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449A - 조절수단을 갖는 박막 밸브 - Google Patents

조절수단을 갖는 박막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449A
KR20020068449A KR1020010013539A KR20010013539A KR20020068449A KR 20020068449 A KR20020068449 A KR 20020068449A KR 1020010013539 A KR1020010013539 A KR 1020010013539A KR 20010013539 A KR20010013539 A KR 20010013539A KR 20020068449 A KR20020068449 A KR 20020068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thin film
valve
membran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5392B1 (ko
Inventor
모에스비닐스피터
Original Assignee
플로우콘 인터내셔날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로우콘 인터내셔날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플로우콘 인터내셔날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2006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combined with other safety valves, or with pressur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또는 냉각 시스템이나 열운반 매체를 갖는 유사한 시스템에 있어서 액체 유량의 차압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시키기 위한 박막 밸브(1)에 관한 것이다. 박막 밸브(1)는 제 1 격실(5)에 연결되는 입구 영역(3) 및 출구 영역(4)을 구비한다. 제 1 격실(5)은 제 1 수단(7) 및 박막(8)을 구비한다. 박막(8)의 일측면상에서 제어 유량이 설정된다.
상기 제어 유량은 박막(8)의 일측면상에 배열되는 제 2 격실(6)내에서 설정된다. 제 2 격실(6)과 입구 영역(3) 사이에는 통로(9)가 제공되고, 통로(9)에는 제 2 격실(6)을 향한 그리고 제 2 격실(6)로부터의 매체의 제어 유속을 설정하기 위한 조절수단(2)이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밸브가 일부를 구성하는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박막 밸브가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파이프들 또는 밸브들의 파열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조절수단을 갖는 박막 밸브{A membrane valve with regulation means}
본 발명은 가열 또는 냉각 시스템이나 열운반 매체를 갖는 유사한 시스템에 있어서 액체 유량의 차압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시키기 위한 박막 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박막 밸브는 입구 영역 및 출구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입구 영역 및 출구 영역은 제 1 격실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격실은 제 1 수단 및 박막을 구비한다. 제어 유량은 상기 박막의 일측면상에서 설정된다.
예컨대 WO 94/21949 호를 참조하면, 가열 또는 냉각 시스템용 박막 밸브가 공지되어 있고, 상기 박막 밸브는 입구 및 출구 영역을 구비하며, 입구 및 출구 영역에는 밸브 원추(valve cone)를 구비하는 스핀들이 연결되고, 상기 밸브 원추는 상기 입구 및 출구 영역에 위치되는 시트부(seating)와 협력한다.
스핀들은 압축 스프링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지며 또한 박막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진다. 상기 압축 스프링은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정지구 요소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박막은, 박막 디스크를 경유하여, 스핀들을 스프링 이동에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스핀들은 상기 박막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영역에서 수동적으로 조절가능하게 되므로써, 상기 정지구 요소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다른 위치들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박막은 상기 박막 디스크 및 스핀들에 의해 헐겁게 지지되고; 이러한 지지 방식에 의해, 박막을 박막 디스크로부터 들어올림/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게되며 상기 박막으로 하여금 그 중심 구멍을 경유하여 상기 스핀들의 단부를 따라 슬라이딩/롤링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핀들의 자유 단부에는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구멍은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공구를 수용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핀들은, 스프링 압력이 대응적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정지구 요소가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위치를 차지하도록하기 위해, 상기 공구를 경유하여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박막은 더 큰 또는 더 작은 스프링 압력과 반대로 작용하며, 이러한 압력은 밸브 원추 조절에 있어서의 변화를 유발하고 동시에 상기 시트부를 관통하는 유량 및 차압 레벨에 있어서의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요구되는 차압 레벨은 상기 가열 또는 냉각 시스템의 공급 파이프 및 복귀 파이프내에서 제어 밸브들에 의해 얻어지며; 차압 레벨을 변화시키는 것이 요구될 경우에는, 상기 스핀들이 수동적으로 조절된다.
