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292A -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 - Google Patents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292A
KR20020068292A KR1020020008928A KR20020008928A KR20020068292A KR 20020068292 A KR20020068292 A KR 20020068292A KR 1020020008928 A KR1020020008928 A KR 1020020008928A KR 20020008928 A KR20020008928 A KR 20020008928A KR 20020068292 A KR20020068292 A KR 20020068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mic acid
gene
medium
organic nitrogen
microorg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다다카유키
사토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8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4Glutamic acid; Glut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11/00Other nitrogenous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6Waste from chem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diestillation, roasting, cooking
    • C05F5/008Waste from biochem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fermentation, brew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지닌 미생물을 L-글루탐산이 침전되도록 하는 조건으로 pH가 조정된 액상 배지 속에서 배양하여, L-글루탐산의 침전을 수반하면서 L-글루탐산을 생성 및 축적시키고, 당해 배지로부터 L-글루탐산을 분리시켜 수득한 발효 모액을 포함하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Organic nitrogen-containing composition and fertiliz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료용 원료로서 사용 가능한, L-글루탐산 발효 폐액(waste liquor)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에 관한 것이다.
L-글루탐산은 주로, 브레비박테리움(Brevibacterium),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또는 마이크로박테리움(Microbacterium)속에 속하는 소위 L-글루탐산 생산 코리네형(coryneform) 세균 또는 이의 돌연변이체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생성시킨다[참조: Amino Acid Fermentation, Gakkai Shuppan Center, pp.195-215, 1986]. 기타 세균성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L-글루탐산을 생성시키는 방법으로서, 바실러스(Bacillus),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페니실륨(Penicillium)속 등에 속하는 미생물을 사용하는 방법(미국 특허 제3,220,929호); 슈도모나스(Pseudomonas), 아르트로박터(Arthrobacter), 세라티아(Serratia), 칸디다(Candida)속 등에 속하는 미생물을 사용하는 방법(미국 특허 제3,563,857호); 바실러스, 슈도모나스, 세라티아, 에어로박터 에어로게네스(Aerobacter aerogenes)[현재 엔테로박터 에어로게네스(Enterobacter aerogenes)로 지칭됨]속 등에 속하는 미생물을 사용하는 방법(일본 특허공보 제32-9393호);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의 돌연변이체 균주를 사용하는 방법(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244970호) 등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클렙시엘라(Klebsiella), 에르위니아(Erwinia) 또는 판토에아(Pantoea)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사용함으로써 L-글루탐산을 생성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106869호).
추가로, 재조합 DNA 기술 사용을 통하여 L-글루탐산 생합성 효소의 활성을 증진시킴으로써 L-글루탐산 생성 능력을 개선시키는 각종 기술이 보고되었다. 예를 들면,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으로부터 유도된 시트레이트 신타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도입하는 것이 코리네박테리움 또는 브레비박테리움속 세균에서의 L-글루탐산 생산 능력 증강에 유효하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7-121228호].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1-268185호에는 코리네박테리움속 세균으로부터 유도된 글루타메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DNA를 수반하는 세포가 기재되어 있다. 추가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3-214189호에는 글루타메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유전자, 이소시트레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유전자, 아코니테이트 하이드라타제 유전자 및 시트레이트 신타제 유전자를 증폭시킴으로써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증대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L-글루탐산의 생성 방법에 관해 언급하면, L-글루탐산 회수 후의 모액을 비료 등의 원료로서 사용하여 왔다[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0-129363호, 일본 특허공보 제35-1696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2-7872호]. 따라서, 발효에 의한 L-글루탐산의 생성 방법에서는, L-글루탐산의 생산력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비료 원료에 보다 적합한 모액을 수득하는 것이 요망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배양물 내에 축적된 L-아미노산이 결정화됨에 따라 발효가 수행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2-288호]. 이러한 방법에서는, 배양물 중에 축적된 L-아미노산을 침전시킴으로써 이러한 배양물 중의 L-아미노산 농도를 특정 수준 이하로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배양물의 온도와 pH를 조정하거나 계면활성제를 배지에 가함으로써 발효 동안에 L-트립토판, L-티로신 또는 L-루이신을 침전시킨다.
L-아미노산 침전을 수반하여 발생되는 발효를 수행하는 방법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긴 하지만, 이러한 방법에 적합한 아미노산은 수용해도가 비교적 낮은 것이며, 이 방법을 L-글루탐산과 같이 고도로 수용성인 아미노산에 적용한 예는 전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배지는 L-글루탐산을 침전시키기위해 낮은 pH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L-글루탐산 생산 세균은 산성 조건 하에서 생장할 수 없으므로, L-글루탐산 발효는 중성 조건 하에서 수행한다[참조: 미국 특허 제3,220,929호 및 제3,032,474호; K.C. Chao & J.W. Foster, J. Bacteriol., 77, pp.715-725(1959)]. 따라서, 침전을 수반하는 발효에 의해 L-글루탐산을 생성시키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더우기, 대부분의 호산성 세균의 생장은 아세트산, 락트산 및 숙신산 등의 유기 산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참조: Yasuro Oshima Ed., "Extreme Environment Microorganism Handbook", p.231, Science Forum; R.M. Borichewski, J. Bacteriol., 93, pp.597-599(1967) etc]. 따라서, 많은 미생물이 산성 조건 하에서 유기산이기도 한 L-글루탐산에 감수성인 것으로 간주되며, 산성 조건 하에서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나타내는 미생물에 관하여 조사하였다는 보고가 전혀 없었다.
상기 언급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L-글루탐산 생산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비료 등의 원료로서 사용하기에 보다 적합한 발효 모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지닌 미생물을 L-글루탐산이 침전되도록 하는 조건으로 pH가 조정된 액상 배지 속에서 배양하여, L-글루탐산의 침전을 수반하면서 L-글루탐산을 생성 및 축적시키고, 당해 배지로부터 L-글루탐산을 분리시켜 수득한 발효 모액이, 다량의 유기 질소를 함유하고 비료 등의 원료로서 적합한 물질이라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은 pTWVEK101에서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Enterobacter agglomerans)로부터 유도된 DNA 단편의 제한 효소 지도이다.
도 2는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로부터 유도된sucA유전자와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로부터 유도된sucA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 추론된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 도시한 것이다(상단: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칼럼: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다음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도 3은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로부터 유도된sucB유전자와 에스케리키아 콜라이로부터 유도된sucB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 추론된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로부터 유도된sucC유전자와 에스케리키아 콜라이로부터 유도된sucC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 추론된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로부터 유도된sdhB유전자와 에스케리키아 콜라이로부터 유도된sdhB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 추론된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6은gltA유전자,ppc유전자 및gdhA유전자를 함유하는 플라스미드 pMWCPG의 작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광범위한 숙주 범위의 플라스미드 RSF1010의 복제 기점과 테트라사이클린 내성 유전자를 함유하는 플라스미드 RSF-Tet의 작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광범위한 숙주 범위의 플라스미드 RSF1010의 복제 기점, 테트라사이클린 내성 유전자,gltA유전자,ppc유전자 및gdhA유전자를 함유하는 플라스미드 RSFCPG의 작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gltA유전자를 함유하는 플라스미드 pSTVCB의 작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사항을 제공한다:
(1)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지닌 미생물을 L-글루탐산이 침전되도록 하는 조건으로 pH가 조정된 액상 배지 속에서 배양하여, L-글루탐산의 침전을 수반하면서 L-글루탐산을 생성 및 축적시키고, 당해 배지로부터 L-글루탐산을 분리시켜 수득한 발효 모액을 포함하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2) 상기 미생물이 엔테로박터속에 속하는, (1)에 따르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3) 미생물이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인, (2)에 따르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4) 미생물이, 특정 pH에서, 포화 농도의 L-글루탐산과 탄소 공급원을 함유하는 액상 배지에서 탄소 공급원을 대사시킬 수 있고, 특정 pH의 액상 배지에서 L-글루탐산의 포화 농도를 초과하는 양의 L-글루탐산을 축적시키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르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5) 특정 pH가 5.0 이하인, (4)에 따르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6) 상기 미생물에 의한 L-글루탐산 생성에 적합한 pH가 L-글루탐산이 배지에서 침전되는 pH이고, 이러한 pH의 배지에서의 배양 동안에, L-글루탐산의 침전을수반하면서 L-글루탐산이 생성 및 축적되는 (4) 또는 (5)에 따르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7)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르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
본 발명에 따라서, 비료 등의 원료에 적합한 발효 모액을 발효에 의해 효율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유기 질소는 총 질소 중에서 암모니아 질소 이외의 질소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질, 핵산 등을 구성하는 유기 물질 내에 함유된 질소이다.
본 발명의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은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지닌 미생물을 L-글루탐산이 침전되도록 하는 조건으로 pH가 조정된 액상 배지 속에서 배양하여, L-글루탐산의 침전을 수반하면서 L-글루탐산을 생성 및 축적시키고, 당해 배지로부터 L-글루탐산을 분리시켜 수득한 발효 모액으로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지닌 미생물의 예에는 엔테로박터 속에 속하는 미생물이 포함된다.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가 바람직하다.
