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522A -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522A
KR20020066522A KR1020010006760A KR20010006760A KR20020066522A KR 20020066522 A KR20020066522 A KR 20020066522A KR 1020010006760 A KR1020010006760 A KR 1020010006760A KR 20010006760 A KR20010006760 A KR 20010006760A KR 20020066522 A KR20020066522 A KR 20020066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ignal
frequency
vehicle speed
unmod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부현
Original Assignee
오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부현 filed Critical 오부현
Priority to KR102001000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6522A/ko
Publication of KR2002006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5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이 정지 또는 주차, 그리고 차량이 일정속도(예:5 Km/H)미만에서는 이동전화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차량을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이동전화의 전파를 차단하여 이동전화를 사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안전운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이동전화 전파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는 차량의 차량속도센서(1)에서 나오는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의 차량속도를 판별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속도변환기(2), 운전중 이동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저 차량속도를 설정하는 한계속도설정부(3), 상기 차량속도변환기(2) 및 한계속도설정부(3)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현재 차량이 이동전화로 통화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장치(4), 상기 중앙제어장치(4)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이동전화전파차단기능을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온/오프 제어부(5), 상기 온/오프 제어부(5)로부터의 온 신호에 의하여 이동전화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무변조신호를 발생하는 무변조신호발생부(6), 그리고 상기 무변조신호발생부(6)에서 발생된 무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이동전화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무변조전파를 공중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증폭기(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MOBILE PHONE'S ELECTRIC WAVE INTERCEPTION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이동전화의 전파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이 정지 또는 주차, 그리고 차량이 일정속도(예:5 Km/H)미만에서는 이동전화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이동전화의 전파를 차단하여 이동전화를 사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안전운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이동전화 전파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전화의 사용자가 급증하여 이동전화 가입자수가 1천500만 명을 돌파, 인구 3명중 1명이 이동전화를 사용하고 있으나 통화예절이 성숙되지 못해서 각종 소음공해를 유발하는 등 사회적 물의가 빚어지고 있으며, 공항과 병원에서, 또는 운전중 이동전화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인명피해와 교통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이에 정보통신부에서는 지하철과 버스에 탑승중일 때에는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이동전화의 사용을 자제하고 불가피한 경우 수신음 모드를 진동모드로 전환해 줄 것을 권고하는 안내방송을 전면 실시하는 등 공공장소에서의 올바른 통신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TV와 신문 등을 통해 이동전화의 사용예절에 관한 홍보활동을 대대적으로 펼칠 방침이다.
또한 공공장소에서 이동전화의 사용자제를 당부하는 포스터를 제작해 각종 공연장과 일선학교 등에 배포하고 "금연" 표시와 같이 이동전화 사용금지장소임을 표시하는 로고를 제작하여 병원과 회의실, 공연장 등에 부착하고 차량용 스티커도 제작해 운전중 이동전화의 사용을 가급적 억제토록 할 계획이다.
휴대폰 남용이 공공장소에서 소음공해를 유발하는 것은 이미 한계를 넘었고 병원의 의료기기 오작동, 운전사고 등 직접적으로 인명과 재산피해까지 초래하는 사례도 급격히 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급부상하였으며 이 문제는 우리 나라뿐만 아니고 스위스 등 외국에서도 휴대폰 사용에 대한 규제법을 제정하였거나 준비중에 있는 실정이다.
정보통신부가 추진중인 내용은 장소를 3가지로 분류하여 금지와 자제를 함께 적용할 방침으로 일부 국가에 비해서는 강도가 낮지만 우리 나라 현실을 감안한 적당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우선 도로교통법을 개정하여 운전이나 위험, 정밀작업중에는 이동전화의 사용을 금지하고, 병원 등에서는 통화자체가 불가능하도록 전파차단장비의 설치를 의무화하는 전파 블록제를 도입할 예정이고, 비행기를 탈 때에도 휴대폰 사용금지를 관련법에 명문화할 방침이다.
