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759A -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759A
KR20020068759A KR1020010009018A KR20010009018A KR20020068759A KR 20020068759 A KR20020068759 A KR 20020068759A KR 1020010009018 A KR1020010009018 A KR 1020010009018A KR 20010009018 A KR20010009018 A KR 20010009018A KR 20020068759 A KR20020068759 A KR 20020068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lephone number
telephone nu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배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8759A/ko
Publication of KR20020068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759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으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요구에 응하여 미리 정해진 형식의 다수개의 전화번호 안내를 요청하는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단문메시지를 수신, 분석하여 전화번호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여 검색된 상기 전화번호 목록에 따리 미리 정해진 형식의 응답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DIRECTORY SERVICE METHOD OF USING SHORT MESSAGE SER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전화번호 안내원에게 전화를 걸어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여 제공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비스는 한번에 하나의 전화번호만을 제공받을 뿐 다수개의 전화번호를 제공받을 수 없다. 또한, 특정 상호를 가지는 전화번호가 아닌 그 지역 주변의 영화관, 식당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목록을 가질 수 있는 분류별 전화번호 안내가 불가능하다. 그리고,전화번호 안내원과 일대일 방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에 경제적 소요가 소비자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전화번호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리한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메시지 흐름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요구에 응하여 미리 정해진 형식의 다수개의 전화번호 안내를 요청하는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단문메시지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전화번호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교환기가 검색된 상기 전화번호 목록에 따리 미리 정해진 형식의 응답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참조번호 내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제어부(11)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부(20)는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음성처리부(19)는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무선부(2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20)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5)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데이터를 제어부(11)로 출력한다. 표시부(13)는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메모리부(17)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되는 “전화번호 검색” 메뉴에 관한 프로그램데이터와 전화번호 요청 단문메시지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41)와 제어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4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추가되는 “전화번호 검색”메뉴는 다수개의 전화번호 서비스를 받기 위해 추가된 메뉴로서 사용자는 상기 전화번호 검색 메뉴를 통해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비스를 통해 제공받은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상기 전화번호 검색 메뉴는 전화번호들이 속하는 임의의 범주별 하위메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식당, 공공기관, 극장, 공연장 등으로 이루어진 하위메뉴를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하는 하위메뉴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 요청 단문메시지의 실질적인 요청 내용이 결정된다.
상기 전화번호 요청 단문메시지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 미리 저장되는 것으로, 도 2에 그 구성을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화번호 요청 단문메시지(30)는 헤더(31)와 메시지내용필드(33)와 체크섬(checksum)(35)으로 구성된다. 헤더(31)는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요청한다'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메시지내용필드(33)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전화번호가 속하는 범주에 따라 실질적인 내용이 달라진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 검색 메뉴의 범주별 하위 메뉴에서 극장이라는 메뉴를 선택한다면 상기 메시지내용필드(33)는 극장에 대응하는 데이터 코드를 갖게된다. 체크섬(35)은 에러 체크을 위한 필드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전화번호 요청 단문메시지(30)를 이동교환국(이하, MSC라 함)으로 전송한다. 전화번호 요청 단문메시지(30)를 수신한 이동국은 해당하는 전화번호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응답단문메시지(4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응답단문메시지(40)는 헤더(41), 카테고리필드(43), 메시지내용필드(45), 체크섬(47)으로 이루어진다. 헤더(41)는 사용자에게 요청에 응답하여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카테고리필드(43)는 서비스하는 전화번호들이 속하는 범주, 예를 들어, 식당, 극장과 같은 임의의 범주에 따른 데이터코드를 갖는다. 메시지내용필드(45)는 실질적인 전화번호들, 식당들의 전화번호, 극장들의 전화번호들로 구성된다. 체크섬(47)은 에러체크를 위한 필드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응답단문메시지를(40)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100)은 카테고리필드(43)에 따라 구분하여 메모리부(17)에 저장한다.
이하 이동 통신 단말(100)과 MSC 간의 상기 전화번호 요청 단문메시지(30)와 응답메시지(40)의 전송 과정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단문메시지들이 전송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200)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BS(Base Transceiver Station/Base station controller:기지국/기지국 제어기)(210)는 이동 통신 단말(100)과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 링크 및 유선 링크를 제어하고, 가입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MSC(230)(Mobile Switching Center:이동 통신 단말 교환기)는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발, 수신 요구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른 MSC와 망 연동을 하고, HLR(220)로 가입자에 대한 조회를 실시한다. 또한 단문메시지가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240)로부터 송신될 경우에 이를 BS(210)에서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해서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반대 방향으로의 메시지 수신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한다. MSC(230)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250)에는 지역과 분야별로 정리된 전화번호 리스트가 저장되어있다. HLR(Home Location Register:가입자 위치 등록)(220)은 가입자 정보 처리장치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중형급 컴퓨터로서, 크게 망 접속장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및 운용관리장치 등의 4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SMSC(230)는 하나의 독립적인 노드로서, HLR(220)과 MSC(230)와 연결되어 수신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 가입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여 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이동 통신 시스템(200)의 MSC(230)는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상기 전화번호요청단문메시지(30)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50)에서 해당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고 응답단문메시지(40)를 구성하고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전화번호 검색 모드인 이동 통신 단말(100)은 301단계에서 전화번호의 범주별 하위 메뉴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전화번호의 범주별 하위 메뉴 목록은 식당, 공공기관, 극장, 공연장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303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100)은 상기 메뉴 목록의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지 확인하여 입력이 있는 경우에 305단계로 진행한다. 305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100)은 발신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 307단계로 진행한다. 307단계에서 이동 통신 단말(100)은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요청 단문메시지(30)를 구성하여 발신한다. 예를 들어, 공연장이라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이 있으면, 상기 메시지내용필드(33)에 공연장에 해당하는 데이터 코드를 입력하여 전화번호요청 단문메지를 구성하고 발신한다.