추가로, 본 발명에 사용된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지닌 미생물은 바람직하게는, 특정 pH에서, 포화 농도의 L-글루탐산과 탄소 공급원을 함유하는 액상 배지에서 상기 탄소 공급원을 대사시킬 수 있고, 전술된 pH의 액상 배지에서 L-글루탐산의 포화 농도를 초과하는 양의 L-글루탐산을 축적시키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 미생물이다(이는 "L-글루탐산 축적 미생물"로서 후술된다). 전술된 특정 pH는 바람직하게는, L-글루탐산이 배지 중에 침전되는 pH이고, 이러한 pH는 통상 5.0 이하이다.
"포화 농도"는 액상 배지를 L-글루탐산으로 포화시킨 경우에 이러한 액상 배지에 용해된 L-글루탐산의 농도를 의미한다.
L-글루탐산 축적 미생물이 사용된 경우에는, L-글루탐산 생산에 적합한 pH가 바람직하게는, L-글루탐산이 배지에 침전되는 pH이다. 이 pH에서 배양을 수행함으로써, L-글루탐산의 침전을 수반하면서 상기 배지에서 L-글루탐산이 생성 및 축적된다.
L-글루탐산 축적 미생물은 다음과 같이 수득할 수 있다. 미생물 함유 샘플을, 특정 pH에서 포화 농도의 L-글루탐산과 탄소 공급원을 함유하는 액상 배지에 접종하고, 상기 탄소 공급원을 대사시키는 균주를 선별한다. 상기 특정 pH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는 통상적으로 약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4.5 이하,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약 4.3 이하이다. L-글루탐산 축적 미생물은 L-글루탐산의 침전을 수반한 발효에 의해 L-글루탐산을 생성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pH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해당 미생물이 침전에 충분한 양의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pH는 전술된 범위가 바람직하다.
L-글루탐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의 pH를 낮춘 경우에는, L-글루탐산의 용해도가 대략 γ-카복실 그룹의 pKa 값으로 상당히 떨어진다(4.25, 25℃). 이 용해도는 등전점(pH 3.2)에서 가장 낮아지며, 포화 농도에 상응하는 양을 초과하는 L-글루탐산이 침전된다. 배지 조성에 좌우되긴 하지만, L-글루탐산을 약 30℃에서, pH 3.2 하에 10 내지 20g/L, pH 4.0 하에 30 내지 40g/L 및 pH 4.7 하에 50 내지 60g/L의 양으로 용해시킨다. 통상적으로, pH를 3.0 이하로 만들 필요는 없는데, 이는 pH가 특정 값 아래가 되면 L-글루탐산 침전 효과가 이의 상한치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pH는 3.0 이하일 수도 있다.
또한, 미생물이 "탄소 공급원을 대사시킬 수 있는"이란 표현은 상기 미생물이 증식될 수 있거나 또는 이것이 증식될 수 없는 경우일지라도 탄소 공급원을 소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즉 이것이 당 또는 유기 산과 같은 탄소 공급원을 대사시킨다는 것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예를 들어, 미생물을 pH 5.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pH 4.5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4.3 내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에서, 적당한 온도, 예를 들면, 28℃, 37℃ 또는 50℃ 하에 2 내지 4일 동안, 포화 농도의 L-글루탐산을 함유하는 액상 배지에서 배양하는 경우에 상기 미생물이 증식된다면, 이러한 미생물은 상기 배지 중의 탄소 공급원을 대사시킬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면, 미생물을 pH 5.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pH 4.5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4.3 내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에서, 적당한 온도, 예를 들면, 28℃, 37℃ 또는 50℃ 하에 2 내지 4일 동안, 포화 농도의 L-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합성 액상 배지에서 배양하는 경우에, 상기 미생물이 증식되지 않는 경우일지라도 이것이 탄소 공급원을 소모한다면, 이러한 미생물은 상기 배지 중의 탄소 공급원을 대사시킬 수 있는 미생물이다.
탄소 공급원을 대사시킬 수 있는 미생물에는 전술된 액상 배지에서 생장할수 있는 미생물이 포함된다.
추가로, 미생물이 "생장할 수 있다"라는 표현은 상기 미생물이 증식될 수 있거나 또는 이것이 증식될 수 없는 경우일지라도 L-글루탐산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예를 들어, 미생물을 pH 5.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pH 4.5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4.3 내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에서, 적당한 온도, 예를 들면, 28℃, 37℃ 또는 50℃ 하에 2 내지 4일 동안, 포화 농도의 L-글루탐산을 함유하는 액상 배지에서 배양하는 경우에 상기 미생물이 증식한다면, 이러한 미생물은 상기 배지에서 생장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면, 미생물을 pH 5.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pH 4.5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4.3 내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에서, 적당한 온도, 예를 들면, 28℃, 37℃ 또는 50℃ 하에 2 내지 4일 동안, 포화 농도의 L-글루탐산을 함유하는 합성 액상 배지에서 배양하는 경우에, 상기 미생물이 증식되지 않는 경우일지라도 이것이 상기 합성 액상 배지 중의 L-글루탐산의 양을 증가시킨다면, 이러한 미생물은 상기 배지에서 생장할 수 있는 미생물이다.
상기 언급된 선별 과정을 동일한 조건 하에서 2회 이상 반복하거나, 또는 pH 또는 L-글루탐산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2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초기 단계에 대한 선별은 포화 농도보다 낮은 농도로 L-글루탐산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그 후에는, 포화 농도의 L-글루탐산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후속 선별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탁월한 증식률과 같은 바람직한 특성을 지닌 균주를 선별할 수 있다.
L-글루탐산 축적 미생물은 상기 언급된 특성 이외에도, L-글루탐산의 포화 농도에 상응하는 양을 초과하는 양으로 L-글루탐산을 액상 배지에 축적시키는 능력을 지닌 미생물이다. 전술된 액상 배지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특성을 지닌 미생물을 스크리닝하기 위해 사용된 배지의 pH와 동일하거나 이에 근접하다. 통상적으로, pH가 낮아짐에 따라 미생물은 고농도의 L-글루탐산에 감수성이 된다. 따라서, L-글루탐산에 대한 내성 측면에서 보면 pH가 낮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의 침전을 수반한 L-글루탐산의 생성 측면에서 보면 낮은 pH가 바람직하다. 이들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pH가 3 내지 5,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7,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5,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3의 범위일 수 있다.
L-글루탐산 축적 미생물 또는 이에 대한 육종 물질로서, 예를 들면, 엔테로박터속, 클렙시엘라속, 세라티아속, 판토에아속, 에르위니아속, 에스케리키아속, 코리네박테리움속, 알리사이클로바실러스속(Alicyclobacillus), 바실러스속, 사카로마이세스속 등에 속하는 미생물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엔테로박터속에 속하는 미생물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미생물은 주로 엔테로박터속에 속하는 미생물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당해 미생물은 이러한 엔테로박터속에 속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속에 속하는 미생물도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엔테로박토속에 속하는 미생물로서,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바람직하게는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5 균주가 구체적으로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균주는 낮은 pH에서 L-글루탐산과 탄소 공급원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증식할 수 있는 균주로서, 이와타시(Iwata-shi, Shizuoka, Japan) 내의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AJ13355의 생리학적 특성이 다음에 제시된다:
(1) 그람 염색: 음성
(2) 산소에 대한 행위: 조건적
(3) 카탈라제: 양성
(4) 옥시다제: 음성
(5) 질산염 환원능: 음성
(6) 보게스-프로스카우어(Voges-Proskauer) 시험: 양성
(7) 메틸 레드 시험: 음성
(8) 우레아제: 음성
(9) 인돌 생성: 양성
(10) 운동성: 운동성
(11) TSI 배지에서의 H2S 생성: 약하게 활성을 나타냄
(12) β-갈락토시다제: 양성
(13) 사카라이드-동화 특성:
아라비노즈: 양성
슈크로즈: 양성
락토즈: 양성
크실로즈: 양성
소르비톨: 양성
이노시톨: 양성
트레할로즈: 양성
말토즈: 양성
글루코즈: 양성
아도니톨: 음성
라피노즈: 양성
살리신: 음성
멜리비오즈: 양성
(14) 글리세로즈-동화 특성: 양성
(15) 유기산-동화 특성:
시트르산: 양성
타르타르산: 음성
글루콘산: 양성
아세트산: 양성
말론산: 음성
(16) 아르기닌 데하이드라타제: 음성
(17) 오르니틴 데카복실라제: 음성
(18) 리신 데카복실라제: 음성
(19) 페닐알라닌 데아미나제: 음성
(20) 색소 형성: 황색
(21) 젤라틴 액화 능력: 양성
(22) 생장 pH: pH 4에서는 생장이 가능하고, pH 4.5 내지 7에서는 생장이 우수하다
(23) 생장 온도: 25℃에서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고, 30℃에서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며, 37℃에서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고, 42℃에서는 생장 가능하며, 45℃에서는 생장이 불가능하다.