그러나 차량운전중에 이동전화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을 만든다 하여도 경찰이 일일이 단속할 수 없기 때문에 급한 용무가 있을 때 운전을 하면서 이동전화로 통화를 하게 되는 경우를 예상할 수 있다. 운전중 급한 용무가 있을 때에는 안전한 곳에 정차하여 통화를 하여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운전을 하면서 통화를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이동전화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을 운전중일 때에는 이동전화로 통화를 하지 못하게 하고 정차 및 주차, 또는 교통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극히 희박한 일정속도미만으로 운전하고 있을 때에는 이동전화로 통화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동시에 운전자에게 안전한 상태에서는 통화를 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차량용 이동전화 전파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이동전화 전파차단장치는 차량의 차량속도센서에서 나오는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의 차량속도를 판별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속도변환기, 운전중 이동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저 차량속도를 설정하는 한계속도설정부, 상기 차량속도변환기 및 한계속도설정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현재 차량이 이동전화로 통화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장치, 상기 중앙제어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이동전화전파차단기능을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온/오프 제어부, 상기 온/오프 제어부로부터의 온 신호에 의하여 이동전화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무변조신호를 발생하는 무변조신호발생부, 그리고 상기 무변조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무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이동전화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무변조전파를 공중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증폭기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이동전화 전파차단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속도센서 2: 차량속도변환기
3: 한계속도설정부 4: 중앙제어장치
5: 온/오프 제어부 6, 6': 무변조신호발생부
6a, 6'a: 발진부 6b, 6'b: 전압제어부
6c, 6'c: 주파수 대역폭 설정부 6d, 6'd: 전압주파수 변환기
6e, 6'e: 고주파 증폭부 6f, 6'f: 전력제어부
7, 7': 안테나 증폭기 8: 센서기종 설정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이동전화 전파차단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이동전화 전파차단장치는 차량의 차량속도센서(1)에서 나오는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의 차량속도를 판별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속도변환기(2), 운전중 이동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저 차량속도를 설정하는 한계속도설정부(3), 상기 차량속도변환기(2) 및 한계속도설정부(3)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현재 차량이 이동전화로 통화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판단하여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장치(4), 상기 중앙제어장치(4)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이동전화전파차단기능을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온/오프 제어부(5), 상기 온/오프 제어부(5)로부터의 온 신호에 의하여 이동전화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무변조신호를 발생하는 무변조신호발생부(6), 그리고 상기 무변조신호발생부(6)에서 발생된 무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이동전화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무변조전파를 공중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증폭기(7)를 포함한다.
차량속도센서(1)는 차량마다 출력하는 신호가 다르므로 현재 차량에 사용된 차량속도센서에 맞도록 조정하는 센서기종설정부(8)가 차량속도변환기(2)에 연결되어 있다.
중앙제어장치(4)는 차량속도변환기(2)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차량이 현재 정차 및 주차되어 있는지 또는 현재의 차량속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한정속도설정부(3)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현재차량속도가 이동전화로 통화하여도 사고위험이 없는 일정최저속도(예를 들면 5 Km/h)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판단에 따라 차량속도가 일정최저속도 이상이어서 이동전화전파차단기능을 수행하여야 할 경우에는 온 신호를 출력하고, 일정최저속도미만 인 경우에는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온/오프 제어부(5)는 중앙제어장치(4)로부터 이동전화전파차단기능을 수행하라는 온 신호가 있을 경우에 무변조신호발생부(6)에 이동전화전파차단기능을 수행하라는 신호를 출력한다.
