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671A -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671A
KR20020065671A KR1020010005804A KR20010005804A KR20020065671A KR 20020065671 A KR20020065671 A KR 20020065671A KR 1020010005804 A KR1020010005804 A KR 1020010005804A KR 20010005804 A KR20010005804 A KR 20010005804A KR 20020065671 A KR20020065671 A KR 20020065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base station
earth station
controller
ser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1975B1 (ko
Inventor
최승철
황인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턴
Priority to KR10-2001-000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97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9Operations control,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5Transmission equipment in satellites or space-based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28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s service to a network of fixed stations, i.e. fixed satellite service or very small aperture terminal [VSA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의 통신이 위성을 통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의 용이한 신설과 유지, 및 폭우,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나 인재에 의한 전용선 또는 기지국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신속한 복구를 지원하여 지속적인 휴대전화 서비스를 제공함과 더불어, 이를 차량 등에 탑재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통화가 필요한 지역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중망과 연동하면서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 제어기와 제 1 위성 지구국을 인터페이싱하는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를 통해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신호를 위성으로 송신하고,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 2 위성 지구국; 제 2 위성 지구국과 인터페이싱하는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및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에 의하여 각각 다수의 개인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MOBILE STATION SYSTEM USING A SATELLITE}
본 발명은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을 위성 지구국을 통해 위성으로 연결하여 개인휴대단말기 간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성을 이용한 통신은 초기에는 국제간의 통신을 위해 주로 활용되었지만 차차 그 효율성과 경제성은 물론 광역성, 동보성, 내재해성 등 위성통신만이 갖는 여러 가지 이점으로 인해 국토가 광활하고 도서가 많은 국가에서 국내통신용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는데, 1980년 말부터는 지상계 통신망이 해결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한 보완적 수단으로서는 물론 각종 첨단 정보 전달수단으로서의 활용가치를 크게 인정받아 단순한 기간 통신망의 보조수단이 아닌 정보통신시대의 주요매체로 등장하게 되었다.
한편, 이동통신에 있어서는 1990년대 이르러 이동통신 기술분야의 놀라운 발전으로 다양한 이동통신서비스가 생성되었으며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망은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유선통신망과 상호접속됨으로써 더욱 이용 가치가 높은 통신망이 되었으며 망외부성(Network Externality)으로 인해 양측 가입자에게는 보다 나은 혜택과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다수의 이동통신사업자와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함에 따라 기존 유선통신망과 새로운 이동통신망간 다양한 접속형태가 나타나게 되었으며, 상호접속도 이와 병행해서 복잡해져가고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망에서는 단말기(휴대폰)의 사용 주파수가 특정 채널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에서 신호 채널을 통해 통화 채널을 지정해 주는데 따라 단말기는 그 주파수에 자동 동조하게 된다. 따라서, 인접한 셀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해야 하지만 일정 이상 떨어진 셀간에는 같은 주파수를 재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파수 이용 효율이 증대되어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이동통신망에서의 기지국은 셀내에서 이동전화 서비스를 담당해 단말기의 통화 채널을 지정해 주어 통화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기지국과 기지국을 이동할 때는 핸드오프(Hand Off, 이동통신에서 통화 중 회선 절체 의미로 음성채널로 통화가 진행되는 동안 해당 기지국이 그 신호의 세기를 감시하여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면 신호의 세기가 더 좋은 음성 채널을 찾아 진행 중인 통화를 다른 음성 채널로 이전시키는 기능을 말함)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 다음은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을 보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개인휴대통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개인휴대통신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10), 기지국 제어기(BTS Controllor; 20) 및 기지국(Base Station Transmitter System; 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교환기(10)는 공중교환망과 인터페이스되어 개인휴대통신시스템과 공중교환망의 상호 신호처리를 스위칭하고, 기지국 제어기(20)는 다수의 기지국(30)을 관리하면서 교환기(10) 또는 다수의 기지국(30)에서 들어오는 호관련신호를 상대 통신망으로 적절하게 변환하여 출력하며, 기지국(30)은 각 지역에 분포되어 일정 영역안에 존재하는 개인휴대단말기(Mobile Station; 401~40N)와 무선으로 통신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개인휴대통신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개인휴대통신시스템은 기지국 제어기와 다수의 기지국간에 E1/T1 등의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지국을 신설 또는 증설하거나 유지 및 보수에는 전용선 설치나 관리에 따른 상당한 경비와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지국은 산악 등을 포함하여 모든 지역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각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수해나 산사태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전용선이 손실되어 이를 복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의 통신이 위성을 통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의 신설과 유지가 용이하고, 폭우,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나 인재에 의한 기지국 손실시 신속한 복구를 지원하여 지속적인 휴대전화 서비스를 제공함과 더불어, 무선지구국을 차량 등에 탑재하여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 가장 적정한 방향으로 조정하여 항상 최적의 양호한 상태에서 송수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구국이 손실되거나 긴급통신이 필요한 곳에 본 시스템을 이동시켜 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개인휴대통신시스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구성도.