그러므로, 밸브 자체로는 차압 레벨에 있어서의 가능한 변화들을 보상할 수 없고; 만약 수동적인 보상이 행하여지는 속도가 전체 유압 시스템 및 밸브 고유의 동력학적 특성들에 적합화될 수 없다면, 전체 시스템의 동력학적 특성들에 있어서의 급격한 증가가 유발되며, 이에 따라 설비내의 파이프들 또는 밸브들의 파열이 초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밸브내에 장착되기 위한 드로틀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드로틀 밸브가 장착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박막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박막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밸브에 대한 압력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박막 밸브 2: 드로틀 밸브3: 입구 영역
4: 출구 영역 5: 제 1 격실6: 제 2 격실
7: 압축 스프링 8: 박막9: 유압 통로
10: 스핀들 10': 제 1 단부10": 제 2 단부
11: 안내 나사부 12: 슬로트13: O-링
14: 하우징15: 한정체16: 모터 구동식 서모스탯
17: 스크루우 배열체18: 조절용 삽입체19: 제 1 유압 통로부
20: 제 2 유압 통로부21: 제 3 유압 통로부22: 구성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들을 극복하는 박막 밸브를 제공함에 있고, 상기 박막 밸브는 박막 밸브에 의해 그 일부가 구성되는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은 가열 또는 냉각 시스템이나 열운반 매체를 갖는 유사한 시스템에서 액체 유량의 차압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시키기 위한 박막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박막 밸브는 제 1 격실에 연결되는 입구 영역 및 출구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격실은 제 1 수단 및 일측면상에서 제어 유량이 설정되는 박막을 구비한다. 상기 박막 밸브는, 상기 제어 유량이 박막의 일측면상에 위치되는 제 2 격실내에서 발생되며; 상기 제 2 격실과 입구 영역 사이에는 통로가 제공되고, 통로에는 상기 제 2 격실을 향한 그리고 상기 제 2 격실로부터의 매체의 제어 유속을 설정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막 밸브가 순환 시스템내에 삽입되었을 때, 입구 영역과 출구 영역 사이에서의 매체의 유속은 예컨대 드로틀 밸브의 형태를 취하는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박막 변위의 제어 속도가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박막 밸브의 고유한 동력학적 특성들이 전체 유압 시스템에 적합화되고, 그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동력학적 특성들에 있어서의 급격한 증가가 유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시스템내에서 파이프들 등의 파열이 초래되지 않는다. 상기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압력 변화가 발생되면, 상기 드로틀 밸브가 대응적으로 조절되며, 이에 따라, 박막 변위의 속도 즉 상기 박막 밸브의 동력학적 특성들, 및 상기 순환 시스템을 지배하는 압력이 항상 적합화된다. 최적의 속도는 특정 시스템마다 독특하게 개별화된다.
박막 밸브가 삽입된 시스템의 운전중, 압력의 순간적인 증가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이프들의 파열 위험성이 존재된다. 상기 조절수단을 통한 조절에 의해 상기 통로를 관통하여 액체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박막은 주어진 그리고 요구되는 위치에 유지된다. 전체 박막을 횡단하여 발생되는 압력 평형의 결과로서, 파이프들의 파열 위험성은 제거된다. 그러나, 드로틀 밸브로서도 언급되는 상기 조절수단은 설비가 최초로 가동될 때에는 조절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밸브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스핀들 및 안내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로가 상기 박막 밸브의 구성체를 관통하여 제공되는 구멍으로 구성되므로써, 상기 통로를 관통한 유량은 상기 스핀들의 변위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주어진 시스템에 따라 외부로부터 조절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박막 밸브의 초기 구성시에 상기 통로가 제공될 수 있게 되므로써, 박막 밸브의 연장과 관련되어 발생될 수 있는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실이 상기 입구 영역과 출구 영역 사이에 위치되며 변위가능한 박막에 의해 한정되므로써 가변 체적을 갖게 되고 상기 제 1 수단이 압축 스프링을 구비한다는 사실에 의해, 소형의 단순화된 밸브가 도출되며, 이에 따라 최적 구조가 얻어진다. 또한, 시스템이 가동되었을 때 상기 박막 밸브의 변위는 배타적으로 상기 제 1 수단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실내에 슬로트들이 제공되고 상기 슬로트들은 상기 박막에 대한 상기 제 1 수단의 작용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므로써, 가변적인 변위를 갖는 박막이 매체 관통 유량의 많은 부분 또는 작은 부분을 잘라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는, 매체의 최적 관통 유량을 제공하는조건을 조성하기 위해, 다른 위치들 예컨대 완전히 폐쇄된 위치, 완전히 개방된 위치 또는 다른 위치들을 점유할 수 있다.