이후, 309단계에서 상기 전화번호요청 단문메시지(30)는 BS(210)를 통해 MSC(230)로 전송된다. MSC(320)는 311단계에서 전화번호요청 단문메시지(30)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이후 313단계에서 MSC(230)는 데이터베이스(250)에서 해당하는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고 315단계로 진행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100)이 위치한 지역의 분류별 전화번호들 중 수신된 전화번호요청단문메시지(30)의 내용에 따라 식당이나 극장의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한다. 315단계에서 MSC(230)는 검색된 전화번호 목록을 내용으로 하는 응답단문메시지(40)를 구성한다. 이후, 317단계에서 MSC(230)는 SMSC(240)와 BS(210)를 통해 응답단문메시지(40)를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전화번호의 개수가 단문서비스 용량을 초과할시에는 순차적으로 메세지를 보낸다. 이동 통신 단말은 319단계에서 응답단문메시지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주요 전화번호들을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수개의 전화번호를 한번의 전화번호 요청을 통해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 교환국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화번호의 공급자들은 간접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요구에 응하여 미리 정해진 형식의 다수개의 전화번호 안내를 요청하는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단문메시지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전화번호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교환기가 검색된 상기 전화번호 목록에 따리 미리 정해진 형식의 응답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안내 방법.
  2.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지역 전화번호 안내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임의의 범주에 속하는 다수의 전화번호 안내를 요청하는 정해진 형식의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위치한 지역과 상기 임의의 범주에 따라 전화번호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교환기가 검색된 상기 전화번호 목록에 따리 미리 정해진 형식의 응답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전화번호 안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는
    다수개의 전화번호를 요청함을 내용으로 하는 필드와,
    상기 임의의 범주를 내용으로 하는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전화번호 안내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단문메시지는
    상기 다수개의 전화번호를 제공함을 내용으로 하는 필드와,
    상기 임의의 범주를 내용으로 하는 필드와,
    검색된 상기 전화번호 목록을 내용으로 하는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방법.
KR1020010009018A 2001-02-22 2001-02-22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 KR20020068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018A KR20020068759A (ko) 2001-02-22 2001-02-22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018A KR20020068759A (ko) 2001-02-22 2001-02-22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759A true KR20020068759A (ko) 2002-08-28

Family

ID=2769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018A KR20020068759A (ko) 2001-02-22 2001-02-22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87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674B1 (ko) * 2001-09-27 2005-04-13 위즈정보기술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전화번호 등의 정보 조회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113A (ko) * 1996-11-20 1998-08-05 양승택 지능망을 이용한 디렉토리서비스 방법
JP2000184046A (ja) * 1998-12-16 2000-06-30 Nec Corp 電話番号検索サービス付き電話機及び電話番号検索サービス方法
KR20000049381A (ko) * 2000-01-31 2000-08-05 이종일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KR20010077542A (ko) * 2000-02-03 2001-08-20 김종철 무선전화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연락정보 안내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113A (ko) * 1996-11-20 1998-08-05 양승택 지능망을 이용한 디렉토리서비스 방법
JP2000184046A (ja) * 1998-12-16 2000-06-30 Nec Corp 電話番号検索サービス付き電話機及び電話番号検索サービス方法
KR20000049381A (ko) * 2000-01-31 2000-08-05 이종일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KR20010077542A (ko) * 2000-02-03 2001-08-20 김종철 무선전화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연락정보 안내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674B1 (ko) * 2001-09-27 2005-04-13 위즈정보기술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전화번호 등의 정보 조회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5667B2 (en) Remote location based services
KR100279709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단축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US200301867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 time GSM user device profile interrogation and registration
US6041045A (en) Method for accessing an information network from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4638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KR200100264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KR101006484B1 (ko)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100827337B1 (ko) 발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정보서비스 이용 방법
KR20020068759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
KR100667327B1 (ko) Ussd를 이용한 고객 응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619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20020046435A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제공방법
KR20090094315A (ko) 어드레스 북 레코드의 폰­대­폰 전송
KR20020038038A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101022372B1 (ko) 문자 기반의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36447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
KR10040178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문자 메시지를 외부 서버로 전환하는방법
KR1003528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응용 프로토콜 적용방법
KR100442369B1 (ko) 단문 서비스의 정보 메시지를 이용한 서비스 지역 알림 방법
KR100757008B1 (ko) 멀티미디어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9942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 확인방법
KR100953598B1 (ko) 에스엠에스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캐릭터 전송방법
KR100625662B1 (ko)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57006B1 (ko) 멀티미디어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