이들 세균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AJ13355는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로서 결정되었다.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5는 1998년 2월 19일자로 다음 기탁 기관[National Institute of Bioscience and Human-Technology,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dustry(현재, International Patent Organism Depositary,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에 기탁되었으며 수탁번호 FERM P-16644를 받았다. 이어서, 이를 1999년 1월 11일자로 부다페스트 조약 규칙 하에 국제 기탁으로 전환시켰으며 수탁번호 FERM BP-6614를 받았다.
L-글루탐산 축적 미생물은 본래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지닌 미생물이거나, 또는 돌연변이 유발 처리, 재조합 DNA 기술 등의 사용을 통하여 육종함으로써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이 부여되거나 증강된 미생물일 수 있다.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은, 예를 들어, L-글루탐산을 생합성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부여하거나 증강시킬 수 있다.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은 또한, L-글루탐산의 생합성 경로로부터 갈라지고 L-글루탐산 이외의 화합물을 생성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활성을 저하시키거나 제거함으로써 증강시킬 수 있다.
L-글루탐산을 생합성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예로서, 글루타메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GDH"로서 후술됨), 글루타민 신테타제, 글루타메이트 신타제, 이소시트레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아코니테이트 하이드라타제, 시트레이트 신타제("CS"로서 후술됨),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카복실라제("PEPC"로서 후술됨), 피루베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피루베이트 키나제, 에놀라제, 포스포글리세로뮤타제, 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제,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트리오즈포스페이트 이소머라제, 프럭토즈 비스포스페이트 알도라제, 포스포프럭토키나제, 글루코즈 포스페이트 이소머라제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 효소 중에서, CS, PEPC 및 GDH 중의 1개, 2개 또는 3개가 바람직하다. 추가로, 3가지 효소, 즉 CS, PEPC 및 GDH 모두의 활성이 L-글루탐산 축적 미생물에서 증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Brevibacterium lactofermentum)의 CS가 바람직한데, 이는 이것이 α-케토글루타르산, L-글루탐산 및 NADH에 의한 억제에 시달리지 않기 때문이다.
CS, PEPC 또는 GDH의 활성을 증강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CS, PEPC 또는 GDH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적당한 플라스미드 상에서 클로닝시키고, 이로써 수득된 플라스미드로 숙주 미생물을 형질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질전환된균주 세포에서 CS, PEPC 또는 GDH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각각 "gltA유전자", "ppc유전자" 및 "gdhA유전자"로 약칭됨)의 복제 수가 증가하여, CS, PEPC 또는 GDH의 활성이 증가한다.
클로닝된gltA,ppcgdhA유전자를 전술된 출발 모 균주 내로 단독으로 도입하거나 또는 이들 유전자의 임의의 2가지 또는 3가지 종류와 조합하여 도입한다. 상기 유전자의 2가지 또는 3가지 종류를 도입한 경우에는, 이들 유전자의 2가지 또는 3가지 종류를 한 가지 종류의 플라스미드 상에 클로닝시켜 숙주 내로 도입하거나, 또는 함께 존재할 수 있는 2가지 또는 3가지 종류의 플라스미드 상에서 개별적으로 클로닝시켜 숙주 내로 도입할 수 있다.
동일한 종류이긴 하지만 상이한 미생물로부터 유도된 효소를 암호화하는 2가지 이상 종류의 유전자를 동일한 숙주 내로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플라스미드는 이들이, 예를 들어, 엔테로박터속 등에 속하는 미생물 세포에서 자가 복제할 수 있는 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면, pUC19, pUC18, pBR322, pHSG299, pHSG298, pHSG399, pHSG398, RSF1010, pMW119, pMW118, pMW219, pMW218, pACYC177, pACYC184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 이외에도, 파아지 DNA의 벡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형질전환은, 예를 들면, 문헌[참조: D.M. Morrison, Methods in Enzymology, 68, 326(1979)]의 방법; 상기 세포를 염화칼슘으로 처리함으로써 DNA에 대한 수용균(recipient bacterium) 세포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참조: Mandel M. and Higa A., J. Mol. Biol., 53, 159(1970)]; 전기천공[참조: Miller J.H., "A ShortCourse in Bacterial Genetic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U.S.A., 1992]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CS, PEPC 또는 GDH의 활성은 또한,gltA유전자,ppc유전자 또는gdhA유전자의 다중 복제물이 숙주가 될 전술된 출발 모 균주의 염색체 DNA 상에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증대시킬 수 있다.gltA유전자,ppc유전자 또는gdhA유전자의 다중 복제물을 엔테로박터속 등에 속하는 미생물의 염색체 DNA 상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염색체 DNA 상에 존재하는 다중 복제물의 특정 서열, 예를 들면, 전위 인자의 말단에 존재하는 역방향 반복 서열 및 반복 DNA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유전자의 다중 복제물은,gltA유전자,ppc유전자 또는gdhA유전자를 함유하는 트랜스포손(transposon)의 전이를 활용함으로써 염색체 DNA 상으로 도입할 수 있다. 그 결과, 형질전환된 균주 세포 내에서의gltA유전자,ppc유전자 또는gdhA유전자의 복제 수가 증가하게 되며, 이로써 CS, PEPC 또는 GDH의 활성이 증대된다.
복제 수를 증가시켜야 하는gltA유전자,ppc유전자 또는gdhA유전자의 공급원으로 사용된 유기체로서, CS, PEPC 또는 GDH의 활성을 갖는 한은 어떠한 유기체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원핵생물인 세균, 예를 들면, 엔테로박터속, 클렙시엘라속, 에르위니아속, 판토에아속, 세라티아속, 에스케리키아속, 코리네박테리움속, 브레비박테리움속 또는 바실러스속에 속하는 세균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 등을 언급할 수 있다.gltA유전자,ppc유전자 및gdhA유전자는 상기 언급된 미생물의 염색체 DNA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gltA유전자,ppc유전자 및gdhA유전자는, 전술된 미생물의 염색체 DNA로부터 이의 영양요구성을 보충해주는 DNA 단편을 분리시키기 위해 CS, PEPC 또는 GDH의 활성이 결여된 돌연변이체 균주를 사용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추가로, 이들 에스케리키아 및 코리네박테리움 세균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이미 밝혀졌기 때문에[참조: Biochemistry, 22, pp.5243-5249, (1983); J. Biochem., 95, pp.909-916, (1984); Gene, 27, pp.193-199, (1984); Microbiology, 140, pp.1817-1828, (1994); Mol. Gen. Genet., 218, pp.330-339, (1989); Molecular Microbiology, 6, pp.317-326, (1992)], 이들은 주형으로서 각각의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염색체 DNA를 기준으로 하여 합성된 프라이머를 활용한 PCR에 의해 수득될 수도 있다.
CS, PEPC 또는 GDH의 활성은 또한,gltA유전자,ppc유전자 또는gdhA유전자의 전술된 증폭 이외에도,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증진시킴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발현은gltA유전자,ppc유전자 또는gdhA유전자에 대한 프라이머를 보다 강력한 또 다른 프로모터로 대체시킴으로써 증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람다 파아지 등의lac프로모터,trp프로모터,trc프로모터,tac프로모터, PR프로모터 및 PL프로모터가 강력 프로모터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의 프로모터를 대체시킨gltA유전자,ppc유전자 및gdhA유전자를 플라스미드 상에서 클로닝시키고 이를 숙주 미생물 내로 도입하거나, 또는 반복 DNA, 역방향 반복 서열, 트랜스포손 등을 사용함으로써 숙주 미생물의 염색체 DNA 상으로 도입한다.
CS, PEPC 또는 GDH의 활성은 또한, 염색체 상의gltA유전자,ppc유전자 또는gdhA유전자의 프로모터를 보다 강력한 또 다른 프로모터로 대체하거나[참조: WO 제87/03006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1-268183호], 또는 각 유전자의 암호화 서열의 상류에 강력 프로모터를 삽입함으로써[참조: Gene, 29, pp.231-241 (1984)]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gltA유전자,ppc유전자 또는gdhA유전자(이의 프로모터를 보다 강력한 것으로 대체시킨다) 또는 이의 일부를 함유하는 DNA와 염색체 상의 상응하는 유전자 간에 상동 재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L-글루탐산의 생합성 경로로부터 갈라지고 L-글루탐산 이외의 화합물을 생성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예로는 α-케토글루타레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αKGDH"로서 후술됨), 이소시트레이트 리아제, 포스페이트 아세틸트랜스퍼라제, 아세테이트 키나제,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신타제, 아세톨락테이트 신타제, 포르메이트 아세틸트랜스퍼라제, 락테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글루타메이트 데카복실라제, l-피롤린 데하이드로게나제 등이 있다. 이들 효소 중에서 αKGDH가 바람직하다.
엔테로박터속 등에 속하는 미생물 내의 전술된 효소의 활성을 저하 또는 제거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효소의 세포내 활성을 저하 또는 제거시키는 돌연변이를, 통상의 돌연변이 유발 처리 방법이나 유전공학 방법에 의해 전술된 효소의 유전자 내로 도입할 수 있다.