또한, 공지의 박막 밸브를 분해할 필요가 없으며 박막 밸브의 단일 부품을 떼어내거나 장착시키는 것으로 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전환에 따른 결점 및 비용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가열/냉각 시스템들의 대역 조절을 위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되는 박막 밸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밸브(1)에 장착되기 위한 조절수단을 도시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스핀들(10)을 구비하는 드로틀 밸브(2)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스핀들(10)은 두 개의 단부, 즉 제 1 단부(10') 및 제 2 단부(10")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단부(10")는 슬로트가 형성된 스크루우로서 형상화된다. 제 2 단부(10")의 연장부에는 안내 나사부(11)가 제공된다. 스핀들(10)의 제 2 단부(10") 및 상기 안내 나사부(11)는 하우징(14)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지며, 상기 스핀들(10)은 표준 공구(도시안됨)에 의해 상기 안내 나사부(11)에서 상기 하우징(14)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단부(10')는 하우징(14)에 의해 얼마간 둘러싸여진다. 조절 작업은 전체 시스템의 폐쇄중 부분적으로 행하여질 수 있고 또한 상기 전체 시스템의 작동중 부분적으로행하여질 수 있다.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O-링(13) 형태의 시일이 상기 제 2 단부(10") 둘레에 제공된다.
도 2 및 도 3에는, 도 1에 도시한 드로틀 밸브(2)가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밸브를 도시한다.
상기 박막 밸브(1)는 입구 영역(3) 및 출구 영역(4)을 구비한다. 상기 출구 영역(4)은 입구 영역(3)에 대향되도록 위치되지만 입구 영역(3)의 연장부에 존재되지는 않는다. 입구 영역(3)과 출구 영역(4) 사이에는, 제 1 격실(5) 및 제 2 격실(6)이 제공된다. 상기 제 2 격실(6)은 상기 제 1 격실(5)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된다. 박막(8)이 상기 제 1 및 제 2 격실들(5 및 6)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박막(8)은 압축 스프링의 형태를 취하는 제 1 수단(7)에 의해 수직방향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격실(6)의 체적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입구 영역(3) 및 출구 영역(4)의 한정체들(limitations)(15)을 지나서 연장되는 제 2 격실(6)의 연장부에는, 공지된 원칙에 따라, 스크루우 배열체(17)가 제공된다. 상기 스크루우 배열체(17)는 박막 밸브(1)의 세팅을 위한 모터 구동식 서모스탯(16)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전체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거나 또는 발산되도록 요구되는 온도가 필요조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격실(5)내에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제 1 수단(7)이 제공된다. 제 1 수단(7)의 일단부는 상기 제 1 격실(5)의 상부 벽(5')에 고정되고, 제 1 수단(7)의 다른 단부는 상기 박막(8)상에 위치된다. 상기 압축스프링(7)은 수직방향 변위시에 박막(8)에 힘을 인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박막(8)은 제 2 격실(6)의 영역을 더 큰 정도로 또는 더 작은 정도로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제 1 격실(5)의 둘레에는 조절용 삽입체(18)가 배설되고, 상기 조절용 삽입체(18)에 상단부가 인접되도록 슬로트(12)들이 마련된다. 