도 3 은 도 2 에서의 위성 지구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 다중화기를 이용한 위성 지구국의 구성도.
도 5 는 이동이 용이한 위성 지구국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교환기 20, 60 : 기지국 제어기
62 : 트렁크 카드 401~40N: 개인휴대단말기
50 : 위성 30, 90 : 기지국
70 : 채널 서비스 유니트 80, 85 : 제 1, 제 2 위성 지구국
902 : 위치감지 수신기 902 : 자이로 컴퍼스
903 : 안테나 제어기 904 : 비콘 수신기
905 : 안테나 구동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공중망과 연동하면서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제 1 위성 지구국을 인터페이싱하는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상기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신호를 위성으로 송신하고,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신호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 2 위성 지구국;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과 인터페이싱하는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를 포함한 위치감지 수신기; 지구국의 위치정보와 방향정보를 계산하는 자이로 컴퍼스; 상기 위치감지 수신기와 상기 자이로 컴퍼스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GPS 안테나를 제어하는 안테나 제어기; 상기 안테나 제어기의 신호에 의해 상기 지구국의 상기 GPS 안테나를 구동하는 안테나 구동기; 및 상기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에 의하여 각각 다수의 개인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GPS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이동할 수 있으며, 여러개의 전송로인 경우 상기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는 제 1 채널 다중화기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또한 제 2 채널 다중화기로 대체된다.
공중망과 연동하면서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제 1 위성 지구국을 인터페이싱하는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상기제 1 채널 다중화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신호를 상기 위성으로 송신하고,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신호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 2 위성 지구국;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과 인터페이싱하는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및 상기 제 2 채널 다중화기에 의하여 각각 다수의 개인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며, 고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여러개의 전송로인 경우 상기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는 제 1 채널 다중화기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또한 제 2 채널 다중화기로 대체된다.
채널 다중화기에 있어서,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채널 다중화기일 경우 별도의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를 더 부착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이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통신시스템은 기지국 제어기(60)에서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70)를 거쳐 제 1 위성 지구국(80)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위성 지구국(80)이 위성(50)을 제 2 위성 지구국(85)과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75) 및 기지국(90)과 결합하여 휴대단말기(401~40N) 간의 통신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위성 지구국(80)과 제 2 위성 지구국(85)이 일반 전용선과 연결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이 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기존의 상기 제 1 위성 지구국(80)과 기지국 제어기(60)를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Channel Service Unit; 70)가 필요하고,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85)과 상기 기지국(90)을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75)가 필요하다.