돌연변이 유발 처리 방법의 예에는, 예를 들면, X선이나 자외선 조사를 이용하는 방법,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 등의 돌연변이 유발제로 처리하는 방법 등이 포함된다. 돌연변이가 도입되는 유전자의 부위는 효소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암호화 영역 또는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영역, 예를 들면, 프로모터 내일 수 있다.
유전공학 방법의 예에는, 예를 들면, 유전자 재조합, 형질도입, 세포 융합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약물 내성 유전자를 클로닝된 표적 유전자 내로 삽입하여 이의 기능을 상실한 유전자(결함있는 유전자)를 제조한다. 이어서, 이러한 결함있는 유전자를 숙주 유기체의 세포 내로 도입하고, 염색체 상의 표적 유전자를, 상동 재조합을 이용하여 전술된 결함있는 유전자로 대체시킨다(유전자 파열).
표적 효소의 세포내 활성 저하 또는 결여와 이러한 활성 저하도는 후보 균주로부터 수득된 세포 추출물 또는 이의 정제된 분획의 효소 활성을 측정한 다음, 이를 야생형 균주의 것과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αKGDH 활성은 문헌[참조: Reed L.J. and Mukherjee B.B., Methods in Enzymology, 13, pp.55-61 (1969)]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표적 효소에 따라서, 돌연변이체 균주의 표현형에 근거하여 표적 돌연변이체 균주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αKGDH 활성이 제거되거나 저하된 돌연변이체 균주는, 호기성 배양 조건 하에서 독점적 탄소 공급원으로서 아세트산 또는 L-글루탐산을 함유하는 최소 배지 또는 글루코즈를 함유하는 최소 배지에서 증식할 수 없거나 현저하게 저하된 증식률을 나타낸다. 그러나, 글루코즈를 함유하는 최소 배지에 숙신산 또는 리신, 메티오닌 및 디아미노피멜산을 가함으로써 심지어 동일한 조건 하에서도 정상적인 증식이 가능해진다. 이들 현상을 지표로 활용하여,αKGDH 활성이 저하되거나 결여된 돌연변이체 균주를 선별할 수 있다.
상동 재조합을 이용함으로써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의 αKGDH 유전자-결핍성 균주를 제조하는 방법이 WO 제95/34672호에 기재되어 있다. 유사한 방법이 다른 미생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추가로, 유전자 클로닝, DNA의 분해 및 연결, 형질전환 등의 기술이 문헌[참조: Molecular Cloning, 2nd Edition, Cold Spring Harbor Press (1989) etc.]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수득된, αKGDH 활성이 결여되거나 αKGDH 활성이 저하된 돌연변이체 균주의 구체적인 예로서,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6을 언급할 수 있다.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6은 1998년 2월 19일자로 다음 기탁 기관[National Institute of Bioscience and Human-Technology,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dustry(현재, International Patent Organism Depositary,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에 기탁되었으며 수탁번호 FERM P-16645를 받았다. 이어서, 이를 1999년 1월 11일자로 부다페스트 조약 규칙 하에 국제 기탁으로 전환시켰으며 수탁번호 FERM BP-6615를 받았다.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6은 αKGDH-E1 아단위 유전자(sucA)의 파열 결과로서 αKGDH 활성이 결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미생물의 한 예인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를 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경우, 점액이 세포외적으로 분비되어, 종종 작동효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점액 분비 특성을 지닌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를 사용한 경우에는, 야생형 균주와 비교해서 점액을 덜 분비하는 돌연변이체 균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연변이 유발 처리 방법의 예에는, 예를 들면, X선이나 자외선 조사를 이용하는 방법,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 등의 돌연변이 유발제로 처리하는 방법 등이 포함된다. 점액 분비가 감소된 돌연변이체 균주는, 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배지, 예를 들면, 5g/L의 글루코즈를 함유하는 LB 배지 플레이트에 돌연변이 유발된 세균성 세포를 접종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약 45도로 기울이면서 이들을 배양한 다음, 점액의 흐름을 나타내지 않는 콜로니를 선별함으로써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의 부여 또는 증강 과정과, 상기 언급된 점액 분비가 덜하도록 돌연변이시키는 것과 같은 기타 바람직한 특성을 부여하는 과정은 임의 순서로 수행할 수 있다.
L-글루탐산의 침전을 허용해주는 pH 조건으로 조정시킨 액상 배지에서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지닌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이러한 배지 내에서의 L-글루탐산 침전을 수반하면서 L-글루탐산을 생성 및 축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글루탐산의 침전을 허용해주는 pH 조건으로 조정시킨 액상 배지에서 L-글루탐산 축적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이러한 배지 내에서의 L-글루탐산 침전을 수반하면서 L-글루탐산을 생성 및 축적시킬 수 있다. 더우기, 배양을 중성 pH에서 출발하고, 이 배양이 완료될 때 L-글루탐산의 침전을 허용해주는 pH 조건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에 언급된 "L-글루탐산의 침전을 허용해주는 조건"은 상기 언급된 미생물이 L-글루탐산을 생산 및 축적시킬 때 L-글루탐산의 침전을 허용해주는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는, 상기 미생물이 엔테로박터 세균인 경우에는 통상 3 내지 5이다.
상기 미생물은 배양 초기에는 이의 생장에 적합한 pH에서 배양한 다음, L-글루탐산의 침전을 허용해주는 조건 하에 배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지가, L-글루탐산의 침전을 허용해주는 조건 하에서는 상기 미생물이 동화될 수 없는 당 공급원을 함유하거나, 또는 L-글루탐산의 침전을 허용해주는 조건 하에서는 상기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유기 산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미생물이 당 공급원을 동화할 수 있거나 또는 미생물의 생장이 유기 산에 의해 억제되지 않아, 미생물이 당 공급원 또는 유기 산을 소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건 하에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한 다음, L-글루탐산의 침전을 허용해주는 조건 하에서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배양 동안, 배지 중의 L-글루탐산의 농도가 자발적인 결정화가 발생되는 농도 보다 낮은 경우에, 이러한 배지 내에 L-글루탐산 결정이 존재하도록 해주는 작동을 수행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자발적 결정화"는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지닌 미생물에 의한 L-글루탐산의 축적으로 인해, 배지 중의 L-글루탐산 농도가 포화 농도를 초과하여 L-글루탐산이 상기 배지 중에 자발적으로 침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지 내에 L-글루탐산 결정이 존재하도록 해주는 작동은, 인위적으로 상기 결정이 존재하도록 해주는 작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작동의 예에는 결정을배지에 부가하는 방법, 및 배양 초기시 특정 양의 L-글루탐산을 용해시킨 배지의 pH를 배양 동안 저하시킴으로써 강요된 침전 방법이 포함된다.
배지 내에 존재하게 되는 결정의 양은 통상적으로 0.01 내지 10g/L이다. 결정이 존재해야 하는 시점은 바람직하게는, 배지 내에 축적된 L-글루탐산의 양이 대략 포화 농도 수준(예를 들면, pH 4.5에서 25g/L 이상이다)으로 증가할 때이다. 배지 내에 존재하는 결정의 양과 L-글루탐산의 농도는 당해 분야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L-글루탐산 결정의 존재량은 상기 배지를 정치시킨 다음, 경사제거에 의해 상기 배지로부터 결정을 분리시킴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배지 중의 L-글루탐산 농도는 용해된 L-글루탐산의 농도를 의미한다. 결정이 배지 중에 침전되는 경우, 상기 농도는, 고형물을 원심분리(또는 여과)하여 분리함으로써 수득된 정화 용액의 결정된 농도이다.
L-글루탐산 결정이 존재하도록 해주는 작동은 바람직하게는, L-글루탐산 결정을 부가하는 방법이다.
L-글루탐산 결정에 관해 언급하면, α형과 β형 결정이 있다[참조: H. Takahashi, T. Takenishi, N. Nagashima, Bull. Chem. Soc. Japan, 35, 923 (1962); J.D. Bernal, Z. Krist., 78, 363 (1931); S. Hirokawa, Acta Cryst., 8, 637 (1955)]. α형 결정을 수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가될 결정이 바람직하게는 α형이다.
결정의 바람직한 양은 결정의 결정형과 같은 조건에 따라서 다양하다. 결정이 α형이면, 이는 통상적으로 0.2g/L 이상이다. 이 농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α형 결정을 우수한 재현성으로 수득할 수 있다. 이의 외형때문에, α형 결정이 β형 결정과 비교해서 보다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배양에 사용된 배지로서, 탄소 공급원, 질소 공급원, 무기 염 및 유기 미량 영양소, 예를 들면, 아미노산 및 비타민을 필요로 따라 함유하는 통상의 영양 배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예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pH를 조정해야 한다. 합성 배지 또는 천연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지에 사용된 탄소 공급원과 질소 공급원은 이들이 배양될 균주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한은 어떠한 것일 수도 있다.
탄소 공급원으로서, 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글루코즈, 글리세롤, 프럭토즈, 슈크로즈, 말토즈, 만노즈, 갈락토즈, 전분 가수분해물 및 당밀을 사용한다. 또한, 아세트산 및 시트르산 등의 유기 산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 다른 탄소 공급원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질소 공급원으로서, 암모니아, 암모늄 염,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탄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및 암모늄 아세테이트, 질산염 등을 사용한다.