상기 슬로트(12)들은 그들의 축방향에서 박막(8)에 대한 압축 스프링(7)의 작용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로트(12)들은 제 1 격실(5) 전체에 대해 균일하게 고정적으로 마련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압축 스프링(7)은 수직방향에서 상기 슬로트(12)들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로트(12)들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상기 입구 영역(3)의 최하단부와 상기 제 2 격실(6) 사이에는 유압 통로(9)가 제공되고, 상기 유압 통로(9)는 박막 밸브(1)의 구성체(2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멍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유압 통로(9)는 상기 입구 영역(3)으로부터 상기 제 2 격실(6)을 향한 매체의 관통-유동을 허용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유압 통로(9)는 세 개의 유압 통로부, 즉, 제 1 유압 통로부(19), 제 2 유압 통로부(20) 및 제 3 유압 통로부(21)를 구비한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 통로부(19)는 상기 제 2 격실(6)을 향하여 방위되며(oriented) 상기 입구 영역(3)의 대체로 수평적인 하부 부분(3')에 대해 예각을 형성한다. 제 2 유압 통로부(20)는 제 1 유압 통로부(19)의 연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격실(5) 또는 제 2 격실(6)에 관하여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제 2 유압 통로부(20)의 제 2 단부(20')는 상기 드로틀 밸브(2)의 상부에 배설된다. 드로틀 밸브(2)는 축방향에서 상기 입구 영역(3)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슬로트가 형성된 스크루우(11) 및 스핀들(10)을 구비한다. 유압 통로(9)의 제 3 유압 통로부(21)는 스핀들(10)의 제 1 단부(10')의 연장선상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 3 유압 통로부(21)는 상기 제 2 격실(6)로 직접적으로 이어진다.
도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 통로부(19)는 제 2 격실(6)의 바닥을 향하여 수직방향에서 상기 입구 영역(3)의 수평적인 하부(3')에 대하여 대체로 90°의 각도로 배향된다. 상기 제 2 유압 통로부(20)는 수직방향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 1 유압 통로부(19)의 연장부에서 상기 입구 영역(3)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3 유압 통로부(21)는 상기 제 2 유압 통로부(20)의 연장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유압 통로부(21)는 제 1 유압 통로부(19)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 3 유압 통로부(21)는 상기 제 2 격실(6)로 직접적으로 이어진다. 상기 드로틀 밸브(2)는 상기 제 1 유압 통로부(19)와 연관되어 장착된다.
상기 조절수단(2)은 세 개의 상태들, 즉 완전히 개방된 상태, 개방된 상태 및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 유지될 수 있다. 드로틀 밸브(2)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유지되면, 상기 매체는 입구 영역(3)을 관통하여 그리고 파이프(도시안됨)를 경유하여 상기 박막 밸브(1)로 유동되고, 상기 슬로트가 형성된 스크루우(11)를 향하여 부분적으로 유동되도록 그리고 부분적으로 상기 조절용 삽입체(18)를 둘러싸도록 분할된다. 매체의 유동은 부분적으로는 상기 슬로트(12)들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즉 상기 제 1 격실(5)로부터 출구 영역(4)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루어지고또한 부분적으로는 상기 슬로트가 형성된 스크루우(11)를 경유하여 박막(8)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2 격실(6)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박막(8)의 변위에 의해, 박막 밸브(1)가 매체의 관통-유동에 대해 제공하는 저항이 조절된다. 이러한 저항은 박막(8)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한 유압 작용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대향되는 힘들 및 상기 박막(8)의 압력 제공 영역과 상기 압축 스프링(7) 사이의 평형에 의해 결정된다. 통로(9)를 경유하여 박막(8) 하부의 제 2 격실(6)을 연결시키는 조절 밸브(1) 전방에서의 유압과, 상기 박막 밸브(1) 및 제 1 격실(5)의 전방에서의 상기 유압과 관련하여 감소되는, 박막(8) 상부의 제 1 격실(5)내의 유압 사이의 차이로서 dP로 표기되는 차압은 박막(8)으로부터의 A로 표기되는 압력-제공 영역과 함께, P로 표기되는 힘을 인가하며;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된다: dP x A = P. 이 식에서, 힘 P는 압축 스프링(7)에 의한 압축에 의해 생성되는 힘과 동일하다.
