직물 루프가 그것상에서 웨브를 지지하고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연속된 루프 둘레에서 진행하도록 배열된 연속된 건조 직물의 상면상에서 습윤 종이 웨브를 수용하는 단계;
    상기 습윤 종이 웨브의 건조 고체 함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수분-제거 장치를 통해 상기 루프의 상부를 따라 상기 습윤 종이 웨브를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습윤 웨브가 상기 직물상으로 수용되는 위치의 하류에 배치된 웨브 이송점에서 상기 직물로부터 상기 웨브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정부가 상기 웨브를 이송시키는 상기 직물의 소정 부분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세정부가 위치되는, 상기 웨브 이송점 이후에 상기 직물 루프를 따라 배치된 세정부에서 상기 직물을 세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습윤 종이 웨브를 건조시키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비-컴팩팅 건조기를 통해 상기 웨브를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단계는 통기 건조기, 적외선 건조기, 충돌 건조기 및 접촉 건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웨브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로부터 상기 웨브의 분리에 후속되는 양키 건조기상에서 상기 웨브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회귀 주행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직물 루프의 상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직물은 상기 직물 루프의 회귀 주행을 따라 상기 웨브 이송점으로부터 통과되며, 상기 직물은 상기 직물이 상기 회귀 주행을 따라 통과함에 따라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7007753A 1999-12-16 2000-12-04 종이의 습윤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및 연관된 방법 KR20020069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64,587 US6425981B1 (en) 1999-12-16 1999-12-16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drying a wet web of paper
US09/464,587 1999-12-16
PCT/SE2000/002423 WO2001044565A1 (en) 1999-12-16 2000-12-04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drying a wet web of pa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216A true KR20020069216A (ko) 2002-08-29

Family

ID=2384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753A KR20020069216A (ko) 1999-12-16 2000-12-04 종이의 습윤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및 연관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25981B1 (ko)
EP (1) EP1240388A1 (ko)
JP (1) JP3766025B2 (ko)
KR (1) KR20020069216A (ko)
CN (1) CN1192146C (ko)
AU (1) AU2562701A (ko)
BR (1) BR0016500A (ko)
CA (1) CA2394186A1 (ko)
WO (1) WO20010445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2446B2 (en) * 2005-10-18 2008-11-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watering a fabric
DE102008000133A1 (de) * 2008-01-23 2009-07-30 Voith Patent Gmbh Trockenpartie
CN103132361B (zh) * 2011-11-24 2015-04-08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造纸设备及造纸方法
US10201840B2 (en) 2012-04-11 2019-02-12 Gpcp Ip Holdings Llc Process for cleaning a transport belt for manufacturing a paper web
CN106813489A (zh) * 2015-01-13 2017-06-09 阿特尔 一种基于风对流的烘干设备
DE102017118218A1 (de) * 2017-08-10 2019-02-14 Voith Patent Gmbh 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serstoffbahn
MX2021004247A (es) * 2018-11-19 2021-05-28 Valmet Oy Seccion de secado de una maquina de fabricacion de papel que comprende uno o mas cilindros de secado por aire pasante.