유기 미량 영양소로서, 아미노산, 비타민, 지방산, 핵산, 이들 물질을 함유하는 것, 예를 들면, 펩톤, 카사미노산, 효모 추출물 및 대두 단백질 분해 산물을 사용한다. 대사화 또는 생장에 아미노산 등을 요구하는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체 균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요구되는 영양소가 보충되어야만 한다.
무기 염으로서, 인산염, 마그네슘 염, 칼슘 염, 철 염, 망간 염 등을 사용한다.
20 내지 42℃의 배양 온도, 및 pH 3 내지 5,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7,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4.5의 조건 하에서의 호기성 배양이 통상 수행된다. 약 10시간 내지 약 4일 동안 배양한 후에는, 상당량의 L-글루탐산이 통상적으로 축적된다. 포화 농도를 초과하는, 상기와 같이 축적된 L-글루탐산의 일부분이 상기 배지에 침전된다.
배양을 완료한 후, 배양물에 침전된 L-글루탐산을 원심분리, 여과 등에 의해 수집할 수 있다. 배지 중에 용해된 L-글루탐산은 공지된 방법으로 수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L-글루탐산은 배양 브로쓰를 농축시켜 결정화시킴으로써 분리시키거나 또는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다. 배지 중에 용해된 L-글루탐산을 결정화한 다음, 배양 브로쓰에 침전된 L-글루탐산을 상기와 같이 결정화된 L-글루탐산과 함께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L-글루탐산을 분리시킴으로써 수득된 발효 모액을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에서는, 총 질소를 기준으로 한 유기 질소의 함량이 높다. 총 질소를 기준으로 한 유기 질소의 질량%는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L-글루탐산이 낮은 pH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배지의 pH를 조절하는데 사용된 암모니아의 양이 적어지고, 이에 따라 L-글루탐산의 결정화에 사용된 산의 양도 적어지므로, 발효 모액 중의 음이온의 양도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이에 사용된 산은 염산 및 황산 등의 무기 산이다. 예를 들면, 황산이 L-글루탐산의 결정화에 사용된 경우에는, 당해 발효 모액 중의 설페이트 그룹의 양이 적어진다. 총 질소를 기준으로 한 설페이트 그룹의 질량%는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다. 비료에 관해 언급하면, 설페이트 그룹과 같은 음이온의 양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은 비료 원료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은 발효 모액으로서 액체일 수 있거나, 또는 중화 및 건조시킴으로써 중성 건조 과립으로 만들 수 있다[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2-7872호].
본 발명의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의 생성 방법은 원료로서 통상적인 발효 모액을 사용하는 비료의 생성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생성 동안, 또 다른 비료 성분들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료는 원료로서 본 발명의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당해 비료는 유기 질소(특히, L-글루탐산의 질소 이외의 유기 질소) 함량이 높고, 음이온(예: 설페이트 그룹) 함량이 낮을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아미노산은 L-아미노산이다.
참조 실시예 1
<1> 산성 환경 하에서 L-글루탐산 내성을 지닌 미생물의 스크리닝
산성 환경 하에서 L-글루탐산 내성을 지닌 미생물의 스크리닝을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토양, 과일, 식물체, 하천수 등을 포함한 천연으로부터 수득된 약 500개 샘플 각 1g을 5ml의 멸균수에 현탁시키고, 이의 200㎕를, HCl을 이용하여 pH 4로 조정시킨 고체 배지 20ml 상에 피복시킨다. 상기 배지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3g/L의 글루코즈, 1g/L의 황산암모늄, 0.2g/L의 황산마그네슘 헵타하이드레이트, 0.5g/L의 칼륨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0.2g/L의 염화나트륨, 0.1g/L의 염화칼슘 디하이드레이트, 0.01g/L의 황산제1철 헵타하이드레이트, 0.01g/L의 황산망간 테트라하이드레이트, 0.72mg/L의 황산아연 디하이드레이트, 0.64mg/L의 황산구리 펜타하이드레이트, 0.72mg/L의 염화코발트 헥사하이드레이트, 0.4mg/L의 붕산, 1.2mg/L의 나트륨 몰리브데이트 디하이드레이트, 50㎍/L의 바이오틴, 50㎍/L의 칼슘 판토테네이트, 50㎍/L의 폴산, 50㎍/L의 이노시톨, 50㎍/L의 니아신, 50㎍/L의 p-아미노벤조산, 50㎍/L의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50㎍/L의 리보플라빈, 50㎍/L의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50mg/L의 사이클로헥시미드 및 20g/L의 한천.
상기 샘플로 도말된 배지를 28℃, 37℃ 또는 50℃에서 2 내지 4일 동안 항온 배양하고, 378개 균주 형성 콜로니를 수득하였다.
연속적으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수득된 각각의 균주를 포화 농도의 L-글루탐산을 함유하는 액상 배지(HCl를 이용하여 pH 4로 조정됨) 3ml를 함유하는, 길이가 16.5cm이고 직경이 14mm인 시험용 튜브에 접종하고, 28℃, 37℃ 또는 50℃에서 24시간 내지 3일 동안 진탕시키면서 배양한다. 이어서, 생장한 균주를 선별한다. 전술된 배지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40g/L의 글루코즈, 20g/L의 황산암모늄, 0.5g/L의 황산마그네슘 헵타하이드레이트, 2g/L의 칼륨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0.5g/L의 염화나트륨, 0.25g/L의 염화칼슘 디하이드레이트, 0.02g/L의 황산제1철 헵타하이드레이트, 0.02g/L의 황산망간 테트라하이드레이트, 0.72mg/L의 황산아연 디하이드레이트, 0.64mg/L의 황산구리 펜타하이드레이트, 0.72mg/L의 염화코발트 헥사하이드레이트, 0.4mg/L의 붕산, 1.2mg/L의 나트륨 몰리브데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및 2g/L의 효모 추출물.
따라서, 산성 환경 하에서 L-글루탐산 내성을 나타내는 미생물 78개 균주를 성공적으로 수득하였다.
<2> 산성 환경 하에서 L-글루탐산 내성을 지닌 미생물로부터 생장률이 뛰어난 균주의 선별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수득된, 산성 환경 하에서 L-글루탐산 내성을 지닌 각종 미생물을, 20g/L의 글루탐산과 2g/L의 글루코즈를 M9 배지[참조: Sambrook, J., Fritsh, E.F. and Maniatis, T., "Molecular Cloning",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U.S.A., 1989]에 가함으로써 수득된 배지(HCl를 이용하여 pH 4로 조정됨) 3ml를 함유하는, 길이가 16.5cm이고 직경이 14mm인 시험용 튜브 내로 각각 접종하고, 시간에 따른 배지의 혼탁도를 측정하여 바람직한 생장률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바람직한 생장을 나타내는 균주로서, AJ13355 균주를 이와타시(Iwata-shi, Shizuoka, Japan) 내의 토양으로부터 수득하였다. 이러한 균주는 상기 언급된 이의 세균학적 특성을 근거로 하여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로서 결정되었다.
<3>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5 균주로부터 점액을 덜 분비시키는 균주의 획득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5 균주는 이것을 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경우에 세포외적으로 점액을 분비하기 때문에, 작동 효율이 좋지 못하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 방법에 의해, 점액을 덜 분비시키는 균주를 수득하였다[참조: Miller, J.H. et al., "A Short Course in Bacterial Genetics: Laboratory Manual", p.150, 1992,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U.S.A.].
60W 자외선 램프로부터 60cm 떨어진 위치에서 2분 동안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5 균주에게 자외선을 조사하고, LB 배지에서 밤새 배양하여 돌연변이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돌연변이 유발된 균주를 희석시키고, 5g/L의 글루코즈와 20g/L의 한천을 함유하는 LB 배지에 접종하여 플레이트당 약 100개의 콜로니가 출현되도록 하고, 상기 플레이트를 45도로 기울이면서 30℃에서 밤새 배양한 다음, 점액의 흐름을 나타내지 않는 20개 콜로니를 선별하였다.
5g/L의 글루코즈와 20g/L의 한천을 함유하는 LB 배지에서 5분 동안 아배양한 후에도 복귀 돌연변이체가 전혀 출현되지 않았다는 조건과, LB 배지, 5g/L의 글루코즈를 함유하는 LB 배지 및 M9 배지[참조: Sambrook, J. et al., MolecularCloning, 2nd Edition, Cold Spring Harbor Press, U.S.A., 1989](20g/L의 L-글루탐산과 2g/L의 글루코즈가 보충되고, HCl를 사용하여 pH 4.5로 조정됨)에서 모 균주와 등가의 생장이 관찰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균주로서, 상기 선별된 균주들로부터 SC17 균주를 선별하였다.
<4>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SC17 균주로부터 글루탐산 생산 세균의 작제
(1)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SC17 균주로부터의 αKGDH 결핍성 균주의 제조
αKGDH가 결핍되어 있고, 증강된 L-글루탐산 생합성 시스템을 갖는 균주를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SC17 균주로부터 제조하였다.