박막 밸브(1)의 전방에서의 즉 상기 제 1 격실(5)내에서의 유체 압력의 변화는 박막(8) 변위의 개시를 유발하고, 박막(8)의 변위는 유압적인 힘들과 상기 압축 스프링 사이의 힘의 평형이 재설정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러한 변위의 변화, 즉 상기 박막(8) 하부의 제 2 격실(6)의 압축 체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속도는 매체가 상기 제 2 격실(6)을 향하여 또는 제 2 격실(6)로부터 상기 유압 통로(9)를 관통하여 얼마나 빠르게 유동가는 가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드로틀 밸브(2)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단지 공지된 바와 같은 효과만이 얻어지며, 즉, 박막 밸브(1)는 매체의 조절되는 방식으로의 관통-유동을 유지한다.
상기 제 1 격실(5)을 통과한 후에, 매체는 출구 영역(4)으로 유동되고 그리고나서 상기 출구 영역(4)으로부터 출구 파이프(도시안됨)로 유동된다.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격실(6)을 향한 매체의 관통-유동은 차폐되고, 이에 따라, 박막(8)의 동력학적인 이동은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 밸브(1)는 정압적인 조절 밸브로서 작용한다.
개방된 상태에서는, 즉 드로틀 밸브(2)내의 조절 수단(11)이 축방향으로 조절되고 스핀들(10)의 일단부(10')가 제 2 격실(6)로의 매체의 특정 관통-유동을 허용하는 때에는, 제 2 격실(6)내의 체적이 박막(8)의 가변적인 변위에 의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제 2 격실(6)을 향한 또는 제 2 격실(6)로부터의 매체의 유속은 그러므로 조절되어, 박막 밸브(1)의 동력학적 특성들로 하여금, 박막 밸브(1)가 일부를 구성하는 특정 순환 시스템에 적합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터 구동식 서모스탯(16)이 활성화되었을 때, 상기 압축 스프링(7)은 다른 위치들에 유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박막(8)도 다른 위치들에 유지되고 상기 제 2 격실(6)은 다른 체적들을 갖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밸브(1)용 압력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상기 압력 다이어그램은 각각 상기 입구 영역(3), 출구 영역(4), 제 1 격실(5) 및 제 2 격실(6)에 대한 압력 표시 기호를 포함한다.
예컨대, 박막 밸브(1)의 동력학적 특성들이 상기 박막 밸브(1)가 일부를 구성하는 특정 순환 시스템에 적합화되도록 상기 드로틀 밸브(2)가 정확하게 세팅된 상태에서는, 입구 영역(3)내의 압력 P1은 출구 영역(4)내의 압력 P3와 대체로 동일하게 된다.
만약 온도에 있어서의 증가가 요구되어, 모터 구동식 서모스탯(16)이 압축 스프링(7)의 압축을 유발하면, 제 2 격실(6)내의 체적은 감소되며 매체가 제 2 격실(6)을 향하여 유동될 때의 유속은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압력 P1이 증가된다. 제 1 격실(5)내의 체적이 대응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압력 P2도 또한 증가된다. 따라서, 출구 영역(4)으로 유동되는 매체의 유속이 증가되며, 압력 P1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응하여 압력 P3가 증가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황하에서는, 입구 영역(3)과 출구 영역(4) 사이에서 압력 평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낮은 온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제 2 격실(6)의 체적이 증가되고 매체가 제 2 격실(6)을 향하여 유동될 때의 유속은 감소되며, 결과적으로 압력 P1이 감소된다. 제 1 격실(5)내의 체적이 대응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압력 P2도 또한 감소된다. 따라서, 출구 영역(4)으로 유동되는 매체의 유속은 감소되고, 압력 P1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응하여 압력 P3가 증가된다. 그러므로, 드로틀 밸브(2)가 올바르게 세팅되었을 때, 박막(8)상에서 압력의 평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파이프들 또는 밸브들의 파열 위험성이 제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박막밸브가 제공된다.