무변조신호발생부(6) 및 안테나 증폭기(7)는 현재 사용중인 이동전화의 사용주파수대역의 무변조 전파를 발생하여 이동전화의 변조전파와 합성하도록 함으로써이동전화를 사용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현재 011, 017과 같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은 869(하측)-894(상측) MHz 의 주파수대역폭을 사용하고. 016,018, 019와 같은 PCS은 1.84(하측)-1.87(상측) GHz의 주파수대역폭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두 종류의 주파수대역폭의 무변조 전파를 출력하기 위하여 무변조신호발생부 및 안테나 증폭기를 각각 2개 구성하고 있는데, 무변조신호발생부(6) 및 안테나 증폭기(7)는 869(하측)-894(상측) MHz 의 주파수대역폭의 무변조 전파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고, 무변조신호발생부(6') 및 안테나 증폭기(7')는 1.84(하측)-1.87(상측) GHz 의 주파수대역폭의 무변조 전파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무변조신호발생부(6)(6')는 온/오프 제어부(5)로부터의 온 신호에 의하여 임의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이 임의주파수를 전압제어부(6b)(6'b)로부터의 전압인가에 의하여 기준 주파수로 변환하며 이 기준주파수와 전압주파수 변환기(6d)(6'd)로부터의 주파수를 합성하여 이동전화의 주파수대역폭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부(6a)(6'a), 상기 발진기부(6a)(6'a)에서 발진한 임의주파수를 기준주파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제어부(6b)(6'b), 상기 발진부(6a)(6'a)에서 발진하는 기준주파수의 신호를 이동전화의 주파수대역폭으로 발진하도록 설정하는 주파수 대역폭 설정부(6c)(6'c), 상기 주파수 대역폭 설정부(6c)(6'c)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동전화의 주파수대역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진부(6a)(6'a)로 출력하는 전압주파수 변환기(6d)(6'd), 상기발진부(6a)(6'a)에서 발진한 신호를 증폭시켜 안테나 증폭기(7)(7')로 출력하는 고주파 증폭부(6e)(6'e), 그리고 상기 고주파 증폭부(6e)(6'e)에 연결되어 전파차단지역에 따라 전파의 세기를 조절하는 전력제어부(6f)(6'f)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압제어부(6b)(6'b)는 발진부(6a)(6'a)에서 임의주파수를 발진 할 때 특정주파수, 즉 필요한 기준주파수를 발진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압을 인가한다. 즉 셀룰러 폰의 기준주파수는 881.5 MHz 이고 PCS의 기준주파수는 1.85 GHz이므로 발진부(6a)(6'a)에서 이와 같은 기준주파수가 발진하도록 필요한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주파수 대역폭 설정부(6c)(6'c)는 현재 사용중인 셀룰러 폰과 PCS의 주파수 대역폭이 각각 869 MHz(하측)-894 MHz(상측)과 1.84 GHz(하측)-1.87 GHz(상측)의 주파수 대역폭이므로 발진부(6a)(6'a)에서 발진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이러한 주파수 대역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으로 맞추기 위하여 하측 주파수와 상측 주파수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압주파수 변환기(6d)(6'd)는 주파수 대역폭 설정부(6c)(6'c)에서 들어오는 신호(전압)를 이용하여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으로 변환하여 발진부(6a)(6'a)로 출력한다.
상기 고주파 증폭부(6e)(6'e)는 발진부(6a)(6'a)에서 발진하는 신호가 미세하므로 이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이 주차 및 정차되어 있거나 차량속도가 이동전화를 사용하여도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없는 일정 최저속도미만인 경우(예를 들어 주차장내에서의 이동)에는 무변조 전파를 출력하지 아니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이동전화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속도가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일정최저속도 이상으로 운행하고 있을 때에는 이동전화의 주파수대역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의 무변조 전파를 출력하여 이동전화의 전파를 차단시키게 된다.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가 무변조 전파를 출력하면 이 무변조전파는 이동전화의 변조 전파와 합성하게 되므로 이동전화의 전파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즉 무변조신호발생부(6) 및 안테나 증폭기(7)에서 발생하는 무변조 전파는 셀룰러 폰의 전파를 차단하고, 무변조신호발생부(6') 및 안테나 증폭기(7')에서 발생하는 무변조 전파는 PCS의 전파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는 운전자가 운전중에 이동전화로 통화하면 교통사고를 일으킬 일정최저속도이상으로 운행하고 있을 때에는 이동전화로 통화를 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정차 및 주차, 또는 일정최저속도미만으로 운전하고 있을 때에는 이동전화로 통화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없는 안전한 상태에서는 통화를 할 수 있는 편리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차량의 차량속도센서(1)에서 나오는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의 차량속도를 판별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속도변환기(2),
    운전중 이동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저 차량속도를 설정하는 한계속도설정부(3),
    상기 차량속도변환기(2) 및 한계속도설정부(3)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현재 차량이 이동전화로 통화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장치(4),
    상기 중앙제어장치(4)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이동전화전파차단기능을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온/오프 제어부(5),
    상기 온/오프 제어부(5)로부터의 온 신호에 의하여 이동전화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무변조신호를 발생하는 무변조신호발생부(6), 그리고