CN109722937A (zh) * 2018-12-26 2019-05-07 广西粤桂广业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纸机干燥部真空除水系统
SE543948C2 (en) 2020-09-04 2021-10-05 Valmet Oy Crescent former for producing tissue pap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2185A (en) * 1928-09-27 1930-08-05 Scott Paper Co Method and means for making crepe paper
US2537129A (en) * 1945-10-05 1951-01-09 Beloit Iron Works Structure for web transfers
US3629056A (en) * 1969-04-03 1971-12-21 Beloit Corp Apparatus for forming high bulk tissue having a pattern imprinted thereon
FI54954C (fi) * 1977-07-07 1979-04-10 Valmet Oy Foerfarande i torkpartiet av en pappersmaskin foer att saekra banans oeverfoering fraon presspartiet till torkpartiet
SE8501667L (sv) * 1985-04-03 1986-09-08 Scandiafelt Ab Maskin for formering, pressning och torkning av tunna pappersbanor
US5073235A (en) 1990-04-12 1991-1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chemically treating papermaking belts
CA2083600C (en) 1990-06-29 1996-11-12 Paul Dennis Trokhan Papermaking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differential light transmission techniques
US5260171A (en) 1990-06-29 1993-1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making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a textured casting surface
US5098522A (en) 1990-06-29 1992-03-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making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a textured casting surface
US5275700A (en) 1990-06-29 1994-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making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a deformable casting surface
DE4201551C2 (de) 1992-01-22 1996-04-25 Leybold Ag Zerstäubungskathode
FI98229C (fi) * 1993-08-23 1997-05-12 Valmet Paper Machinery Inc Paperikoneen kuivatusosa
US5776307A (en) 1993-12-20 1998-07-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wet pressed tissue paper with felts having selected permeabilities
US5598643A (en) 1994-11-23 1997-02-04 Kimberly-Clark Tissue Company Capillary dewatering method and apparatus
US5611890A (en) 1995-04-07 1997-03-18 The Proctor & Gamble Company Tissue paper containing a fine particulate filler
FI102623B1 (fi) * 1995-10-04 1999-01-15 Valmet Corp Menetelmä ja laite paperikoneessa
FI102775B (fi) * 1995-06-29 1999-02-15 Valmet Corp Menetelmä ja laite paperi- tai kartonkikoneen kuivatusviiran pesemisek si
US6004430A (en) * 1995-10-04 1999-12-21 Ilvespaa; Heikki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run of a paper web in a paper machine
US5700352A (en) 1996-04-03 1997-1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including a fine particulate filler into tissue paper using an anionic polyelectrolyte
US6030496A (en) * 1997-04-16 2000-0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king a web
DE19723163A1 (de) * 1997-06-03 1998-12-10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Trockenpartie
DE69827726T2 (de) * 1997-07-22 2005-12-22 Voith Paper Patent Gmbh Trocknung mit kontinuierlicher Unterstützung
FI104098B (fi) 1998-03-31 1999-11-15 Valmet Corp Menetelmä ja laite kuiturainan kuivaamiseks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25981B1 (en) 2002-07-30
CA2394186A1 (en) 2001-06-21
JP2003517114A (ja) 2003-05-20
BR0016500A (pt) 2002-09-03
WO2001044565A1 (en) 2001-06-21
AU2562701A (en) 2001-06-25
CN1451064A (zh) 2003-10-22
CN1192146C (zh) 2005-03-09
JP3766025B2 (ja) 2006-04-12
EP1240388A1 (en)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916B1 (en) Simplified through-air drying paper making machine having a twin wire forming section
US4361466A (en) Air impingement web drying method and apparatus
EP0868569B1 (en) Method and device in a paper machine
US5630285A (en) Methods for drying a paper web
US6004430A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run of a paper web in a paper machine
JPH038882A (ja) 紙、ボール紙又はパルプ乾燥機のプレスロール部
KR20020069216A (ko) 종이의 습윤 웨브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및 연관된 방법
WO2005090674A1 (en) Apparatus for conditioning a fabric in a papermaking machine and associated method
US6003241A (en) Drying unit and dryer section that makes use of such units
JP6996030B1 (ja) 1つ以上のスルーエア乾燥シリンダを備える抄紙機の乾燥部
WO20010009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ured tissue paper
EP1003931B1 (en) Alternating top and bottom felted dryers connected without open draw
US6440273B1 (en) Compact multilevel paper mak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a web of paper
CN112352077B (zh) 压榨部
WO1993023616A1 (en) A tissue making apparatus
US8349137B2 (en) Device for dewatering a material web
US20050086834A1 (en) Device for drying a paper web
GB1600518A (en) Web drying apparatus and methods
WO1998004777A1 (en) Method for drying a paper to be surface-treated, in particular fine paper, in an after-dryer in a paper machine, and an after-dryer in a paper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MXPA010057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throughdried tissue product without a throughdrying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