박막 밸브가 순환 시스템내에 삽입되었을 때, 입구 영역과 출구 영역 사이에서의 매체의 유속은 예컨대 드로틀 밸브의 형태를 취하는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박막 변위의 제어 속도가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박막 밸브의 고유한 동력학적 특성들이 전체 유압 시스템에 적합화되고, 그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동력학적 특성들에 있어서의 급격한 증가가 유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시스템내에서 파이프들 등의 파열이 초래되지 않는다. 상기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압력 변화가 발생되면, 상기 드로틀 밸브가 대응적으로 조절되며, 이에 따라, 박막 변위의 속도 즉 상기 박막 밸브의 동력학적 특성들, 및 상기 순환 시스템을 지배하는 압력이 항상 적합화된다. 최적의 속도는 특정 시스템마다 독특하게 개별화된다.
박막 밸브가 삽입된 시스템의 운전중, 압력의 순간적인 증가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이프들의 파열 위험성이 존재된다. 상기 조절수단을 통한 조절에 의해 상기 통로를 관통하여 액체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박막은 주어진 그리고 요구되는 위치에 유지된다. 전체 박막을 횡단하여 발생되는 압력 평형의 결과로서, 파이프들의 파열 위험성은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밸브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스핀들 및 안내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로가 상기 박막 밸브의 구성체를 관통하여 제공되는 구멍으로 구성되므로써, 상기 통로를 관통한 유량은 상기 스핀들의 변위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주어진 시스템에 따라 외부로부터 조절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박막 밸브의 초기 구성시에 상기 통로가 제공될 수 있게 되므로써, 박막 밸브의 연장과 관련되어 발생될 수 있는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실이 상기 입구 영역과 출구 영역 사이에 위치되며 변위가능한 박막에 의해 한정되므로써 가변 체적을 갖게 되고 상기 제 1 수단이 압축 스프링을 구비한다는 사실에 의해, 소형의 단순화된 밸브가 도출되며, 이에 따라 최적 구조가 얻어진다.
또한, 공지의 박막 밸브를 분해할 필요가 없으며 박막 밸브의 단일 부품을 떼어내거나 장착시키는 것으로 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전환에 따른 결점 및 비용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Claims (7)

  1. 제 1 격실(5)에 연결되는 입구 영역(3) 및 출구 영역(4)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격실(5)은 제 1 수단(7) 및 일측면상에서 제어 유량이 설정되는 박막(8)을 구비하는, 가열 또는 냉각 시스템이나 열운반 매체를 갖는 유사한 시스템에서 액체 유량의 차압을 일정한 레벨로 유지시키기 위한 박막 밸브(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량이 박막(8)의 일측면상에 배열되는 제 2 격실(6)내에서 설정되며; 상기 제 2 격실(6)과 입구 영역(3) 사이에는 통로(9)가 제공되고, 통로(9)에는 상기 제 2 격실(6)을 향한 그리고 상기 제 2 격실(6)로부터의 매체의 제어 유속을 설정하기 위한 조절수단(2)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2)이 스핀들(10) 및 안내 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9)가 상기 박막 밸브(1)의 구성체(22)를 관통하여 제공되는 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밸브.
  4.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실(6)이 상기 입구 영역(3)과 출구 영역(4) 사이에 위치되며, 변위가능한 박막(8)에 의해 한정되므로써 가변 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밸브.
  5. 상기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7)이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밸브.
  6. 상기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실(5)내에 슬로트(12)들이 제공되고, 상기 슬로트(12)들은 상기 박막(8)에 대한 상기 제 1 수단(7)의 작용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밸브.