(i)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5 균주의 αKGDH 유전자("sucAB"로서 후술됨) 클로닝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5 균주의 염색체 DNA로부터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의 αKGDH-E1 아단위 유전자("sucA"로서 후술됨)-결핍성 균주의 아세트산-비동화 특성을 보충한 DNA 단편을 선별함으로써,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5 균주의sucAB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5 균주의 염색체 DNA는, 에스케리키아 콜라이로부터 염색체 DNA를 추출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된 방법에 의해 분리시켰다[참조: Text for Bioengineering Experiments, Edited by the Society for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Japan, pp.97-98, Baifukan, 1992]. 벡터로서 사용된 pTWV228(앰피실린에 대한 내성)은 다음 제조회사[Takara Shuzo Co., Ltd.]의 시판품이다.
EcoT221로 분해시킨 AJ13355 균주의 염색체 DNA와PstI로 분해시킨 pTWV228을 T4 리가제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이를 사용하여sucA-결핍성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JRG465 균주를 형질전환시켰다[참조: Herbert, J. et al., Mol. Gen. Genetics, 105, 182 (1969)]. 상기 수득된 형질전환체 균주로부터, 아세테이트 최소 배지에서 생장하는 균주를 선별하고, 이로부터 플라스미드를 추출하여 이를 pTWVEK101로 명명하였다. pTWVEK101을 수반하는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JRG465 균주는 아세트산-비동화 특성 이외에도 숙신산 또는 L-리신과 L-메티오닌에 대한 영양요구성을 회복하였다. 이는 pTWVEK101가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의sucA유전자를 함유하였다는 것을 제시해준다.
도 1은 pTWVEK101 내에서의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로부터 유도된 DNA 단편의 제한 효소 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해치 부분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서는, 2개의 완전한 길이의 ORFs인 것으로 간주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ORFs의 부분 서열인 것으로 간주되는 2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발견되었다. 이들에 대한 상동성 조사 결과, 이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결정된 부분은, 숙시네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철-황 단백질 유전자(sdhB)의 3' 말단 부분 서열, 완전한 길이의sucA및 αKGDH-E2 아단위 유전자(sucB유전자), 및 숙시닐 CoA 신테타제 β아단위 유전자(sucC유전자)의 5' 말단 부분 서열을 함유하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 추론된 아미노산 서열을 에스케리키아 콜라이로부터 유도된 것과 비교한 결과[참조: Eur. J. Biochem., 141, pp.351-359 (1984); Eur. J.Biochem., 141, pp.361-374 (1984); Biochemistry, 24, pp.6245-6252 (1985)]가 도 2 내지 5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아미노산 서열은 서로 매우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또한,sdhB-sucA-sucB-sucC집단이 에스케리키아 콜라이에서와 같이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의 염색체 상에서 구성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참조: Eur. J. Biochem., 141, pp.351-359 (1984); Eur. J. Biochem., 141, pp.361-374 (1984); Biochemistry, 24, pp.6245-6252 (1985)].
(ii)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SC17 균주로부터 유도된 αKGDH-결핍성 균주의 획득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수득된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의sucAB유전자를 사용함으로써 상동 재조합을 수행하여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의 αKGDH-결핍성 균주를 수득하였다.
pTWVEK101을SphI로 분해시켜sucA를 함유하는 단편을 절단시키고, 이 단편을 클레노우 단편[제조원: Takara Shuzo Co., Ltd.]으로 평활 말단시킨 다음, T4 DNA 리가제[제조원: Takara Shuzo Co., Ltd.]를 사용하여,EcoRI로 분해시키고 클레노우 단편으로 평활 말단시킨 pBR322에 연결시킨다. 이로써 수득된 플라스미드를, 상기 효소를 사용함으로써sucA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 제한 효소BglII 제한 부위에서 분해시키고, 클레노우 단편으로 평활 말단시킨 다음, T4 DNA 리가제를 사용하여 다시 연결시킨다.sucA유전자는 기능적이지 않게 되었는데, 이는 상기 과정을 통하여 새롭게 작제된 플라스미드의sucA내로 프레임쉬프트(frameshift) 돌연변이가 도입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작제된 플라스미드를 제한 효소ApaLI로 분해시키고,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시켜, 프레임쉬프트 돌연변이가 도입된sucA를 함유하는 DNA 단편과 pBR322로부터 유도된 테트라사이클린 내성 유전자를 회수하였다. 이와 같이 회수된 DNA 단편을 T4 DNA 리가제를 사용함으로써 다시 연결시켜, αKGDH 유전자를 파열시키기 위한 플라스미드를 작제하였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수득된 αKGDH 유전자를 파열시키기 위한 플라스미드를 사용하여, 전기천공에 의해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SC17 균주를 형질전환시키고[참조: Miller, J.H., "A Short Course in Bacterial Genetics: Handbook", p.279,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U.S.A., 1992], 마커로서 테트라사이클린 내성을 이용함으로써, 염색체 상의sucA를 상동 재조합에 의해 상기 플라스미드의 돌연변이체 유형으로 대체시킨 균주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균주를 SC17sucA 균주로 명명하였다.
상기 SC17sucA 균주에 αKGDH 활성이 결여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로그 생장 상으로 LB 배지에서 배양된 균주의 세포를 사용함으로써, 효소 활성을 문헌[참조: Reed, L.J. and Mukherjee, B.B., Methods in Enzymology, 13, pp.55-61, (1969)]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0.073의 αKGDH 활성(△ABS/분/mg 단백질)이 상기 SC17 균주로부터 탐지된 반면, SC17sucA 균주로부터는 어떠한 αKGDH 활성도 탐지되지 않았으므로,sucA가 의도된 바대로 제거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2)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SC17sucA 균주의 L-글루탐산 생합성 시스템의 증강
연속적으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로부터 유도된 시트레이트 신타제 유전자,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카복실라제 유전자 및 글루타메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유전자를 상기 SC17sucA 균주 내로 도입하였다.
(i) 에스케리키아 콜라이로부터 유도된gltA유전자,ppc유전자 및gdhA유전자를 갖는 플라스미드의 제조
gltA유전자,ppc유전자 및gdhA유전자를 갖는 플라스미드를 제조하는 과정은 도 6 및 7를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에스케리키아 콜라이로부터 유도된gdhA유전자를 갖는 플라스미드 pBRGDH(일본 공개특허공보 제7-203980호)를HindIII 및SphI로 분해시키고, 양 말단을 T4 DNA 폴리머라제 처리함으로써 평활 말단시킨 다음,gdhA유전자를 갖는 DNA 단편을 정제 및 회수하였다. 별개로, 에스케리키아 콜라이로부터 유도된gltA유전자 및ppc유전자를 갖는 플라스미드 pMWCP(WO 97/08294)를XbaI로 분해시키고, 양 말단을 T4 D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함으로써 평활 말단시킨다. 이를,gdhA유전자를 갖는 상기 정제된 DNA 단편과 혼합하고, T4 리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연결시켜 플라스미드 pMWCPG를 수득하였는데, 이는gdhA유전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pMWCP에 상응하였다(도 6).
이와 동시에, 광범위한 숙주 범위 플라스미드 RSF1010의 복제 기점을 갖는 플라스미드 pVIC40(일본 공개특허공보 제8-047397호)를NotI로 분해시키고, T4 DNA폴리머라제로 처리한 다음,PstI로 분해시킨다. pBR322를EcoT14I로 분해시키고, T4 DNA 폴리머라제로 처리한 다음,PstI로 분해시킨다. 양 생성물을 혼합하고, T4 리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연결하여, RSF1010의 복제 기점과 테트라사이클린 내성 유전자를 갖는 플라스미드 RSF-Tet를 수득하였다(도 7).
연속적으로, pMWCPG를EcoRI 및PstI로 분해시키고,gltA유전자,ppc유전자 및gdhA유전자를 갖는 DNA 단편을 정제 및 회수하였다. RSF-Tet를EcoRI 및PstI로 유사하게 분해시키고, RSF1010의 복제 기점을 갖는 DNA 단편을 정제 및 회수하였다. 양 생성물을 혼합하고, T4 리가제를 사용하여 연결시켜 플라스미드 RSFCPG를 수득하였는데, 이는gltA유전자,ppc유전자 및gdhA유전자를 함유하는 RSF-Tet에 상응하였다(도 8). 에스케리키아 콜라이로부터 유도된gltA유전자-,ppc유전자- 또는gdhA유전자-결핍성 균주의 영양요구성 보충과 각 효소 활성 측정 결과를 근거로 하여, 상기 수득된 플라스미드 RSFCPG가gltA유전자,ppc유전자 및gdhA유전자를 발현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i)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으로부터 유도된gltA유전자를 갖는 플라스미드의 제조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으로부터 유도된gltA유전자를 갖는 플라스미드를 다음과 같이 작제하였다.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gltA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참조: Microbiology, 140, pp.1817-1828 (1994)]을 근거로 하여 제조된 프라이머 DNAs를 사용하고, 주형으로서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 ATCC13869의 염색체 DNA를 사용함으로써 PCR을 수행하여 약 3kb의gltA유전자 단편을 수득하였다. 이러한 단편을,SmaI로 분해시킨 플라스미드 pHSG399[제조원: Takara Shuzo Co., Ltd.] 내로 삽입하여 플라스미드 pHSGCB를 수득한다(도 9). 연속적으로, pHSGCB를HindIII로 분해하고, 이와 같이 절단된 약 3kb의gltA유전자 단편을,HindIII로 분해시킨 플라스미드 pSTV29[제조원: Takara Shuzo Co., Ltd.] 내로 삽입하여 플라스미드 pSTVCB를 수득하였다(도 9).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355 균주에서의 효소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수득된 플라스미드 pSTVCB가gltA유전자를 발현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ii) SC17sucA 균주 내로의 RSFCPG 및 pSTVCB의 도입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SC17sucA 균주를 전기천공에 의해 RSFCPG로 형질감염시켜 테트라사이클린 내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체 SC17sucA/RSFCPG 균주를 수득하였다. 추가로, 이러한 SC17sucA/RSFCPG 균주를 전기천공에 의해 pSTVCB로 형질전환시켜 클로람페니콜 내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체 SC17sucA/RSFCPG+pSTVCB 균주를 수득하였다.