도 3 은 도 2 에서의 위성 기지국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위성 지구국(80)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60) 또는 기지국(90)과 연동하게 되지만 신호의 송수신은 매우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 기지국 제어기(60)와의 연동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위성 지구국(80)은 무선신호 발사체로서의 다이플렉서(801)와 하향링크의 주파수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 803),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 변환기(Down Converter; 805), 상향링크의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807),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주파수 상향 변환기(Up Converter; 809) 및 송신신호를 코딩 및 변조하거나 수신신호를 디코딩 및 복조하는 모뎀(8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위성 지구국(80)은 상기 위성(5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최종단의 장비로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상기 위성(50)으로 송출하고, 상기 위성(5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기(60)로 송출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60)와 제 1 위성 지구국(80)은 전용 인터페이스 장치인 상기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70)를 통해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위성(50)으로 송출되는 신호는 기지국(90)으로부터 받아 전용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상기 모뎀(811)으로 입력되고, 상기 모뎀(811)에서는 코딩과 변조를 수행하여 상기 주파수 상향 변환기(809)로 보낸다. 상기 주파수 상향 변환기(809)는 변조된 신호를 위성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고, 이 신호는 상기 고출력 증폭기(807)에서 증폭되어 다이플렉서(801)를 통해 위성(50)으로 송출된다.
신호의 수신동작에 있어서, 상기 다이플렉서(801)에서 수신된 하향신호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803)를 통해 저잡음 증폭되고,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기(805)를 통해 주파수 하향 변환된 후 상기 모뎀(811)으로 입력된다.
상기 모뎀(811)은 입력된 신호를 디코딩과 복조를 수행하고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70)를 통하여 기지국 제어기(60)로 전달하게 된다.
도 4 는 채널 다중화기를 이용한 위성 지구국의 구성도이다.
도 4 는 다중화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상기 제 1 위성 지구국(80)의 구성도로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용선이 여러 개일 경우에는 채널 서비스 유니트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채널 다중화기(Multiplexer; 64)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기(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위성 채널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다중화기일 경우에는 도 3 에서와 같이 외부에 별도의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지국(90)은 하향링크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기(Demultiplexer)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90)으로부터 기지국 제어기(60)로 채널신호를 송신할 때는 상기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상기 채널 다중화기(Multiplexer; 64)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6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위성 채널로 데이터를 상기 위성(50)으로 송신하게 된다.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다중화기일 경우 외부에 별도의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지국 제어기(60)은 하향링크 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기를 구비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GPS를 이용한 위성 지구국을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위성 지구국(80,85)은 기지국 제어기(60) 또는 기지국(90)과 연동하게 되지만 신호의 송수신은 매우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기지국(90)과의 연동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 에서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85)은 무선신호 발사체로서의 상기 다이플렉서(801)와 하향링크의 주파수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 803), 주파수 하향 변환하는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기(Down Converter; 805), 상기 상향링크의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상기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807),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상기 주파수 상향변환기(Up Coverter; 809), 주파수의 상향 전력을 제어하는 상기 상향 전력 제어기(Up Link Power Control; 810) 및 송신신호를 코딩 및 변조하거나 수신신호를 디코딩 및 복조하는 상기 모뎀(81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잡음 증폭기(803)에서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전력 제어기(810)에 입력하는 비콘 수신기(Beacon Receiver; 904), 인공위성과 거리를 측정하여 위치를 감지하는 GPS 안테나를 포함하는 위치감지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901), 방향 정보를 계산하여 검출하는 자이로 컴퍼스(Flux Gate Compass; 902), GPS 안테나를 제어하는 안테나 제어기(Antenna Control Unit; 903), 상기 안테나 제어기(903)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GPS 안테나를 가장 적정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안테나 구동기(Antenna Drive Unit; 905)를 포함함으로써, 차량 등에 탑재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85)은 상기 위성(5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최종단의 장비로서 상기 기지국(9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상기 위성(50)으로 송출하고, 상기 위성(5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90)으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기지국(90)과 제 2 위성 지구국(85)은 전용 인터페이스 장치인 상기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75)를 통해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위성(50)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상기 기지국(90)으로부터 받아 전용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모뎀(811)으로 입력되고, 상기 모뎀(811)에서는 코딩과 변조를 수행하여 주파수 상향 변환기(809)로 보낸다.
상기 주파수 상향 변환기(809)는 변조된 신호를 위성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고 상기 신호를 고출력 증폭기(807)에서 증폭하여 다이플렉서(801)와 위성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위성(50)으로 송출한다.
신호의 수신동작에 있어서, 상기 다이플렉서(801)에서 수신된 하향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803)를 통해 저잡음 증폭되고, 상기 주파수 하향 변환기(805)를 통해 주파수 하향 변환된 후 상기 모뎀(811)으로 입력된다.