  7. 가열/냉각 시스템들의 대역 조절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기재된 박막 밸브의 용도.
KR1020010013539A 2001-02-21 2001-03-16 조절수단을 구비한 박막 밸브 KR100755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200100281A DK200100281A (da) 2001-02-21 2001-02-21 Membranventil med reguleringsmiddel
DKPA200100281 2001-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449A true KR20020068449A (ko) 2002-08-27
KR100755392B1 KR100755392B1 (ko) 2007-09-04

Family

ID=816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539A KR100755392B1 (ko) 2001-02-21 2001-03-16 조절수단을 구비한 박막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55392B1 (ko)
DK (1) DK20010028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6897A3 (en) * 2007-11-22 2009-08-13 Jae Chern Yoo Thin film valve device and its controlling apparatus
KR101221574B1 (ko) * 2008-04-18 2013-01-16 오벤트롭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유동 속도 또는 차압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결합체
JP2017524191A (ja) * 2014-07-25 2017-08-24 オーヴェントロプ・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調整器具
WO2020002337A1 (en) * 2018-06-29 2020-01-02 Siemens Schweiz Ag Control valv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7340B1 (da) 2011-07-08 2013-01-28 Flowcon Int As Ventil
DK178182B1 (en) * 2014-01-10 2015-07-27 Flowcon Internat Aps A control valv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07952U1 (de) * 1994-05-13 1994-07-14 ASV Stübbe GmbH & Co KG, 32602 Vlotho Druckhalteventil
IT1287785B1 (it) * 1996-05-16 1998-08-18 Htm Sport Spa Riduttore di pressione, per il primo stadio di riduzione degli autorespiratori subacquei bistadio.
JPH11125344A (ja) * 1997-10-20 1999-05-11 Ebara Corp 弁装置
JP3590572B2 (ja) * 2000-09-06 2004-11-17 アドバンス電気工業株式会社 逆止弁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6897A3 (en) * 2007-11-22 2009-08-13 Jae Chern Yoo Thin film valve device and its controlling apparatus
KR101221574B1 (ko) * 2008-04-18 2013-01-16 오벤트롭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유동 속도 또는 차압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결합체
JP2017524191A (ja) * 2014-07-25 2017-08-24 オーヴェントロプ・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調整器具
WO2020002337A1 (en) * 2018-06-29 2020-01-02 Siemens Schweiz Ag Control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392B1 (ko) 2007-09-04
DK200100281A (da)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257A (en) Flow control valve with integrated pressure controller
US5396918A (en) Water pressure regulator and method for regulating pressure through a valve
US10215291B2 (en) Regulating device
KR20110121601A (ko) 유량 제한 펑션 및 델타p-펑션을 구비한 밸브
CN106122551B (zh) 用于调节平衡阀的大小的机构及方法
US3253615A (en) Valve assembly
KR20190052662A (ko) 차압유량조절밸브
AU3513895A (en) Valve for a system having a heat carrying medium
KR20020068449A (ko) 조절수단을 갖는 박막 밸브
US3896844A (en) Fluid flow regulating apparatus
US2874924A (en) Valve
US3482777A (en) Modulating valve construction
US3265303A (en) Temperature regulating valve
US2069808A (en) Gas regulator
KR960700467A (ko) 개선된 자동 재순환 밸브(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US3884260A (en) Diaphragm valve apparatus and control systems employing such valve apparatus
EP0661487B1 (en) Valve
US1408744A (en) Thermostatically-operated ammonia expansion valve
DK143208B (da) Trykregulator for stroemmende medier
JP3583851B2 (ja) クリーンガス用減圧弁
JP2837218B2 (ja) 前制御される減圧弁
KR200404834Y1 (ko) 감압밸브
GB2270139A (en) Flow control for mixing valves
KR20190100186A (ko) 차동 압력 및/또는 체적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피팅
US5232070A (en) Up leveling control system for small elev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