<5> 낮은 pH 환경 하에서 L-글루탐산에 대한 개선된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의 획득
낮은 pH 환경 하에서 고농도의 L-글루탐산에 대한 개선된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낮은 pH에서 고농도 Glu-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로서 후술됨)를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SC17sucA/RSFCPG+pSTVCB 균주로부터 분리하였다.
이러한 SC17sucA/RSFCPG+pSTVCB 균주를 LBG 배지(10g/L의 트립톤, 5g/L의 효모 추출물, 10g/L의 NaCl, 5g/L의 글루코즈)에서 30℃ 하에 밤새 배양하고, 식염수로 세척한 세포를 적당히 희석시킨 다음, M9-E 배지(4g/L의 글루코즈, 17g/L의 Na2HPO4·12H2O, 3g/L의 KH2PO4, 0.5g/L의 NaCl, 1g/L의 NH4Cl, 10mM의 MgSO4, 10μM의 CaCl2, 50mg/L의 L-리신, 50mg/L의 L-메티오닌, 50mg/L의 DL-디아미노피멜산, 25mg/L의 테트라사이클린, 25mg/L의 클로람페니콜, 30g/L의 L-글루탐산; 수성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pH 4.5로 조정됨) 플레이트 상에 도말하였다. 32℃에서 2일 동안 배양한 후에 출현된 콜로니를, 낮은 pH에서 고농도 Glu-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로서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균주에 대해, M9-E 액상 배지에서의 생장 수준을 측정하고, 5ml의 L-글루탐산 생산 시험용 배지(40g/L의 글루코즈, 20g/L의 황산암모늄, 0.5g/L의 황산마그네슘 헵타하이드레이트, 2g/L의 칼륨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0.5g/L의 염화나트륨, 0.25g/L의 염화칼슘 디하이드레이트, 0.02g/L의 황산제1철 헵타하이드레이트, 0.02g/L의 황산망간 테트라하이드레이트, 0.72mg/L의 황산아연 디하이드레이트, 0.64mg/L의 황산구리 펜타하이드레이트, 0.72mg/L의 염화코발트 헥사하이드레이트, 0.4mg/L의 붕산, 1.2mg/L의 나트륨 몰리브데이트 디하이드레이트, 2g/L의 효모 추출물, 200mg/L의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00mg/L의 L-메티오닌, 200mg/L의 DL-α,ε-디아미노피멜산, 25mg/L의 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25mg/L의 클로람페니콜)를 함유하는 50ml 용적의 큰 시험용 튜브에서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시험하였다. 이의 모 균주인 SC17/RSFCPG+pSTVCB 균주의 것과 동일한 L-글루탐산 생산 능력과 가장 우수한 생장 수준을 나타낸 균주를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601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AJ13601 균주는 1999년 8월 18일자로 다음 기탁 기관[National Institute of Bioscience and Human-Technology,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dustry(현재, International Patent Organism Depositary,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Central 6, Higashi 1-1-1, Tsukuba-shi, Ibaraki 305-8566, Japan)]에 기탁되었으며 수탁번호 FERM P-17516를 받았다. 이어서, 이를 2000년 7월 6일자로 부다페스트 조약 규칙 하에 국제 기탁으로 전환시켰으며 수탁번호 FERM BP-7207를 받았다.
실시예 1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AJ13601 균주를, 25mg/L의 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25mg/L의 클로람페니콜을 함유하는 LBG 한천 배지(10g/L의 트립톤, 5g/L의 효모 추출물, 10g/L의 NaCl, 5g/L의 글루코즈 및 15g/L의 한천) 상에서 30℃ 하에 14시간 동안 배양하고, 1개 플레이트(직경: 8.5cm)에서의 세포를 수집하고, 이를 1L 용적의 자르(jar) 발효기 내에서, 50g/L의 글루코즈, 4g/L의 황산암모늄, 0.4g/L의 황산마그네슘 헵타하이드레이트, 2g/L의 모노칼륨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10mg/L의 황산제1철 헵타하이드레이트, 10mg/L의 황산망간 펜타하이드레이트, 4g/L의 효모 추출물, 400mg/L의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00mg/L의 DL-메티오닌, 400mg/L의 DL-α,ε-디아미노피멜산, 25mg/L의 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25mg/L의 클로람페니콜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 300ml 내로 접종하여 pH 6.0에서 34℃ 하에 배양을 시작하였다. 암모니아 기체를 가함으로써 배양 pH를 조절하였다. 배양을 시작한지 대략 16시간 후에, 상기 배양 배지 중의 글루코즈가 고갈되는 상에서 상기 배양을 종결한다.
상기와 같이 배양된 배양 브로쓰 15ml를, 30L 용적의 자르 발효기 내에서, 50g/L의 글루코즈, 4g/L의 황산암모늄, 0.4g/L의 황산마그네슘 헵타하이드레이트, 2g/L의 모노칼륨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10mg/L의 황산제1철 헵타하이드레이트, 10mg/L의 황산망간 펜타하이드레이트, 4g/L의 효모 추출물, 400mg/L의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00mg/L의 DL-메티오닌, 400mg/L의 DL-α,ε-디아미노피멜산, 25mg/L의 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25mg/L의 클로람페니콜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 15L 내로 접종하여 pH 6.0에서 34℃ 하에 배양을 시작하였다. 암모니아 기체를 가함으로써 배양 pH를 조절하였다. 배양을 시작한지 대략 16시간 후에, 상기 배양 배지 중의 글루코즈가 고갈되는 상에서 상기 배양을 종결한다.
상기와 같이 배양된 배양 브로쓰 2.8L를, 30L 용적의 자르 발효기 내에서, 50g/L의 글루코즈, 5g/L의 황산암모늄, 0.4g/L의 황산마그네슘 헵타하이드레이트, 5g/L의 모노칼륨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20mg/L의 황산제1철 헵타하이드레이트, 20mg/L의 황산망간 펜타하이드레이트, 6g/L의 효모 추출물, 800mg/L의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600mg/L의 DL-메티오닌, 600mg/L의 DL-α,ε-디아미노피멜산, 1.5g/L의 염화나트륨, 0.75g/L의 염화칼슘 디하이드레이트, 25mg/L의 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25mg/L의 클로람페니콜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 14L 내로 접종하여 pH 6.0에서 34℃ 하에 배양을 시작하였다. 배양을 지속하는 동안, L-글루탐산이 축적됨에 따라, pH는 자발적으로 저하되어 pH 4.5에 도달하였다. 그 후, 암모니아 기체를 가함으로써 배양 pH를 pH 4.5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초기에 가해진 글루코즈가 고갈된 후, 글루코즈 수용액 700g/L을 지속적으로 가하였다.