상기 모뎀(811)은 입력된 신호를 디코딩과 복조를 수행하고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75)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성안테나에서 수신되는 하향신호는 상기 저잡음 증폭기(803)에서 검출하여 비콘 수신기(904)를 통해 상기 상향 전력 제어기(810)에 인가 시켰는데, 이는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오는 일기에는 수신감도가 낮게 되고 송신감도 역시 낮게되므로 이 경우에 송신신호를 높혀서 보상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성 지구국을 통하여 송수신이 이루어지는데, 폭우나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나 인재로 인하여 위성 지구국이 소손되거나 긴급한 통신이 필요한 곳에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지구국을 탑재한 차량을 이동시켜서 송수신을 하는 데, 위치감지 수신기(901)에서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85)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정보신호를 안테나 제어기(903)에 인가하고, 자이로 컴퍼스(902)에서는 현재의 제 2 위성 지구국(85)의 GPS 안테나 방향을 감지한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안테나 제어기(903)에 인가시키며, 또한 제 2 위성 지구국(85)에서 수신하는 신호를 하향 저잡음 증폭기(803)를 통하여 비콘 수신기(904)에서 검출하여 현재의 수신 감도를 판단하여 안테나 제어기(903)에 입력시킨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 제어기(903)에서는 현재의 GPS 안테나 위치와 방향 그리고 수신감도를 판단하여 가장 적정한 방향으로 안테나를 구동하도록 상기 안테나 구동기(905)에 구동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어느 위치로 제 2 위성 지구국(85)을 이동시키든지 항상 양호한 송수신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고, 자연 재해나 인재로 인하여 제 2 위성 지구국(85)이 소손 또는 손실되는 경우 그리고 긴급한 통신이 필요한 위치에 통신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으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GPS를 이용하지 않고, 기지국의 설치 및 제어가 곤란한 지역에 본 발명을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휴대폰 망과 기존 상용품의 기지국 장비들을 활용하여 개발 기간이 매우 짧으며, 시스템 설치도 간단한 신개념의 개인휴대통신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구현된 본 발명은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을 위성으로 연결함으로써 기지국 신설과 유지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성 지구국 장비와 휴대폰 기지국을 하나의 차량으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성에서도 뛰어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폭우,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나 인재에 의한 전용선 및 기지국 손실시 긴급 기지국 설치가 용이하여 지속적인 휴대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공중망과 연동하면서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제 1 위성 지구국을 인터페이싱하는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상기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신호를 위성으로 송신하고,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신호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 2 위성 지구국;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과 인터페이싱하는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를 포함한 위치감지 수신기;
    지구국의 위치정보와 방향정보를 계산하는 자이로 컴퍼스;
    상기 위치감지 수신기와 상기 자이로 컴퍼스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GPS 안테나를 제어하는 안테나 제어기;
    상기 안테나 제어기의 신호에 의해 상기 지구국의 상기 GPS 안테나를 구동하는 안테나 구동기; 및
    상기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에 의하여 각각 다수의 개인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GPS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2. 공중망과 연동하면서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상기 제 1 위성 지구국과 다수의 채널을 다중화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부터 전송되는 다중채널신호를 상기 제 1 위성 지구국에 송신하고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중채널신호를 상기 제 1 위성 지구국에 전송하는 제 1 채널 다중화기;
    상기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신호를 위성으로 송신하고,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신호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 2 위성 지구국;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의 다수 채널을 다중화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중채널신호를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에 송신하고 상기 위성으로 부터 수신되는 다중채널신호를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에 전송하는 제 2 채널 다중화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를 포함한 위치감지 수신기;
    지구국의 위치정보와 방향정보를 계산하는 자이로 컴퍼스;
    상기 위치감지 수신기와 상기 자이로 컴퍼스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GPS 안테나를 제어하는 안테나 제어기;
    상기 안테나 제어기의 신호에 의해 상기 지구국의 상기 GPS 안테나를 구동하는 안테나 구동기; 및
    상기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에 의하여 각각 다수의 개인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GPS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3. 공중망과 연동하면서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제 1 위성 지구국을 인터페이싱하는 제 1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상기 제 1 채널 다중화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신호를 상기 위성으로 송신하고,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신호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 2 위성 지구국;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과 인터페이싱하는 제 2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및