    상기 무변조신호발생부(6)에서 발생된 무변조신호를 이용하여 이동전화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무변조전파를 공중으로 방사하는 안테나 증폭기(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변조신호발생부(6) 및 안테나 증폭기(7)는 869(하측)-894(상측) MHz 의 주파수대역폭의 무변조 전파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1.84(하측)-1.87(상측) GHz 의 주파수대역폭의 무변조 전파를 출력하는 무변조신호발생부(6') 및 안테나 증폭기(7')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변조신호발생부(6)(6')는,
    온/오프 제어부(5)로부터의 온 신호에 의하여 임의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이 임의주파수를 전압제어부(6b)(6'b)로부터의 전압인가에 의하여 기준 주파수로 변환하며 이 기준주파수와 전압주파수 변환기(6d)(6'd)로부터의 주파수를 합성하여 이동전화의 주파수대역폭의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부(6a)(6'a),
    상기 발진기부(6a)(6'a)에서 발진한 임의주파수를 기준주파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제어부(6b)(6'b),
    상기 발진부(6a)(6'a)에서 발진하는 기준주파수의 신호를 이동전화의 주파수대역폭으로 발진하도록 설정하는 주파수 대역폭 설정부(6c)(6'c),
    상기 주파수 대역폭 설정부(6c)(6'c)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동전화의 주파수대역폭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진부(6a)(6'a)로 출력하는 전압주파수 변환기(6d)(6'd),
    상기 발진부(6a)(6'a)에서 발진한 신호를 증폭시켜 안테나 증폭기(7)(7')로 출력하는 고주파 증폭부(6e)(6'e), 그리고
    상기 고주파 증폭부(6e)(6'e)에 연결되어 전파차단지역에 따라 전파의 세기를 조절하는 전력제어부(6f)(6'f)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KR1020010006760A 2001-02-12 2001-02-12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KR20020066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60A KR20020066522A (ko) 2001-02-12 2001-02-12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60A KR20020066522A (ko) 2001-02-12 2001-02-12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522A true KR20020066522A (ko) 2002-08-19

Family

ID=2769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760A KR20020066522A (ko) 2001-02-12 2001-02-12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65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310A (ko) * 2001-09-17 2003-03-26 신현섭 휴대전화 통화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
KR20030063621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310A (ko) * 2001-09-17 2003-03-26 신현섭 휴대전화 통화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
KR20030063621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9296B2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ignal inhibition
US8200291B2 (en) Vehicle safety device for reducing driver distractions
EP0803166B1 (en) Portable cellular telephone using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with mobile transceiver
US6973333B1 (en) Modification of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operation in vehicles
KR920001882A (ko) 이동 전화장치
US7440779B2 (en) Radar detector having function of hands-free device
US20120252350A1 (en) Vehicle safety device for reducing driver distractions
JP2004048126A (ja) 無線通信制限装置および無線通信中継局および無線通信基地局
ES470800A1 (es) Procedimiento y circuito para transmitir senales e informa- ciones de socorro en canales provistos para una determinada banda de frecuencias
US2002006175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system thereof
JP2005514819A (ja) ワイヤレス通信機器用の制御装置の利用法
US20040204192A1 (en) Automobile dashboard display interface for facilitating the interactive operator input/output for a standard wireless telephone detachably mounted in the automobile
KR20020066522A (ko) 차량용 이동전화전파차단장치
US20150207910A1 (en) User protection in a multimod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US7421274B1 (en) Mobile electronic appliance with a radio interface
JP2928232B1 (ja) 移動通信装置および移動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6968204B2 (en) Narrow band and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for a vehicle
KR200186098Y1 (ko) 휴대폰을 중계로 하는 통신시스템
JP2001069024A (ja) 設定装置及びそれを実装した装置並びに状態設定方法
JP2008136083A (ja) 車両用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
JPH11178072A (ja) 携帯移動無線電話装置
KR200189256Y1 (ko) 핸드폰 및 카오디오의 중계장치
KR200233089Y1 (ko)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930000723B1 (ko) 자동차 전화기의 핸드셋트를 코드레스(cordless)화 한 회로.
JP2002320270A (ja) 無線移動局制御システム、制御局及び移動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