발효에 의한 L-글루탐산의 생산을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지속시킨다. 배양 브로쓰 내에 축적된 L-글루탐산의 농도가 45g/L에 도달하게 되면, α형의 L-글루탐산 결정 30g을, 상기 자르 발효기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물 100ml 중의 결정 현탁물로서 상기 배양 브로쓰에 가한 다음, 배양을 추가로 지속시켰다. 배지 중에 결정으로서 축적된 L-글루탐산의 농도와 배지에 용해된 L-글루탐산의 농도 합이 100g/L에 도달하는 상에서 상기 배양을 종결한다. 상당한 양의 L-글루탐산 α형 결정이 상기 자르 발효기에 침전되었다. 황산을 배지에 가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pH를 3.2로 조정하였는데, 여기서는 L-글루탐산의 용해도가 낮아진다. 추가로, 상기 용액에 용해된 L-글루탐산의 결정화는 냉각에 의해 촉진되어 결정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러한 결정 슬러리에 침전된 L-글루탐산의 결정을 초경사제거기로 분리시켜, 목적하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로써 생성된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내의 총 고형 물질을 기준으로 한 각 성분들의 분석 함량이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의 분석값
성분 총 고형 물질을 기준으로 한 중량%
총 질소 13.1%
(총 질소 중의) 암모니아 질소 7.1%
(총 질소 중의) 유기 질소 6.0%
(총 질소 중의) 글루탐산 질소 2.2%
(총 질소 중의) 기타 질소 3.8%
(총 질소를 기준으로 한 유기 질소의 질량%) (46%)
설페이트 그룹 18.9%
(유기 질소를 기준으로 한 설페이트 그룹의 질량 %) (315%)
비교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 300ml 배지를 함유한 30L 자르 발효기에서의 배양 조건을 다음과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양을 수행한다: 배양을 34℃ 및 pH 6.0에서 출발한 다음, 암모니아 기체를 가함으로써 배양 pH가 6.0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로써 생성된 배지로부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중의 총 고형 물질을 기준으로 한 각 성분 함량이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대조군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의 분석값
성분 총 고형 물질을 기준으로 한 중량%
총 질소 16.2%
(총 질소 중의) 암모니아 질소 12.2%
(총 질소 중의) 유기 질소 4.0%
(총 질소 중의) 글루탐산 질소 1.4%
(총 질소 중의) 기타 질소 2.6%
(총 질소를 기준으로 한 유기 질소의 질량%) (25%)
설페이트 그룹 38.2%
(유기 질소를 기준으로 한 설페이트 그룹의 질량 %) (955%)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은 비료로서 유효한 유기 질소의 함량이 높고, 총 질소를 기준으로 한 유기 질소의 비율이 높으며, 특히 글루탐산 질소 이외의 유기 질소의 함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설페이트 그룹의 양이 적으므로, 본 발명의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은 비료 원료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L-글루탐산 생산 능력을 지닌 미생물을 L-글루탐산이 침전되도록 하는 조건으로 pH가 조정된 액상 배지 속에서 배양하여, L-글루탐산의 침전을 수반하면서 L-글루탐산을 생성 및 축적시키고, 당해 배지로부터 L-글루탐산을 분리시켜 수득한 발효 모액을 포함하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엔테로박터(Enterobacter)속에 속하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Enterobacter agglomerans)인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특정 pH에서 포화 농도의 L-글루탐산과 탄소 공급원을 함유하는 액상 배지에서 탄소 공급원을 대사시킬 수 있고, 특정 pH의 액상 배지에서 L-글루탐산의 포화 농도를 초과하는 양의 L-글루탐산을 축적시키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특정 pH가 5.0 이하인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미생물에 의한 L-글루탐산 생성에 적합한 pH가, L-글루탐산이 배지에서 침전되는 pH이고, 이러한 pH의 배지에서의 배양 동안에, L-글루탐산의 침전을 수반하면서 L-글루탐산이 생성 및 축적되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
KR1020020008928A 2001-02-20 2002-02-20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 KR200200682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44137A JP4292724B2 (ja) 2001-02-20 2001-02-20 有機態窒素含有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肥料
JPJP-P-2001-00044137 2001-02-20
US10/077,745 US7198943B2 (en) 2001-02-20 2002-02-20 Organic nitrogen-containing composition and fertilizer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292A true KR20020068292A (ko) 2002-08-27

Family

ID=2972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928A KR20020068292A (ko) 2001-02-20 2002-02-20 유기 질소 함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198943B2 (ko)
EP (1) EP1233071B9 (ko)
JP (1) JP4292724B2 (ko)
KR (1) KR20020068292A (ko)
CN (1) CN1318599C (ko)
AT (1) ATE315096T1 (ko)
AU (1) AU782737B2 (ko)
BR (1) BR0200489B1 (ko)
DE (1) DE60208453T2 (ko)
ES (1) ES2253458T3 (ko)
RU (1) RU2291139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440B1 (ko) * 2005-10-14 2013-07-04 아처 다니엘 미드랜드 캄파니 비료 조성물 및 사용 방법
US11897909B2 (en) 2017-07-18 2024-02-13 Basf Se Methods for the purification of L-glufosin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56507B2 (en) * 1998-03-18 2003-01-16 Ajinomoto Co., Inc. L-glutamic acid-producing bacterium and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JP4427878B2 (ja) 1999-08-20 2010-03-10 味の素株式会社 析出を伴う発酵法による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JP4599726B2 (ja) 2001-02-20 2010-12-15 味の素株式会社 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US7289179B2 (en) * 2002-11-08 2007-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BRPI0518917A2 (pt) * 2004-11-19 2008-12-16 Nagano Prefecture material de carvço poroso impregnado com lÍquido subproduto da fermentaÇço de aminoÁcido, condicionador de solo, e, mÉtodo para a produÇço de um material de carvço poroso impregnado com lÍquido subproduto da fermentaÇço de aminoÁcido
US7901481B2 (en) * 2007-02-01 2011-03-08 True Organic Products, Inc. Concentrated separator by-product based fertilizer
US20080269053A1 (en) * 2007-04-26 2008-10-30 Less John F Amino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as Fertilizer
WO2009017840A2 (en) * 2007-08-02 2009-02-05 Archer-Daniels-Midland Company Protein and isolated or purified amino acid product containin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03664333B (zh) * 2013-11-12 2015-03-04 宿迁市设施园艺研究院 一种含有5-ala和海藻糖的组合物及其制备的叶面肥
JP6438689B2 (ja) * 2014-06-26 2018-12-19 雪印種苗株式会社 ホウ素供給用組成物
ES2820238T3 (es) 2016-06-27 2021-04-20 Evonik Degussa Gmbh Granulados con contenido en dipéptidos
EP3461803A1 (de) * 2017-10-02 2019-04-03 Evonik Degussa GmbH Herstellverfahren für dipeptidhaltige granulate
CN110423153A (zh) * 2019-07-16 2019-11-08 砀山县绿源生态肥料有限公司 一种改良盐碱和消除土壤板结的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9363A (ko) * 1974-03-22 1975-10-13
SU1637335A1 (ru) * 1988-12-22 1996-04-20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икладной биохимии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глутаминовой кислоты из культуральной жидкости
CN1021704C (zh) * 1990-04-13 1993-07-28 陈雪贞 一种提取谷氨酸的方法
CN1085954A (zh) * 1992-10-16 1994-04-27 唐祯 浓缩含菌体发酵液提取谷氨酸的方法
JP3528205B2 (ja) 1993-07-30 2004-05-17 味の素株式会社 L−3,4−ジヒドロキシフェニルアラニンの製造方法
JP3880636B2 (ja) 1994-01-10 2007-02-14 味の素株式会社 発酵法による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CN1116897A (zh) * 1994-11-30 1996-02-21 龚兆胜 农作物的高钾载体
BR9610016A (pt) 1995-08-23 1999-07-06 Ajinomoto Kk Microorganismo 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o ácido l-glutâmico por fermentação
JPH09285294A (ja) 1996-04-23 1997-11-04 Ajinomoto Co Inc 発酵法による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AU756507B2 (en) * 1998-03-18 2003-01-16 Ajinomoto Co., Inc. L-glutamic acid-producing bacterium and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AU746542B2 (en) * 1998-03-18 2002-05-02 Ajinomoto Co., Inc. L-glutamic acid-producing bacterium and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AU761990B2 (en) * 1998-10-19 2003-06-12 Ajinomoto Co., Inc. L-glutamic acid producing bacterium and process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JP4427878B2 (ja) * 1999-08-20 2010-03-10 味の素株式会社 析出を伴う発酵法による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440B1 (ko) * 2005-10-14 2013-07-04 아처 다니엘 미드랜드 캄파니 비료 조성물 및 사용 방법
US11897909B2 (en) 2017-07-18 2024-02-13 Basf Se Methods for the purification of L-glufosinate
US11897908B2 (en) 2017-07-18 2024-02-13 Basf Se Methods for the purification of L-glufosinate
US11976089B2 (en) 2017-07-18 2024-05-07 Basf Se Methods for the purification of L-glufos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92724B2 (ja) 2009-07-08
EP1233071A3 (en) 2002-09-18
BR0200489A (pt) 2002-10-01
DE60208453T2 (de) 2006-09-28
AU1679902A (en) 2002-08-22
US20030172698A1 (en) 2003-09-18
DE60208453D1 (de) 2006-03-30
ES2253458T3 (es) 2006-06-01
BR0200489B1 (pt) 2010-11-03
ATE315096T1 (de) 2006-02-15
EP1233071A2 (en) 2002-08-21
EP1233071B1 (en) 2006-01-04
US7198943B2 (en) 2007-04-03
CN1318599C (zh) 2007-05-30
JP2002249390A (ja) 2002-09-06
AU782737B2 (en) 2005-08-25
EP1233071B9 (en) 2006-06-28
CN1377971A (zh) 2002-11-06
RU2291139C2 (ru)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6517B2 (en)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USRE41800E1 (en)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EP1078989B1 (en)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by fermentation accompanied by precipitation
AU782737B2 (en) Organic nitrogen-containing composition and fertilizer comprising the same
EP1233070B1 (en)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WO2004099426A1 (ja) 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AU2005200716B2 (en)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by fermentation accompanied by precip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