    상기 제 2 채널 다중화기에 의하여 각각 다수의 개인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며,
    고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4. 공중망과 연동하면서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제 1 위성 지구국과 다수의 채널을 다중화하고 기지국으로 부터 전송되는 다중채널신호를 제 1 위성 지구국에 송신하고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중채널신호를 상기 제 1 위성 지구국에 전송하는 제 1 채널 다중화기;
    상기 제 1 채널 다중화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신호를 위성으로 송신하고, 상기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링크신호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 2 위성 지구국;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의 다수 채널을 다중화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중채널신호를 제 2 위성 지구국에 송신하고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중채널신호를 상기 제 2 위성 지구국에 전송하는 제 2 채널 다중화기; 및
    상기 제 2 채널 다중화기에 의하여 각각 다수의 개인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며,
    고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채널 다중화기일 경우 별도의 위성 채널 서비스 유니트를 더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KR10-2001-0005804A 2001-02-07 2001-02-07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KR100371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804A KR100371975B1 (ko) 2001-02-07 2001-02-07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804A KR100371975B1 (ko) 2001-02-07 2001-02-07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671A true KR20020065671A (ko) 2002-08-14
KR100371975B1 KR100371975B1 (ko) 2003-02-14

Family

ID=27693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804A KR100371975B1 (ko) 2001-02-07 2001-02-07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50B1 (ko) * 2008-03-26 2008-09-24 주식회사 아이에스에스 재난·재해 비상통신을 위한 위성중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3489A (ja) * 1992-01-07 1993-07-23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
JPH06188796A (ja) * 1992-12-18 1994-07-08 Ohbayashi Corp 通信衛星を用いた非常用通信方式
JPH06253356A (ja) * 1993-02-24 1994-09-09 Fujitsu Ltd 衛星通信を基地局間に用いた移動体通信網
JPH0974587A (ja) * 1995-06-19 1997-03-18 N T T Ido Tsushinmo Kk 衛星系/地上系統合移動通信システム
JPH11285047A (ja) * 1998-03-30 1999-10-15 Hitachi Commun Syst Inc 携帯端末各々の公衆網への収容方法
JP3053383B2 (ja) * 1998-08-17 2000-06-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体通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50B1 (ko) * 2008-03-26 2008-09-24 주식회사 아이에스에스 재난·재해 비상통신을 위한 위성중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1975B1 (ko)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2176B2 (en) Base station system
JP3703736B2 (ja) ディジタル光リンクを利用した移動通信網システム
JP2901170B2 (ja) 衛星/陸上移動体通信システム統合方式
USRE40910E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able for both satellite and terrestrial communications
JP3153130B2 (ja) 送信システム、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通信方法
US7844273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for providing dedicated capacity in a cellular network
EP04426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panding cellular system capacity
CA2476191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ing satellite-linked remote terminal interface subsystem
EP0918443A3 (en)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base station
JP2006229970A (ja) 移動及び固定無線サービスの分配機能を持つbts装置
KR20010055088A (ko) 광 중계 장치
US20050288060A1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EP04686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remote locations
US6768897B1 (en) Method of adjusting frequency of cellular radio repeater
EP0996241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16371A (ko) 고출력 증폭기와 광 안테나의 정합 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성 옥외용 기지국
US6292652B1 (en) Repeater having frequency conversion
EP0865710B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base station transceiver and radio communication units
KR100371975B1 (ko)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KR100660141B1 (ko) 이동형 위성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중계 시스템
KR100587503B1 (ko)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장치
JP3695999B2 (ja) 無線方法および無線装置
KR20040084429A (ko) 위성 통신 시스템과 연동하는 신호 변환 중계 장치
KR100375837B1 (ko) 다중방향 섹터형 이동 통신 중계 장치
JP200330950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